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704B1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704B1
KR102047704B1 KR1020130097053A KR20130097053A KR102047704B1 KR 102047704 B1 KR102047704 B1 KR 102047704B1 KR 1020130097053 A KR1020130097053 A KR 1020130097053A KR 20130097053 A KR20130097053 A KR 20130097053A KR 102047704 B1 KR102047704 B1 KR 10204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terminal
camera
area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791A (ko
Inventor
정세윤
윤훈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704B1/ko
Priority to US14/260,074 priority patent/US9621818B2/en
Priority to EP14173060.6A priority patent/EP2838070B1/en
Priority to EP20154205.7A priority patent/EP3667621A1/en
Priority to CN201410282877.4A priority patent/CN104378534A/zh
Publication of KR2015001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 및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두 대의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촬영된 사진을 편집하는 기술은 이미 일반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다. 후면 카메라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제3자를 촬영하거나 배경을 촬영할 때 주로 사용되며, 전면 카메라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할 때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자(이동 단말기 사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후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 대상(제3자)을 촬영한 후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촬영자는 제3자를 촬영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으므로 제대로 포즈를 취하기 어려우며, 두 개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경우, 이미지 프레임으로 인하여, 촬영자와 촬영 대상이 함께 사진을 찍은 것처럼 자연스럽게 사진을 합성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자를 연사 촬영한 후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자의 이미지와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촬영자의 이미지와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편집/수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 및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와, 상기 획득된 제2 이미지 내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 상에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1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2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 상에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연사 촬영을 통해 촬영자가 자연스럽게 포즈를 취할 수 있고 여러 이미지 중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촬영자의 이미지와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촬영자의 이미지와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편집/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프리뷰 영역 및 제2 프리뷰 영역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복수 개의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복수 개의 제2 이미지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프리셋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프리셋 이미지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2 이미지의 편집 모드인 경우의 화면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제2 오브젝트 및 인디케이터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제2 오브젝트 및 인디케이터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거리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및 거리 센싱 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센싱 모듈(142)은 후면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때, 이미지 내 특정 오브젝트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센싱 모듈(142)은, 후면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프리뷰 영역 내 프리뷰 이미지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거리 정보란, 거리 센싱 모듈(142)에서 특정 오브젝트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거리 센싱 모듈(142)은, 오브젝트가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 각각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 하면 상기 리어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을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근접 센서(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으로 구현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센서(1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51)은 사용자 입력부(130)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이 될 수 도 있고, 수신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후면 카메라(121'), 전면 카메라(121), 제어부(180),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이부(151), 거리 센싱 모듈(142), 메모리(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서 상기 나열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이하, 편의상 후면 카메라(121')는 제 1 카메라로, 전면 카메라(121)는 제 2 카메라로 각각 칭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모듈들을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카메라(121')는 제1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제1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부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카메라(121')는 촬영 대상(제3자 또는 배경)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제2 카메라(121)는 제2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제2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부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카메라(121)는 촬영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촬영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1 카메라(121')를 통해 제1 이미지를 획득함과 동시에, 제2 카메라(121)를 통해 제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1)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카메라(121)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2 카메라(121)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촬영 명령이 수신된 경우, 기설정된 시간 동안 피사체를 연사 촬영하여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제3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본인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3자를 촬영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포즈를 취하거나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 카메라(121)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포즈를 취하는 시간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 및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에 서로 중첩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가 상기 제1 이미지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재촬영 명령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카메라(121')가 제1 이미지를 재 획득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카메라(121)가 제2 이미지를 재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카메라(121)가 제2 이미지를 1회 또는 복수 회 재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이미지에 복수 개의 설정 조건이 각각 적용된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조건이 적용되기 전의 상기 제2 이미지는, 제2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된 제2 이미지가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2 이미지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121')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에서 제1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브젝트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제3자와 대응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오브젝트는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오브젝트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제3자가 여러 명일 경우, 각각의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일 수 있다. 단, 상기 제1 오브젝트는 반드시 사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이 들고 있는 특정 물건, 사람과 연결되어 있는 특정 사물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2 카메라(121)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에서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브젝트란, 상기 제3자를 촬영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와 대응될 수 있다. 단, 상기 제2 오브젝트는 반드시 사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이 들고 있는 특정 물건, 사람과 연결되어 있는 특정 사물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이미지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된다는 의미는, 제2 오브젝트의 전체가 제1 이미지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제2 오브젝트의 일부만이 제1 이미지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오브젝트의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후자의 경우, 제1 이미지와 제2 오브젝트가 합성된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오브젝트의 나머지 일부는 보이지 않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오브젝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크기란, 오브젝트의 특정 부분의 폭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사람의 얼굴 영역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이미지로부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알고리즘, 추출된 오브젝트에서 얼굴 영역을 인식하는 알고리즘 등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감지(detect)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란,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제1 이미지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오브젝트가 제1 이미지 내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쪽에 치우쳐 있는지, 제1 이미지 내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상/하/좌/우 에 빈 공간이 얼마나 있는지 등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가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 각각의 크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서브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 또는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 각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 내에서 상기 제2 오브젝트가 위치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영역을 각각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이미지 내에서 제2 오브젝트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는 후보 영역을 사용자에게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거리 센싱 모듈(142)은 제1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 제1 이미지 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센싱 모듈(142)은, 제1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할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프리뷰 영역 내 프리뷰 이미지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오브젝트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오브젝트의 거리 정보란, 거리 센싱 모듈(152)에서 제1 오브젝트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거리 센싱 모듈(142)은, 상기 제1 오브젝트가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 각각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오브젝트와 매칭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 각각의 거리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 별로 매칭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거리 센싱 모듈(142)은 제어부(18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 또한, 제어부(18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상기 제2 오브젝트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거리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오브젝트와 접하는 제1 오브젝트의 전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상에 상기 제2 오브젝트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거리 설정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미지 내 제1 오브젝트의 거리 정보를 메모리(160)로부터 액세스하고, 상기 액세스된 제1 오브젝트의 거리 정보와 상기 수신된 거리 설정 명령에 의한 제2 오브젝트의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오브젝트와 접하는 제1 오브젝트의 전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전후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에 오버레이될 제2 오브젝트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브젝트는, 상기 결정된 전후 관계에 따라, 제1 이미지 상에 제2 오브젝트의 전부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제1 이미지 상에 제2 오브젝트의 일부만이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오브젝트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오브젝트에 의해 가려져서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의 전후 관계를 결정하여 제1 이미지 상에 제2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카메라(121')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 및 제2 카메라(121)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프리뷰 모드에서. 제1 프리뷰 이미지 및 제2 프리뷰 이미지로부터 제1 오브젝트 및 제2 오브젝트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를 제1 프리뷰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2 오브젝트가 위치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영역을 각각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등, 프리뷰 모드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프리뷰 영역 및 제2 프리뷰 영역의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1 프리뷰 이미지(311)를 출력하는 제1 프리뷰 영역(310) 및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제2 프리뷰 이미지(322)를 출력하는 제2 프리뷰 영역(320)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프리뷰 영역(320)은, 사용자가 제2 프리뷰 영역(320)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프리뷰 영역(310)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리뷰 영역(320)은, 사용자가 제2 프리뷰 영역(320)의 외곽 프레임을 두 부분에서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프리뷰 영역(310) 및 제2 프리뷰 영역(320)은,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비율로 화면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프리뷰 영역(310) 및 제2 프리뷰 영역(320)의 비율은, 기 설정된 비율 모드들 중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제1 프리뷰 영역(310) 또는 제2 프리뷰 영역(320)을 사용자가 터치 및 드래그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카메라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카메라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예시들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복수 개의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4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촬영 명령이 감지되면, 제1 카메라에서 제1 이미지(410)를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제2 카메라에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이미지(4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제3자 및 배경)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4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자신에 대한 이미지이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가 획득되는 동안 원하는 포즈를 취하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는 제1 이미지(4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는 제1 이미지(410) 상에 각각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나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제2 이미지(예를 들어, 422)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4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401)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이미지(예를 들어, 422)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4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예를 들어, 422)의 주변에는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 중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제2 이미지(422)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422)의 주변에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422)와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제2 영역(4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전이라면, 상기 제2 영역(402)에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 중에서 첫 번째로 나열된 제2 이미지(421)와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402) 내에 위치하는 저장 버튼(S)을 선택하면, 상기 제2 영역(402) 내에 있는 제2 이미지(예를 들어, 422)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 이외의 제2 이미지들(421, 423, 424 등)은 화면에서 제거되어 도 6의 (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4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4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4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402)은, 사용자가 제2 영역(4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부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 입력부(130)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복수 개의 제2 이미지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4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촬영 명령이 감지되면, 제1 카메라에서 제1 이미지(410)를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제2 카메라에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이미지(4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촬영 대상(제3자 및 배경)에 대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이미지(420)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자신에 대한 이미지이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가 획득되는 동안 원하는 포즈를 취하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제1 이미지(4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401)에 디스플레이되고,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4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는 상기 제2 영역(402) 내에서 서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일 처음 획득된 제2 이미지(421)가 가장 아래에 배치되고, 두 번째 획득된 제2 이미지(422)가 상기 제2 이미지(421)의 위에 상기 제2 이미지(421)의 일부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세 번째 획득된 제2 이미지(423)가 상기 제2 이미지(422)의 위에 상기 제2 이미지(422)의 일부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배치 순서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를 서로 조금씩 시프트된 상태로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가 존재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402) 내에서 제일 위에 배치된 제2 이미지(423)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제2 이미지(423)의 바로 밑에 배치되었던 제2 이미지(422)를 제일 위에 배치하고 상기 터치된 제2 이미지(423)를 제일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의 순서를 재 배열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재 배열 순서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제2 이미지(420)에 대한 터치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영역(402) 내의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를 재 배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402) 내에 위치하는 저장 버튼(S)을 선택하면, 상기 제2 영역(402) 내에서 제일 위에 배치된 제2 이미지(예를 들어, 423)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 이외의 제2 이미지들(421, 422, 424 등)은 화면에서 제거되어 도 6의 (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4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4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4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402)은, 사용자가 제2 영역(4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는 선택적으로 재 촬영될 수도 있다. 이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4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4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4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이미지(4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401)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이미지(4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4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영역(401)과 제2 영역(402)에 재촬영 버튼(403, 404)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재촬영 버튼(403)을 선택하면 제1 카메라는 프리뷰 모드로 돌아가고,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프리뷰 이미지가 제1 영역(401)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재촬영 명령이 감지되면, 제1 카메라가 제1 이미지를 재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를 제1 영역(40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는, 사용자가 재촬영 버튼(404)을 선택하면 제2 카메라는 프리뷰 모드로 돌아가고,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프리뷰 이미지가 제2 영역(402)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재촬영 명령이 감지되면, 제2 카메라가 제2 이미지를 1회 또는 복수 회 재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여, 상기 획득된 제2 이미지를 제2 영역(402)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획득된 제2 이미지를 상기 제1 영역(401)에 제1 이미지(410)와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이미지(410) 또는 제2 이미지(420) 중에서 마음에 들지 않는 이미지만 선택하여 재촬영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제2 이미지가 1회 획득되거나,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제1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를 재촬영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5 및 도 6과 같이 복수 개의 제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도 제1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를 재촬영 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410) 및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촬영 버튼(403) 또는 재촬영 버튼(404)을 선택하여 제1 이미지(410) 또는 제2 이미지(420)를 재촬영 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410) 및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촬영 버튼(403) 또는 재촬영 버튼(404)을 선택하여 제1 이미지(410) 또는 제2 이미지(420)를 재촬영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재촬영 버튼(404)을 선택하면, 복수 개의 제2 이미지(420)가 모두 제거되고 제2 카메라를 통해 제2 이미지가 1회 또는 복수 회 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와 독립적으로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를 편집하는 예시들을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프리셋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510), 및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에, 복수 개의 설정 조건이 각각 적용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상기 설정 조건이란, 명암, 밝기, 채도, 분위기, 이미지의 크기, 이미지의 기울기 등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모든 종류의 사진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에 제1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1 프리셋 이미지(521), 상기 제2 이미지에 제2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2 프리셋 이미지(522), 상기 제2 이미지에 제3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3 프리셋 이미지(523), 상기 제2 이미지에 제4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4 프리셋 이미지(5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셋 이미지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설정 조건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리셋 이미지(521)는 상기 제2 이미지를 오른쪽으로 90° 회전하는 설정 조건이 적용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프리셋 이미지(521)는 상기 제2 이미지를 왼쪽으로 90° 회전하는 설정 조건이 적용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3 프리셋 이미지(523)는 상기 제2 이미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설정 조건이 적용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4 프리셋 이미지(524)는 상기 제2 이미지를 180° 회전하는 설정 조건이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1 이미지(5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1 이미지(510) 상에 각각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나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예를 들어, 524)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를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5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4 프리셋 이미지(524)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5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예를 들어, 524)의 주변에는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네 번째 위치하는 제4 프리셋 이미지(524)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4 프리셋 이미지(524)의 주변에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제4 프리셋 이미지(524)와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제2 영역(5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전이라면, 상기 제2 영역(502)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첫 번째로 나열된 제1 프리셋 이미지(521)와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502) 내에 위치하는 저장 버튼(S)을 선택하면, 상기 제2 영역(502) 내에 있는 제4 프리셋 이미지(524)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 이외의 프리셋 이미지들(521, 522, 523 등)은 화면에서 제거되어 도 10의 (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5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5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5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502)은, 사용자가 제2 영역(5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이의하면, 사용자가 제2 이미지에 수동으로 설정 조건을 각각 적용하는 것 이외에, 복수 개의 설정 조건이 각각 적용된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를 나열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5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5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이미지(520)의 임의의 영역을 소정 시간 이상 롱 프레스(long press)하는 경우, 제2 이미지(520)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503)가 표시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소정 시간 이상 터치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이미지(520) 내 또는 제2 이미지(520)의 주변에 상기 인디케이터(50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인디케이터(503)를 터치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제2 이미지(520)의 회전 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510) 및 상기 제2 이미지(520)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1 프리뷰 이미지(510)를 제1 프리뷰 영역(501)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2 프리뷰 이미지(520)를 제2 프리뷰 영역(5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프리뷰 영역(502)을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 프리뷰 영역(502)의 주변에 인디케이터(50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프리셋 이미지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510), 및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에, 복수 개의 설정 조건이 각각 적용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상기 설정 조건이란, 명암, 밝기, 채도, 분위기, 이미지의 크기, 이미지의 기울기 등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모든 종류의 사진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에 제1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1 프리셋 이미지(521), 상기 제2 이미지에 제2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2 프리셋 이미지(522), 상기 제2 이미지에 제3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3 프리셋 이미지(523), 상기 제2 이미지에 제4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4 프리셋 이미지(5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셋 이미지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설정 조건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리셋 이미지(521)는 상기 제2 이미지에 제1 확대/축소 비율이 적용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2 프리셋 이미지(522)는 상기 제2 이미지에 제2 확대/축소 비율이 적용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3 프리셋 이미지(523)는 상기 제2 이미지에 제3 확대/축소 비율이 적용된 이미지이고, 상기 제4 프리셋 이미지(524)는 상기 제2 이미지에 제4 확대/축소 비율이 적용된 이미지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1 이미지(5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1 이미지(510) 상에 각각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나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예를 들어, 523)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를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5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3 프리셋 이미지(523)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5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예를 들어, 523)의 주변에는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세 번째 위치하는 제3 프리셋 이미지(523)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3 프리셋 이미지(523)의 주변에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제3 프리셋 이미지(523)와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제2 영역(5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전이라면, 상기 제2 영역(502)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첫 번째로 나열된 제1 프리셋 이미지(521)와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502) 내에 위치하는 저장 버튼(S)을 선택하면, 상기 제2 영역(502) 내에 있는 제3 프리셋 이미지(523)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 이외의 프리셋 이미지들(521, 522, 524 등)은 화면에서 제거되어 도 12의 (b)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5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5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5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502)은, 사용자가 제2 영역(5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2 이미지에 수동으로 설정 조건을 각각 적용하는 것 이외에, 복수 개의 설정 조건이 각각 적용된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를 나열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5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5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5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이미지(5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5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5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5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5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502)은, 사용자가 제2 영역(5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영역(501) 및 제2 영역(502) 내에 편집 버튼(E1, E2)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501) 내의 편집 버튼(E1)을 선택하여 제1 이미지(510)를 편집할 수 있고, 제2 영역(502) 내의 편집 버튼(E2)을 선택하여 제2 이미지(520)를 편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이미지(510) 및 제2 이미지(520)를 개별적으로 편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2 이미지의 편집 모드인 경우의 화면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13의 화면은, 도 12에서 제2 이미지(520)의 편집 버튼(E2)이 선택된 이후의 화면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510), 및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에, 복수 개의 설정 조건이 각각 적용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상기 설정 조건이란, 명암, 밝기, 채도, 분위기, 이미지의 크기, 이미지의 기울기 등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모든 종류의 사진 편집 기능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에 제1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1 프리셋 이미지(521), 상기 제2 이미지에 제2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2 프리셋 이미지(522), 상기 제2 이미지에 제3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3 프리셋 이미지(523), 상기 제2 이미지에 제4 설정 조건이 적용된 제4 프리셋 이미지(5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셋 이미지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설정 조건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 조건 내지 제4 설정 조건 각각은, 상기 사진 편집 기능에 포함된 복수 개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조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설정 조건은, 상기 제2 이미지에서 명암, 채도 및 분위기를 모두 변경하는 조건일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사용자가 그 동안 상기 제2 이미지를 편집하였던 히스토리를 보여주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편집 기능을 적용하여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편집 히스토리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를 한꺼번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 동안의 편집 히스토리를 한 눈에 파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편집 히스토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1 이미지(5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는 제1 이미지(510) 상에 각각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나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예를 들어, 522)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마음에 드는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를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5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501)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프리셋 이미지(521)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5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리셋 이미지(예를 들어, 522)의 주변에는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제2 프리셋 이미지(522)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2 프리셋 이미지(522)의 주변에 하이라이트 영역(H)이 표시되고, 상기 선택된 제2 프리셋 이미지(522)와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제2 영역(5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전이라면, 상기 제2 영역(502)에는 복수 개의 프리셋 이미지(520) 중에서 첫 번째로 나열된 제1 프리셋 이미지(521)와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502) 내에 위치하는 저장 버튼(S)을 선택하면, 상기 제2 영역(502) 내에 있는 제2 프리셋 이미지(522)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그 이외의 프리셋 이미지들(521, 523, 524)은 화면에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에서 오브젝트가 각각 추출되고, 추출된 오브젝트들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6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6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6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601)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6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6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602) 중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6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602)은, 사용자가 제2 영역(6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610) 내 제1 오브젝트(A)를 추출하고, 제2 이미지(620)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한다. 제1 이미지(610) 내에 오브젝트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초점이 가장 선명하게 맞는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A)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제1 이미지(610) 내 복수 개의 오브젝트를 추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A)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에서 얼굴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얼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얼굴 영역의 폭과 소정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는, 제2 이미지(620) 자체의 크기 조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제1 이미지(610)와 제2 이미지(620)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610) 및 상기 제2 이미지(620)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1 프리뷰 이미지(610)를 제1 프리뷰 영역(601)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2 프리뷰 이미지(620)를 제2 프리뷰 영역(6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프리뷰 이미지(610)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제1 오브젝트(A)로 추출하고, 제2 프리뷰 이미지(620)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제2 오브젝트(B)로 추출할 수 있고, 그 후,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오브젝트(A)의 크기에 따라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6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6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6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601)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6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6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6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6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602)은, 사용자가 제2 영역(6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610) 내 제1 오브젝트(A)를 추출하고, 제2 이미지(620)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한다. 제1 이미지(610) 내에 오브젝트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초점이 가장 선명하게 맞는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A)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제1 이미지(610) 내 복수 개의 오브젝트를 추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A)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오브젝트(B)에서 얼굴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얼굴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얼굴 영역의 폭과 소정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는, 제1 이미지(610)를 줌 인(zoom-in) 또는 줌 아웃(zoom-out) 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제1 이미지(610)와 제2 이미지(620)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610) 및 상기 제2 이미지(620)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1 프리뷰 이미지(610)를 제1 프리뷰 영역(601)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2 프리뷰 이미지(620)를 제2 프리뷰 영역(6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프리뷰 이미지(610)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제1 오브젝트(A)로 추출하고, 제2 프리뷰 이미지(620)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제2 오브젝트(B)로 추출할 수 있고,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제2 오브젝트(B)의 크기에 따라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에서 제2 오브젝트가 추출되고, 상기 추출된 오브젝트만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와 합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7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7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7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7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701)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이미지(7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7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7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7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7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7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7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720)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710) 및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제1 이미지(7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오브젝트(B)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이미지(710)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이미지(720) 중에서 제2 오브젝트(B)만을 추출하여 제1 이미지(710)와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이미지(710)와 제2 오브젝트(B)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710)와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720)를 디스플레이할 때,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부터 제1 이미지(710)와 제2 오브젝트(B)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710) 및 상기 제2 이미지(720)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1 프리뷰 이미지(710)를 제1 프리뷰 영역(701)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카메라가 프리뷰 모드에서 획득한 제2 프리뷰 이미지(720)를 제2 프리뷰 영역(70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2 프리뷰 이미지(720)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을 제2 오브젝트(B)로 추출할 수 있고, 그 후, 이동 단말기(100)는 제1 프리뷰 이미지(720)와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프리뷰 모드의 처음부터, 제1 프리뷰 이미지(710)와 제2 오브젝트(B)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다른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7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7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7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7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701)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이미지(7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7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7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7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7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7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7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710) 내 제1 오브젝트(A)를 추출하고, 제2 이미지(720)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한다. 제1 이미지(710) 내에 오브젝트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초점이 가장 선명하게 맞는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A)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제1 이미지(710) 내 복수 개의 오브젝트를 추출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A)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710) 및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제1 이미지(7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에서 얼굴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얼굴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얼굴 영역의 폭과 소정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오브젝트(B)에서 얼굴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얼굴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얼굴 영역의 폭과 소정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는, 제1 이미지(710)를 줌 인(zoom-in) 또는 줌 아웃(zoom-out) 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오브젝트(B)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이미지(710)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이미지(720) 중에서 제2 오브젝트(B)만을 추출하여 제1 이미지(710)와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제1 이미지(710)와 제2 오브젝트(B)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710)와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720)를 디스플레이할 때,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부터 제1 이미지(710)와 제2 오브젝트(B)만을 디스플레이하되,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한 상태로 제1 이미지(710)와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710) 및 상기 제2 이미지(720)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이미지(710) 및 상기 제2 이미지(720)가 프리뷰 이미지인 경우의 설명은 도 14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제2 오브젝트 및 인디케이터의 일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8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 내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8 및 도 19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제1 이미지(810) 내 제1 오브젝트(A)를 추출하고, 제2 이미지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하여, 제1 이미지(810) 상에 제2 오브젝트(B)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조절된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오브젝트(A)의 위치 정보를 감지(detect)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위치 정보란, 상기 제1 오브젝트(A)가 제1 이미지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1 오브젝트(A)가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쪽에 치우쳐 있는지,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제1 오브젝트(A)의 상/하/좌/우 에 빈 공간이 얼마나 있는지 등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위치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영역을 각각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위치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영역을 각각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위치하기에 알맞은 후보 영역이 한 곳인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인디케이터(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위치하기에 알맞은 후보 영역이 두 곳 이상인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인디케이터(I1, I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I)가 지시하는 후보 영역에 상기 제2 오브젝트(B)를 상기 제1 이미지(810)와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는 후보 영역을 사용자에게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사용자는, 인디케이터(I)가 지시하는 후보 영역에 반드시 제2 오브젝트(B)를 위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제2 오브젝트(B)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이미지(8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810)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9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92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이미지(920)는 제2 카메라에서 1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 또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회 촬영에 의해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91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1 영역(901)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 이미지(92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상의 제2 영역(90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9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902)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영역(901)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902)은, 사용자가 상기 제2 영역(902)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910) 내 제1 오브젝트(A)를 추출하고, 제2 이미지(920)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한다. 상기 제1 오브젝트(A)는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제3자가 여러 명일 경우, 각각의 사람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미지(910) 및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적어도 일부가 제1 이미지(9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 내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얼굴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얼굴 영역의 폭이 상기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얼굴 영역의 폭과 소정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오브젝트(B)에서 얼굴 영역의 폭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오브젝트(A) 내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얼굴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얼굴 영역의 폭과 소정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브젝트(A)의 크기는, 제1 이미지(910)를 줌 인(zoom-in) 또는 줌 아웃(zoom-out) 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얼굴 영역의 폭이란, 상기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얼굴 영역의 폭의 평균값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오브젝트(B) 내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이미지(910) 상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사용자가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외곽 프레임의 두 부분을 터치하여 안팎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이미지(920) 중에서 제2 오브젝트(B)만을 추출하여 제1 이미지(910)와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제1 이미지(910)와 제2 오브젝트(B)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1 이미지(910)와 제2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제2 이미지(920)를 디스플레이할 때,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부터 제1 이미지(910)와 제2 오브젝트(B)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한 상태로 제1 이미지(910)와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910) 및 상기 제2 이미지(920)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제2 오브젝트 및 인디케이터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102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 내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1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가 제1 이미지(1010) 내 제1 오브젝트(A)를 추출하고, 제2 이미지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하여, 제1 이미지(1010) 상에 제2 오브젝트(B)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오브젝트(A)는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크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서브 오브젝트(A1과 A2, A2와 A3, A3와 A4, 또는 A4와 A5)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위치 정보란, 각각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가 제1 이미지(1010)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와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가 제1 이미지(1010) 내에서 상/하/좌/우 중 어느 쪽에 치우쳐 있는지, 제1 이미지(1010) 내에서 각각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의 상/하/좌/우 에 빈 공간이 얼마나 있는지 등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10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위치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영역을 각각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오브젝트(A)의 감지 결과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10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위치할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영역을 각각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1에서는, 세 개의 인디케이터(I1, I2, I3)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I)가 지시하는 후보 영역에 상기 제2 오브젝트(B)를 상기 제1 이미지(1010)와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이미지(10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는 후보 영역을 사용자에게 제안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물론, 사용자는, 인디케이터(I)가 지시하는 후보 영역에 반드시 제2 오브젝트(B)를 위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제2 오브젝트(B)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1 이미지(1010) 내에서 제2 오브젝트(B)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1010)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이미지 및 제2 오브젝트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810) 및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이미지 내 제2 오브젝트(B)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2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1 이미지(1110) 내 제1 오브젝트(A)를 추출하고, 제2 이미지 내 제2 오브젝트(B)를 추출하여, 제1 이미지(1110) 상에 제2 오브젝트(B)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오브젝트(A)는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오브젝트(A)와 제2 오브젝트(B)의 크기를 비슷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제2 오브젝트(B)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된다는 의미는,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브젝트(B)의 전체가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오브젝트(B)의 일부만이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오브젝트(B)의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후자의 경우, 제1 이미지(1110)와 제2 오브젝트(B)가 합성된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나머지 일부는 보이지 않게 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1 이미지(1110)를 획득할 때, 제1 이미지(1110) 내 제1 오브젝트(A)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거리 센싱 모듈(142)은, 제1 카메라를 사용하여 제1 이미지(1110)를 획득할 때,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프리뷰 영역 내 프리뷰 이미지에서 초점이 맞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오브젝트(A)에 대한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오브젝트(A)의 거리 정보란, 거리 센싱 모듈에서 제1 오브젝트(A)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거리 센싱 모듈은, 상기 제1 오브젝트(A)가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오브젝트(A)와 매칭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브젝트(A)가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각각의 거리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오브젝트(A1 내지 A5) 별로 매칭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 설정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G)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G)는 사용자로부터 거리 설명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G)를 통해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거리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오브젝트(B)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와 접하는 제1 오브젝트(A)의 전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오브젝트(B)를, 제1 오브젝트(A) 내 제1 서브 오브젝트(A1)의 좌측에 배치하였다고 가정하자.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제1 서브 오브젝트(A1)의 좌측에 위치하되, 제1 서브 오브젝트(A1)와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2 오브젝트(B)를 제1 오브젝트(A) 내 제1 서브 오브젝트(A1)의 좌측에 임의로 배치하였을 수도 있고, 도 2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I)가 지시하는 후보 영역 중 하나에 상기 제2 오브젝트(B)를 배치하였을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G) 내 포인터(P)를 터치하여 좌우로 드래그함으로써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G) 상에서 포인터(P)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거리 센싱 모듈과 제1 오브젝트(A) 사이의 거리의 상대적인 관점에서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P)가 그래픽 인터페이스(G) 상에서 0에 위치하면,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는, 상기 제1 오브젝트(A)로부터 거리 센싱 모듈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거리 센싱 모듈로부터 가깝게 설정된다. 또는, 포인터(P)가 그래픽 인터페이스(G) 상에서 100에 위치하면,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는, 상기 제1 오브젝트(A)로부터 거리 센싱 모듈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거리 센싱 모듈로부터 먼 거리로 설정된다. 또는, 포인터(P)가 그래픽 인터페이스(G) 상에서 0과 100 사이에 위치하면,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는, 제1 오브젝트(A) 중 거리 센싱 모듈에 가장 가까운 제1 서브 오브젝트(A1)로부터 거리 센싱 모듈까지의 거리와, 제1 오브젝트(A) 중 거리 센싱 모듈로부터 가장 먼 제5 서브 오브젝트(A5)로부터 거리 센싱 모듈까지의 거리 사이의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포인터(P)의 위치를 그래픽 인터페이스(G) 상에서 0에 가깝게 위치시킴으로써, 거리 센싱 모듈과의 거리 관점에서, 제2 오브젝트(B)를 제1 서브 오브젝트(A1)보다 앞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거리 설정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오브젝트(B)와 접하는 제1 오브젝트(A)의 부분(예를 들어, 제1 서브 오브젝트(A1))의 거리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액세스하고, 상기 액세스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B)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와 접하는 제1 서브 오브젝트(A1)의 전후 관계를 결정한다. 도 22의 (a)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오브젝트(B)가 제1 서브 오브젝트(A1)보다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전후 관계에 따라, 제1 이미지(1110)에 오버레이될 제2 오브젝트(B)의 범위를 결정하며, 도 22의 (a)에서는 제2 오브젝트(B)의 전체 범위가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오브젝트(B)를, 제1 오브젝트(A) 내 제3 서브 오브젝트(A3)와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사이에 배치하였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제3 서브 오브젝트(A3)와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사이는 수평적 관점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오브젝트(B)는 제3 서브 오브젝트(A3)와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사이에 위치하되, 제3 서브 오브젝트(A3) 및 제4 서브 오브젝트(A4)와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2 오브젝트(B)를 제1 오브젝트(A) 내 제3 서브 오브젝트(A3)와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사이에 임의로 배치하였을 수도 있고, 도 2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I)가 지시하는 후보 영역 중 하나에 상기 제2 오브젝트(B)를 배치하였을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G) 내 포인터(P)를 터치하여 좌우로 드래그함으로써 제2 오브젝트(B)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P)의 위치를 그래픽 인터페이스(G) 상에서 0과 100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시킴으로써, 거리 센싱 모듈(142)과의 거리 관점에서, 제2 오브젝트(B)를 제3 서브 오브젝트(A3)와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오브젝트(B)의 거리 설정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오브젝트(B)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와 접하는 제1 오브젝트(A)의 부분(예를 들어, 제3 서브 오브젝트(A3) 및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거리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액세스하고, 상기 액세스된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B)와, 상기 제2 오브젝트(B)와 접하는 제3 서브 오브젝트(A3) 및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전후 관계를 결정한다. 도 22의 (b)의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오브젝트(B)가 제3 서브 오브젝트(A3)와 제4 서브 오브젝트(A4)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후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전후 관계에 따라, 제1 이미지(1110)에 오버레이될 제2 오브젝트(B)의 범위를 결정하며, 도 22의 (b)에서는 제2 오브젝트(B)의 일부만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고 제2 오브젝트(B)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지 않는 제2 오브젝트(B)의 나머지 일부란 제3 서브 오브젝트(A3)에 의해 가려져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이미지(11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제2 오브젝트(B)를 위치시킨 후, 그래픽 인터페이스(G) 상에서 포인터(P)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되는 제2 오브젝트(B)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오브젝트(B) 및 상기 제2 오브젝트(B)와 접하는 제1 오브젝트(A)의 전후 관계를 결정하여 제2 오브젝트(B)의 적어도 일부를 제1 이미지(1110)와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이미지(1110)와 제2 오브젝트(B)가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에서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S1201), 제2 카메라에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한다(S1202).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단계(S1201) 및 단계(S1202)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획득된 제1 이미지 및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203). 그리고,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이미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이 수신되면(S1204),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선택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S1205).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에서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S1301), 제2 카메라에서 제2 이미지를 획득한다(S1302).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단계(S1301) 및 단계(S1302)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제2 이미지 내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한다(S1303).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카메라에서 복수 개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2 이미지에서 제2 오브젝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추출된 제2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304).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2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이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1 이미지에서 제1 오브젝트를 추출하고(S1401), 상기 추출된 제1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S1402).
그 후,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이미지 내에서 제2 오브젝트가 위치할 후보 영역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403).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수신한다(S1404).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가 지시하는 후보 영역에 제2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S1405). 상기 제2 오브젝트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이미지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일 예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 내 제1 오브젝트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한다(S1501).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거리 정보를 상기 제1 오브젝트와 매칭시켜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1502).
그 후,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2 오브젝트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 설정 명령을 감지한다(S1503).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오브젝트와 접하는 제1 오브젝트의 전후 관계를 결정한다(S1504).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결정된 전후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에 오버레이될 제2 오브젝트의 범위를 결정한다(S15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동작 흐름도)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180: 제어부

Claims (20)

  1. 이동단말기의 제 1 면에 구비된 제1 카메라;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 2 면에 구비된 제2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및
    제 1 카메라가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제 2 카메라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제 1 이미지로부터 제 1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제 1 오브젝트는 제 1 서브 오브젝트 및 제 2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함-,
    제 2 이미지로부터 제 2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제 1 서브 오브젝트가 제 2 오브젝트의 일부분 위에 오버레이되고 제 2 오브젝트가 제 2 서브 오브젝트의 일부분 위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오브젝트를 제 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 및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이동단말기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거리 센싱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 1 오브젝트와 매칭되도록 상기 거리 정보를 저장하고,
    제 2 오브젝트 및 상기 이동 단말기 간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거리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거리 설정 명령에 반응하여, 제 2 오브젝트 및 상기 이동단말기 간의 설정 거리에 기반하여 제 2 오브젝트 및 제 2 오브젝트와 접촉하는 제 1 오브젝트 간의 순서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순서 관계에 따라서, 제 1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되는 제 2 오브젝트의 범위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이동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면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이고, 제 2 면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면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 2 면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오브젝트의 크기에 따라서 제 2 오브젝트의 사이즈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제 1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오브젝트가 위치할 제 1 이미지 상의 영역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오브젝트는, 제 1 서브 오브젝트 및 제 2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들 각각의 사이즈,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들 중 두 개의 인접 오브젝트들 간의 간격,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들 각각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제 2 오브젝트가 위치할 제 1 이미지 상의 영역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들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제 1 이미지의 영역에서 제 2 오브젝트가 오버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오브젝트는, 제 1 서브 오브젝트 및 제 2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한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들 각각에 매칭되도록 상기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9. 이동단말기의 제 1 카메라를 통해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 2 카메라를 통해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 제 1 이미지로부터 제 1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제 1 오브젝트는 제 1 서브 오브젝트 및 제 2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함-,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 2 이미지로부터 제 2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제 1 서브 오브젝트가 제 2 오브젝트의 일부분 위에 오버레이되고 제 2 오브젝트가 제 2 서브 오브젝트의 일부분 위에 오버레이되도록 제 2 오브젝트를 제 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거리 센싱 모듈을 통해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이동단말기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오브젝트와 매칭되도록 상기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제 2 오브젝트 및 상기 이동 단말기 간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거리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리 설정 명령에 반응하여, 제 2 오브젝트 및 상기 이동단말기 간의 설정 거리에 기반하여 제 2 오브젝트 및 제 2 오브젝트와 접촉하는 제 1 오브젝트 간의 순서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순서 관계에 따라서, 제 1 이미지 상에 오버레이되는 제 2 오브젝트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97053A 2013-08-16 2013-08-16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47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3A KR102047704B1 (ko) 2013-08-16 2013-08-16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4/260,074 US9621818B2 (en) 2013-08-16 2014-04-23 Mobile terminal having dual cameras to created composite image and method thereof
EP14173060.6A EP2838070B1 (en) 2013-08-16 2014-06-18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0154205.7A EP3667621A1 (en) 2013-08-16 2014-06-18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410282877.4A CN104378534A (zh) 2013-08-16 2014-06-23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053A KR102047704B1 (ko) 2013-08-16 2013-08-16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91A KR20150019791A (ko) 2015-02-25
KR102047704B1 true KR102047704B1 (ko) 2019-12-02

Family

ID=5097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053A KR102047704B1 (ko) 2013-08-16 2013-08-16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21818B2 (ko)
EP (2) EP2838070B1 (ko)
KR (1) KR102047704B1 (ko)
CN (1) CN1043785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0982A (ja) * 2013-02-20 2014-09-0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32541B1 (ko) * 2013-02-26 2019-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KR20150039355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521B1 (ko) * 2013-12-12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SG11201604980RA (en) * 2013-12-25 2016-07-28 Canon Kk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apparatus
KR102170896B1 (ko) * 2014-04-11 202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4699391B (zh) * 2015-04-07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相机的控制方法
CN104793887B (zh) * 2015-04-29 2017-08-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双摄像头控制方法及装置
CN108541371A (zh) * 2015-05-20 2018-09-14 康戈尼迈蒂克斯公司 用于相机校准的方法和装置
US20160381297A1 (en) * 2015-06-26 2016-12-29 Jsc Yukon Advanced Optics Worldwide Providing enhanced situational-awareness using magnified picture-in-picture within a wide field-of-view optical image
KR20170013555A (ko) * 2015-07-28 2017-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643008B2 (ja) * 2015-08-26 2020-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1667736B1 (ko) * 2015-09-25 201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15400B2 (en) * 2015-12-17 2018-07-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capturing an image and associated image capturing method
KR102289837B1 (ko) * 2017-01-06 202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80081918A (ko) * 2017-01-09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촬영 방법
KR102315341B1 (ko) * 2017-03-17 202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의 구성 정보에 대응하는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80278836A1 (en) * 2017-03-23 2018-09-27 Ring Inc.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with Multiple Cameras Having Variable Capture Settings
CN107257439B (zh) * 2017-07-26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CN108174082B (zh) * 2017-11-30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拍摄的方法和移动终端
US11778131B1 (en) * 2018-10-11 2023-10-03 The Jemison Group, Inc. Automatic composite content generation
JP7150591B2 (ja) * 2018-12-25 2022-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DE112019006402T5 (de) 2018-12-25 2021-09-16 Canon Kabushiki Kaisha Elektronische Vorrichtung
US11675494B2 (en) * 2020-03-26 2023-06-13 Snap Inc. Combining first user interface content into second user interface
CN111708475B (zh) * 2020-05-25 2023-02-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虚拟键盘的生成方法和装置
CN111935402B (zh) * 2020-08-11 2022-02-22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图片的拍摄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283741A1 (en) * 2022-03-04 2023-09-07 Qualcomm Incorporated Video calling experience for multiple subjects on a device
US20230368444A1 (en) * 2022-05-13 2023-11-16 Meta Platforms, Inc. Rendering customized video call interfaces during a video ca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044A1 (en) 2003-08-14 2005-02-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synthesizing method
US20120120186A1 (en) 2010-11-12 2012-05-17 Arcsoft, Inc. Front and Back Facing Cameras
US20120198386A1 (en) 2011-01-31 2012-08-02 Nokia Corporation Causing display of thumbnail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7700A1 (en) * 2001-07-03 200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ing a user image in an original image sequence
US20030189647A1 (en) * 2002-04-05 2003-10-09 Kang Beng Hong Alex Method of taking pictures
JP4235541B2 (ja) * 2003-12-15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084482A1 (en) * 2006-10-04 2008-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age-capturing system and method
WO2008047518A1 (fr) * 2006-10-19 2008-04-24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e synthèse d'image, procédé de synthèse d'image, programme de synthèse d'image, circuit intégré
US7855737B2 (en) * 2008-03-26 2010-12-21 Fotonation Ireland Limited Method of making a digital camera image of a scene including the camera user
US20110169987A1 (en) * 2008-09-15 2011-07-14 Gann Robert G Minimally Processing Displayed Images Captured From A Burst
US20100118175A1 (en) * 2008-11-10 2010-05-13 Victor Charles Bruce Imaging Apparatus For Image Integration
JP5235798B2 (ja) * 2009-06-22 2013-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841662A (zh) * 2010-04-16 2010-09-22 华为终端有限公司 移动终端获得相框合成图像的方法及移动终端
KR101674959B1 (ko) * 2010-11-02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KR101701852B1 (ko) * 2010-12-29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814566B2 (ja) 2011-02-28 2015-1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2436342A (zh) * 2011-10-13 2012-05-02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图像预览及处理方法
KR101231469B1 (ko) * 2012-02-23 2013-02-07 인텔 코오퍼레이션 이미지 처리 지원 방법, 장치,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866227B2 (ja) 2012-02-23 2016-02-1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洗浄方法
TWI519155B (zh) * 2012-02-24 2016-01-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影像連續拍攝方法與相關影像擷取系統
US8866943B2 (en) * 2012-03-09 2014-10-21 Apple Inc. Video camera providing a composite video sequence
CN102938825B (zh) * 2012-11-12 2016-03-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拍摄照片和视频的方法及装置
US9137461B2 (en) * 2012-11-30 2015-09-15 Disney Enterprises, Inc. Real-time camera view through drawn region for image capture
US9131284B2 (en) * 2013-01-04 2015-09-08 Omnivision Technologies, Inc. Video-in-video video stream having a three layer video sce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6044A1 (en) 2003-08-14 2005-02-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synthesizing method
US20120120186A1 (en) 2010-11-12 2012-05-17 Arcsoft, Inc. Front and Back Facing Cameras
US20120198386A1 (en) 2011-01-31 2012-08-02 Nokia Corporation Causing display of thumbnail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91A (ko) 2015-02-25
CN104378534A (zh) 2015-02-25
EP2838070A3 (en) 2015-06-10
US20150049234A1 (en) 2015-02-19
EP2838070B1 (en) 2020-03-04
EP3667621A1 (en) 2020-06-17
US9621818B2 (en) 2017-04-11
EP2838070A2 (en)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7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5408B1 (ko) 이동 단말기
CN10860060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31340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7821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43591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770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54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026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1805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17440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950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6331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425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9219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912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5934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122314A (ko) 이동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844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1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49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35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48997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업로드 방법
KR10204061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