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04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04B1
KR102091604B1 KR1020130112891A KR20130112891A KR102091604B1 KR 102091604 B1 KR102091604 B1 KR 102091604B1 KR 1020130112891 A KR1020130112891 A KR 1020130112891A KR 20130112891 A KR20130112891 A KR 20130112891A KR 102091604 B1 KR102091604 B1 KR 102091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image
user
mobile termina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203A (ko
Inventor
정주현
김융희
정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04B1/ko
Priority to US14/491,585 priority patent/US9578185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04N1/00106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using land mobile radio networks, e.g. mobi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file transfer between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송수신할 때, 송수신 대상이 되는 외부기기를 손쉽게 타겟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인 단말기의 사용자는, 그 단말기를 가방이나 호주머니 등에 소지한 채 이동하다가,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 조작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손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하고 있는 손 또는 다른 손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단말기의 조작 방식에 대해서 불편함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한 손 또는 양 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 또는 운동/운전 등을 하고 있는 경우)에서 단말기의 조작이 불편한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는 특히, 사람의 몸에 장착(wear)되는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대해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단말기를, 웨어러블 기기(Wearable-device)(또는, 웨어러블 컴퓨터 등)이라 호칭한다. 웨어러블 기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시계형태의 단말기와 안경형태의 단말기가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들은, 항상 사용자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성 측면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입력 수단의 제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조작에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할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기기들에 대한 조작의 불편함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웨어러블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제한적인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손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 형태의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be worn)시키기 위한 프래임;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카메라;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point of gaze) 및 상기 머리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외부기기를 특정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한 제 1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제 1 이미지를 상기 특정된 제 1 외부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 위치(point of gaze) 및 상기 사용자 머리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외부기기를 특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제 1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제 1 이미지를 상기 특정된 제 1 외부기기에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에 제한적인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이용하면서, 효과적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눈동자의 움직임/위치 또는 웨어러블 기기가 향하는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이미지 송수신의 대상이 되는 목표 외부기기를 손쉽게 특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동작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430)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400)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외부기기들과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400)가 외부기기를 특정(타겟팅)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겟팅된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촬영 이미지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송이 이루어진 이미지의 후속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다른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된 카메라 이미지를 복수 개의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 중, 촬영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템의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다른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다른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기기에서 출력되고 있는 방송 채널 정보를 습득하고, 습득한 방송 채널 정보를 기초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방송을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수신된 채널 정보를 다른 외부기기에 전달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400) 자체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터치스크린(15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151)를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터치 드래그(touch & 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터치 스크린(151)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터치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151)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동 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 3 조작 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그 이동 단말기(100)를 가방이나 호주머니 등에 소지한 채 이동하다가,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 조작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100)를 손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하고 있는 손 또는 다른 손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이동 단말기(100)의 조작 방식에 대해서 불편함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한 손 또는 양 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 또는 운동/운전 등을 하고 있는 경우)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조작이 불편한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는 특히, 사람의 몸에 장착(wear)되는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대해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를, 웨어러블 기기(Wearable-device)(또는, 웨어러블 컴퓨터 등)이라 호칭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시계형태의 단말기와 안경형태의 단말기가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들은, 항상 사용자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성 측면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입력 수단의 제한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조작에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할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들에 대한 조작의 불편함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웨어러블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개시한다. 특히, 상술한 웨어러블 기기의 예시 중 안경형태의 단말기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기기는 구조 및 형태에 있어서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100)와 차이점을 가진다. 먼저 웨어러블 기기의 구조 및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4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웨어러블 기기(400)는, 안경 다리(423), 중앙 지지대(424), 코 받침대(4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중앙 지지대(424)는 안경 다리(423)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400)는 안경렌즈와, 안경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렌즈프래임을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426)은, 웨어러블 기기(400)의 안경 다리(423)와 중앙 지지대(434)에 걸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컴퓨팅 시스템(426)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426)은,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에 대응되며, 도 1과 함께 상술한 각종 장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428)는 도 4에서, 컴퓨팅 시스템(426)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428)는 도 1에서 참조하여 상술한 카메라(121)와 동일하나, 웨어러블 기기(400)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다른 식별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카메라(428)의 위치는 웨어러블 기기(400)의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메라(428)는 다양한 화질 및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갖는 영상을 캡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카메라(428)는 웨어러블 기기(400)의 전면부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와 동일한 이미지를 얻도록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3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써, 중앙 지지대(434) 부분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HMD 형태란, 머리 부분에 장착해, 사용자의 눈앞에 직접 영상을 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형태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4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을 향하도록 중앙 지지대(434)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이미지는, 사용자가 일상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시야(이하, 일반 시야라고 부름)와 겹쳐 출력한다. 즉, 웨어러블 기기(4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430)를 이용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 시야와 출력이미지를 겹쳐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30)의 재질은 투명인 경우와 투명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30)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430)를 투과하는 투과이미지와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출력이미지가 겹쳐서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하지 않은 디스플레이(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430)을 통하여 제공되는 이미지가 사용자의 두 눈 중 한 눈을 통하여 제공됨과 동시에, 다른 눈을 통해서는 일반 사물의 시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400)는, 소정 외부기기를 특정(또는 타겟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선(이하, 사용자 시선이라 한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외부기기에 사용자 시선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웨어러블 기기(400)는 소정 외부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외부기기를 특정한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히 후술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400)는, 사용자 시선을 판단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기기(400)의 안경 형태가 향하는 방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형태의 디스플레이(430) 중앙에 사용자 시선이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웨어러블 기기(400)는, 카메라(428)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외부기기를 특정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400)는, 소정 외부기기를 특정(또는 타겟팅)하기 위하여, 아이 트랙킹 센서(미도시, eye tracking sensor)를 구비할 수 있다. 아이 트랙킹 센서는,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 눈동자의 움직임 및/또는 눈동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컴퓨팅 시스템(426)은, 아이 트랙킹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 등을 기초로 사용자 시선이 어디를 향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아이 트랙킹 센서는, 웨어러블 기기(4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참조된 예시에서 컴퓨팅 시스템(426)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410, 41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10,4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위하여 제공된다. 사용자 입력부(410,411)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터치패드(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선택(터치)하는 입력을 감지하고 제어부(180)로 번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입력부 중 하나를 모드 전환 버튼(410, mode switch button) 그리고 다른 하나의 버튼을 캡쳐 버튼(411, capture button)로 표현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은 개수의 사용자 입력부를 기초로 효과적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하에서 후술하게 되는 다양한 제어 방법들을 모드 전환 버튼(410) 및 촬영/캡쳐 버튼(411) 두 가지 버튼을 이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모드 전환 버튼(410) 및 촬영/캡쳐 버튼(411)의 간단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모드 전환 버튼(4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동작 모드와 제 2 동작 모드 간에 전환하는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이다.
- 촬영/캡쳐 버튼(411): 상술한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이 상이해 진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캡쳐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430)을 통하여 출력하거나, 무선 통신부(110)을 통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제어부(180)는 촬영/캡쳐 버튼(411)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숏-프레스 입력(short-press)과 롱-프레스 입력(long-press)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드래그 패드(412): 드래그 패드(412)는 터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400)(또는 웨어러블 기기(400)와 연결되어 있는 기타 외부 기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모듈이다. 드래그 패드(412)는 두 개로 구성되어 있는 안경 다리(423) 중 하나 또는 전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센싱하고, 그 결과를 컴퓨팅 시스템(426)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래그 패드(412)는 손가락이 사용자의 시야 방향 또는 머리가 향하는 방향(이하, 머리 방향)을 향해 드래그되는지,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컴퓨팅 시스템(426)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웨어러블 기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동작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430)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 1 동작 모드"는, 소정 순간의 이미지를 촬영 또는 캡쳐의 방법으로 획득하고,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캡쳐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소정 단말기가, 해당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 자체를 이미지로 저장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카메라의 "촬영"으로 획득한 이미지를 카메라 이미지(camera image)로 호칭하고, "캡쳐"로 획득한 이미지를 캡쳐 이미지(capture image)로 호칭하여 구분하기로 한다.
상술한 카메라 이미지 및/또는 캡쳐 이미지는 획득이 된 이후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 경과 시 자동으로 메모리(160)에서 삭제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웨어러블 기기(400)의 외관을 이루는 형상(안경 다리, 중앙 지지대 등)은 생략하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400)를 착용한 채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투과하여 외부를 바라보는 시야(상술한 일반 시야) 및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출력 상태도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430)를 투명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시야 및 디스플레이(430)의 출력 상태도가 겹쳐서 제공될 수 있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430)의 종류가 투명인 것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5 (a)를 참조하면, 실외 전경의 모습이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투과하여 보여지고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 명령을 수신하면,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되는 이미지인 카메라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촬영 명령의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촬영/캡쳐 버튼(411)을 숏-프레스하는 입력일 수 있다. 카메라(428)는, 상술하였듯이 웨어러블 기기(400)의 전면부에 위치하면서, 사용자의 시야 방향 또는 머리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웨어러블 기기(400)가 착용된 경우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와 일치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5 (b)에서와 같이, 촬영/캡쳐 버튼(411)이 숏-프레스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촬영하고, 도 5 (c)에서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촬영된 이미지의 미리보기(501)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의 촬영이 성공되었다는 메시지(Capture success)를 출력하면서, 카메라 이미지가 저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효과(501')를 출력할 수 있다(예를 들면, 미리보기(501) 영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애니메이션 효과).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단순히 한 장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소정 명령에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촬영되는 복수 장의 이미지(또는 소정 시간 동안의 동영상)를 획득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제어부(180)는 촬영/캡쳐 버튼(411)이 입력되는 시간에 비례하도록 복수 장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시야에 일치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동작 이외에,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외부기기를 특정하고(타겟팅하고) 그 특정된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특정하는 동작이란, 웨어러블 기기(400)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대상으로 지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 상세히 후술되는 방법에 따라서 외부기기의 특정 동작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대상을 지정하는 동작에 대해, 해당 대상을 타겟팅한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그러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해당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주로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을 것이 요구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400)는, 타겟팅된 외부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400)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외부기기들과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웨어러블 기기(400)를 착용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를 도시하고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투과하여, 제 1 및 제 2 외부기기(601, 602)가 보여지고 있으며, 도 6 (a)에서는, 웨어러블 기기(400)가 제 1 및 제 2 외부기기(601, 602)와 연결되기 전, 도 6 (b)에서는, 연결 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실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주변의 외부기기들을 식별하고, 식별한 외부기기들과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을 수립한 외부기기들은, 투명 디스플레이(430)을 통하여 연결이 수립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11, 612)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서 웨어러블 기기(4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들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서 연결된 상태임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400)가 외부기기를 특정(타겟팅)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눈동자의 움직임, 눈동자의 위치 및 안경이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를 타겟팅할 것을 제안한다.
도 7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시선이 제 1 외부기기(601)에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른다면, 해당 제 1 외부기기(601)를 타겟팅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는데 이어서, 제어부(180)는 아이 트랙킹 센서뿐 만 아니라,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기초로 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 (b)는, 제 1 외부기기(601)가 타겟팅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제 1 외부기기(601)가 타겟팅 되었음을 나타내는 초점 인디케이터(700)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 눈동자의 위치 및 안경이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외부기기에 대한 타겟팅 하기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증강현실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세밀한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센싱 동작이 요구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타겟의 구체적인 위치를 식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증강현실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GPS 모듈을 통하여 획득한 이동 단말기(100)의 정확한 좌표정보,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기울어진 정도(즉,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 타겟(예를 들면 특정 커피숍)의 좌표정보 등을 이용하였다. 즉, 일반적인 증강현실에서 타겟의 3차원적인 위치는, 타겟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타겟은 주로 특정 매장, 관광지 또는 빌딩 등 고정적인 위치를 가질 수 있는 것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타겟의 좌표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혹은 웹에 접속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100)가 존재하는 위치 주변에 존재하는 타겟의 좌표정보를 수신/갱신함으로써 타겟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증강현실의 타겟은 고정된 위치를 갖는 장소가 아니라, 그 위치가 이동 가능한 단말기이다. 따라서, 타겟의 좌표정보가 아닌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에서,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되는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하여 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기기로, 티비 및 이동 단말기가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카메라(428)를 통하여 획득한 이미지에 이동 단말기의 형상이 포착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형상의 위치에 이동 단말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에서, 제어부(180)는 연결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기초로 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식별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외부기기와의 거리를 식별함으로써 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에서, 제어부(180)는 연결되어 있는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화면의 인식을 통하여 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주기적(또는 일회적, 비주기적)으로 송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받은 캡쳐 이미지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있는 외부기기를 검색함으로써 해당 외부기기(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외부기기가 사전에 미리 약속되어 있는 화면을 출력하고, 웨어러블 기기(400)는 해당 화면을 인식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는 외부기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일회적으로 외부기기의 위치를 식별하였다면, 카메라(428)를 통하여 해당 형상의 추적을 통하여 해당 외부기기의 식별을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외부기기 자체에 식별 모듈을 설치하고, 웨어러블 기기(400)와 지속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통하여 외부기기 자신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상기 방법에 대해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도 있겠지만, 여러 가지 방법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식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하여 타겟의 위치를 식별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술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타겟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겟팅된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제 1 외부기기(601)에 초점이 형성되었다고 가정한다(즉,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서 웨어러블 기기(400)가 제 1 외부기기(601)를 타겟팅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초점 인디케이터(700)를 투명 디스플레이(430) 상의 제 1 외부기기(601)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에 초점이 형성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제 1 외부기기로부터 표시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이하, 제 1 외부기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면 진동 또는 소리(예를 들면, 비프음 또는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기기로부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서는, 제 3 외부기기(603)의 캡쳐 이미지(이하, 제 3 외부기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현재 사용자의 시야에 대응하는 카메라 이미지를 촬영하고, 획득한 촬영 이미지에서 제 3 외부기기(603)로부터 표시되는 영역을 잘라낸 후(901), 잘라낸 영역의 이미지를 재구성(901')함으로써 제 3 외부기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도 9 참조). 도 9 (c)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획득된 제 3 외부기기 캡쳐 이미지의 미리보기(801)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이하, 제 3 외부기기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b)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3 외부기기(603)에게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직접 제 3외부기기 캡쳐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 (c)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획득된 제 3 외부기기 캡쳐 이미지의 미리보기(801)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 캡쳐 이미지는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전체에 대한 이미지뿐 만 아니라, 출력되는 화면의 소정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1에서는, 반대로 카메라 이미지(또는 캡쳐 이미지)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제어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촬영 이미지를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a)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촬영 이미지를 타겟팅된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 이미지를 타겟팅된 외부기기로 송신한다. 이 경우, 상기 촬영 이미지를 타겟팅된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명령은, 롱-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특히 입력이 수신된 이후, 전송하고자 하는 외부기기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입력이 해제되는 롱-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촬영/캡쳐 버튼(411)에 대한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촬영 이미지의 미리보기(801)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롱-프레스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계속적으로 미리보기(801)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하여, 롱-프레스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601)를 타겟팅할 수 있다. 도 11b (a)에서와 같이, 제 1 외부기기(601)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롱-프레스 입력이 해제된 경우, 제어부(180)는 촬영 이미지를 제 1 외부기기(6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b (b)에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601)에 촬영 이미지가 전송되는 애니메이션 효과(1102)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롱-프레스가 해제되는 순간 타겟팅된 외부기기에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나, 롱-프레스가 해제되는 순간 타겟팅된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180)는, 해제된 순간 타겟팅된 외부기기가 존재하지 않다는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430)를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촬영/캡쳐 버튼(411)에 대한 롱-프레스 입력이 다시 수신될 경우, 기존에 획득되었던 촬영 이미지에 대한 전송 동작을 다시 재개할 수 있을 것이다.
촬영 이미지를 전송 받은 제 1 외부기기(601)는, 전송 받은 이미지에 대해서 여러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전송 받은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송 받은 이미지를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동작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선택을 하기 위한 팝업창을 출력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송이 이루어진 이미지의 후속 동작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시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 (a)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팝업창(1201)을 이미지를 수신 받은 제 1 외부기기(601)가 출력하고 있으며, 도 12a (b)는, 이미지를 송신 한 웨어러블 기기(400)의 디스플레이(430)가 출력하고 있다.
즉, 이미지의 송신측 또는 수신측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서 팝업창(1201)을 출력하고, 출력된 팝업창(120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팝업창(1201)의 항목은 "열기(Open)", "저장(Save)", "공유(Share to)", "(소정 시간 동안)항상 열기(Keep opening contents from glasses)" 및 "(소정 시간 동안)항상 저장(Keep saving contents from glass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 열기(Open): 제 1 외부기기(601)는, 웨어러블 기기(4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이미지를 제 1 외부기기(601)의 화면을 통하여 표시한다. 만약, 제 1 외부기기(601) 화면의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 이미지를 수신하였다면, 제 1 외부기기(601)는 화면의 전원을 킨 후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 저장(Save): 제 1 외부기기(601)는, 웨어러블 기기(4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이미지를 제 1 외부기기(601)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 공유(Share to): 제 1 외부기기(601)는, 웨어러블 기기(4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면, 기저장되어 있는 상대방에게 수신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 (소정 시간 동안)항상 열기(Keep opening contents from glasses): 기설정되어 있는 소정 시간(또는, 사용자에게 설정 받은 시간) 동안 수신된 모든 이미지에 대해서, 상술한 열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소정 시간 동안)항상 저장(Keep saving contents from glasses): 기설정되어 있는 소정 시간(또는, 사용자에게 설정 받은 시간) 동안 수신된 모든 이미지에 대해서, 상술한 저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a (a)에서와 같이, 제 1 외부기기(601)는, 이미지를 수신 받으면 팝업창(1201)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항목을 선택 받는다. 그리고, 제 1 외부기기(601)는 선택된 항목을 기초로 수신 받은 이미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a (b)에서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400)는 이미지를 송신하면 팝업창(1201)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항목을 선택 받는다. 그리고, 웨어러블 기기(400)는 선택된 항목을 기초로 송신한 이미지에 대한 처리 동작 명령을 제 1 외부기기(6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외부기기(601)는, 상기 처리 동작 명령을 수신한 후, 수신한 처리 동작 명령을 기초로 수신한 이미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2a (a) 및 (b)에 포함되어 있는 항목 외에도, 제어부(180)는 이미지를 수신 받은 외부 기기가 기존에 출력하고 있는 이미지가 있을 경우, 새로 수신된 이미지와 함께 PIP(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출력되도록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a에서 상술한 항목 중에서, 소정 시간 동안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설정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해당 소정 시간에 대한 표시를 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표시의 일례에 대해,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b는, 송수신된 이미지에 대해서 소정 시간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설정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설정 시간을 안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송수신된 이미지에 대해서 소정 시간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설정된 시간을 알려주는 설정 시간 인디케이터(1202)를 출력할 수 있다. 설정 시간 인디케이터(1202)는, 전체 설정된 시간과 함께 현재 남아있는 시간의 비율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시간을 갱신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명령을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다시 소정 시간 동안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을 갱신하는 명령의 일례로는, 해당 설정 시간 인디케이터(1202)를 소정 시간 이상 응시한 후, 촬영/캡쳐 버튼(411)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다른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이미지를 캡쳐한 후, 제 2 외부기기(602)로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무선 통신부(110)을 통하여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 캡쳐 이미지를 수신한 후, 수신한 캡쳐 이미지를 제 2 외부기기(6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명령은, 촬영/캡쳐 버튼(411)에 대한 롱-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특히, 제 1 외부기기(601)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입력을 수신하여, 입력이 유지된 채, 제 2 외부기기(602)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해제되는 롱-프레스 입력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3a (a)에서와 같이, 제 1 외부기기(601)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촬영/캡쳐 버튼(411)에 대한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 캡쳐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 수신되는 캡쳐 이미지는,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13a (b)에서와 같이, 수신된 캡쳐 이미지의 미리보기(801)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롱-프레스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상기 미리보기(801)의 표시를 계속 지속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롱-프레스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제어부(180)는 제 2 외부기기(602)를 타겟팅 할 수 있다(도 13a (c)). 제 2 외부기기(602)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롱-프레스 입력이 해제될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 수신되는 캡쳐 이미지를 제 2 외부기기(602)로 송신할 수 있다(도 13b (a)).
그리고, 도 13b (b)에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2 외부기기(602)에 캡쳐 이미지가 전송되는 애니메이션 효과(1102)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의 캡쳐 이미지가 제 2 외부기기(602)에게 전달되면, 제 1 외부기기(601) 화면의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외부기기만을 타겟팅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외부기기를 타겟팅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된 카메라 이미지를 복수 개의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 카메라 이미지를 송신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촬영한 이미지인 카메라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타겟팅된 복수 개의 외부기기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4a (a)에서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투과하여 인물(1101)의 모습이 보여지고 있다. 촬영/캡쳐 버튼(411)에 대한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해 상기 인물(1101)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801)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롱-프레스 입력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상태면, 제어부(180)는 출력되고 있는 미리보기(801)의 표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롱-프레스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복수 개의 외부기기(601, 602)에 대한 타겟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타겟팅이 이루어지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같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시선이 제 1 및 제 2 외부기기(601, 602) 각각에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여 타겟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기기(601, 602)에 각각 타겟팅이 이루어진 후, 상기 롱-프레스 입력이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타겟팅된 제 1 및 제 2 외부기기(601, 602)에 촬영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다(도 14b (a)).
그리고, 도 14b (b)에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외부기기(601, 602)에 촬영 이미지가 전송되는 애니메이션 효과(1102)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 중, 촬영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템의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a)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투과하여, 여성용 가방(1501)의 모습이 보여지고 있다. 이미지를 촬영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도 15 (a)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이용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제어부(180)는 촬영 이미지에 대한 후속 동작에 대한 선택 팝업창(1502)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 팝업창(1502)는, 촬영 이미지를 저장할 지 또는, 촬영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지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한다.
아이템 정보를 검색하는 항목이 선택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아이템을 식별한 후, 식별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웹 검색 또는 데이타 베이스에서 검색 등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획득한 정보(1503)를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5와 함께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식별된 아이템의 추가 정보를 검색하고 표시하는 동작을, 이미지에 대한 촬영 명령이 수신된 이후에 실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아이템을 인식하고 인식되는 아이템에 대한 추가 정보를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다른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16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외부기기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S1601단계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무선 통신 기술의 종류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순간에만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 있으므로,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S16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촬영/캡쳐 버튼(411)이 숏-프레스되는지 롱-프레스되는지 구분하여, 숏-프레스 입력이 수신될 경우, S1603단계로 진행하고,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S1605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촬영/캡쳐 버튼(411)이 숏-프레스되는 경우의 단계들인 S1603 및 S1604단계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작에 대응된다.
S16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428)의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야와 일치할 수 있을 것이다.
S16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S1603단계에서의 촬영 이미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영/캡쳐 버튼(411)이 롱-프레스되는 경우의 단계들인 S1605 내지 S1607단계는,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상술한 촬영 이미지를 다른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동작에 대응된다.
S16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카메라(428)를 통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428)의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의 시야와 일치할 수 있을 것이다.
S16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부기기 중에서 제 1 외부기기를 타겟팅 할 수 있다. 타겟팅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을 기초로 할 수 있다.
그리고, S1607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제 1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다른 외부기기에 송신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17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복수 개의 외부기기와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S1701단계는 S1601단계와 마찬가지로,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무선 통신 기술의 종류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순간에만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 있으므로,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S17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연결된 복수 개의 외부기기 중에서 제 1 외부기기를 타겟팅 할 수 있다. 타겟팅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을 기초로 할 수 있다.
S17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촬영/캡쳐 버튼(411)이 숏-프레스되는지 롱-프레스되는지 구분하여, 숏-프레스 입력이 수신될 경우, S1704단계로 진행하고,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S170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촬영/캡쳐 버튼(411)이 숏-프레스되는 경우의 단계들인 S1704 및 S1705단계는, 도 8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외부기기(601)로부터 수신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작에 대응된다.
S17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된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요청하는 캡쳐 이미지 요청 신호를 제 1 외부기기에게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가 상기 캡쳐 이미지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S17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S1704단계에서의 촬영 이미지를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촬영/캡쳐 버튼(411)이 롱-프레스되는 경우의 단계들인 S1706 내지 S1708단계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상술한 촬영 이미지를 다른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동작에 대응된다.
S17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된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요청하는 캡쳐 이미지 요청 신호를 제 1 외부기기에게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 1 외부기기가 상기 캡쳐 이미지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캡쳐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S1707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외부기기 중에서 제 2 외부기기를 타겟팅 할 수 있다. 타겟팅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을 기초로 할 수 있다.
그리고, S1708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한 캡쳐 이미지를 제 1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동작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동작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동작 모드"에서, 외부기기에서 출력되고 있는 방송 채널 정보를 습득하고, 습득한 방송 채널 정보를 기초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방송을 재생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 (a)를 참조하면, 제 3 외부기기(603)에서 소정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있으며, 제 3 외부기기(603)가 웨어러블 기기(400)에 의해서 타겟팅되어 있는 상태이다. 채널 정보를 수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 3 외부기기(603)에게 채널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라는 명령의 일례로, 촬영/캡쳐 버튼(411)이 숏-프레스되는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채널 정보는, 방송 채널을 식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채널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채널 정보를 수신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타겟팅 되어 있는 제 3 외부기기(603)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와 함께, 현재 출력되고 있는 화면의 캡쳐 이미지를 수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18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신된 캡쳐 이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수신된 채널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송을 식별하고, 식별된 방송을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명령의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캡쳐 이미지를 소정 시간 이상 응시하는 입력일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의 시야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표시되고 있는 상기 캡쳐 이미지 상에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입력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한 채널 정보를 기초로 웨어러블 기기(400) 자체에서 방송 재생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다른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수신된 채널 정보를 다른 외부기기에 전달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a)를 참조하면, 도 1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해당 채널에 대한 캡쳐 이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의 일영역에 표시하고 있다.
채널 정보를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한 채널 정보를 타겟팅한 외부기기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을 제어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촬영/캡쳐 버튼(411)에 대한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고, 입력이 유지된 채 제 1 외부기기(601)를 타겟팅된 후, 상기 롱-프레스 입력이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타겟팅 된 제 1 외부기기(601)에 상기 채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도 19 (b) 참조).
그리고, 제어부(180)는 채널 정보가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표시하면서,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애니매이션 효과(1901)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의 과정에서, 다른 외부기기에 채널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에 대해, 촬영/캡쳐 버튼(411)에 대한 숏-프레스 및 롱-프레스 동작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입력으로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8에서와 같이 제 3 외부기기(603)가 타겟팅된 상태에서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고 해당 입력이 유지된 채, 제 1 외부기기(601)가 타겟팅 된 이후, 상기 롱-프레스 입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3 외부기기(603)로부터 수신한 채널 정보를 제 1 외부기기(601)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캡쳐 이미지 및 촬영 이미지를 다른 외부기기로 송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기기(400)의 메모리(160)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400) 자체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투명 디스플레이(430)를 통하여, 갤러리 어플리케이션(Gallery application)의 실행 상태도를 출력하고 있으며,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란,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을 열람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0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썸네일(2001)과 함께, 이미지 썸네일(2001) 각각에 체크 박스(2002)를 출력할 수 있다. 체크 박스(2002)는 사용자의 체크/해제 명령에 따라서, 체크 상태/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체크/해제 명령에 따라서, 겔러리 어플리케이션에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 썸네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박스에 체크함으로써,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가 선택된 이후, 선택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2003)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명령의 일례로는, 촬영/캡쳐 버튼(411)을 롱-프레스하는 입력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사진이 선택된 상태에서, 롱-프레스 입력이 수신되고,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외부기기(601)가 타겟팅 된 후, 롱-프레스 입력이 해제된 경우, 제어부(18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타겟팅된 제 1 외부기기(601)로 전송할 수 있다(도 20 (b) 참조).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20 (c)에서와 같이, 사진이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효과(2004)를 투명 디스플레이(43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메모리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24)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be worn)시키기 위한 프레임;
    정보 표시를 위한 투명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제 1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캡처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캡처 버튼을 통해 제 1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캡처 버튼의 눌림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제 1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캡처 버튼의 눌림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사용자의 머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제 1 외부기기를 바라보는 것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 1 외부기기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상기 캡처 버튼의 눌림이 해제될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선택된 제 1 외부기기로 상기 획득된 제 1 이미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제 1 외부기기에 해당하는 표시 위치에 상기 제 1 외부기기가 자동 선택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선택된 제 1 외부기기에 해당하는 표시 위치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처 버튼의 눌림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 및 사용자의 머리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제 2 외부기기를 바라보는 것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 2 외부기기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상기 자동 선택된 제 2 외부기기에서 표시되고 있는 방송의 채널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며,
    상기 제 1 외부 기기가 다시 선택될 경우 상기 수신된 채널 정보를 상기 제 1 외부 기기로 전달하는,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제 2 명령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 3 외부기기에 표시되는 화면이 캡처된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3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 2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처 버튼의 눌림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영역에 상기 제 1 이미지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제 3 명령에 대응하여, 선택된 제 4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이 캡처된 제 3 이미지를 상기 제 4 외부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3 이미지를 상기 제 1 외부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된 제 1 이미지의 처리 동작 명령을 상기 제 1 외부기기에 송신하되,
    상기 처리 동작 명령은, 상기 송신된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1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명령, 상기 송신된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1 외부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명령, 향후 소정 시간 내에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미지 전부에 대해 상기 제 1 외부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명령 및 향후 소정 시간 내에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미지 전부에 대해 상기 제 1 외부기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position of eyes)를 감지하는 아이 트랙킹 센서(eye tracking sens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눈동자 위치를 기초로, 상기 시선 위치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미지의 소정 영역에 상기 시선 위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30112891A 2013-09-23 2013-09-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1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91A KR102091604B1 (ko) 2013-09-23 2013-09-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491,585 US9578185B2 (en) 2013-09-23 2014-09-1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891A KR102091604B1 (ko) 2013-09-23 2013-09-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03A KR20150033203A (ko) 2015-04-01
KR102091604B1 true KR102091604B1 (ko) 2020-03-20

Family

ID=5269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891A KR102091604B1 (ko) 2013-09-23 2013-09-23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78185B2 (ko)
KR (1) KR102091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0865B2 (en) * 2013-03-04 2016-11-22 Alex C. Ch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behavior and providing information
KR20150083703A (ko) * 2014-01-10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5125162A1 (en) * 2014-02-18 2015-08-27 Technogym S.P.A. Gymnastic machine,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easily controlling the training of a user on a gymnastic machine
US9742977B2 (en) 2014-09-02 2017-08-22 Apple Inc. Camera remote control
US9693083B1 (en) 2014-12-31 2017-06-27 The Directv Grou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urchasing and/or reauthorization to access content using quick response codes and text messages
US10521213B2 (en) * 2015-12-17 2019-12-3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Technique for efficiently upgrading software in a video content network
US10540015B2 (en) * 2018-03-26 2020-01-21 Chian Chiu Li Present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a task based on gaze and voice detection
CN108965957A (zh) * 2018-07-18 2018-12-07 北京零矩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配件的控制方法、装置、客户端和系统
CN109788138A (zh) * 2019-02-01 2019-05-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23027459A1 (ko) * 2021-08-23 2023-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 객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EP4343516A1 (en) 2021-08-23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on which augmented reality object is displaye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997A (ja) * 1996-07-08 1998-01-23 Canon Inc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50169780A1 (en) * 2012-10-09 2015-06-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ensor data for auto bookmarking of information
KR101515484B1 (ko) * 2013-05-31 2015-04-29 전자부품연구원 증강현실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6118B1 (ko) * 2013-06-10 2019-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7357A1 (en) 2015-03-26
KR20150033203A (ko) 2015-04-01
US9578185B2 (en)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6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48779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80769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4000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3458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026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0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86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9170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10222448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4573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60470A1 (ko)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3204A (ko) 웨어러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1461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2372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425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182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331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3852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22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5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8054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762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01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