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093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093A
KR20130107093A KR1020120028918A KR20120028918A KR20130107093A KR 20130107093 A KR20130107093 A KR 20130107093A KR 1020120028918 A KR1020120028918 A KR 1020120028918A KR 20120028918 A KR20120028918 A KR 20120028918A KR 20130107093 A KR20130107093 A KR 20130107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unit
unit
loc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685B1 (ko
Inventor
김영아
강현호
이태령
이진희
박아름
김한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85B1/ko
Priority to EP12007308.5A priority patent/EP2642729B1/en
Priority to CN201210533499.3A priority patent/CN103327168B/zh
Priority to US13/713,485 priority patent/US8928723B2/en
Publication of KR2013010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추적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에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보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른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의 표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사용자 추적부; 및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추적부는, 카메라, 마이크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 및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는 음성의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 간격 및 정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추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소정 시청 범위에 있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를 추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오토 스크롤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영상 통화 모드 및 음성 통화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통화 중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상대방에게 대체 영상을 전송하거나,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추적부를 통해 다른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다른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위치 및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다른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다른 화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추적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 인접한 외부 기기에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단말기 본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는, 카메라, 마이크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 및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는 음성의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 간격 및 정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가 자동으로 확대됨으로써,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콘텐츠를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다른 콘텐츠로 변경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이하, '사용자 추적부'라고 칭함)(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추적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추적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적외선 센서(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보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른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콘텐츠의 표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인식되는 단계(S11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추적부(120)는 카메라(121, 도 1 참조), 마이크(122, 도 1 참조) 및 적외선 센서(123, 도 1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영상, 예를 들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메모리(160, 도 1 참조)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121)가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영상과 카메라(121)에서 획득된 사용자 영상을 비교하여, 획득된 사용자 영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메모리(160)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을 기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마이크(122)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입력받은 사용자 음성을 비교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서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60)는 이동 단말기(100)의 주된 사용자(main user)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주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주된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의 존재가 인식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에서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적외선 센서(12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적외선 센서(123)는,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다음 단계로서,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단계(S12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 도 1 참조)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 간격 및 정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멀어지는 경우, 콘텐츠의 크기를 확대시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가까워지는 경우, 콘텐츠의 크기를 축소시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음향 출력부(152, 도 1 참조)로 출력되는 음성의 볼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멀어지는 경우, 음성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가까워지는 경우, 음성의 볼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음향 출력부(152)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부(152)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부(152)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사용자 추적부(120)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및 적외선 센서(123)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추적부(120)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추적부(120)에 의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으로 정면이 아닌 타면을 향하는 위치에 있음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본체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본체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입력받은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음성 인식이 가능하며, 음성 명령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가 자동으로 확대됨으로써,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콘텐츠를 쉽게 볼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51)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 기기(3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추적부(120)는 사용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획득된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400)의 존재 여부 및 사용자(4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400)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가 이용될 수도 있고, 적외선 신호를 통해 사용자(400)의 위치를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123, 도 1 참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160, 도 1 참조)는 사용자(400)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 간격 및 정렬 방식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400)가 제 1 위치에 있다가 본체를 기준으로 멀어진 위치, 예를 들어, 제 2 위치에 있음이 인식되는 경우,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1)에 제 2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멀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콘텐츠의 크기를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가까워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콘텐츠의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400)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122,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마이크(122)에서 입력받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경(Speak To Text, STT)하여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400)가 말을 하면서 본체를 기준으로 점점 멀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사용자(40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부(251)에 점점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사용자(400)의 위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간격 또는 정렬 방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추적부(120)는 눈(eye) 탐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눈 탐색부는 카메라(221) 및 적외선 센서(123, 도 1 참조)를 이용하여 사용자(400)의 눈을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123)에서 방출된 적외선은 디스플레이부(251)를 기준으로 소정 시청 범위에 있는 사용자(400)의 눈의 망막에서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적외선은 눈 탐색부로 입력될 수 있다. 이후, 눈 탐색부는 입력받은 적외선과, 카메라(221)에서 획득된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400)의 시야를 탐색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탐색부에 의해 사용자(400)가 디스플레이부(251)를 시청하고 있음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오토 스크롤링(auto scroll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400)의 시야가 디스플레이부(251)에 고정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 명령 없이도 스크롤 바(scroll bar)(261)가 자동으로 이동되면서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오토 스크롤링의 속도는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음성 명령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 탐색부에 의해 사용자(400)가 디스플레이부(251)를 시청하고 있지 않음이 인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가 자동으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때에도,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음성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오토 스크롤링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400)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1)를 활성화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40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40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가 온(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력 자원의 절약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51)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할 수도 있으며, 다른 화면 정보, 예를 들어, 대체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가 인식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새로운 문자 메시지(262)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다시 활성화시키면서, 새로운 문자 메시지(262)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400)가 인식되지 않는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밝기 및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400)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음향 출력부(252)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400)가 제 1 위치에 있다가 본체를 기준으로 멀어진 위치, 예를 들어, 제 2 위치에 있음이 인식되는 경우,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볼륨 레벨 정보에 근거하여, 음향 출력부(252)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거리 차에 대응하는 볼륨 레벨 정보에 근거하여, 음향 출력부(252)의 볼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콘(263)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도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가까워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가까워진 위치에 대응하는 볼륨 레벨 정보 또는 두 위치의 거리 차에 대응하는 볼륨 레벨 정보에 근거하여, 음향 출력부(252)의 볼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제어부(180)는 볼륨 레벨에 대응하는 아이콘(263)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멀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 신호의 볼륨을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가까워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 신호의 볼륨을 낮출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40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음향 출력부(252)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부(252)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후,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부(252)를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400)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영상 통화 모드 및 음성 통화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통화 중 사용자(40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대방에게 대체 영상(265)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체 영상(265)은 기 지정된 영상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와 관련된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대체 영상(265)는 영상 통화에 이용된 카메라(221)의 반대편에 장착된 다른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통화 중 사용자(40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 통화 모드를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에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팝업 창(266)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 도 1 참조)는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로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4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대방에게 사용자(400) 영상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모드를 영상 통화 모드로 다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추적부(120)에 의해 사용자(400)가 카메라(221) 또는 디스플레이부(251)를 기준으로 정면이 아닌 타면을 향하는 위치에 있음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본체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300)는 카메라(221) 또는 디스플레이부(251)가 사용자(400)를 향하도록, 본체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사용자(400)의 위치에 근거하여, 영상 신호 출력 모드 및 음성 신호 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400)의 위치에 근거하여, 영상 신호 출력 중 자막을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녹화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화면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추적부(120)에 의해 다른 사용자(500)가 인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에 다른 화면 정보, 예를 들어, 대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60, 도 1 참조)는 이동 단말기(100)의 주된 사용자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주된 사용자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주된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다른 사용자 영상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들 중 제 1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이 보이도록 하고, 제 2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추적부(120)는 사용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사용자 영상과 카메라(221)에서 획득된 사용자 영상을 비교하여, 획득된 사용자 영상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에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추적부(120)가 다른 사용자(500)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다른 사용자(500)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사용자(500)가 제 2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실행 중인 메뉴를 다른 메뉴로 전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1)에 대체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에 확인되지 않은 문자 메시지들과 함께 잠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추적부(120)가 제 2 그룹에 포함된 다른 사용자(500)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들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의 양이 다르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들의 일부를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500)의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다른 사용자(500) 정보 외에도, 다른 사용자(500)의 위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251)에 다른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다른 사용자(50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또는 다른 사용자(500)가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사용자(500)가 단말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다른 콘텐츠로 변경됨으로써, 사용자(400)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400)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추적부(120)에 의해 사용자(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움직임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60, 도 1 참조)는 사용자(400)의 움직임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추적부(120)에 의해 사용자(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서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에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추적부(120)가 사용자(400)의 움직임, 예를 들어, 호(call) 신호 송신 기능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표시된 문자 메시지들을 송수신한 상대방에게 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호 신호 송신과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이 울리는 상태에서, 사용자 추적부(120)가 사용자(400)의 움직임, 예를 들어, 3분 후에 다시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스누즈(snooze) 기능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3분 후에 알람을 다시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스누즈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400)의 특정 움직임, 예를 들어, 일어나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알람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51)에 기 설정된 콘텐츠, 예를 들어, 날씨, 뉴스 등의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추적부(120)에서 사용자(400)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음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알람을 다시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호 신호 송수신, 알람 스누즈, 카메라 촬영 타이머, DMB 채널 변경,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이모티콘을 생성하고,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400)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122, 도 1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마이크(122)에서 입력받은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메모리(160)는 사용자(400)의 음성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1)에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마이크(122)가 사용자(400)의 호 신호 송신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예를 들어, "Call!"이라고 외치는 소리를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는 표시된 문자 메시지들을 송수신한 상대방에게 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200)는 본체, 사용자 추적부(120, 도 1 참조), 카메라(221), 음향 출력부(252),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어부(18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251)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 기기(3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외부 기기(300)는 본체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251)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와 인접한 외부 기기(300)에 사용자(400)의 위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추적부(120)에 의해 사용자(400)가 디스플레이부(251)를 기준으로 정면이 아닌 타면을 향하는 위치에 있음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본체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부(251)가 사용자(400)를 향하도록, 본체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카메라(221)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와 인접한 외부 기기(300)에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주된 사용자(400) 외에도 복수의 다른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 획득과 관련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예를 들어, 웃는 얼굴을 인식하거나 웃음소리를 감지하거나 지정된 명령어를 입력받는 경우,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메모리(160, 도 1 참조)에 기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정보, 예를 들어, 이름, 연락처, 키워드 등을 태그(tag)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에 태그된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과 관련된 폴더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에게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영상을 업로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사용자 추적부; 및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추적부는,
    카메라, 마이크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 및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는 음성의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 간격 및 정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추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기준으로 소정 시청 범위에 있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를 추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오토 스크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안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영상 통화 모드 및 음성 통화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 통화 중 상기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거나,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밖에 위치함이 인식되는 경우, 상대방에게 대체 영상을 전송하거나,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추적부를 통해 다른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다른 화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위치 및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다른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다른 화면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추적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음성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 인접한 외부 기기에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단말기 본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에 있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는,
    카메라, 마이크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 및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는 음성의 볼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크기, 간격 및 정렬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028918A 2012-03-21 2012-03-2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18A KR101917685B1 (ko) 2012-03-21 2012-03-2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12007308.5A EP2642729B1 (en) 2012-03-21 2012-10-24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533499.3A CN103327168B (zh) 2012-03-21 2012-12-11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3/713,485 US8928723B2 (en) 2012-03-21 2012-12-1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18A KR101917685B1 (ko) 2012-03-21 2012-03-2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93A true KR20130107093A (ko) 2013-10-01
KR101917685B1 KR101917685B1 (ko) 2018-11-13

Family

ID=4759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918A KR101917685B1 (ko) 2012-03-21 2012-03-2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28723B2 (ko)
EP (1) EP2642729B1 (ko)
KR (1) KR101917685B1 (ko)
CN (1) CN10332716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58A1 (ko) * 2014-01-02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577334A (zh) * 2016-07-04 2018-0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体感操作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8885B2 (en) * 2003-12-12 2018-04-17 Kurzweil Technologies, Inc. Virtual encounters
KR101917685B1 (ko) * 2012-03-21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075507B2 (en) * 2013-03-14 2015-07-07 Cellco Partnership Silence reminder
US9384751B2 (en) * 2013-05-06 2016-07-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ser authentication of voice controlled devices
US20140354531A1 (en) * 2013-05-31 2014-1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234988B2 (en) * 2013-09-30 2019-03-19 Blackberry Limited User-trackable moving image for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display
KR102135586B1 (ko) * 2014-01-24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119864B2 (en) 2014-03-11 2018-11-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lay viewing detection
US9173066B1 (en) * 2014-06-13 2015-10-27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CN104486536B (zh) * 2014-07-18 2018-07-20 吴莉 一种自动影像拍摄系统及其实现方法
KR102214194B1 (ko) * 2014-08-19 2021-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Rf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감지방법
CN104506716B (zh) * 2014-12-08 2018-09-2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4853093B (zh) * 2015-04-30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旋转摄像头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4935717B (zh) * 2015-06-11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旋转摄像头的来电提醒方法及终端
KR20170034154A (ko) * 2015-09-18 201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5187668B (zh) * 2015-10-09 2019-05-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系统未读信息的提醒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20170100332A (ko) * 2016-02-25 2017-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통화 방법 및 장치
KR20170110469A (ko) * 2016-03-23 201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98451B1 (ko) 2016-03-24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498364B1 (ko) * 2016-03-24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CN107291215A (zh) * 2016-04-01 2017-10-24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体感输入信息处理方法及装置
FR3053134A1 (fr) * 2016-06-24 2017-12-29 Orange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un objet multimedia
CN106131678A (zh) * 2016-07-31 2016-11-16 韩斌 一种基于智能家居的活动图像音频接收机
CN106557179A (zh) * 2016-10-10 2017-04-0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灯的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KR20180050052A (ko) * 2016-11-04 201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76149B1 (en) * 2016-12-21 2019-04-30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text-to-speech output
KR20180074152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성이 강화된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US10223821B2 (en) * 2017-04-25 2019-03-05 Beyond Imagination Inc. Multi-user and multi-surrogate virtual encounters
CN110401806A (zh) * 2019-06-21 2019-11-0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视频通话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6762A1 (en) * 2005-09-30 2008-01-10 Fadell Anthony M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light sensor
JP2009080668A (ja) * 2007-09-26 2009-04-16 Sky Kk 覗き見防止システム及び覗き見防止プログラム
US20090219224A1 (en) * 2008-02-28 2009-09-03 Johannes Elg Head tracking for enhanced 3d experience using face detection
JP2011049881A (ja) * 2009-08-27 2011-03-10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KR20110095894A (ko) * 2008-11-20 2011-08-25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입력 수단으로서의 움직임 인식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447B1 (ko) * 1994-09-16 1998-11-02 김광호 스피커 폰의 통화로 자동 형성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310955B1 (en) * 1998-06-16 2001-10-3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portable telephone handset to automatically go off-hook
JP2000194726A (ja) * 1998-10-19 2000-07-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提供媒体
US7120238B1 (en) * 2001-07-12 2006-10-10 8X8, Inc. Sensor-controlled telephone system
FI20012209A (fi) * 2001-11-14 2003-06-24 Nokia Corp Menetelmä informaation esittämisen ohjaamiseksi elektroniikkalaitteessa ja elektroniikkalaite
JP2003348659A (ja) * 2002-05-28 2003-12-05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電話の置き忘れ検知装置及び方法
KR100498030B1 (ko) * 2002-12-26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잔상제거 기능을 갖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잔상제거 방법
US7042391B2 (en) * 2003-12-12 2006-05-09 Xerox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device
US20060223547A1 (en) * 2005-03-31 2006-10-05 Microsoft Corporation Environment sensitive notifications for mobile devices
KR100672484B1 (ko) * 2005-07-1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US8676273B1 (en) * 2007-08-24 2014-03-18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JP4609536B2 (ja) * 2008-06-18 2011-01-1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CN101625716A (zh) * 2008-07-09 2010-01-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在电脑上防止偷窥的方法以及具有所述方法的电脑
JP2010176170A (ja) * 2009-01-27 2010-08-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694420B1 (ko) * 2009-09-03 201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의 통신 품질 개선 방법 및 장치
CN101867631A (zh) * 2010-06-17 2010-10-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20120038675A1 (en) * 2010-08-10 2012-02-16 Jay Wesley Johnson Assisted zoom
CN101995884A (zh) * 2010-10-27 2011-03-30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显示器角度自动调节装置
US20120162372A1 (en) * 2010-12-22 2012-06-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ging reality and virtuality in a mobile environment
CN102340649A (zh) * 2011-10-24 201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绳可视电话通话控制方法和无绳可视电话
KR101917685B1 (ko) * 2012-03-21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62886A (ko) * 2012-11-15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6762A1 (en) * 2005-09-30 2008-01-10 Fadell Anthony M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light sensor
JP2009080668A (ja) * 2007-09-26 2009-04-16 Sky Kk 覗き見防止システム及び覗き見防止プログラム
US20090219224A1 (en) * 2008-02-28 2009-09-03 Johannes Elg Head tracking for enhanced 3d experience using face detection
KR20110095894A (ko) * 2008-11-20 2011-08-25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입력 수단으로서의 움직임 인식
JP2011049881A (ja) * 2009-08-27 2011-03-10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58A1 (ko) * 2014-01-02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883210B2 (en) 2014-01-02 2018-01-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7577334A (zh) * 2016-07-04 2018-0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体感操作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2729B1 (en) 2019-04-17
CN103327168B (zh) 2016-08-31
US20130250034A1 (en) 2013-09-26
CN103327168A (zh) 2013-09-25
EP2642729A1 (en) 2013-09-25
US8928723B2 (en) 2015-01-06
KR101917685B1 (ko)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6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954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31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9611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음성 인식 방법
KR101608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176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999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874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146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1967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253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002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91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92B1 (ko) 이동 단말기
KR101958666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92624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76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920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300753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685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524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895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64492A (ko) 이동 단말기
KR1012680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