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769B1 - 다광축 광전 센서 - Google Patents

다광축 광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769B1
KR102022769B1 KR1020170102967A KR20170102967A KR102022769B1 KR 102022769 B1 KR102022769 B1 KR 102022769B1 KR 1020170102967 A KR1020170102967 A KR 1020170102967A KR 20170102967 A KR20170102967 A KR 20170102967A KR 102022769 B1 KR102022769 B1 KR 10202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signal
wir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124A (ko
Inventor
다쿠야 도베
게이사쿠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0513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227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F16P3/1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 F16P3/144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the means being photocells or other devices sensitive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light gr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16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18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배선수를 삭감할 수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투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1a)와,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2a)를 포함하고, 투광부(1a)와 수광부(2a)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축의 각각이 차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이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수광부(2a)를 제어하는 제어부(2b)와, 제어부(2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인 통신용 케이블(101)과, 통신용 케이블(101) 중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e)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다광축 광전 센서{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본 발명은 다광축 광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다광축 광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복수의 투광 소자가 일렬로 배치된 투광부와,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해서 동일수의 수광 소자가 일렬로 배치된 수광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광축 광전 센서는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축의 각각이 차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있다.
투광부는 각 투광 소자를 순차적으로 발광시킨다. 수광부는 투광 소자의 발광 동작에 동기하는 타이밍에서, 각 투광 소자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로부터, 그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측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다광축 광전 센서는 광축마다의 차광 상태를 순서대로 검출할 수 있다. 수광부는 광축마다의 검출 결과를 사용하여,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형성되는 검출 에어리어에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투광부와 수광부를 동기시키기 위해서, 투광부와 수광부가 통신선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는 투광부와 수광부를 동기시키기 위해서, 투광부와 수광부가 광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다광축 광전 센서는, 예를 들어 생산 현장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로서 설치된다. 설치된 다광축 광전 센서는 검출 에어리어의 어느 광축에 있어서 차광 상태가 검출되면, 생산 설비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생산 현장에 있어서 설치하는 생산 설비나 환경에 따라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설정을 변경 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96361호 공보에 기재된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설정용 콘솔을 접속해서 다양한 검출 동작의 정의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 기기인 설정용 콘솔을 다광축 광전 센서에 접속하는 경우, 외부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전용 통신 배선을 설치하거나, 투광부와 수광부의 통신선을 이용할 필요가 있어, 배선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생산 현장에 있어서 설치하는 생산 설비의 수가 증가하면 설치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배선수가 많은 다광축 광전 센서를 다수 설치한 경우, 배선을 접속하는 작업량이 증가함과 함께, 배선의 접속 미스가 발생할 리스크도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 기기와 접속할 수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배선수를 삭감할 수 있는 다광축 광전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르면, 복수의 투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와,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축의 각각이 차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투광부 및 수광부 각각에 설치되고, 투광부 또는 수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과, 복수의 신호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제어부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용 배선은,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은, 기능을 일시적으로 무효화하는 뮤팅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은, 제어부를 초기화하는 리셋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이다.
바람직하게는,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는 통신하는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통신부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도록 전환부를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는 센서부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탐색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단절된 경우, 공용 배선을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도록 전환부를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배선에 사용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구비하고, 통신부는 변환부에서 변환한 통신 신호를 공용 배선으로 사용해서 제어부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형성되는 광축을 사용하여, 투광부와 수광부의 동기를 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 접속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기동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통상 동작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외부 기기 통신 이상 검지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투광기(1)와, 수광기(2)와, 컨트롤러(6)를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의 광 빔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및 그 광 빔을 「광축」이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광축의 차광」이란, 당해 광축으로서 표현되는 광 빔이 차광되는 것과 동의이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외부 기기인 퍼스널 컴퓨터(5)와 통신하기 위해서 접속할 수 있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퍼스널 컴퓨터(5)와 통신하기 위해서 수광기(2)측의 통신용 케이블(101) 도중에 분기 커넥터(102)를 구비하고 있다. 분기 커넥터(102)는 통신 유닛(4)을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5)에 접속된다.
투광기(1) 및 수광기(2) 각각은, 통신용 케이블(101)을 통해서 컨트롤러(6)에 접속되어 있다. 수광기(2)측의 통신용 케이블(101)은 분기 커넥터(102)에서 전용 코드(3)로 분기하고, 전용 코드(3)를 통해서 통신 유닛(4)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유닛(4)은 전용 코드(3)로 입출력되는 신호를 퍼스널 컴퓨터(5)로 입출력되는 신호로 변환한다. 통신 유닛(4)은, 예를 들어 RS485 규격의 신호를 시리얼 변환하여, RS232C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규격에 준거한 신호를 출력한다. 퍼스널 컴퓨터(5)를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접속함으로써,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설정 변경이나 동작을 모니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5)와 통신 유닛(4)을 맞춰서 외부 기기(50)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투광기(1)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1a)와, 투광부(1a)를 제어하는 제어부(1b)와, 제어부(1b)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I/O(Input/Output)부(1c)를 구비하고 있다. I/O부(1c)는 통신용 케이블(101)과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b)와 컨트롤러(6)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용 케이블(101)은 제어부(1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갖고 있다.
수광기(2)는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기(2)는 또한, 수광부(2a)를 제어하는 제어부(2b)와, 제어부(2b)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I/O부(2c)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기(2)는 또한, 제어부(2b)와 I/O부(2c)의 접속을, 제어부(2b)와 통신부(2e)의 접속으로 전환하는 전환부(2d)와,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e)를 구비하고 있다. I/O부(2c)는 통신용 케이블(101)과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2b)와 컨트롤러(6)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I/O부(2c)는 제어부(2b)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부(제1 입력부, 제2 입력부 등)와, 제어부(2b)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부(제1 출력부, 제2 출력부 등)를 갖고 있다. 통신용 케이블(101)은 제어부(2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갖고 있다.
제어부(1b, 2b)는 CPU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b, 2b)는 서로 제휴하여, 투광부(1a)가 갖는 발광 소자의 발광과, 수광부(2a)가 갖는 수광 소자의 수광이 동기해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b)는 차광 판정 기능을 갖고, 순차적으로 얻어지는 각 광축의 수광량을 소정의 역치와 비교함으로써, 각 광축이 입광/차광의 어느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2b)는 광축의 선택이 일순할 때마다, 광축마다의 판정 결과를 통합하여, 각 광축에 의해 설정되는 검출 에어리어 전체로서의 차광의 유무를 판정한다.
전환부(2d)는 제어부(2b)로부터 I/O부(2c)의 제1 입력부로의 접속을, 제어부(2b)로부터 통신부(2e)로의 접속으로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제어부(2b)로부터 통신부(2e)로의 접속으로 전환하면, 제어부(2b)는 통신부(2e)를 통해서 외부 기기(50)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즉, 전환부(2d)는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전환부(2d)를 설치한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 배선으로서 공용되는 공용 배선이다. 또한,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은, 통신용 케이블(101)의 1개의 배선이다.
통신부(2e)는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기기(50)는 통신부(2e)를 통해서 제어부(2b)와 통신함으로써,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설정 변경이나 동작을 모니터할 수 있다. 통신부(2e)는, 예를 들어 RS485 규격의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6)는 통합된 차광 판정 결과를 입력하고, 판정 결과가 차광 있음인 경우에는, 「검출」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판정 결과가 차광 없음인 경우에는, 「비검출」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컨트롤러(6)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출력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컨트롤러(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기(1) 및 수광기(2)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투광기(1) 또는 수광기(2) 중 어느 것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1b)와 제어부(2b)가 동기하여, 투광부(1a)의 복수의 발광 소자가 순차적으로 점등함과 함께, 수광부(2a)의 복수의 수광 소자로부터의 수광 신호가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제어부(1b) 및 제어부(2b)는 투광부(1a)와 수광부(2a) 사이에 형성되는 광축을 사용하여, 공간 광전송에 의한 광통신을 이용해서 서로 동기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b) 및 제어부(2b)는 투광부(1a)와 수광부(2a) 사이에 통신 배선을 설치하고, 당해 통신 배선에 의한 통신을 이용해서 서로 동기해도 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퍼스널 컴퓨터(5)에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각종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5)에 더하여, 또는 퍼스널 컴퓨터(5) 대신에,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별도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전용 콘솔)가 통신 유닛(4)에 접속되어도 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접속하는 퍼스널 컴퓨터(5)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퍼스널 컴퓨터(5)는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5)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53)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57)와, 제어부(51)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불휘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외부 기억 장치(59)를 포함한다.
제어부(51)는 CPU와, 이 CPU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CPU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해지는 변수 등을 기억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한다.
입력부(55)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이고,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 또는 소정의 지시 커맨드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입력부(55)는 통신 유닛(4)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받는다.
기억부(53)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설정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표시부(57)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이며, 제어부(51)의 지시에 따라서 각종 정보(예를 들어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동작 결과 등)를 표시한다.
외부 기억 장치(59)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61)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예를 들어 그 데이터를 제어부(51)로 송신한다.
이어서, I/O부(2c)의 신호 배선과 통신부(2e)의 통신 배선의 공용 배선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하기 위해서 전용 통신 배선을 설치하거나, 투광부와 수광부의 통신선을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제어부에 접속하는 신호 배선 이외에 전용 통신 배선을 추가하기 위한 통신용 케이블에 포함되는 배선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였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전용 통신 배선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고, 제어부(2b)에 접속하는 신호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하였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통신 배선을 공용 배선으로 함으로써, 전용 통신 배선과 같이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접속이 플로팅 상태 그대로로 되는 배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당해 배선을 통한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내노이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제어부(2b)로부터 직접 I/O부(2c)의 제1 입력부로 접속하는 배선을, 통신부(2e)를 경유해서 접속하는 배선으로 전환하는 전환부(2d)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통신용 케이블(101) 중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을,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하였다. 여기서, I/O부(2c)의 제1 입력부는, 예를 들어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있어서의 뮤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뮤팅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또한,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하는 배선은, 뮤팅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이다. 여기서, 뮤팅 기능이란, 일반적으로 뮤팅 신호가 제어부(2b)에 입력되어 있는 동안, 전체 검출 에어리어에서 광축의 차광을 검출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무효화하는 기능이다.
또한, I/O부(2c)의 제2 입력부는, 예를 들어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있어서의 리셋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리셋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여기서, 리셋 기능이란, 일반적으로 리셋 신호가 제어부(2b)에 입력되면, 제어부(2b)의 설정이 초기화되는 기능이다. 전환부(2d)는 제어부(2b)로부터 직접 I/O부(2c)의 제2 입력부로 접속하는 배선을, 통신부(2e)를 경유해서 접속하는 배선으로 전환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통신용 케이블(101) 중 I/O부(2c)의 제2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을,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할 수 있다.
또한, I/O부(2c)의 제1 출력부는, 예를 들어 제어부(2b)에서 차광의 유무를 판정한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이다. 또한, I/O부(2c)의 제2 출력부는, 예를 들어 제어부(2b)에서의 에러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이다. 전환부(2d)는 제어부(2b)로부터 직접 I/O부(2c)의 제1 출력부 또는 제2 출력부로 접속하는 배선을, 통신부(2e)를 경유해서 접속하는 배선으로 전환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통신용 케이블(101) 중 I/O부(2c)의 제1 출력부 또는 제2 출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을,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할 수 있다.
이어서, 전환부(2d)는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이지만, 유저가 어느 배선으로 사용할지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구성 이외에, 분기 커넥터(102)에서 분기한 전용 코드(3)에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하, 전용 코드(3)에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환부(2d)에서의 전환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통신부(2e)는 분기 커넥터(102)에서 분기한 전용 코드(3)에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전용 코드(3)에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탐색 신호를 송신해도 당해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회신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전용 코드(3)에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외부 기기(50)가 탐색 신호를 수신하고, 당해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소정 시간 내에 회신한다.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통신부(2e)가 수신한 경우, 전환 제어 신호를 전환부(2d)에 출력한다. 전환부(2d)는 전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한다. 또한, 통신부(2e)가 전환 제어 신호를 전환부(2d)에 대하여 직접 출력하고, 전환부(2d)가, 전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해도 된다.
통신부(2e)에서의 탐색 신호의 송신(외부 기기 탐색 처리)은,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기동 시에 행해진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기동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에 대해서, 흐름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기동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b)는 통신부(2e)와 접속하도록 전환부(2d)를 전환한다(스텝 S41). 즉, 전환부(2d)는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한다.
이어서, 제어부(2b)는 통신부(2e)에 대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외부 기기 탐색 신호 발신)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42). 통신부(2e)는 당해 제어에 기초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부(2e)가 탐색 신호를 송신 후, 제어부(2b)는 통신부(2e)가 당해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50)와의 접속의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43).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접속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3: 예), 통신부(2e)를 통해서, 설정 변경이나 동작을 모니터하기 위한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44). 그 후, 제어부(2b)는 기동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접속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3: 아니오), I/O부(2c)의 제1 입력부와 접속하도록 전환부(2d)를 전환한다(스텝 S45). 즉, 전환부(2d)는 공용 배선을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한다. 제어부(2b)는 I/O부(2c)를 통해서 통신용 케이블(101)로부터의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I/O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46). 그 후, 제어부(2b)는 기동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를 종료한다. I/O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컨트롤러(6)로부터 I/O부(2c)의 제1 입력부로 제어 신호(뮤팅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신부(2e)에서의 탐색 신호의 송신은,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기동 시 이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에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에 대해서, 흐름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b)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에 있어서, 무한 루프 개시로부터 무한 루프 종료까지의 사이의 처리 스텝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제어부(2b)는 통신부(2e)와 접속하도록 전환부(2d)를 전환한다(스텝 S51). 즉, 전환부(2d)는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한다.
이어서, 제어부(2b)는 통신부(2e)에 대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외부 기기 탐색 신호 발신)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52). 통신부(2e)가 탐색 신호를 송신 후, 제어부(2b)는 통신부(2e)가 당해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50)와의 접속의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53).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접속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3: 예), 통신부(2e)를 통해서, 설정 변경이나 동작을 모니터하기 위한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54).
한편,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접속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53: 아니오), I/O부(2c)의 제1 입력부와 접속하도록 전환부(2d)를 전환한다(스텝 S55). 즉, 전환부(2d)는 공용 배선을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한다. 제어부(2b)는 I/O부(2c)를 통해서 통신용 케이블(101)로부터의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I/O 처리를 개시한다(스텝 S56). 그 후, 제어부(2b)는 기동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제어부(2b)는 수광부(2a)에서의 수광 처리의 실시를 개시한다(스텝 S57). 수광부(2a)는 투광부(1a)가 발광하는 광을 수광하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투광부(1a)와 수광부(2a)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축의 각각이 차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b)는 각 광축이 입광/차광의 어느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등의 센서 내부 기구 처리의 실시를 개시한다(스텝 S58).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 통신부(2e)의 탐색 신호의 송신은, 무한 루프 개시로부터 무한 루프 종료까지의 사이의 처리 스텝을 반복한 횟수 분만큼, 실시된다. 즉, 통신부(2e)는 센서부(투광부(1a) 및 수광부(2a))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탐색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에, 외부 기기(50)를 접속해도, 전환부(2d)가,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에, 외부 기기(50)를 단절해도, 전환부(2d)가 공용 배선을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 사이에서 통신 이상을 검지한 경우의 처리(외부 기기 통신 이상 검지 처리)에 대해서, 흐름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외부 기기 통신 이상 검지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이상의 유무를 판단한다(스텝 S61). 구체적으로,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에 대하여 송신한 신호의 응답 신호를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할 수 없는 경우나, 외부 기기(50)로부터 통신 에러 신호를 수신한 경우 등에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1: 예),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강제적으로 단절하기 위해서, 전환부(2d)에 I/O부(2c)의 제1 입력부와 접속하도록 스위치를 전환시킨다(스텝 S62). 즉, 전환부(2d)는 공용 배선을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스위치를 전환한다. 이후, 제어부(2b)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통상 동작 시의 외부 기기 탐색 처리(도 5)를 실행한다. 당해 외부 기기 탐색 처리에 있어서, 전용 코드(3)에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다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통신 이상이 발생한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이 계속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통신이 단절된 배선이 I/O부(2c)의 제1 입력부와 접속되는 신호 배선으로 전환된다. 그 때문에, 통신이 단절된 배선의 접속이 플로팅 상태 그대로는 되지 않으므로, 당해 배선을 통한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다광축 광전 센서(100)의 내노이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이상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61: 아니오), 통신 처리를 계속해서 실시한다(스텝 S63). 도 6에서는, 스텝 S63의 처리 후에, 외부 기기 통신 이상 검지 처리를 종료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부(2b)는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 외부 기기 통신 이상 검지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복수의 투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1a)와,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2a)를 포함하고, 투광부(1a)와 수광부(2a)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축의 각각이 차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수광부(2a)를 제어하는 제어부(2b)와, 제어부(2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인 통신용 케이블(101)과, 통신용 케이블(101) 중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e)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전용 통신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배선수를 삭감할 수 있다. 통신용 케이블(101)의 배선수를 삭감함으로써, 다광축 광전 센서(100)를 복수 설치한 경우에 배선의 접속 작업의 경감이나 배선의 접속 미스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전환부(2d)를 더 구비한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필요에 따라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도 신호 배선으로도 전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용 케이블(101) 중, I/O부(2c)의 제1 입력부와 접속하는 뮤팅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을 공용 배선으로 하면, 전환부(2d)는 외부 기기(50)와 통신할 때는 통신 배선으로,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있어서의 뮤팅 기능을 이용할 때는 신호 배선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용 케이블(101) 중, I/O부(2c)의 제2 입력부와 접속하는 리셋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을 공용 배선으로 하면, 전환부(2d)는 외부 기기(50)와 통신할 때는 통신 배선으로,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있어서의 리셋 기능을 이용할 때는 신호 배선으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공용 배선으로 하는 신호 배선은, 뮤팅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뿐만 아니라, 제어부(2b)에서 차광의 유무를 판정한 결과를 출력하는 신호 배선이어도 된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통신부(2e)가, 통신하는 외부 기기(50)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2b)가,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통신부(2e)가 외부 기기(50)로부터 수신한 경우,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도록 전환부(2d)를 전환한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외부 기기(50)를 접속하면 자동으로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해서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통신부(2e)가, 센서부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탐색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하므로, 동작 시에 외부 기기(50)의 접속, 단절을 행해도, 전환부(2d)에서 공용 배선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제어부(2b)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이 단절된 경우, 공용 배선을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도록 전환부(2d)를 전환하므로, 공용 배선의 접속이 플로팅 상태 그대로로 되지 않아 내노이즈성이 향상된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전환부(2d)에서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공용 배선으로 통신 배선과 신호 배선을 공용하였다. 그러나,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고, 공용 배선에,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과,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모두 갖게 함으로써, 공용 배선으로 통신 배선과 신호 배선을 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공용 배선에,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과,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모두 갖게 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a)는, 투광기(1), 수광기(2) 및 컨트롤러(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a)는, 도 2에 도시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와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여, 투광기(1)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1a)와, 투광부(1a)를 제어하는 제어부(1b)와, 제어부(1b)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I/O부(1c)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기(2)는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기(2)는 또한, 수광부(2a)를 제어하는 제어부(2b)와, 제어부(2b)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I/O부(2c)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기(2)는 또한,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e)와, 통신부(2e)와 I/O부(2c) 사이에 변환부(2f)와, 전용 코드(3)의 도중에 변환부(2g)를 구비하고 있다.
변환부(2f, 2g)는 신호 배선에 사용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부(2f, 2g)는, 통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신호 배선과 다르게 함으로써 신호 배선에 통신 신호를 중첩시켜서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뮤팅 신호)가 킬로헤르츠(㎑) 이하의 주파수 대역인 경우에, 변환부(2f, 2g)는, 통신 신호를 메가헤르츠(㎒) 이상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함으로써, 동일한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하는 배선(공용 배선)에 제어 신호와 통신 신호를 중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b)로부터 외부 기기(50)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변환부(2f)는, 제어부(2b)로부터 수취한 통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기가헤르츠로 변환하여,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출력한다. 출력된 통신 신호는,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하는 통신용 케이블(101), 분기 커넥터(102) 및 전용 코드(3)를 거쳐서, 변환부(2g)에 입력한다. 변환부(2g)에 입력한 통신 신호는,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 외부 기기(50)에 출력된다. 또한, 외부 기기(50)로부터 제어부(2b)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변환부(2g)는, 외부 기기(50)로부터 수취한 통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기가헤르츠로 변환하여,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출력한다. 출력된 통신 신호는, 전용 코드(3), 분기 커넥터(102) 및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하는 통신용 케이블(101)을 거쳐서, 변환부(2f)에 입력한다. 변환부(2f)에 입력한 통신 신호는,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어 제어부(2b)에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a)는 신호 배선에 사용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2f, 2g)에서, 공용 배선에,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과,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모두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변환부(2f, 2g)는, 예시로서 공용 배선에,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과,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모두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 어느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와,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대를 나누어서 공용 배선으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공용 배선에,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과,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기능을 모두 갖게 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수광기(2)측의 제어부(2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의 구성은, 수광기(2)측의 제어부(2b)에 접속하는 신호 배선에 한정되지 않고, 투광기(1)측의 제어부(1b)에 접속하는 신호 배선에 대하여 적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투광기측의 제어부에 접속하는 신호 배선에 대하여 공용 배선의 구성을 적용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투광기(1), 수광기(2) 및 컨트롤러(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도 2에 도시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와 동일한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여, 투광기(1)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1a)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기(1)는 또한, 투광부(1a)를 제어하는 제어부(1b)와, 제어부(1b)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I/O부(1c)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기(1)는 또한, 제어부(1b)와 I/O부(1c)의 접속을 제어부(1b)와 통신부(1e)의 접속으로 전환하는 전환부(1d)와, 제어부(1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e)를 구비하고 있다. I/O부(1c)는, 통신용 케이블(101)과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b)와 컨트롤러(6)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I/O부(1c)는, 제어부(1b)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부(제1 입력부, 제2 입력부 등)와, 제어부(1b)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출력부(제1 출력부, 제2 출력부 등)를 갖고 있다. 통신용 케이블(101)은 제어부(1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갖고 있다.
수광기(2)는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2a)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기(2)는 수광부(2a)를 제어하는 제어부(2b)와, 제어부(2b)에 대한 입출력을 행하는 I/O부(2c)를 더 구비하고 있다. I/O부(2c)는 통신용 케이블(101)과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2b)와 컨트롤러(6)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용 케이블(101)은 제어부(2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갖고 있다.
전환부(1d)는 제어부(1b)로부터 I/O부(1c)의 제1 입력부로의 접속을, 제어부(1b)로부터 통신부(1e)로의 접속으로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제어부(1b)로부터 통신부(1e)로의 접속으로 전환하면, 제어부(1b)는, 통신부(1e)를 통해서 외부 기기(50)와 통신 가능하게 된다. 즉, 전환부(1d)는 I/O부(1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스위치이다. 전환부(1d)를 설치한 I/O부(1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 배선으로서 공용되는 공용 배선이다. 또한, I/O부(1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은, 통신용 케이블(101)의 1개의 배선이다.
통신부(1e)는 제어부(1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기기(50)는 통신부(1e)를 통해서 제어부(1b)와 통신함으로써, 다광축 광전 센서(100b)의 설정 변경이나 동작을 모니터할 수 있다. 통신부(1e)는, 예를 들어 RS485 규격의 인터페이스이다.
전환부(1d)를, 도 2에 도시하는 전환부(2d)와, 통신부(1e), 도 2에 도시하는 통신부(2e)와 각각 대체하여 적용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내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도 2에 도시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100)와 동일한 동작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복수의 투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1a)와,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2a)를 포함하고, 투광부(1a)와 수광부(2a)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축의 각각이 차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투광부(1a)를 제어하는 제어부(1b)와, 제어부(1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인 통신용 케이블(101)과, 통신용 케이블(101) 중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제어부(1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1e)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제어부(1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전용 통신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배선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전환부(1d)를 더 구비한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b)는, 필요에 따라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도 신호 배선으로도 전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용 케이블(101) 중, I/O부(1c)의 제1 입력부와 접속하는 뮤팅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을 공용 배선으로 하면, 전환부(1d)는, 외부 기기(50)와 통신할 때는 통신 배선으로, 다광축 광전 센서(100b)에 있어서의 뮤팅 기능을 이용할 때는 신호 배선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용 케이블(101) 중, I/O부(1c)의 제2 입력부와 접속하는 리셋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을 공용 배선으로 하면, 전환부(1d)는, 외부 기기(50)와 통신할 때는 통신 배선으로, 다광축 광전 센서(100b)에 있어서의 리셋 기능을 이용할 때는 신호 배선으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공용 배선으로 하는 신호 배선은, 뮤팅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뿐만 아니라, 제어부(1b)에서 차광의 유무를 판정한 결과를 출력하는 신호 배선이어도 된다.
(변형예)
(1)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수광부(2a)를 제어하는 제어부(2b)와, 제어부(2b)에 대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인 통신용 케이블(101)과, 통신용 케이블(101) 중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제어부(2b)와 외부 기기(50)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e)를 구비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통신부가, 통신용 케이블 중 2개 이상의 배선을 각각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복수의 공용 배선으로 제어부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해도 된다. 즉, 제어부와 외부 기기가 복수의 배선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 통신용 케이블 중 복수의 배선을 각각의 통신 배선과 공용해서 공용 배선으로 해도 된다. 물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투광부측에 공용 배선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통신용 케이블 중 2개 이상의 배선을 각각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복수의 공용 배선으로 해도 된다.
(2)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제어 신호(뮤팅 신호)를 입력하는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하는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전환부(2d)에서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하는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b)에 대하여 제어 신호(뮤팅 신호)를 입력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외부 기기의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제어 신호(뮤팅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서 제어부에 입력해도 된다. 즉, 외부 기기에서, 다광축 광전 센서를 제어 가능하게 해도 된다.
(3)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제어부(1b) 및 제어부(2b)가, 투광부(1a)와 수광부(2a) 사이에 형성되는 광축을 사용하여, 공간 광전송에 의한 광통신을 이용해서 서로 동기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광축 광전 센서(100)는, 제어부(1b) 및 제어부(2b)를 동기하기 위해서 통신 배선도 삭감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 있어서, 투광기측의 제어부와 수광기측의 제어부 사이에 통신 배선을 설치하고, 당해 통신 배선에 의한 통신을 이용해서 서로 동기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당해 구성을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 채용한 경우, 투광기(1)측의 제어부(1b)와 수광기(2)측의 제어부(2b) 사이에 설치한 통신 배선을 이용하지 않고, 또한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배선을 별도로 추가하지 않고 외부 기기(50)와의 통신 가능한 다광축 광전 센서(100)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제어부(2b)와 I/O부(2c) 사이에 전환부(2d)를 설치함으로써, I/O부(2c)의 제1 입력부에 접속된 신호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I/O부와 분기 커넥터 사이에 전환부를 설치하고,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5)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100)에서는, 제어부(2b)가, 통신부(2e)와 접속하도록 전환부(2d)를 전환한(스텝 S41) 후에, 통신부(2e)로부터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스텝 S42) 제어를 행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광축 광전 센서에서는, 제어부가, 통신부와 접속하도록 전환부를 전환하기 전에, 통신부로부터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당해 구성의 경우,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있었을 때, 전환부는 제어부와 통신부를 접속하도록 전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10)

  1. 복수의 투광 소자를 갖는 투광부와, 상기 복수의 투광 소자에 각각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광축의 각각이 차광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투광부 또는 상기 수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복수의 입력부 및 복수의 출력부 각각과 접속되고, 신호를 입출력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 배선 중 적어도 1개의 배선을 통신 배선과 공용하는 공용 배선으로 상기 제어부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배선은, 상기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인, 다광축 광전 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은, 기능을 일시적으로 무효화하는 뮤팅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인, 다광축 광전 센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은, 상기 제어부를 초기화하는 리셋 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배선인, 다광축 광전 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할지,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할지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하는 상기 외부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공용 배선을 통신 배선으로서 사용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전환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서부가 동작하고 있는 동안, 상기 탐색 신호를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이 단절된 경우, 상기 공용 배선을 신호 배선으로서 사용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전환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배선에 사용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한 통신 신호를 상기 공용 배선으로 사용해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와 상기 수광부 사이에 형성되는 광축을 사용하여, 상기 투광부와 상기 수광부의 동기를 행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

KR1020170102967A 2016-09-28 2017-08-14 다광축 광전 센서 KR102022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9389A JP6809088B2 (ja) 2016-09-28 2016-09-28 多光軸光電センサ
JPJP-P-2016-189389 2016-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24A KR20180035124A (ko) 2018-04-05
KR102022769B1 true KR102022769B1 (ko) 2019-09-18

Family

ID=6005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67A KR102022769B1 (ko) 2016-09-28 2017-08-14 다광축 광전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9709B2 (ko)
EP (1) EP3301487B1 (ko)
JP (1) JP6809088B2 (ko)
KR (1) KR102022769B1 (ko)
CN (1) CN1078703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1481A (ko) *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오토닉스 다광축 센서
CN113358141B (zh) * 2020-03-06 2023-05-09 欧姆龙(上海)有限公司 光电传感器以及信号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237A (ja) * 2005-05-11 2006-11-24 Keyence Corp 多光軸光電式安全装置
JP2007150986A (ja) 2005-11-30 2007-06-14 Omron Corp センサ装置
JP2008181798A (ja) * 2007-01-25 2008-08-07 Keyence Corp 多光軸光電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8842A (ja) * 1983-03-29 1984-10-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デ−タ通信システム
DE3803033A1 (de) * 1988-02-02 1989-08-10 Sick Erwin Gmbh Lichtschrankengitter
DE4422497C2 (de) 1994-06-28 1996-06-05 Leuze Electronic Gmbh &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optoelektronischen Erfassen von Gegenständen
JPH0887458A (ja) * 1994-09-14 1996-04-02 Toshiba Corp プロセス制御用データ伝送装置及びi/oバス伝送障害の除去方法
JPH1196111A (ja) * 1997-09-22 1999-04-09 Fuji Electric Co Ltd Rs232cインタフェースとrs485インタフェースとの信号変換装置
DE19842351C1 (de) 1998-09-16 2000-07-13 Leuze Electronic Gmbh & Co Sensor
KR100389913B1 (ko) * 1999-12-23 200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조건을 변화시키면서 화학기상 증착법으로 루테늄막을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형성된 루테늄막
JP4648557B2 (ja) * 2001-03-22 2011-03-09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列車検知装置
JP3965926B2 (ja) * 2001-03-30 2007-08-29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の設定用機器
JP2003218679A (ja) 2002-01-25 2003-07-31 Keyence Corp 多光軸光電式安全装置
JP2006317238A (ja) * 2005-05-11 2006-11-24 Keyence Corp 多光軸光電式安全装置
US20070012593A1 (en) * 2005-07-14 2007-01-18 Kitchens Mark C Stowable cooler
DE102007035248B4 (de) 2007-07-27 2012-04-26 Leuze Lumiflex Gmbh + Co. Kg Sensor
DE102007055521C5 (de) 2007-11-21 2015-12-24 Leuze Lumiflex Gmbh + Co. K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Überwachungsbereichs
JP2010175488A (ja) * 2009-01-31 2010-08-12 Keyence Corp 光走査型光電スイッチ
DE102009013303A1 (de) 2009-03-16 2010-09-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eines IO-Links
JP2011113405A (ja) * 2009-11-27 2011-06-09 Sony Corp 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方法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EP2362242B1 (de) * 2010-02-25 2012-08-22 Sick Ag Optoelektronischer Sensor
JP5977564B2 (ja) * 2012-04-11 2016-08-24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多光軸光電センサ
DE102013106785B4 (de) * 2013-06-28 2018-11-29 Pilz Auslandsbeteiligungen Gmbh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eines Lichtgitters und auf diesem Verfahren beruhendes Lichtgitter
JP6291993B2 (ja) * 2014-04-18 2018-03-14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6014779A (ja) * 2014-07-02 2016-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6287677B2 (ja) * 2014-08-08 2018-03-07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237A (ja) * 2005-05-11 2006-11-24 Keyence Corp 多光軸光電式安全装置
JP2007150986A (ja) 2005-11-30 2007-06-14 Omron Corp センサ装置
JP2008181798A (ja) * 2007-01-25 2008-08-07 Keyence Corp 多光軸光電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1487A2 (en) 2018-04-04
JP2018054409A (ja) 2018-04-05
US10539709B2 (en) 2020-01-21
EP3301487A3 (en) 2018-07-18
CN107870372A (zh) 2018-04-03
EP3301487B1 (en) 2022-06-08
KR20180035124A (ko) 2018-04-05
JP6809088B2 (ja) 2021-01-06
CN107870372B (zh) 2020-11-10
US20180088251A1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1215A (zh) 多光轴光电传感器
KR102022769B1 (ko) 다광축 광전 센서
US11860058B2 (en) Fiber-optic testing source and fiber-optic testing receiver for multi-fiber cable testing
EP0964324A1 (en) Controller for plural area sensors
EP2975434B1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system
JP3465263B2 (ja) 動作統括制御装置
KR101805979B1 (ko) 다 광축 광전 센서
US20030065848A1 (e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a two-line bus shared for power supply and data transmission
CN105337660B (zh) Tdm/twdm‑pon系统中监测配线光纤链路故障的方法和装置
KR20200027026A (ko) 판정 장치, 다광축 광전 센서, 판정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4368182B2 (ja) 送信光パワー制御方法,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光伝送装置
US11316592B2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1733468B1 (ko) 회선정보 송수신장치 및 회선정보 판독 시스템
CN107251117A (zh) 建筑物监控系统
JP2009058279A (ja) 光線路異常診断装置及び該装置の操作画面表示方法
JP2013183326A (ja) 光伝送装置およびその接続確認方法
US11796712B2 (en) Sensor
RU2546718C1 (ru) Способ идентификации оптических волокон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2006112982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H11205229A (ja) 光通信装置、その自己診断方法、情報記憶媒体
JPWO2004056020A1 (ja) 光送受信器および光波長自動選択方法
JP5724483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KR20170004795A (ko) 회선정보 송수신장치 및 회선정보 판독 시스템
JP2007309657A (ja) 光ケーブル測定方法
JP2000241480A (ja) マルチケーブルチェッ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