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312B1 -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312B1
KR101950312B1 KR1020170064275A KR20170064275A KR101950312B1 KR 101950312 B1 KR101950312 B1 KR 101950312B1 KR 1020170064275 A KR1020170064275 A KR 1020170064275A KR 20170064275 A KR20170064275 A KR 20170064275A KR 101950312 B1 KR101950312 B1 KR 10195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shaft
gear
housing
link
contro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761A (ko
Inventor
김춘하
김경노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3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는 제1 피벗축; 상기 제1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전 노브;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 노브; 상기 제1 회전 노브의 하우징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2 회전 노브의 하우징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구동 기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전달 기어; 상기 제1 피벗축에 고정되되, 상기 제1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 풍향 제어 부재; 및 상기 제2 구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풍향 제어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AIR VENT PROVIDED WITH MULTI-STAGE CONTROL KNOB}
본 발명은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공조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조 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및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 벤트의 구조는, 내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일정한 형태의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전방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덕트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배플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각각의 수평 배플과 수직 배플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가 길어져,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사이즈 및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에너지가 소실됨으로써 공기조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축소함과 동시에 공기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는 제1 피벗축; 상기 제1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전 노브;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 노브; 상기 제1 회전 노브의 하우징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2 회전 노브의 하우징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구동 기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전달 기어; 상기 제1 피벗축에 고정되되, 상기 제1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 풍향 제어 부재; 및 상기 제2 구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풍향 제어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피벗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에어 덕트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2, 3 피벗축; 상기 제2피벗축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제2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풍향 제어 부재; 상기 제2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가이드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2풍향 제어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가이드 기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크 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3 피벗축의 단부에 동축으로 형성되는 제3 링크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링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만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링크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링크 돌기가 상기 만곡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3풍향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기어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는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풍향 제어 부재는 상기 제1피벗축을 둘러싸되, 복수의 수평 배플 및 수직 배플이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의 기어치는 상기 제2 구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기어치로부터 연장되는 랙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수직 배플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 벤트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벤트의 사이즈를 축소함으로써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2개의 조절 노브가 동축상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회전 구동됨으로써 제1, 2, 3 풍향 제어 부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2, 3 풍향 제어 부재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관상 슬림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10;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에 위치하고,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동축 상에 형성되는 제1 회전 노브(103a) 및 제2 회전 노브(103b) 를 직접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로드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는 하우징(11), 제1 회전 노브(103a), 제2 회전 노브(103b), 제1 구동 기어(104), 제2 구동 기어(103c), 전달 기어(105), 제1 풍향 제어 부재(102), 제1 피벗축(200), 가이드 플레이트(112) 및 랙 기어(103d)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에어 덕트(미도시)와 연통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 벤트(ai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의 하류측 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회전 노브(103a) 및 제2 회전 노브(103b)은 전측 패널(10)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회전 노브(103a) 및 제2 회전 노브(103b)의 외부 노출 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노브(103a) 및 제2 회전 노브(103b)는 동축 상에 배치되되, 제2 회전 노브(103b)는 중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 노브(103a)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 노브(103a)의 에어 덕트 측 단부에는 제1 구동 기어(104)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제1 구동 기어(104)는 후술하는 전달 기어(105)와 치합될 수 있다.
전달 기어(105)는 후술하는 제1 피벗축(20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노브(103a)가 회전되면 제1 구동 기어(104) 및 전달 기어(105)의 회전을 통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 피벗축(200), 제2 피벗축(300) 및 제3 피벗축(400)은 하우징(11)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고 각각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3 피벗축(200, 300, 40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하우징(11)의 상기 에어 덕트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피벗축(2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단부에는 마운트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운트부(210)는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 중심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회전 노브(103b)의 상기 에어 덕트 측 단부에는 제2구동 기어(103c)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제2구동 기어(103c)는 후술하는 랙 기어(103d)와 치합될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103c)가 랙 기어(103d)의 기어치에 치합되고, 기어치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 풍향 제어 부재(10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랙 기어(103d)는 제1 풍향 제어 부재(102)의 복수의 수직 배플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할 수 있도록 걸림 부재(103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수직 배플은 하우징(11)의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는 지지 프레임 상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별도의 링크 부재에 의해 모든 수직 배플이 연동되어 회동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부재(103e)는 포크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걸림 부재(103e)는 랙 기어(103d)가 왕복 이동하는 경로 상에 어느 하나의 수직 배플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 회전 노브(103b)의 회전 작동을 설명하면, 제2 회전 노브(103b)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일 예로, 90˚)로 회전되는 경우 랙 기어(103d)가 도 4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걸림 부재(103e)에 의해 상기 수직 배플이 랙 기어(103d)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회전 노브(103b)가 시계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일 예로, 90˚)로 회전되는 경우, 랙 기어(103d)가 도 4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걸림 부재(103e)에 의해 상기 수직 배플이 랙기어(103d)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배플이 제2 회전 노브(103b)의 회전 구동에 따라 양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해진다.
다시, 마운트부(210)를 살펴보면 마운트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가이드 기어(113)를 포함하고,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1 피벗축(200)의 마운트부(210) 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기어(113)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기어(113)는 표면에 복수의 기어치(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기어(120)는 제1 가이드 기어(113)와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기어(120)는 제2 피벗축(300)과 동축 상에 배치됨으로써, 제1 가이드 기어(113)의 회전력에 의해 제2 피벗축(300) 상에 형성되는 제2 풍향 제어 부재(121)가 회전되도록 한다.
하우징(11)의 측면에는 제2 피벗축(300)과 근접하되, 상호 평행한 링크 축(130)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축(13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은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을 이룰 수 있다.
제1 링크(131)는 제3 피벗축(400)의 단부에 동축 상에 형성되는 제3 링크(401)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제2 링크(132)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제2 가이드 연장부(112)에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11a)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연장부(11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부가 매설되거나 관통되는 가이드 홈(11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크(132)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기부(132a)가 가이드 홈(111a)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가이드 홈(111a)은 제2 링크(132)의 단부와 상대 운동을 하도록 하되, 중간 부분이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돌기부(132a)가 가이드 홈(111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절곡부(111b)에서 일정 시간 머무르게 되고,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회전 중에 제2 링크(132)의 회전이 일정 시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링크(131)에는 만곡홈(131a)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곡홈(131a)은 제1 링크(13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3 링크(401)가 양방향으로 피벗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링크(401)는 제3 피벗축(400)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회전되고, 제1 링크(131)는 링크 축(130)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회전되되, 제3 링크(401)와 제1 링크(131)는 제3 링크 돌기(402)에 의한 상대 운동으로써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링크(401)의 회전에 따라 제3 피벗축(400) 상에 고정되는 제3풍향 제어 부재(410)가 회전됨으로써 하우징(11)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노브(103a)가 수직선 C 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초기 설정 위치로서 도 6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2, 3 풍향 제어 부재(102, 121, 410)가 하우징(11) 내부의 공기 유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노브(103a)가 수직선 C를 기준으로 도면 상 좌측으로 회전(일 예로, 수직선 C를 기준으로 60˚일 수 있다.)되는 경우, 제1 피벗축(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1 풍향 제어 부재(102)가 상측을 향하게 된다. 이때, 제2 가이드 기어(120)가 제1 가이드 기어(11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 피벗축(300)은 제1 피벗축(20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풍향 제어 부재(121)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되는 공기 유동에 와류가 형성된 후 제1 풍향 제어 부재(102)를 따라 상측으로의 원활한 흐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노브(103a)가 수직선 C를 기준으로 도면 상 우측으로 회전(일 예로, 수직선 C를 기준으로 60˚일 수 있다)되는 경우, 도 8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피벗축(2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1 풍향 제어 부재(102)가 하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제2 가이드 기어(120)가 제1 가이드 기어(113)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 피벗축(300)은 제1 피벗축(20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풍향 제어 부재(121)에 의해 상측으로 안내되는 공기 유동에 와류가 형성된 후 제1 풍향 제어 부재(102)를 따라 하측으로의 원활한 흐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노브(103a)가 도 8의 상태에서 회전을 더욱 진행(일 예로, 수직선 C를 기준으로 120˚일 수 있다)하는 경우, 제2 링크(132)와 제2 가이드 연장부(112) 간의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되, 가이드 홈(111a)의 절곡부(111b)에 도달할 때까지 제2 링크(132)의 회전 운동이 소정 시간 동안 정지하게 되지만, 제2 링크(132)의 돌기부(132a)가 절곡부(111b)를 통과하면서 제2 링크(132)의 돌기부(132a)가 가이드 홈(111a)의 절곡부(111b)를 통과하며, 이때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만곡홈(131a)과 상대 회전되는 제3 링크(40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3 풍향 제어 부재(410)가 제3 링크(401)와 일체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하우징(11) 내부를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1) 내부의 공기 배출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는 동축 상에 다단으로 배치되는 2개의 회전 노브의 회전 구동만으로 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2, 3 풍향 제어 부재(102, 121, 410)의 회전 제어가 가능하므로 에어 벤트의 전체 사이즈가 저감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하우징
103a: 제1 회전 노브
103b: 제2 회전 노브
110: 가이드 플레이트
113: 제1 가이드 기어
120: 제2 가이드 기어
130: 링크 축
131: 제1 링크
132: 제2 링크
200: 제1 피벗축
300: 제2 피벗축
400: 제3 피벗축
401: 제3링크

Claims (7)

  1.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는 제1 피벗축;
    상기 제1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회전 노브;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 노브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 노브;
    상기 제1 회전 노브의 하우징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2 회전 노브의 하우징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구동 기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전달 기어;
    상기 제1 피벗축에 고정되되, 상기 제1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1 풍향 제어 부재; 및
    상기 제2 구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1 풍향 제어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피벗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에어 덕트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2, 3 피벗축;
    상기 제2피벗축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제2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수직 방향으로 제어하는 제2풍향 제어 부재;
    상기 제2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가이드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2풍향 제어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가이드 기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크 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3 피벗축의 단부에 동축으로 형성되는 제3 링크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링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만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링크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링크 돌기가 상기 만곡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3풍향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기어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는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풍향 제어 부재는 상기 제1피벗축을 둘러싸되, 복수의 수평 배플 및 수직 배플이 격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의 기어치는 상기 제2 구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기어치로부터 연장되는 랙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수직 배플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20170064275A 2017-05-24 2017-05-24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95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75A KR101950312B1 (ko) 2017-05-24 2017-05-24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75A KR101950312B1 (ko) 2017-05-24 2017-05-24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61A KR20180128761A (ko) 2018-12-04
KR101950312B1 true KR101950312B1 (ko) 2019-02-20

Family

ID=6466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75A KR101950312B1 (ko) 2017-05-24 2017-05-24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5688B1 (fr) * 2019-04-30 2021-04-02 Psa Automobiles Sa Organe de commande pour bouche d’aeration compacte
CN110239312A (zh) * 2019-06-03 2019-09-17 南京上美冠丰塑胶有限公司 一种无前部叶片式的汽车空调出风口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08B1 (ko) 2002-02-15 2004-11-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공기 토출구의 조절장치
KR100633124B1 (ko) 2004-07-08 2006-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 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183A (ko) * 2004-07-21 2006-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조절 장치
KR20090049475A (ko) * 2007-11-13 2009-05-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벤트의 풍향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08B1 (ko) 2002-02-15 2004-11-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공기 토출구의 조절장치
KR100633124B1 (ko) 2004-07-08 2006-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 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61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96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WO2011007520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684192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240601B1 (ko) 자동차의 풍향 및 풍량 조절장치
CN108469112B (zh) 一种空调导风结构、空调器及空调器出风控制方法
KR101950311B1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CN110997373B (zh) 汽车用的通风装置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202741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CN211400259U (zh) 壳体组件及空调器
CN110356189B (zh) 车辆用空调装置
CN111918783A (zh) 车辆用空调装置
JP2007253689A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8131818B (zh) 空调器的外壳组件、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6481595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KR1013164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 구조
CN106016657B (zh) 空调送风装置及空调室内机
KR100379040B1 (ko) 차량의 에어벤트 개폐구조
KR102523593B1 (ko)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CN216114338U (zh) 导风装置及空调器
KR2013009065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CN215951724U (zh) 室内机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