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311B1 -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311B1
KR101950311B1 KR1020170064274A KR20170064274A KR101950311B1 KR 101950311 B1 KR101950311 B1 KR 101950311B1 KR 1020170064274 A KR1020170064274 A KR 1020170064274A KR 20170064274 A KR20170064274 A KR 20170064274A KR 101950311 B1 KR101950311 B1 KR 10195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uide
pivot shaft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760A (ko
Inventor
김춘하
김경노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311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노브, 상기 조절 노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조절 로드의 단부에 일단이 치합되고, 상기 조절 로드의 회전에 의해 양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폭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고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에어 덕트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2, 3 피벗축, 상기 제1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커넥팅 로드와 힌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연장부, 상기 제2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가이드 기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크 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3 피벗축의 단부에 동축으로 형성되는 제3 링크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2 가이드 연장부에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AIR VENT PROVIDED WITH CONTROL KNOB}
본 발명은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공조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조 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및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 벤트의 구조는, 내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일정한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배플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각각의 수평 배플과 수직 배플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가 길어져,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폭 사이즈 및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에너지가 소실됨으로써 공기조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축소함과 동시에 공기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노브, 상기 조절 노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조절 로드의 단부에 일단이 치합되고, 상기 조절 로드의 회전에 의해 양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폭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에어 덕트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2, 3 피벗축, 상기 제1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커넥팅 로드와 힌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연장부, 상기 제2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가이드 기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크 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3 피벗축의 단부에 동축으로 형성되는 제3 링크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2 가이드 연장부에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링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만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의 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어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기어는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 로드의 단부에는 구동 베벨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베벨 기어에 치합되는 피동 베벨 기어를 통하여 상기 조절 로드의 회전력이 상기 커넥팅 로드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고정되되, 상기 제1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상하로 제어하는 제1 풍향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벗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 풍향 제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피벗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3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 벤트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벤트의 사이즈를 축소함으로써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하나의 조절 노브가 노출되고, 회전 구동되는 제1, 2, 3 풍향 제어 부재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관상 슬림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10;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에 위치하고,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조절 로드(103a)와 일체로 회전되는 조절 노브(103)를 직접 파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풍향 제어 부재(102)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평 조절 부재(101)가 형성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풍향을 수평 방향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로드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는 하우징(11), 조절 로드(103a), 커넥팅 로드(106), 제1 피벗축(200), 제2 피벗축(300), 제3 피벗축(400), 가이드 플레이트(110), 제1 가이드 연장부(111), 제2 가이드 연장부(112), 제1 가이드 기어(113), 제2 가이드 기어(120) 및 링크 축(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에어 덕트(미도시)와 연통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 벤트(ai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의 하류측 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조절 로드(103a)는 전측 패널(10)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절 로드(103a)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조절 노브(103)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 로드(103a)의 에어 덕트 측 단부에는 구동 베벨 기어(104)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구동 베벨 기어(104)는 커넥팅 로드(106)의 단부에 형성되는 피동 베벨 기어(105)와 치합될 수 있다.
피동 베벨 기어(105)는 회전축 상에 형성되는 지지 축(105a)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축(105a)의 피동 베벨 기어(105)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대측 단부는 커넥팅 로드(106)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로드(103a)가 회전되면 구동 베벨 기어(104) 및 피동 베벨 기어(105)의 회전을 통하여 조절 로드(103a)의 회전력이 수직 방향으로 전환되며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 피벗축(200), 제2 피벗축(300) 및 제3 피벗축(400)은 하우징(11)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고 각각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2, 3 피벗축(200, 300, 40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하우징(11)의 상기 에어 덕트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피벗축(2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단부에는 마운트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운트부(210)는 후술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일체로 회전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마운트부(21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 가이드 기어(113),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되어 커넥팅 로드(106)와 연결되는 제1 가이드 연장부(111) 및 후술하는 제2 링크(132)와 슬라이딩되는 제2 가이드 연장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기어(113)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 기어(113)는 표면에 복수의 기어치(11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기어(120)는 제1 가이드 기어(113)와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기어(120)는 제2 피벗축(300)과 동축 상에 배치됨으로써, 제1 가이드 기어(113)의 회전력에 의해 제2 피벗축(300) 상에 형성되는 제1 풍향 제어 부재(102)가 회전되도록 한다.
하우징(11)의 측면에는 제2 피벗축(300)과 근접하되, 상호 평행한 링크 축(130)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축(13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은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을 이룰 수 있다.
제1 링크(131)는 제3 피벗축(400)의 단부에 동축 상에 형성되는 제3 링크(401)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고, 제2 링크(132)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제2 가이드 연장부(112)에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11a)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연장부(11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부가 매설되거나 관통되는 가이드 홈(11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크(132)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기부(132a)가 가이드 홈(111a)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가이드 홈(111a)은 제2 링크(132)의 단부와 상대 운동을 하도록 하되, 중간 부분이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돌기부(132a)가 가이드 홈(111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절곡부(111b)에서 일정 시간 머무르게 되고,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회전 중에 제2 링크(132)의 회전이 일정 시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링크(131)에는 만곡홈(131a)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곡홈(131a)은 제1 링크(13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3 링크(401)가 양방향으로 피벗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링크(401)는 제3 피벗축(400)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회전되고, 제1 링크(131)는 링크 축(130)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회전되되, 제3 링크(401)와 제1 링크(131)는 제3 링크 돌기(402)에 의한 상대 운동으로써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링크(401)의 회전에 따라 제3 피벗축(400) 상에 고정되는 제3풍향 제어 부재(410)가 회전됨으로써 하우징(11)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06)가 조절 노브(103)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제1 가이드 연장부(111)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제1 가이드 연장부(11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1 가이드 기어(1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 피벗축(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 풍향 제어 부재(102)가 동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우징(11) 내부의 하류측 공기 유동 방향을 상측으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1 가이드 기어(113)와 치합되는 제2 가이드 기어(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2 피벗축(300)이 동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 풍향 제어 부재(1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우징(11) 내부의 상류측 풍향을 도면 상 하측으로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풍향 제어 부재(121)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되는 공기 유동에 와류가 형성된 후 제1 풍향 제어 부재(102)를 따라 상측으로의 원활한 흐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상태로부터 커넥팅 로드(106)가 조절 노브(103)의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 제2 링크(132)와 제2 가이드 연장부(112) 간의 상대 운동이 이루어지되, 가이드 홈(111a)의 절곡부(111b)에 도달할 때까지 제2 링크(132)의 회전 운동이 소정 시간 동안 정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시계 방향을 따른 회전으로 인해 제1 풍향 제어 부재(102)가 도 5의 상태로 회전되고, 제1 가이드 기어(113)의 회전에 따른 제2 가이드 기어(120)의 회전에 의해 제2 피벗축(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피벗축(300)의 제2 풍향 제어 부재(121)가 도 5의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풍향 제어 부재(102) 및 제2 풍향 제어 부재(121)가 하우징(11) 내부의 공기 유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직선 상에 위치함으로써 하우징(11) 내부의 공기 유동은 직진성을 가진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06)가 도 5의 상태보다 더욱 하강하게 되면 제2 링크(132)의 돌기부(132a)가 절곡부(111b)까지 도달하게 되지만 제2 링크(132)의 회전이 진행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지속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 풍향 제어 부재(102)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놓여져 하우징(11) 내부의 하류측 공기 유동 방향이 하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 가이드 기어(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 피벗축(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2 풍향 제어 부재(121)가 도 6의 상태로 놓여져 하우징(11) 내부의 상류측 공기 유동 방향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제2 풍향 제어 부재(121)는 상측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제1 풍향 제어 부재(102)는 하측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어, 제2 풍향 제어 부재(121)에 의해 와류가 형성된 후 제1 풍향 제어 부재(102)를 통과하는 기류는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106)가 도 6의 상태보다 더욱 하강하게 되면 제2 링크(132)의 돌기부(132a)가 가이드 홈(111a)의 절곡부(111b)를 통과하며, 이때 제1 링크(131) 및 제2 링크(1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만곡홈(131a)과 상대 회전되는 제3 링크(40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3 풍향 제어 부재(410)가 제3 링크(401)와 일체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하우징(11) 내부를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11) 내부의 공기 배출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는 조절 노브의 회전 구동만으로 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2, 3 풍향 제어 부재(102, 121, 410)의 회전 제어가 가능하므로 에어 벤트의 전체 사이즈가 저감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하우징
103a: 조절 로드
103: 조절 노브
106: 커넥팅 로드
110: 가이드 플레이트
111: 제1 가이드 연장부
112: 제2 가이드 연장부
113: 제1 가이드 기어
120: 제2 가이드 기어
130: 링크 축
131: 제1 링크
132: 제2 링크
200: 제1 피벗축
300: 제2 피벗축
400: 제3 피벗축
401: 제3링크

Claims (7)

  1.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절 노브;
    상기 조절 노브와 일체로 회전되는 조절 로드의 단부에 일단이 치합되고, 상기 조절 로드의 회전에 의해 양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커넥팅 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폭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에어 덕트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2, 3 피벗축;
    상기 제1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에 형성되는 마운트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가이드 기어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커넥팅 로드와 힌지 결합되는 제1 가이드 연장부;
    상기 제2 피벗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가이드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가이드 기어;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링크 축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축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3 피벗축의 단부에 동축으로 형성되는 제3 링크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2 가이드 연장부에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링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일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만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의 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 기어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 기어는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로드의 단부에는 구동 베벨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베벨 기어에 치합되는 피동 베벨 기어를 통하여 상기 조절 로드의 회전력이 상기 커넥팅 로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고정되되, 상기 제1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풍향을 상하로 제어하는 제1 풍향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벗축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 풍향 제어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피벗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벗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3 피벗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개폐하는 제3풍향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20170064274A 2017-05-24 2017-05-24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95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74A KR101950311B1 (ko) 2017-05-24 2017-05-24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74A KR101950311B1 (ko) 2017-05-24 2017-05-24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60A KR20180128760A (ko) 2018-12-04
KR101950311B1 true KR101950311B1 (ko) 2019-02-20

Family

ID=6466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74A KR101950311B1 (ko) 2017-05-24 2017-05-24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4139B2 (en) 2019-11-18 2024-01-30 Hyundai Mobis Co., Ltd.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ing Coanda eff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1588A (zh) * 2022-12-05 2023-04-04 南京上美冠丰塑胶有限公司 一种多功能汽车空调出风口控制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354A (ja) 2001-09-04 2003-03-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0457008B1 (ko) 2002-02-15 2004-11-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공기 토출구의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163B1 (ko) * 1995-07-15 1998-04-08 전성원 차량용 에어벤트의 풍향자동변환장치
KR20060009183A (ko) * 2004-07-21 2006-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354A (ja) 2001-09-04 2003-03-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0457008B1 (ko) 2002-02-15 2004-11-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공기 토출구의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4139B2 (en) 2019-11-18 2024-01-30 Hyundai Mobis Co., Ltd. Air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ing Coanda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760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87896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5259531B2 (ja) 空気調和機
KR101950311B1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240601B1 (ko) 자동차의 풍향 및 풍량 조절장치
CN108469112B (zh) 一种空调导风结构、空调器及空调器出风控制方法
JP3897804B1 (ja) 空気調和機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2741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0870626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17538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CN105240939B (zh) 一种空气调节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736002B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 변경 장치
CN205119242U (zh) 贯流风管式空调机组
CN108131818B (zh) 空调器的外壳组件、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6565739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KR20090061132A (ko) 버스의 히터 공조장치
CN219036813U (zh) 一种空气调节设备
CN220410236U (zh) 一种汽车空调出风装置
KR20190129550A (ko) 차량용 에어 벤트
CN216114338U (zh) 导风装置及空调器
CN217685377U (zh) 风管机
KR20060071477A (ko) 자동차용 덕트 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