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087B1 - 마스터 실린더 - Google Patents

마스터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087B1
KR102020087B1 KR1020147027081A KR20147027081A KR102020087B1 KR 102020087 B1 KR102020087 B1 KR 102020087B1 KR 1020147027081 A KR1020147027081 A KR 1020147027081A KR 20147027081 A KR20147027081 A KR 20147027081A KR 102020087 B1 KR102020087 B1 KR 10202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ain
wall
piston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322A (ko
Inventor
세이코 다나베
요이치 구메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7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6Piston 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the sealing action depending on movements; pressure difference, temperature or presence of lea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16J15/323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with at least one lip for each surface, e.g. U-cup pa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주홈에 있어서의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이, 주홈의 바닥부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부와, 외측 벽부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부와,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부를 갖고 단차면부보다도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벽부를 갖는다. 내측 벽부는 시일 부재가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에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가 외측 벽부보다도 먼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용 실린더에 액압을 공급하는 마스터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5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12513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마스터 실린더에는 이동하는 피스톤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압력실의 시일을 행하는 시일 부재를 실린더 본체의 주홈(周溝) 내에 배치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3879호 공보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는, 피스톤의 이동시에, 시일 부재가 피스톤에 대하여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없고 피스톤에 이끌려 주홈 내에서 내주측과 외주측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하면, 시일 부재의 피스톤에 대한 시일 위치가 어긋나, 피스톤의 무효 스트로크가 증대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무효 스트로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마스터 실린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마스터 실린더는, 브레이크액의 토출로와 리저버에 연통하는 보급로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실린더 본체와, 이 실린더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실린더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토출로에 액압을 공급하는 압력실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본체 내에 형성되는 주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보급로와 상기 압력실의 사이를 밀봉 가능한 시일 부재를 갖는다.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개구부측의 주벽(周壁)에 맞닿을 수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는 내주 립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상기 주홈의 바닥부에 맞닿는 외주 립부와, 이 외주 립부와 상기 내주 립부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선단이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에 맞닿을 수 있는 센터 립부를 갖는다.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이, 상기 주홈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부와, 이 외측 벽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부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부를 갖고 상기 단차면부보다도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측 벽부를 갖는다. 이 내측 벽부는, 시일 부재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가 상기 외측 벽부보다도 먼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단차면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내측 벽부의 상기 평탄면부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에 이동했을 때에, 상기 센터 립부가 상기 내측 벽부 내에서 최초로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센터 립부는, 상기 외주 립부 및 상기 내주 립부보다도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에 따르면, 무효 스트로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시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X-X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시의 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시의 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시의 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2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시의 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제2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시의 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c는 제2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 이동시의 상태를 순서대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 1∼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11)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른 힘이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축(10)을 통해 도입되고,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에 따른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킨다. 이 마스터 실린더(11)에는, 수직 방향 상측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리저버(12)가 부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스터 실린더(11)에 직접 리저버(12)를 부착하고 있지만, 마스터 실린더(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리저버를 배치하고, 리저버와 마스터 실린더(11)를 배관으로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마스터 실린더(11)는, 바닥부(13)와 통부(14)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에 하나의 소재로부터 가공되어 형성되는 금속제의 실린더 본체(15)를 갖고 있다. 실린더 본체(15)는, 축선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차량에 배치된다. 이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에는, 금속제의 주(主) 피스톤(피스톤)(18)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15)의 주 피스톤(18)보다도 바닥부(13)측에는, 동일하게 금속제의 보조 피스톤(피스톤)(19)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주 피스톤(18)에는 바닥면을 갖는 내주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피스톤(19)에는 바닥면을 갖는 내주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11)는, 소위 플런저형이다. 또한, 마스터 실린더(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피스톤(18, 19)을 갖는 탠덤 타입의 마스터 실린더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탠덤 타입의 마스터 실린더로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런저형의 마스터 실린더이면, 실린더 본체에 하나의 피스톤을 배치한 싱글 타입의 마스터 실린더나, 3개 이상의 피스톤을 갖는 마스터 실린더 등의 어떠한 플런저형의 마스터 실린더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린더 본체(15)에는, 통부(14)의 직경 방향(이하, 실린더 직경 방향이라고 칭함)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착대부(23)가, 통부(14)의 원주 방향(이하, 실린더 둘레 방향이라 칭함)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대부(23)에는, 리저버(12)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24, 25)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착 구멍(24, 25)은, 서로 실린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로, 실린더 본체(15)의 통부(14)의 축선(이하, 실린더 축이라 칭함) 방향에서의 위치를 옮겨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통부(14)의 부착대부(23)측에는, 바닥부(13)의 근방에 보조 토출로(토출로)(26)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토출로(26)보다도 개구부(16)측에 주 토출로(토출로)(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보조 토출로(26) 및 주 토출로(27)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디스크 브레이크나 드럼 브레이크 등의 제동용 실린더에 연통하고 있고, 제동용 실린더를 향해서 브레이크액을 토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보조 토출로(26) 및 주 토출로(27)는, 서로 실린더 둘레 방향에서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로 실린더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옮겨 형성되어 있다.
보조 피스톤(19)은, 실린더 본체(15)의 통부(14)의 바닥부(13)측의 내주부에 형성된,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형상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주 피스톤(18)은, 실린더 본체(15)의 통부(14)의 개구부(16)측의 내주부에 형성된,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형상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8)에는, 실린더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옮겨 복수, 구체적으로는 2곳, 모두 원환형상을 이루는 주홈(30), 주홈(31)이 바닥부(13)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형성된다. 또한,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에도, 실린더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옮겨 복수, 구체적으로는 2곳, 모두 원환형상을 이루는 주홈(32), 주홈(33)이 바닥부(13)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주홈(30∼33)은 실린더 둘레 방향으로 환형상을 이루어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주홈(30∼33)은, 모두 전체가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장 바닥부(13)측에 있는 주홈(30)은, 부착 구멍(24, 25) 중의 바닥부(13)측의 부착 구멍(24)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주홈(30) 내에는, 주홈(30)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상의 피스톤 시일(시일 부재)(35)이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8)에 있어서의 주홈(30)보다도 개구부(16)측에는, 바닥부(13)측의 부착 구멍(24)으로부터 뚫리는 연통 구멍(36)을 통부(14) 내에 개구시키도록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에 오목한 환형상의 개구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개구 홈(37)과 연통 구멍(36)이 실린더 본체(15)에 설치되어 리저버(12)에 항상 연통하는 보조 보급로(보급로)(38)를 주로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8)에는, 주홈(30) 내로 개구하고 주홈(30)으로부터 실린더 축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바닥부(13)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도시 생략한 연통 홈이,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홈은, 바닥부(13)와 주홈(30)의 사이로서 바닥부(13)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보조 토출로(26)와 주홈(30)을 후술의 보조 압력실(68)을 통해 연통시킨다.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8)에는, 실린더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개구 홈(37)의 주홈(30)과는 반대측, 즉 개구부(16)측에, 상기 주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홈(31) 내에는, 주홈(31)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상의 구획 시일(42)이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에는, 개구부(16)측의 부착 구멍(25)의 근방에, 상기한 주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홈(32) 내에는, 주홈(32)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상의 피스톤 시일(시일 부재)(45)이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에 있어서의 이 주홈(32)의 개구부(16)측에는, 개구부(16)측의 부착 구멍(25)으로부터 뚫리는 연통 구멍(46)을 통부(14) 내로 개구시키도록,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환형상의 개구 홈(4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개구 홈(47)과 연통 구멍(46)이, 실린더 본체(15)에 설치되어 리저버(12)에 항상 연통하는 주 보급로(보급로)(48)를 주로 구성하고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의 주홈(32)의 바닥부(13)측에는, 주홈(32)으로 개구하고 주홈(32)으로부터 실린더 축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바닥부(13)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도시 생략의 연통 홈이,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홈은, 주홈(31)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주 토출로(27)와 주홈(32)을 후술하는 주 압력실(85)을 통해 연통시킨다.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 홈(47)의 주홈(32)과는 반대측, 즉 개구부(16)측에 주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주홈(33) 내에는, 주홈(33)에 유지되도록 원환형상의 구획 시일(52)이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끼워 맞춰지는 보조 피스톤(19)은, 원통형부(55)와, 원통형부(55)의 축선 방향에서의 일측에 형성된 바닥부(56)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내주 구멍(22)은, 이들 원통형부(55)와 바닥부(5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조 피스톤(19)은, 원통형부(55)를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배치한 상태로,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8)에 설치된 피스톤 시일(35) 및 구획 시일(42)의 각각의 내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원통형부(55)의 바닥부(56)에 대하여 반대측의 단부의 외주측에는, 보조 피스톤(19)에 있어서 가장 대직경인 외경부(58)보다도 직경 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단차형상을 이루는 환형상의 단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59)에는, 그 바닥부(56)측에 실린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포트(60)가 복수, 실린더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방사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조 피스톤(19)과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측(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입력이 없는 비제동 상태에서 이들의 간격을 결정하는 보조 피스톤 스프링(62)을 포함하는 간격 조정부(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 조정부(63)는,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에 맞닿는 걸림 부재(64)와, 이 걸림 부재(64)에 소정 범위 내에서만 미끄럼 이동하도록 연결되어 보조 피스톤(19)의 바닥부(56)에 맞닿는 걸림 부재(65)를 갖고 있다. 상기 보조 피스톤 스프링(62)은 양측의 걸림 부재(64, 65)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 및 통부(14)의 바닥부(13)측과 보조 피스톤(19)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부분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켜 보조 토출로(26)에 브레이크 액압을 공급하는 보조 압력실(압력실)(68)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보조 피스톤(19)은 실린더 본체(15)와의 사이에, 보조 토출로(26)에 액압을 공급하는 보조 압력실(68)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보조 압력실(68)은, 보조 피스톤(19)이 포트(60)를 개구 홈(37)으로 개구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보조 보급로(38)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1)에 유지되는 구획 시일(42)은,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구획 시일(42)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한쪽 형상이 C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획 시일(42)은, 내주가 보조 피스톤(19)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외주가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1)에 맞닿아 보조 피스톤(19) 및 실린더 본체(15)의 구획 시일(42)의 위치의 간극을 항상 밀봉한다.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0)에 유지되는 피스톤 시일(35)은, EPDM 등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피스톤 시일(35)은, 내주가 보조 피스톤(19)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함과 함께, 외주가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0)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 시일(35)은, 보조 피스톤(19)이 포트(60)를 피스톤 시일(35)보다도 바닥부(13)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보조 보급로(38)와 보조 압력실(68)의 사이를 밀봉 가능, 즉 보조 압력실(68)과, 보조 보급로(38) 및 리저버(12)와의 연통을 차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로, 보조 피스톤(19)이,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8) 및 실린더 본체(15)에 유지된 피스톤 시일(35) 및 구획 시일(42)의 내주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보조 압력실(68) 내의 브레이크액을 가압하여 보조 토출로(26)로부터 차륜측의 제동용 실린더에 공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측으로부터 입력이 없고, 전술의 보조 피스톤(19)이 포트(60)를 개구 홈(37)에 개구시키는 위치(비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피스톤 시일(35)은, 상기 보조 피스톤(19)의 단부(59) 내에서 포트(60)에 그 일부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피스톤(19)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 시일(35)의 내주부가 포트(60)에 모두 겹치면, 보조 압력실(68)과 리저버(12)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에 끼워 맞춰지는 주 피스톤(18)은, 제1 원통형부(71)와, 제1 원통형부(71)의 축선 방향에서의 일측에 형성된 바닥부(72)와, 바닥부(72)의 제1 원통형부(71)와는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원통형부(73)를 갖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내주 구멍(21)은, 이들 중의 제1 원통형부(71)와 바닥부(7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주 피스톤(18)은, 제1 원통형부(71)를 실린더 본체(15) 내의 보조 피스톤(19)측에 배치한 상태로,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에 설치된 피스톤 시일(45) 및 구획 시일(52)의 각각의 내주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여기서, 제2 원통형부(73)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출력축(10)이 삽입된다. 이 출력축(10)에 의해서 바닥부(72)가 압박된다.
제1 원통형부(71)의 바닥부(72)에 대하여 반대측의 단부의 외주측에는, 주 피스톤(18)에 있어서 가장 대직경인 외직경부(74)보다도 직경 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단차형상을 이루는 환형상의 단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75)에는, 그 바닥부(72)측에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포트(76)가 복수, 실린더 둘레 방향의 등간격 위치에 방사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조 피스톤(19)과 주 피스톤(18)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측(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부터 입력이 없는 비제동 상태에서 이들의 간격을 결정하는 주 피스톤 스프링(78)을 포함하는 간격 조정부(7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 조정부(79)는, 보조 피스톤(19)의 바닥부(56)에 맞닿는 걸림 부재(81)와, 주 피스톤(18)의 바닥부(72)에 맞닿는 걸림 부재(82)와, 걸림 부재(81)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걸림 부재(82)를 소정 범위 내에서만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83)를 갖고 있다. 상기 주 피스톤 스프링(78)은 양측의 걸림 부재(81, 8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 본체(15)의 통부(14)와 주 피스톤(18)과 보조 피스톤(19)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부분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여 주 토출로(27)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주 압력실(압력실)(85)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주 피스톤(18)은, 보조 피스톤(19)과 실린더 본체(15)의 사이에, 주 토출로(27)에 액압을 공급하는 주 압력실(85)을 형성하고 있다. 이 주 압력실(85)은, 주 피스톤(18)이 포트(76)를 개구 홈(47)으로 개구시키는 위치에 있을 때, 주 보급로(48)에 연통한다.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3)에 유지되는 구획 시일(52)은, 구획 시일(42)과 동일한 부품이며,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구획 시일(52)은, 그 중심선을 포함하는 직경 방향 단면의 한쪽 형상이 C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획 시일(52)은, 내주가 주 피스톤(18)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외주가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3)에 맞닿아 주 피스톤(18) 및 실린더 본체(15)의 구획 시일(52)의 위치의 간극을 항상 밀봉한다.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2)에 유지되는 피스톤 시일(45)은, 피스톤 시일(35)과 동일한 부품이며,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피스톤 시일(45)은, 내주가 주 피스톤(18)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고, 외주가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2)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 시일(45)은, 주 피스톤(18)이 포트(76)를 피스톤 시일(45)보다도 바닥부(13)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주 보급로(48)와 주 압력실(85)의 사이를 밀봉 가능, 즉 주 압력실(85)과, 주 보급로(48) 및 리저버(12)와의 연통을 차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로, 주 피스톤(18)이, 실린더 본체(15)의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 및 실린더 본체(15)에 유지된 피스톤 시일(45) 및 구획 시일(52)의 내주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주 압력실(85) 내의 브레이크액을 가압하여 주 토출로(27)로부터 차륜측의 제동용 실린더에 공급한다.
또,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측으로부터 입력이 없고, 전술의 주 피스톤(18)이 포트(76)를 개구 홈(47)으로 개구시키는 위치(비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피스톤 시일(45)은, 상기 주 피스톤(18)의 단부(75) 내에서 포트(76)에 그 일부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 피스톤(18)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여 피스톤 시일(45)의 내주부가 포트(76)에 모두 겹치면, 주 압력실(85)과 리저버(12)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0)의 근방 부분, 피스톤 시일(35) 및 보조 피스톤(19)의 피스톤 시일(35)의 미끄럼 접촉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측의 시일 구조부(SS)와, 실린더 본체(15)의 주홈(32)의 근방 부분, 피스톤 시일(45) 및 주 피스톤(18)의 피스톤 시일(45)의 미끄럼 접촉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주 측의 시일 구조부(SP)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이들의 상세에 관해서 주측의 시일 구조부(SP)를 예로 들어, 주로 도 2∼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홈(32)은 실린더 직경 방향의 가장 외측(도 2에 있어서의 상측)에 있어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형상의 홈 바닥부(주홈의 바닥부)(88)와, 홈 바닥부(88)에 있어서의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도 2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연부의 위치에서 실린더 축의 직교 방향을 따르는 주벽(89)과, 홈 바닥부(88)에 있어서의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연부의 위치에서 실린더 축의 직교 방향을 따르는 주벽(90)을 갖고 있다.
주벽(89)은, 실린더 직경 방향의 외측단 위치에 형성되는 만곡면부(89a)와, 만곡면부(89a)보다도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되는 평탄면부(89b)와,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 위치에 형성되는 R 모따기부(89c)로 구성되어 있다. 만곡면부(89a)는, 홈 바닥부(88)에 있어서의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의 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일수록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에 위치하도록 실린더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약간 연장하고 있고, 실린더 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주홈(32)의 내측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만곡면부(89a)는,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 및 실린더 축방향의 길이가 각각 대략 일정하며,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평탄면부(89b)는, 실린더 축의 직교면에 평행한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탄면부(89b)는, 만곡면부(89a)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 안쪽에 일정폭으로 연장하고 있고,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R 모따기부(89c)는, 평탄면부(89b)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일수록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에 위치하도록 실린더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연장하고 있고, 실린더 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주홈(32)의 외측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R 모따기부(89c)는,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 및 실린더 축방향의 길이가 각각 일정하며,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R 모따기부(89c)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는,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의 주홈(32)보다도 개구부(16)측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주벽(89)에 대향하는 주벽(90)은, 홈 바닥부(88)에 있어서의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의 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의 안쪽에 연장되는 외측 벽부(91)와, 외측 벽부(91)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일수록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위치하도록 실린더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바닥부(13)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부(92)와, 단차면부(92)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본체(15)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 연장되어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에 연결되는 내측 벽부(93)를 갖고 있다. 즉, 단차면부(92)는 외측 벽부(91)보다도 실린더 직경 방향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 벽부(93)는 단차면부(92)보다도 실린더 직경 방향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외측 벽부(91)는, 실린더 직경 방향의 외측단 위치에 형성되는 만곡면부(91a)와, 만곡면부(91a)보다도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되는 평탄면부(91b)를 갖고 있다. 만곡면부(91a)는, 홈 바닥부(88)에 있어서의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의 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일수록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위치하도록 실린더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약간 연장하고 있다. 만곡면부(91a)는 실린더 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주홈(32)의 내측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만곡면부(91a)는,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 및 실린더 축방향의 길이가 각각 일정하며,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평탄면부(91b)는, 실린더 축의 직교면에 평행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탄면부(91b)는 만곡면부(91a)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 안쪽에 일정폭으로 연장하고 있고,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차면부(92)는, 외측 벽부(91)의 평탄면부(91b)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축방향의 바닥부(13)측에, 바닥부(13)측일수록 직경 축소되도록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연장하고 있다. 단차면부(92)는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 및 실린더 축방향의 길이가 각각 일정하며,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내측 벽부(93)는, 실린더 직경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외측단 위치에 설치되는 평탄면부(93a)와,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 위치에 설치되는 R 모따기부(93b)를 갖고 있다. 평탄면부(93a)는, 실린더 축의 직교면에 평행한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평탄면부(93a)는, 실린더 본체(15)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탄면부(93a)는, 단차면부(92)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 안쪽에 일정폭으로 연장하고 있고,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R 모따기부(93b)는, 평탄면부(93a)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일수록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위치하도록 실린더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연장하고 있고, 실린더 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주홈(32)의 외측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R 모따기부(93b)는,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 및 실린더 축방향의 길이가 각각 일정하며,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형상을 이루고 있다. R 모따기부(93b)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연부가, 미끄럼 이동 내직경부(29)의 주홈(32)보다도 바닥부(13)측의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부(92)가 내측 벽부(93)와 외측 벽부(91)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내측 벽부(93)는 전체로서 외측 벽부(91)보다도 실린더 축방향의 바닥부(13)측에 오프셋하여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서로 평행한 외측 벽부(91)의 평탄면부(91b)와, 주벽(89)의 평탄면부(89b)와의 실린더 축방향의 폭 쪽이, 서로 평행한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와, 주벽(89)의 평탄면부(89b)와의 실린더 축방향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단차면부(92)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은, 외측 벽부(91)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보다도 좁게, 내측 벽부(93)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단차면부(92)는,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에 대하여 예각의 소정 각도 θ로 경사하고 있고, 따라서, 외측 벽부(91)의 평탄면부(91b)에 대해서도 동일한 각도로 경사하고 있다. 상기한 홈 바닥부(88), 주벽(89) 및 주벽(90)은, 실린더 본체(15)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본체(15)에 대한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주 피스톤(18)에 형성된 단부(75)는, 주 피스톤(18)에 있어서 가장 대직경인 외직경부(74)보다도 소직경인 일정 직경으로 형성되는 원통면부(95)와, 이 원통면부(95)의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도 2에 있어서의 우측)에 있어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일수록 대직경이 되도록 경사하는 테이퍼면부(96)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원통면부(95) 및 테이퍼면부(96)는 외직경부(74)와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면부(96)의 소직경측이 원통면부(95)에 연결되고, 테이퍼면부(96)의 대직경측이 외직경부(74)에 연결되어 있다. 주 압력실(85)에 항상 연통하는 포트(76)는, 원통면부(95) 및 테이퍼면부(96)의 양방에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포트(76)의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도 2에 있어서의 좌측)의 단부가 원통면부(95)에 위치하고 있고, 포트(76)의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의 단부가 테이퍼면부(96)에 위치하고 있다.
주홈(32)에 배치되는 피스톤 시일(45)은, EPDM 등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피스톤 시일(45)은,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에 배치되는 원환판형상의 베이스부(101)와, 베이스부(101)의 내주단으로부터 베이스부(101)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원환형상의 내주 립부(102)와, 베이스부(101)의 외주단으로부터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원환형상의 외주 립부(103)와, 외주 립부(103)와 내주 립부(102)의 사이에서 베이스부(101)로부터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을 향해서 연장하는 원환형상의 센터 립부(104)를 갖고 있다.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마스터 실린더(11)에 삽입되기 전의 자연 상태에 있는 피스톤 시일(45)에 관해서 설명한다. 피스톤 시일(45)은, 베이스부(101)가 피스톤 시일(45)의 축 직교면에 평행을 이루고 있다. 내주 립부(102)는, 베이스부(101)로부터 떨어질수록 약간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외주 립부(103)가, 베이스부(101)로부터 떨어질수록 대직경이 되는 테이퍼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센터 립부(104)가, 베이스부(101)로부터 피스톤 시일(45)의 중심축과 동심의 원통형상을 이루어 연장하고 있다. 센터 립부(104)는, 연장 선단측일수록 직경 방향으로 약간 얇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베이스부(101)의 각 립부(102∼104)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내주 립부(102)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부(107)와, 본체부(107)의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 베이스부(101)보다도 직경 방향으로 얇은 박육부(108)로 구성되어 있다. 박육부(108)는, 본체부(107)의 직경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외주 립부(103)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부(111)와, 본체부(111)의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 베이스부(101)보다도 직경 방향으로 얇은 박육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박육부(112)는, 본체부(111)의 직경 방향의 내측단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외주 립부(103)의 박육부(112)에는, 베이스부(101)와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여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13)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센터 립부(104)는, 그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선단면부(116a)와, 선단면부(116a)의 직경 방향 외측의 외측 R 모따기부(116b)와, 선단면부(116a)의 직경 방향 내측의 내측 R 모따기부(116c)를 갖고 있다. 선단면부(116a)는, 피스톤 시일(45)의 축 직교면에 평행한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외측 R 모따기부(116b)는, 피스톤 시일(45)의 축방향의 선단면부(116a)측일수록 소직경이 되는 것으로, 피스톤 시일(45)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피스톤 시일(45)의 내부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내측 R 모따기부(116c)는, 피스톤 시일(45)의 축방향의 선단면부(116a)측일수록 대직경이 되는 것으로, 피스톤 시일(45)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피스톤 시일(45)의 내부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를 포함하는 선단부에는, 베이스부(101)와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하여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17)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립부(104)의 슬릿(117)의 베이스부(101)측의 단부 위치는, 외주 립부(103)의 박육부(112) 및 슬릿(113)의 베이스부(101)측의 단부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이들 단부 위치는, 내주 립부(102)의 본체부(107)의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의 단부 위치보다도 베이스부(101)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내주 립부(102)의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의 단부 위치는, 외주 립부(103)의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의 단부 위치보다도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박육부(108)를 포함하는 내주 립부(102)는 외주 립부(103)보다도 돌출하고 있다. 또한, 슬릿(117)의 선단면부(116a)로부터의 깊이는, 도 2에 나타내는 주홈(32)의 단차면부(92)의 실린더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커지고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마스터 실린더(11) 내에 삽입되어 주 피스톤(18)의 단부(75)의 원통면부(95)에 적정히 접촉하고 그리고 주벽(90)으로부터 떨어진 기본 상태(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기 전의 비제동 상태)의 피스톤 시일(45)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기본 상태에 있을 때, 피스톤 시일(45)은, 베이스부(101)가 실린더 축의 직교면에 평행한 자세로 가장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도 2에 있어서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1)는, 주홈(32)의 주벽(89)에 대향 배치되고, 이 주벽(89)에 맞닿고 있다. 또한, 가장 내주측에 있는 내주 립부(102)가, 그 내주부에 있어서 주 피스톤(18)의 외주부의 원통면부(95)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 내주 립부(102)는,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룬다. 이 내주 립부(102)는, 주 피스톤(18)의 실린더 축방향의 이동으로, 그 내주부가 주 피스톤(18)의 외주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기본 상태에 있을 때, 피스톤 시일(45)은, 가장 외주측에 있는 외주 립부(103)가, 그 외주부에 있어서 주홈(32)의 홈 바닥부(88)에 맞닿고 있다. 또한, 센터 립부(104)는, 자연 상태와 동일한 자세로 되어 있고,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 맞닿음부(116)의 선단면부(116a)가 실린더 축의 직교면에 평행을 이루고 있다. 센터 립부(104)는, 내주 립부(102) 및 외주 립부(103)보다도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도 2에 있어서의 좌측)에 연장하고, 그 선단 맞닿음부(116)가 주홈(32)의 주벽(90)에 대향하여,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단차면부(92) 및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와 실린더 직경 방향의 위치를 중합시키고 있다. 바꿔 말하면, 선단 맞닿음부(116)는, 단차면부(92) 및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와 실린더 축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시일(45)은, 상기 기본 상태로부터 주 피스톤(18)과 함께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면, 그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우선 주벽(90) 중 단차면부(92)에, 외측 R 모따기부(116b)에 있어서 맞닿고, 계속해서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에 선단면부(116a)에 있어서 맞닿는다. 즉, 피스톤 시일(45)은,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면, 주벽(90) 중 외측 벽부(91)보다도 먼저 내측 벽부(93)에 맞닿고, 내측 벽부(93) 중에서는 평탄면부(93a)에 최초로 맞닿는다. 바꿔 말하면, 내측 벽부(93)는, 피스톤 시일(45)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104)가 외측 벽부(91)보다도 먼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는, 피스톤 시일(45)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104)가 내측 벽부(93) 중에서 최초로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단차면부(92)의 실린더 직경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 θ는, 피스톤 시일(45)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 위치(바꿔 말하면 원통면부(95))로부터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의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단 위치까지의 거리를 Lx, 피스톤 시일(45)의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의 단부로부터 단차면부(92)로의 센터 립부(104)의 맞닿음 위치까지의 거리를 Ly, 피스톤 시일(45)과 주벽(90)과의 마찰 계수를 μ라고 하면, 이하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θ>tan-1{(Lx/Ly)-μ}/{μ(Lx/Ly)+ 1}
도시하지 않는 브레이크 페달측으로부터 입력이 없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피스톤(18)이 포트(76)를 개구 홈(47)으로 개구시키는 기본 위치(비제동 위치)에 있을 때에, 피스톤 시일(45)은, 내주 립부(102) 및 베이스부(101)의 내주부가, 주 피스톤(18)의 단부(75)의 원통면부(95)의 위치에 있어, 베이스부(101)의 내주부가 포트(76)의 일부에 실린더 축방향의 위치를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센터 립부(104)는 주벽(90)으로부터 이격되고, 그 선단 맞닿음부(116)가 주벽(90)의 단차면부(92) 및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와 실린더 직경 방향의 위치를 겹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측으로부터 입력이 있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피스톤(18)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도 4a에서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 시일(45)은, 주 피스톤(18)과 함께, 주홈(32) 내에서 주벽(90)측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부(101)가 주벽(89)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함께,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주벽(90)의 단차면부(92)에 맞닿고, 단차면부(92)의 안내로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에 맞닿는다. 주 피스톤(18)이, 또한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면, 평탄면부(93a)에 센터 립부(104)에서 맞닿아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피스톤 시일(45)은, 그 베이스부(101)가 단부(75)의 테이퍼면부(96)를 타고 올라 포트(76)를 넘어 포트(76)를 폐색하고, 주 압력실(85)과 주 보급로(48)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또, 이 도 4a에서 나타내는 위치를 포함하여, 이 위치로부터 주 피스톤(18)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위치하는 범위에서는, 피스톤 시일(45)이 주 압력실(85)과 주 보급로(48)의 사이를 차단하여 주 압력실(85)을 밀봉한다. 이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 대기압인 주 보급로(48)의 액압(P1)보다도 주 압력실(85)의 액압(P2) 쪽이 높아지고, 주 압력실(85) 내의 브레이크액이 도 1에 나타내는 주 토출로(27)로부터 차륜측의 제동용 실린더에 공급된다.
상기 포트(76)의 폐색 후, 주 피스톤(18)이, 다시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 시일(45)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01)가 테이퍼면부(96)를 타고 넘어 외직경부(74)에 타고 올라간다. 이와 함께 내주 립부(102)가 테이퍼면부(96)에 타고 오르고, 그 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 립부(102)가 외직경부(74)에 타고 오르며, 그리고, 피스톤 시일(45)은, 상기한 주 압력실(85)의 액압 상승에 의해서 주홈(32) 내에서 주벽(89)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센터 립부(104)가 주벽(90)으로부터 떨어지고 베이스부(101)가 주벽(89)에 맞닿는다.
여기서, 피스톤 시일(45)의 베이스부(101)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75)의 테이퍼면부(96)에 맞닿는다. 피스톤 시일(45)의 베이스부(101)는, 이 테이퍼면부(96)에서 실린더 축방향으로 압박되었을 때에 이 테이퍼면부(96)를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 가능하지 않으면, 주 피스톤(18)의 이동에 이끌려, 주홈(32) 내에서 더욱 주벽(90)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렇게 하면, 피스톤 시일(45)은, 주홈(32)에서 이동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내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외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피스톤 시일(45)에 생긴다. 그러나,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 시일(45)의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주홈(32)의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센터 립부(104)가 평탄면부(93a)의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에 있는 단차면부(92)에 맞닿아, 센터 립부(104)를 포함하는 피스톤 시일(45)의 상기 회전을 규제한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피스톤(18)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한 상태로부터, 제동을 해제하기 위해서 도시 생략의 브레이크 페달을 복귀시키기 시작하면, 도 1에 나타내는 간격 조정부(79)에 의해서 주 피스톤(18)이 도 2에 나타내는 대기 위치에 되돌아가려고 한다. 이 주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서 주 압력실(85)의 용적이 확대해 간다. 그 때에, 브레이크 배관을 통한 브레이크액의 복귀가 주 압력실(85)의 용적 확대에 따라잡지 않게 되어 버리면, 대기압인 주 보급로(48)의 액압(P1)과 주 압력실(85)의 액압(P2)이 동일해진 후, 주 압력실(85) 내의 액압(P2)은 부압이 되고, 대기압인 주 보급로(48)의 액압(P1)보다도 주 압력실(85)의 액압(P2)쪽이 낮아진다. 그렇게 하면, 이 주 압력실(85) 내의 부압이, 피스톤 시일(45)의 외주 립부(103)를 홈 바닥부(88)로부터 이격시키고 베이스부(101)를 주벽(89)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그 결과, 주 보급로(48)의 브레이크액은, 주벽(89)과 베이스부(101)와의 간극, 홈 바닥부(88)와 외주 립부(103)와의 간극, 및 주벽(90)과 센터 립부(104)의 슬릿(117)과의 간극의 유로를 통해 주 압력실(85)에 보급된다. 이에 따라, 주 압력실(85)의 액압(P2)을 부압 상태로부터 대기압으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마스터 실린더에서는, 주홈의 실린더 바닥부측의 주벽이, 주홈의 바닥부로부터 실린더 축 직교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측 벽부와, 외측 벽부로부터 실린더 직경 방향의 안쪽일수록 실린더 바닥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하여 연장되는 테이퍼 벽부로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가 실린더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시일 부재의 센터 립부가 최초로 외측 벽부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피스톤에 대하여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없어 피스톤에 이끌림에 따라 시일 부재에, 내주측이 실린더 바닥부측에 외주측이 실린더 개구부측에 이동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면, 시일 부재는, 센터 립부가 외측 벽부를 따라 비교적 용이하게 이동하여 내주 립부가 피스톤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베이스부가 필요 이상으로 실린더 바닥부측에 이동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하면, 시일 부재가 피스톤의 포트를 막는 시일 위치가 실린더 바닥부측으로 벗어나고,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키기까지의 피스톤의 이동량인 무효 스트로크가 증대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에 따르면, 주 피스톤(18)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 시일(45)에, 내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외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생겼다고 해도,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 시일(45)의 센터 립부(104)가, 평탄면부(93a)의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에 있는 단차면부(92)에 맞닿아, 센터 립부(104)를 포함하는 피스톤 시일(45)의 회전을 규제한다. 그 결과, 주 피스톤(18)의 포트(76)를 막는 피스톤 시일(45)의 시일 위치가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게 되고 무효 스트로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마스터 실린더에 있어서, 예컨대, 테이퍼벽부를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넓혀 센터 립부를 외측 벽부보다도 먼저 테이퍼벽부에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테이퍼벽부에서 시일 부재의 상기한 회전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그러나, 테이퍼벽부가 실린더 본체의 내주부까지 계속되게 되기 때문에, 이 테이퍼벽부에서 센터 립부가 실린더 본체의 내주부와 피스톤과의 간극에 안내되고, 이 간극에 끼워지는, 소위 물림을 생기게 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에 따르면, 내측 벽부(93)가 실린더 본체(15)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부(93a)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시일(45)의 센터 립부(104)가 이 평탄면부(93a)에서 멈추게 되어, 센터 립부(104)가 실린더 본체(15)의 내주부와 주 피스톤(18)과의 간극으로 안내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먹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마스터 실린더에 따르면, 단차면부(92)가, 실린더 본체(15)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 시일(45)의 센터 립부(104)가 내측 벽부(93)보다도 먼저 단차면부(92)에 맞닿아도, 이것을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내측 벽부(93)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피스톤 시일(45)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104)가 내측 벽부(93) 중에서 최초로 평탄면부(93a)에 맞닿기 때문에, 센터 립부(104)가 실린더 본체(15)의 내주부와 주 피스톤(18)과의 간극으로 안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고, 물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립부(104)는, 내주 립부(102) 및 외주 립부(103)보다도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 시일(45)의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5 및 도 6a∼도 6c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홈(32)의 주벽(90)에 있어서의 단차면부(92)의 실린더 직경 방향의 위치가, 제1 실시형태보다도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벗어나 있다. 즉, 단차면부(92)가 제1 실시형태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시일(45)이 주 피스톤(18)의 단부(75)의 원통면부(95)에 적정히 맞닿고 그리고 주벽(90)으로부터 떨어진 기본 상태에서는,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와만 실린더 직경 방향의 위치를 겹치고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시일(45)은, 상기 기본 상태로부터 주 피스톤(18)과 함께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면, 그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최초로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에 맞닿는다. 즉, 내측 벽부(93)는, 피스톤 시일(45)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104)를 최초로 맞닿게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측으로부터 입력이 있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피스톤(18)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도 6a∼도 6c에서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피스톤 시일(45)은, 주 피스톤(18)과 함께, 주홈(32) 내에서 주벽(90)측으로 이동하여 베이스부(101)가 주벽(89)으로부터 떨어지고,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단차면부(92)에 맞닿지 않고 주벽(90)의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에 맞닿는다. 주 피스톤(18)이, 또한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으로 이동하면, 평탄면부(93a)에 센터 립부(104)에서 맞닿아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피스톤 시일(45)은, 그 베이스부(101)가 단부(75)의 테이퍼면부(96)를 타고 오르고, 포트(76)를 넘어 포트(76)를 폐색하며, 주 압력실(85)과 주 보급로(48)와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 후, 피스톤 시일(45)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01)가 테이퍼면부(96)를 타고 올라 외직경부(74)를 타고 오르고 내주 립부(102)가 테이퍼면부(96)를 타고 오른다. 그리고,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 립부(102)가 외직경부(74)를 타고 오르게 되어, 주 압력실(85)의 액압 상승에 의해 피스톤 시일(45)이 주홈(32) 내에서 주벽(89)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센터 립부(104)가 주벽(90)으로부터 떨어지고 베이스부(101)가 주벽(89)에 맞닿는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피스톤 시일(45)의 베이스부(101)가 단부(75)의 테이퍼면부(96)를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없으면, 주 피스톤(18)의 이동에 이끌려, 주홈(32) 내에서 피스톤 시일(45)이 주벽(90)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시일(45)에, 내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에, 외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생긴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 시일(45)의 센터 립부(104)의 선단부가, 주홈(32)의 내측 벽부(93)의 평탄면부(93a)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기 회전 모멘트에 대하여, 센터 립부(104)가 평탄면부(93a)의 실린더 직경 방향 외측에 있는 단차면부(92)에 맞닿아, 피스톤 시일(45)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상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센터 립부(104)의 단차면부(92)로의 맞닿음의 빈도를 줄이게 되어 피스톤 시일(4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7에 기초하여 제2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벽(90)의 내측 벽부(93)에, 제1 실시형태의 R 모따기부(93b) 대신에,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도 7에 있어서의 좌측)일수록 소직경이 되는 테이퍼형의 모따기부(93b')가 형성되어 있다. 모따기부(93b')는, 평탄면부(93a)와의 경계 위치가 피스톤 시일(45)의 센터 립부(104)와 내주 립부(102)의 사이 위치가 되고 있고, 제1 실시형태의 R 모따기부(93b)보다도 실린더 직경 방향 및 실린더 축방향의 양방향으로 커지고 있다. 또, 센터 립부(104)가 모따기부(93b')와 원통면부(95)의 사이에 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모따기부(93b')의 최대 반경과 원통면부(95)의 반경과의 차 Mx와,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의 직경 방향 두께 Cx와, 내주 립부(102)의 본체부(107)의 직경 방향 두께 Ix와의 관계는, 이하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x<Ix+Cx
이상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내주 립부(102)의 실린더 본체(15)와 주 피스톤(18)의 사이로의 물림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를 주로 도 8에 기초하여 제3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로서는, 외측 벽부(91)와 내측 벽부(93)의 사이에,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형상의 단차면부(9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 시일(45)의 내주 립부(102)가 센터 립부(104)보다도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까지 연장하고 있다. 즉, 내주 립부(102)의 베이스부(101)로부터의 연장 길이가 센터 립부(104)보다도 길어지고 있다. 그리고, 내주 립부(102)의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의 선단부에, 베이스부(101)와는 반대측으로 개구하고, 실린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20)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피스톤 시일(45)의 베이스부(101)가 단부(75)의 테이퍼면부(96)을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없으면, 피스톤 시일(45)에, 내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바닥부(13)측(도 8에 있어서의 좌측)에, 외주측이 실린더 본체(15)의 개구부(16)측(도 8에 있어서의 우측)에 이동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생긴다. 이 때,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피스톤 시일(45)의 센터 립부(104)의 선단 맞닿음부(116)가 단차면부(92')에 맞닿게 되고, 이에 더하여, 내주 립부(102)가 모따기부(93b')에 맞닿게 되어, 이러한 양방에서, 피스톤 시일(45)의 회전을 규제한다. 그 결과, 무효 스트로크의 증대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축방향을 따르는 원통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면부(92')에서 센터 립부(104)의 이동을 한층 더 규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내주 립부(102)를 모따기부(93b')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고, 피스톤 시일(45)의 회전을 더욱 규제할 수 있다.
또, 내주 립부(102)의 선단부에 실린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주 립부(102)를 연장시켜도, 주 압력실(85) 내의 부압으로, 주 보급로(48)의 브레이크액을, 주벽(89)과 베이스부(101)와의 간극, 홈 바닥부(88)와 외주 립부(103)와의 간극, 주벽(90)과 센터 립부(104)의 슬릿(117)과의 간극 및 주벽(90)과 내주 립부(102)의 슬릿(120)과의 간극의 유로를 통해 주 압력실(85)에 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액보급의 보급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이상에 있어서는, 주측의 시일 구조부(SP)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보조측의 시일 구조부(SS)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는, 브레이크액의 토출로와 리저버에 연통하는 보급로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실린더 본체와, 이 실린더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실린더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토출로에 액압을 공급하는 압력실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본체 내에 형성되는 주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보급로와 상기 압력실의 사이를 밀봉 가능한 시일 부재를 갖는 마스터 실린더로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개구부측의 주벽에 맞닿을 수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는 내주 립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상기 주홈의 바닥부에 맞닿는 외주 립부와, 이 외주 립부와 상기 내주 립부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선단이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에 맞닿을 수 있는 센터 립부를 갖는다.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은, 상기 주홈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부와, 이 외측 벽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부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부를 갖고 상기 단차면부보다도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측 벽부를 갖는다. 이 내측 벽부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센터 립부가 상기 외측 벽부보다도 먼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의 이동으로, 시일 부재가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의 선단이, 외측 벽부보다도 먼저 내측 벽부에 맞닿는다. 따라서, 그 후, 시일 부재에, 내주측이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외주측이 실린더 본체의 개구부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생겼다고 해도, 시일 부재의 센터 립부가, 외측 벽부로부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부에 맞닿아, 센터 립부를 포함하는 시일 부재의 회전을 규제한다. 그 결과, 무효 스트로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면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센터 립부가 내측 벽부보다도 먼저 단차면부에 맞닿았다고 해도, 이것을 원활히 내측 벽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벽부의 상기 평탄면부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센터 립부가 상기 내측 벽부 중에서 최초로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시일 부재가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센터 립부가 내측 벽부 중에서 최초로 평탄면부에 맞닿기 때문에, 센터 립부가 실린더 본체의 내주부와 주 피스톤과의 간극으로 안내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물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립부는, 상기 외주 립부 및 상기 내주 립부보다도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시일 부재의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상기한 마스터 실린더에 따르면, 무효 스트로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11 : 마스터 실린더 12 : 리저버
13 : 바닥부 15 : 실린더 본체
16 : 개구부 18 : 주 피스톤(피스톤)
19 : 보조 피스톤(피스톤) 26 : 보조 토출로(토출로)
27 : 주 토출로(토출로) 30, 32 : 주홈
35, 45 : 피스톤 시일(시일 부재) 38 : 보조 보급로(보급로)
48 : 주 보급로(보급로) 68 : 보조 압력실(압력실),
85 : 주 압력실(압력실) 88 : 홈 바닥부(주홈의 바닥부),
89 : 주벽(실린더 본체의 개구부측의 주벽)
90 : 주벽(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
91 : 외측 벽부 92 : 단차면부
93 : 내측 벽부 93a : 평탄면부
101 : 베이스부 102 : 내주 립부
103 : 외주 립부 104 : 센터 립부

Claims (8)

  1. 브레이크액의 토출로와 리저버에 연통하는 보급로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실린더 본체와,
    이 실린더 본체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실린더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토출로에 액압을 공급하는 압력실을 형성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본체 내에 형성되는 주홈(周溝)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보급로와 상기 압력실의 사이를 밀봉 가능한 시일 부재를 갖는 마스터 실린더로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개구부측의 주벽(周壁)에 맞닿을 수 있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하는 내주 립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상기 주홈의 바닥부에 맞닿는 외주 립부와,
    이 외주 립부와 상기 내주 립부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선단이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에 맞닿을 수 있는 센터 립부를 갖고,
    상기 주홈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의 주벽은, 상기 주홈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부와, 이 외측 벽부로부터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면부와,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한 평탄면부를 갖고 상기 단차면부보다도 상기 실린더 본체의 직경 방향의 안쪽에 형성되는 내측 벽부를 갖고, 이 내측 벽부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센터 립부가 상기 외측 벽부보다도 먼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부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축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립부는 상기 외주 립부 및 상기 내주 립부보다도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벽부는 상기 실린더 직경 방향의 내측단 위치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벽부의 상기 평탄면부는, 상기 시일 부재가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센터 립부가 상기 내측 벽부 내에서 최초로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립부가 상기 평탄면부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단차면부에 맞닿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부는 상기 시일 부재에 있는 상기 실린더 본체의 바닥부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센터 립부가 최초로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립부는 상기 단차면부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상기 내측 벽부의 상기 평탄면부에 맞닿는 것인 마스터 실린더.
KR1020147027081A 2012-05-31 2013-03-27 마스터 실린더 KR102020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5136 2012-05-31
JP2012125136 2012-05-31
PCT/JP2013/059063 WO2013179751A1 (ja) 2012-05-31 2013-03-27 マスタシリン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322A KR20150017322A (ko) 2015-02-16
KR102020087B1 true KR102020087B1 (ko) 2019-09-09

Family

ID=4967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081A KR102020087B1 (ko) 2012-05-31 2013-03-27 마스터 실린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63085B2 (ko)
JP (1) JP5784228B2 (ko)
KR (1) KR102020087B1 (ko)
CN (1) CN104220311B (ko)
DE (1) DE112013002759T5 (ko)
RU (1) RU2573129C1 (ko)
WO (1) WO2013179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1266A5 (de) * 2014-03-14 2016-12-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ichtlippe für ein Dichtelement zum Dichten zweier relativ zueinander verschiebbarer Teile
KR101557434B1 (ko) * 2014-06-13 2015-10-0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마스터 실린더용 피스톤
CN105416493A (zh) * 2014-09-17 2016-03-23 亨通机械股份有限公司 刹车总泵
WO2016093384A1 (ko) * 2014-12-09 2016-06-16 주식회사 하이스텐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KR102411463B1 (ko) * 2015-09-25 2022-06-2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US11174943B2 (en) * 2017-05-11 2021-11-16 Valqua, Ltd. Seal structure
JP6749499B2 (ja) 2017-08-29 2020-09-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190A (ja) * 2004-02-05 2005-09-15 Shimano Inc 油圧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6123879A (ja) * 2004-09-30 2006-05-18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3442A (en) * 1968-10-31 1971-02-16 Bendix Corp Combination lip seal and o-ring
GB9301176D0 (en) * 1993-01-21 1993-03-10 Lucas Ind Plc Hydraulic master cylinder
JP5232376B2 (ja) * 2006-10-23 2013-07-10 ボッシュ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
JP5201648B2 (ja) * 2006-10-31 2013-06-05 ボッシュ株式会社 カップシ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タシリンダ
JP2008273413A (ja) * 2007-04-27 2008-11-13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916405B1 (fr) * 2007-05-21 2009-07-10 Bosch Gmbh Robert Maitre-cylindre comportant un joint favorisant la realimentation.
FR2916406B1 (fr) * 2007-05-22 2009-07-10 Bosch Gmbh Robert Maitre-cylindre comportant un joint et une gorge associee favorisant la realimentation.
JP5112784B2 (ja) * 2007-08-10 2013-01-09 ボッシュ株式会社 カップシ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タシリンダ
JP4354517B2 (ja) 2008-12-12 2009-10-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ータ締付ボルト構造
FR2940222B1 (fr) * 2008-12-19 2010-12-24 Bosch Gmbh Robert Joint de maitre cylindre de freinage,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9052568A1 (de) * 2009-11-10 2011-05-12 Lucas Automotive Gmbh Dichtanordnung für einen Bremszylinder einer Fahrzeugbremsan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190A (ja) * 2004-02-05 2005-09-15 Shimano Inc 油圧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6123879A (ja) * 2004-09-30 2006-05-18 Hitachi Ltd マスタシリン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322A (ko) 2015-02-16
JPWO2013179751A1 (ja) 2016-01-18
US20150047338A1 (en) 2015-02-19
CN104220311B (zh) 2016-06-29
CN104220311A (zh) 2014-12-17
RU2573129C1 (ru) 2016-01-20
JP5784228B2 (ja) 2015-09-24
WO2013179751A1 (ja) 2013-12-05
US9663085B2 (en) 2017-05-30
DE112013002759T5 (de)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087B1 (ko) 마스터 실린더
JP4417233B2 (ja) マスタシリンダ
US20150360660A1 (en) Master cylinder
JP6060265B2 (ja) マスタシリンダ
KR102089119B1 (ko) 마스터 실린더
US11148649B2 (en) Master cylinder
JP4637595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6366185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4694445B2 (ja) マスタシリンダ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25337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5829571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5481159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5806955B2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09234491A (ja) マスタシリンダ
JP6292946B2 (ja) マスタシリンダ
CN111225839B (zh) 主缸
JP2010120480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14148233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11136602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19026009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17178073A (ja) シリンダ装置
JP2011156920A (ja) マスタシリンダ
JP2006264689A (ja) マスタ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