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034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34B1
KR101850034B1 KR1020120002109A KR20120002109A KR101850034B1 KR 101850034 B1 KR101850034 B1 KR 101850034B1 KR 1020120002109 A KR1020120002109 A KR 1020120002109A KR 20120002109 A KR20120002109 A KR 20120002109A KR 101850034 B1 KR101850034 B1 KR 10185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mobile terminal
touch
touc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117A (ko
Inventor
이건우
이은주
박정훈
최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34B1/ko
Priority to EP12008133.6A priority patent/EP2613224B1/en
Priority to US13/727,326 priority patent/US20130176250A1/en
Publication of KR2013008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제1 카메라; 터치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gaze direction)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입력과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입력과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입력과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카메라; 터치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gaze direction)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제1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터치입력과 상기 획득한 시선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터치패드에 대한 터치입력과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 이동 단말기의 터치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시선방향의 획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터치패드(200)는, 디스플레이(151)에 인접한 바디의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는, 디스플레이(151)와 겹치지 않는 베젤(bezel, 105)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200)는 디스플레이(151)의 하단측, 측면측, 상단측 중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가 디스플레이(151)와 별도의 영역에 위치됨으로 인하여, 터치패드(200)에 대한 조작시에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영상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패드(200)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의 전면(前面)와 후면(後面)에 각각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획득하는 수단일 수 있다. 다만, 터치팬드(200)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은, 디스플레이(151)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터치입력과는 다르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를 통하여 획득한 터치입력은 특정한 메뉴, 오브젝트를 직접적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에 반하여, 터치패드(200)를 통하여 획득한 터치입력은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를 통하여 획득한 터치입력의 활용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 이동 단말기의 터치패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패드(20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획득하는 수단일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는 베젤(105)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패드(200)의 위치가 디스플레이(151)의 하단에 위치한 경우를 전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터치패드(20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는,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여 터치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입력신호는,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 영역, 지속시간, 이동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F)이 좌우로 드래그(drag)되면, 터치패드(200)는 손가락(F)의 현 위치, 이동 여부, 시간 정보에 기초한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는 발광유닛(LI)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유닛(LI)은, 터치패드(200)와 일체로 또는 터치패드(200)의 하단에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발광유닛(LI)은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유닛(LI)에서 생성된 빛은, 터치패드(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발광유닛(LI)은, 손가락(F) 등으로 터치된 지점을 사용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터치입력이 수신된 지점에 대응된 지점의 발광유닛(LI)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유닛(LI)은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한 지점을 인디케이팅 하기 위하여 발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기초할 때 추가적으로 필요한 터치입력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하여 발광유닛(LI)에서 빛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gaze direction)을 감지하는 단계(S10)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시선방향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방향 및/또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지점을 응시하고 있는지 여부, 그 지점을 얼마나 응시하고 있는지 여부, 그 지점에 이어서 어느 지점을 응시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선방향을 감지하는 방법은 해당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터치패드를 통한 터치입력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및 시선방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터치입력은, 터치패드(200)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터치패드(200)를 통하여 획득한 터치입력과 시선방향을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입력만 또는 시선방향만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정확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도 5의 S10)는, 눈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1)를 포함할 수 있다.
눈의 이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일 지점에 위치한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 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51)를 응시한다. 따라서 전면측의 카메라(121)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비교적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한 얼굴 이미지에서 눈 부분의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동공의 중심점을 산출하는 단계(S13)가 진행될 수 있다.
동공(pupil)은, 눈의 중심 부분이며 홍채(iris)에 의하여 둘러써여 있는 동그란 부분이다. 동공은, 눈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어두우며, 동양인의 경우 통상적으로 검은색이다.
사용자의 시선은, 동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주시하는 지점은 동공의 중심점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공의 중심점은, 획득한 눈의 이미지에서, 중심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어두운 형태 및/또는 색상 상의 특징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둥근 형태의 동공의 이미지의 중심지점을 동공의 중심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얼굴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시선방향을 산출하는 단계(S15)가 진행될 수 있다.
얼굴의 움직임(facial movements)은, 동공의 중심점과 함께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산출하기 위한 일 요소 일수 있다. 예를 들어, 동공의 움직임 없이 전면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도, 얼굴을 좌우로 움직이면 시선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얼굴의 움직임은,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얼굴 이미지에서 이마, 눈, 코, 입, 귀 등 특징적인 요소에 기초하여 얼굴의 지향방향을 추출할 수 있다.
얼굴의 움직임과 산출한 동공의 중심점에 기초하여, 제어부(180)는 시선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지점을 응시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시선방향으로 통일하여 설명하지만, 시선방향은 사용자 얼굴의 움직임에 의한 얼굴의 지향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시선방향의 획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시선방향의 시점은, 눈알(eyeball)의 중심점(EP)일 수 있다. 즉, 눈알의 중심점(EP)에서 시작하여 동공의 중심점(P)을 지나는 시선벡터(GD1, GD2)가 시선방향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시선을 이동하면, 동공의 중심점(P)이 이동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얼굴의 움직임이 없다면, 눈알의 중심점(EP)는 고정되어 있고 동공의 중심점(P)만이 이동할 수 있다. 동공의 중심점(P)이 이동하면, 시선벡터(GD1, GD2)는 제1 시선벡터(GD1)에서 제2 시선벡터(GD2)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 얼굴의 움직임이 있다면, 눈알의 중심점(EP)과 동공의 중심점(P)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 얼굴의 움직임 및/또는 동공의 중심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시선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획득한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부분을 어느 정도 주시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사용자가 주시하는 위치(location)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 시점까지는 A 지점을 바라보고 있다가 t1 시점 에서 t2 시점 사이에 B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t2 시점에서 t3 시점까지 B 지점을 바라보고 있다가 t3 시점에 또 다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위치의 변화는 디스플레이(151) 상의 특정 좌표에 매칭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가, 획득한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디스플레이(151) 상의 좌표에 매칭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패드(20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과 카메라(121)를 통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특정한 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다수의 아이콘(IC)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배경화면(background screen)에,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아이콘(IC)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가 터치되면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를 활성화하여 획득한 사용자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터치입력신호의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카메라(121)가 사용자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있을 수 있으며, 터치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80)그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에서 시선방향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지점을 응시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된 시선방향에 대응된 지점에 인디케이터(I)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I)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응시하는 지점을 보다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I)가 항시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응시지점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를 표시하기로 한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따른 응시지점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응시지점에 대응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된 아이콘(IC) 중에서 응시지점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에 대응된 특정 아이콘(IC)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특정 아이콘(IC)이 선택되면, 그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방향에 따른 아이템의 선택은,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상황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연락처 목록(contact list)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패드(200)를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그 시점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하여 그에 대응된 아이템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메뉴(MU)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표시하기 원하는 문서(DC)의 특정 지점을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서(DC)는 디스플레이(151)가 표시할 수 있는 범위에 비하여 넓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에는 문서(DC)의 일 부분만이 제어신호 및/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한 비율에 따라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전체 문서(DC)를 가상으로 표시하였다. 전체 문서(DC) 중에서 디스플레이(151)의 표시영역 내에 포함된 부분만이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있을 수 있다.
문서(DC)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획득한 웹문서,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e-book), 이미지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 문서(DC)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가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은, 현재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고 있는 문서(DC)의 영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일측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는 제1 오브젝트(OB1)를 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주시하였던 제1 오브젝트(OB1)를 디스플레이(151)의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의 일측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던 제1 오브젝트(OB1)를, 디스플레이(151)의 중앙에 옮겨 표시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센터링(centering)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주시하는 지점은, 사용자가 관심있게 살펴보고자 하는 아이템이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관심도가 높은 아이템을 디스플레이(151)의 중앙에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51) 중앙에서 벗어난 지점을 주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의 좌측 하단부를 주시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지점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문서(DC)를 스크롤링(scrolling)할 수 있다. 즉, 문서(DC)가 연속적으로 스크롤되며 좌측 하단측에 위치하였던 제2 오브젝트(OB2)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를 터치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서 센터링 동작과 스크롤링 동작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시점부터 t1 시점까지는 센터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t1 시점을 넘어서는 시점부터 스크롤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된 문서(DC)에서 최초에는 특정 아이템이 한번에 중앙에 표시되며, 일정 시간 이후에는 문서(DC)가 연속적으로 스크롤되며 사용자가 관심있게 살펴보고자 하는 지점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를 터치하는 시간에 따라서 센터링 동작과 스크롤링 동작이 구분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시점에 터치패드(200)에 대한 터치를 중단하거나 터치를 유지하여 원하는 지점이 적절히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패드(200)에 대한 터치동작의 강도 및/또는 터치면적에 기초하여 스크롤링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에 대한 가압력에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F) 등과 터치패드(200) 사이의 접촉면적(A)은 제1 내지 3면적(A1 내지 A3)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하게 터치하는 경우에는 제1 면적(A1), 강하게 터치하는 경우에는 제3 면적(A3)에 해당하는 부분이 가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접촉면적(A)의 넓이에 따라서 스크롤링 속도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면적(A)이 증가됨에 따라 선형적으로 비례하여 스크롤링 속도가 증가되도록 하거나, 접촉면적(A)이 증가되면 그 시점에 따라 스크롤링 속도가 급격히 혹은 천천히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접촉면적(A)의 증가가 연속적으로 되더라도 스크롤링 속도는 불연속적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패드(200)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 드래그 여부, 드래그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표시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는 제1 영역(PA1)과 제2 영역(PA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2 영역(PA1, PA2)는 물리적으로 구분된 영역은 아니며, 논리적으로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발광유닛(도 4의 LI)이 제1,2 영역(PA1, PA2)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영역(PA1)이 터치되고 있는 경우와 제2 영역(PA2)이 터치되고 있는 경우에 서로 다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PA1)이 터치되고 있는 중에는 센터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제2 영역(PA2)이 터치되고 있는 중에는 스크롤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드래그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 상에서 드래그되는 터치동작이 수행되면, 제어부(180)는 스크롤링 속도를 그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을 터치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우측을 터치하고 있는 경우에 스크롤링 속도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패드(200)를 서로 다른 길이로 드래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짧은 제1 드래그(TL1)를 수행하거나, 상대적으로 긴 제2 드래그(TL2)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짧은 제1 드래그(TL1)가 수행되면 느린 스크롤링이 수행되고, 상대적으로 긴 제2 드래그(TL2)가 수행되면 빠른 스크롤링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 내지 도 2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패드(200)에 대한 터치동작 및/또는 시선방향에 따라서 표시된 아이템의 확대, 축소, 이동 등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최초에 도 17의 (a)에 도시한 크기의 제3 오브젝트(OB3)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패드(200)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를 좌측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어부(180)는 제3 오브젝트(OB3)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7의 (b)에 도시한 크기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를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어부(180)는 제3 오브젝트(OB3)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7의 (c)에 도시한 크기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를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그에 대응되도록 표시된 아이템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패드(200)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 자체를 Z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Z1 방향 또는 사용자와 가까워지는 Z2 방향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이동은, 자세 감지 센서(141)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터치패드(200)가 터치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Z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어부(180)는 표시된 제3 오브젝트(OB3)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Z1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3 오브젝트(OB3)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거나, Z2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3 오브젝트(OB3)의 크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표시한 아이템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에는 아이템을 스케일(scale) 1의 크기로 표시하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1.3의 크기, 0.7의 크기, 2의 크기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스케일이 변경되어 표시된 아이템은, 터치패드(200)에 대한 사용자의 특정 터치동작에 기초하여 한번에 최초의 스케일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1 시점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200)를 더블터치 하는 동작이 수행되면, 제어부(180)는 아이템을 최초의 스케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에 대한 간단한 터치동작으로서 표시한 아이템의 크기를 최초의 크기대로 표시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조작 편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된 아이템의 크기 변화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에 대한 터치동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크기는 점차 축소될 수 있다. 표시된 오브젝트는, 예를 들어 이미지 일 수 있다.
도 2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드(200)에 대한 드래그 동작의 길이(CD)가 임계값을 넘어서면, 제어부(180)는 오브젝트의 썸네일(thumbnail)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일정 정도까지는 표시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줄여서 표시하다가, 임계값을 넘어서면 오브젝트의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시선방향에 따라서 표시된 썸네일 중 특정 썸네일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방향은 B 썸네일을 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B 썸네일 상에 인디케이터(I)를 표시하였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B 썸네일을 향하면, 제어부(180)는 B 썸네일을 하일라이팅(highlighting)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썸네일의 주위에 제1 강조선(HT1)을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방향이 E 썸네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B 썸네일 주위의 제1 강조선(HT1)을 E 썸네일 주위의 제2 강조선(HT2)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표시된 아이템에 대한 시선방향에 따라 표시된 아이템의 전 또는 후의 아이템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는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된 이미지는, 이미지 갤러리에 포함된 다수의 이미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을 제1 영역(LA)과 제2 영역(R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2 영역(LA, RA)은 논리적으로 구분되며, 물리적인 구분은 아닐 수 있다.
터치패드(200)가 손가락(F) 등으로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2 영역(LA, RA) 중 특정 영역을 주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영역(LA)이 주시되면 현재 표시된 이미지의 이전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영역(RA)이 주시되면 현재 표시된 이미지의 다음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제1,2 인디케이터(I1, I2)를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주시하는 위치에 대응된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이미지의 일부가 표시되고 있을 수 있다. 즉, 이미지 전체(VP) 중에서, 디스플레이(151)가 표시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표시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주시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200)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지점이 주시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맵(map, M)을 표시하는 중에 터치패드(200)에 대한 특정 터치동작 및/또는 특정 시선방향을 획득하면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는 맵(M)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M)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패드(200)가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맵(M)에 대응된 스트리트뷰(Street View, SV)를 표시할 수 있다. 스트리트뷰(SV)는, 맵(M) 상의 특정 지점에서 주위를 둘러보는 것과 같은 형식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형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리트뷰(SV)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정 지점을 주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I)가 표시된 일 지점을 주시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200)는 계속하여 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된 지점으로 스트리트뷰(SV)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을 향하여 표시되던 이미지가, 측면을 향하여 표시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터치패드(200)가 손가락(F) 등으로 드래그되면, 제어부(180)는 스트리트뷰(SV)의 배율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패드(200)의 상측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스트리트뷰(SV)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하측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스트리트뷰(SV)를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6 내지 도 28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패드(200)에 대한 조작 및/또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하여 카메라(121)를 통한 촬영 동작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방향의 카메라(121)를 통하여, 사용자 자신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121)를 통하여 촬영한 사용자 자신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미지에 대한 촬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가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눈의 상태 등에 따라서 촬영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눈을 깜빡거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촬영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눈을 깜빡인 후 다시 눈이 통상이 크기로 돌아왔을 때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카메라(12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손가락(F)으로 특정 버튼을 푸쉬(push)하는 등의 추가적인 동작이 필요 없음으로 인하여, 편리하게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추가적인 동작 과정에서 초점이 흔들리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한 터치패드(200)에 대한 터치동작이 종료된 이후에도 일정한 시간동안은 터치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t1 시점까지 터치패드(200)에 대한 터치동작이 수행되다가, t1 시점을 경과하는 시점에 터치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동작이 중단된 t1 시점에서 일정한 타임딜레이(time delay)가 경과한 t2 시점에 터치동작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F)을 터치패드(200)에서 이격시킨 상태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포즈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에 터치 효과가 유지되는 타임딜레이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아이콘(ID)을 표시할 수 있다. 시계아이콘(ID)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1, 2, 3 시계아이콘(ID1, ID2, ID3)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계아이콘(ID)의 표시변경을 관찰하여, 터치동작의 효과가 유지될 시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背面)에 위치한 후방카메라(123)를 통하여 경관(LS)을 촬영할 수 있다. 후방카메라(123)는, 3차원 입체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촬영을 진행하며,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가 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촬영된 경관(LS)의 특정 지점을 응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응시된 특정 지점에 초점이 맞도록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오브젝트를 응시하는 경우에 그 지점을 중심으로 초점이 설정된다는 의미로 제1 인디케이터(I1)가 표시되거나,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오브젝트를 응시하는 경우에 그 지점을 중심으로 초점이 설정된다는 의미로 제2 인디케이터(I2)가 표시될 수 있다.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없이 응시한 시선방향에 기초하여 초점이 설정되므로, 이미지의 촬영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는가 여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5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도 2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는 동영상(MV)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동영상(MV)을 시청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t1 시점까지는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고 있으나, t1 내지 t2 시점 사이에는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지 않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t2 시점이 경과하는 시점에 다시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고 있는 경우에만 동영상(MV)을 재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고 있는 t1 시점까지 및 t2 시점 이후에는 동영상(MV)을 재생하고, t1 시점에서 t2 시점 사이에는 동영상(MV)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를 바라보고 있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동영상(MV)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끊김없이 동영상을(MV) 전 영역을 시청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고 있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151)가 동작하도록 할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소등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t1 시점과 t3 시점 사이에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지 않을 수 있다.
t1 시점이 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MV)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나아가, t1 시점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t2 시점이 되면 디스플레이(151)를 off할 수 있다.
임의의 t3 시점에 사용자가 다시 디스플레이(151)를 주시하면, 제어부(180)는 다시 동영상(MV)을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가 off 된 상태에서 다시 디스플레이(151)을 on하고 동영상(MV)을 재생함에도, 제어부(180)는 잠금화면(lock screen)을 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비밀번호 입력 등의 절차 없이 이동 단말기(100)가 정상적인 동작환경으로 진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31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터치패드(200)가 터치된 상태에서 시선방향에 대응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된 특정 기능에 대응된 영역을 주시할 수 있다.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바가 표시된 제1 영역(A1)이나, 재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바가 표시된 제2 영역(A2)을 주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을 주시한 상태에서 터치패드(200)를 드래그하면, 드래그 방향에 따라서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연락처 목록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터치패드(200)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퀵서치영역(A3)을 주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시한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제어부(180)는 연락처 목록의 특정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화상통화(video conferecne)가 진행되는 중에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도 3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손가락(F) 등으로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하고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에는 화상통화의 상대방의 영상(VC)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패드(200)에 터치한 손가락(F) 등을 일정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손가락(F) 등이 드래그되는 정도에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대방의 영상(VC)과 이동 단말기(100) 자체의 영상(AL)이 상호 오버랩(overlap)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버랩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대방에서 이동 단말기(100) 자체의 영상(AL)을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통화의 상대방과 필요한 자료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 고유의 눈의 형상, 홍체의 형상, 얼굴의 형상을 식별하여 그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 눈의 형상, 홍체의 형상, 얼굴의 형상을 촬영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임이 확인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5)

  1. 제1 카메라;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및
    상기 터치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gaze direction)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시선방향에 대응된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영역에 표시하는 센터링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넘어 유지되면, 상기 시선방향에 대응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템을 스크롤링(Scrolling)하는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외측의 베젤(bezel) 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획득한 터치입력의 위치를 인디케이팅(indicating)하거나 상기 터치입력이 필요한 지점을 인디케이팅하기 위한 발광유닛(lighting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은,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움직임(user's facial movements)을 포함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터치입력의 접촉면적에 따라서 상기 스크롤링하는 속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은, 상기 터치패드에 대한 드래그 터치입력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입력의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아이템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3차원 공간 상의 이동을 감지하는 자세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자세 감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상기 이동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아이템의 크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와 다른 방향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상기 시선방향에 대응된 위치의 아이템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카메라의 초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시선방향이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시선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를 향하는 경우에 상기 동영상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부를 향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하되, 상기 시선방향이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상태를 거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20002109A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109A KR101850034B1 (ko)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12008133.6A EP2613224B1 (en) 2012-01-06 2012-12-0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US13/727,326 US20130176250A1 (en) 2012-01-06 2012-12-2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109A KR101850034B1 (ko)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17A KR20130081117A (ko) 2013-07-16
KR101850034B1 true KR101850034B1 (ko) 2018-04-20

Family

ID=4755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109A KR101850034B1 (ko) 2012-01-06 2012-01-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76250A1 (ko)
EP (1) EP2613224B1 (ko)
KR (1) KR101850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3477B2 (en) 2013-03-01 2023-12-26 Tobii Ab Zonal gaze driven intera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5417B2 (ja) * 2012-01-06 2016-07-0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365874B2 (en) * 2013-01-28 2019-07-30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for band control of a communication stream
US9864498B2 (en) 2013-03-13 2018-01-09 Tobii Ab Automatic scrolling based on gaze detection
KR102127640B1 (ko) 2013-03-28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보청기와 휴대 단말에서 음원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법
US10356364B2 (en) * 2013-09-10 2019-07-16 Minerva Project, Inc. Registering and displaying visual attention metadata in a web video conferencing and seminar system
KR20150031986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77381A1 (en) * 2013-09-19 2015-03-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region in mobile device
KR102081935B1 (ko) * 2013-09-30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시선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503159B1 (ko) * 2013-10-15 2015-03-16 (주)이스트소프트 시선의 위치를 감지하여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방법
JP6165979B2 (ja) * 2013-11-01 2017-07-19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注視補助型タッチスクリーン入力
US10317995B2 (en) 2013-11-18 2019-06-11 Tobii Ab Component determination and gaze provoked interaction
US10558262B2 (en) 2013-11-18 2020-02-11 Tobii Ab Component determination and gaze provoked interaction
JP2015106165A (ja) * 2013-11-28 2015-06-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6260255B2 (ja) * 2013-12-18 2018-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05406B1 (ko) * 2014-02-06 2019-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D767519S1 (en) * 2014-03-06 2016-09-27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9961119B2 (en) 2014-04-22 2018-05-01 Minerva Project,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irtual conferencing breakout groups
US9846522B2 (en) * 2014-07-23 2017-12-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ignable user interface
US9952883B2 (en) 2014-08-05 2018-04-24 Tobii Ab Dynamic determination of hardware
KR20160099399A (ko) * 2015-02-12 201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WO2016145580A1 (zh) * 2015-03-13 2016-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拍照方法及拍照装置
US10088993B2 (en) * 2015-04-01 2018-10-02 Ebay In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data navigation
JP6643776B2 (ja) * 2015-06-11 2020-02-12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830708B1 (en) * 2015-10-15 2017-11-28 Snap Inc. Image segmentation of a video stream
KR20170091913A (ko) 2016-02-02 201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681503A (zh) * 2016-12-19 2017-05-17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终端及显示装置
WO2019003387A1 (ja) * 2017-06-29 2019-01-03 マクセル株式会社 携帯端末
US10656777B1 (en) * 2017-06-29 2020-05-19 Apple Inc. Concealed user interfaces
US10732826B2 (en) * 2017-11-22 2020-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device interaction adaptation based on user engagement
US11275481B2 (en) * 2018-03-07 2022-03-1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system
CN109101110A (zh) * 2018-08-10 2018-12-28 北京七鑫易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指令执行方法、装置、用户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3174A1 (en) * 2001-08-29 2003-03-06 Hinckley Kenneth P. Automatic scrolling
US20080084397A1 (en) * 2006-10-06 2008-04-10 Peter On Navigation pad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80309508A1 (en) * 2006-11-25 2008-12-18 John Paul Harmon Accelerometer based extended display
US20090219255A1 (en) * 2007-11-19 2009-09-03 Woolley Richard D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US20100058211A1 (en) * 2008-09-04 2010-03-04 Junghun Le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20100079508A1 (en) * 2008-09-30 2010-04-01 Andrew Hodge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US20100134642A1 (en) * 2006-10-02 2010-06-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ocused areas in an image
US20100251152A1 (en) * 2009-03-31 2010-09-30 Seong Yoon Cho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254865A1 (en) * 2010-04-16 2011-10-20 Yee Jadine N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rrelating virtual keyboard dimensions to user finger siz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3008A (en) * 1989-09-22 1993-10-12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US6351273B1 (en) * 1997-04-30 2002-02-26 Jerome H. Lemelso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utomatic scrolling of information on a display or screen
GB2396001B (en) * 2002-10-09 2005-10-26 Canon Kk Gaze tracking system
US8793620B2 (en) * 2011-04-21 2014-07-2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Gaze-assisted computer interface
KR100827150B1 (ko) * 2006-07-10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동 장치
US9335868B2 (en) * 2008-07-31 2016-05-10 Apple Inc. Capacitive sensor behind black mask
JP2010191892A (ja) * 2009-02-20 2010-09-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83722A1 (en) * 2009-05-08 2010-11-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coordinate input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n electronic apparatus
US9507418B2 (en) * 2010-01-21 2016-11-29 Tobii Ab Eye tracker based contextual action
US8767306B1 (en) * 2011-09-22 2014-07-01 Google Inc.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3174A1 (en) * 2001-08-29 2003-03-06 Hinckley Kenneth P. Automatic scrolling
US20100134642A1 (en) * 2006-10-02 2010-06-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ocused areas in an image
US20080084397A1 (en) * 2006-10-06 2008-04-10 Peter On Navigation pad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80309508A1 (en) * 2006-11-25 2008-12-18 John Paul Harmon Accelerometer based extended display
US20090219255A1 (en) * 2007-11-19 2009-09-03 Woolley Richard D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US20100058211A1 (en) * 2008-09-04 2010-03-04 Junghun Le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US20100079508A1 (en) * 2008-09-30 2010-04-01 Andrew Hodge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US20100251152A1 (en) * 2009-03-31 2010-09-30 Seong Yoon Cho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254865A1 (en) * 2010-04-16 2011-10-20 Yee Jadine N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rrelating virtual keyboard dimensions to user finger siz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3477B2 (en) 2013-03-01 2023-12-26 Tobii Ab Zonal gaze driven inte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3224A3 (en) 2017-05-03
KR20130081117A (ko) 2013-07-16
US20130176250A1 (en) 2013-07-11
EP2613224B1 (en) 2018-08-29
EP2613224A2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0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900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675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82398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112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8586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9170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1500816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916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82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1205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070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485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8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201801038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4535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335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7081B1 (ko)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434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20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495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44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676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6551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