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688B1 - 그리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그리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688B1
KR102051688B1 KR1020147027505A KR20147027505A KR102051688B1 KR 102051688 B1 KR102051688 B1 KR 102051688B1 KR 1020147027505 A KR1020147027505 A KR 1020147027505A KR 20147027505 A KR20147027505 A KR 20147027505A KR 102051688 B1 KR102051688 B1 KR 10205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composition
compound
base oil
diurea
slid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350A (ko
Inventor
유스케 아야메
가즈미 사카이
유지 시타라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9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6Mixtures of thickener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6Metal compounds
    • C10M2201/061Carbides; Hydrides; Nit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06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8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hav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 C10M2205/0285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containing aliphatic monomers hav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3/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3/06Perfluoro polymers
    • C10M2213/062Polytetrafluoroethylene [PTF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15/064Di- and triaryl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8Amides
    • C10M2215/0813Amides used as thick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10Amide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10M2215/102Ureas; Semicarbazides; Allophanates
    • C10M2215/1026Ureas; Semicarbazides; Allophanates used as thicke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2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10M2215/221Six-membered rings containing nitrogen and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2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10M2215/221Six-membered rings containing nitrogen and carbon only
    • C10M2215/22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1Cloud poi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17Specific gravity or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55Particles related characteristics
    • C10N2020/06Particles of special shape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2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4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 C10N2040/046Oil-bath; Gear-boxes; Automatic transmissions; Traction drives for traction dr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10Semi-solids; greas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70/00Specific manufacturing methods for lubricant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윤활성을 갖고, 특히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 내마모성의 저하가 적은 그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광유계 및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유, 아미드 화합물, 고체 윤활제 및 우레아계 증점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드 화합물을 상기 기유와 적어도 1회는 가열 용융시킨 그리스 조성물이다.

Description

그리스 조성물{GREASE COMPOSITION}
본 발명은 우레아계 증점제를 사용하는 그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스는, 주로 미끄럼 베어링이나 구름 베어링, 또는 접촉면이 움직이기 때문에 윤활제의 막을 부착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접동면(摺動面)에 사용되고, 이 중에서도 우레아계 증점제를 사용한, 소위 우레아계 그리스는 우수한 내수성, 기계적 안정성, 내열성을 갖기 때문에, 저속이지만, 고하중의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 예를 들어 자동차의 등속 조인트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등속 조인트용 그리스 조성물로서, 기유, 황화디알킬디티오카르밤산몰리브덴 등의 유기 몰리브덴 화합물, 이황화몰리브덴, 디티오인산아연 화합물 및 지방족 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그러나, 상기 그리스 조성물은 윤활성, 특히 내마모성의 점에서 불충분하고, 게다가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14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260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9288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높은 윤활성을 갖고, 특히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 내마모성의 저하가 적은 그리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그리스 중에 아미드 화합물 분말이 단순히 분산, 혼합된 상태와 비교하여, 아미드 화합물을 윤활유 기유의 존재 하에서 가열 용융시키면, 삼차원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아미드 화합물 중에 윤활유 기유가 보지(保持)된 상태가 되어, 현저하게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내마모성의 저하가 적은 그리스 조성물로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광유계 및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유, 아미드 화합물, 고체 윤활제 및 우레아계 증점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드 화합물을 상기 기유와 적어도 1회는 가열 용융시킨 것인 그리스 조성물.
(2) 광유계 및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는 40℃의 동점도가 1 내지 1000㎟/s인 상기 (1)에 기재된 그리스 조성물.
(3) 아미드 화합물이 탄소수 6 내지 24의 알킬기를 갖는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그리스 조성물.
(4) 고체 윤활제가 멜라민시아누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질화붕소 중 적어도 하나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그리스 조성물.
(5) 우레아계 증점제가 지방족 디우레아 화합물, 지환족 디우레아 화합물, 방향족 디우레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그리스 조성물.
(6)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그리스 조성물.
(7) 광유계 및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유, 아미드 화합물, 고체 윤활제 및 우레아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기유에, 적어도 상기 아미드 화합물을 함유시키고, 가열, 용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우수한 내수성, 기계적 안정성, 내열성을 갖고, 저속에서, 고하중의 금속끼리의 접동부에 있어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 내마모성이 저하되지 않는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윤활유 기유, 아미드 화합물, 고체 윤활제 및 우레아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윤활유 기유〕
본 발명의 윤활유 기유로서는 광유계 또는 합성계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지만, 40℃에서의 동점도가 1 내지 1000㎟/s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0㎟/s가 보다 바람직하다. 40℃에서의 동점도가 1 내지 1000㎟/s로부터 벗어나면, 원하는 점도를 갖는 그리스 조성물을 간편하게 제조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 윤활유 기유는 15℃에서의 밀도가 0.75 내지 0.95g/㎤인 것이 고체 윤활제의 분산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우수한 윤활성을 갖는 그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점도 지수가 90 이상, 특히 95 내지 250, 유동점이 -10℃ 이하, 특히 -15 내지 -70℃, 인화점이 150℃ 이상인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유계 윤활유 기유로서는, 원유를 상압 증류하거나, 또는 더 감압 증류하여 얻어지는 유출유(留出油)를 각종 정제 공정으로 정제한 윤활유 유분(留分)을 들 수 있다. 정제 공정은 수소화 정제, 용제 추출, 용제 탈왁스, 수소화 탈왁스, 황산 세정, 백토 처리 등이며, 이들을 적절한 순서로 조합하여 처리하여 본 발명의 기유를 얻을 수 있다. 상이한 원유 또는 유출유를 상이한 공정의 조합, 순서에 의해 얻어진, 성상이 상이한 복수의 정제유의 혼합물도 유용하다. 어느 방법에 의해서든, 얻어지는 기유의 성상이 상술한 물성을 만족시키도록 조정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합성계 윤활유 기유로서는, 가수분해 안정성이 우수한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α-올레핀, 폴리부텐이나 2종 이상의 각종 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α-올레핀이 입수성, 비용면, 점도 특성, 산화 안정성, 시스템 부재와의 적합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폴리-α-올레핀은 1-도데센이나 1-데센 등의 중합물이 비용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윤활유 기유는, 예시한 합성계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계와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합성계 윤활유 기유를 포함하여 복수의 윤활유 기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기유 혼합물이 상기 물성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면, 혼합 전의 개개의 기유가 이러한 물성의 범위를 벗어나 있어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개개의 합성유계 기유는 상기 물성을 반드시 충족시킬 필요는 없지만, 상기 물성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윤활유 기유의 함유량은, 그리스 조성물 전량 기준으로 50 내지 95질량%가 바람직하고, 60 내지 85질량%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윤활유 기유의 함유량이 50 내지 95질량%의 범위를 벗어나면 원하는 점도를 갖는 그리스 조성물을 간편하게 제조하기 어려워진다.
〔아미드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하는 아미드 화합물이란, 아미드기(-NH-CO-)를 1개 갖는 모노아미드, 2개 갖는 비스아미드, 3개 갖는 트리아미드 등인데, 비스아미드나 트리아미드가 비교적 소량으로도 접동부의 마찰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비스아미드는 디아민의 산 아미드일 수도 있고, 디산의 산 아미드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아미드 화합물은, 융점이 40 내지 18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70℃, 분자량이 242 내지 932, 특히 바람직하게는 298 내지 876의 것이다.
모노아미드, 비스아미드 및 트리아미드는 하기의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각각 표시된다.
Figure 112014093135741-pct00001
Figure 112014093135741-pct00002
Figure 112014093135741-pct00003
Figure 112014093135741-pct00004
상기 각 화학식에 있어서, R1, R2,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5 내지 25의 탄화수소기이고, 지방족 탄화수소기,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화학식 1의 경우에는 R2가 수소인 경우도 포함한다. A1, A2,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의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의 탄화수소기이고, M은 아미드기이다.
또한, 모노아미드의 경우, R2가 수소, 또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쇄상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아민의 산 아미드의 경우에는, A1이 탄소수 1 내지 4의 2가의 포화 쇄상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2 및 3에 있어서, R1, R2 또는 A1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는 일부의 수소가 수산기(-OH)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A1, A2 및 A3이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아미드 화합물을 지방족 아미드라고 하고, A1, A2 또는 A3 중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아미드 화합물을 방향족 아미드라고 하며, A1, A2 또는 A3 중 적어도 하나가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아미드 화합물을 비지방족 아미드라고 한다.
지방족 아미드의 경우, R1, R2, R3은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쇄상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아미드의 경우, R1, R2, R3은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쇄상 탄화수소기와 방향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드 화합물로서는 비지방족 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지방족 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디아민의 산아미드(화학식 3)의 경우에는, A1이 탄소수 1 내지 4의 2가의 포화 쇄상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아미드로서는, 구체적으로 라우르산아미드, 팔미트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베헨산아미드, 히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포화 지방산아미드,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등의 불포화 지방산아미드 및 스테아릴스테아르산아미드, 올레일올레산아미드, 올레일스테아르산아미드, 스테아릴올레산아미드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장쇄 지방산과 장쇄 아민에 의한 치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아민의 산 아미드로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이소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메틸렌비스라우르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히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산의 비스아미드로서는, 구체적으로 N,N'-비스스테아릴세바스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스아미드 중에서도, 화학식 2 및 화학식 3의 R1과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2 내지 20의 포화 쇄상 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 쇄상 탄화수소기의 아미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트리아미드는 다수 있지만, 본 발명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N-아실아미노산디아미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의 N-아실기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아실기 또는 방향족 아실기, 특히 카프로일기, 카프릴로일기,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스테아로일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아미노산으로서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미드기의 아민은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분지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족 아민, 특히 부틸아민, 옥틸아민, 라우릴아민, 이소스테아릴아민, 스테아릴아민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체적인 화합물로서 N-라우로일-L-글루탐산-α,γ-디-n-부틸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드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아미드의 함유량은, 그리스 조성물 전량 기준으로 0.1 내지 5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35질량%가 바람직하다.
〔고체 윤활제〕
고체 윤활제는 일반적으로 윤활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윤활성이 우수한 층상 화합물 또는 불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상 화합물로서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 질화붕소, 흑연, 운모, 불화흑연 등, 층상의 결정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다. 또한, 중금속이나 황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환경 오염 등의 관점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불소 수지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등이 적합하다.
이 고체 윤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입경의 것을 적절히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입경이 0.2 내지 50㎛, 특히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체 윤활제의 함유량은, 그리스 조성물의 전량 기준으로 0.1 내지 10질량%, 특히 0.2 내지 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아계 증점제〕
우레아계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모노아민 반응으로 얻어지는 디우레아 화합물이나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모노아민, 디아민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데칸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칸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또한 모노아민으로서는, 옥틸아민, 도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 아닐린, p-톨루이딘, 시클로헥실아민 등이 바람직하고, 또한 디아민으로서는, 에틸렌디아민, 프로판디아민, 부탄디아민, 헥산디아민, 옥탄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톨릴렌디아민, 크실렌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등이 바람직하다.
이 우레아계 증점제는 1종류일 수도 있고 복수의 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증점제의 함유량은 원하는 점도가 얻어지면 되고, 예를 들어 그리스 조성물의 전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질량%이다.
〔기타의 첨가제〕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윤활유나 그리스에 사용되고 있는, 예를 들어 청정제, 분산제, 마모 방지제, 점도 지수 향상제, 산화 방지제, 극압제, 방청제, 부식 방지제 등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일반적인 그리스의 제조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지만, 아미드 화합물을 혼합한 후에, 그의 융점 이상으로 한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미드 화합물과 윤활유 기유를 아미드 화합물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냉각시킨 후, 고체 윤활제와 증점제와 윤활유 기유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그리스와 물리적으로 혼합하는 방법일 수도 있고, 또한 우레아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모든 성분을 혼합한 후에, 아미드 화합물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냉각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아미드 화합물을 적어도 윤활유 기유의 존재 하에, 한번 아미드 화합물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삼차원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아미드 화합물 중에 액상 윤활 기유가 보지(保持)되어 반고체상의 겔이 되어 있지만, 미시적으로 액상 윤활 기유는 망상 구조 내를 자유롭게 여기저기 움직이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공질의 미세한 공극에 겔 상태의 윤활성을 갖는 조성물이 접촉할 경우, 모세관 현상에 의해 겔 중의 액상 윤활 기유가 겔로부터 미세한 공극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또는 반대로 액상 윤활 기유가 시스템에 여분으로 존재하고 있는 경우, 겔의 삼차원 구조가 모세관 현상이 되어, 겔 내에 이들 여분의 액상 윤활유 기유가 도입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대하여 우레아계 증점제에 의해 점도가 부여되어, 우수한 내수성, 기계적 안정성, 내열성 외에, 또한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우수하고, 게다가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 내마모성이 저하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실시예>
1. 윤활유 기유
(1) 광유계
·상압 증류 잔사를 감압 증류한 유출유를 용제 정제하여 얻어진 윤활유 기유
40℃에서의 동점도; 68㎟/s
15℃에서의 밀도; 0.87g/㎤
점도 지수; 100
유동점; -10℃
인화점; 250℃
(2) 합성계
폴리α올레핀(이네오스(INEOS)사 제조의 듀라신(Durasyn)170)
40℃에서의 동점도; 68㎟/s
15℃에서의 밀도: 0.83g/㎤
점도 지수; 133
유동점; -45℃
인화점; 250℃
2. 아미드 화합물
2-1. 지방족 아미드
(1)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특급 시약)
(2)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특급 시약)
(3) 스테아르산모노아미드(특급 시약)
2-2. 방향족 아미드
(1) m-크실릴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특급 시약)
3. 고체 윤활제
(1) 멜라민시아누레이트(MCA, 평균 입경; 4㎛, 바스프(BASF)사 제조의 MELAPUR MC25)
(2)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평균 입경; 4㎛, 기따무라사 제조의 KTL-8N)
(3) 질화붕소(평균 입경; 2㎛, 미즈시마 고우낑떼쯔사 제조의 HP-P1)
또한, 평균 입경은 레이저광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4. 우레아계 증점제
(1) 옥타데실아민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지방족 디우레아
(2) 시클로헥실아민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지환족 디우레아
(3) p-톨루이딘과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방향족 디우레아
5. 기타 첨가제
산화 방지제로서 디페닐아민을 모두에 첨가하였다.
〔제조 방법〕
각 성분을 표 1, 표 2에 나타내는 배합량(중량%로 나타냄)으로 용기에 넣고, 150℃(아미드 화합물의 융점 이상)로 가열하고, 자기 교반 막대로 교반한 뒤,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것을 롤러(3축 롤)로 가압 분산 처리를 행하여, 그리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7에 대해서는, 표 2에 나타내는 배합량의 것을 가열, 냉각시키지 않고, 직접 롤러(3축 롤)로 가압 분산 처리를 행하여, 그리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 시험〕
Pin-Vee block의 FALEX 시험기를 사용하고, 하중은 350lbf로, 15분간 마찰 시험을 실시하고, 시험편의 마모량을 평가하였다. 신유(新油)뿐만 아니라 그리스가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된 경우의 성능도 평가하기 위해서, 그리스를 150℃의 환경 하에서, 100시간과 500시간 방치하고, 강제적으로 열화시킨 것도 동일하게 FALEX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광유와 우레아계 증점제를 배합한 경우, 신유의 마모량은 7mg 정도였지만 열화유의 마모량은 특별히 많았다(비교예 6).
광유와 우레아계 증점제와 고체 윤활제를 배합한 경우, 신유의 마모량은 약간 저감되었지만, 열화유의 마모량은 많았다(비교예 1 내지 5).
지방족 아미드를 가열, 용융시키고 있지 않은 것은 신유, 열화유 모두 마모량은 많았다(비교예 7).
광유와 우레아계 증점제와 고체 윤활제와 지방족 아미드를 배합한 경우, 신유·열화유 모두 마모량은 대폭으로 저감되었다(실시예 1 내지 9).
Figure 112014093135741-pct00005
Figure 112014093135741-pct00006
본 발명의 그리스 조성물은 우수한 내수성, 기계적 안정성, 내열성을 갖고, 저속에서, 고하중의 금속끼리의 접동부에 있어서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 내마모성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끼리의 접동부를 갖는 각종 조인트, 기어, 베어링 등의 윤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광유계 및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유, 모노아미드 및 비스아미드 중 적어도 한쪽인 아미드 화합물, 중금속이나 황을 함유하지 않는 고체 윤활제, 및 지방족 디우레아 화합물, 지환족 디우레아 화합물, 방향족 디우레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우레아계 증점제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드 화합물을 상기 기유와 적어도 1회는 가열 용융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광유계 및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는 40℃의 동점도가 1 내지 1000㎟/s이며,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가 폴리-α-올레핀인, 그리스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미드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각각 표시되는 어느 1종의 화합물인, 그리스 조성물.
    [화학식 1]
    R1-CO-NH-R2
    [화학식 2]
    R1-CO-NH-A1-NH-CO-R2
    [화학식 3]
    R1-NH-CO-A1-CO-NH-R2
    (상기 화학식 중,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내지 20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쇄상 탄화수소기, A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지환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의 탄소수 1 내지 10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체 윤활제가 멜라민시아누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질화붕소 중 적어도 하나인, 그리스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고체 윤활제가 멜라민시아누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질화붕소 중 적어도 하나인, 그리스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우레아계 증점제가 지방족 디우레아 화합물 및 지환족 디우레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우레아계 증점제가 지방족 디우레아 화합물 및 지환족 디우레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우레아계 증점제가 지방족 디우레아 화합물 및 지환족 디우레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우레아계 증점제가 지방족 디우레아 화합물 및 지환족 디우레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리스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摺動)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2. 제4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3. 제5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4. 제6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5. 제7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6. 제8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7. 제9항에 있어서, 금속제 접동 부재끼리의 윤활에 사용되는 그리스 조성물.
  18. 광유계 및 합성계의 윤활유 기유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유에, 모노아미드 및 비스아미드 중 적어도 한쪽인 아미드 화합물, 중금속이나 황을 함유하지 않는 고체 윤활제, 및 지방족 디우레아 화합물, 지환족 디우레아 화합물, 방향족 디우레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우레아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그리스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기유에, 적어도 상기 아미드 화합물을 함유시키고, 가열하여 상기 아미드 화합물을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47027505A 2012-03-05 2013-03-01 그리스 조성물 KR102051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47750 2012-03-05
JP2012047750A JP5931510B2 (ja) 2012-03-05 2012-03-05 グリース組成物
PCT/JP2013/055624 WO2013133149A1 (ja) 2012-03-05 2013-03-01 グリース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350A KR20140129350A (ko) 2014-11-06
KR102051688B1 true KR102051688B1 (ko) 2019-12-03

Family

ID=4911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505A KR102051688B1 (ko) 2012-03-05 2013-03-01 그리스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24981A1 (ko)
EP (1) EP2824167B1 (ko)
JP (1) JP5931510B2 (ko)
KR (1) KR102051688B1 (ko)
CN (1) CN104160006A (ko)
SG (1) SG11201404818TA (ko)
WO (1) WO2013133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8642B2 (ja) * 2014-03-12 2018-01-31 協同油脂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及びグリース封入車輪用軸受
JP6454541B2 (ja) * 2014-12-25 2019-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用潤滑剤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
JP2016160356A (ja) * 2015-03-02 2016-09-05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
JP6511128B2 (ja) * 2015-03-09 2019-05-15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
CN104635398A (zh) * 2015-03-09 2015-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光栅控制方法
CN104893807A (zh) * 2015-05-28 2015-09-09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无尘室导轨丝杆机构润滑脂
JP6605869B2 (ja) * 2015-07-30 2019-1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ロープ用グリース、エレベーターロープ、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及び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の保守方法
WO2018092806A1 (ja) * 2016-11-16 2018-05-24 出光興産株式会社 自動給脂装置を備えた機器用のグリー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FR3060604B1 (fr) 2016-12-15 2021-05-28 Skf Ab Compositions de graiss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FR3060605B1 (fr) * 2016-12-15 2021-05-28 Skf Ab Compositions de graiss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JP2018168332A (ja) * 2017-03-30 2018-11-01 Ntn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転がり軸受、およびハブベアリング
JP6919848B2 (ja) * 2017-05-01 2021-08-18 出光興産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
CN108865339B (zh) * 2018-08-01 2021-08-20 清研高装润滑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高速动车组轴箱轴承润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7448359B2 (ja) 2020-01-16 2024-03-12 シェルルブリカンツジャパン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
CN111394150B (zh) * 2020-04-23 2022-01-28 沈阳理工大学 一种耐高温五聚脲润滑脂及其制备方法
JP7372213B2 (ja) * 2020-06-15 2023-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摩擦中和除電式潤滑機構を有する正電位に帯電する車両
CN111961517A (zh) * 2020-08-26 2020-11-20 惠州市阿特斯润滑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系统润滑脂
US20240174943A1 (en) * 2021-03-31 2024-05-30 Idemitsu Kosan Co.,Ltd. Grease composition
CN113372979B (zh) * 2021-05-28 2023-04-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球节润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891771A (zh) * 2023-06-05 2023-10-17 武汉理工大学 一种聚脲基润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3963A (ja) * 2009-10-27 2011-05-12 Jx Nippon Oil & Energy Corp 極圧潤滑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4800A (ja) * 1982-03-10 1983-09-14 Hitachi Ltd 電食防止用潤滑剤及びそれを用いた軸受装置
JP4524007B2 (ja) * 1999-06-29 2010-08-11 協同油脂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
US6667281B2 (en) * 2000-10-06 2003-12-23 Nippon Oil Corporation Grease composition
JP4532799B2 (ja) * 2001-09-27 2010-08-25 Ntn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およびグリース封入軸受
JP2005226038A (ja) 2004-02-16 2005-08-25 Kyodo Yushi Co Ltd ステアリング用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及びステアリング用等速ジョイント
JP2006169386A (ja) * 2004-12-16 2006-06-29 Showa Shell Sekiyu Kk 潤滑グリース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軸受
JP4809626B2 (ja) * 2005-04-28 2011-11-09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ウレア系潤滑グリース組成物
CN101405375B (zh) * 2006-03-24 2012-11-07 日本能源株式会社 传动元件用半固体状润滑剂组合物及具备其的机械系统
JP5255754B2 (ja) 2006-07-10 2013-08-07 協同油脂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用グリース組成物及び等速ジョイント
JP5273699B2 (ja) * 2007-03-22 2013-08-28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潤滑システム
WO2009153938A1 (ja) * 2008-06-19 2009-12-23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潤滑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潤滑システム
US20110218128A1 (en) * 2008-10-17 2011-09-08 Nok Kluber Co., Ltd. Lubricating greas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0079743A1 (ja) * 2009-01-09 2010-07-15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ナジー 潤滑剤組成物および潤滑液組成物
JP5540531B2 (ja) * 2009-03-06 2014-07-02 日本精工株式会社 グリース組成物及び転がり軸受
CN101693851A (zh) * 2009-09-30 2010-04-1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合成高温润滑脂及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3963A (ja) * 2009-10-27 2011-05-12 Jx Nippon Oil & Energy Corp 極圧潤滑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4167A1 (en) 2015-01-14
CN104160006A (zh) 2014-11-19
SG11201404818TA (en) 2014-11-27
EP2824167B1 (en) 2018-08-08
KR20140129350A (ko) 2014-11-06
JP5931510B2 (ja) 2016-06-08
WO2013133149A1 (ja) 2013-09-12
JP2013181156A (ja) 2013-09-12
US20150024981A1 (en) 2015-01-22
EP2824167A4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688B1 (ko) 그리스 조성물
KR102051689B1 (ko) 그리스 조성물
KR101389180B1 (ko) 전동 요소용 반고체상 윤활제 조성물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 시스템
JP5826626B2 (ja) グリース組成物
CN102239240A (zh) 润滑脂组合物
JP6889664B2 (ja) 樹脂用潤滑剤組成物及び樹脂の潤滑方法
WO2014092201A1 (ja) 低温フレッチング改善グリース組成物
KR20090058025A (ko) 우레아 그리스 조성물
JP2016160356A (ja) グリース組成物
JP6511128B2 (ja) グリース組成物
CN109563432B (zh) 润滑脂组合物
US11434445B2 (en) Lubricant composition for ball joints
WO2013017528A1 (en) Grease composition
CN107177403B (zh) 等速万向节用润滑脂组合物及等速万向节
WO2016021641A1 (ja) グリース組成物
JP2023128103A (ja) グリース組成物
WO2022123857A1 (ja) グリース組成物及びこのグリース組成物を用いた摺動部分の潤滑方法
JP2022075001A (ja) グリース組成物及びこのグリース組成物を用いた摺動部分の潤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