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593B1 -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593B1
KR102523593B1 KR1020210035329A KR20210035329A KR102523593B1 KR 102523593 B1 KR102523593 B1 KR 102523593B1 KR 1020210035329 A KR1020210035329 A KR 1020210035329A KR 20210035329 A KR20210035329 A KR 20210035329A KR 102523593 B1 KR102523593 B1 KR 10252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knob
horizontal wing
vehicle
dec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0441A (ko
Inventor
김경노
이용주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5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패널부;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조립체,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 조립체 및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노브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에어벤트; 및 상기 패널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에어벤트 및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는 데코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조립체는 그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슬롯을 포함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INTERIOR PANEL ASSEMBLY FOR CA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코부가 패널부 및 에어 벤트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적 안정성과 일체감을 제공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조화장치(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
에어벤트의 설치위치는 차종에 따라 약간씩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면 크러쉬 패드면, 운전석과 조수석 중간의 센터페시아 패널(오디오 등이 설치되는 패널) 위쪽의 크러쉬 패드면, 그리고 리어 콘솔박스의 후면 등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에어벤트에는 앞쪽에 다수개의 수평윙이, 뒤쪽에 다수개의 수직윙이 소정의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대개 상기 수평윙의 중간 것에는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의 전면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인디케이터 노브를 상하로 젖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수평윙의 상하 각도가 조절되고, 인디케이터 노브를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함에 따라, 수직윙의 좌우 각도가 조절된다.
최근에는, 전면 패널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데코부를 에어벤트의 수평윙 전면에 설치하고,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가 상기 데코부를 감싸도록 배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적 안정성과 일체감을 제공하는 실내 인테리어가 인기를 끌고 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7485호는 차량 실내 전면에 위치하고 에어벤트 장치를 포함하는 칵핏; 에어벤트 장치를 따라 연장되어 칵핏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데코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는, 상기 칵핏에 위치하여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칵핏 데코라인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분리선이 에어벤트 노브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벤트 장치를 칵핏과 같은 패널에 조립시에는 에어벤트 노브를 제외한 에어벤트 장치를 먼저 패널에 장착하고, 데코부를 패널 및 에어벤트의 수평윙 조립체에 장착하고 나서, 에어벤트 노브를 상기 데코부 및 상기 에어벤트의 수평윙 조립체를 감싸도록 장착한다.
다만, 이와 같이 에어벤트 노브가 마지막 단계에서 조립되면, 에어벤트 노브의 조작에 따라 에어벤트 장치의 수평윙 및 수직윙의 조작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하여 에어벤트 장치, 칵핏 및 데코부의 결합을 모두 해제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에어벤트 장치는 작동력의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7485호 (2020년10월14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벤트의 작동력 관리가 용이한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패널부;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조립체,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 조립체 및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노브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에어벤트; 및 상기 패널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에어벤트 및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는 데코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조립체는 그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슬롯을 포함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내부공간에 상기 수평윙 조립체와 상기 데코부가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 1 슬롯이 형성되는 노브 하우징; 및 상기 노브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노브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제 1 슬롯과 연통되는 제 2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윙 조립체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윙; 및 상기 수평윙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윙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데코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는 상기 데코결합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는 단부에 결합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데코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데코결합부의 스크류홈과 정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노브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되는 집게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부 사이의 집게 홈에는 상기 수직윙 조립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수평윙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수직윙 조립체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상기 노브 조립체가 일방향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이 되면, 상기 수직윙 조립체는 완전 클로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조립체 및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벤트에,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 1 슬롯이 형성되는 노브 하우징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조립하는 노브 조립체 조립 단계; 상기 에어벤트를 패널부에 조립하는 패널부 조립 단계; 및 상기 패널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데코부를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수평윙 조립체에 조립하는 데코부 조립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인디케이터를 조립하는 인디케이터 조립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 조립 단계는, 결합스크류가 상기 제 1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로 삽입되어 상기 데코부와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 조립 단계는, 제 2 슬롯을 포함하는 지지체가 상기 노브 하우징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 조립 단계는, 결합스크류가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로 삽입되어 상기 데코부와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벤트가 패널부 및 데코부에 결합되기 전에, 에어벤트의 작동력이 완성되고, 노브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슬롯을 통해 데코부가 에어벤트에 결합되는 바, 에어벤트의 작동력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평윙 조립체, 노브 조립체 및 데코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평윙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 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패널부(20)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 패널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패널부(20) 외주면 일측에는 후술할 덕트(100)의 결합고리(110)와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결합핀(21)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데코부(30)는, 상기 패널부(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후술할 에어벤트(10)의 수평윙(210)을 따라 배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적 안정성과 일체감을 제공한다. 데코부(30)는 복수개의 데코라인(31, 32)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데코라인(31, 32)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코라인(31, 32)은 에어벤트(10)의 노브 조립체(300) 내측에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평윙 조립체, 노브 조립체 및 데코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평윙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노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1 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벤트(10)는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부(20)에 위치하고, 덕트(100), 덕트(100) 내부에 장착되는 수평윙 조립체(200)와 수직윙 조립체(400) 그리고 노브 조립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노브 조립체(300)를 직접 파지하여 수평윙 조립체(200) 및 수직윙 조립체(400)가 회전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덕트(100)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벤트(10)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덕트(100)의 내측벽에는 수평윙 조립체(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수평윙 조립체(200)는 그 횡단면이 각각 한 쌍의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장변측 길이 방향은 공기 배출 방향을 따른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덕트(100)의 내측벽에 회전 지지되는 단부는 단변측의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덕트(100)의 내측벽에 수평윙 조립체(200)의 수평 회전축이 회전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주조될 수도 있으나, 스페이서가 덕트(100) 내측 벽면에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장착되고, 스페이서에 수평윙 조립체(20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덕트(100)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패널부(20)의 복수개의 결합핀(21)에 대응되는 결합고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공기 배출 방향에 따른 하류 측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상류 측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수평윙 조립체(200)는 수평윙(210) 및 데코결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윙(210)은 덕트(1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덕트(100) 내의 공기 흐름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수평윙(21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노브 조립체(30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홈(211)이 상기 수평윙(21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211)은 수평윙(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후술할 노브 조립체(300)는 상기 슬라이딩 홈(211)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윙(210)의 전방 중심에는 후방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안착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12)의 양측방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213)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데코결합부(220)는 상기 지지돌기(213)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관련하여, 데코부(30)는 패널부(20)에 고정결합되기 때문에, 데코부(30)가 수평윙(210)에 고정되는 경우 수평윙(210)의 상하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데코부(30)는 수평윙(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데코결합부(22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데코결합부(220)는 상술한 안착홈(212)에 대응되는 샤프트의 형상으로서, 양 측방에는 상기 지지돌기(213)에 결합가능한 회전홈(221)이 형성된다. 아울러 데코결합부(220)의 전면 중심에는 데코부(30)와 결합가능한 스크류홈(222)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데코결합부(220)의 지지돌기(213)는 회전홈(221)에 끼움결합되고, 스크류홈(222)은 상기 지지돌기(21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방을 향하게 된다.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노브 조립체(300)는 노브 하우징(310), 인디케이터(340), 베이스부(350) 및 집게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브 하우징(310)에는 상기 수평윙 조립체(200)가 관통하는 내부공간(32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윙 조립체(200)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수평윙 조립체(20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노브 하우징(310)은 수평윙 조립체(200)의 외표면에 면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브 하우징(310)은 수평윙 조립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브 하우징(310)의 양 측방은 개방되어 내부공간(320)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공간(320)의 전측 단부에는 데코부(30)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노브 조립체(300)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데코부(30)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데코부(30)와 가까운 내부공간(320)의 전측 단부 내주면은 곡률부(321)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곡률부(321)는 데코부(30)의 형상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노브 조립체(3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노브 조립체가 마지막 단계에서 조립되어, 노브 조립체의 조작에 따라 에어벤트의 수평윙 및 수직윙의 조작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에어벤트, 패널부 및 데코부와의 조립을 모두 해제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평윙 조립체(200)에 노브 조립체(300)를 조립하고 나서도 데코부(30)를 조립할 수 있도록, 노브 하우징(310)의 전방에 그 내부공간(32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슬롯(3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데코부(30)는 노브 하우징(310)의 내부공간(320) 양 측방에서 삽입되어 데코결합부(220)에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에어벤트(10)가 패널부(20) 및 데코부(30)에 결합되기 전에, 노브 조립체(300)의 조작에 따라 에어벤트(10)의 수평윙 조립체(200) 및 수직윙 조립체(4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벤트(10)의 작동력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디케이터(340)는 노브 하우징(310)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며, 그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체(330)를 통해 노브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브 하우징(310)의 전방 양측 각각에는 삽입홈(312)이 형성되며, 지지체(330)에는 상기 삽입홈(312)에 대응되는 관통공(332)이 형성되어, 고정스크류(333)가 상기 지지체(330)의 관통공(332)에 삽입되어 노브 하우징(310)의 삽입홈(312)에 결합됨으로써 지지체(330)는 노브 하우징(3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인디케이터(340)는 상기 지지체(33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체(330)의 전방 중심에는 상기 제 1 슬롯(311)에 대응되는 제 2 슬롯(331)이 상기 지지체(3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 1 슬롯(311) 및 상기 제 2 슬롯(331)을 통해 결합스크류(34)를 삽입하여, 데코부(30)를 데코결합부(220)에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노브 하우징(310)의 후방 단부에는 집게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게부(360)는 상기 노브 하우징(310)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360) 사이의 집게 홈(361)에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 조립체(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브 조립체(300)가 상기 수평윙 조립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수직윙 조립체(400)는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노브 조립체(30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브 조립체(300)가 좌측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 되면, 상기 수직윙 조립체(400)는 좌측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다가 완전 클로즈 되도록 구성된다. 노브 조립체(300)가 우측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 되면, 수직윙 조립체(400)는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이 전환된다.
한편, 집게부(360)는 베이스부(350)를 통해 상기 노브 하우징(310)의 후방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350)는 상기 노브 하우징(310)의 후방을 폐쇄하면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노브 조립체(300)는, 노브 하우징(310)을 수평윙(2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핀(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핀(370)은 베이스부(35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삽입공(351), 전술한 수평윙(210)의 슬라이딩 홈(211)을 통과하여 베이스부(35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삽입공(352)에 결합되고, 이에 노브 조립체(300)는 슬라이딩 홈(211)을 따라 수평윙(2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삽입공(351)과 제 2 삽입공(352)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 핀(370)의 외주 표면에 대응되는 탄성체(37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체(371)는 슬라이딩 핀(370)과 슬라이딩 홈(211) 사이에 배치되며, 노브 조립체(300)의 슬라이딩 동작시 슬라이딩 핀(370)과 상기 슬라이딩 홈(211) 사이의 유격에 따른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먼저,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조립체(200) 및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 조립체(400)를 포함하는 에어벤트(10)에 노브 조립체(300)를 조립한다. 상세하게는, 덕트(100) 내에 수직윙 조립체(4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윙 조립체(400)에 상기 집게부(360) 사이의 집게 홈(361)이 결합되도록 수평윙(210), 베이스부(350) 및 집게부(360)의 결합체를 덕트(100) 내로 밀어넣는다.
아울러, 도 6 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고정스크류(333)를 지지체(330)의 관통공(332) 및 노브 하우징(310)의 삽입홈(312)에 통과시켜 지지체(330)를 노브 하우징(310)에 결합시킨다. 이어서, 노브 하우징(310)의 후방이 베이스부(350)를 향하도록 노브 하우징(310) 및 지지체(330)의 조립체를 수평윙(210)에 조립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윙(210)에 노브 하우징(310)을 결합시키고 나서, 노브 하우징(310)에 지지체(33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브 하우징(310)의 조작에 따라 에어벤트(10)의 수평윙 조립체(200) 및 수직윙 조립체(4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덕트(100)의 결합고리(110)와 패널부(20)의 결합핀(21)을 결합하여, 패널부(20)에 에어벤트(10)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10 을 참조하면, 데코부(30)의 데코라인(31, 32)을 노브 하우징(310)의 개방된 양측에서 각각 삽입하여 데코라인(31, 32)의 단부에 위치한 결합공(33)과 수평윙(210)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데코결합부(220)의 스크류홈(222)을 일렬로 정렬시킨다. 그 후, 노브 하우징(310)의 전방에 형성된 제 1 슬롯(311) 및 지지체(330)의 전방에 형성된 제 2 슬롯(331)을 통해 결합스크류(34)를 삽입하여, 정렬된 스크류홈(222)과 결합공(33)을 결합한다. 최종적으로, 인디케이터(340)를 지지체(330)의 외주면을 덮도록 끼워 맞추면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1)가 완성된다.
여기서, 에어벤트(10)를 패널부(20)에 조립함에 앞서 지지체(330)를 노브 하우징(310)과 함께 수평윙(210)에 조립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체(330)는 데코부(30)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 노브 하우징(310)에 조립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이 경우 데코부(30)에는 제 2 슬롯(33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1) 및 그 조립방법에 따르면, 에어벤트(10)가 패널부(20) 및 데코부(30)에 결합되기 전에, 에어벤트(10)의 작동력이 완성되고, 노브 하우징(310)에 형성된 제 1 슬롯(311)을 통해 데코부(30)가 에어벤트(10)에 결합되는 바, 에어벤트(10)의 작동력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10 에어벤트
100 덕트
110 결합고리
200 수평윙 조립체
210 수평윙
211 슬라이딩 홈
212 안착홈
213 지지돌기
220 데코결합부
221 회전홈
222 스크류홈
300 노브 조립체
310 노브 하우징
311 제 1 슬롯
312 삽입홈
320 내부공간
321 곡률부
330 지지체
331 제 2 슬롯
332 관통공
333 고정스크류
340 인디케이터
350 베이스부
351 제 1 삽입공
352 제 2 삽입공
360 집게부
361 집게 홈
370 슬라이딩 핀
371 탄성체
400 수직윙 조립체
20 패널부
21 결합핀
30 데코부
31, 32 데코라인
33 결합공
34 결합스크류

Claims (14)

  1. 패널부;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조립체,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 조립체 및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노브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에어벤트; 및
    상기 패널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기 에어벤트 및 상기 패널부에 결합되는 데코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 조립체는 그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데코부는 단부에 결합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데코라인 및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결합스크류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내부공간에 상기 수평윙 조립체와 상기 데코부가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 1 슬롯이 형성되는 노브 하우징; 및
    상기 노브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노브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제 1 슬롯과 연통되는 제 2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윙 조립체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윙; 및
    상기 수평윙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윙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데코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는 상기 데코결합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데코결합부의 스크류홈과 정렬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노브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되는 집게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부 사이의 집게 홈에는 상기 수직윙 조립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는 상기 수평윙 조립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수직윙 조립체를 좌우로 회전시키며,
    상기 노브 조립체가 일방향으로 기 정해진 스트로크만큼 슬라이딩이 되면, 상기 수직윙 조립체는 완전 클로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10.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조립체 및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벤트에,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상하로 회전시키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 1 슬롯이 형성되는 노브 하우징을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조립하는 노브 조립체 조립 단계;
    상기 에어벤트를 패널부에 조립하는 패널부 조립 단계; 및
    상기 패널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데코부를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수평윙 조립체에 조립하는 데코부 조립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하우징의 전방 단부에 인디케이터를 조립하는 인디케이터 조립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 조립 단계는,
    결합스크류가 상기 제 1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로 삽입되어 상기 데코부와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조립체 조립 단계는,
    제 2 슬롯을 포함하는 지지체가 상기 노브 하우징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 조립 단계는,
    결합스크류가 상기 제 1 슬롯 및 상기 제 2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 내로 삽입되어 상기 데코부와 상기 수평윙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의 조립방법.

KR1020210035329A 2021-03-18 2021-03-18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252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329A KR102523593B1 (ko) 2021-03-18 2021-03-18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329A KR102523593B1 (ko) 2021-03-18 2021-03-18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441A KR20220130441A (ko) 2022-09-27
KR102523593B1 true KR102523593B1 (ko) 2023-04-19

Family

ID=8345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329A KR102523593B1 (ko) 2021-03-18 2021-03-18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5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219A (ko) * 2001-10-12 2003-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
KR102359587B1 (ko) * 2019-04-04 2022-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벤트 장치
KR102298978B1 (ko) 2019-04-04 2021-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실내 장식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441A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3277A1 (en) HVAC system controlled by a left-and-right independent process for use in an automobile
KR10187896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07458B1 (ko)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공기 처리 시스템
US20070193716A1 (en) HVAC dual zone temperature control with slave rear zone
KR20090068417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CN110997373B (zh) 汽车用的通风装置
KR102523593B1 (ko)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4556182B2 (ja) アスピレータ取付構造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2741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950311B1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982019B1 (ko) 상이한 작동 각을 구현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CN113928078B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040102529A (ko)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구동유닛
KR102460930B1 (ko) 자동차용 풍향가변형 공조덕트
JP20042499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ケース構造
KR101418853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JP587802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スライドドアユニット
KR101673099B1 (ko) 자동차의 리어 플로어판넬용 에어덕트의 에어노즐 장치
KR1023263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6313042Y2 (ko)
KR10141885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JP2010260435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ダンパ駆動構造
KR20050017022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