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867B1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867B1
KR101846867B1 KR1020120109301A KR20120109301A KR101846867B1 KR 101846867 B1 KR101846867 B1 KR 101846867B1 KR 1020120109301 A KR1020120109301 A KR 1020120109301A KR 20120109301 A KR20120109301 A KR 20120109301A KR 101846867 B1 KR101846867 B1 KR 10184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rib
inclined surface
plug
central axis
insert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990A (ko
Inventor
이진성
김대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8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7/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16B17/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a part of or on one member entering a hole in the other and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of rods or tubes to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앞쪽 중심부에는 뒤쪽 방향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선단부에는 후단부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삽입바디, 상기 제1경사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걸림후크, 상기 장착걸림후크의 뒤쪽으로 상기 제1경사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실링리브, 상기 내측실링리브에서 상기 제1경사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앞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연장되는 외측실링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실링리브와 함께 두 개 이상의 장착걸림후크를 통해서 플러그가 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두 개 이상의 장착걸림후크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으며 실링구조가 견고해진다. 뿐만 아니라, 삽입바디의 선단부 중심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서, 상기 삽입바디의 수축과 확장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의 상기 삽입바디가 상기 홀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를 실링하여 소음을 차단하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패널에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한 후 부식방지 등을 위하여 도장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체패널에는 세척작업에 의한 세척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 곳에 배출용 홀이 뚫어지게 되는데, 이 홀을 방치할 경우 주행 중 각종 소음이나 배기가스 등이 차내로 유입될 수 있어 플러그를 이용하여 차체패널에 뚫어진 홀을 폐쇄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러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체패널(100)의 하부면에는 데드너층(110)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홀(160)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120)는 상기 홀(160)을 폐쇄한다. 상기 플러그(120)는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되는 삽입바디(130), 상기 삽입바디(130)의 선단부 가장자리에서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35), 상기 제1연장부(135)의 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40), 및 상기 제1연장부(135)의 단부에서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는 선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14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부(1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차체패널(100)과 대응하는 리브홈(150)과 리브(155)가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120)를 상기 차체패널(100)의 상기 홀(160)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경우, 상기 데드너층(110)의 두께, 도포상태 등에 따라서 상기 플러그(120)의 상기 리브(155) 및 상기 리브홈(150)이 상기 차체패널(100)로부터 이탈되어 실링구조가 취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가 차체패널에 형성된 홀에 장착될 때 리브 및 리브홈이 차체패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링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체패널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효과적으로 실링하고, 소음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이물질이 차체패널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앞쪽 중심부에는 뒤쪽 방향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선단부에는 후단부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삽입바디, 상기 제1경사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걸림후크, 상기 장착걸림후크의 뒤쪽으로 상기 제1경사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실링리브, 상기 내측실링리브에서 상기 제1경사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앞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연장되는 외측실링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그 내경이 작아지는 내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내측실링리브와 대응하는 위치보다 더 깊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내측실링리브가 형성된 부분까지 형성되고, 상기 삽입바디는 상기 내측실링리브가 형성된 부분부터 뒤쪽 방향으로 그 외경이 작아지는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그 내경이 작아지는 내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내측실링리브가 형성된 부분까지 형성되고, 상기 삽입바디는 상기 내측실링리브가 형성된 부분부터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짧아지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수직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장착걸림후크는 상기 제1경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단부 방향으로 그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바디, 상기 장착걸림후크, 상기 내측실링리브,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외측실링리브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앞쪽 중심부에는 뒤쪽 방향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는 삽입바디, 상기 삽입바디의 앞쪽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경사연장부, 상기 제1경사연장부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경사연장부보다 상기 중심축과 벌어지는 각도가 작은 제2경사연장부, 상기 제2경사연장부의 외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걸림후크, 및 상기 제2경사연장부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앞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외측실링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걸림후크는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걸림후크는 그 단부방향으로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걸림후크는 상기 제1경사연장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는, 내측실링리브와 함께 두 개 이상의 장착걸림후크를 통해서 플러그가 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두 개 이상의 장착걸림후크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으며 실링구조가 견고해진다.
뿐만 아니라, 삽입바디의 선단부 중심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서, 상기 삽입바디의 수축과 확장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의 상기 삽입바디가 상기 홀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1은 종래의 플러그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보여주는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차체패널의 홀에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차체패널의 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보여주는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차체패널의 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보여주는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중심축에 배치되는 삽입바디(130), 상기 삽입바디(13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연장부(175), 상기 연장부(175)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측실링리브(176)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바디(130)의 선단부의 중심부에는 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바디(130)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장착걸림후크(172)와 내측실링리브(17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플러그(120)의 상세구조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심축(125)을 중심으로 삽입바디(13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바디(130)의 외주면의 앞쪽(도면에는 "선단부")에는 뒤쪽(도면에는 "후단부")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125)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제1경사면(178)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바디(130)의 외주면의 뒤쪽(후단부)에는 뒤쪽(후단부)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125)과의 거리가 짧아지는 제2경사면(18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바디(130)의 선단부 중심부에는 뒤쪽 방향으로 패인 홈(160)이 형성되고, 뒤쪽 방향으로 상기 홈(160)의 내경은 점차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홈(160)은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그 내경이 작아지는 내측면(162)으로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면(162)과 상기 제2경사면(180) 사이의 수직거리(D)는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178)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걸림후크(172)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걸림후크(172)는 그 단부로 갈수록 얇아지는 구조이고, 두 개의 돌출부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걸림후크(172)는 상기 제1경사면(178)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두 개의 장착걸림후크(172) 중에서 앞쪽에 배치되는 것이 짧고, 뒤쪽에 배치되는 것이 길다.
상기 제1경사면(178)과 상기 제2경사면(180) 사이에 상기 내측실링리브(174)가 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경사면(178)은 상기 내측실링리브(174)가 형성된 부분까지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180)은 상기 내측실링리브(174)가 형성된 부분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바디(130)와 인접한 상기 내측실링리브(174)에서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125)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연장부(17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75)는 상기 제1경사면(178)이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175)의 단부에서 앞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125)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외측실링리브(176)가 형성된다.
도 2,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걸림후크(172), 상기 내측실링리브(174), 상기 연장부(175), 및 상기 외측실링리브(176)는 모두 상기 중심축(125)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차체패널의 홀에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차체패널(100)의 일측에는 홀(164)이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 데드너층(110)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120)의 상기 삽입바디(130)의 앞쪽이 상기 홀(164)의 입구로 삽입된다.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바디(130)의 앞쪽(도면에는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경사면(178)이 상기 홀(164)의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장착걸림후크(172)의 눌림에 의해서 상기 홈(160)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바디(13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삽입바디(130)가 상기 홀(164) 안으로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차체패널의 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걸림후크(172)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삽입바디(130)가 상기 홀(164)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장착걸림후크(172)와 상기 내측실링리브(174)가 안쪽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실링리브(174)는 상기 차체패널(10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상기 외측실링리브(176)의 단부는 상기 차체패널(100)의 하부면에 도포된 상기 데드너층(110)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실링리브(174)와 함께 두 개의 상기 장착걸림후크(172)를 통해서 상기 플러그(120)가 상기 홀(164)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걸림후크(172)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12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내측실링리브(174)와 상기 외측실링리브(176)에 의한 실링구조가 견고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바디(130)의 앞쪽(도면에서 "선단부") 중심부에 형성된 홈(160)구조를 통해서, 상기 삽입바디(130)의 수축과 확장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120)의 상기 삽입바디(130)가 상기 홀(164)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를 보여주는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삽입바디(130), 상기 삽입바디(130)의 외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제1경사연장부(900), 상기 제1경사연장부(900)의 외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제2경사연장부(910), 및 상기 제2경사연장부(910)의 외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외측실링리브(176)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경사연장부(9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걸림후크(9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여, 플러그의 상세구조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삽입바디(130), 제1경사연장부(900), 제2경사연장부(910), 외측실링리브(176), 및 장착걸림후크(93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바디(130)는 앞쪽(도면에서 "선단부") 방향으로 개방된 컵구조를 가지며, 상기 삽입바디(130)의 앞쪽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제1경사연장부(90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연장부(900)는 앞쪽(도면에서 "선단부")에서 뒤쪽(도면에서 "후단부")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125)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연장부(910)는 상기 제1경사연장부(900)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125)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경사연장부(910)와 상기 중심축(125)이 이루는 각도보다 상기 제1경사연장부(900)와 상기 중심축(125)이 이루는 각도가 더 크다.
상기 제2경사연장부(9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걸림후크(93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걸림후크(930)는 상기 제1경사연장부(9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걸림후크(930)는 3개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실링리브(920)는 상기 제2경사연장부(910)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앞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125)과 거리를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가 차체패널의 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차체패널(100)의 일측에는 홀(164)이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 데드너층(110)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120)의 상기 삽입바디(130)의 선단부가 상기 홀(164)의 입구로 삽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바디(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제1경사연장부(900)가 먼저 상기 홀(164) 안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경사연장부(9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장착걸림후크(930)가 홀(164)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장착걸림후크(930)는 상기 차체패널(100) 또는 상기 데드너층(110)에 밀착되고, 이들에 의해서 차체패널(100)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120)가 상기 홀(164)에서 선단부 방향(하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 개의 상기 장착걸림후크(930)를 통해서 상기 플러그(120)가 상기 홀(164)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걸림후크(930)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12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외측실링리브(920) 및 상기 장착걸림후크(930)에 의한 실링구조가 견고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차체패널 110: 데드너층
120: 플러그 125: 중심축
130: 삽입바디 160: 홈
162: 내측면 172: 장착걸림후크
174: 내측실링리브 175: 연장부
176: 외측실링리브 178: 제1경사면
180: 제2경사면 900: 제1경사연장부
910: 제2경사연장부 920: 외측실링리브
930: 장착걸림후크

Claims (11)

  1. 중심축을 기준으로 앞쪽 중심부에는 뒤쪽 방향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의 선단부에는 후단부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삽입바디;
    상기 제1경사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걸림후크;
    상기 장착걸림후크의 뒤쪽으로 상기 제1경사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내측실링리브;
    상기 내측실링리브에서 상기 제1경사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앞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연장되는 외측실링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그 내경이 작아지는 내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내측실링리브가 형성된 부분까지 형성되고, 상기 삽입바디는 상기 내측실링리브가 형성된 부분부터 뒤쪽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과의 거리가 짧아지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수직거리는 동일하며,
    상기 장착걸림후크는 상기 제1경사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1항에서,
    상기 홈은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그 내경이 작아지는 내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2항에서,
    상기 홈은 상기 내측실링리브와 대응하는 위치보다 더 깊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돌출부는 단부 방향으로 그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8. 제1항에서,
    상기 삽입바디, 상기 장착걸림후크, 상기 내측실링리브,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외측실링리브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109301A 2012-09-28 2012-09-28 플러그 KR10184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301A KR101846867B1 (ko) 2012-09-28 2012-09-28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301A KR101846867B1 (ko) 2012-09-28 2012-09-28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90A KR20140042990A (ko) 2014-04-08
KR101846867B1 true KR101846867B1 (ko) 2018-04-10

Family

ID=5065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301A KR101846867B1 (ko) 2012-09-28 2012-09-28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1227B2 (en) * 2015-10-08 2017-07-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Assembly group of a vehicle seat comprising a tube element and an attachment part arranged thereon
KR101897399B1 (ko) * 2017-03-21 2018-09-1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홀 플러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575A (ja) * 2009-11-12 2011-06-23 Nifco Inc 自動車用の閉塞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1575A (ja) * 2009-11-12 2011-06-23 Nifco Inc 自動車用の閉塞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90A (ko) 201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3498A1 (en) Radiator grille of an automobile
JP6207389B2 (ja) ドレンホース
KR101846867B1 (ko) 플러그
JP5798385B2 (ja) 車両用ドアミラー取付部のシール構造
JP2008002646A (ja) クリップを用いた取付構造
US10427278B2 (en) Driving tool
JP2009079751A (ja) 雌ねじ用穴塞ぎプラグ
JP7106428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5911023B2 (ja) 樹脂部材取付構造
JP6302429B2 (ja) 車両用ダクト構造
JP2020034024A (ja) 留め具
JP5121788B2 (ja) ホイールカバー
JP6470064B2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JP6138176B2 (ja) インナーフェンダー
KR20130120074A (ko) 차량의 언더커버 가조립용 플러그너트
JP5550763B2 (ja) グロメット
JP3143002U (ja) 液体封入容器用ストロー
CN210949516U (zh) 一种球销护套防尘结构
JP2016043748A (ja) 車両用内装部品の連結構造
JP6573159B2 (ja) フロントパネルシール構造
JP5908799B2 (ja) ベルトモール
JP2014189025A (ja) 水抜き孔用ホールプラグ
JP5393511B2 (ja) 留め具
JP4675744B2 (ja) スペアタイヤカバー
JP6573158B2 (ja) フロントパネル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