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91Y1 -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91Y1
KR200488591Y1 KR2020180005828U KR20180005828U KR200488591Y1 KR 200488591 Y1 KR200488591 Y1 KR 200488591Y1 KR 2020180005828 U KR2020180005828 U KR 2020180005828U KR 20180005828 U KR20180005828 U KR 20180005828U KR 200488591 Y1 KR200488591 Y1 KR 200488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ill
block
air condition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은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은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은기공
Priority to KR2020180005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 Y02T3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내부영역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다수의 루버; 및 다수의 루버에 양 단부를 지지보유하면서 다수의 루버를 회동가능하게 링크결합하는 링크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Grill capable of diverting air flow direction mounted on duct of air conditioner for rail vehicle}
본 고안은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에는 에어컨에서 발생된 냉방공기를 객실로 공급하기 위해 에어컨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철도 차량의 에어컨 덕트는 객실 내부로 냉방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철도차량의 객실에어콘용 공기전향장치를 수단으로 하여 냉방공기의 공기흐름을 변경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전향장치는 객실의 천장에 설치되어 그릴부를 통해 공급되는 냉방공기가 승객의 머리 위로 직접 떨어지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현재의 철도 차량은 에어컨 덕트를 객실의 창문 하측벽에 설치하고 있어 특허문헌 1의 공기전향장치를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의 요구에 맞춰 적절하게 냉방공기의 송풍방향을 실제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0-0010881호
본 고안은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그릴을 제공하는 것을 먹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은,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제2 엔드 플레이트, 제1 마감 블럭, 및 제2 마감 블럭으로 둘러싸인 프레임과;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된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통형 로드 및 블레이드의 타측 가장자리의 양 측면에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고, 프레임의 내부 영역에서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다수의 루버; 및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결합공을 구비한 조인트 블럭과, 원통형 로드의 양 단부를 수용하고 조인트 블럭의 결합공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구, 및 블레이드의 타측 가장자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힌지핀을 갖춰 조인트 블럭 내측면 상에 배치된 링크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마감 블럭의 내측면에 위치고정되는 링크결합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다수의 루버는 링크결합 유닛을 수단으로 하여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링크결합되고 프레임의 내부 영역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이 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고안은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C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더부를 구비한 서포트 블럭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 블럭은 지지 플레이트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회전구는 중공부와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를 향해 형성된 슬롯을 갖춘 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서, 회전구의 타측 가장자리와 슬롯 간의 이격 거리는 조인트 블럭의 두께보다 크거나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이의 후면에 이물질 낙하방지용 네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네트는 메쉬와 이 메쉬의 양 단부에 배치된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에서 공급되는 냉방공기의 송풍방향을 용이하게 제어조절할 수 있는 그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승객의 요구에 상응하게 공기의 송풍방향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 내에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루버를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다수의 루버는 링크결합 유닛을 수단으로 하여 링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루버를 원하는 송풍방향으로 조작하는 동작만으로도 나머지 루버를 쉽게 연동시킬 수 있으며, 링크와 루버의 결합관계를 단순화시켜 조립성과 함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링크결합 유닛을 통해 다수의 루버를 프레임 내에서 회동가능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프레임 내에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를 갖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된 다수의 루버의 휨(쳐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에어컨 덕트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네트 장착을 용이하게 돕는다.
덧붙여서, 본 고안은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에 용이한 탈장착을 보장할 수 있도록 그릴의 양 단부에 각각의 래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다수의 루버를 제외한 그릴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호부(A)에 도시된 링크결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원호부(A)의 확대도이며, 도 4b는 전면에서 바라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c는 후면에서 바라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서포트 블럭을 장착한 프레임의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Ⅰ-Ⅰ 선으로 절취한 그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원호부(B)에 도시된 확장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7a는 확장 블록의 확대도이며, 도 7b는 확장 블록의 측면에 배치될 링크결합 유닛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원호부(C)에 도시된 제1 래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8a는 도 2에 도시된 원호부(C)의 확대도이며, 도 8b는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8c는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원호부(D)에 도시된 제2 래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9a는 도 2에 도시된 원호부(D)의 확대도이며, 도 9b는 후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9c는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은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 내에 장착, 바람직하기로는 탈장착가능하게 배치하여 공기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 그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은 전술된 바와 같이 철도 차량에 국한되지 않고, 공기조화기를 구비한 이송 수단, 예컨대 차량 등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이하 그릴)은 사각형상의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루버(200), 및 다수의 루버(200)를 정위치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링크결합 유닛(30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은 루버(200)의 양 단부에 인접한 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주면 상에 링크결합 유닛(300)을 구비하는데, 이 링크결합 유닛(300)은 전술된 루버(200)의 양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결합 유닛(300)은 사각형상의 프레임 내주면, 구체적으로 제1 마감 블럭(130) 및/또는 제2 마감 블럭(14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루버(200)의 양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파지하는 동시에 프레임 내에서 반시계 및/또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 이동을 제외한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다수의 루버가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루버(200)의 양 단부를 파지하는 각 회전구(320)의 중심 사이의 이격 간격과 힌지핀(340)의 중심 사이의 이격 간격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프레임(100)은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을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 내부에 배설가능하도록 돕는 구성부재로서, 전반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프레임(100)은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제1 엔드 플레이트(110)와, 제1 엔드 플레이트(110)와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제2 엔드 플레이트(120), 제1 엔드 플레이트(110)의 일 단부와 제2 엔드 플레이트(120)의 일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마감 블럭(130), 및 제1 엔드 플레이트(110)의 타 단부와 제2 엔드 플레이트(120)의 타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마감 블럭(140)으로 둘러싸인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참고로, 링크결합 유닛(300)은 볼팅방식, 용접방식, 본딩방식 등의 다양한 접합방식을 통해 제1 및 제2 마감 블럭(130,14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링크결합 유닛(300)은 후술될 확장 블럭(500)에도 결합가능하다.
사각형상, 구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의 프레임(100)은 제1 및 제2 마감 블럭(130,140) 사이에서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0,1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1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프레이트(150)는 도시되었듯이 평행하게 배열된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0,1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0,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루버(200)의 휨(하방으로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루버(200)는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프레임(100) 내부 영역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다. 다수의 루버(200)는 외력을 통해 사각형상의 프레임(100) 내에서 예컨대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루버(200)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되는 블레이드(210)와, 블레이드(21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원통형 로드(220), 및 블레이드(210)의 양 단부에 수용홈(240)을 구비한다. 수용홈(240)은 루버(200)의 양 단부에 배치될 링크결합 유닛(300)의 힌지핀(34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2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되, 구체적으로 원통형 로드(220)와 떨어져 블레이드(210)의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양측에 형성된다. 원통형 로드(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2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 두께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덧붙여서, 블레이드(210)는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광폭부(210a)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210)는 타측 가장자리에 원통형 로드(220)를 추가로 배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앞서 기술하였듯이 링크결합 유닛(300)을 수단으로 하여 다수의 루버(200)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링크결합할 수 있다.
도 4b, 도 4c,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결합 유닛(30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결합공(312)을 구비한 조인트 블럭(310)과, 루버(200)의 원통형 로드(220)에 결합되어 조인트 블럭(310)의 결합공(312)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형상의 회전구(320), 블레이드(210)의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된 링크(330), 및 링크(330)의 내측면 상에서 블레이드(210)의 타측 가장자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34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링크결합 유닛(300)은 링크(300)의 내측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힌지핀(34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조인트 블럭(3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결합공(312)을 구비하고 도시되었듯이 볼팅방식으로 제1 및/또는 제2 마감 블럭(130,140)의 내측면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조인트 블럭(310)은 다양한 접합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있다.
회전구(320)는 조인트 블럭(310)의 결합공(312) 내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공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특히, 회전구(320)는 속이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루버(200)의 양 단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회전구(320)는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를 향해 형성된 슬롯(321)을 구비한다. 회전구(320)에 루버(200)의 양 단부를 고정하는 경우에, 회전구(320)의 중공부(320a;中孔部)는 루버(200)의 원통형 로드(220)를 수용하고 회전구(320)의 슬롯(321)에는 루버(200)의 블레이드(210)의 일측 가장자리를 삽입한다. 이로써, 루버(200)의 양 단부는 베어링(bearing)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구(320)를 통해 조인트 블럭(310)에서 소정의 외력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루버(200)가 조인트 블럭(310)의 회전구(320)에 장착되어 원활한 회동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루버(200)의 양 단부가 조인트 블럭(310)의 내측면과 접촉 기회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회전구(320)의 타측 가장자리와 슬롯(321) 간의 이격 거리(L321)는 조인트 블럭(310)의 두께(T310)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도 7b 참조).
링크(330)는 다수의 루버(300)를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링크결합하도록 돕는 구성부재로, 타측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관통공(334)을 구비한다. 링크(330)는 루버(300)의 양 단부, 구체적으로 루버(300)의 블레이드(210)의 타측 가장자리를 회동가능하게 힌지핀(340)으로 결합한다. 힌지핀(340)은 링크(330)의 관통공(334)와 루버(200)의 수용홈(240)을 동축선상에 배치하고 관통공과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링크(330)의 길이부를 따라 이격배치된 다수의 루버를 동기화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필요에 따라, 링크(330)는 힌지핀(340)과 일체 단일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부언하자면, 링크결합 유닛(300)은 조인트 블럭(310)의 내측면 상에 링크(330)를 루버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재와 별도의 결합관계를 설정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배치되어 조인트 블럭의 내측면 상에서 링크의 반시계방향 및/또는 시계방향으로의 이동 변위를 가능하게 돕는다. 링크(330)는 회전구와 인접하게 배치될 일측 가장자리에 올록볼록한 요철면(참조부호 없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프레임 내에서 다수의 루버를 쳐지지 않고 지지보유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구비된 서포트 블럭(400)과 루버(200)의 결합 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해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프레임의 지지 플레이트(150)에 서포트 블럭(4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서포트 블럭(400)은 전면(前面)에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다수의 홀더부(420)를 구비한다. 다수의 홀더부(420)는 원통형 로드(220)를 회동가능하게 삽입하여 걸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끼움홈을 갖춰 C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블럭(4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루버(200)를 프레임(100) 내부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돕는 한편 다수의 루버(200)를 반시계방향 및/또는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가능하게 돕는다. 이와 함께, 서포트 블럭(400)은 다수의 루버(200)의 쳐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루버의 양 단부를 지지보유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프레임 내에서 다수의 루버를 소정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홀더부 사이의 이격 거리, 다수의 결합공 사이의 이격 거리, 다수의 힌지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외부 외력을 통해 루버(200)를 일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공기의 송풍방향을 일측으로 안내하는 도면으로, 예컨대 작업자가 일 블레이드(210)의 타측 가장자리에 장착된 손잡이(H;도 1 참조)를 파지하고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붙여도 링크(330)를 수단으로 하여 나머지 블레이드(210)도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루버(200)는 회전구(320)에 삽입고정된 원통형 로드(220)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링크(330)를 통해 각 블레이드(21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를 공기의 토출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은 예컨대 모터 등의 동력전달 수단을 매개로 하여 다수의 루버(200)를 자동으로 회동시킬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6(b)는 외부 외력을 통해 루버(300)를 타방향, 즉 시계방향을 회동시켜 공기의 송풍방향을 타측으로 안내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루버(200)는 회전구(320)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링크(330)를 통해 각각의 블레이드(210) 사이로 통해 공기의 토출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루버(200)를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시킬 수 있는 확장 블럭(5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다시 말하자면, 확장 블럭(500)은 일 측면에 루버(200)의 타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파지할 수 있는 링크결합 유닛(300)과 타 측면에 루버(200)의 일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파지할 수 있는 링크결합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에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프레임의 일 단부를 합치결합할 수 있는 제1 래치(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치(600)는 제2 마감 블럭(140)의 후면 상에 배치결합되어 있지만 제1 마감 블럭(130)의 후면에도 배치결합될 수 있다. 제1 래치(600)는 마감 블럭(140)의 후면에 안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에 인입공(611)을 형성하고 상부를 개방한 박스형 케이싱(610)과, 케이싱(610)의 상부를 폐쇄하는 패널(620), 인입공(611)으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박스형 케이싱(610) 내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래치볼트(640), 래치볼트(640)와 케이싱(610) 사이에 개재되는 샤프트(650), 및 래치볼트(640)를 케이싱(610)의 인입공(611)을 향해 강제로 밀어붙이기 위해 샤프트(650)의 일 단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660)으로 이루어진다.
래치볼트(640)는 케이싱(610)의 내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몸체부(641)와, 몸체부(641)의 타면에 탄성스프링(660)을 결합한 샤프트(650)의 일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공(643), 및 결합공(643)과 대향되는 몸체부(641)의 일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46)를 구비한다.
래치볼트(6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예컨대 래치볼트(600)의 돌출부(646)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래치볼트(640)가 케이싱(610)의 내부에서 후진이동하면서 케이싱(610)의 인입공(611)으로 돌출된 돌출부(646)는 케이싱(610)의 내부에서 인입되도록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660)이 압축되면서 샤프트(650)는 결합공(643) 내부로 안내된다. 외력이 해지되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래치볼트(640)를 전반적으로 전진 이동시켜 래치볼트(640)의 돌출부(646)를 케이싱(610)의 인입공(611)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본 고안의 그릴은 래치볼트(640)의 전진 이동시 에어컨 덕트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에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프레임의 일 단부를 합치결합할 수 있는 제2 래치(7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치(700)는 제1 마감 블럭(130)의 후면 상에 배치결합되어 있지만 제2 마감 블럭(140)의 후면에도 배치결합될 수 있다. 제2 래치(700)는 마감 블럭(130)의 후면에 안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에 인입공(711)을 형성하고 상부를 개방한 박스형 케이싱(710)과, 케이싱(710)의 상부를 폐쇄하는 패널(720), 인입공(711)으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박스형 케이싱(710) 내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래치볼트(740), 래치볼트(740)와 케이싱(710) 사이에 개재되는 샤프트(750), 래치볼트(740)를 케이싱(710)의 인입공(711)을 향해 강제로 밀어붙이기 위해 샤프트(750)의 일 단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760), 및 래치볼트(740)의 전진 및/또는 후퇴 이동을 돕는 핸들(77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핸들(770)은 연결부(771)와 이 연결부(771)의 하단부에 구비된 작동 캠(772) 및 연결부(771)의 상단부에 구비된 헤드부(774)를 구비하는데, 작동 캠(772)의 하부면에는 원형 결합돌기(773)를 구비하는 한편 작동 캠(772)의 둘레면에서 돌출된 반원통형부(775)를 구비한다. 여기서, 작동 캠(772)은 핸들(770)의 회전력을 래치볼트(740)의 직선 왕복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부재이다. 헤드부(774)가 제1 마감 블럭(130) 및/또는 제2 마감 블럭(140)을 가로질러 본 고안에 따른 그릴의 전면 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마감 블럭(130)의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삽입공(131) 또는 제2 마감 블럭(140)의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삽입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710)은 전술되었듯이 측면에 인입공(711)과, 작동 캠(772)의 불필요한 이동(예컨대, 전진 또는 후퇴 이동)을 제한하고 핸들의 축 회전을 보장하도록 원통형 결합돌기(773)를 수용하는 축공(712)을 갖추고 있으며, 케이싱의 개방된 상부는 관통공(722)를 갖춘 패널(720)로 폐쇄한다. 본 고안은 축공(712)과, 핸들(770), 관통공(722), 및 삽입공(131)을 동축선상에 배치하도록 한다.
래치볼트(740)는 일(一)자형상의 바아(741)와, 바아(741)의 양 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길이연장된 한쌍의 레그(742), 레그(742)의 자유단에서 레그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스프링(760)을 결합한 샤프트(750)의 일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공(743), 바아(741)와 한쌍의 레그(742)로 한정된 장홀(744), 레그(742)의 자유단 내측면에서 직교되게 뻗어 장홀의 입구를 제한하는 걸림턱(745), 및 케이싱(710)의 인입공(711)으로 유출입가능하게 바아(741)에 구비된 돌출부(746)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홀(744)은 래치볼트(740)의 (전진 및/또는 후퇴) 이동방향으로 길이연장된 긴 형상, 예컨대 반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볼트(740)는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핸들(770)에 회전력을 제공하면 핸들에 종속된 작동 캠(772)을 장홀(744) 내에서 회전시켜 반원통형상부(775)로 걸림턱(745)을 가압하여 래치볼트(740)를 케이싱(710)의 내부에서 후진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케이싱(710)의 인입공(711)으로 돌출된 돌출부(746)는 케이싱(710)의 내부에서 인입되도록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760)가 압축되면서 샤프트(750)는 결합공(743) 내부로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제2 래치(700)는 에어컨 덕트와 잠금 해제될 수 있다. 핸들을 원위치로 회전시키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래치볼트(740)를 전반적으로 전진 이동시켜 래치볼트(740)의 돌출부(746)를 케이싱(710)의 인입공(711)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는 제2 래치(700)를 에어컨 덕트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해된 그릴은 도 1 내지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의 변형예로서, 그릴의 후면에 이물질 낙하방지용 네트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이하 그릴)은 앞서 기술되었듯이 사각형상의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다수의 루버(200), 다수의 루버(20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하는 링크결합 유닛(300;도 2 참조), 및 사각형상의 프레임(100) 후면에 위치고정된 이물질 낙하방지용 네트(800)를 구비한다.
이물질 낙하용 네트(800)는 에어컨 덕트의 토출구에 배치된 그릴의 후면에 배치되는바, 이로써 각 루버 사이의 이격 틈새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에어컨 덕트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800)는 메쉬(810;mesh)와 이 메쉬(810)의 양 단부에 배치된 브래킷(820)으로 이루어진다. 메쉬(810)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에어컨 덕트에서 차량 내로 냉방공기의 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다. 메쉬(810)는 이의 양 단부에 브래킷(820)을 구비하여, 프레임의 후면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브래킷(820)는 볼팅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100)의 지지 플레이트(150), 확장 블럭(500), 링크결합 유닛(300)의 조인트 블럭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루버,
300 ----- 링크결합 유닛,
400 ----- 서포트 블럭,
600, 700 ----- 래치,
800 ----- 낙하방지용 네트.

Claims (6)

  1. 제1 엔드 플레이트(110)와, 제2 엔드 플레이트(120), 제1 마감 블럭(130), 및 제2 마감 블럭(140)으로 둘러싸인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연장된 블레이드(210)와 상기 블레이드(210)의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통형 로드(220) 및 상기 블레이드(2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수용홈(24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영역에서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다수의 루버(200); 및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결합공(312)을 구비한 조인트 블럭(310)과, 상기 원통형 로드(220)의 양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블럭(310)의 결합공(312)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구(320), 및 상기 블레이드(21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다수의 힌지핀(340)을 갖춰 상기 조인트 블럭(310) 내측면 상에 배치된 링크(3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감 블럭(130,140)의 내측면에 위치고정되는 링크결합 유닛(30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다수의 루버(200)는 상기 링크결합 유닛(300)을 수단으로 하여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링크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 영역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보유되는,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10,1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150)를 추가로 구비하는,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로드(220)를 회전가능하게 파지하도록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C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홀더부(420)를 구비한 서포트 블럭(400)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블럭(40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50)에 배치되는,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320)는 중공부(320a)와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를 향해 형성된 슬롯(321)을 갖춘 관형상으로 형성된,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320)의 타측 가장자리와 상기 슬롯(321) 간의 이격 거리(L321)는 상기 조인트 블럭(310)의 두께(T310)보다 크거나 동일한 크기를 갖는,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의 후면에 이물질 낙하방지용 네트(80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네트(800)는 메쉬(810)와 상기 메쉬(810)의 양 단부에 배치된 브래킷(820)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KR2020180005828U 2018-12-14 2018-12-14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KR200488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28U KR200488591Y1 (ko) 2018-12-14 2018-12-14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28U KR200488591Y1 (ko) 2018-12-14 2018-12-14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591Y1 true KR200488591Y1 (ko) 2019-06-12

Family

ID=6681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828U KR200488591Y1 (ko) 2018-12-14 2018-12-14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679A (zh) * 2019-10-22 2019-12-20 中车资阳机车有限公司 一种调车机车司机室空调分散式供风风道结构
KR20220107712A (ko) * 2021-01-26 2022-08-02 한국철도공사 풍향조절 난이도의 변경이 가능한 송풍그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04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실외기의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KR20060019662A (ko) * 2004-08-28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JP2009298228A (ja) * 2008-06-11 2009-12-24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風向調整装置
JP2012032116A (ja) * 2010-08-02 2012-02-16 Fujitsu General Ltd 吹出グリル装置
KR20180065398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04A (ko) * 2002-12-06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실외기의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KR20060019662A (ko) * 2004-08-28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공기 청정기
JP2009298228A (ja) * 2008-06-11 2009-12-24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風向調整装置
JP2012032116A (ja) * 2010-08-02 2012-02-16 Fujitsu General Ltd 吹出グリル装置
KR20180065398A (ko) * 2016-12-07 2018-06-18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679A (zh) * 2019-10-22 2019-12-20 中车资阳机车有限公司 一种调车机车司机室空调分散式供风风道结构
KR20220107712A (ko) * 2021-01-26 2022-08-02 한국철도공사 풍향조절 난이도의 변경이 가능한 송풍그릴
KR102453887B1 (ko) 2021-01-26 2022-10-11 한국철도공사 풍향조절 난이도의 변경이 가능한 송풍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591Y1 (ko) 철도 차량용 에어컨 덕트의 풍향조절가능한 그릴
BR102015014648A2 (pt) montagem de apoio para cabeça mecanicamente articulada
KR100555260B1 (ko) 작업차
JP6565532B2 (ja) コンソール装置
JP3684414B2 (ja) 車両用ベントグリル
JPH08247491A (ja) 空気調和機
JP2017039361A (ja) 空調用レジスタ装置
JP3572480B2 (ja) 自動車用レジスタの風向調節機構
JP2021062770A (ja) 空調用吹出口装置
JPH09300942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12484148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4201690B2 (ja) 空調装置
JPH0317169Y2 (ko)
JP5051706B2 (ja) 車室内用空気吹出装置
CN217876399U (zh) 空调器的面板、空调器
KR100558862B1 (ko)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장착구조
JP4155910B2 (ja) 空調風吹出装置
JP4201689B2 (ja) 空調装置
JP6498041B2 (ja) 風向調整装置
JP4155911B2 (ja) 空調装置
JPH055397Y2 (ko)
JP4349083B2 (ja) 車両用風向調整装置
JPH07104035B2 (ja) 空調用グリル
JPH0712107Y2 (ja) 車両用空調風の吹出口構造
JP4652192B2 (ja) 風向調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