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337B1 -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337B1
KR102041337B1 KR1020180036290A KR20180036290A KR102041337B1 KR 102041337 B1 KR102041337 B1 KR 102041337B1 KR 1020180036290 A KR1020180036290 A KR 1020180036290A KR 20180036290 A KR20180036290 A KR 20180036290A KR 102041337 B1 KR102041337 B1 KR 10204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al
scroll compressor
spiral
wall
co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367A (ko
Inventor
베른트 구터르만
카디르 두산
로라 애리아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2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04C18/0284Details of the wrap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2Cutters specially designed for producing particula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4Overall form of the milling cutter
    • B23C2210/242Form tools, i.e. cutting edges profiles to generate a particular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10Manufacture by remov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20Geometry of the rotor
    • F04C2250/201Geometry of the rotor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10Manufacture by remov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14)로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기 하우징 및 상기 압축기 하우징 내부에 엇갈려서 맞물려 있는 2개의 나선형부(spiral)(1)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나선형부 중 하나의 나선형부(1.1)는 고정식이고, 다른 하나의 나선형부(1.2)는 원형 경로 상에서 편심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식이며, 상기 2개의 나선형부(1) 사이에 형성된 압축 챔버(compression chamber)(15.1, 15.1'; 15.2, 15.2'; 15.3)들의 체적이 환상형(cyclic)으로 변경되고, 그리고 냉매가 흡입 및 압축되며,
상기 고정식 나선형부(1.1)의 중심에서, 상기 2개의 나선형부(1)에 정면인,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정면 벽 내에, 상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매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나선형 벽의 오목한 측면(3)이 나선형 영역에 있는 상기 2개의 나선형부(1.1; 1.2)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2)에 절단 단부(cut end)(4)를 갖고,
상기 절단 단부(4)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 원추형 세그먼트(cone segmen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원추형 세그먼트는 상기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6)에서 하부 단부(7)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Description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FOR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엇갈려서 맞물려 있는 2개의 나선형부(spiral)를 포함하고, 이들 나선형부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는 절단 단부(cut end)를 갖는다.
스크롤 압축기라는 개념은, 특히 드라이브 웜 압축기(drive worm compressor), 나선형 압축기(spiral compressor) 또는 나선형 컴프레서라는 명칭으로도 공지되어 있는 전문 용어에서 통용되는 압축기 타입명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양변위 원리(positive displacement principle)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엇갈려서 맞물려 있는 2개의 나선형부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나선형부 중 하나의 나선형부는 고정식이고, 다른 한 나선형부는 원형 경로 상에서 편심으로 운동한다.
이때에 상기 나선형부들은 상호간에 최소 간격을 유지하고, 매 선회 시, 계속 작아지는 2개의 압축 챔버(compression chamber)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펌핑될 가스가 외부에서 흡입되어 스크롤 압축기 내부의 압축 챔버들에서 압축되고, 나선형부의 중심에서 연결부를 통해 배출된다.
2개의 나선형부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 섹션의 현재 사용되는 디자인들은, 2개의 스크롤 압축 챔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수직 절단 단부를 사용한다. 하기에서 각기둥 형태로 표기되는 이러한 절단 단부의 경우, 복잡한 제작 공정이 불가피하다.
JP 2007-002736호에는, 안정적인 작동을 통해서 진동과 소음이 감소되는 스크롤 압축기가 기술되어 있다. 이 스크롤 압축기에서, 선회식 나선형부에 마주 놓인 고정식 나선형부의 측벽의 내부벽 표면에는 리세스(recess)가 형성되어 있다. 유사한 리세스가 상기 선회식 나선형부의 측벽에도 형성되어 있다.
고정된 나선형부에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선회식 나선형부에 의해, 제1 및 제2 중간 압축 챔버가 상기 리세스들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중심 압축 챔버는 상기 고정된 나선형부와 선회식 나선형부 사이에 리세스들에 의해 형성된 단부 압축기 챔버에 인접한다.
공지된 선행 기술의 단점들은, 절단 단부 영역에서 고정된 나선형 바디와 이동식 나선형 바디가 접촉한다는 데 기인한다. 이러한 접촉은 접촉 시스템(contact system)의 중복 치수(redundant dimensioning)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절단 단부들의 내부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응력 집중(stress concentration)을 야기한다. 가장 얇은 벽 섹션의 팽창은 벽의 변형을 야기하고, 이러한 변형은 곧바로 파괴로 이어질 수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온도 상승, 마모 및 마찰과 같은 2개의 나선형부의 접촉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를 악화시킨다.
선행 기술의 상응하는 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또 다른 난점은 단부 섹션의 벽 두께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이와 연관해서 압축 후 소량의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단면(end face)이 작아진다는 것이다. 나선형부들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단부 영역의 현재 통용되는 절단 단부의 구조로 인해 야기되는, 스크롤 압축기의 냉매 배출 방향으로의 차선의 냉매 흐름(suboptimal refrigerant flow)은 추가적인 문제를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최적이 아닌 냉매 흐름은 단부 영역의 절단 단부 벽에서 토크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증가된 압축력(과압)으로 이어지며, 동시에 나선형부의 중심에서 불균형한 힘/토크 시스템(force/torque-system)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일본 특허:JP 2007-002736
본 발명의 과제는, 압축된 냉매 배출 시 발생하는 과압을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안정적이고 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의 나선형부들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단부 섹션 형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이 종속 특허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기 하우징;과 상기 압축기 하우징 내부에 엇갈려서 맞물려 있는 2개의 나선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나선형부 중 하나의 나선형부는 고정식이고, 다른 한 나선형부는 원형 경로 상에서 편심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식이며, 그 결과로 상기 나선형부들 사이에 형성된 압축 챔버들의 체적이 환상형(cyclic)으로 변경되고, 그리고 냉매가 흡입 및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식 나선형부의 중심에서, 상기 나선형부들에 정면인,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벽 내에, 상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매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나선형 영역에 있는 상기 두 나선형부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에서, 나선형 벽의 오목한 측면이 절단 단부를 갖고, 이 절단 단부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 원추형 세그먼트(cone segment)의 형태를 가지며, 이 원추형 세그먼트는 상기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본 발명의 콘셉트에 따르면, 나선형 영역에는, 즉 고정식 나선형부 및/또는 선회식 나선형부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 영역에는 원추형 절단 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추형 절단 단부는 고정식 나선형부 및 선회식 나선형부의 마주 놓인 나선형 영역들에 의해 형성된 내부 압축 챔버를, 오히려 나선형부의 단부에 형성된 절단 단부가 없는 경우와 같이 냉매 메인 배출구에 연결한다.
이러한 것은 정확히 압축 챔버가 배출 압력에 도달한 후에만 냉매 매인 배출구로부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원치 않은 과압 발생을 방지한다. 원추형 절단 단부는 압축기의 정해진 구동각 범위에서는 2개의 나선형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해준다. 이러한 점은 외부 저압 챔버들의 밀봉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로 인해서는 나선형부들 간의 접촉력도 점차 외부 벽들로 이동되는데, 이러한 외부 벽 위치에서는 상대적으로 곡률은 더 작고 반지름은 더 크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힘 이동은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절단 단부의 원추형 형성은 압축 공정의 마지막에 발생하는 과압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압축 챔버들의 밀봉도 향상시키는데, 이러한 점은 냉매의 누출 감소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과압은, 필수적인 작동점(operating point)들에서 지나친 체적 측정 효율 손실 없이도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등엔트로피 효율(isentropic efficiency)의 증대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상응하게, 원추형으로 형성된 절단 단부는 나선형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진행되는데, 즉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단부까지 뻗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절단 단부의 체적은 경사진 형태에 상응하게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단부까지 분포되어 있다. 원추형 형태는 2개의 압력 챔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완만한 단면적 프로파일 특성을 실현한다. 절단 단부의 원추형 형태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나선형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진행되는 경사진 에지가 주어지고, 이러한 에지는 나선형 벽들의 여러 접촉 지점의 전환을 개선한다.
이와 동시에, 원추형 절단 단부 영역에서 나선형 벽의 내부 단부 두께가 상기 절단 단부 밖에 있는 나선형부의 영역들과 같은 값을 갖는 방식으로, 다시 말해 나선형부의 하부 단부에서 벽 두께가 유지되는 방식으로 절단 단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경사진 에지가 기울어져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나선형 영역에 있는 나선형부의 기계적 강도, 강성 및 하중 저항성이 부정적인 형향을 받지 않는다. 절단 단부가 나선형부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단부까지 이르는 전체 높이에 걸쳐서 진행되므로, 선행 기술에 따른 각기둥 형태의 절단 단부와 비해 원추형 절단 단부 형성 시 나선형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러한 나선형부로부터 일정한 부피의 재료가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는데, 즉 나선형부의 길이 방향으로 더 적은 재료가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에 있는 경사진 에지가 상기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에서 하부 단부까지 이르는 모서리의 정점에서,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에서 하부 단부까지 진행되는 절단 단부의 제2의 경사진 에지와 만나는 방식으로 절단 단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식 나선형부 및/또는 선회식 나선형부가 절단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나선형 영역의 원추형 절단 단부는, 이러한 절단 단부가 상기 고정식 나선형부의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선회식 나선형부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나선형 배출구 방향으로 최적화된 냉매 흐름을 만들어 낸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들은 기계의 소음 문제를 개선하고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절단 단부의 윤곽선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도 제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윤곽선은 완료되지 않은 주물(unfinished casting) 또는 단조품(forging)에도 형성될 수 있음으로써, 미가공 부분의 추가적인 가공이 전혀 필요하지 않고, 각기둥 형태의 절단 단부 제조와 비교하면 기계 가공 비용(machining costs)이 생략된다. 물론 절단 단부는 원추형 밀링 공구를 이용한 밀링 공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서:
도 1a는 나선형 영역이 각기둥 형태로 절단된 선행 기술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나선형부이고,
도 1b는 나선형 영역이 사선으로 절단된 스크롤 압축기의 나선형부이며,
도 2a는 나선형 영역이 사선으로 절단된 스크롤 압축기의 나선형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나선형 영역의 절단면을 따라 절단한 나선형부의 횡단면이고,
도 2c는 원추형 밀링 공구를 이용한 나선형 영역의 경사진 절단 단부 제작 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2d는 나선형 영역에 원추형 밀링 공구에 의해 형성된 절단 단부를 갖는 나선형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원추형으로 절단된, 이동식 나선형부의 나선형 단부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의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비교 곡선으로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는 나선형 영역이 각기둥 형태로 절단된 선행 기술에 다른 스크롤 압축기의 나선형부를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나선형부는 나선형 영역에서 각기둥 형태로 언급되는 수직 절단 단부를 갖는다. 상기 나선형 영역에서 벽 두께는 나머지 나선형부의 영역보다 훨씬 작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스크롤 압축기의 나선형부(1)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더 정확히 말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나선형부의 나선형 영역을 도시한다.
나선형 영역에서 나선형부(1)의 내부 단부(2)에서, 나선형 벽의 오목한 측면(3)이 절단 단부(4)를 갖고, 상기 절단 단부는 오목하게 만곡된 원추형 세그먼트 표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절단 단부(4)의 원추형 형태에 의해서는 나선형부(1)의 내부 단부(2)에 경사진 에지(5)가 주어지며, 이 경우 상기 경사진 에지(5)는 나선형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진행된다.
따라서 절단 단부(4)의 체적은 경사진 형태에 상응하게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6)에서 하부 단부(7)까지 분포된다. 이 경우 나선형부(1)의 하부 단부에서 상기 나선형부의 벽 두께가 유지되도록 절단 단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경사진 에지(5)가 기울어져 있다.
환언하면: 나선형 벽의 하부 단부(7) 두께가 마찬가지로 절단 단부(4) 영역 내에서도, 절단 단부(4) 밖에 있는 나선형부(1) 영역들과 같은 값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절단 단부(4) 영역 내에 있는 나선형부의 기계적 강도, 강성 및 하중 저항력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절단 단부는 나선형부의 상부 단부(6)에서 하부 단부(7)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원추형 절단 단부(4) 제작 시, 선행 기술에 따른 각기둥 형태의 절단 단부와 비교하면 나선형부로부터 일정한 부피의 재료가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는데, 즉 나선형부(1)의 길이 방향으로 더 적은 재료가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1b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단부(4)는 경사진 에지(5)와,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6)에서 하부 단부(7)까지 진행되는 절단 단부(4)의 제2의 경사진 에지(8)가 나선형부(1)의 하부 단부(7)로 이어지는 내부 단부(2)의 모서리 정점(9)에서 만나도록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a는 원추형 절단 단부(4)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의 나선형부(1)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와 동시에 도 2a는, 도 2b에서 이어지는 횡단면도의 절단면(A)을 도시하며, 상기 절단면은 나선형부(1)의 내부 단부(2)의 나선형 영역에 있는 절단 단부(4)를 지나서 연장된다. 도 2b의 횡단면은 하부 단부(7) 바닥에서 출발하여 상부 단부(6)까지 이르는 나선형 벽을 검출한다. 횡단면도는 특히 절단되지 않은 나선형 벽에 평행하게 진행되는 축(10)에 대해 각(α)을 갖는 절단 단부(4)의 대각선 연장(diagonal extension)을 나타낸다.
도 2c에는, 나선형부(1)의 내부 단부(2)에 원추형 절단 단부(4)가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나선형 영역 내에, 즉 나선형부(1)의 내부 단부(2)에는 원추형 밀링 공구(11)에 의해 나선형 벽의 오목한 측면이 가공되며, 이때 상기 밀링 공구의 지름은 하부로 갈수록 감소된다.
상기 원추형 밀링 공구(11)는 공구 축(12)(원뿔 축) 방향으로 나선형부 중앙에 삽입되고, 원추형으로 볼록한 둘레의 일부분에 의해 공구 경로(13)를 따라서 뻗은 나선형 영역을 접촉하며, 이러한 공구 경로는 도 2c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공구 경로(13)를 따라서 움직이는 볼록한 원추형 밀링 공구(11)의 이동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부(1)의 내부 단부(2)에 있는 나선형 벽의 내측면(3)에서 일치하는 볼록한 절단 단부(4)를 야기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절단 단부(4)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 원추형 세그먼트 형태를 갖고, 상기 원추형 세그먼트는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6)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하부 단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도 3에는 엇갈려 맞물려 있는 나선형부(1.1; 1.2)들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1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나선형부 중 하나의 나선형부(1.1)는 고정식이고, 다른 한 나선형부(1.2)는 원형 경로 상에서 편심으로 운동할 수 있는 이동식이며, 이로 인해 상기 나선형부(1.1; 1.2)들 사이에 형성된 압축 챔버(15.1, 15.1'; 15.2, 15.2'; 15.3)들의 체적이 환상형으로 변경되고, 그리고 냉매가 흡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도 3은 이동식 나선형부(1.2)의 정해진 선회각에서 스크롤 압축기(14)를 도시하는데, 상기와 같은 선회각에서는 2개의 나선형부(1.1; 1.2)가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접점(16.1; 16.2; 16.3)에서 서로 접촉한다.
비록 2개의 나선형부(1.1; 1.2)의 나선형 영역들이 매우 가까이 마주 놓여 있더라도, 나선형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형성된 원추형 절단 단부(4)로 인해, 상기와 같은 선회각에서는 상기 두 나선형부(1.1; 1.2)의 방사 방향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방사 방향 접촉 중 하나가 제거됨으로써 중복 치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더 낮은 압력을 갖는 외부 압축 챔버(15.1, 15.1'; 15.2, 15.2')의 밀봉력이 향상된다. 또한, 이로 인해 나선형부(1.1; 1.2)들 간의 접촉력도 점차 외부 벽들로 이동되는데, 이러한 외부 벽들 위치에서는 상대적으로 곡률이 더 적고 반지름은 더 크다. 이러한 상황은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도 4는 압력 기울기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이 경우 선행 기술에 따라, 내부 나선형 단부에 형성된 절단 단부의 적용예에서 나타나는 선회각에 따른 압축기의 압력 기울기와 나선형 단부 중 하나의 나선형 단부에 원추형 절단 단부가 형성된 경우에 나타나는 압축기의 압력 기울기가 비교된다.
압축 곡선의 곡선 프로파일을 보면, 내부 나선형 단부중 하나의 나선형 단부에 원추형 절단 단부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 2개의 나선형부 중 하나의 나선형부의 내부 나선형 단부가 각기둥 형태의 절단 단부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에 비해 압축 공정 시 현저히 적은 누출을 나타낸다.
이와 동시에 곡선 프로파일의 숄더 부분은 또한 선회각 범위에서 합류각만큼, 즉 보완적인 압축 챔버(15.2; 15.2')(도 3 참조)들이 중심 압축 챔버에 통합되는 각만큼 과압 감소를 뚜렷하게 나타낸다.
1: 나선형부
1.1: 고정식 나선형부
1.2: 선회식 나선형부
2: 나선형부(1.1 또는 1.2)의 내부 단부
3: 나선형 벽의 오목한 측면
4: 절단 단부
5: 경사진 에지
6: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
7: 나선형 벽의 하부 단부
8: 제2의 경사진 에지
9: 정점
10: (절단되지 않은 나선형 벽에 평행한) 축
11: 원추형 밀링 공구
12: 공구 축
13: 공구 경로
14: 스크롤 압축기
15.1: 압축 챔버
15.1': 압축 챔버
15.2: 압축 챔버
15.2': 압축 챔버
15.3: 압축 챔버
16.1: (방사 방향 접촉부의) 접촉 지점
16.2: (방사 방향 접촉부의) 접촉 지점
16.3: (방사 방향 접촉부의) 접촉 지점
α: 축(10)에 대한 절단 단부의 방향각
A: 절단면

Claims (9)

  1.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14)로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기 하우징; 및
    상기 압축기 하우징 내부에 엇갈려서 맞물려 있는 2개의 나선형부(spiral)(1);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나선형부 중 하나의 나선형부(1.1)는 고정식이고, 다른 하나의 나선형부(1.2)는 원형 경로 상에서 편심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식이며, 상기 2개의 나선형부(1) 사이에 형성된 압축 챔버(compression chamber)(15.1, 15.1'; 15.2, 15.2'; 15.3)들의 체적이 환상형(cyclic)으로 변경되고, 그리고 냉매가 흡입 및 압축되며,
    상기 고정식 나선형부(1.1)의 중심에서, 상기 2개의 나선형부(1)에 정면인, 상기 압축기 하우징의 정면 벽 내에, 상기 압축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냉매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나선형 벽의 오목한 측면(3)이 나선형 영역에 있는 상기 2개의 나선형부(1.1; 1.2) 중 하나 이상의 나선형부의 내부 단부(2)에 절단 단부(cut end)(4)를 갖고,
    상기 절단 단부(4)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 원추형 세그먼트(cone segmen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원추형 세그먼트는 상기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6)에서 하부 단부(7)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되,
    상기 나선형부(1)의 내부 단부(2)에 경사진 에지(5)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벽의 상부 단부(6)에서 하부 단부(7)까지 진행되는 제2의 경사진 에지(8)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 단부(4)는 상기 경사진 에지(5)와 상기 제2의 경사진 에지(8)가 상기 나선형부(1)의 하부 단부(7)로 이어지는 상기 내부 단부(2)의 모서리 정점(9)에서 만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단 단부(4) 영역 내에서 상기 나선형 벽의 하부 단부(7) 두께가 상기 절단 단부(4) 밖에 있는 나선형부(1) 영역들과 같은 값을 갖고,
    상기 나선형부(1)의 하부 단부에서 상기 나선형부의 벽 두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으로 형성된 절단 단부(4)가 상기 나선형 벽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나선형부(1.1)에 원추형 절단 단부(4)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식 나선형부(1.2)에 원추형 절단 단부(4)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14).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절단 단부(4)가 상기 나선형부(1)의 미가공 부분(unmachined part) 제작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14).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절단 단부(4)가 원추형 밀링 공구에 의한 밀링 절삭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14).
KR1020180036290A 2017-05-17 2018-03-29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 KR102041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0759.2A DE102017110759B4 (de) 2017-05-17 2017-05-17 Scroll-Verdichter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DE102017110759.2 2017-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367A KR20180126367A (ko) 2018-11-27
KR102041337B1 true KR102041337B1 (ko) 2019-11-06

Family

ID=6427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90A KR102041337B1 (ko) 2017-05-17 2018-03-29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89193B2 (ko)
KR (1) KR102041337B1 (ko)
CN (1) CN108953142B (ko)
DE (1) DE10201711075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4481A1 (de) * 2019-05-29 2020-12-03 Hanon Systems Spiralverdichter und Verfahren zum Verdichten eines gasförmigen Fluids mit dem Spiralverdichter
DE102020110096A1 (de) 2020-04-09 2021-10-14 OET GmbH Verdrängermaschine, Verfahren, Fahrzeugklimaanlage und Fahrzeug
DE102020110097A1 (de) 2020-04-09 2021-10-14 OET GmbH Verdrängermaschine, Verfahren, Fahrzeugklimaanlage und Fahrzeug
DE102020211707A1 (de) 2020-09-18 2022-03-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Scrollverdichter für Kältemittel einer Fahrzeugklimaanl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177A (ja) * 2000-02-10 2001-08-17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7002736A (ja) 2005-06-23 2007-01-11 Keihin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4191339B2 (ja) 1999-10-26 2008-12-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10216302A (ja) 2009-03-13 2010-09-30 Keihin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096A (ja) 1982-07-30 1984-02-06 Toshiba Corp スクロ−ル・コンプレツサ
US4781549A (en) * 1985-09-30 1988-11-01 Copeland Corporation Modified wrap scroll-type machine
JP2595064B2 (ja) 1988-09-19 1997-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流体機械
US5242283A (en) 1991-03-15 1993-09-0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croll type compressor with elongated discharge port
JPH05202864A (ja) 1992-01-30 1993-08-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6346870A (ja) * 1993-06-10 1994-12-20 Fujitsu General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3105729B2 (ja) * 1994-02-04 2000-11-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圧縮機
US5421707A (en) * 1994-03-07 1995-06-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croll type machine with improved wrap radially outer tip
CN1082146C (zh) 1995-08-31 2002-04-03 三菱重工业株式会社 涡旋型流体机械
US5944500A (en) * 1996-06-20 1999-08-31 Sanden Corporation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having a strengthened inner terminal end portion of the spiral element
JP3684293B2 (ja) * 1997-09-16 2005-08-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4494111B2 (ja) * 2004-07-28 2010-06-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7338264B2 (en) * 2005-05-31 2008-03-04 Scroll Technologies Recesses for pressure equalization in a scroll compressor
CN101240796A (zh) * 2007-02-08 2008-08-13 蔡美华 涡形压缩机的涡形体结构
JP2009041576A (ja) * 2008-11-27 2009-02-26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コンプレッ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1339B2 (ja) 1999-10-26 2008-12-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1221177A (ja) * 2000-02-10 2001-08-17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7002736A (ja) 2005-06-23 2007-01-11 Keihin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10216302A (ja) 2009-03-13 2010-09-30 Keihin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35031A1 (en) 2018-11-22
CN108953142B (zh) 2020-09-04
CN108953142A (zh) 2018-12-07
US10989193B2 (en) 2021-04-27
DE102017110759A1 (de) 2018-11-22
DE102017110759B4 (de) 2019-09-19
KR20180126367A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337B1 (ko) 차량 공기 조화 시스템용 스크롤 압축기
USRE49937E1 (en) Rotary compressor with vane coupled to rolling piston
CN103047136A (zh) 具有旁路孔的涡旋式压缩机
CN103502646B (zh) 涡旋型压缩机
KR970001456B1 (ko) 스크롤 타입 (scroll type) 기계
US11015601B2 (en) Scroll fluid machine and tip seal
KR100465543B1 (ko) 스크롤압축기
JP475498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6158990A (en) Scroll member for a scroll type of fluid machinery and scroll type of fluid machinery produced thereby
KR102482557B1 (ko) 필러 디자인을 가지는 내부 고정 스크롤을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
JP4350603B2 (ja) 気体圧縮機
KR102480587B1 (ko) 스크롤 압축기 및 스크롤 압축기로 가스 유체를 압축하는 방법
CN220505316U (zh) 压缩机活塞、泵体组件和压缩机
KR102341235B1 (ko) 사판식 압축기의 피스톤 엔드캡용 부품 성형 방법
CN101680447A (zh) 涡旋式流体机械
EP3318760A1 (en) Vane compressor
CN116066359A (zh) 一种压缩机构及压缩机
CN115989365A (zh) 用于车辆空调系统的制冷剂的涡旋式压缩机
JP2024003878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20200108055A (ko) 스크롤 유체 기계 및 스크롤 부재의 가공 방법
JPH02267380A (ja) 密閉形圧縮機
JPH0615926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9324772A (ja) スク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30480A1 (ja) 圧縮機用ピストン
JP200929341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