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836B1 -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836B1
KR102046836B1 KR1020130057389A KR20130057389A KR102046836B1 KR 102046836 B1 KR102046836 B1 KR 102046836B1 KR 1020130057389 A KR1020130057389 A KR 1020130057389A KR 20130057389 A KR20130057389 A KR 20130057389A KR 102046836 B1 KR102046836 B1 KR 102046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ignition
operable
high voltage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652A (ko
Inventor
이즈루 나카무라
토시히코 야마다
토루 나카가이토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filed Critical 카부시키카이샤 도요토미
Publication of KR2013013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3/00Burners using capillary action
    • F23D3/02Wick burners
    • F23D3/18Details of wick burners
    • F23D3/28Wick-adjusting devices
    • F23D3/32Wick-adjusting devices engaging with a tube carrying the wi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4Using semiconduct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4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28Ignition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36Spark ignition, e.g. by means of a high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성냥 또는 라이터와 같은 점화 수단의 필요 없이 안정된 점화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가 제공된다. 연소 심지(3)는 내부 연소 심지 실린더(1)와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점화 전극(4)은 내부 및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1, 2) 상에 노출되는 연소 심지(3)의 일부를 향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수동 회전 조작 수단에 의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제너레이터(15)가 제공된다. 충전 회로(21)는 충전 회로(21)의 출력으로 전기 저장 수단(20)을 충전하도록 제너레이터(15)의 출력에 연결된다. 수동으로 회전되는 제너레이터(15)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은 전기 저장 수단(20)에 저장된다. 전력은 점화 스위치(19)를 사용하는 점화 조작에 의해 전기 저장 수단(20)으로부터 고전압 발진 회로(5)로 공급된다. 이때 고전압 발진 회로(5)는 스파크 방전이 연소 심지(3)를 점화하기 위해 점화 전극에서 발생되도록 활성화된다.

Description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IGNITION DEVICE FOR OIL BURNER}
본 발명은 전기 방전에 의해 연소 심지를 점화하도록 조작 가능한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초기의 심지 타입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는 적열로 난방되도록 구성되는 점화 히터를 일반적으로 사용했다. 최근에 전원으로서 저전압 건전지 배터리를 사용하는 방전 타입 점화 장치가 전극 장착 구조 및 고전압 생성 회로의 개선으로 인해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06-241449호 참조)
방전 타입 점화 장치는 방전 전극이 소모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를 단지 교체함으로써 긴 주기의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건전지 배터리가 전원으로서 사용되면 건전지 배터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력이 작기 때문에 다음 문제가 제기된다. 연소 심지와 방전 전극 사이의 위치 관계를 위해 정의된 치수가 불규칙적이면 스파크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열이 오일을 기화하는데 직접 사용된다. 그 결과로서, 단지 화이트 오일의 증발에 의한 가스만 생성되고 점화에 실패한다. 이러한 이유로, 연소 심지와 방전 전극 사이의 위치 관계를 위해 정의된 치수를 정확히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건전지 배터리의 캐퍼시티는 배터리가 사용될수록 감소하고, 이는 저전압 및 약한 방전 스파크의 원인이 된다. 긴 주기의 시간 동안 예상된 점화 성능을 얻는 것은 어렵다. 이는 오일 버너의 사용자에게 오일 버너의 연속적인 사용을 위해 고갈된 배터리를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도록 강요한다. 그러나, 그러한 오일 버너를 취급하는 것은 때때로 불편하다. 이때 새로운 배터리가 이용될 수 없다면 새로운 배터리가 이용될 수 있을 때까지 연소 심지를 점화하도록 성냥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방전 전극에 있어서의 이슈를 제외하고, 연소 심지와 점화 전극 사이의 간극 치수는 연소 심지의 높이, 심지 얇기의 변화와 심지 표면으로의 타르 유착과 같은 연소 심지 표면 상태의 변화 때문에 초기 설정으로부터 벗어난다. 간극 치수가 불규칙적이면 새로운 건전지 배터리의 사용을 시작한 후 얼마의 시간 동안 임의 수준의 점화 성능이 얻어질 수 있지만 짧은 시간 내에 점화 성능은 감소된다.
본 발명은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점화 장치는 연소 심지에 점화 스파크를 제공하도록 조작 가능한 한쌍의 방전 전극; 한쌍의 방전 전극에 고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도록 조작 가능한 고전압 발진 회로; 및 고전압 발진 회로로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원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원 회로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제너레이터를 전원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전지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오일 버너의 연소 심지를 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전지 배터리의 소모 때문에 저하된 점화 성능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안정된 점화 성능은 오일 버너가 긴 주기의 시간 동안 사용된다 해도 유지될 수 있다. 제너레이터가 회전 타입이라면 전원의 안정된 출력이 제너레이터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시 얻어질 수 있으므로 안정된 스파크 방전이 한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서 일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전원 회로는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출력을 점화를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조작 가능한 동력 변환 회로; 및 고전압 발진 회로로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동력 공급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출력이 AC(교류) 동력이라면, 동력 변환 회로는 AC 동력을 DC(직류)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또는 AC-DC 변환 회로로 조작 가능한 정류 회로로서 기능한다. 동력 공급 회로는 동력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했을 때 고전압 발진 회로로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압 비교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비교 회로가 동력 공급 회로에 포함되는 바와 같은 그러한 구성에서, 점화를 위한 전력은 동력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전기 방전을 위해 요구되는 전압에 도달한 후 전원 회로로부터 고전압 발진 회로에 공급됨으로써 신뢰성 있게 점화 스파크가 일어나게 한다. 또한, 동력 공급 회로는 동력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한 것이 검출될 때 제너레이터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림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압 확보 알림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확보 알림 회로가 동력 공급 회로에 포함되는 그러한 구성에서,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점화를 위해 요구되는 전압에 도달한 것을 제너레이터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로서, 오퍼레이터는 제너레이터의 조작(또는 회전)이 충분한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동력 공급 회로는 캐퍼시터와 같은 전기 저장 수단; 동력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으로 전기 저장 수단을 충전하도록 조작 가능한 충전 회로; 및 고전압 발진 회로에 전기 저장 수단으로부터의 전하를 방전하도록 조작 가능한 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출력은 전기 저장 수단에 미리 저장되고, 그 후 전기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된 전하는 고전압 발진 회로로 방전된다. 이것은 안정된 전압이 고전압 발진 회로로 공급되도록 허용함으로써 안정된 방전이 일어나게 한다. 방전 회로는 점화 스위치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될 때 턴온되도록 조작 가능한 점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 회로는 점화 스위치가 턴온됐을 때 고전압 발진 회로로 전기 저장 수단으로부터의 전하를 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점화 스위치가 제공되면, 전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방전하는 타이밍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동력 공급 회로는 충전 완료 시 충전이 완료된 것을 지시하도록 조작 가능한 충전 완료 지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충전 완료 지시 회로가 제공되면 오퍼레이터가 제너레이터를 조작(또는 회전)하는 것을 정지할 수 있는 타이밍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림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너레이터의 쓸데없는 조작을 회피한다.
전원 회로는 건전지 배터리와 같은 일차 배터리, 및 방전 회로에 전기 저장 수단 또는 일차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조작 가능한 선택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일차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일차 전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제너레이터는 일차 배터리가 사용 불가하게 된다면 점화를 위한 전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차 배터리가 교체되지 않아도 오일 버너는 점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고전압 발진 회로는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발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조작 가능한 신호 발진 회로; 발진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온되거나 또는 턴오프되도록 조작 가능한 스위칭 회로; 및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동력 공급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부스팅하도록 조작 가능한 부스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회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너레이터를 수동으로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구동력, 즉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너레이터의 회전에 인가되는 힘은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출력 전류(또는 부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몇몇 경우에 제너레이터의 수동 조작은 약한 힘을 가진 오퍼레이터에게 큰 부담을 부과할 수 있다.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기어 메카니즘으로 형성되는 감속 메카니즘은 토크를 증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또 하나의 이슈가 제기된다. 즉, 감속 메카니즘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때, 바람직하게 고전압 발진 회로는 발진 주기 및 비발진 주기가 교대로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발진 주기 중 제너레이터에 대한 부하는 0이다. 제너레이터에 부과된 부하는 비발진 주기를 적절히 제공함으로써 적절히 경감될 수 있으므로 제너레이터의 수동 조작을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기어 메카니즘으로 형성된 보조기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고전압 발진 회로는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발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조작 가능한 신호 발진 회로; 발진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온되거나 또는 턴오프되는 스위칭 회로; 스위칭 회로의 스위칭 조작에 따라 동력 공급 회로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부스팅하도록 조작 가능한 부스터 회로; 및 발진 신호가 발진 주기 동안 스위칭 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고, 발진 신호가 비발진 주기 동안 스위칭 회로에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조작 가능한 발진 주기 설정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발진 주기 설정 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발진 주기 및 비발진 주기를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전원 회로는 제너레이터 또는 동력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도록 조작 가능한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그러한 외부 출력 단자에 있어서 정전 또는 그와 같은 경우에 다양한 전기 장비를 조작하도록 또는 다양한 전기 장비의 이차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출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출력 단자는 커넥터 구조(또는 출력 커넥터)의 형태일 수 있다.
점화 장치는 고전압 발진 회로의 조작 시작부터 그 조작이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 주기를 카운트하도록 조작 가능한 타이머 수단; 및 타이머 수단이 소정 시간 주기를 카운트할 때 점화 에러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조작 가능한 알람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소 심지 조건에 있어서의 몇몇 문제로 인해 점화가 불능인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및 많은 부수적인 장점이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인식됨과 아울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오일 버너 중 주부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오일 버너 중 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오일 버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예시적 점화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예시적 고전압 발진 회로 구성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전압 발진 회로가 조작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개략적인 신호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점화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점화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점화 장치의 회로도이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버너 또는 히터, 및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의 실시형태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 1~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오일 버너는 내부 연소 심지 실린더(1),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2), 연소 심지(3), 한쌍의 방전 전극(4a, 4b)으로 구성되는 점화 전극(4), 고전압 발진 회로(5), 제너레이터(15), 오일 탱크(7), 연소 실린더(8), 연소를 위해 연소 심지(3)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9), 하단판(10), 서비스 탱크(11), 하우징(12), 및 전방 패널(13)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하단판(10) 상에 고정된다. 오일 탱크(7)도 하단판(10) 상에 고정된다. 내부 연소 심지 실린더(1)는 오일 탱크(7)의 하단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2)는 오일 탱크(7)의 상단판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연소 심지(3)는 내부와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1, 2)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에서 위 아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배치된다. 연소 실린더(8)는 내부 및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1, 2)의 상부 단부 상에 장착된다. 연소 심지(3)의 하부 단부는 오일 탱크(7) 내의 연료 내부까지 연장된다. 연소 심지(3)의 상부 단부는 연소 실린더(8)의 하부 단부를 향한다.
구동 샤프트(9)는 오일 탱크(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샤프트(9)는 연소 심지(3)를 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소 심지(3)와 맞물린다. 회전 조작을 위한 노브(9a)는 전방 패널(13)로부터 돌출된 구동 샤프트(9)의 단부에 고정된다.
점화 전극(4)은 한쌍의 방전 전극(4a, 4b)으로 형성된다. 방전 전극(4a, 4b)은 연소 심지(3)의 상측 단부를 향하도록 연소 심지(3)의 상측 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상측 단부는 내부와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1, 2)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돌출된다. 사용 시에, 방전 전극(4a, 4b) 중 적어도 하나는 연소 심지(3) 내부에서 접촉하거나 또는 물리게 된다. 방전 전극 중 하나는 접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점화 장치의 기본 회로 구성을 예시한다. 고전압 발진 회로(5)는 연소 심지(3)에 점화 스파크를 제공하도록 조작 가능한 한쌍의 방전 전극(4a, 4b)에 고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 회로(14)는 고전압 발진 회로(5)에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하다. 고전압 발진 회로(5)는 점화 전극(4)에서 스파크 방전을 일으키도록 대략 800㎐의 주파수에서 조작된다. 전원 회로(14)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제너레이터(15)를 전원으로서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제너레이터(15)는 AC(교류) 동력을 출력한다. 또한, 전원 회로(14)는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을 점화를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조작 가능한 동력 변환 회로(16); 및 고전압 발진 회로(5)에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동력 공급 회로(17)를 포함한다. 동력 변환 회로(16)는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AC 동력 출력을 DC(직류)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조작 가능한 정류 회로(16A)와 정류 캐퍼시터(C)를 포함한다. 정류 회로(16A)는 6개의 브릿지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브릿지 회로로 형성된다. 물론 브릿지 회로 대신에 다른 AC-DC 변환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동력 공급 회로(17)는 전압 확보 알림 회로(R, 18) 및 점화 스위치(19)를 포함한다. 전압 확보 알림 회로(R, 18)는 저항(R) 및 제너 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18)의 직렬 회로로 형성된다.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이 소정 전압에 도달했을 때, 발광 다이오드(18)는 제너레이터(15)의 오퍼레이터에게 전압 확보를 알림하도록 턴온된다. 점화 스위치(19)는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도 1의 점화 스위치(19)는 구동 샤프트(9)와 함께 기능하고, 연소 심지(3)가 점화될 수 있는 연소 위치 근처에 연소 심지(3)가 도달했을 때 회로 연결된다. 환언하면, 점화 스위치(19)는 회전 조작을 위한 노브(9a)가 연소 위치에서 회전될 때까지 오프 상태에 있고, 회전 조작을 위한 노브(9a)가 연소 위치에서 회전됐을 때 온 상태로 된다.
도 1~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너레이터(15)는 도시되지 않은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동력 생성부(15a), 회전 핸들(15b), 및 감속 메카니즘(15c)을 포함한다. 감속 메카니즘(15c)은 동력 생성부(15a)의 로터가 고정 장착되는 회전 샤프트의 한 단부에 고정되는 출력 샤프트(15d), 회전 핸들(15b)이 고정되는 입력 샤프트(15e), 및 출력과 입력 샤프트(15d, 15e)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동력 생성부(15a) 및 감속 메카니즘(15c)은 오일 버너의 하우징(12) 내부에 배치된다. 회전 핸들(15b)은 힌지 메카니즘을 통해 입력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힌지 메카니즘 주위로 폴딩된 회전 핸들(15b)과 조작 노브(15f)가 하우징(12)의 전방 패널(13)의 개구부(13a) 내에 수용됐을 때, 회전 핸들(15b)은 수용 상태로 된다. 조작 노브(15f)가 개구부(13a) 외부로 당겨지고 회전 핸들(15b)이 힌지 메카니즘 주위로 언폴딩될 때, 회전 핸들(15b)은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점화 조작을 제외하고, 회전 핸들(15b)은 폴딩되어야 하고 개구부(13a) 내에 수용되어야 한다. 점화를 위해, 회전 핸들(15b)은 회전 조작을 위해 개구부(13a) 외부로 당겨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회전 핸들(15b)은 점화를 제외한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구부(13a)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점화 조작을 위해 구동 샤프트(9)는 연소 심지(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점화 스위치(19)가 온 상태로 되도록 회전된다. 다음에, 조작 상태로 설정되어 있던 회전 핸들(15b)이 회전될 때, 회전 토크는 감속 메카니즘(15c)에 의해 증폭되고 동력 생성부(15a)의 로터를 회전시키도록 동력 생성부(15a)에 전해짐으로써 AC 동력을 생성시킨다. 이때, 동력 공급 회로(17)는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전력을 공급하고 이어서 고전압 발진 회로(5)는 점화 전극(4)에서 스파크 방전을 일으키도록 활성화된다. 그 후, 구동 샤프트(9)는 점화 스위치(19)를 끄도록 연소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동력 공급 회로(17)는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스파크 방전을 정지한다. 따라서, 오일 버너는 통상적인 연소 모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점화 스위치(19)가 제공되지만 DC 동력은 점화 스위치(19)를 사용하지 않고 고전압 발진 회로(5)에 직접 공급된다.
건전지 배터리는 종래 오일 버너의 점화 장치를 위한 전원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점화 성능은 연소 심지의 열화와 같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전압 변동 때문에 스파크 방전에 있어서 변화한다. 전원 전압이 열화된 건전지 배터리 때문에 낮아지면, 방전 스파크 에너지가 약해짐으로써 화이트 오일 증기만을 생성하여 점화에 실패한다. 따라서, 점화 성능은 보다 나빠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점화 성능은 간헐적으로 스파크 방전을 일으키거나 다른 위치에서 스파크가 발생되게 하도록 발진 주파수를 변화함으로써 개선된다.
도 5는 고전압 발진 회로 구성의 예를 예시한다. 도 5의 고전압 발진 회로(5)는 신호 발진 회로(51), 스위칭 회로(52), 부스터 회로(53), 및 발진 주기 설정 회로(54)를 포함한다. 신호 발진 회로(51)는 멀티 바이브레이터 회로나 그와 같은 회로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800㎐의 주파수에서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발진 신호를 생성하도록 조작 가능하다. 스위칭 회로(52)는 2개의 트랜지스터(TR1, TR2) 및 저항(R)으로 형성되고 신호 발진 회로(51)로부터의 발진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온되거나 또는 턴오프되도록 조작 가능하다. 부스터 회로(53)는 일차 권선(W1), 이차 권선(W2), 및 일차 권선(W1)과 병렬로 연결된 캐퍼시터(C1)로 형성된 전압 변압기로 구성된다. 스위칭 회로(52)의 트랜지스터(TR1, TR2)가 턴온됐을 때, 전류는 일차 권선(W1)을 통해 흐른다. 이 상태에서, 스위칭 회로(52)의 트랜지스터(TR1, TR2)가 턴온됐을 때, 고전압, 예를 들면 8-9V가 펄스 형태로 이차 권선(W2)에서 생성된다. 고전압은 일차 및 이차 권선(W1, W2)의 권선수 비율에 따라 생성된다. 도 6A는 펄스 형태로 생성되는 고전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펄스 형태로 생성되는 고전압은 한쌍의 방전 전극(4a, 4b)에 반복적으로 인가됨으로써 반복적으로 스파크 방전이 발생되게 한다. 발진 주기 설정 회로(54)는 신호 생성 회로(55) 및 트랜지스터(TR3)를 포함한다. 신호 생성 회로(55)는 소정 주기, 예를 들면 25㎳마다 신호(S1) 및 신호(S2)를 교대로 생성하도록 조작 가능하다. 신호(S1)는 발진 주기에 대응하는 신호폭(TP1)을 갖는다. 신호(S2)는 비발진 주기에 대응하는 신호폭(TP2)을 갖는다. 신호 생성 회로(55)는 멀티 바이브레이터 회로 또는 그와 같은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C는 이러한 신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신호(S1)가 트랜지스터(TR3)를 턴오프하도록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주기 중, 트랜지스터(TR1, TR2)는 신호 발진 회로(51)로부터의 발진 신호에 응답하여 반복적으로 턴온되고 턴오프된다. 신호(S2)가 트랜지스터(TR3)를 턴온하도록 트랜지스터(TR3)에 입력되는 주기 중, 신호 발진 회로(51)로부터의 출력이 쇼트컷됨으로써 발진 신호가 트랜지스터(TR1, TR2)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에 예시된 구성의 예에서 발진 주기 설정 회로(54)는 발진 신호가 발진 주기(TP1) 중 스위칭 회로(52)에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고, 발진 신호가 비발진 주기(TP2) 중 스위칭 회로(52)에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조작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발진 주기 및 비발진 주기는 신호(S1, S2)의 발생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 전류(또는 부하)에 비례하여, 수동 조작에 의해 제너레이터를 구동하도록 요구되는 구동력, 환언하면 제너레이터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너레이터(15)의 로터에 인가되는 힘은 증가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몇몇 경우에 제너레이터(15)를 수동으로 조작할 때 약한 힘을 갖는 오퍼레이터에게 큰 부담이 부과된다. 기어 메카니즘으로 형성되는 감속 메카니즘(15c)은 오퍼레이터에게 부과되는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생성된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새로운 이슈가 제기된다, 즉 감속 메카니즘(15c)에 대한 회전 속도가 증가되어야만 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 도 5의 고전압 발진 회로(5)는 발진 주기(TP1) 및 비발진 주기(TP2)가 교대로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제너레이터(15)에 대한 부하는 비발진 주기 중 0이다. 제너레이터(15)의 부하는 비발진 주기(TP2)를 적절히 제공함으로써 적절히 경감될 수 있으므로 제너레이터(15)의 수동 조작을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버너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AC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동력이 거의 이용 불가능한 재해 또는 그와 같은 경우에 오일 연소하는 스페이스 히터로서 기능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종래 통상적인 오일 버너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건전지 배터리 및 성냥 또는 라이터와 같은 점화 수단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오일 버너는 건전지 배터리, 성냥, 및 라이터를 요구하지 않는다. 일단 오일 버너가 현장 운반되어 설치되고 연료가 오일 버너에 공급된다면 용이하게 난방이 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오일 버너는 재해 또는 그와 같은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점화 장치를 예시한다. 도 7의 제 2 실시형태의 일부는 도 4의 제 1 실시형태의 대응 형태로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부호가 할당되고 그 설명이 생략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동력 공급 회로(17)는 전기 이중층 캐퍼시터 및 이차 배터리와 같은 전기 저장 수단(20);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으로써 전기 저장 수단(20)을 충전하도록 조작 가능한 충전 회로(21); 및 전하를 전기 저장 수단(20)으로부터 고전압 발진 회로(5)로 방전하도록 조작 가능한 방전 회로(22)를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은 전기 저장 수단(20) 내에 저장되고, 저장된 전하는 방전됨으로써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안정된 전압을 공급한다. 방전 회로(22)는 점화 장치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될 때 턴온되는 점화 스위치(19')를 포함한다. 점화 스위치(19')는 오일 버너의 전방 패널 상에 제공된다. 점화 스위치(19')가 턴온됐을 때, 전하는 전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고전압 발진 회로(5)로 방전된다. 동력 공급 회로(17)는 전기 저장 수단(20)의 충전된 전압이 소정 전압에 도달했을 때, 발광 다이오드(18)를 턴온함으로써 전압 확보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림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압 확보 알림 회로를 포함한다. 전압 확보 알림 회로는 저항(R) 및 제너 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18)를 포함하는 직렬 회로로 형성된다. 오퍼레이터는 발광 다이오드(18)가 턴온된 후, 점화 스위치(19')를 턴온함으로써 점화를 위해 필수적이고 충분한 전력으로 고전압 발진 회로(5)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한 전압 확보 알림 회로는 오퍼레이터가 제너레이터를 얼마나 길게 조작하거나 또는 회전시켜야 하는지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림으로써 제너레이터의 쓸데없는 조작을 회피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충전의 완료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13) 상의 회전 핸들(15b) 근방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18)를 턴온함으로써 알림된다. 충전의 완료는 버저를 울림으로써 알림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18)가 오퍼레이터가 제너레이터(15)의 회전 핸들(15b)를 회전시키면서 턴온될 때, 오퍼레이터는 발광 다이오드(18)가 턴온되는 것을 확인하고 제너레이터(15)의 회전 핸들(15b)을 회전시키는 것을 정지하고 점화 스위치(19')가 회로 연결되도록 조작해야 한다. 따라서, 전력은 전기 저장 수단(20)으로부터 고전압 발진 회로(5)에 공급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점화 전극(4)에서 스파크 방전을 일으키도록 활성화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점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의 제 3 실시형태의 일부는 도 4의 제 1 실시형태의 대응 형태로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부호가 할당되고 그 설명이 생략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도 4의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원 회로(14)는 점화를 위한 전력을 얻도록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고, 그 후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직접 전력을 공급한다. 제 3 실시형태는 전압 비교 회로(24)가 제 3 실시형태에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4의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전압 비교 회로(24)는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했을 때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는 일차 배터리가 건전지 배터리로 형성되고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이머 수단(27) 및 알람 수단(28)이 제 3 실시형태에 제공된다는 점에서도 도 4의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너레이터(15)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량은 회전 핸들(15b)의 회전량에 따라 변한다. 회전 핸들(15b)이 천천히 회전되면, 그 회전량이 적으므로 적은 양의 전력을 생성한다. 회전 핸들(15b)이 빨리 회전되면 회전량이 많으므로 많은 양의 전력을 생성한다. 전압 검출 수단(10)은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도록 제공된다. 회전 핸들(15b)이 소정 회전량만큼 회전되고 동력 생성부(15a)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 전압에 도달했을 때, 전압 비교 회로(24)는 전도 상태가 되고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고전압 발진 회로(5)로 공급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회전 핸들(15b)이 조작된다 해도 회전량이 적어서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 전압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고전압 발진 회로(5)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회전 핸들(15b)이 의도하지 않게 회전된다 해도 회전 핸들(15b)이 소정 회전량만큼 회전되지 않으면 점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소 심지(3)의 점화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 오퍼레이터가 회전 핸들(15b)을 회전하면서 발광 다이오드(18)가 턴온된 것을 인지할 때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이 소망된 전압에 도달한 것을 점화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전압 비교 회로(24)에 사용되는 기준 전압은 발광 다이오드(18)가 턴온되는 전압과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낮게 설정된다. 발광 다이오드(18)가 턴온됐을 때, 전압 비교 회로(24)는 전도 상태로 되고 고전압 발진 회로(5)는 조작 상태로 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18)는 발광 다이오드(18)가 턴온됐을 때 고전압 발진 회로(5)가 조작 상태인 것을 지시하도록 기능한다. 연소 심지(3)가 점화될 때까지 스파크 방전이 점화 전극(4)에서 적절히 발생되도록 회전 핸들(15)의 회전이 어느 정도 요구되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제 3 실시형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발광 다이오드(18)가 턴온될 때까지 회전 핸들을 회전시키면,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고전압 발진 회로(5)를 활성화하도록 소정 전압에 도달하고 스파크 방전이 연소 심지(3)를 점화하도록 점화 전극(4)에서 적절히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 핸들(15b)의 회전량은 방전의 발생이 직접 확인될 수 없다 해도 발광 다이오드(18)를 턴온함으로써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점화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도 8의 제 3 실시형태에 제너레이터(15) 및 건전지 배터리(또는 일차 배터리)가 제공된다. 전압 비교 회로(24) 및 건전지 배터리(26)는 선택 회로를 형성하는 선택 스위치(25)를 통해 고전압 발진 회로(5)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선택 스위치(25)는 고전압 발진 회로(5)에 그것을 연결하고 고전압 발진 회로(5)로부터 건전지 배터리(26)를 연결 해제하기 위해 제너레이터(15)에 대한 회로를 선택하도록 일반적으로 설정된다. 이 선택에서, 구동 샤프트(9)는 연소 심지(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고 그 후 제너레이터의 회전 핸들(15b)이 회전된다. 제너레이터(15)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은 고전압 발진 회로(5)를 활성화하도록 고전압 발진 회로(5)로 공급되고 그 후 스파크 방전이 점화 전극(4)에서 발생된다. 본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선택 스위치(25)는 고전압 발진 회로(5)에 그것을 연결하고 고전압 발진 회로(5)로부터 제너레이터(15)를 연결 해제하기 위해 건전지 배터리(26)를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선택에서, 구동 샤프트(9)는 연소 심지(3)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고 그 후 선택 스위치(25)는 고전압 발진 회로(5)에 그것을 연결하기 위해 건전지 배터리(26)를 선택하도록 조작된다. 전력은 고전압 발진 회로(5)를 활성화하도록 건전지 배터리(26)로부터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제공되고 그 후 스파크 방전이 연소 심지(3)를 점화하도록 점화 전극(4)에서 발생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해 점화 장치를 조작하는 방법은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건전지 배터리(26)는 상시 사용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선택 스위치(25)는 연소 심지(3)를 점화하도록 조작 가능하다. 건전지 배터리의 캐퍼시티가 점화하는데 충분하지 않게 되면 회전 핸들(15b)이 연소 심지(3)를 점화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 배터리(26)가 새로운 것으로 즉시 교체될 수 없을 때에도 성냥이나 라이터와 같은 몇몇 다른 점화 수단을 마련할 필요 없이 오일 버너가 사용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 조작의 편의성은 제너레이터(15) 및 건전지 배터리(26)가 주변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개선된다.
도 7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점화 시에 점화 스위치(19')는 연속적으로 아래로 압박되거나 또는 회전 핸들(15b)의 회전은 연소 심지(3)가 점화되는 것이 확인될 수 있을 때까지 연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연소 심지(3)는 열화되어 간다. 연소 심지(3)의 열화가 진행되면, 스파크 방전이 점화 전극(4)에서 적절히 발생된다 해도 연소 심지(3)를 점화하는 것이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그 후, 제 3 실시형태에 타이머 수단(27)이 제공된다. 타이머 수단(27)은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이 고전압 발진 회로(5)를 활성화하는 소정 전압에 도달했을 때 카운팅을 시작하도록 그리고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이 고전압 발진 회로(5)를 비활성화하는 소정 전압 아래로 떨어졌을 때 카운팅을 정지하도록 조작 가능하다. 참조 번호 28은 버저 또는 램프와 같은 알람 수단을 명시한다. 카운팅을 연속하도록 타이머 수단(27)에 대해 정의된 소정 시간 주기는 스파크 방전에 의해 연소 심지(3)의 점화가 허용되는 시간 주기의 상한이다. 환언하면, 상한은 스파크 방전이 연속되어도 점화가 실패했을 때 연소 심지가 열화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 시간이다. 소정 시간 주기는 경험으로부터 습득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0초로 설정된다. 타이머 수단(27)이 소정 시간 주기에 대해 카운팅을 연속할 때 조작 신호는 알람 수단(28)을 활성화하는 알람 수단(28)으로의 출력이다. 그 결과로서, 알람 수단(28)으로부터의 출력은 점화가 연소 심지(3)의 열화 또는 그와 같은 이유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는 연소 심지(3)의 보수 유지 또는 교체를 위한 시간을 체크할 것을 촉구함으로써 연소 심지(3)의 교체 또는 오일 탱크(7) 내의 오일이 고갈될 때까지 연소가 연속되는 방식으로 완전 연소를 시기 적절히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점화 장치를 도시한다. 제 4 실시형태에는 건전지 배터리(26) 대신에 출력 커넥터(29)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8의 제 3 실시형태와 다르다. 출력 커넥터(29)는 제너레이터(15) 또는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도록 조작 가능한 외부 출력 단자(29a, 29b)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제 4 실시형태는 도 8의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그 설명이 생략된다. 출력 커넥터(29)는 외부 장비의 동력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참조 번호 30은 고전압 발진 회로(5)와 출력 커넥터(29) 사이에서 제너레이터(15) 또는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을 스위칭하도록 조작 가능한 선택 스위치를 명시한다. 선택 스위치(30)는 일반적으로 고전압 발진 회로(5)의 측부에 연결된다. 외부 장비가 출력 커넥터(29)에 연결됐을 때, 선택 스위치(30)는 출력 커넥터(29)로 스위칭되고 회전 핸들(15b)은 회전을 위해 조작된다. 이때, 동력 생성부(15a)에 의해 생성된 전력은 동력 변환 회로(16)를 통해 출력 커넥터(29)로 출력되고 따라서 전력은 제너레이터(15)로부터 출력 커넥터(29)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 공급된다. 제 4 실시형태의 오일 버너는 전원이 용이하게 확보될 수 없는 재난 또는 그와 같은 경우에 전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전화 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는 출력 커넥터(29)에 이동 전화 또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연결함으로써 재난 또는 그와 같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특징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련해 설명되지만 상기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명백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 버너의 연소 심지는 건전지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점화될 수 있다. 건전지 배터리의 소모 때문에 저하된 점화 성능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안정된 점화 성능은 오일 버너가 더 길어진 시간 주기 동안 사용될 때에도 유지될 수 있다. 제너레이터가 회전 타입이라면 안정된 출력 동력이 제너레이터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시 얻어질 수 있으므로 스파크 방전이 한쌍의 방전 전극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발생되도록 한다.
1 : 내부 연소 심지 실린터 2 : 외부 연소 심지 실린더
3 : 연소 심지 4 : 점화 전극
5 : 고전압 발진 회로 15 : 제너레이터
18 : 발광 다이오드(알림 수단) 19 : 점화 스위치
21 : 충전 회로 24 : 전압 비교 회로
25 : 선택 스위치 26 : 건전지 배터리
27 : 타이머 수단 28 : 알람 수단
29 : 출력 커넥터

Claims (15)

  1. 연소 심지(3)에 점화 스파크를 제공하도록 조작 가능한 한쌍의 방전 전극(4a, 4b);
    상기 한쌍의 방전 전극(4a, 4b)에 고전압을 주기적으로 인가하도록 조작 가능한 고전압 발진 회로(5); 및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에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원 회로(14)를 포함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로서,
    상기 전원 회로(14)는 수동 조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제너레이터(15)를 전원으로서 포함하고, 상기 전원 회로(14)는 상기 제너레이터(15)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점화를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도록 조작 가능한 동력 변환 회로(16)와,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에 상기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동력 공급 회로(17)를 구비하고,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는 발진 주기(TP1) 및 비발진 주기(TP2)가 교대로 발생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는 주기적으로 발진하는 발진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조작 가능한 신호 발진 회로(51)와, 상기 발진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턴온되거나 또는 턴오프되도록 조작 가능한 스위칭 회로(52)와, 상기 스위칭 회로(52)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상기 동력 공급 회로(17)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부스팅하도록 조작 가능한 부스터 회로(53)와, 상기 발진 신호가 상기 발진 주기(TP1) 중 상기 스위칭 회로(52)에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발진 신호가 상기 비발진 주기(TP2) 중 상기 스위칭 회로(52)에 입력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조작 가능한 발진 주기 설정 회로(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공급 회로(17)는, 상기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했을 때,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로 상기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압 비교 회로(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공급 회로(17)는, 상기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했을 때,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상기 점화를 위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압 비교 회로(24)와,
    상기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소정 전압을 초과한 것이 검출될 때, 제너레이터의 오퍼레이터에게 알림하도록 조작 가능한 전압 확보 알림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공급 회로(17)는, 전기 저장 수단(20), 상기 동력 변환 회로로부터의 출력으로써 상기 전기 저장 수단을 충전하도록 조작 가능한 충전 회로(21), 상기 전기 저장 수단(20)으로부터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전하를 방전하도록 조작 가능한 방전 회로(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공급 회로(17)는, 상기 전기 저장 수단(20)의 충전 완료 시, 충전이 완료된 것을 지시하도록 조작 가능한 충전 완료 지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22)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될 때 턴온되는 점화 스위치(19)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스위치(19)가 상기 턴온됐을 때 전기 저장 수단(20)으로부터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로 전하를 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14)는, 일차 배터리(26)와, 상기 방전 회로(22)에 상기 전기 저장 수단(20) 또는 상기 일차 배터리(26)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조작 가능한 선택 회로(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회로(14)는, 상기 제너레이터(15) 또는 상기 동력 변환 회로(16)로부터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도록 조작 가능한 외부 출력 단자(29a, 29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진 회로(5)의 조작 시작으로부터 조작의 정지까지의 시간 주기를 카운트하도록 조작 가능한 타이머 수단(27)과, 상기 타이머 수단(27)이 소정 시간 주기를 카운트할 때 점화 에러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조작 가능한 알람 생성 회로(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레이터(15)는, 수동 회전 조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제너레이터(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 장비로 전력을 외부 공급 또는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너레이터(15)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출력 커넥터(2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57389A 2012-05-22 2013-05-21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KR102046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6515 2012-05-22
JPJP-P-2012-116515 2012-05-22
JP2013097311A JP6171539B2 (ja) 2012-05-22 2013-05-07 石油燃焼器の点火装置
JPJP-P-2013-097311 2013-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652A KR20130130652A (ko) 2013-12-02
KR102046836B1 true KR102046836B1 (ko) 2019-11-20

Family

ID=4846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389A KR102046836B1 (ko) 2012-05-22 2013-05-21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67095B1 (ko)
JP (1) JP6171539B2 (ko)
KR (1) KR102046836B1 (ko)
CN (1) CN203336637U (ko)
CL (1) CL2013001451A1 (ko)
ES (1) ES273085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8973A (zh) * 2017-09-19 2017-12-08 江帅辰 音频振荡驱动电子点火器
CN110857784B (zh) * 2018-08-23 2021-04-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防止炒菜热油迸溅智能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786A (ja) * 2000-11-02 2002-05-1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7330024A (ja) * 2006-06-07 2007-12-20 Sony Corp 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661U (ko) * 1976-09-09 1978-04-06
JP2768199B2 (ja) 1993-01-29 1998-06-25 株式会社トヨトミ 石油燃焼器の放電式点火装置
JPH08121769A (ja) * 1994-10-21 1996-05-17 Sanyo Electric Co Ltd 燃焼器
JPH1151317A (ja) * 1997-08-01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灯芯式石油燃焼器の点火装置
JPH11297101A (ja) * 1998-04-09 1999-10-29 Ishifuku Metal Ind Co Ltd 可搬式ライ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786A (ja) * 2000-11-02 2002-05-1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7330024A (ja) * 2006-06-07 2007-12-20 Sony Corp 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7095B1 (en) 2019-05-01
ES2730853T3 (es) 2019-11-13
EP2667095A3 (en) 2017-12-06
CL2013001451A1 (es) 2013-11-08
JP2014001919A (ja) 2014-01-09
KR20130130652A (ko) 2013-12-02
EP2667095A2 (en) 2013-11-27
CN203336637U (zh) 2013-12-11
JP6171539B2 (ja)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678B2 (en) Low voltage power supply for spark igniter and flame sense
JP4831179B2 (ja) 充電制御装置
KR102046836B1 (ko) 오일 버너용 점화 장치
JP2007224781A (ja) 分離充電補助電源を持つ点火又は燃料噴射システム
TWI564479B (zh) 引擎啓動裝置
KR100877615B1 (ko) 환경 리모콘의 전원장치
WO2013054886A1 (ja) エンジン駆動発電装置
TWM514152U (zh) 車輛用之備用電源裝置
JP2010215003A (ja) 作業機械の電源系制御装置
CN1680707B (zh) 用于内燃机的点火装置
CN112260386B (zh) 热水器及其电源切换装置
JP7461287B2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US20230175694A1 (en) Dc re-ignition system for a gas burner
CN219203291U (zh) 便携式电源设备
RU2431055C2 (ru) Система пуск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TWM446115U (zh) 主動式車輛回充保護裝置
JP3486045B2 (ja) 燃焼装置
JP2002168452A (ja) 調理機器
SU46413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жигани горючего вещества к зажигалкам
JPS5913491Y2 (ja) 電池式点火装置
JP2002168442A (ja) 調理機器
KR200189903Y1 (ko) 비상구 표시등 점등회로
KR100894402B1 (ko) 자동차시거잭보조전원장치
TWI358494B (en) Ignition/fuel injection system with auxiliary & se
JPS63446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