KR20060053630A -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53630A KR20060053630A KR1020040094047A KR20040094047A KR20060053630A KR 20060053630 A KR20060053630 A KR 20060053630A KR 1020040094047 A KR1020040094047 A KR 1020040094047A KR 20040094047 A KR20040094047 A KR 20040094047A KR 20060053630 A KR20060053630 A KR 20060053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roll
- gravure
- foil
- dewdro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41001274961 Rubus repen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3 infrared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93 oils and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7—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application of electric energ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20—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D06H3/16—Inspecting hosiery or other tubular fabric; Inspecting in combination with turning inside-out, classifying, or other handling
- D06H3/165—Devices for supplying, removing or stacking the work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 후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후처리공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구성에 있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상기 원단(T)이 롤상태로 수용되어 일정한 풀림장력이 유지되도록 구동모터(M)를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원단(T)이 전방으로 공급되는 로딩장치(10); 상기 로딩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여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내/외측테이블(22)(24)상에 다수의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보조롤러(24A)(24B)(24C)를 장착하고,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가공을 택일하여 수행하는 인쇄장치(20); 상기 인쇄장치(20)의 후단에 위치하여 온풍기(H)에 장착된 상태로 다수의 토출구(32a)(32a')를 구비하는 한 쌍의 급기닥트(32)(32')가 챔버(31)의 내부에 대응하게 설치됨과 함께 챔버(31)의 상단에 배기닥트(34)를 설치하고, 토출구(32a)(32a')에 적외선히터(R)를 설치하여 원단(T)을 열풍이나 적외선 중 택일하여 건조하는 건조장치(30); 상기 건조장치(30)의 챔버(31) 후단에 위치하여 캠판(41)에 링크결합으로 왕복이송되는 가이드판(42)에 유도롤러(42a)를 구비함과 함께 건조장치(30)와 별도로 권취기(44)를 설치하여 건조된 원단(T)을 수레에 포개거나 롤상태로 권취되는 적재장치(40); 및 상기 각 주요 장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원단을 염색 후 개별적인 설비와 별도의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지던 그라비아, 니플, 포일, 듀드롭, 본딩의 다양한 후처리 공정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 투자와 인력절감으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시장경쟁력을 재고함은 물론 콤팩트한 구조로 제작되어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원단, 그라비아, 니플, 포일, 듀드롭, 본딩, 온풍기, 적외선히터
Description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후가공장치를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장치의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가공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로딩장치 12: 유도롤러 20: 인쇄장치
22: 내측테이블 22A, 22B, 22C: 디자인롤러 24: 외측테이블
24A, 24B, 24C: 보조롤러 26: 지지축 30: 건조장치
31: 챔버 32, 32': 급기닥트 32a, 32a': 토출구
34: 배기탁트 40: 적재장치 41: 캠판
42: 가이드판 42a: 유도롤러 44: 권취기
50: 제어박스 60: 보조가공장치 62: 히팅롤러
62a: 열매체유 64: 디자인롤러
본 발명은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염색 후 개별적인 설비와 별도의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지던 그라비아, 니플, 포일, 듀드롭, 본딩의 다양한 후처리 공정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 투자와 인력절감으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시장경쟁력을 재고함은 물론 콤팩트한 구조로 제작되어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염색원단의 후가공은 섬유의 색상, 외관, 촉감, 후각을 담당하며 제품의 특징을 발현시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이에 국내ㆍ외에서 경쟁력을 갖고 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후가공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후가공에 부여된 기능이 한 나라의 섬유산업 수준을 결정지을 정도로 중요성이 크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후가공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a 내지 1c에서, 연색원단(T)은 개별적인 설비와 별도의 가공공정을 통하여 그라비아(Gravure), 니플(Ripple), 포일(foil), 듀드롭(Dw-Drop), 본딩(Bonding)의 다양한 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도 1a는 원단(T)이 그라비아(포일, 니플)인쇄를 통하여 후가공되는 공정도(A)로서, 이는 원단(T)을 공급하는 로딩장치(A1)와, 로딩장치(A1)의 후단에 위치하여 원단(T)을 그라비아(포일, 니플)인쇄하는 인쇄장치(A2)와, 인쇄장치(A2)의 후단에 위치하여 원단(T)에 전이된 인쇄도막을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장치(A3)와, 건조장치(A3)의 후단에 위치하여 건조된 원단(T)이 인출되는 적재장치(A4)로 크게 나누어진다.
도 1b는 원단(T)이 듀드롭인쇄를 통하여 후가공되는 공정도(B)로서, 원단(T)을 공급하는 로딩장치(B1)와, 로딩장치(B1)의 후단에 위치하여 듀드롭헤드에 의해 원단(T)의 표면에 수지를 고착시키는 인쇄장치(B2)와, 인쇄장치(B2)의 후단에 위치하여 원단(T)에 고착된 수지를 적외선으로 발포 건조하는 건조장치(B3)와, 건조장치(B4)의 후단에 위치하여 건조된 원단(T)이 인출되는 적재장치(B4)를 주요 공정으로 한다.
도 1c는 원단(T)의 결점을 커버하고 질감을 바꾸어 소재를 고급화하는 본딩가공공정도(C)로서, 원단(T)을 공급하는 로딩장치(C1)와, 로딩장치(C1)의 후단에 위치하여 원단(T)이 본딩헤드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원단과 접착되는 인쇄장치(C2)와, 인쇄장치(C2)의 후단에 위치하여 접착된 원단(T)을 롤러열풍기로 건조하는 건조장치(C3)와, 건조장치(C3)의 후단에 위치하여 원단(T)이 인출되는 적재장치(C4)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도 1a 내지 1c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의 다양한 원단의 후가공공정(A)(B)(C)을 살펴보면, 로딩(A1)(B1)(C1) 및 적재공정(A4)(B4)(C4)은 유사한 반면에 가공공정(A2)(B2)(C2)과 건조공정(A3)(B3)(C3)은 후가공공정(A)(B)(C)의 특성에 따라 판이하게 구별된다. 이에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가공(A)(B)(C)이 개별적인 설비와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짐에 따른 설비 증설과 외주관리 및 인건비의 부담으로 인해 대부분의 후가공 생산업체들이 하나의 단일 품목만을 생산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의 다양한 후가공설비를 여러 대로 증설하더라도 설치면적의 확대로 인해 공장의 임대료 비용이 추가 발생됨은 물론 다수의 후가공기를 운전하기 위한 기능 인력의 확충으로 제조원가 상승되어 최근 섬유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가격경쟁에서 뒤쳐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섬유업계의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설비투자와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여 인건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다품종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후가공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을 염색 후 개별적인 설비와 별도의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지던 그라비아, 니플, 포일, 듀드롭, 본딩의 다양한 후처리 공정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 투자와 인력절감으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시장경쟁력을 재고함은 물론 콤팩트한 구조로 제작되어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염색 후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후처리공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 기 원단(T)이 롤상태로 수용되어 일정한 풀림장력이 유지되도록 구동모터(M)를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원단(T)이 전방으로 공급되는 로딩장치(10); 상기 로딩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여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내/외측테이블(22)(24)상에 다수의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보조롤러(24A)(24B)(24C)를 장착하고,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가공을 택일하여 수행하는 인쇄장치(20); 상기 인쇄장치(20)의 후단에 위치하여 온풍기(H)에 장착된 상태로 다수의 토출구(32a)(32a')를 구비하는 한 쌍의 급기닥트(32)(32')가 챔버(31)의 내부에 대응하게 설치됨과 함께 챔버(31)의 상단에 배기닥트(34)를 설치하고, 토출구(32a)(32a')에 적외선히터(R)를 설치하여 원단(T)을 열풍이나 적외선 중 택일하여 건조하는 건조장치(30); 상기 건조장치(30)의 챔버(31) 후단에 위치하여 캠판(41)에 링크결합으로 왕복이송되는 가이드판(42)에 유도롤러(42a)를 구비함과 함께 건조장치(30)와 별도로 권취기(44)를 설치하여 건조된 원단(T)을 수레에 포개거나 롤상태로 권취되는 적재장치(40); 및 상기 각 주요 장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쇄장치(20)는 지지축(26)의 양단에 장착되어 베드면(22a)과 다수의 제1체결홈(22b)이 형성되는 내측테이블(22)과, 내측테이블(22)의 제1체결홈(22b)에 삽입되어 일단에 구동모터(M)가 설치되는 디자인롤러(22A)(22B)(22C), 상기 내측테이블(22)의 베드면(22a)에 설치되어 피동기어(24a)와 제2체결홈(24b)을 구비하는 외측테이블(24)과, 외측테이블(24)의 내면에 조절구(24a)와 함께 설치되 는 보조롤러(24A)(24B)(24C), 상기 디자인롤러(22A)(22B)에 공급되는 염료를 저장하고, 에어실린더(A) 또는 래크와피니언(K)에 의해 상하전후이송되는 저장조(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건조장치(30)의 하단에 위치하되, 내부에 열매체유(62a)가 설치된 히팅롤러(62)와, 히팅롤러(62)의 외주면에 인접하고, 하단에 저장조를 구비하는 다수의 디자인롤러(64)를 설치하여 원단(T)을 다색으로 그라비아 또는 포일인쇄하는 보조가공장치(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장치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가공장치의 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염색 후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후가공공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로딩장치(10), 인쇄장치(20), 건조장치(30), 적재장치(40), 제어박스(50) 등의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10)는 원단(T)이 롤상태로 수용되어 일정한 풀림장력이 유지되도록 구동모터(M)를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원단(T)이 전방으로 공급된다. 로딩장치(10)는 양단에 한 쌍의 지지축(10a)을 구비하여 원단롤(T')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축(10a)의 일단에 체인으로 연동되는 구동모터(M)가 구비된다. 구동모터(M)는 후술하는 제어박스(50)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되어 지지축(10a)이 회동되는 바, 이는 가공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원단(T)의 풀림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가공성이 향상되고, 원단(T)이 처짐 현상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20)는 로딩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여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내/외측테이블(22)(24)상에 다수의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보조롤러(24A)(24B)(24C)를 장착하고,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가공을 택일하여 수행한다. 인쇄장치(20)는 지지축(26)에 설치되어 각각의 구동모터(M)에 의해 각개 구동되는 내/외측테이블(22)(24)상에 다수의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보조롤러(24A)(24B)(24C)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원단(T) 후가공의 공정변화에 따라 내/외측테이블(22)(24)을 회전시켜 롤러를 교체 후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바, 이에 따른 인쇄장치(2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4를 통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30)는 인쇄장치(20)의 후단에 위치하여 온풍기(H)에 장착된 상태로 다수의 토출구(32a)(32a')를 구비하는 한 쌍의 급기닥트(32)(32')가 챔버(31)의 내부에 대응하게 설치됨과 함께 챔버(31)의 상단에 배기닥트(34)를 설치하고, 토출구(32a)(32a')에 적외선히터(R)를 설치하여 원단(T)을 열풍이나 적외선 중 택일하여 건조한다. 건조장치(30)는 챔버(31)의 내부에 급기닥트(32)(32')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온풍기(H)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소정의 위치로 전달한다. 급기닥트(32)(32')는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제작되고, 일면에 다수의 토출구(32a)(32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32a)(32a')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닥트(32)(32')의 대응면에 각각 형성되고, 급기닥트(32)(32')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이 원단(T)으로 공급되는 바, 이때 토출구(32a)(32a')는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원단(T)의 상하부에서 열풍을 분사함에 따라 원단(T)이 풍압에 의해 수평선이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며 건조된다. 그리고 원단(T)이 급기닥트(32)(32')에 진입/인출되는 위치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부에 설치된 온풍기(H)의 용량을 증대하거나 급기닥트(32')의 토출구(32a')를 양단에 다수로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기닥트(32)(32')의 토출구(32a)(32a')에 적외선히터(R)가 복수로 설치된다. 적외선히터(R)는 복사성이 극히 강하기 때문에 피사체의 표면과 내부의 열전달 시간차가 적으므로 합성수지나 유지류 등 고분자 화합물로 가열효율이 높다. 그러므로 인쇄장치(20)를 통하여 듀드롭가공된 원단(T)의 표면에 고착된 듀드롭수지를 내부에서부터 서서히 건조시킴에 따라 듀드롭수지의 수축으로 인한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건조장치(30)내에 온풍기(H)와 적외선히터(R)가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열풍건조와 적외선건조 중 택일하여 원단(T)이 건조됨에 따라 인쇄장치(20)에서 그라비아(포일, 니플), 본딩가공시 온풍기(H)를 가동하여 열풍으로 원단(T)이 건조되고, 듀드롭가공시 적외선히터(R)를 작동시켜 복사열로 원단(T)에 고착된 듀드롭수지가 건조됨으로 원단(T)의 다양한 후가공에 따른 작업변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설비 증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40)는 건조장치(30)의 챔버(31) 후단에 위치하여 캠판(41)에 링크결합으로 왕복이송되는 가이드판(42)에 유도롤러(42a)를 구비함과 함께 건조장치(30)와 별도로 권취기(44)를 설치하여 건조된 원단(T)을 수레에 포개거나 롤상태로 권취된다. 적재장치(40)는 건조장치(30)를 통하여 건조가 완료된 원단(T)을 적재하는 장치로서, 상기 건조장치(30)에서 인출된 원단(T)은 챔버(21)의 후단에서 캠판(41)의 회동력으로 왕복이송되는 가이드판(42)의 유도롤러(42a)에 의해 수레에 적재되거나, 본딩 및 듀드롭가공된 원단(T)은 별도의 합지작업을 거쳐 권취기(44)에 롤상태로 적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박스(50)는 각 주요 장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박스(50)는 각 주요 장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고 인쇄장치(20)의 일 부근에 설치된다. 주요 장치는 전술한 로딩장치(10), 인쇄장치(20), 건조장치(30), 적재장치(40)를 작동시키는 모터, 온풍기, 히터, 에어실린더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어박스는 릴레이를 이용한 시퀀스회로 그리고/또는 컴퓨터 회로를 구비하며, 입출력포트에서 각 모터, 에어실린더 등과 연결되어 제어하도록 연결된다. 이외에도 전원을 단속하는 온오프(on/off)키, 후가공장치를 개시하는 스타트키, 후가공장치를 즉시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키 등 여러 가지 제어키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 상기 인쇄장치(20)는 지지축(26)의 양단에 장착되어 베 드면(22a)과 다수의 제1체결홈(22b)이 형성되는 내측테이블(22)과, 내측테이블(22)의 제1체결홈(22b)에 삽입되어 일단에 구동모터(M)가 설치되는 디자인롤러(22A)(22B)(22C), 상기 내측테이블(22)의 베드면(22a)에 설치되어 피동기어(24a)와 제2체결홈(24b)을 구비하는 외측테이블(24)과, 외측테이블(24)의 내면에 조절구(24a)와 함께 설치되는 보조롤러(24A)(24B)(24C), 상기 디자인롤러(22A)(22B)에 공급되는 염료를 저장하고, 에어실린더(A) 또는 래크와피니언(K)에 의해 상하전후이송되는 저장조(28)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26)은 구동모터(M)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양단에 내측테이블(22)이 장착되고, 내측테이블(22)의 원주면에 베드면(22a)이 형성되어 외측테이블(24)이 슬라이드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외측테이블(24)은 원주면에 피동기어(24a)가 형성되어 일측에 구동기어(24a')를 구비하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동된다. 내측테이블(22)은 가장자리에 일정한 등각(예컨대, 120°)으로 제1체결홈(22b)이 형성되어 디자인롤러(22A)(22B)(22C)의 양단이 삽입되고, 외측테이블(24)은 일측으로 개방된 제2체결홈(24b)이 형성됨과 함께 내면에 조절구(J)가 제1체결홈(22b)과 동일한 등각으로 구비되어 보조롤러(24A)(24B)(24C)의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내/외측테이블(22)(24)상에 설치된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보조롤러(24A)(24B)(24C)가 도 4와 같이 서로 인접하고, 원단(T)의 후가공을 전환시 내/외측테이블(22)(24)이 회동하여 그에 적합한 롤러를 가공위치 즉, 상단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디자인롤러(22A)(22B)는 그라비아(포일, 니플) 및 본딩가 공을 위한 롤러로서 표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각종 문양들이 새겨짐과 함께 그 하부에 저장조(28)가 위치하고, 표면이 나이프(S)와 면접하여 디자인롤러(22A)(22B)가 회전하는 동안 음각인쇄문양에 묻은 염료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거된다. 그리고 디자인롤러(22C)와 보조롤러(24C)는 듀드롭가공을 위한 롤러로서 보조롤러(24C)에 듀드롭헤드를 탑재하여 원단(T)에 듀드롭수지를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조(28)는 디자인롤러(22A)(22B)에 공급되는 염료를 저장하고, 에어실린더(A) 또는 래크와피니언(K)에 의해 상하전후이송된다. 저장조(28)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태로 제작되어 염료가 수용되고, 하단에 에어실린더(A) 또는 래크와피니언(K)이 복수로 설치되어 상하이송은 물론 전후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저장조(28)는 원단(T)을 후가공시 디자인롤러(22A)(22B)(22C)의 하단에 인접하여 염료를 공급하지만, 후가공에 따른 작업전환시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보조롤러(24A)(24B)(24C)의 회동범위에 간섭받지 않도록 에어실린더(A) 또는 래크와피니언(K)의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작업전환이 완료되면 다시 에어실린더(A) 또는 래크와피니언(K)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후 디자인롤러(22A)(22B)(22C)와 인접할 수 있도록 상승된다.
한편, 상기 외측테이블(24)의 제2체결홈(24b)은 제1체결홈(22b)과 동일한 폭으로 개방된다. 이에 외측테이블(24)이 정지된 상태로 내측테이블(22)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 제1체결홈(22b)과 제2체결홈(24b)이 서로 연통되어 원단(T)의 디자인변화에 따른 디자인롤러(22A)(22B)(22C)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작동에 있어서, 우선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의 다양한 후가공 공정중 택일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후가공장치를 세팅하는 바, 즉 제어박스(50)의 단독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로딩장치(10)에 원단롤(T')을 설치함은 물론 인쇄장치(20)의 내/외측테이블(22)(24)을 회동시켜 후가공에 필요한 롤러를 작업위치로 이송하거나 교체하며, 건조장치(30)의 온풍기(H) 또는 적외선히터(R)가 택일하여 작동되도록 설정하며, 건조된 원단(T)이 수레에 저장되거나 롤상태로 권취되도록 적재장치(40)를 세팅한다.
이때, 원단롤(T')을 로딩장치(10)에 권설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제어박스(50)의 단독조작스위치를 통하여 지지축(10a)사이의 간격을 확장하여 원단롤(T')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다시 지지축(10a)사이의 간격 좁혀 원단롤(T')의 양단을 압착한 상태로 지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승된다. 이어서 구동모터(M)의 작동에 의해 지지축(10)이 원단롤(T')을 회동시킴에 따라 원단(T)이 일정한 풀림장력으로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인쇄장치(20)로 공급된다.
이어서, 원단(T)이 인쇄장치(20)의 가공위치 즉, 상단에 위치한 디자인롤러와 보조롤러사이를 통과하며 인쇄되는 바, 이때 디자인롤러(22A)(22B)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저장조(28)의 염료를 음각인쇄문양에 묻혀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및 본딩가공하고, 또 다른 디자인롤러(22C)와 보조롤러(24C)는 듀드롭가공을 위해 보조롤러(24C)에 듀드롭헤드를 탑재하여 원단(T)에 듀드롭수지를 도포한다.
이때, 인쇄장치(20)를 통하여 그라비아(포일, 니플), 본딩, 듀드롭가공된 원단(T)이 건조장치(30)의 챔버(31)로 투입되고, 급기닥트(32)(32')의 토출구 (32a)(32a')를 통하여 분사되는 온풍기(H)의 열풍이나, 적외선히터(R)의 복사열에 의해 건조된 후 챔버(31)의 후단으로 인출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건조장치(30)의 작동으로 건조가 완료된 원단(T)은 적재장치(40)로 이송되고, 챔버(21)의 후단에서 캠판(41)의 회동력으로 왕복이송되는 가이드판(42)의 유도롤러(42a)에 의해 수레에 적재되거나, 본딩 및 듀드롭가공된 원단(T)은 별도의 합지작업을 택일적으로 거쳐 권취기(44)로 투입되어 롤상태로 적재된다.
그리고 원단(T)의 후처리 공정을 전환시 제어박스(50)의 단독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로딩장치(10), 인쇄장치(20), 건조장치(30), 적재장치(40)를 다시 리세팅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원단(T)을 다양한 방법으로 후가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T)의 후처리 공정인 그라비아, 니플, 포일, 듀드롭, 본딩가공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투자와 인력절감으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다품종의 원단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시장경쟁력을 재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가공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서, 보조가공장치(60)는 건조장치(30)의 하단에 위치하되, 내부에 열매체유(62a)가 설치된 히팅롤러(62)와, 히팅롤러(62)의 외주면에 인접하고, 하단에 저장조(64a)를 구비하는 다수의 디자인롤러(64)를 설치하여 원단(T)을 그라비아 또는 포일 5도인쇄하는 보조가공장치(60)를 구비한다. 히팅롤러(62)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내부에 열매유체(62a)가 설치되고, 표면에 인접하게 다수의 디자인롤러(64)가 설치된다. 디자인롤러(64)는 조절구(64b)에 설치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고, 표면에 상기에서 전술한 가공장치(20)의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동일하게 인쇄하고자 하는 각종 문양들이 새겨진다. 디자인롤러(64)는 하부에 염료를 수용하는 저장조(64a)가 구비됨과 함께 표면에 면접하는 나이프(S)에 의해 디자인롤러(64)가 회전하는 동안 음각인쇄문양에 묻은 염료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거된다.
이때, 상기 디자인롤러(64)는 설치위치에 따라 표면에 면접하는 보조롤러(64')를 추가로 구비하고, 저장조(64a)를 보조롤러(64')의 하단에 구비하여 간접전달방식으로 염료가 공급된다.
작동에 있어서, 우선 열매유체(62a)를 작동시켜 히팅롤러(62)를 적정의 온도(예컨대, 190~200??정도)로 가열하고, 로딩장치(10)에서 공급되는 원단(T)을 보조가공장치(60)의 히팅롤러(62)와 디자인롤러(64)사이로 투입한다. 이때 히팅롤러(62)는 구동모터(M)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고, 그와 인접하는 다수의 디자인롤러(64)는 원단(T)을 사이에 두고 히팅롤러(62)의 표면에 밀착되어 연동된다. 이어서 디자인롤러(62)가 저장조(64a)에 수용된 염료를 원단(T)에 인쇄함과 동시에 히팅롤러(62)에 의해 인쇄된 염료가 즉시 건조됨에 따라 색상이 번지거나 이중색상으로 변색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 6 내지 도 7에서 디자인롤러(64)가 5개소에 설치되어 2~5도색 상의 그라비아 또는 포일인쇄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히팅롤러(62)를 대형으로 제작함과 동시에 디자인롤러(64)를 더 설치하여 5도 이상의 색상으로 그라비아 또는 포일인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원단을 염색 후 개별적인 설비와 별도의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지던 그라비아, 니플, 포일, 듀드롭, 본딩의 다양한 후처리 공정을 단일의 시스템으로 집적시킴에 따라 최소한의 설비 투자와 인력절감으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시장경쟁력을 재고함은 물론 콤팩트한 구조로 제작되어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염색 후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후처리공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원단(T)이 롤상태로 수용되어 일정한 풀림장력이 유지되도록 구동모터(M)를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원단(T)이 전방으로 공급되는 로딩장치(10);상기 로딩장치(10)의 선단에 위치하여 지지축(2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내/외측테이블(22)(24)상에 다수의 디자인롤러(22A)(22B)(22C)와 보조롤러(24A)(24B)(24C)를 장착하고, 원단(T)에 그라비아(포일, 니플), 듀드롭, 본딩과 같은 가공을 택일하여 수행하는 인쇄장치(20);상기 인쇄장치(20)의 후단에 위치하여 온풍기(H)에 장착된 상태로 다수의 토출구(32a)(32a')를 구비하는 한 쌍의 급기닥트(32)(32')가 챔버(31)의 내부에 대응하게 설치됨과 함께 챔버(31)의 상단에 배기닥트(34)를 설치하고, 토출구(32a)(32a')에 적외선히터(R)를 설치하여 원단(T)을 열풍이나 적외선 중 택일하여 건조하는 건조장치(30);상기 건조장치(30)의 챔버(31) 후단에 위치하여 캠판(41)에 링크결합으로 왕복이송되는 가이드판(42)에 유도롤러(42a)를 구비함과 함께 건조장치(30)와 별도로 권취기(44)를 설치하여 건조된 원단(T)을 수레에 포개거나 롤상태로 권취되는 적재장치(40); 및상기 각 주요 장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인쇄장치(20)는 지지축(26)의 양단에 장착되어 베드면(22a)과 다수의 제1체결홈(22b)이 형성되는 내측테이블(22)과, 내측테이블(22)의 제1체결홈(22b)에 삽입되어 일단에 구동모터(M)가 설치되는 디자인롤러(22A)(22B)(22C), 상기 내측테이블(22)의 베드면(22a)에 설치되어 피동기어(24a)와 제2체결홈(24b)을 구비하는 외측테이블(24)과, 외측테이블(24)의 내면에 조절구(24a)와 함께 설치되는 보조롤러(24A)(24B)(24C), 상기 디자인롤러(22A)(22B)에 공급되는 염료를 저장하고, 에어실린더(A) 또는 래크와피니언(K)에 의해 상하전후이송되는 저장조(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건조장치(30)의 하단에 위치하되, 내부에 열매체유(62a)가 설치된 히팅롤러(62)와, 히팅롤러(62)의 외주면에 인접하고, 하단에 저장조를 구비하는 다수의 디자인롤러(64)를 설치하여 원단(T)을 다색으로 그라비아 또는 포일인쇄하는 보조가공장치(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4047A KR20060053630A (ko) | 2004-11-17 | 2004-11-17 |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4047A KR20060053630A (ko) | 2004-11-17 | 2004-11-17 |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3630A true KR20060053630A (ko) | 2006-05-22 |
Family
ID=3715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4047A KR20060053630A (ko) | 2004-11-17 | 2004-11-17 |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5363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18427A (zh) * | 2010-04-08 | 2010-09-01 | 尹成元 | 全自动彩色罗拉印花、烘干、烂花设备 |
KR20190122990A (ko) * | 2018-04-23 | 2019-10-31 | 이병화 |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
CN112899846A (zh) * | 2021-01-13 | 2021-06-04 | 盐城暖春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棉纱线制备精梳加工系统 |
CN118664164A (zh) * | 2024-08-23 | 2024-09-20 | 成都理工大学 | 一种齿轮轴自动焊接装置 |
-
2004
- 2004-11-17 KR KR1020040094047A patent/KR20060053630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18427A (zh) * | 2010-04-08 | 2010-09-01 | 尹成元 | 全自动彩色罗拉印花、烘干、烂花设备 |
KR20190122990A (ko) * | 2018-04-23 | 2019-10-31 | 이병화 | 후로킹 후가공, 메탈릭 후가공, 포일 후가공이 처리된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
CN112899846A (zh) * | 2021-01-13 | 2021-06-04 | 盐城暖春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棉纱线制备精梳加工系统 |
CN112899846B (zh) * | 2021-01-13 | 2022-07-22 | 微山县远盛纺织有限公司 | 一种棉纱线制备精梳加工系统 |
CN118664164A (zh) * | 2024-08-23 | 2024-09-20 | 成都理工大学 | 一种齿轮轴自动焊接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95710A1 (en) | Sheet-fed printing press | |
CN108464553B (zh) | 一种全自动自助图案定制成衣设备及方法 | |
KR200388051Y1 (ko) |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 |
KR20060053630A (ko) | 원단의 복합 후가공장치 | |
EP3512705A1 (en) | Multiple belt and multiple zone textile dryer | |
CN109577023A (zh) | 一种新型环保型多功能免水洗直接印花工艺 | |
WO2018133257A1 (zh) | 印花部套装置 | |
CN117383300A (zh) | 一种用于物流运输的堆垛整理设备 | |
CN208993311U (zh) | 一种用于蕾丝数码印花的层压装置 | |
US20230332343A1 (en) | Anhydrous dyeing system for yarn | |
CN206635525U (zh) | 一种纺织加工用印染设备 | |
CN117261423A (zh) | 一种用于纺织毛毯的凹凸数码印花机 | |
CN216466888U (zh) | 一种涤纶面料无水印染装置 | |
CN214239974U (zh) | 一种印花丝绒面料同步拔染烂花装置 | |
GB2192700A (en) | Infrared web drier | |
EP3888916B1 (en) | Warp yarn transfer printing machine | |
JPH07205400A (ja) | 多色印刷装置 | |
CN208376245U (zh) | 一种双放双收六色印刷机 | |
CN218966388U (zh) | 一种编织袋加工用彩印装置 | |
KR20220104962A (ko) |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 |
CN219410189U (zh) | 一种常温针织布印染设备 | |
KR20060053631A (ko) | 원단 복합 후가공기의 인쇄장치 | |
KR101022830B1 (ko) | 날염용 건조장치 | |
CN108819463A (zh) | 一种印花系统 | |
CN106032088A (zh) | 一种印刷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