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355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355A
KR20150039355A KR20130117825A KR20130117825A KR20150039355A KR 20150039355 A KR20150039355 A KR 20150039355A KR 20130117825 A KR20130117825 A KR 20130117825A KR 20130117825 A KR20130117825 A KR 20130117825A KR 20150039355 A KR20150039355 A KR 20150039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
camera
mobile terminal
guide imag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355A/ko
Priority to US14/489,080 priority patent/US9891706B2/en
Publication of KR2015003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하는 인물의 시선방향을 올바르게 가이드함으로써 양질의 인물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하는 인물의 시선방향을 올바르게 가이드함으로써 양질의 인물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촬영하는 인물의 시선방향을 올바르게 가이드함으로써 양질의 인물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상기 이동 단말기 베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에 근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상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촬영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눈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향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복수의 인물이 촬영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인물 중 상기 시선방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향하지 않는 인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시선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에 근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상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촬영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눈 이미지를 상기 가이드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촬영하는 인물의 시선방향을 올바르게 가이드함으로써 양질의 인물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4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10)를 진행할 수 있다.
피사체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대상일 수 있다. 피사체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이동 단말기(100)의 근방에 있는 다른 사람 중 적어도 한명의 사람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피사체의 이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 121’)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자신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방에 마련된 카메라(121’)를 사용할 수 있고, 타인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방에 마련된 카메라(121)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특별히 언급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방 및 후방의 구분없이 카메라를 도면부호 ‘121’로 표현하기로 한다.
피사체의 시선방향을 감지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 인물의 얼굴이 촬영됨이 통상적이다. 인물의 얼굴이 촬영되는 경우, 인물의 눈이 촬영될 수 있다. 인물의 눈이 촬영되면, 눈동자의 방향 등에 기초하여 피사체인 인물의 시선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를 피사체를 촬영한 카메라에 근접하도록 표시하는 단계(S30) 및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피사체를 보다 좋은 상태로 촬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는, 피사체인 인물이 촬영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이 카메라(121)를 주시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카메라(121)를 쳐다보록 하는 이미지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가이드 이미지를 카메라(121)에 근접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 영역 중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가 위치한 지점에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이드 이미지가 카메라(121)에 근접하도록 표시되면, 사용자가 가이드 이미지를 쳐다보는 동작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카메라(121)를 바라보는 듯한 시선방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이미지를 피사체를 촬영한 카메라에 근접하도록 표시하는 단계(S30)는, 시선방향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선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 눈의 이미지에 대한 영상분석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시선방향이 정상이면, 그 상태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시선방향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계(S33)가 진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황에 따라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인 상태에서 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즉, 포트레이트(Portate) 또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방향으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자세 감지 센서(141) 등을 포함한 센싱부(14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121) 위치에 근접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S35)가 진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 부착된 카메라(121)는 생산 단계에서 그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세로방향으로 파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면(前面)의 우측 상단에, 이동 단말기(100)가 가로방향으로 파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면의 우측 하단에 전면 카메라(121)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파지된 방향에 기초하여 가이드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세로방향으로 파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51)의 우측상단에, 가로방향으로 파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51)의 우측하단에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파지된 방향에 기초하여 가이드 이미지의 우치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인하여, 가이드 이미지를 카메라(121) 위치에 근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가이드하여 양호한 포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하여 사용자(U) 자신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U)는 이동 단말기(100)를 포트레이트 방향인 세로로 파지한 상태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를 세로로 파지한 경우에, 카메라(121)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에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미지(CI)를 미리보기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CI)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눈 부분의 영상을 분석하여 시선방향을 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방향은 제1,2 중심점(CL1, CL2)과 제1,2 눈동자(P1, P2) 간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촬영된 영상 중 눈이미지(EI)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한 눈이미지(EI)에서 좌안과 우안에 대응된 제1,2 눈동자(P1, P2)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제1,2 눈동자(P1, P2)의 위치와 가상의 제1,2 중심점(CL1, CL2)을 비교할 수 있다. 제1,2 눈동자(P1, P2)의 위치가 제1,2 중심점(CL1, CL2)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촬영되는 인물의 시선방향은 카메라(121)를 똑바로 응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의 (b)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눈이미지(EI)에 대한 분석결과 제1,2 눈동자(P1, P2)의 위치가 제1,2 중심점(CL1, CL2)을 기준으로 할 때 일 방향으로 치우칠 수 있다. 제1,2 중심점(CL1, CL2)에서 일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촬영되고 있는 인물의 시선방향이 카메라(121)를 응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CI)에 대한 분석결과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80)는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GI)는, 사용자 이미지(CI)를 촬영하는 카메라(121)에 근접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올바른 경우에는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다. 시선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 가이드 이미지(GI)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무의식적으로 가이드 이미지(GI)의 방향을 응시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GI)는 카메라(121)에 근접된 위치에 표시되므로, 가이드 이미지(GI)를 응시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응시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응시하게 되면, 사용자의 시선방향은 촬영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촬영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80)는 그 순간에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4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적절한 형태로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세로방향으로 파지된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라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한 카메라(121)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세로방향으로 파지된 상태이며 카메라(121)가 베젤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가이드 이미지(GI)를 디스플레이(151)의 우측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의 우측상단에 표시된 가이드 이미지(GI)를 쳐다보는 동작은,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카메라(121)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카메라(121)를 향하면,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가로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로방향으로 회전되면, 카메라(121)의 위치가 우측하단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이미지(GI)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방향으로 있던 이동 단말기(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음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가이드 이미지(GI)를 카메라(1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로방향인 디스플레이(151)의 우측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세로방향으로 있던 이동 단말기(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음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가이드 이미지(GI)를 카메라(1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가로방향인 디스플레이(151)의 좌측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가이드 이미지를 카메라(121)의 방향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ID)로 표현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ID)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시선방향이 올바른 경우에는 인디케이터(ID)를 표시하지 않고, 시선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만 인디케이터(ID)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디케이터(ID)는 화살표 형태 등일 수 있다. 화살표 형태 등의 인디케이터(ID)는, 카메라(121)가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가를 사용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다. 인디케이터(ID)의 표시로 인하여 카메라(121)의 위치를 재인식하게 된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올바르게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받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사진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다수의 인물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인물(U1, U2)에 대한 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복수의 인물(U1, U2)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180)는 각 인물(U1, U2)의 시선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인물(U1, U2)의 시선방향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80)는 각자에 대응된 복수의 가이드 이미지(GI1, GI2)를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이미지(GI1, GI2)은, 카메라(121)에 근접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인물(U1, U2) 중 일부의 시선방향이 올바르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올바르지 않은 시선방향을 취하고 있는 인물에 대해서만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물(U1)의 시선방향은 올바르지만, 제2 인물(U2)의 시선방향은 올바르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인물(U2)에 대한 제2 가이드 이미지(GI2)를 카메라(121)에 근접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촬영되고 있는 인물의 입모양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이미지(GI)는, 제1 가이드 이미지(GI1)와 제2 가이드 이미지(GI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이미지(GI1)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기초한 가이드 이미지(GI)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이미지(GI2)는, 사용자의 입모양에 기초한 가이드 이미지(G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을 촬영할 때 사용자의 입모양이 웃는 모양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모양이 적절하지 않은경우에 이를 알려주는 제2 가이드 이미지(GI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21, 121’)로 복수의 인물(U1, U2)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전면카메라((121’)와 후면카메라(12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카메라(121’)를 통해서는 제1 인물(U1)이 촬영되고, 후면카메라(121)를 통해서는 제2 인물(U2)이 동시에 촬영될 수 있다. 제1,2 인물(U1, U2)에 대한 동시촬영이 이루어지면, 동시촬영된 이미지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2 인물(U1, U2)이 같은 방향을 응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물(U2)은 특정 지점(EP)을 응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2 인물(U2) 시선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인물(U2)의 시선방향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제1 인물(U1)도 동일한 방향을 응시하도록 하는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인물(U2)의 시선방향에 따라 가이드 이미지(GI)를 다른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점(EP)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변경되면, 가이드 이미지(GI)는 디스플레이(151)의 좌측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인물(U1)이 제2 인물(U2)과 동일한 지점을 응시하지 않는 경우에만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적절하지 않은 방향을 응시하는 제1 인물(U1)의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가이드 이미지(GI)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12)

  1.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상기 이동 단말기 베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에 근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상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촬영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눈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향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복수의 인물이 촬영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인물 중 상기 시선방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향하지 않는 인물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시선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에 근접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시선방향이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위치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상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촬영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눈 이미지를 상기 가이드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30117825A 2013-10-02 2013-10-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9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825A KR20150039355A (ko) 2013-10-02 2013-10-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489,080 US9891706B2 (en) 2013-10-02 2014-09-1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825A KR20150039355A (ko) 2013-10-02 2013-10-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55A true KR20150039355A (ko) 2015-04-10

Family

ID=5273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825A KR20150039355A (ko) 2013-10-02 2013-10-02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1706B2 (ko)
KR (1) KR201500393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160A (ko) 2017-01-11 2019-08-28 유겐가이샤 루미에루 유해동물 기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2317A (ja) * 2014-01-30 2015-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6294911B (zh) 2015-06-04 2019-09-10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及用户设备
CN106296796B (zh) 2015-06-04 2019-08-13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及用户设备
CN106293031B (zh) * 2015-06-04 2019-05-2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及用户设备
US20170094159A1 (en) * 2015-09-24 2017-03-30 The Eye Tribe Method for initiating photographic image capture using eyegaze technology
KR20180068127A (ko) * 2016-12-13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937045B (zh) * 2017-02-23 2020-08-14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预览图像的显示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80098881A (ko) * 2017-02-27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047028A1 (zh) * 2017-09-05 2019-03-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界面显示方法、装置及终端
US11265460B2 (en) * 2017-09-20 2022-03-01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19113928A (ja) * 2017-12-21 2019-07-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08829242A (zh) * 2018-05-22 2018-11-16 深圳奥比中光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及其非触控式操作方法
US10924659B1 (en) * 2019-02-26 2021-02-1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capture and stimulus features
US20210405865A1 (en) * 2020-06-26 2021-12-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positioning of content views based on a camera position relative to a display screen
US11792506B2 (en) * 2022-02-09 2023-10-1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defining an image orientation of captured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8387B2 (ja) * 2002-10-24 2007-07-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4717766B2 (ja) * 2006-09-14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画像表示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20080165195A1 (en) * 2007-01-06 2008-07-10 Outland Research, Llc Method, apparatus, and software for animated self-portraits
US8615112B2 (en) * 2007-03-30 2013-12-24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face-recognition function
JP4898532B2 (ja) * 2007-04-13 2012-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撮影システム並びに瞬き状態検出方法、瞬き状態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20110128223A1 (en) * 2008-08-07 2011-06-02 Koninklijke Phil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head-motion/gaze relationship for a user, and an interactive display system
ES2313860B1 (es) * 2008-08-08 2010-03-16 Nilo Garcia Manchado Camara digital y procedimiento asociado.
US8482626B2 (en) * 2009-04-07 2013-07-09 Mediatek Inc. Digital camera and image capturing method
KR101661211B1 (ko) * 2009-08-05 2016-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 인식률 개선 장치 및 방법
CN103945132B (zh) * 2010-02-19 2019-05-14 株式会社尼康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图像取得方法
US8593375B2 (en) * 2010-07-23 2013-11-26 Gregory A Maltz Eye gaze user interface and method
JP5814566B2 (ja) * 2011-02-28 2015-1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791448B2 (ja) * 2011-09-28 2015-10-07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端末
US9345957B2 (en) * 2011-09-30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ing a sport using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US20130147980A1 (en) * 2011-12-08 2013-06-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e tracking in video conference and video chat communications
JP5450739B2 (ja) * 2012-08-30 2014-03-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545883B1 (ko) * 2012-10-30 201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US9253433B2 (en) * 2012-11-27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gging media with identity of creator or scene
WO2014088125A1 (ko) * 2012-12-04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CN106027910B (zh) * 2013-01-22 2019-08-16 华为终端有限公司 预览画面呈现方法、装置及终端
KR102047704B1 (ko) * 2013-08-16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45190B1 (ko) * 2013-11-06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5142317A (ja) * 2014-01-30 2015-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160A (ko) 2017-01-11 2019-08-28 유겐가이샤 루미에루 유해동물 기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1794A1 (en) 2015-04-02
US9891706B2 (en)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93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0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2959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999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586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05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9013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16892B1 (ko)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5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237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579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2012007614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158709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48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95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10915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57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20150092624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536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58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44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72002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4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9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이미지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