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962A -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962A
KR20220104962A KR1020210007412A KR20210007412A KR20220104962A KR 20220104962 A KR20220104962 A KR 20220104962A KR 1020210007412 A KR1020210007412 A KR 1020210007412A KR 20210007412 A KR20210007412 A KR 20210007412A KR 20220104962 A KR20220104962 A KR 2022010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
film
roller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102021000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962A/ko
Publication of KR2022010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2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co-operating press or calender ro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30Ink jet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단(T)의 니플, 포일, 본딩, 듀드롭, 수지코팅, 엠보싱, 라미네이팅 등의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가공기에 관련되며, 공급기(10A)(10B)(10C), 그라비아 인쇄기(20), 프린터기(30),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 건조기(70),카렌더(90), 엠보싱기(100), 권취기(110A)(110B)(110C), 제어패널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공급기(10A)(10B)(10C)는 상기 원단(T), 필름(F)이 롤 형태로 개재되는 공급롤(11)을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일정하게 풀려지게 공급한다.
그라비아 인쇄기(20)는 상기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21)(22)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롤러(22)의 하단에 염료를 수용하는 용기(25)와 함께 나이프(28)를 구비한다. 프린터기(30)는 상기 원단(T), 필름(F)
을 이송 상태에서 프레스 볼(31)과 날염롤(32A)(32B)(32C)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프레스 볼(31)상에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며 염료를 회수하는 맹글롤(37)과 닥터(38)(39)를 구비한다.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는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41,51)(42,52)사이로 통과하여 수지를 도포와 원단을 접착하고, 롤러(41,51)상에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60)을 구비한다.
건조기(70)는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상하로 구분되는 챔버(71)(76)를 통과하며 표면을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 건조한다.
카렌더(90)는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91)(92)사이로 통과하며 디자인된 인쇄물을 고온 압착하여 융착한다. 엠보싱기(100)는 상기 원단(T)
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101)(102)사이로 통과하며 표면에 평면이나 요철형상의 무늬를 각인한다.
권취기(110A)(110B)(110C)는 상기 원단(T), 필름(F)이 이송 상태에서 모터(111)의 구동력으로 유도롤러(112)를 통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114)와 롤 형태로 권취하는 와인더(115)(115')를 구비한다.
제어패널은 상기 원단(T), 필름(F)을 각 주요장치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컨스 작동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원단 염색 후 시행되던 여러 복합 후가공, 즉 포일, 수지코팅, 니플, 엠보, 듀드롭, 본딩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완전 자동화로 양산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따라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설비와 생산인원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의 다기능 원단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The fiber multi-functional complex process machine}
본 고안은 원단의 복합 후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 염색 후 시행되던 여러 복합 후가공, 즉 포일, 수지코팅, 니플, 엠보, 듀드롭, 본딩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완전 자동화로 양산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따라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설비와 생산인원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의 다기능 원단 생산이 가능한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은 대략적인 제품생산 공정을 살펴보면 우선 실의 원료라고 할 수 있는 폴리머칩에서 섬유를 만들고, 뽑은 섬유를 제품의 용도에 맞게 꼬임을 부여하거나 다양한 가공을 통하여 실을 만드는 제사(Yarn Making) 공정이 있다.
다음으로 원사를 제직기에 걸어 천의 재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직물조직을 결정하여 직조하는 제직(Weaving)공정에 의해원단이 완성된다.
제직공정에서 완성된 원단을 생지라고 하는데, 이는 아직 최종상태의 제품이라고 볼 수는 없다. 즉, 염색(Dyeing)공정을 통하여 원단에 색상이 입혀지고, 후가공공정을 통해 다양한 기능성 코팅이 더해져서 최종원단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최근에 섬유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낮은 단가를 앞세워 한국 섬유 산업을 위협하고 있는바, 이제 우리나라 섬유 산업이 제품으로 승부수를 띄우기에는 품질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없다는 것이 지배적인 시각이다.
따라서 국내·외에서 경쟁력을 갖고 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제품생산을 할 수 있는 마무리 공정인 후가공공정, 후가공기 등을 개발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원단은 그 가치를 결정하는 색상, 외관, 촉감, 후각 등의 요인들 중 후가공은 색상 구현 외 외관, 촉감, 후각을 담당하며 제품의 특징을 발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즉 한마디로 표현해서 "후가공은 원단의 값어치를 결정짓는 분야"라고 볼 수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후가공에 부여된 기능들로 한 나라의 섬유 산업의 수준을 결정지을 정도로 후가공의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후가공은 포일(Foil Printing), 수지코팅(Roller Printing), 듀드롭(Dew Drop), 요철효과가공(Ripple Printing),엠보싱(Embossing), 코팅(Coating), 라미네이팅(Laminating), 본딩(Bonding)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통칭한다.
이와 같이 후가공은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개별적인 설비와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행해짐에 따라 각각의 가공에 대해서 가공설비가 필요하므로 넓은 설치면적이 요구되고, 가공설비를 개별로 제작해야 하므로 많은 경비와 장소가 소모되는 단점
이 있다.
또한, 다수의 후가공기를 운행하기 위해 과다한 생산인원의 확충으로 인하여 원가가 상승되고 있고, 원가상승으로 인하여 생산제품의 국제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리고, 현재 원단의 수요자는 다품종 소량생산을 요구하고 있지
만 상기의 문제로 인하여 현재설비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불가능한 실정으로 고부가가치의 다기능 원단 생산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섬유업계의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시설투자와 설치면적 및 인건비 절감은 물론 고부가가치의 다기능원단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다기능성 복합 후가공기를 개발하여 새로운 복합기술을 이용하여 다목적, 다기능성, 패션성을 가지는 의류 및 산업용 섬유 제품화 기술 확립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 염색 후 시행되던 여러 복합 후가공, 즉 포일, 수지코팅, 니플, 엠보, 듀드롭, 본딩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완전 자동화로 양산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따라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설비와 생산인원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의 다기능 원단 생산이 가능
한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단(T)의 니플, 포일, 본딩, 듀드롭, 수지코팅, 엠보싱, 라미네이팅 등의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T), 필름(F)이 롤 형태로 개재되는 공급롤(11)을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일정하게 풀려지게 공급하는 공급기(10A)(10B)(10C); 상기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21)(22)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롤러(22)의 하단에 염료를 수용하는 용기(25)와 함께 나이프(28)를 구비하는 그라비아 인쇄기(2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프레스 볼(31)과 날염롤(32A)(32B)(32C)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프레스 볼(31)상에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며 염료를 회수하는 맹글롤(37)과 닥터(38)(39)를 구비하는 프린터기(30);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41,51)(42,52)사이로 통과하여 수지를 도포와 원단을 접착하고, 롤러(41,51)상에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60)을 구비하는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 상기 원단(T),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상하로 구분되는 챔버(71)(76)를 통과하며 표면을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 건조하는 건조기(7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91)(92)사이로 통과하며 디자인된 인쇄물을 고온 압착하여 융착하는 카렌더(90);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101)(102)사이로 통과하며 표면에 평면이나 요철형상의 무늬를 각인하는 엠보싱기(100); 상기 원단(T), 필름(F)이 이송 상태에서 모터(111)의 구동력으로 유도롤러(112)를 통하여 원단을 접는폴딩부(114)와 롤 형태로 권취하는 와인더(115)(115')를 구비하는 권취기(110A)(110B)(110C); 및 상기 원단(T), 필름(F)을 각 주요장치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컨스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상기 프린터기(30)는 프레스 볼(31)의 외주면상에 실린더(36)에 의해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고 레이저를 이용하여 조각으로 제작되는 날염롤(32A)(32B)(32C)과, 상기 날염롤(32A)(32B)(32C)에 인접하여 염료를 충진하여도포하는 도포롤(33)과, 상기 도포롤(33)에 염료를 공급하며 핸들(34)에 의해 연동하는 용기(35)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조절수단(60)은 상하부롤(41,51)(42,52)의 사이에 개재되어 핸들(61)과 연동하도록 나선축(62)에 수용되는 테이퍼블록(63)과, 상기 테이퍼블록(63)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부롤(41,51)을 상하 운동하는 컨트롤블록(64)과,
상부롤(41,51)의 상면에 설치되어 컨트롤블록(64)과 함께 연계 동작하여 가압력을 조정하는 실린더(65)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상측챔버(71)는 내부에 열매가 내장된 송풍팬(72)을 탑재하고 덕트(73)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노즐(74)로 원단(T)에 열풍을 공급하여 강제 송풍하는 열매노즐방식이고, 상기 하측챔버(76)는 내부에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78)을 장착하고 원단(T)에 복사열로 강제 송풍하는 적외선히터방식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하측챔버(76)는 프레임(88)에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81)(82)(83)(84)를 이용하여 원단을 이송하기위한 컨베이어(80)를 지지하되, 일단의 구동롤러(81)는 모터(85)에 컨베이어(80)로 연결되고, 중앙의 가변롤러(82)는 실린더(86)로 컨베이어(80)의 위치변동이 가능하고, 타단의 터닝롤러(83)는 실린더(87)로 컨베이어(80)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카렌더(90)는 미세한 열조정이 가능하도록 열매유(95)가 봉입되는 히팅롤(91)과, 상기 히팅롤(91)에 대응하게 설치되며 실린더(96)에 의해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실리콘롤(92)을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엠보싱기(100)는 히터(105)가 내장되고 핸들(106)과 실린더(107)에 의해 교체 및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엠보싱롤(101)과, 상기 엠보싱롤(101)과 대응하게 설치되는 실리콘롤(102)을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의 전체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원단(T)의 니플(Ripple Printing), 포일(Foil Printing), 본딩(Bonding), 듀드롭(Dew Drop), 수지코팅(Roller Printing), 엠보싱(Embossing), 라미네이팅(Laminating)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통칭하는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가공기에 관련되며, 공급기(10A)(10B)(10C), 그라비아 인쇄기(20), 프린터기(30), 본딩/듀드롭 가
공기(40)(50), 건조기(70), 카렌더(90), 엠보싱기(100), 권취기(110A)(110B)(110C), 제어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의 주요
구성품이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공기(1)는 상기 원단(T), 필름(F)이 롤 형태로 개재되는 공급롤(11)을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일정하게 풀려지게 공급하는 공급기(10A)(10B)(10C), 상기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21)(22)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롤러(22)의 하단에 염료를 수용하는 용기(25)와 함께 나이프(28)를 구비하는 그라비아 인쇄기(2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프레스 볼(31)과 날염롤(32A)(32B)(32C)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프레스 볼(31)상에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며 염료를 회수하는 맹글롤(37)과 닥터(38)(39)를 구비하는 프린터기(30),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41,51)(42,52)사이로 통과하여 수지를 도포와 원단을 접착하고 롤러
(41,51)상에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60)을 구비하는 본딩/듀드롭가공기(40)(5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상하로 구분되는 챔버(71)(76)를 통과하며 표면을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 건조하는 건조기(7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91)(92)사이로 통과하며 디자인된 인쇄물을 고온 압착하여 융착하는 카렌더(90), 상기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101)(102)사이로 통과하며 표면에 평면이나 요철형상의 무늬를 각인하는 엠보싱기(100),상기 원단(T), 필름(F)이 이송 상태에서 모터(111)의 구동력으로 유도롤러(112)를 통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114)와 롤형태로 권취하는 와인더(115)를 구비하는 권취기(110A)(110B)(110C), 상기 원단(T), 필름(F)을 각 주요장치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컨스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패널을 포함한다.
이에 따른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은 후술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어패널은 원단(T), 필름(F)을 각 주요장치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위한 시컨스 작동을 수행한다. 제어패널(도시하지 않음)은 각 주요장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면서 설정된 시컨스에 따라 동
작을 제어하고 가공기(1)의 본체 일측 부근에 설치한다. 주요장치는 전술한 공급기(10A)(10B)(10C), 그라비아 인쇄기(20), 프린터기(30),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 건조기(70), 카렌더(90), 엠보싱기(100),권취기(110A)(110B)(110C)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어패널은 릴레이를 이용한 시컨스회로 그리고/또는 컴퓨터 회로를 구비하며, 입출력포트에서 각 모터, 실린더, 센서 등과 연결되어 제어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주요장치를 단계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전원을 단속하는 온오프(on/off)키, 후가공기를 개시하는 스타트키, 후가공기를 즉시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키,건조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키 등 여러 가지 제어키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급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공급기(10A)(10B)(10C)는 상기 원단(T), 필름(F)이 롤 형태로 개재되는 공급롤(11)을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일정하게 풀려지게 공급한다. 공급기(10A)(10B)(10C)는 도시된 것처럼 공급롤(11)상에 원단(T)이
나 필름(F)이 개재되고, 유도롤러(12)에 의해 유도되어 공급된다.
공급기(10A)(10B)(10C)는 모터에 의해 원단(T), 필름(F)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하류단에 위치하는 주요장치, 즉 그라비아 인쇄기(20), 프린터기(30),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공급된다.
공급롤(11)은 도면을 통하여 도시된 측면도처럼 원단(T)이나 필름(F)이 롤 형태로 개재되는 바, 이에 따라 공급롤(11)은 롤 형태의 원단(T)이나 필름(F)이 개재가 가능하도록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공급롤(11)은 일단에 파워브레이크
(13, power brake)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데, 이는 공급롤(11)과 파워브레이크(13)상에 기어트레인(14)이 설치되어 회전, 정지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도롤러(12)는 공급롤(11)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원단(T)이나 필름(F)의 텐션력을 감지하는 텐션센서(15)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원단(T)이나 필름(F)이 공급할 때 텐션력을 감지하여 제어패널(미도시)상으로 신호를 보내 주요장치의 모터 회전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린터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그라비아 인쇄기(20)는 상기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21)(22)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롤러(22)의 하단에 염료를 수용하는 용기(25)와 함께 나이프(28)를 구비한다.
그라비아 인쇄기(20)는 도 1에서 공급기(10A)로부터 필름(F) 또는 포일이 공급되어 각각의 롤러(21)(22)에 의해 맞물고 이송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는 바, 롤러(21)(22)중 메시롤러(21)에 의해 다양한 무늬의 표현이 가능하다. 메시롤러(21)는 하단에 염료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25)가 설치되어 실린더(26)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고, 일측의 나이프(28)에 의해 메시롤러(21)의 표면에 도포되는 염료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일단의 구동용 메시롤러(21)는 모터(24)에 기어로 연결되는 동시에 피동용 실리콘롤러(22)와는 서로 치합되면서 실린더(23)로 위치변동이 가능하다. 한 쌍의 롤러(21,22)중 일측은 문양을 지닌 형식을, 타측은 평탄한 형식을 사용하지만, 필요
에 따라 상호 다른 조합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24)는 프레임상에서 간섭을 피하도록 별도의 박스를 세워 장착하되, 메시롤러(21)의 중심축을 연장하여 기어를 장착하고 모터(24)의 회전축과 기어로 연결한다.
실린더(23)는 프레임의 측면에서 메시롤러(21)와 실리콘롤러(22)의 거리를 가변하도록 설치되어 실리콘롤러(22)의 간격을 변동하여 문양의 깊이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상단의 실린더(23)에 설치된 핸들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 필름(F) 또는 포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연속적으로 적절한 무늬를 각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본 고안의 프린터기(30)는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프레스 볼(31)과 날염롤(32A)(32B)(32C)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프레스 볼(31)상에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며 염료를 회수하는 맹글롤
(37)과 닥터(38)(39)를 구비한다. 프린터기(30)는 도 1에서 그라비아 인쇄기(20)와 공급기(10B)로부터 필름(F) 또는 포일 및 원단(T)이 공급되어 각각의 날염롤(32A)(32B)(32C)과 프레스 볼(31)에 의해 서로 맞물고 이송하면서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한다.
날염롤(32A)(32B)(32C)은 프레스 볼(31)의 외주면상에 실린더(36)에 의해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고, 레이저로 에칭을하여 3도 효과를 내는 프랑게트 방식을 채택하여 기존 수지코팅에서 수행할 수 없었던 미세한 Printing과 해도사 작업이
가능하다.
날염롤(32A)(32B)(32C)에 각각 배치되는 실린더(36)는 프레스 볼(31)과 날염롤(32A)(32B)(32C)의 간격을 변동하여 디자인의 깊이를 조절한다.
날염롤(32A)(32B)(32C)은 프레스 볼(31)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염료를 도포하게 되는 바, 이는 도포롤(33)이 접하여 회전시키는 동시에 염료를 저장하는 용기(35)로부터 적정 깊이로 수용되어 염료를 날염롤(32A)(32B)(32C)로 공급한다. 이때, 용기(35)는 핸들(34)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는 동시에 도포롤(33)도 이와 함께연동한다.
또한, 프린터기(30)는 프레스 볼(31)의 외주면에 맹글롤(37)이 설치되는 바, 이는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여 압입 깊이가 조절되고, 프레스 볼(31)상에 잔여한 염료를 회수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날염롤(32A)(32B)(32C)은 필름(F), 포일 및 원단(T)등에 염료 등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기 위해 닥터(38)(39)가 설치된다.
닥터(38)(39)중에서 클리닝 닥터(38, Cleaning doctor)는 날염롤(32A)(32B)(32C)에 염료를 채워 넣고 넘쳐 나온 염료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린트 닥터(39, Lint doctor)는 날염한 원단(T), 필름(F), 포일에서 나오는 이물질과 선두 날염롤러에 의해 날염되어 마르지 않은 염료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클리닝 닥터(38)는 날염롤러(32A)(32B)의 회전방향으로 칼끝을 닿게 하고, 역으로 린트 닥터(39)는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칼끝이 붙도록 장착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본딩/듀드롭 가공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서 본 고안의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는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41,51)(42,52)사이로 통과하여 수지를 도포와 원단을 접착하고, 롤러(42,52)상에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60)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기(40)와 듀드롭 가공기(50)를 프레임상에 일체로 구비되는 바, 본딩기(40)는 공급기(10C)로부터 공급되는 원단(T) 이 각각의 롤러(41)(42)에 의해 맞물고 이송하고, 듀드롭 가공기(50)도 마찬가지로 공급기(10C)로부터 공급되는 원단(T)이 각각의 롤러(51)(52)에 의해 맞물고 이송하면서 각각의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는 프레임의 상단에 공급기(10A)(10B)(10C)와 마찬가지로 원단(T)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롤(11)이 설치되는 바, 이는 롤 형태의 원단(T)이 개재가 가능하도록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듀드롭 가공기(50)에서 한 쌍의 롤러(51)(52)중 하부롤(52)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교체하게 되는 바, 즉 라미네이팅 가공을 시행할 경우에는 라미네이팅 롤로 교체하고, 듀드롭 가공을 시행할 경우에는 듀드롭 롤로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하부롤(52)은 하단에 수지 내지 염료를 공급하기 위해 수용되는 용기(53)가 설치되고, 제어패널에 의해 제어되는 실린더(54)를 통하여 높낮이가 조절된다.
일단의 구동용 하부롤(42)(52)은 모터(45)(55)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피동용 상부롤(41)(51)과는 서로 치합되어 회동되면서 실린더(65)로 위치 변동되는 바, 각각의 가공기(40)(50)는 한 쌍의 롤러 중 상부롤(41,51)은 프린터롤러를 사
용하고 하부롤(42,52)은 실리콘롤러를 사용한다. 모터(45)(55)는 프레임상에서 간섭을 피하도록 별도의 브라켓을 세워 장착하되, 하부롤(42)(52)의 중심축을 연장하여 스프라킷을 장착하고 모터(45)(55)의 회전축과 체인으로 연결된다.
실린더(65)는 프레임의 측면에서 한 쌍의 롤러(41,42)(51,52)의 거리를 가변하도록 설치되어 하부롤(42)(52)의 간격을 변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함께 조절수단(60)을 통하여 롤러(41,42)(51,52)사이의 캡(GAP)을 조정하는 바, 이에 따
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원단(T)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본딩(Bonding) 및 듀드롭(Dew Drop)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원단(T)이 이송 상태에서 롤러(41,42)(51,52)사이로 통과하여 수지를 도포와 원단을 접착할 수가 있
다.
또한, 각각의 가공기(40)(50)는 롤러(41,42)(51,52)사이의 캡(GAP)을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60)이 장착된다. 도 5의 확대도에서 조절수단(60)은 상하부롤(41,51)(42,52)의 사이에 개재되는 바, 핸들(61), 테이퍼블록(63), 컨트롤블록(64)을 구비한다.
핸들(61)은 나선축(62)의 전면에 설치되고, 테이퍼블록(63)은 핸들(61)과 연동하도록 나선축(62)에 수용된다.
컨트롤블록(64)은 테이퍼블록(63)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부롤(41,51)을 상하 운동시키는 동시에 상부롤(41,51)의 상면에 설치되어 연계 동작하여 가압력을 조정하는 실린더(65)가 장착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기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건조기(70)는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상하로 구분되는 챔버(71)(76)를 통과하며 표면을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 건조한다.
건조기(70)는 도시된 것처럼 중앙의 프레임을 기준하여 상하로 구분되는 2중 챔버(71)(76)를 구비하되, 원단(T)이나 필름(F)을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표면을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측챔버(71)는 수지코팅(Roller Printing, 우레탄, 아크릴), 포일(Foil Printing)을 수행하고, 하측챔버(76)는 듀드롭(Dew Drop/Dot), 요철효과가공(Ripple Printing), 엠보싱(Embossing), 라미네이팅(Laminating), 본딩(Bonding)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상측챔버(71)는 내부에 열매가 내장된 송풍팬(72)을 탑재하고 덕트(73)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노즐(74)로 원단(T)에 열풍을 공급하여 강제 송풍하는 열매노즐방식이다. 상측챔버(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70)의 내부에 탑재되는 바, 일측의 상부에는 열매가 내장된 송풍팬(72)이 설치되고, 타측의 상부에도 마찬가지로 열매가 내장된 송풍팬(72)이 설치된다.
즉 상측챔버(71)는 열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편차는 ±2℃정도내이다. 이러한 송풍팬(72)은 덕트(73)를 이용하여 다수의 노즐(74)로 열풍을 공급한다.
상측챔버(71)는 원단(T)이나 필름(F)을 이송하는 다수의 롤이 구비되고, 이는 피동용롤러이다.
이에 따라 열매에 의해 가열된 고온공기가 송풍팬(72)에 의해 순환되면서 덕트(73)를 통하여 다수의 노즐(74)로 분사되어 롤상으로 이동되는 원단(T)이나 필름(F)상에 인쇄 후 표면에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건조시킨다.
이때, 미설명된 도면부호 75는 건조실(70)의 외부에 탑재되어 내부공기를 강제적으로 배기하는 배기팬(exhaust fan)을 나타낸다.
따라서,상측챔버(71)는 열원으로 열매를 사용하여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다수의 노즐(74)상에 개별적으로 차단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여 제품에 따라 열풍을 조절 분사할 수 있어 양질에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측챔버(76)는 내부에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78)을 장착하고 원단(T)에 복사열로 강제 송풍하는 적외선 히터방식이다.
하측챔버(76)는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상측챔버(71)와는 달리 상부에는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78)을 설치된다.
이는, 하측챔버(76)는 적외선히터(77)를 사용하고 반사판(78)에 의해 복사열이 직접적으로 제품을 가온하는 바,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78)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조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승강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하측챔버(76)는 적외선히터(77)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편차는 ±2℃내외이고, 온도 20∼300℃로 조절이 가능하다.
하측챔버(76)는 원단(T)이나 필름(F)을 이송하는 다수의 롤이 구비되며 그 중 하나를 모터(85)로 구동하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하측챔버(76)는 적외선히터(77)에 의해 가열된 복사열이 반사판(78)에 의해 반사효과가 극대화되어 롤상으로 이동되는 원단(T)이나 필름(F)상에 인쇄 후 표면에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건조시킨다. 그리고, 복사열 직열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단(T)에 우레탄, 아크릴 등의 고착이 우수하고 니플가공에도 순간 열전도가 가능하여 색상 선명도나 정밀성등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6의 확대도에서 하측챔버(76)는 프레임(88)에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81)(82)(83)(84)를 이용하여 원단을 이송하기위한 컨베이어(80)를 지지하되, 일단의 구동롤러(81)는 모터(85)에 컨베이어(80)로 연결되고, 중앙의 가변롤러(82)는 실린더(86)로 컨베이어(80)의 위치변동이 가능하고, 타단의 터닝롤러(83)는 실린더(87)로 컨베이어(80)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다.
하측챔버(76)는 프레임(88)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81)(82)(83)(84)를 이용하여 컨베이어(80)를 지지한다. 이때, 컨베이어(80)는 테프론 글라스망을 사용한다.
프레임(88)의 양단에 설치되는 롤러(81)(83)는 단순한 원통형이고, 롤러
(82)(84)는 양단의 롤러(81)(83)보다 작은 직경의 롤러이며 컨베이어(80)의 일면에 접하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이때, 일단의 구동롤러(81)는 모터(85)에 벨트로 연결되고 중앙의 가변롤러(82)와 타단의 터닝롤러(83)는 실린더(86)(87)로 위치변동이 가능하다.
모터(85)는 하측챔버(76)상에서 컨베이어(80)와 간섭을 피하도록 장착된다. 구동롤러(81)의 중심축을 연장하여 풀리를 장착하고 모터(85)의 회전축과 벨트로 연결된다. 실린더(86)(87)는 제어패널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하는 바, 프레임(88)상에서 가변롤러(82)의 회전하여 롤러상에서 컨베이어(80)의 위치를 가변하도록 설치되고, 프레임(88)의 측면에서 터닝롤러(83)의 거리를 가변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80)의 장력조절 또는 교체작업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렌더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엠보싱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에서 본 고안의 카렌더(90)는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91)(92)사이로 통과하며 디자인된 인쇄물을 고온 압착하여 융착한다.
카렌더(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열조정이 가능하도록 열매유(95)가 봉입되는 히팅롤(91)과, 상기 히팅롤(91)에 대응하게 설치되며 실린더(96)에 의해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실리콘롤(92)을 구비한다.
카렌더(90, Calender)는 포일(Foil(Smog Foil) Process), 듀드롭(Dew Drop) 등의 작업에서 필름(F) 또는 포일에 디자인된 인쇄물을 롤러(91)(92)에 의해 원단(T)에 고온 압착시키는 바, 롤러(91)(92)중 열매유(95)가 봉입된 히팅롤(91)에 의해 가능하다.
히팅롤(91)은 열매유(95)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어패널(미도시)에 의해 미세한 열조정이 가능하고, 약 200℃까지 온도 조정이 가능하다. 실리콘롤(92)은 기존의 하부롤을 표면이 단단한 재질인 Paper Roll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고압이 작용할
경우 Design의 형상이 눌려 변화되는 단점이 있는 것에 반해, 표면이 무른 실리콘롤러(92)를 사용하여 강한 힘이 작용하더 라도 Design의 형상이 변화되지 않게 된다.
일단의 구동용 히팅롤(91)은 모터(미도시)에 벨트로 연결되는 동시에 피동용 실리콘롤(92)과는 기어(93)로 서로 치합되어 회동되는 바, 히팅롤(91)의 중심축을 연장하여 풀리를 장착하고, 모터의 회전축과 벨트로 연결한다.
또한 실리콘롤(92)은 하단에 실린더(96)를 이용하여 압력조정이 가능하여 염료에 따른 미세조정을 통한 가공원단의 품질이 향상된다.
실린더(96)는 프레임의 측면에서 히팅롤(91)과 실리콘롤(92)의 거리를 가변하도록 설치되어 실리콘롤러(92)의 간격을 변동하여 압력을 조절하고, 제어패널(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도 8에서 본 고안의 엠보싱기(100)는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101)(102)사이로 통과하며 표면에 평면이나 요철형상의 무늬를 각인한다. 엠보싱기(100)는 도시된 것처럼 히터(105)가 내장되고 핸들(106)과 실린더(107)에 의해 교체 및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엠보싱롤(101)과, 상기 엠보싱롤(101)과 대응하게 설치되는 실리콘롤(102)을 더 구비한다.
엠보싱기(100)는 롤러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평면 혹은 요철모양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롤러(22)(32)가 원단(10)을 맞물고 이송하면서 원단에 요철효과 가공을 시행한다.
엠보싱롤(101)은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가공하는 바, 롤러(101)(102)중 엠보싱롤(101)에 의해 가능하다. 이때, 엠보싱기(100)는 다양한 무늬를 가공하기 위해 롤러(101)(102)를 빈번하게 교체하게 되는 바, 교체시 간단히 실린더(107)에 의해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다양한 원단작업을 실시된다.
구동용 실리콘롤(102)은 모터(103)와 벨트로 연결되는 동시에 피동용 엠보싱롤(101)과는 기어(104)로 치합된다. 엠보싱기(100)는 한 쌍의 롤러(101)(102)중 일측은 평탄한 형식을, 타측은 문양을 지닌 형식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호
다른 조합으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엠보싱기(100)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핸들(106)은 엠보싱롤(101)의 간격을 변동하여 문양의 깊이를 조절하는 용도이다.
이에 따라 원단(T)의 일면 또는 양면에 연속적으로 적절한 표면조도의 문양을 각인할 수 있다. 더불어 엠보싱기(100)는 각종 foil print, roller printing, coating을 실시한 원단과 혼합해서 다목적, 다기능성의 원단 제작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의 와인더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권취기(110A)(110B)(110C)는 상기 원단(T), 필름(F)이 이송 상태에서 모터(111)의 구동력으로 유도롤러(112)를 통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114)와 롤 형태로 권취하는 와인더(115)(115')를 구비한다.
권취기(11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기(70)를 통과하여 완료된 원단(T)을 적재함에 차례 차례로 적재하는 폴딩부(114)로서, 구동롤러(113)는 모터(111)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폴딩부(114)에 링크결합으로 왕복시키는 크랭크휠과 체인으로 연결된다.
도 9에서 권취기(110B)(110C)는 각각의 원단(T)과 필름(F)들이 동시에 롤 형태로 적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 즉 각각의 와인더(115)(115')에 원단(T)과 필름(F)이 개별적으로 각각 권취되어 적재되고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권취기(110B)(110C)에서 일단에 와인더(115)는 하단에 위치한 한 쌍의 롤러(116)에 의해 원단(T)이나 필름(F)이 롤 형태로 권취된다.
일측의 구동롤러(116)는 파워브레이크와 연결되는 동시에 모터(117)에 체인으로 연결된다. 또한, 타단에 와인더(115')는 모터(118)에 직접 연결되어 회동하여 원단(T)이나 필름(F)이 롤 형태로 권취한다. 이때, 권취기(110B)(110C)는 하단
에 양측으로 로드(119a)상에 장착되어 실린더(119)의 작동으로 유동되고 제어패널(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아울러, 권취기(110B)는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원단(T)과 필름(F)을 적재하여 권취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원단(T)이나 필름(F)을 공급하는 공급기의 역할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0a는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를 통하여 포일(Foil/Smog Foil Printing), 3도 수지코팅(3-Color Roller Printing) 가공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를 통하여 듀드롭(Dew Drop/Dot), 라미네이팅(Laminating), 본딩(Bonding), 니플(Ripple Printing), 엠보싱(Embossing) 가공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원단(T)에 니플(Ripple Printing), 포일(Foil Printing), 본딩(Bonding), 듀드롭(Dew Drop), 수지코팅(Roller Printing), 엠보싱(Embossing), 라미네이팅(Laminating)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 등의 다양한 후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패널(미도시)을 통하여 세팅한다.
즉, 제어패널을 조작하여 각각의 공급기(10A)(10B)(10C)에 원단롤 이나 필름(포일)롤을 개재하고, 인쇄기(20)의 용기(25)와 프린터기(30)의 용기(35)에 각종 염료나 안료, 수지염료(바인더)를 충진하고, 듀드롭 가공기(50)의 하부롤(52)에
필요한 롤러로 교체하고, 건조기(70)를 설정온도를 세팅하고, 카렌더(90)와 엠보싱기(100)의 롤러 압입력을 조절하고, 가공된 원단(T)이나 필름(포일)(F)이 각각 권취기(110A)(110B)(110C)를 통하여 수레에 차곡차곡 적재되거나 와인더(115)(115')에 권취되도록 세팅한다.
도 10a를 통하여, 원단(T)에 포일 가공할 경우에는 공급기(10A)에는 포일이나 필름(F)롤을 공급롤(11)상에 개재한 다음 유도롤러(12)를 통하여 공급함과 함께 공급과 권취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권취기(110B)를 통하여 원단(T)을 공급한다.
이때, 그라비아 인쇄기(20)중 처음 접하는 인쇄기의 용기(25)상에는 이형제를, 다른 2개의 인쇄기의 용기(25)상에는 염료나 안료를 충진되고, 프린터기(30)의 용기(35)에는 바인더가 충진된다.
이어서, 포일이나 필름(F)롤이 공급기(10A)를 통하여 공급되어 1번째 그라비아 인쇄기(20)의 롤러(21)(22)사이로 통과하여 포일이나 필름(F)에 이형제가 도포되고, 후속 2,3번째 그라비아 인쇄기(20)의 롤러(21)(22)사이를 통과하여 디자인
이 인쇄된다. 이어서, 프린터기(30)의 날염롤(32A)을 통과하여 바인더가 도포되는 동시에 또 다른 날염롤(32B)(32C)은 실린더(36)의 작동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양한 무늬가 인쇄된 포일이나 필름(F)상에 이형제와 바인더가 도포된 상태에서 건조기(70)의 상측챔버(71)를 통과하는데, 열매에 의해 가열된 고온공기가 송풍팬(72)에 의해 순환되면서 덕트(73)를 통하여 다수의 노즐(74)로 분사되
어 롤상으로 이동되는 포일이나 필름(F)상에 표면에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 건조시킨다.
이어서, 건조기(70)를 거친 포일이나 필름(F)이 카렌더(90)의 롤러(91)(92)사이로 공급되는 동시에 권취기(110B)에서 원단(T)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필름(F) 또는 포일에 디자인된 인쇄물이 카렌더(90)의 롤러(91)(92)에 의해 원단(T)에 고온 압착되는 바, 롤러(91)(92)중 열매유(95)가 봉입된 히팅롤(91)에 의해 원단(T)상에 포일이나 필름(F)지에 인쇄된 디자인이 융착된다.
이어서, 디자인이 융착된 원단(T)은 권취기(110C)의 와인더(115')에 권취되고, 포일이나 필름(F)은 와인더(115)에 권취된다.
아울러, 디자인된 포일이나 필름(F)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라비아 인쇄기(20)를 거친 과정을 생략한 상태에서 공급기(10B)상에 포일이나 필름(F)을 개재하고, 프린터기(30)는 날염롤(32A)(32B)만을 사용하여 이형제와 바인더를 도포하고, 이후에는 상기의 공정을 각각 수행한다.
또한, 원단(T)에 3도 이상 수지코팅 가공할 경우에는 공급기(10B)상에 원단(T)을 개재하고, 프린터기(30)는 날염롤(32A)(32B)(32C)을 사용하여 염료를 도포하고, 건조기(70)의 상측챔버(71)를 통과하는데, 열매에 의해 가열된 고온공기
가 송풍팬(72)에 의해 순환되면서 덕트(73)를 통하여 다수의 노즐(74)로 분사되어 롤상으로 이동되는 원단(T)의 표면에 미세 건조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 건조시킨다. 이후에 가공된 원단(T)이 각각 권취기(110A)(110B)(110C)를 통하여 수레에 차곡차곡 적재되거나 와인더(115)(115')에 권취된다.
도 10b를 통하여, 원단(T)에 니플 가공시에는 원단에 요철효과, 즉 구김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공급기(10C)에는 고신축 원단(T)이 공급되고 본딩/듀드롭가공기(40,50)의 공급롤(11)에는 일반 원단(T)이 공급된다.
이어서, 원단(T)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듀드롭가공기(50)의 롤러(51)(52)에 의해 수지가 도포되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형성되고, 본딩가공기(40)의 롤러(41)(42)에 의해 두 개의 원단(T)이 서로 접착된다.
그리고 건조기(70)의 하측챔버(76)를 통과하는바,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78)에 의해 컨베이어(80)를 타고 이송되는 원단중에서 고신축 원단의 표면을 가열되어 수축된다.
이어서, 카렌더(90)를 롤러(91)(92)에 의해 압착시키고 디자인이 융착된 상품 원단(T)은 권취기(110C)의 와인더(115')에 권취되고, 고신축 원단은 와인더(115)에 각각 권취되어 다양한 형상의 구김효과를 준 원단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단(T)에 라미네이팅 내지 본딩 가공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0C)에는 원단(T)이 공급되고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의 공급롤(11)에는 가공 원단(T)이 공급된다. 이어서, 원단(T)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듀드롭가공기(50)의 롤러(51)(52)를 통과하는 바, 수지가 도포되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형성되고, 본딩가공기(40)의 롤러(41)(42)에 의해 두 개의 원단(T)이 서로 접착된다.
이때 롤러(52)는 가공상태에 따라 교체해야하는데 즉, 라미네이팅가공을 할 경우에는 라미네이팅을 수행할 수 있는 롤러로 교체하면 된다.
이어서, 건조기(70)의 하측챔버(76)를 통과하는바,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78)에 의해 컨베이어(80)를 타고 이송되는 원단의 표면을 가열한다.
이어서, 카렌더(90)를 롤러(91)(92)에 의해 2개의 원단이 서로 압착된 상태로
권취기(110C)의 와인더(115')에 권취되어 전혀 새로운 특성을 지닌 원단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단에 듀드롭 내지 도트 가공시에는 도시된 것처럼 공급기(10C)에는 원단(T)이 공급되고 원단(T)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듀드롭가공기(50)의 롤러(51)(52)를 통과하여 수지가 도포되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형성되는 바, 이때 롤러(52)는 가공상태에 따라 교체해야하는데 즉, 듀드롭가공을 할 경우에는 듀드롭을 수행할 수 있는 롤러로 교체한다.
이어서, 건조기(70)의 하측챔버(76)를 통과하는바,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78)에 의해 컨베이어(80)를 타고 이송되는 원단의 표면을 가열한다.
이어서, 카렌더(90)를 롤러(91)(92)에 의해 압착시켜 다양한 디자인이 형성된 수지가 원단(T)에 융착되고, 권취기(110C)의 와인더(115')에 권취되어 전혀 새로운 특성을 지닌 원단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양한 색상 연출을 수행할 경우에는 권취기(110B)를 통하여 칼라 필름(F)을 공급하여 카렌더(90)를 롤러(91)(92)상으로 공급하면 열매유(95)가 봉입된 히팅롤(91)에 의해 원단(T)상에 다양한 색상을 지닌 필름(F)이 원단(T)상에 융착된다.
이어서, 다양한 색상을 지닌 원단(T)은 권취기(110C)의 와인더(115')에 권취되고, 필름(F)은 와인더(115)에 권취되어 듀드롭 내지 도트가 형성되면서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된 원단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가공을 수행하는 중에 엠보싱가공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가공하는 과정에서 엠보싱기(100)의 롤러(101)(102) 사이로 통과시키는 형성되는 바, 이때, 롤러(101)(102)는 다양한 무늬를 가공하기 위해 조합시켜 교체
하면 원단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평면 혹은 요철모양으로 가공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1)는 원단 염색 후 시행되던 여러 복합 후가공, 즉 포일, 수지코팅, 니플, 엠보, 듀드롭, 본딩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완전 자동화로 양산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따라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설비와 생산인원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의 다기능 원단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단 염색 후 시행되던 여러 복합 후가공, 즉 포일, 수지코팅, 니플, 엠보, 듀드롭,본딩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완전 자동화로 양산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따라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설비와 생산인원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의 다기능 원단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의 전체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급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그라비아 인쇄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린터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본딩/듀드롭 가공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기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카렌더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엠보싱기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의 와인더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본 고안은 원단의 복합 후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 염색 후 시행되던 여러 복합 후가공, 즉 포일, 수지코팅, 니플, 엠보, 듀드롭, 본딩 등과 같은 특수날염과 각종 코팅, 본딩기술을 하나의 통합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완전 자동화로 양산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따라 콤팩트한 구조로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공설비와 생산인원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고부가가치의 다기능 원단 생산이 가능한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1: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10A,10B,10C: 공급기
20: 그라비아 인쇄기 30: 프린터기
40,50: 본딩/듀드롭 가공기 60: 조절수단
70: 건조기 80: 컨베이어
90: 카렌더 100: 엠보싱기
110A,110B,110C: 권취기 T: 원단

Claims (7)

  1. 원단(T)의 니플, 포일, 본딩, 듀드롭, 수지코팅, 엠보싱, 라미네이팅 등의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T), 필름(F)이 롤 형태로 개재되는 공급롤(11)을 구비하고, 유도롤러(12)를 통하여 일정하게 풀려지게 공급하는 공급기(10A)(10B)(10C);
    상기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21)(22)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롤러(22)의 하단에 염료를 수용하는 용기(25)와 함께 나이프(28)를 구비하는 그라비아 인쇄기(2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프레스 볼(31)과 날염롤(32A)(32B)(32C)사이로 통과하여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을 인쇄하고, 프레스 볼(31)상에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며 염료를 회수하는 맹글롤(37)과 닥터(38)(39)를 구비하는 프린터기(30);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41,51)(42,52)사이로 통과하여 수지를 도포와 원단을 접착하고, 롤러(41,51)상에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60)을 구비하는 본딩/듀드롭 가공기(40)(5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상하로 구분되는 챔버(71)(76)를 통과하며 표면을 가온하여 염료를 급속히 염착건조하는 건조기(70);
    상기 원단(T), 필름(F)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91)(92)사이로 통과하며 디자인된 인쇄물을 고온 압착하여 융착하는 카렌더(90);
    상기 원단(T)을 이송 상태에서 롤러(101)(102)사이로 통과하며 표면에 평면이나 요철형상의 무늬를 각인하는 엠보싱기(100);
    상기 원단(T), 필름(F)이 이송 상태에서 모터(111)의 구동력으로 유도롤러(112)를 통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114)와 롤 형태로 권취하는 와인더(115)(115')를 구비하는 권취기(110A)(110B)(110C); 및 상기 원단(T), 필름(F)을 각 주요장치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후가공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컨스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패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기(30)는 프레스 볼(31)의 외주면상에 실린더(36)에 의해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하고 레이저를 이용하여 조각으로 제작되는 날염롤(32A)(32B)(32C)과, 상기 날염롤(32A)(32B)(32C)에 인접하여 염료를 충진하여 도포하는 도포롤
    (33)과, 상기 도포롤(33)에 염료를 공급하며 핸들(34)에 의해 연동하는 용기(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60)은 상하부롤(41,51)(42,52)의 사이에 개재되어 핸들(61)과 연동하도록 나선축(62)에 수용되는 테이퍼블록(63)과, 상기 테이퍼블록(63)상에 안착된 상태로 상부롤(41,51)을 상하 운동하는 컨트롤블록(64)과, 상부롤(41,51)의
    상면에 설치되어 컨트롤블록(64)과 함께 연계 동작하여 가압력을 조정하는실린더(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챔버(71)는 내부에 열매가 내장된 송풍팬(72)을 탑재하고 덕트(73)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노즐(74)로 원단(T)에 열풍을 공급하여 강제 송풍하는 열매노즐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측챔버(76)는 내부에 적외선히터(77)와 반사판
    (78)을 장착하고 원단(T)에 복사열로 강제 송풍하는 적외선히터방식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다기능 복합후가공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챔버(76)는 프레임(88)에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81)(82)(83)(84)를 이용하여 원단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80)를 지지하되, 일단의 구동롤러(81)는 모터(85)에 컨베이어(80)로 연결되고, 중앙의 가변롤러(82)는 실린더(86)로 컨
    베이어(80)의 위치변동이 가능하고, 타단의 터닝롤러(83)는 실린더(87)로 컨베이어(80)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렌더(90)는 미세한 열조정이 가능하도록 열매유(95)가 봉입되는 히팅롤(91)과, 상기 히팅롤(91)에 대응하게 설치되며 실린더(96)에 의해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실리콘롤(9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기(100)는 히터(105)가 내장되고 핸들(106)과 실린더(107)에 의해 교체 및 압입 깊이 조절이 가능한 엠보싱롤(101)과, 상기 엠보싱롤(101)과 대응하게 설치되는 실리콘롤(10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KR1020210007412A 2021-01-19 2021-01-19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KR20220104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12A KR20220104962A (ko) 2021-01-19 2021-01-19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12A KR20220104962A (ko) 2021-01-19 2021-01-19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62A true KR20220104962A (ko) 2022-07-26

Family

ID=8260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412A KR20220104962A (ko) 2021-01-19 2021-01-19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49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051Y1 (ko)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CN1219652C (zh) 数字式印花用喷墨印刷机
CN205112630U (zh) 一种转印和直印两用印花设备
CN105058968A (zh) 一种转印和直印两用印花设备
CN206326989U (zh) 一种多功能压花机及其制作的面料
CN105150673A (zh) 印转联合一体转移印花设备
WO2020103850A1 (zh) 一种塑胶地板立体纹路的成型方法
CN105128550A (zh) 一种软质pvc印花薄膜的生产工艺和压花装置
CN208216263U (zh) 智能全程吸附高清印刷模切机
WO2018133257A1 (zh) 印花部套装置
KR20220104962A (ko) 다기능 원단 복합 후가공기
CN205112632U (zh) 印转联合一体转移印花设备
KR200405010Y1 (ko) 2회 가압 무늬 성형기
TWI627070B (zh) 無紙化轉移印花機
CN206085954U (zh) 一次性压纹成型印刷设备
WO2018052999A1 (en) Multiple belt and multiple zone textile dryer
CN108556479B (zh) 防原膜拉伸受热变形的印刷装置
WO2018133255A1 (zh) 转移染色设备
CN201338411Y (zh) 具有胶印效果的瓦楞纸板水性印刷开槽模切机
CN205890246U (zh) 一种织物整理辊筒
CN205688094U (zh) 一种圆网印花整经机组
CN102615933A (zh) 薄膜高速柔版印刷机
CN110920235A (zh) 一种纺织品压印转移机
CN208714668U (zh) 薄膜压纹印刷一体机
CN109466167A (zh) 一种高效拔染印花设备及印花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