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965B1 - 차량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965B1
KR101878965B1 KR1020160166143A KR20160166143A KR101878965B1 KR 101878965 B1 KR101878965 B1 KR 101878965B1 KR 1020160166143 A KR1020160166143 A KR 1020160166143A KR 20160166143 A KR20160166143 A KR 20160166143A KR 101878965 B1 KR101878965 B1 KR 10187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horizontal baffle
vertical
horizonta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398A (ko
Inventor
김춘하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9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각각 장착되는 스페이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고, 횡단면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수평 배플, 상기 수평 배플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형성되되 일방의 장변 측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 배플 회전축, 상기 수평 배플의 타방의 장변 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 연결축, 상기 제1 링크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링크 연결축을 중심으로 양분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갖는 수평 배플 링크 부재,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링크 연결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제1 보조 배플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 링크 연결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팽행하게 유지되는 제2 보조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링크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3 보조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보조 배플은 상기 제3 링크 연결축의 반대측 장변에 형성되는 제3 보조 배플 회전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상기 제3 보조 배플 회전축이 상기 스페이서에 삽입되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슬롯홈에 삽입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의 장착 사이즈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공조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조 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및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ㅇ난방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 벤트의 구조는, 내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일정한 형태의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전방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덕트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배플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각각의 수평 배플과 수직 배플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가 길어져,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사이즈 및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에너지가 소실됨으로써 공기조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3684414호(2005.06.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축소함과 동시에 공기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각각 장착되는 스페이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고, 횡단면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수평 배플, 상기 수평 배플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형성되되 일방의 장변 측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 배플 회전축, 상기 수평 배플의 타방의 장변 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 연결축, 상기 제1 링크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링크 연결축을 중심으로 양분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갖는 수평 배플 링크 부재,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링크 연결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제1 보조 배플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 링크 연결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팽행하게 유지되는 제2 보조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링크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3 보조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보조 배플은 상기 제3 링크 연결축의 반대측 장변에 형성되는 제3 보조 배플 회전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상기 제3 보조 배플 회전축이 상기 스페이서에 삽입되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슬롯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배플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평 배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사이의 집게 홈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수직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배플의 일단에는 상기 집게홈에 밀착되는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게홈의 최내측이 상기 경사홈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배플은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수평 배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차되는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열되되 상기 집게 홈에 접촉된 수직 배플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 배플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는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의 상기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와 마주보는 각각의 양측에는 상기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각각 삽입되도록 수직 배플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배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수직 배플의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수직 배플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의 상기 수직 배플 링크 부재를 마주보는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직 배플 링크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배플 링크 부재는 상기 수직 배플 링크축이 각각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회전 지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배플의 외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이 걸림 고정되어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의 직선 운동 방향에 각각 스토퍼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배플의 상기 스페이서를 마주보는 면에는 일부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 배플 회전축의 일단의 일부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를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배플 회전축은 스틸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 벤트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어 벤트의 사이즈를 축소함으로써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수평 배플을 제외한 나머지 수평 배플이 패널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관상 슬림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차량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링크 부재가 나타나도록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수평 배플 회전축이 스페이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슬라이더와 수직 배플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슬라이더와 수직 배플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차량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가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10;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에 위치하고,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노브(400)를 직접 파지하여 수평 배플(200) 및 수직 배플(300)이 회전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링크 부재가 나타나도록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수평 배플 회전축이 스페이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슬라이더와 수직 배플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슬라이더와 수직 배플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는 덕트 하우징(100), 수평 배플(200), 슬라이더(410) 및 수직 배플(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 벤트(ai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에어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의 단부에 장착되는 덕트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덕트 하우징(100)의 내측벽에는 수평 배플(2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수평 배플(200)은 그 횡단면이 각각 한 쌍의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장변측 길이 방향은 공기 배출 방향을 따른 폭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덕트 하우징(100)의 내측벽에 회전 지지되는 단부는 단변측의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덕트 하우징(100)의 내측벽에 수평 배플(200)의 수평 배플 회전축(201)이 회전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주조될 수도 있으나, 스페이서(110)가 덕트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장착되고, 스페이서(110)에 수평 배플 회전축(201)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배플 회전축(201)이 별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수평 배플(200)의 단부에는 수평 배플 회전축(201)의 일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공(200a)이 형성되고, 스페이서(110)를 관통하는 관통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배플 회전축(201)의 일단의 일부가 삽입공(20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배플 회전축(201)의 나머지 부분이 스페이서(110)의 관통홀(110a)에 관통되되, 스페이서(110)의 두께를 초과하여 관통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수평 배플 회전축(201)이 스페이서(110)의 두께만큼 관통하고 삽입공(200a)에 단부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스페이서(110)와 수평 배플(200)을 함께 덕트 하우징(100)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수평 배플 회전축(201)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수평 배플(20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경도 및 내구력을 확보할 수 있는 스틸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배플 회전축(201)이 스페이서(11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덕트 하우징(100)에 장착하게 되면 조립이 용이해진다.
수평 배플(200)은 덕트 하우징(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덕트 하우징(100) 내의 공기 흐름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수평 배플(200)은 수평 배플 회전축(201)의 회전을 통해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수평 배플 회전축(201)은 수평 배플(200)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형성되되, 일측의 장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배플(200)의 공기 배출 방향을 따른 하류측(이하, 덕트 하우징(100) 내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하류측으로 정의하고, 반대 방향을 상류측으로 정의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노브(4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노브(400)의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의 돌기 또는 별도의 미끄럼 방지 부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수평 배플(200)의 공기 배출 방향을 따른 상류측에는 슬라이더(410)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410)는 수평 배플(20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수평 배플(200)의 외표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라이더(410)는 수평 배플(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410)의 에어 덕트 하우징(100)의 내측을 향하는 단부에 집게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배플의 외표면에 한 쌍의 스토퍼(202, 20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410)의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더(410)의 두께부분이 걸림 고정되도록 어느 하나의 스토퍼(202)가 수평 배플(200)의 외표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스토퍼(203)는 수평 배플(200)의 외표면에 형성되되 슬라이더(4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으나, 슬라이더(410)의 내부 공간이 채워지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스토퍼(203)는 수평 배플(200)의 외표면 중 슬라이더(410)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스토퍼(202, 203)는 슬라이더의 측면이 걸림 고정되어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슬라이더(410)의 양측의 직선 운동 방향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02, 203)는 사용자가 노브(400)를 파지하여 좌우로 구동할 때, 슬라이더(410)가 좌우로 이동되되, 수직 배플(300)의 최대 허용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집게부(421)는 소정 거리를 갖는 집게홈(422)을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게부(421)는 복수의 수직 배플(300)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형성되는 경사홈(300a)의 최내측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집게부(421)의 집게홈(422)의 최내측이 경사홈(300a)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경사홈(300a)은 집게홈(422)이 접촉한 상태에서 집게부(421)가 경사홈(300a)에 의해 상하 이동이 제한되는 거리를 갖도록 형성되되, 경사홈(300a)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300b)에 의해 집게부(421)가 경사면(300b)의 각도만큼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집게부(421)가 경사홈(300a)에 의해 상하 운동이 제한되지만, 경사홈(300a)을 기준으로 경사면(300b)에 근접하도록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홈(422)이 경사홈(300a)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410)가 경사홈(300a)에 의해 전후 방향을 따른 직선 운동이 제한되지만 경사홈(300a)이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410)가 전후로 소정 각도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경사홈(300a)의 경사면(300b)의 각도는 슬라이더(410)의 전후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수평 배플 회전축(201)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수평 배플의 타측의 장변측에 제1 링크 연결축(5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링크 연결축(50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제1 링크 연결축(501)을 중심으로 양분되어 연장되는 제1 연장부(510) 및 제2 연장부(520)를 갖는 수평 배플 링크 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연장부(5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링크 연결축(502)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수평 배플(200)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제1 보조 배플(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조 배플(210)은 수평 배플(200)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덕트 하우징(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절곡부(210a)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며 수평 배플(200)에 의해 제어되는 유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5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 링크 연결축(503)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수평 배플(200)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제2 보조 배플(2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배플 링크 부재(500)가 수평 배플(200)의 회전에 의해 제1 링크 연결축(50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보조 배플(210)과 제2 보조 배플(220)이 동시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각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3 링크 연결축(503)과 동축 상에 회전되는 제3 보조 배플(230)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보조 배플(23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절곡부(210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3 보조 배플(230)이 제2 보조 배플(220)과 상이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덕트 하우징(100)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에 와류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3 보조 배플(230)과 힌지 결합된 제2 보조 배플(220)을 따라 공기 흐름이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보조 배플(230)은 제3 링크 연결축(503)과 평행하되, 제3 보조 배플(230)의 제3 링크 연결축(503)의 반대측 장변에 형성되는 제3 보조 배플 회전축(231)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제3 보조 배플 회전축(231)은 스페이서(110)의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되, 스페이서(110)에는 제3 보조 배플 회전축(231)이 공기 배출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슬롯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수평 배플 링크 부재(500)의 이동에 의해 제2 보조 배플(220) 및 제3 보조 배플(230)이 제3 링크 연결축(503)을 중심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3 보조 배플(2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2 보조 배플(220)측으로 소정 거리 근접하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여유 분을 두기 위함이다.
수직 배플(300)은 수평 배플(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차되는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열되되, 집게홈(422)에 접촉된 수직 배플(300)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수직 배플(300)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는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수직 배플(300)의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310)와 마주보는 각각의 양측에는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3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홀(321)에 각각 삽입되도록 수직 배플 회전축(30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홀(321)은 적어도 수직 배플 회전축(301)의 직경보다 큰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수평 배플(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수직 배플(300)의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수직 배플 링크 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수평 배플(20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하여 수직 배플 링크 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수직 배플(300)의 수직 배플 링크 부재(320)를 마주보는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직 배플 링크축(302)이 형성되고, 수직 배플 링크 부재(320)에는 수직 배플 링크축(302)이 각각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회전 지지홀(32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홀(321)은 집게부(421)에 의해 어느 하나의 수직 배플(300)이 회전되면 수직 배플 링크 부재(320)에 각각 연결된 수직 배플(300)이 동시에 회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배플(200)이 덕트 하우징(100)의 공기 배출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는 경우, 제1 보조 배플(210), 제2 보조 배플 및 제3 보조 배플(230)은 수평 배플(200)과 대략 평행을 이루게 되어서 덕트 하우징(1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간섭 없이 평행하게 배출되어 차량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노브(400)가 상측으로 구동됨으로써 수평 배플(200)이 슬라이더(41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보조 배플(210)은 제1 보조 배플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덕트 하우징(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또한, 수평 배플 링크 부재(500)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보조 배플(210)과 제2 보조 배플(220)이 제3 링크 연결축(503)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3 보조 배플 회전축(231)은 슬롯홈(120)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3 보조 배플(230)은 덕트 하우징(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에 간섭을 주게 되어 와류가 발생되며 제3 보조 배플(230)과 수평 배플(200) 사이 공간을 통하여 유속이 빨라짐과 동시에 상측으로 유도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노브(400)가 하측으로 구동됨으로써 수평 배플(200)이 슬라이더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 보조 배플(210)은 제1 보조 배플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덕트 하우징(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며, 제3 보조 배플 회전축(231)은 슬롯홈(120)을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덕트 하우징(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절곡부(210a)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며, 제1 보조 배플(210)과 수평 배플(20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속이 빨라짐과 동시에 하측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공기의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 배플(200)과 평행을 이루는 제1 보조 배플(210) 및 제2 보조 배플(220)이 패널(10)로부터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외관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의 수직 배플(300)이 덕트 하우징(100) 내측에 위치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나타나는 사이즈는 물론,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덕트 하우징
110: 스페이서
200: 수평 배플
300: 수직 배플
300a: 경사홈
300b: 경사면
400: 노브
410: 슬라이더
421: 집게부
422: 집게홈

Claims (9)

  1.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각각 장착되는 스페이서;
    상기 에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페이서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고, 횡단면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수평 배플;
    상기 수평 배플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에 형성되되 일방의 장변 측에 형성되고, 상기 덕트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는 수평 배플 회전축;
    상기 수평 배플의 타방의 장변 측에 형성되는 제1 링크 연결축;
    상기 제1 링크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링크 연결축을 중심으로 양분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갖는 수평 배플 링크 부재;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링크 연결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제1 보조 배플;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3 링크 연결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고,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되는 제2 보조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링크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3 보조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보조 배플은 상기 제3 링크 연결축의 반대측 장변에 형성되는 제3 보조 배플 회전축에 의해 회전 지지되며,
    상기 제3 보조 배플 회전축은 장공 형태의 슬롯홈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상기 제3 링크 연결축은 상기 제2, 3 보조 배플의 회전축을 잇는 연장선을 중심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록 회전되며,
    상기 제3 보조 배플 회전축이 상기 스페이서에 삽입되되,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홈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플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평 배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두고 양분되어 연장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사이의 집게 홈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수직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배플의 일단에는 상기 집게홈에 밀착되는 경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게홈의 최내측이 상기 경사홈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배플은 상기 수평 배플이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수평 배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차되는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열되되 상기 집게 홈에 접촉된 수직 배플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직 배플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으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는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의 상기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와 마주보는 각각의 양측에는 상기 수직 배플 회전 지지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지지홀에 각각 삽입되도록 수직 배플 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수직 배플의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는 수직 배플 링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의 상기 수직 배플 링크 부재를 마주보는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수직 배플 링크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배플 링크 부재는 상기 수직 배플 링크축이 각각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회전 지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플의 외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이 걸림 고정되어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의 직선 운동 방향에 각각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플의 상기 스페이서를 마주보는 면에는 일부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두께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 배플 회전축의 일단의 일부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를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플 회전축은 스틸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160166143A 2016-12-07 2016-12-07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87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143A KR101878965B1 (ko) 2016-12-07 2016-12-07 차량용 에어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143A KR101878965B1 (ko) 2016-12-07 2016-12-07 차량용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398A KR20180065398A (ko) 2018-06-18
KR101878965B1 true KR101878965B1 (ko) 2018-08-16

Family

ID=6276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143A KR101878965B1 (ko) 2016-12-07 2016-12-07 차량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38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KR20210108507A (ko) 2020-02-05 2021-09-03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에어 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791A (zh) * 2017-09-11 2018-01-19 依工(宁波)电子元件紧固装置有限公司 一种单叶片导向的汽车空调出风口
KR102394803B1 (ko) * 2017-09-2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KR102046809B1 (ko) * 2018-07-09 2019-11-20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데코 에어벤트
KR200488591Y1 (ko) * 2018-12-14 2019-06-12 주식회사 주은기공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KR20210108594A (ko) * 2020-02-26 2021-09-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KR20220136744A (ko) * 2021-04-01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KR20220136743A (ko) * 2021-04-01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830A (ja) * 2006-12-15 2008-07-03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薄型レジスタ
JP2016013772A (ja) 2014-07-02 2016-01-28 スズキ株式会社 ルーバー構造
JP2016052815A (ja) * 2014-09-03 2016-04-14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634B1 (ko) 2002-04-18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벤트 그릴
KR20110061372A (ko) * 2009-12-01 201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벤트 시스템
JP2014009830A (ja) * 2012-06-28 2014-01-20 Fuji Koki Corp 膨張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9830A (ja) * 2006-12-15 2008-07-03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薄型レジスタ
JP2016013772A (ja) 2014-07-02 2016-01-28 スズキ株式会社 ルーバー構造
JP2016052815A (ja) * 2014-09-03 2016-04-14 豊和化成株式会社 レジス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038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슬림형 에어벤트
KR20210108507A (ko) 2020-02-05 2021-09-03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용 에어 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398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96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US6789607B1 (en) Dual zone vehicle air distribution apparatus
JP4193667B2 (ja) 気体送風装置および空調装置
US8079405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JPH07237441A (ja) 自動車用ベンチレータルーバー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2014234936A (ja) 送風装置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CN107848366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20190065106A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950311B1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683508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장치
JP4074039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CN108131818B (zh) 空调器的外壳组件、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523593B1 (ko)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4513656B2 (ja) 空調装置のリンクプレート支持構造
WO2018138950A1 (ja) 空調ユニット
CN106016657B (zh) 空调送风装置及空调室内机
ES2282081T3 (es) Aparato de distribucion de aire de doble zona para vehiculos.
JP628209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3009065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JP4083945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3164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 구조
JP2001113933A (ja) 車両用空気調和ユニットのスライドドア組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