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358B1 - 튜브 요소 및 그 위에 배치된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 Google Patents

튜브 요소 및 그 위에 배치된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358B1
KR102049358B1 KR1020187012847A KR20187012847A KR102049358B1 KR 102049358 B1 KR102049358 B1 KR 102049358B1 KR 1020187012847 A KR1020187012847 A KR 1020187012847A KR 20187012847 A KR20187012847 A KR 20187012847A KR 102049358 B1 KR102049358 B1 KR 10204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tube element
opening
attachment portion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489A (ko
Inventor
안토니 페렌츠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18006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5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섹션을 가진 튜브 요소 및 이 튜브 요소 상에 형성된, 그리고 튜브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비드 섹션을 포함한다. 부착 부분은 튜브 요소에 비틀림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고, 평면 섹션 및 상기 평면 섹션에 형성된 제 1 개구를 갖고, 상기 튜브 요소는 상기 비드 섹션에 의해 상기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에 접하도록 상기 제 1 개구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부착 부분은 제 1 개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제 2 개구를 포함한다. 비드 섹션은 부착 부분에 대해 상기 튜브 요소를 비틀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튜브 요소 및 그 위에 배치된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및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섹션을 가진 튜브 요소 및 이 튜브 요소 상에 형성된, 그리고 튜브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비드(bead) 섹션을 포함한다. 부착 부분은 튜브 요소에 비틀림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고, 평면 섹션 및 이 평면 섹션에 형성된 제 1 개구를 포함한다. 튜브 요소는, 부착 부분에 연결된 경우에, 비드 섹션을 가진 튜브 요소가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과 접하도록 제 1 개구를 통해 연된다.
이러한 종류의 튜브 요소는, 예를 들면, 차량 시트의 시트 부분의 프레임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차량 시트의 횡단 튜브를 구성할 수 있다. 튜브 요소는, 예를 들면, 프레임 부분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프레임 부분 상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의 부착 부분은, 예를 들면, 차량 시트의 높이 조절 메커니즘의 링크일 수 있고, 이 링크는, 예를 들면, 안내 레일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이 링크를 선회시키면, 차량 시트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높이 조절 메커니즘 내에서 링크는, 예를 들면, 튜브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선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튜브 요소와 링크 형상의 부착 부분은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에서 비틀림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비틀림 고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EP 1 820 579 A1은 플랜지에 연결된 튜브 요소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스캐폴드(scaffold)라고도 표시되는 2 개의 비드 섹션이 튜브 요소 상에 형성되고, 이 비드 섹션은 이들 사이에 플랜지를 수용한다. 튜브 요소에 플랜지를 비틀림 고정하기 위해, 고정용 돌출부가 튜브 요소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중앙 개구의 외부 윤곽과 맞물림되도록 비드 섹션들 중 하나에 형성된다.
US 8,322,675는 시트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의 노치를 포함하는 보어를 가진 링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를 개시한다. 튜브는 보어를 통과하여 연장되고, 비드 상에 튜브를 링크에 비틀림 고정하기 위해 노치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의 비틀림 고정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유익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는 비틀림 고정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서,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은 튜브 요소 - 상기 튜브 요소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섹션 및 상기 튜브 요소 상에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튜브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비드 섹션을 가짐 -; 및 상기 튜브 요소에 비틀림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고, 평면 섹션 및 상기 평면 섹션에 형성된 제 1 개구를 갖는 부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요소는 상기 비드 섹션에 의해 상기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에 접하도록 상기 제 1 개구를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부착 부분은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섹션은 상기 부착 부분에 대해 상기 튜브 요소를 비틀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드 섹션은 부착 부분에 대해 튜브 요소를 비틀림 고정하기 위해 부착 부분의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는 제 1 개구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튜브 요소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로부터 분리된 개구와 맞물린다.
하나의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는, 예를 들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제 1 개구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 요소는 제 1 개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제 2 개구와 맞물릴 수 있으므로, 반경방향 외측 위치에서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에 비틀림 고정이 달성되고, 따라서 유익한 레버 암이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도록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개구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임의의 다른 비원형 형상, 예를 들면, 정사각 형상 또는 불규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튜브 요소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비원형 형상, 예를 들면, 정사각 형상 또는 불규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비드 섹션으로부터 길이방향에 대해 축방향으로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비드 섹션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부착 부분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 내에 도달하므로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에 비틀림 고정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예를 들면, 스탬핑에 의해 비드 섹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가 비드 섹션의 반경방향 외측의 연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비드 섹션 상의 반경방향 외측 위치에 형성되며, 비틀림 힘을 수용하기 위한 향상된 레버 암이 제공되므로 유익한 방식으로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에서 작용하는 비틀림 힘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비드 섹션 상의 돌출 요소의 형성이 비드 섹션에서 튜브 요소를 손상시킬 위험이 감소된 상태로 변형이 실행될 수 있는 반경방향 외측 위치에서 실행되므로 튜브 요소 상에 비드 섹션을 제조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돌출 요소가 비드 섹션 상의 반경방향 외측 위치에 형성되므로, 돌출 요소는, 비드 섹션(냉간 성형 또는 열간 성형을 통해 튜브 요소의 변형에 의해 형성됨)이 이 비드 섹션과 규칙적인 변형되지 않는 튜브 요소의 튜브 섹션 사이의 내부 천이 영역의 반경에 비해 증가된 반경을 가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특히 고강도 강으로 제작된 튜브 요소의 경우에 비드 섹션 상의 반경방향 외측 위치에 돌출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부착 부분은 제 1 개구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그리고 서로에 대해 변위된 다수의 제 2 개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와 맞물려서 튜브 요소와 부착 부분 사이에 비틀림 고정을 제공한다.
여기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제 2 개구와 하나의 돌출 요소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부착 부분 상에 존재하는 제 2 개구의 수와 동일한 수의 돌출 요소가 비드 섹션 상에 형성되므로 각각의 제 2 개구에 하나의 돌출 요소가 할당되어 결합된다.
다수의 제 2 개구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이웃하는 제 2 개구가 동등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개구의 주위에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동등하지 않은 간격으로 제 1 개구를 중심으로 불규칙하게 제 2 개구를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평면 섹션 상에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 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가 부착 부분의 플랜지 상에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는 평면 섹션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예를 들면, 평면 섹션의 주위로 연장되어 평면 섹션을 둘러싼다. 평면 섹션 상에 형성된 제 2 개구와 맞물리기 위해, 돌출 요소는 비드 섹션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플랜지에 형성된 제 2 개구와 맞물리기 위해, 돌출 요소는 비드 섹션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부착 부분에 부착된 경우에 튜브 요소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 1 개구는, 예를 들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구는 폐쇄된 원형 연부에 의해 한정되고, 이 원형 연부는 반경 방향의 노치 등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부착 부분과 튜브 요소를 연결하기 위해 2 개의 비드 섹션이 튜브 요소 상에 형성되고, 제 1 비드 섹션은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지니고, 제 2 비드 섹션은 제 1 비드 섹션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비드 섹션들 사이에 부착 부분이 수용되므로 부착 부분은 비드 섹션들 사이에서 튜브 요소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다른 양태에서,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섹션을 가진 튜브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에 형성된 제 1 개구 내에 상기 튜브 요소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부착 부분과 상기 튜브 요소를 연결하는 단계; 비드 섹션이 상기 튜브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과 접하게 되도록, 상기 튜브 요소를 변형시켜 상기 튜브 요소 상에 상기 비드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드 섹션 상에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분리된 상기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와 맞물린다.
하나의 양태에서, 비드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 비드 섹션 상에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냉각 성형 또는 열간 성형에 의해 튜브 요소를 변형시킴으로써 단일 단계 동안에 실행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스탬핑 장치를 사용하는 스탬핑에 의해 비드 섹션 상에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를 참조하면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튜브 요소 및 이 튜브 요소에 연결된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그룹을 도시하고;
도 2는 별개의 도면으로 부착 부분을 도시하고;
도 3은 부착 부분과 관련된 튜브 요소의 다른 도면을 도시하고;
도 4는 어셈블리 그룹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어셈블리 그룹의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 부분의 별개의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조 요소를 표시한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순히 예시적인 실시례를 나타낸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튜브 요소(1) 및 이 튜브 요소(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링크 형상의 부착 부분(2)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을 사시도로 보여준다. 튜브 요소(1)는, 예를 들면, 차량 시트의 프레임 부분들 사이에 연장되는 횡단 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부착 부분(2), 예를 들면, 차량 시트의 높이 조절 메커니즘의 링크일 수 있다.
차량 시트의 높이 조절 메커니즘 내에서, 튜브 요소(1)는, 예를 들면, 차량 시트의 시트 부분의 반대면 상에서 프레임 부분들 사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형상의 부착 부분(2)은 비틀림 고정 방식으로 튜브 요소(1)에 연결되므로 부착 부분(2)은, 예를 들면, 전기 구동장치와 같은 적절한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튜브 요소(1) 또는 부착 부분(2)을 구동시키는 경우에 튜브 요소(1)와 함께 선회된다. 링크 형상의 부착 부분(2)은, 예를 들면, 부착 부분(2)의 먼 단부(튜브 요소(1)가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의 개구(24)를 통해 차량 시트의 길이방향 조절 메커니즘의 안내 레일에 연결되므로, 부착 부분(2)을 선회시킴으로써 차량 시트는 자체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분(2)은 평면 섹션(21) 및 이것에 형성되는 제1 개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평면 섹션(21)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이는 이 평면 섹션이 평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탄한 방식으로 연장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률을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평면 섹션(21)은 반드시 전부가 평탄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평면 섹션(21)에는 튜브 요소(1)가 부착 부분(2)에 연결된 경우에 튜브 요소(1)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 개구(20)가 형성되어, 원형 연부(200)에 의해 한정되고, 따라서 원형 구멍(20)을 형성한다.
평면 섹션(21)은 길이방향(L)을 따라 평면 섹션(21)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22)에 의해 둘러싸이고, 튜브 요소(1)가 부착 부분(2)에 연결되는 경우에 튜브 요소(1)는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된다. 플랜지(22)는, 예를 들면, 부착 부분(2)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23)는 튜브 요소(1)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중앙의 제1 개구(20)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평면 섹션(21)과 플랜지(22) 사이의 천이 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개구(23)는 중앙의 제1 개구(20)를 중심으로 반원을 따라 배치된다.
도 5와 함께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 부분(2)은 튜브 요소(1) 상에 형성된 2 개의 비드 섹션(11, 12)에 의해 튜브 요소(1)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비드 섹션(11, 12)은, 부착 부분(2)이 비드 섹션(11, 12) 사이에 수용되도록, 따라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요소(1)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예를 들면, 튜브 요소(1)를 냉간 성형 또는 열간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튜브 요소(1)에 부착 부분(2)을 연결하기 위해, 비드 섹션(12)이 변형되지 않은 튜브 섹션(1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축방향의 내부 비드 섹션(12)이 튜브 요소(1) 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비드 섹션(12)에 인접하는 튜브 요소(1)의 자유 단부가 부착 부분(2)의 제1 개구(20) 내에 삽입되므로, 비드 섹션(12)은 외면(122)의 반대측의 내면(121)이 부착 부분(2)의 제1 개구(20)의 주위에 접한다. 다음에, 축방향 외측의 비드 섹션(11)이 튜브 요소(1) 상에 형성되어 튜브 요소(1)에 부착 부분(2)을 축방향으로 고정한다.
축방향 외측의 비드 섹션(11)을 형성하는 동안에 또는 축방향 외측의 비드 섹션(11)을 형성한 후에, 돌출 요소(113)가 스탬핑 기법을 이용하여 비드 섹션(11, 12)을 적절히 변형시킴으로써 비드 섹션(11)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비드 섹션(11) 상에 작용하여 비드 섹션(11)을 변형시켜 비드 섹션(11) 상에 돌출 요소(113)를 형성하기 위한 변형 요소(30)를 가진 스탬프 장치(3)(도 5 참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 요소(113)는 부착 부분(2)의 제2 개구(23)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 맞물림을 통해 부착 부분(2)은 튜브 요소(1)에 비틀림 고정되므로 튜브 요소(1)와 부착 부분(2) 사이에서 비틀림 힘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함께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섹션(11) 상의 돌출 요소(113)는 스탬핑 방향(P)으로 비드 섹션(11)의 축방향 외면(112) 상에 작용하는 적절한 스탬핑 장치(3)를 사용하여 스탬핑에 의해 형성되므로 비드 섹션(11)의 재료는 비드 섹션(11)으로부터 부착 부분(2)의 제2 개구(23) 내로 축방향 내면에서 돌출하도록 비드 섹션(11)으로부터 스탬핑된다. 비드 섹션(11) 상으로 작용되는 경우 비드 섹션(11)의 변형으로 인해, 재료는 부착 부분(2) 상에 형성된 제2 개구(23) 내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부착 부분(2)과 튜브 요소(1) 사이에 비틀림 고정이 형성된다.
돌출 요소(113)가 비드 섹션(11)의 반경방향 외측의 연부(11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착 부분(2)과 튜브 요소(1) 사이의 비틀림 고정을 위한 (튜브 요소(1)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과 돌출 요소(113)의 반경방향 위치 사이에서 유효한) 유효 레버 암이 증가되어 비틀림 힘이 유익한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돌출 요소(113)가 반경방향 외측의 연부(110)에 형성되므로, 돌출 요소(113)를 형성하는 경우에, 튜브 요소(1)가, 예를 들면, 고강도 강 재료로 제작된 경우라 하더라도, 비드 섹션(11)을 손상시킬 위험이 낮아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리 그룹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은 평면 섹션(21)을 가진 부착 부분(2)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비드 섹션(11) 상에 형성된, 그리고 튜브 요소(1)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중앙의 제1 개구(20)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된 제2 개구(23) 내에 도달하는 돌출 요소(113)에 의해 부착 부분(2)과 튜브 요소(1) 사이의 비틀림 고정이 달성된다.
도 1 내지 도 5, 도 6 및 도 7의 실시형태에서 중앙의 제1 개구(20)의 반경방향 외측의 제2 개구(23)는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제한으로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제2 개구(23)는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2 개구(23)가 부착 부분(2) 상의 중앙의 제1 개구(20)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여기서, 비틀림 고정을 위해 하나의 제2 개구(23)가 충분하고, 여기서 다수의 제2 개구(23)를 제공함으로써 부착 부분(2)의 전체에 걸쳐 그리고 비드 섹션(11)의 전체에 걸쳐 비틀림 힘의 분포가 달성된다.
제2 개구(23)는 중앙의 제1 개구(20)의 주위에 동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원칙적으로 중앙의 제1 개구(20)의 주위에 임의의 각도의 또는 불규칙한 배치의 제2 개구(23)가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구(23)는 중앙의 제1 개구(20)와 별개이다. 특히, 제1 및 제2 개구(20, 23) 사이에는 연결부가 존재하지 않고, 제1 및 제2 개구(20, 23)는 부착 부분(2)의 평면 섹션(21)의 재료 부분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의 제1 개구(20)의 원형은 제2 개구(23)에 의해 훼손되지 않으며, 제1 개구(20) 내에 튜브 요소(1)가 유리하게 접수되도록 한다.
튜브 요소(1)와 부착 부분(2)의 둘 모두, 예를 들면, 강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형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완전히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완전히 상이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1 튜브 요소
10 튜브 섹션
11, 12 비드 섹션
110 외부 연부
111, 121 제 1 면
112, 122 제 2 면
113 돌출 요소
2 부착 부분
20 제1 개구
200 연부
21 평면 섹션
22 플랜지 섹션
23 제2 개구
3 스탬핑 장치
30 변형 요소
L 길이방향
P 스탬핑 방향

Claims (13)

  1.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으로서,
    튜브 요소 - 상기 튜브 요소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섹션 및 상기 튜브 요소 상에 형성되는, 그리고 상기 튜브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비드(bead) 섹션을 가짐 -; 및
    상기 튜브 요소에 비틀림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고, 평면 섹션 및 상기 평면 섹션에 형성된 제 1 개구를 갖는 부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요소는 상기 비드 섹션에 의해 상기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에 접하도록 상기 제 1 개구를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부착 부분은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분리된 적어도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비드 섹션은 상기 부착 부분에 대해 상기 튜브 요소를 비틀림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상기 비드 섹션으로부터 길이방향에 대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돌출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해 비드 섹션 상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상기 비드 섹션의 반경방향 외측의 연부 상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은 상기 제 1 개구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그리고 서로에 대해 변위된 다수의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상기 제 2 개구 중 하나 이상과 맞물리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6.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의 돌출 요소는 각각의 제 2 개구와 맞물리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는 상기 평면 섹션 상에 형성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8.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는 부착 부분의 플랜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평면 섹션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평면 섹션의 주위에서 연장하여 상기 평면 섹션을 둘러싸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는 폐쇄된 원형의 에칭부에 의해 한정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요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지니는 제 1 비드 섹션 및 상기 제 1 비드 섹션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된 제 2 비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분은 상기 제 1 비드 섹션과 상기 제 2 비드 섹션 사이에 수용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12.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튜브 섹션을 가진 튜브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에 형성된 제 1 개구 내에 상기 튜브 요소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부착 부분과 상기 튜브 요소를 연결하는 단계;
    비드 섹션이 상기 튜브 섹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과 접하게 되도록, 상기 튜브 요소를 변형시켜 상기 튜브 요소 상에 상기 비드 섹션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드 섹션 상에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상기 제 1 개구로부터 분리된 상기 부착 부분의 평면 섹션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개구와 맞물리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 요소는 상기 비드 섹션 상의 스탬핑 장치를 사용하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12847A 2015-10-08 2016-10-06 튜브 요소 및 그 위에 배치된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KR102049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78,236 2015-10-08
US14/878,236 US9701227B2 (en) 2015-10-08 2015-10-08 Assembly group of a vehicle seat comprising a tube element and an attachment part arranged thereon
PCT/EP2016/073927 WO2017060384A1 (en) 2015-10-08 2016-10-06 Assembly group of a vehicle seat comprising a tube element and an attachment part arranged there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489A KR20180064489A (ko) 2018-06-14
KR102049358B1 true KR102049358B1 (ko) 2019-11-27

Family

ID=5720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847A KR102049358B1 (ko) 2015-10-08 2016-10-06 튜브 요소 및 그 위에 배치된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01227B2 (ko)
KR (1) KR102049358B1 (ko)
CN (1) CN108349415A (ko)
DE (1) DE112016004619B4 (ko)
WO (1) WO2017060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2905B (zh) * 2019-02-28 2020-07-28 重庆延锋安道拓锋奥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座椅高调传动件成型模具
DE102019118255A1 (de) * 2019-07-05 2021-01-07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Strukturbauteil,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sitz-Strukturbauteils
DE102019118258A1 (de) 2019-07-05 2021-01-07 Faurecia Autositze Gmbh Fahrzeugsitz-Strukturbauteil und Fahrzeugsitz
KR102314614B1 (ko) * 2021-03-31 2021-10-2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어링크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9319A1 (en) 2009-02-20 2010-09-0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Vehicle Seat, Manufacturing Process for Such a Vehicle Seat,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582B1 (fr) * 1993-07-16 1995-10-20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Corps de colonne de direc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DE19647831A1 (de) 1996-11-19 1998-05-20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s Funktionselementes; Funktionselement, Zusammenbauteil, Matrize und Setzkopf
DE19532519C2 (de) 1995-09-02 1998-09-24 Leifeld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otationssymmetrischen metallischen Werkstücks
US5690459A (en) 1996-05-29 1997-11-25 Textron Inc. Plate and riveted stud assembly
DE19727310C2 (de) 1997-06-27 2001-02-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Lagerung einer Schwinge
FR2772317A1 (fr) * 1997-12-17 1999-06-18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dote d'un mecanisme de rehauss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9850003A1 (de) 1998-10-29 2000-05-04 Plettac Ag Form- und Kraftschlüssige Verbindung zwischen einem vertikalen Gerüstrohr und einer Haltevorrichtung
EP1249305B1 (de) * 1999-07-09 2007-01-17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Stempelanordnung
US6077014A (en) 1999-11-30 2000-06-20 Gulistan; Bulent Reliable bolt and clip restrainer assembly
US20020098056A1 (en) 2001-01-22 2002-07-25 Progressive Stamping Company, Inc. Method of attaching a plate to a rod and assembly
US6957796B2 (en) 2003-01-15 2005-10-25 Lear Corporation Hydro-formed seat adjuster system
JP2006199049A (ja) * 2003-04-21 2006-08-03 T S Tec Kk 自動車用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DE102004020675A1 (de) 2004-04-28 2005-11-24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bringung eines Befestigungselements an ein Bauteil, insbesondere an ein Blechteil
DE102005007716A1 (de) 2005-02-18 2006-08-31 Ulrich Huperz Schweißtechnik GmbH & Co.KG Sitzhöhenverstellung
DE202005009185U1 (de) 2005-06-11 2006-10-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Höhenverstell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ITBS20060029A1 (it) 2006-02-17 2007-08-18 Nyco System S R L Metodo di fissaggio di una flangia di aggancio dei traversi di collegamento tra i montanti di un ponteggio al tubo del montante stesso
KR20060028474A (ko) * 2006-03-10 2006-03-29 박상봉 체결보스와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JP5055926B2 (ja) 2006-09-29 2012-10-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080307624A1 (en) 2007-06-12 2008-12-18 Hsiao-Lung Lee Riveting structure
EP2027951A1 (de) 2007-08-23 2009-02-25 WAFIO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drehfesten Verbinden eines metallischen Rohres mit einem Blech sowie drehfeste Verbindung eines metallischen Rohres mit einem Blech
US8172326B2 (en) * 2008-03-14 2012-05-08 Lear Corporation Pivot join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DE112008004000T5 (de) * 2008-08-29 2011-12-01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rahm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9008576B4 (de) * 2009-02-12 2012-01-05 Keiper Gmbh & Co. Kg Antriebseinrichtung
CH704259A2 (fr) * 2010-12-22 2012-06-29 Nivarox Sa Assemblage d'une pièce ne comportant pas de domaine plastique.
DE102010063972A1 (de) 2010-12-22 2012-06-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ahrzeugsitz mit einer Höhenverstelleinrichtung
DE102012202654B3 (de) * 2011-11-16 2013-04-25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Verfahren und Befestigungselement zur Montage eines Fahrzeugsitzes
KR101846867B1 (ko) * 2012-09-28 2018-04-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플러그
DE102013001416B4 (de) 2013-01-24 2019-02-07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Höhen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3209948A1 (de) 2013-05-28 2014-12-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r Bearbeitung oder Umformung hochbelastbarer Bauteile in Kraftfahrzeugen
JP6149537B2 (ja) 2013-06-21 2017-06-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バックフレーム
FR3010356B1 (fr) 2013-09-09 2020-03-27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ssemblage pour une armature de siege, armature de sie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assemblage.
DE102013112462A1 (de) 2013-11-13 2015-05-13 Faurecia Autositze Gmbh Höhen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2014202086B3 (de) 2013-11-29 2015-02-12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Höhen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9319A1 (en) 2009-02-20 2010-09-0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Vehicle Seat, Manufacturing Process for Such a Vehicle Seat,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01227B2 (en) 2017-07-11
WO2017060384A1 (en) 2017-04-13
DE112016004619B4 (de) 2022-06-30
KR20180064489A (ko) 2018-06-14
DE112016004619T5 (de) 2018-07-12
CN108349415A (zh) 2018-07-31
US20170101037A1 (en)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358B1 (ko) 튜브 요소 및 그 위에 배치된 부착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의 어셈블리 그룹
US9551396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CA2583649A1 (en)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8322675B2 (en) Vehicle seat, manufacturing process for such a vehicle seat, and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US8226133B2 (en) Bumper attachment device
US11059394B2 (en) Vehicle seat structural component, vehicle se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seat structural component
EP1865219B1 (en) Spring assembly
JP2007155131A (ja) ジョイント装置
KR20030007744A (ko) 교통수단 시트용 장치, 특히 로킹 장치
CN104968512B (zh) 转向节支架以及一对转向节支架
EP2679416B1 (en)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US20090039677A1 (en) Automobile Impact Beam with Integrated Bracket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70101033A1 (en) Vehicle seat
US10814819B2 (en) Emblemed airbag cover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20190040049A (ko) 클로우 고정 장치
CN114746296A (zh) 双滚动凸瓣无压接导向管
US20160303940A1 (en) Flange assembly, chassis actu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lange arrangment
US9630466B2 (en) Link unit
US11187472B2 (en) Heat exchanger for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KR101239011B1 (ko)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및 하나의 휠 베어링을 포함하는유닛
JP4474560B2 (ja)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
US9815145B2 (en)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US20170232996A1 (en) Adjustment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steering column
KR102317006B1 (ko) 차량 시트프레임용 어저스트먼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JP4610325B2 (ja) シャシフレームのボディー取付部を構成するスペーサの仮止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