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412B1 - 차량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412B1
KR102027412B1 KR1020180026156A KR20180026156A KR102027412B1 KR 102027412 B1 KR102027412 B1 KR 102027412B1 KR 1020180026156 A KR1020180026156 A KR 1020180026156A KR 20180026156 A KR20180026156 A KR 20180026156A KR 102027412 B1 KR102027412 B1 KR 10202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ir
air duct
power transmiss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106A (ko
Inventor
김경노
김춘하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6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이너 트림에 매설되고,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풍향의 횡단 방향을 따른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동축 상에 결합되는 제1, 2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근접하는 외주면 일부분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전후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피벗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샤프트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샤프트 및 상기 이너 샤프트의 타단에 근접하는 외주면과 일체로 회동하는 호형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에어 덕트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의 장착 사이즈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공조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조 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및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 벤트의 구조는, 내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일정한 형태의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전방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덕트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배플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각각의 수평 배플과 수직 배플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가 길어져,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사이즈 및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에너지가 소실됨으로써 공기조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3684414호(2005.06.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축소함과 동시에 공기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이너 트림에 매설되고,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풍향의 횡단 방향을 따른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동축 상에 결합되는 제1, 2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근접하는 외주면 일부분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전후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피벗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샤프트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샤프트 및 상기 이너 샤프트의 타단에 근접하는 외주면과 일체로 회동하는 호형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에어 덕트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타단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동 브래킷, 상기 회동 브래킷의 홈부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호형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치합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2 동력 전달 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의 각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브래킷, 상기 연결 브래킷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의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 각각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후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포크 부재 및 상기 스포크 부재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 배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스포크 부재와 힌지 결합된 수직 배플의 양측으로 복수개 배열되되,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회동됨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고, 각각의 수직 배플이 동시에 회동되도록 각각의 수직 배플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 링크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와 상기 수직 배플 사이의 공기 유동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유도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회동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 부재가 피벗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를 상기 제1, 2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제2 샤프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너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 배플, 개폐 부재 및 풍향 조절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관상 슬림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 벤트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함으로써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하우징 내부가 나타나도록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도 11의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제1, 2 풍향 조절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하우징 내부가 나타나도록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은 도 11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는 하우징(20), 제1, 2 샤프트(110, 120), 랙 기어(111), 제1 링크 부재(200), 이너 샤프트(130) 및 제2 링크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차량의 내부에서 에어 덕트(미도시)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10;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 덕트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는 차량 내부의 운전자 및 동승자를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 등의 다양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 벤트(ai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2 샤프트(110, 120)는 하우징(20)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풍향의 횡단 방향을 따른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동축 상에 결합되도록 한다.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 간에는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제2 샤프트(120)는 제1 샤프트(110)와 각 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샤프트(120)의 일단이 제1 샤프트(110)의 마주보는 단부를 외주면을 따라 감싸도록 결합되면 길이 방향을 따른 이동은 상호 구속되되,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110) 또는 제2 샤프트(120)에 길이 방향을 따른 외력이 가해지면 제1, 2 샤프트(110, 1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2 샤프트(120)는 제1 샤프트(110)와 동축 상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1 샤프트(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근접하는 외주면 일부분에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랙 기어(111)가 형성될 수 있다.
랙 기어(111)는 후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기어치(112)가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210)가 치합된 상태로 랙 기어(11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함에 따라 제1 링크 부재(200)가 전후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피벗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 부재(200)는 랙 기어(111)와 치합되되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210), 피니언 기어(210)의 회전축(211)과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타단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동 브래킷(220), 회동 브래킷(220)의 홈부(221)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커넥팅 로드(230), 커넥팅 로드(23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축(250) 및 수평축(25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브래킷(220)의 일단은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타단에는 홈부(221)가 형성되며, 커넥팅 로드(230)의 수직 돌기(231)가 홈부(221)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회동 브래킷(220)의 회동에 따라 상대운동을 하게 되어 커넥팅 로드(23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한다.
홈부(221)는 소정 곡률을 갖는 곡선 형상의 홈일 수 있으며, 상기 홈부(221)의 곡선 형상은 회동 브래킷(2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커넥팅 로드(230)가 소정 시간 동안 이동되지 않는 정지 상태를 부여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회동 브래킷(220)의 회전이 더욱 진행되면 커넥팅 로드(230)가 후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제1 샤프트(110)의 소정 거리 이동 이후에 커넥팅 로드(230)가 후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개폐 부재(251)가 상기 에어 덕트를 폐쇄하도록 한다.
커넥팅 로드(230)의 후단에는 수평축(250)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수평축(250)은 하우징(20)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수평축(250)의 외주면에 개폐 부재(251)가 형성됨으로써 수평축(250)의 회전에 따라 개폐 부재(251)가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하우징(2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2 링크 부재(300)는 호형 기어(140)와 치합되되, 호형 기어(14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310), 제1 동력 전달 부재(310)와 치합되고, 제1 동력 전달 부재(31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320), 제2 동력 전달 부재(320)의 후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331), 분지부(331)의 각각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2 연결 브래킷(340, 350), 제1, 2 연결 브래킷(340, 350)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의 조절축(360) 및 조절축(360)의 각각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 전달 부재(310)는 하우징(20) 내측에서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일단에 형성되는 기어치가 호형 기어(140)와 치합되어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제1 동력 전달 부재(310)의 타단에는 제2 동력 전달 부재(32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동력 전달 부재(320)는 하우징(20)의 내측에서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제1 동력 전달 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후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동력 전달 부재(320)의 후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분지부(3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분지부(331)의 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 브래킷(340, 35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연결 브래킷(340, 350)의 슬롯(341, 351)을 중심으로 각각 소정 각도로 피벗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연결 브래킷(340, 350)의 일단에는 각각 슬롯(341, 351)이 형성되고, 각각의 분지부(331)의 일단이 슬롯(341, 351)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연결 브래킷(340, 350)의 각각의 타단에는 한 쌍의 조절축(360)이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조절축(360)은 연결 브래킷(340, 350)의 각각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조절축(36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각각의 조절축(36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가 일체로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하우징(20)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1 샤프트(110)의 후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포크 부재(110a) 및 스포크 부재(110a)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 배플(380)이 포함될 수 있다.
수직 배플(380)은 하우징(20) 내부를 횡단하는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고, 각각의 수직 배플(380)은 별도의 수평 링크 부재(미도시)가 배치되되, 각각의 수직 배플(380)이 수평 링크 부재(미도시)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수직 배플(380)이 동시에 좌우 방향을 따라 피벗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포크 부재(110a)가 복수의 수직 배플(38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스포크 부재(110a)의 좌우 이동에 따라 복수의 수직 배플(380)이 일체로 피벗됨으로써 하우징(2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유동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풍향 조절 부재(370, 371)와 수직 배플(380)의 공기 유동 공간에는 유도 부재(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유도 부재(400)는 풍향 조절 부재(370, 371)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단면이 유선형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도 부재(400)의 표면을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 또는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 각각에 와류가 형성되므로 효과적인 공기 유동 방향 제어가 가능해진다.
더하여,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의 축 방향의 마주보는 연결부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부재(12) 및 고정 부재(12)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노브(11)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노브(11)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피벗될 수 있으며, 노브(11)를 제1, 2 샤프트(110, 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제2 샤프트(1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너 샤프트(130)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샤프트(120)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이너 샤프트(130)의 외주면에는 제2 샤프트(120) 간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도록 키홈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제1, 2 풍향 조절 부재의 회전에 의해 가변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사용자가 노브(11)를 파지한 상태로 상측으로 피벗시키는 과정에서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가 제1, 2동력 전달 부재(310, 320)의 상대 운동에 의해 하측으로 향하도록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유도 부재(400)의 외표면 및 하우징(20)의 내측벽을 따라 재차 상측으로 유도되므로 차량의 탑승자의 상측을 향하도록 공기가 배출된다.
또한, 유도 부재(400)의 표면을 따라 굽이치는 공기 흐름이 유도되므로 와류가 발생됨으로써 효과적인 공기 유동 방향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14는 사용자가 노브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13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노브(11)가 수직 방향을 따른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가 대략 수평 상태에 놓여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고, 유도 부재(400)의 유선형 단면에 의해 외표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출된다. 즉, 차량의 탑승자를 향하여 직접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
도 15는 사용자가 노브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13의 상태에 비하여 보다 하측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하우징(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370, 371)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유도 부재(400)의 외표면 및 하우징(20)의 내측벽을 따라 하측으로 유도되므로 차량의 탑승자의 하측을 향하도록 공기가 배출된다.
특히, 도 13 및 도 15의 경우에는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도 부재(400)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며, 하우징(20)과 유도 부재(40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속이 빨라짐과 동시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공기의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풍향 조절 부재(370, 371) 및 수직 배플(380)이 전측 패널(10)로부터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외부로 드러나는 사이즈는 물론,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게 되어 슬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측 패널
20: 하우징
100: 샤프트 커버
110: 제1 샤프트
120: 제2 샤프트
130: 이너 샤프트
200: 제1 링크 부재
300: 제2 링크 부재

Claims (7)

  1. 차량의 이너 트림에 매설되고,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풍향의 횡단 방향을 따른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가 동축 상에 결합되는 제1, 2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근접하는 외주면 일부분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전후로 왕복 운동함과 동시에 피벗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2 샤프트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이너 샤프트; 및
    상기 이너 샤프트의 타단에 근접하는 외주면과 일체로 회동하는 호형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에어 덕트의 풍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동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는,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타단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회동 브래킷;
    상기 회동 브래킷의 홈부를 따라 일단이 슬라이딩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커넥팅 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수평축; 및
    상기 수평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호형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호형 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치합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동력 전달 부재;
    상기 제2 동력 전달 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분지부;
    상기 분지부의 각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브래킷;
    상기 연결 브래킷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타단에 일체로 회전되는 한 쌍의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 각각의 외주면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후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포크 부재; 및
    상기 스포크 부재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수직 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스포크 부재와 힌지 결합된 수직 배플의 양측으로 복수개 배열되되,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어 각각 회동됨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고, 각각의 수직 배플이 동시에 회동되도록 각각의 수직 배플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 링크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풍향 조절 부재와 상기 수직 배플 사이의 공기 유동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풍향 조절 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유도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측으로 돌출되는 회동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를 상하로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 부재가 피벗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를 상기 제1, 2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제2 샤프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너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180026156A 2017-12-01 2018-03-06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27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4597 2017-12-01
KR1020170164597 201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106A KR20190065106A (ko) 2019-06-11
KR102027412B1 true KR102027412B1 (ko) 2019-10-02

Family

ID=6684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156A KR102027412B1 (ko) 2017-12-01 2018-03-06 차량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44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863B1 (ko) * 2020-10-28 2022-08-1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639A (ja) 2000-12-27 2002-07-10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風向調整装置
KR100851128B1 (ko) 2007-03-26 200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의 공기 유입조절장치
KR101123775B1 (ko) 2010-02-23 2012-03-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버튼타입의 자동차용 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634B1 (ko) 2002-04-18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벤트 그릴
KR20040035160A (ko) * 2002-10-18 200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벤트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639A (ja) 2000-12-27 2002-07-10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風向調整装置
KR100851128B1 (ko) 2007-03-26 2008-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의 공기 유입조절장치
KR101123775B1 (ko) 2010-02-23 2012-03-2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버튼타입의 자동차용 벤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044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의 풍향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106A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58511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H1123591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5855448B2 (ja) ミックスドア構造
KR10202741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240601B1 (ko) 자동차의 풍향 및 풍량 조절장치
JP201615541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69681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201710523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50311B1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JP5287740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CN111918783A (zh) 车辆用空调装置
JP2007216742A (ja) 空調式サンバイザー
JP2009012636A (ja) 車両用風向調整装置
CN103358853A (zh) 汽车后排吹风机构
JP6054191B2 (ja) 空調ユニット用ドア構造および空調ユニット
JP681061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23593B1 (ko)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2460930B1 (ko) 자동차용 풍향가변형 공조덕트
JP529359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553312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155716A (ja) 車両用空調装置及び空調制御装置
JP2003341351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