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547B1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547B1
KR101997547B1 KR1020120149200A KR20120149200A KR101997547B1 KR 101997547 B1 KR101997547 B1 KR 101997547B1 KR 1020120149200 A KR1020120149200 A KR 1020120149200A KR 20120149200 A KR20120149200 A KR 20120149200A KR 101997547 B1 KR101997547 B1 KR 10199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back plate
seat
engag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199A (ko
Inventor
모리히코 후지타
노리유키 오사카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60Removable protective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일드 시트(10)는, 좌판부(41) 및 배판부(45)를 포함하는 시트부(40)를 가진 차일드 시트 본체(15)와, 배판부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배판부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60)와, 차일드 시트 본체에 부착된 어린이용 벨트(30)를 갖는다. 슬라이딩 부재(60)에는 어린이용 벨트(30)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배판부의 관통 구멍에 대면하는 위치에, 슬라이딩 부재의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발명은 어린이가 앉는 차일드 시트이며, 특히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어린이용 벨트를 가진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어린이용 벨트를 가진 차일드 시트로서, 예를 들면 JP2002-362201A 및 JP2007-143835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좌석 위에 차량용 시트 벨트를 사용해서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가 널리 알려져 있다. 어린이용 벨트는, 어린이의 가랑이를 통과하는 가랑이 벨트, 어깨 위를 연장되는 어깨 벨트를 갖고 있다. 차일드 시트의 등받이부에는, 어깨 벨트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어깨 벨트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어린이의 성장 단계에 따라서 어린이용 벨트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JP2002-362201A나 JP2007-143835A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어깨 벨트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바꾸려고 하면, 어린이용 벨트의 단부를 금속편이나 버클 등으로부터 분리하는 것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행해야만 한다. 즉, JP2002-362201A나 JP2007-143835A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어린이용 벨트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어린이용 벨트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는,
좌판부(座板部) 및 배판부(背板部)를 포함하는 시트부를 가진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배판부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배판부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부착된 어린이용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어린이용 벨트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판부의 상기 관통 구멍에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한 상기 어린이용 벨트가 통과 가능한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헤드 레스트를 구성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긴 구멍의 적어도 한쪽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배판부를 끼우도록 해서, 상기 배판부의 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접속된 고정구(固定具)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상기 배판부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긴 구멍의 양쪽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한쪽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걸어맞춤부로서, 각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다른 쪽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걸어맞춤편으로서, 서로로부터 이간 및 서로 접근하는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걸어맞춤편을 갖고,
상기 걸어맞춤편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이 규제되게 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배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편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편이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서로로부터 이간하도록 동작함으로써, 각 걸어맞춤편에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게 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한쪽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걸어맞춤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다른 쪽은, 상기 걸어맞춤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상기 한쪽을 향해서 접근하는 것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상기 한쪽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된 걸어맞춤편을 갖고,
상기 걸어맞춤편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이 규제되게 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상기 배판부에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배판부의 상기 한 쌍의 긴 구멍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제1 걸어맞춤부로서, 각각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 또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됨과 함께,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제1 걸어맞춤편으로서, 서로로부터 이간 및 서로 접근하는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제1 걸어맞춤편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쪽을 향해서 접근하는 것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된 제2 걸어맞춤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편과 상기 제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함께, 상기 제2 걸어맞춤편과 상기 제2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지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지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배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파지부를 갖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시트가, 상기 시트부에 장착되는 시트용 커버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용 커버재의 상기 배판부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개구를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일드 시트에 부착된 어린이용 벨트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헤드 레스트가 올라간 상태에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일드 시트를 헤드 레스트가 내려간 상태에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차일드 시트를 헤드 레스트가 올라간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차일드 시트를, 차량에 장비된 좌석 위에 배치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차일드 시트를, 차량에 장비된 좌석 위에 도 4와는 상이한 태양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커버재를 제거한 도 1의 차일드 시트를, 헤드 레스트를 이루는 슬라이딩 부재가 올라간 상태에서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커버재를 제거한 도 1의 차일드 시트를, 헤드 레스트를 이루는 슬라이딩 부재가 내려간 상태에서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차일드 시트의 슬라이딩 부재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에 부착된 조작 부재를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를 이동시켜서, 슬라이딩 부재 및 조작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ⅩⅡ-ⅩⅡ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를 이동시켜서, 차일드 시트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0)는, 차량, 예를 들면 자동차의 좌석(5) 위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차일드 시트(10)는, 어른을 대상으로 해서 설계된 좌석(차량 시트)(5)이나 시트 벨트(7)를 포함하는 차량에, 어린이(유아(乳兒), 유아(幼兒) 등의 연소자)를 안전하게 승차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차일드 시트(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부(40)에 착좌한 어린이가 차의 전방을 향하는 「전향(前向) 상태」,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부(40)에 착좌한 어린이가 차의 후방을 향하는 「후향(後向) 상태」의 양쪽의 태양으로 좌석(5)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해서 사용하는 「전」, 「후」, 「우」, 「좌」, 「횡」, 「상」 및 「하」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도 4에 나타낸 전향 상태의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우」, 「좌」, 「횡」 「상」 및 「하」를 각각 의미한다.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 요소의 「폭 방향」이란, 「좌」 및 「우」를 연결하는 방향, 즉 「횡 방향」이다.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 요소의 「높이 방향」이란, 「상하 방향」이다. 또한, 차일드 시트(10) 및 그 구성 요소의 「전후 방향」이란, 「전」 및 「후」를 연결하는 방향이며,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차량의 「전후 방향」 또는 「주행 방향」에도 일치한다.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는, 좌판부(41) 및 배판부(45)를 가진 시트부(시트 본체)(40)를 포함하는 차일드 시트 본체(15)와, 배판부(45)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슬라이딩 부재(60)와, 차일드 시트 본체(15)에 부착된 어린이용 벨트(30)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60)는 배판부(45)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60)에는 어린이용 벨트(30)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66)이 형성되어 있고, 배판부(45)의 상기 관통 구멍(66)에 대면하는 위치에는,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46)이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을 통과한 어린이용 벨트(30)가, 이 긴 구멍(46)도 통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일드 시트(10)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부재(60)를 차일드 시트 본체(15)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켜서, 슬라이딩 부재(60)의 높이 방향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어린이용 벨트(30)의 지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차일드 시트(10)에서는 어린이의 성장 단계에 따른 어린이용 벨트(30)의 위치 조절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60)는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의 머리부를 받치는 헤드 레스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린이의 머리부의 위치에 따라서, 어린이용 벨트(30)의 어깨 벨트(32c)의 지지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60) 및 배판부(45)의 어느 한쪽에,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어맞춤부(51)가 설치되고, 제1 걸어맞춤부(5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에 당해 제1 걸어맞춤부(51)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편(71)이 설치되어 있다. 부가해서, 슬라이딩 부재(60) 및 배판부(45)의 어느 한쪽에,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걸어맞춤부(52)가 설치되고, 제2 걸어맞춤부(5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에 당해 제2 걸어맞춤부(52)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편(7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과,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의 걸어맞춤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한편,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함께,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일드 시트(10)에는,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 및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의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60)와 시트부(40)의 배판부(4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시트부(40)의 배판부(45)의 후방에 고정구(배면 고정구)(5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구(55)는 긴 구멍(46)을 통해서 슬라이딩 부재(60)와 접속되어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60)와 고정구(55) 사이에서 배판부(45)를 끼우는 배치에 있어서, 고정구(55)를 사용하여 슬라이딩 부재(60)가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15)의 시트부(40)에는 시트부용 커버재(11)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딩 부재(60)에는 헤드 레스트용 커버재(12)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부용 커버재(11)에는, 시트부용 커버재(11)의 배판부(45)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개구(11a)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부재(60)는 개구(11a)를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헤드 레스트용 커버재(12)에는,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에 대면하는 위치에, 어린이용 벨트(30)가 삽입 통과 가능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부용 커버재(11) 및 헤드 레스트용 커버재(12)는, 도 1∼도 3에만 나타내고 있고, 다른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하, 차일드 시트(10)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해 간다. 또,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10)는, 전체적으로 폭 방향(횡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전후 방향을 따른 면(횡 방향 중심 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선, 차일드 시트 본체(1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15)는, 좌판부(41) 및 배판부(45)를 가진 시트부(시트 본체)(40)와, 시트부(40)에 고정된 베이스(16)를 갖고 있다. 시트부(40)는 어린이가 앉는 장소이고, 한편 베이스(16)는, 차일드 시트(10)가 차량의 좌석(5)에 설치될 때에, 어린이가 착좌하는 시트부(40)와 차량의 좌석(5) 사이에 위치하여 좌석(5)에 접촉하게 된다.
베이스(16)는, 시트부(40)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베이스(20)와, 시트부(40)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방 베이스(25)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베이스(20)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후방 베이스(20)에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베이스 관통 구멍(21)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1)의 상방에는 차량 시트 벨트(7)를 파지하기 위한 벨트 파지구(把持具)(22)가 고정되어 있다. 관통 구멍(21)의 하방에는 차량 시트 벨트(7)를 유도하기 위한 홈으로서 구성된 벨트 유도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방 베이스(25)에는 차량 시트 벨트(7)를 유도하기 위한 홈으로서 구성된 한 쌍의 벨트 유도부(21a)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차량의 시트 벨트(7)란, 한 방향측(예를 들면 우측)의 어깨로부터 다른 방향측(예를 들면 좌측)의 허리로 연장되는 어깨 벨트(7a)와, 한 방향측의 허리로부터 다른 방향측의 허리로 연장되는 허리 벨트(7b)를 가진, 소위 3점식의 시트 벨트이다. 이 시트 벨트(7)는, 한 개의 벨트 형상 부재로 삽입 통과되며, 당해 한 개의 벨트 형상 부재를 절곡(折曲)해서 구분하여 어깨 벨트(7a)와 허리 벨트(7b)를 구획하는 버클(7c)과, 좌석(5)의 다른 방향측에 설치된 수용 버클(7d)을 더 포함하고, 버클(7c)이 수용 버클(7d)에 걸림으로써 좌석(5) 위에 착좌하는 사람의 신체를 당해 좌석(5)에 고정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5)에 부착될 경우에는, 차량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가, 다른 방향측(예를 들면 좌측)의 벨트 파지구(22)에 의해 파지되면서 한 방향측의 벨트 유도부(21a)에 지지된다. 허리 벨트(7b)는 양측의 벨트 유도부(21a)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버클(7c)이 수용 버클(7d)에 고정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5)에 부착될 경우에는, 차량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 및 허리 벨트(7b)가, 양측의 벨트 유도부(21a)에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버클(7c)이 수용 버클(7d)에 고정된다. 또, 후술하는 시트부(40)의 측판부(43)에는 어깨 벨트(7a)를 수용하는 벨트 유도구(4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일드 시트(10)가 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5)에 부착될 경우에는, 차량 시트 벨트(7)의 어깨 벨트(7a)는, 한 방향측의 벨트 유도구(43a)에 의해 꺾인 후에, 한 방향측의 유도부(21a)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후방 베이스(20)의 하방에는, 요동 축(17a)을 중심으로 해서 요동 가능해지게 보조 지지편(17)이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5)에 부착될 경우, 요동해서 후방 베이스(20)로부터 연장 돌출된 보조 지지편(17)을 사용하여, 차일드 시트(1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0)가 전향 상태로 차량의 좌석(5)에 부착될 경우에는 보조 지지편(17)은 이용되지 않는다. 이때, 보조 지지편(17)은 베이스(16) 내에 배치되며, 후방 베이스(20) 및 하방 베이스(25)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또, 보조 지지편(17)이 후방 베이스(20) 및 하방 베이스(25) 내에 위치할 경우, 당해 보조 지지편(17)은, 후향 상태로의 고정에 이용되는 하방 베이스 관통 구멍(26)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0)를 후향 상태로 좌석(5)에 부착할 때에, 가령 보조 지지편(17)을 전개하는 것을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시트 벨트(7)의 버클(7c)이 통과해야 할 하방 베이스 관통 구멍(26)의 일부가 보조 지지편(17)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0)를 후향 상태로 고정할 때에 있어서의 보조 지지편(17)의 이용을 잊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보조 지지편(17)의 적절한 이용이 촉진된다.
다음으로 시트부(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트부(40)는 베이스(16) 위에 설치되어 어린이를 받치는 부위이다. 시트부(40)는, 어린이 엉덩이부를 받치는 좌판부(좌석부)(41)와, 좌판부(41)의 후방으로부터 세워져 어린이의 등을 받치는 배판부(등받이부)(45)와, 좌판부(41) 및 배판부(45)의 양 측방에 각각 설치된 측판부(측부)(43)를 갖고 있다. 측판부(43)는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측판부(43)의 양 측방에는 차량 시트 벨트(7)를 유도하기 위해 벨트 유도구(43a)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6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판부(45)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고정된 한 쌍의 레일 부재(48)를 갖고 있다. 한 쌍의 레일 부재(48)는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레일 부재(48)는, 배판부(4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환언하면 폭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판부(45) 위를 연장되고 있다. 이 레일 부재(48)는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부(40)의 배판부(45)는, 당해 배판부(45)에 고정된 레일 부재(48)를 통해서, 슬라이딩 부재(6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일 부재(48)는, 가늘고 긴 형상의 레일 부재 본체(48a)와, 레일 부재 본체(48a)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출된 플렌지부(48c)를 갖고 있다. 플렌지부(48c)는 레일 부재 본체(48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레일 부재 본체(48a)에는 폭 방향 안쪽을 향해서 개구된 오목부(48b)가 레일 부재(4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오목부(48b)가, 슬라이딩 부재(60)에 설치된 제1 걸어맞춤편(71)과 걸어맞춰져서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을 규제할 수 있는 제1 걸어맞춤부(5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의 긴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긴 구멍(46)은,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즉 레일 부재(4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60)가 슬라이딩 가능 범위 내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긴 구멍(46)이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에 대면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60)의 시트부(40)에 대한 위치에 상관없이, 어린이용 벨트(30)가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 및 배판부(45)의 긴 구멍(46)의 양쪽을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긴 구멍(46)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즉 레일 부재(48)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부는,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다수의 걸림 돌기(4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 돌기(49)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일정한 피치로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수의 걸림 돌기(49)에 의해 이루어지는 요철부가, 슬라이딩 부재(60)에 설치된 제2 걸어맞춤편(72)과 걸어맞춰져서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을 규제할 수 있는 제2 걸어맞춤부(5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판부(45)는, 확대된 머리부를 가지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빠짐 방지편(47)을 갖고 있다. 빠짐 방지편(47)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부재(60)의 유도 긴 구멍(62b)과 걸어맞춰져서, 슬라이딩 부재(60)가 배판부(45)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슬라이딩 부재(60)의 유도 긴 구멍(62b)은,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유도 긴 구멍(62b)의 폭은 빠짐 방지편(47)의 머리부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배판부(45)의 빠짐 방지편(47)이 슬라이딩 부재(60)의 유도 긴 구멍(62b)을 통과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60)의 시트부(40)에 대한 폭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빠짐 방지편(47)의 머리부가 슬라이딩 부재(60)의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60)가 시트부(40)로부터 전방으로 이간하는 것이 규제된다. 즉, 빠짐 방지편(47)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의 시트부(40)에 대한 상대 이동을, 의도된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슬라이딩만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60)의 유도 긴 구멍(62b)의 상방 단부에는, 유도 긴 구멍(62b)보다 폭이 넓은 선단 구멍(62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60)가 배판부(45)에 대해서 가장 하방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도, 빠짐 방지편(47)은 유도 긴 구멍(62b)과 걸어맞출 수 있지만, 그 한편으로, 빠짐 방지편(47)은 선단 구멍(62c)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0)의 조립 제조 시에는, 빠짐 방지편(47)을 배판부(45)에 고정하기 전에 슬라이딩 부재(60)를 시트부(40)에 대해서 부착하고, 그 후에, 폭이 넓은 선단 구멍(62c)를 통해서 유도 긴 구멍(62b)과 걸어맞추도록 빠짐 방지편(47)을 배판부(45)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린이용 벨트(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 설명하는 차일드 시트(10)는,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7)에 의해 차량의 좌석(5) 위에 고정됨과 함께, 전용의 어린이용 벨트(30)에 의해 착좌한 어린이의 신체가 차일드 시트(10)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린이용 벨트(30)는 시트부(40)에 부착되어 있다. 어린이용 벨트(30)는, 예를 들면 가랑이 벨트 및 어깨 벨트를 갖는 3점식 벨트로서, 혹은 가랑이 벨트, 허리 벨트 및 어깨 벨트를 갖는 5점식 벨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5점식 벨트로서 구성된 어린이용 벨트(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린이용 벨트(30)는, 가랑이 벨트로서 기능하는 제1 벨트(31)와, 허리 벨트(32b) 및 어깨 벨트(32c)로서 기능하는 제2 벨트(32)를 갖고 있다. 제1 벨트(31)는, 좌석부의 대략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1 버클(31a)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2 벨트(32)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벨트(32)의 일단은 좌석부에 고정되어 있다. 혹은, 도 8에 나타낸 제2 벨트(32)가 좌판부(41)의 내부 또는 뒷면 측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각 제2 벨트(32)는 제2 버클(32a)을 삽입 통과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버클(32a)에 의해 꺾임으로써, 허리 벨트(32b) 및 어깨 벨트(32c)가 구획된다.
도 1∼도 3,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벨트(32)의 어깨 벨트(32c) 측의 단부는,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 및 배판부(45)의 긴 구멍(46)을 통과해서, 벨트 길이 조절 기구(28)에 접속되어 있다. 벨트 길이 조절 기구(28)는, 도 3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깨 벨트(32c)가 부착된 연결 금속구(金屬具)(28a)와, 연결 금속구(28a)에 접속된 조절 벨트(28b)와, 좌판부(41)의 전방 부분에 설치된 조절 벨트 척(28c)을 갖고 있다. 조절 벨트 척(28c)은, 개방 가능하게 조절 벨트 척(28c)을 파지한다. 조절 벨트 척(28c)에 의해 조절 벨트(28b)의 파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2 벨트(32)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허리 벨트(32b) 및 어깨 벨트(32c)의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어린이용 벨트(30)에서는, 벨트 길이 조절 기구(28)를 사용해서 허리 벨트(32b) 및 어깨 벨트(32c)의 길이를 조절한 뒤에, 제2 버클(32a)을 제1 버클(31a)에 의해 거는 것에 의해,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를 차일드 시트(1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슬라이딩 부재(60)는, 시트부(40)에 전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본체 플레이트(61)와, 본체 플레이트(61)에 부착된 고정 부재(73) 및 요동 부재(75)를 갖고 있다. 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60)는, 어린이용 벨트(30)의 어깨 벨트(32c)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헤드 레스트용 커버재(12)를 씌워서 헤드 레스트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본체 플레이트(61)와 시트부(40)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61)는,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등받이부(61a)와, 등받이부(61a)의 양 측방에 배치되어 시트부(40)의 측판부(43)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61b)를 갖고 있다.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에는, 상술한 관통 구멍(66), 유도 긴 구멍(62b) 및 선단 구멍(62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통 구멍(66)은 폭 방향으로 이간한 위치에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의 상단 근방에는, 조작 부재(80)를 노출시키는 노출 구멍(6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용 커버재(12)는 이 노출 구멍(62a)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의 하방 영역에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의 안내 볼록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 볼록부(63)는 등받이부(61a)의 폭 방향 양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 볼록부(63)는 본체 플레이트(61)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즉 시트부(40)의 배판부(45) 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볼록부(63)는,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레일 부재(48)에 대하여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접촉하여, 레일 부재(48)가 고정되는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도 9∼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의 배판부(45)에 대면하는 측의 면에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의 요동 부재(75)가 부착되어 있다. 각 요동 부재(75)는, 등받이부(61a)에 나사 등의 부착 부재(75c)를 사용해서 고정된 고정부(75a)와, 고정부(75a)로부터 연장 돌출된 요동부(75b)를 갖고 있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요동 부재(75)는 레일 부재(48)에 폭 방향 안쪽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요동부(75b)는 본체 플레이트(61)에 고정된 고정부(75a)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요동부(75b)는,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해서 레일 부재(48)와 접촉하는 위치와,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해서 레일 부재(48)로부터 이간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요동부(75b)의 요동은 고정부(75a)에 대한 탄성 변형으로서 실현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동부(75b)는,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을 경우에, 도 9에 나타낸 폭 방향 안쪽의 위치에 배치되며,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레일 부재(48)에 접촉해서 걸어맞춰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부(75b)는,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기(76a)와, 폭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반대측 돌기(76b)를 갖고 있다. 걸어맞춤 돌기(76a) 및 반대측 돌기(76b)는, 각각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간해서 2개 설치되어 있다. 이 중 반대측 돌기(76b)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조작 부재(80)와 걸어맞춰진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76a)는, 레일 부재(48)의 오목부(48b)와 걸어맞춰져서, 오목부(48b) 내에 들어갈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요동부(75b)가 고정부(75a)에 대하여 탄성 변형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레일 부재(48)의 오목부(48b) 내에 들어가서, 슬라이딩 부재(60)와, 레일 부재(48)가 고정된 배판부(45)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부재(75)의 걸어맞춤 돌기(76a)는, 다수의 오목부(48b)로 이루어지는 제1 걸어맞춤부(51)와 걸어맞춰져서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을 규제할 수 있는 제1 걸어맞춤편(71)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이 걸어맞춰지는 방향이, 규제해야 할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을 안정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요동 부재(75)의 고정부(75a)는, 레일 부재(48)의 플렌지부(48c)에 덮어 씌워지며, 또한 플렌지부(48c)에 폭 방향 안쪽으로부터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배판부(45)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48)는, 요동 부재(75)의 고정부(75a)와 상술한 안내 볼록부(63)에 의하여 슬라이딩 부재(60)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소정의 슬라이딩 방향만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의 배판부(45)에 대면하는 측의 면에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의 고정 부재(73)도 부착되어 있다. 요동 부재(75)의 고정부(75a)와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73)도, 레일 부재(48)의 플렌지부(48c)에 덮어 씌워지며, 또한 플렌지부(48c)에 폭 방향 안쪽으로부터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배판부(45)에 고정되는 레일 부재(48)는, 안내 볼록부(63) 및 요동 부재(75)의 고정부(75a)뿐만 아닌, 고정 부재(73)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에 더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소정의 슬라이딩 방향만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간한 두개의 부재(73, 75)와,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볼록부(63)에 의해서, 레일 부재(48)의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한 후방으로의 상대 이동 및 레일 부재(48)의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한 폭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매우 안정되게 규제되며, 또한 레일 부재(48)의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한 슬라이딩이 매우 원활해진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에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의 돌출 지지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 지지부(64)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66)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도 1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긴 구멍(46)을 관통해서 배판부(45)의 후방까지 본체 플레이트(6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 지지부(64)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핀(59) 및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핀(65)이 지지되어 있다. 이 중, 고정 핀(59)은 고정구(55)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고정구(55)는, 돌출 지지부(64)의 지지 개구(64a)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일정한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한편, 걸어맞춤 핀(65)은, 상술한 걸림 돌기(49)에 의해 구성된 제2 걸어맞춤부(52)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 지지부(64)는, 제2 걸어맞춤부(52)를 향해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유도 지지 개구(64b)를 갖고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돌기(49)는, 이 유도 지지 개구(64b) 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2 걸어맞춤부(52)에 접근하는 것 및 제2 걸어맞춤부(52)로부터 이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 핀(65)의 굵기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걸림 돌기(49)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굵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조작 부재(80)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걸어맞춤 핀(65)이 배판부(45)에 접근하면, 걸어맞춤 핀(65)이 2개의 걸림 돌기(49) 사이로 들어가서, 슬라이딩 부재(60)와, 걸림 돌기(49)가 형성된 배판부(45)의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60)에 지지된 걸어맞춤 핀(65)은, 다수의 걸림 돌기(49)로 이루어지는 제2 걸어맞춤부(52)와 걸어맞춰져서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을 규제할 수 있는 제2 걸어맞춤편(72)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이 걸어맞춰지는 방향이, 규제해야 할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을 안정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차일드 시트(10)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뿐만 아니라,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의 걸어맞춤도 해제해야만 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슬라이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구(55)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60)는 시트부(40)의 배판부(4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55)는 시트부(40)의 배판부(4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구(55)는 배판부(45)의 긴 구멍(46)을 통해서 슬라이딩 부재(60)와 접속되며, 슬라이딩 부재(60)와의 사이에서 배판부(45)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 고정구(55)는 슬라이딩 부재(60)와 함께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 대해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55)는, 슬라이딩 부재(6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66)의 양쪽에 대면하고, 또한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46)의 양쪽에 대면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구(55)에는,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에 대면하는 위치에, 어린이용 벨트(30)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56)은 한 쌍의 관통 구멍(66)에 대응하여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60)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린이용 벨트(30)의 어깨 벨트(32c)가,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 시트부(40)의 배판부(45)의 긴 구멍(46) 및 고정구(55)의 관통 구멍(56)을 통과해서 연장되게 되어 있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구(55)는, 케이싱(55a)과, 케이싱(55a) 및 슬라이딩 부재(60)를 연결하는 연결구(58)와, 상술한 고정 핀(59)을 갖고 있다. 연결구(58)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연결구(58)는, 대응하는 측의 긴 구멍(46)을 통과해서 케이싱(55a)과 슬라이딩 부재(60)의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 사이를 연장되고 있다. 즉, 케이싱(55a)은, 한 쌍의 긴 구멍(46)의 양쪽에 대면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긴 구멍(46)의 양쪽을 통해서 슬라이딩 부재(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설명한 고정 핀(59)도, 케이싱(55a)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긴 구멍(46)의 양쪽에 대면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긴 구멍(46)의 양쪽을 통해서 슬라이딩 부재(6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핀(59)은 케이싱(55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부가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구(55)의 케이싱(55a) 및 고정 핀(59)이, 한 쌍의 관통 구멍(56)의 폭 방향 바깥쪽까지 더 연장되어 있다.
즉,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하는 어린이에 접촉하지 않는 배판부(45)의 후방에 배치된 고정구(55)(케이싱(55a) 및 고정 핀(59))를 사용해서, 배판부(45)에 대해서 슬라이딩 부재(6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매우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케이싱(55a) 및 고정 핀(59)을 포함하는 고정구(55)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양 방향으로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변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의도한 슬라이딩을 매우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작 부재(80)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60)에 설치된 복수의 유지구(78)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면하는 측의 면 위에 지지되어 있다. 조작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80)의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은,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80)와 슬라이딩 부재(60) 사이에는, 가압 부재(79)(일례로서 도시하는 예에서는, 인장 스프링)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 부재(80)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60)의 본체 플레이트(61)에 형성된 노출 구멍(62a)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조작부(80a)와, 한 쌍의 요동 부재(75)의 요동부(75b)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된 조작 베이스(85)와,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른 조작부(80a)와 조작 베이스(85) 사이를 연장되는 연락부(80b)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부(80b)는,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한 쌍의 긴 구멍(46)의 사이가 되는 폭 방향 위치, 환언하면 걸림 돌기(49)로 이루어지는 제2 걸어맞춤부(52)에 대면하는 위치를 연장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 부재(80)는, 조작 베이스(85)가 슬라이딩 부재(60)의 고정 부재(73)에 맞닿는 위치까지, 가압 부재(79)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80)의 조작부(80a)는, 슬라이딩 부재(60)의 노출 구멍(62a)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파지부(81)를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파지부(81)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홈이나 융기부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80)에는, 슬라이딩 부재(60)의 유도 긴 구멍(62b) 및 선단 구멍(62c)에 대면하는 위치에, 노출 긴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노출 긴 구멍(82)에 의해, 유도 긴 구멍(62b) 및 선단 구멍(62c)이 배판부(45)에 대하여 노출되며, 상술한 빠짐 방지편(47)과 유도 긴 구멍(62b)의 걸어맞춤이 가능해진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베이스(85)의 폭 방향 외연(外緣)에는, 각각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조작 돌기(85a)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베이스(85)의 하나의 폭 방향 외연에,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이간하여 배치된 2개의 조작 돌기(85a)가 설치되어 있다.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방향측에 배치된 2개의 조작 돌기(85a)는, 대응하는 측의 요동 부재(75)의 요동부(75b)에 설치된 2개의 반대측 돌기(76b)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조작 부재(80)를 사용하여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 및 당해 걸어맞춤의 해제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80)에 외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 부재(79)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베이스(85)가 시트부(40)의 고정 부재(73)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때, 조작 베이스(85)의 조작 돌기(85a)는 요동부(75b)의 반대측 돌기(76b)와 걸어맞춰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요동부(75b)는 고정부(75a)에 대하여 탄성 변형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요동부(75b)의 걸어맞춤 돌기(76a)가 레일 부재(48)의 오목부(48b) 내에 들어간다. 이렇게 해서, 한 쌍의 요동부(75b)가 각각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해서, 제1 걸어맞춤편(71)을 이루는 걸어맞춤 돌기(76a)와 제1 걸어맞춤부(51)를 이루는 오목부(48b)가 걸어맞춰져서, 슬라이딩 부재(60)의 시트부(40)에 대한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이때, 한 쌍의 요동부(75b)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 베이스(85)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6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요동부(75b)가 폭 방향 안쪽으로 요동해서, 제1 걸어맞춤편(71)을 이루는 걸어맞춤 돌기(76a)와 제1 걸어맞춤부(51)를 이루는 오목부(48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79)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른 상방을 향하여, 조작 부재(80)를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키면, 조작 돌기(85a)도,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돌기(85a)가 요동부(75b)의 반대측 돌기(76b)에 폭 방향 안쪽으로부터 대면하지 않는 위치로 어긋난다. 이에 따라, 요동부(75b)가 탄성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도록 고정부(75a)에 대해서 폭 방향 안쪽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요동부(75b)의 걸어맞춤 돌기(76a)가 레일 부재(48)의 오목부(48b) 내에서 빠져나온다. 이렇게 해서, 제1 걸어맞춤편(71)을 이루는 걸어맞춤 돌기(76a)와 제1 걸어맞춤부(51)를 이루는 오목부(48b)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80)의 연락부(80b)에는, 시트부(40)의 배판부(45)를 향해서 돌출된 기립판(87)이,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판(87)에는 걸어맞춤 핀(65)과 걸어맞춤 가능한 조작 구멍(88)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핀(65)은, 배판부(45)에 형성된 제2 걸어맞춤부(52)를 향해서 접리(接離) 가능하게 되도록 돌출 지지부(6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판(87)의 조작 구멍(88)은 걸어맞춤 핀(65)에 의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 기립판(87)은,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 구멍(88a)과,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의 직선 구멍(88a)의 하방에 설치된 경사 구멍(88b)을 갖고 있다. 경사 구멍(88b)은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사 구멍(88b)은, 슬라이딩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할수록, 배판부(45)로부터 이간해서 슬라이딩 부재(60)에 접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조작 부재(80)를 사용하여 제2 걸어맞춤부(52)(걸림 돌기(49))와 제2 걸어맞춤편(72)(걸어맞춤 핀(65))의 걸어맞춤 및 당해 걸어맞춤의 해제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압 부재(79)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베이스(85)가 시트부(40)의 고정 부재(73)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구멍(88)의 직선 구멍(88a)이 돌출 지지부(64)의 유도 지지 개구(64b)와 교차한다. 직선 구멍(88a)은 슬라이딩 부재(60)로부터 이간해서 배판부(45)에 접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핀(65)은 인접하는 2개의 걸림 돌기(49)의 사이에 들어가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2 걸어맞춤편(72)을 이루는 걸어맞춤 핀(65)과 제2 걸어맞춤부(52)를 이루는 걸림 돌기(49)가 걸어맞춰져서, 슬라이딩 부재(60)의 시트부(40)에 대한 슬라이딩이 규제된다.
또, 걸어맞춤 핀(65)을 전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조작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60)는 고정구(55)에 의해 배판부(45)로부터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슬라이딩 부재(60)에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걸어맞춤 핀(65)이 2개의 걸림 돌기(49) 사이로부터 빠져나가서, 제1 걸어맞춤편(71)을 이루는 걸어맞춤 돌기(76a)와 제1 걸어맞춤부(51)를 이루는 오목부(48b)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걸림 돌기(49)가 약간 상방을 향해서 시트부(4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10)의 실제 사용에 있어서, 시트부(40)의 배판부(45)는, 상단이 후방으로 어긋나도록 수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도, 걸어맞춤 핀(65)이 2개의 걸림 돌기(49) 사이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져나가 버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른 상방으로 조작 부재(80)를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구멍(88)의 경사 구멍(88b)이 돌출 지지부(64)의 유도 지지 개구(64b)와 교차하게 된다. 직선 구멍(88a)은, 하방을 향할수록 점차 슬라이딩 부재(60)에 접근해서 배판부(45)로부터 이간해 간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핀(65)은, 시트부(40)의 배판부(45)로부터 점차 이간해 가고, 인접하는 2개의 걸림 돌기(49)의 사이로부터 빠져나간다. 이렇게 해서, 제2 걸어맞춤편(72)을 이루는 걸어맞춤 핀(65)과 제2 걸어맞춤부(52)를 이루는 다수의 걸림 돌기(49)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을 경우, 가압 부재(79)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부재(80)가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슬라이딩하여, 제1 걸어맞춤부(51) 및 제1 걸어맞춤편(71)이 걸어맞춰짐과 함께 제2 걸어맞춤부(52) 및 제2 걸어맞춤편(72)이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의도치 않게, 슬라이딩 부재(60)가 시트부(40)에 대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압 부재(79)로부터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른 상방을 향하여 조작 부재(80)를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면, 제1 걸어맞춤부(51)와 제1 걸어맞춤편(71)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함께,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60)를 시트부(40)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80)의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한 조작 방향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80)를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조작하는 힘에 의해, 그대로 슬라이딩 부재(60)를 배판부(45)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80)를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조작하는 방향이, 슬라이딩 부재(60)를 배판부(45)에 대해서 끌어올리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부재(80)를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키는 힘에 의해, 그대로 중력에 반하여 슬라이딩 부재(60)를 끌어올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60)의 끌어올림을 매우 용이하고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부가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 구멍(62a)은 본체 플레이트(61)의 상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자가, 본체 플레이트(61)의 등받이부(61a)의 상단과 노출 구멍(62a) 사이의 부분을, 조작 부재(80)의 파지부(81)와 함께 움켜쥐는 것에 의해, 조작 부재(80)가 조작되어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즉, 슬라이딩 부재(60)의 오르내림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 대하여 슬라이딩 부재(60)를 슬라이딩시켜서, 슬라이딩 부재(60)의 높이 방향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 부재(60)에 어린이용 벨트(30)의 어깨 벨트(32c)를 지지하는 관통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60)를 시트부(4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하는 어린이의 체형에 따라서, 어깨 벨트(32c)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차일드 시트, 즉 등받이부의 상이한 높이 방향 위치에 형성된 3∼4개의 관통 구멍 중에서 어깨 벨트가 통과해야 할 관통 구멍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어깨 벨트의 지지 위치 조절을 행하고 있던 종래의 차일드 시트와 비교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길이 조절 기구(28)의 연결 금속구(28a)로부터 어깨 벨트(32c)를 일단 제거할 필요도 없어, 작업 부담을 비약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차일드 시트의 강성을 고려해서 다수의 관통 구멍을 등받이부에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어깨 벨트의 높이 방향 위치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걸어맞춤부(51)를 이루는 오목부(48b)의 배열 피치 및, 제2 걸어맞춤부(52)를 이루는 걸림 돌기(49)의 배열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어린이용 벨트(30)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 위치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60)는, 시트부(40)의 배판부(45)에 전방측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0)에 착좌한 어린이로부터의 체중을 전방으로부터 받게 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60)를, 당해 슬라이딩 부재(60)의 후방에 배치된 배판부(45)에 의해 매우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60)가 배판부(45)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 가능 범위를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길게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긴 범위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슬라이딩 부재(60)가 배판부(45)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60)가 배판부(45)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배판부(45)의 후방에 배치된 고정구(55)를 사용해서, 배판부(45)에 대하여 슬라이딩 부재(6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부재(60)의 배판부(45)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이동(변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 배판부(45)의 긴 구멍(46) 및 고정구(55)의 관통 구멍(56) 모두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슬라이딩 부재(60)의 관통 구멍(66), 배판부(45)의 긴 구멍(46) 및 고정구(55)의 관통 구멍(56)의 적어도 하나가, 한 쌍의 어린이용 벨트(30)의 양쪽이 통과하는 하나의 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걸어맞춤부(51), 제2 걸어맞춤부(52), 제1 걸어맞춤편(71) 및 제2 걸어맞춤편(7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설명한 구성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걸어맞춤편(71)을 이루는 요동 부재(75)의 요동부(75b)가 고정부(75a)에 대하여 탄성 변형해서 요동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동부(75b)가 요동 축을 통해서 고정부(75a)에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걸어맞춤부(51) 및 제2 걸어맞춤부(52)의 양쪽이 시트부(40)에 설치되고, 제1 걸어맞춤부(51)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편(71) 및 제2 걸어맞춤부(52)와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편(72)의 양쪽이 슬라이딩 부재(60)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제1 걸어맞춤부(51) 및 제2 걸어맞춤부(52)의 적어도 한쪽이 슬라이딩 부재(60)에 설치되고, 이것에 대응해서, 제1 걸어맞춤편(71) 및 제2 걸어맞춤편(72)의 적어도 한쪽이 시트부(40)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1 걸어맞춤부(51) 및 제1 걸어맞춤편(71)과,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걸어맞춤부(52)와 제2 걸어맞춤편(72)이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1 걸어맞춤부(51) 및 제1 걸어맞춤편(71)과, 제2 걸어맞춤부(52) 및 제2 걸어맞춤편(72)의 어느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 본체(15)가, 베이스(16)와, 베이스(16)에 고정된 시트부(40)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트부(40)가 베이스(16)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시트부(40)가 베이스(16)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시트부(40)가 리클라이닝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시트부(40)가 베이스(16)에 대하여 회동해서 시트부(40)의 방향이 변경되게 해도 된다.

Claims (12)

  1. 좌판부(座板部) 및 배판부(背板部)를 포함하는 시트부를 가진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배판부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배판부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에 부착된 어린이용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어린이용 벨트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판부의 상기 관통 구멍에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한 상기 어린이용 벨트가 통과 가능한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제1 걸어맞춤부로서, 각각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 또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됨과 함께,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제1 걸어맞춤편으로서, 서로로부터 이간 및 서로 접근하는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제1 걸어맞춤편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쪽을 향해서 접근하는 것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시트부 중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이 가능하게 지지된 제2 걸어맞춤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편과 상기 제1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함께, 상기 제2 걸어맞춤편과 상기 제2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지는 차일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긴 구멍의 적어도 한쪽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배판부를 끼우도록 해서, 상기 배판부의 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접속된 고정구(固定具)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함께 상기 배판부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차일드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한 쌍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긴 구멍의 양쪽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배판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걸어맞춤편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걸어맞춤편이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서 서로로부터 이간하도록 동작함으로써, 각 제1 걸어맞춤편에 폭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지는 차일드 시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상기 배판부에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배판부의 상기 한 쌍의 긴 구멍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배판부에 대한 슬라이딩이 가능해지는 차일드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배판부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로부터 노출되는 파지부를 갖는 차일드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장착되는 시트용 커버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용 커버재의 상기 배판부에 전방으로부터 대면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개구를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는 차일드 시트.
KR1020120149200A 2012-01-06 2012-12-20 차일드 시트 KR101997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1461A JP5840502B2 (ja) 2012-01-06 2012-01-06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12-001461 2012-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99A KR20130081199A (ko) 2013-07-16
KR101997547B1 true KR101997547B1 (ko) 2019-07-09

Family

ID=4762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200A KR101997547B1 (ko) 2012-01-06 2012-12-20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2470B2 (ko)
EP (1) EP2612792B1 (ko)
JP (1) JP5840502B2 (ko)
KR (1) KR101997547B1 (ko)
CN (1) CN103192747B (ko)
TW (1) TWI5686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2593B2 (en) * 2012-07-03 2015-10-20 Kids Ii, Inc. Infant carrier and car safety seat with no-rethread harness adjustment
US9233628B2 (en) * 2013-07-30 2016-01-12 Recaro Child Safety Llc Child seat with harness strap pad
CN105473378B (zh) * 2013-08-23 2018-03-23 康贝株式会社 儿童座椅
JP2017512154A (ja) 2014-03-11 2017-05-18 フォン、チートー デイビッドFENG, Zhide David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JP6366974B2 (ja) * 2014-03-27 2018-08-01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6352018B2 (ja) * 2014-03-27 2018-07-04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CN105416114B (zh) * 2014-09-16 2018-03-1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肩带高度调整机构
WO2016105269A1 (en) * 2014-12-22 2016-06-30 Garatea Emma Inflatable protection for a child seat
CN104859497B (zh) * 2015-05-22 2018-01-0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具有安全带装置的儿童用品
TWI564189B (zh) 2015-08-11 2017-01-01 國立清華大學 車用安全座椅
TWI551482B (zh) 2015-08-11 2016-10-01 國立清華大學 車用安全座椅
JP6676320B2 (ja) * 2015-09-28 2020-04-08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CN113859067A (zh) * 2016-03-08 2021-12-3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US10967762B2 (en) 2016-08-22 2021-04-06 Kioma, LLC Child safety seat
CN109843642A (zh) * 2016-08-22 2019-06-04 基奥马有限责任公司 儿童安全座椅
US10369906B2 (en) * 2016-08-22 2019-08-06 Kioma, LLC Child safety seat
US10829012B1 (en) 2017-01-23 2020-11-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US10710478B2 (en) 2017-01-23 2020-07-1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WO2018148569A1 (en) * 2017-02-09 2018-08-16 Dorel Juvenile Group, Inc. Juvenile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headrest
US10315539B2 (en) 2017-05-09 2019-06-11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 restraint with vehicle seatbelt management system
EP3590757B1 (en) * 2017-09-06 2021-04-21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Child safety seat with headres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WO2019067588A1 (en) * 2017-09-26 2019-04-04 Dorel Juvenile Group, Inc. ADJUSTABLE HEADREST FOR CHILDREN'S VEHICLE SEAT
US10843605B2 (en) * 2018-05-10 2020-11-24 Dorel Juvenile Group, Inc. Headrest-height adjuster for juvenile seat
CN116101358A (zh) * 2019-01-28 2023-05-12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带座位的育儿器具
CN210047367U (zh) * 2019-06-21 2020-02-11 符锡炯 一种儿童安全座椅的头枕高度调节结构
RU195147U1 (ru) * 2019-09-02 2020-01-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пт-Юнион" Детское автомобильное кресло
CN116238398A (zh) * 2019-09-03 2023-06-09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座椅装置
KR20220059529A (ko) * 2019-09-12 2022-05-10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회전 시트를 갖는 아동 보호 장치
GB2594694B (en) * 2020-03-16 2022-06-01 Trafold Ltd Child car seat
JP7279944B2 (ja) * 2020-08-07 2023-05-23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チャイルドシート
CN115107600A (zh) * 2021-03-23 2022-09-27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侧翼调整机构及可调整式乘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885A (ja) * 2007-09-11 2010-12-16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自動車シート用子供保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468Y2 (ja) * 1992-11-20 1998-06-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子供用シート
US6155638A (en) * 1998-07-28 2000-12-05 Fisher-Price, Inc. Child restraint seat having amplified motion harness adjuster
US6491348B1 (en) * 2000-07-31 2002-12-10 Cosco Management, Inc.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JP2002062201A (ja) 2000-08-24 2002-02-28 Kayaba Ind Co Ltd トルクセンサ
US6626493B2 (en) * 2000-09-22 2003-09-30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carrier with juvenile-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6623074B2 (en) * 2001-04-05 2003-09-23 Mattel, Inc. Vehicle seat
JP2002362201A (ja) 2001-06-08 2002-12-18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US6834915B2 (en) * 2002-03-04 2004-12-28 Baby Trend, Inc. Infant car seat system
US6908151B2 (en) * 2003-03-07 2005-06-21 Meeker R&D, Inc. Adjustable and foldable booster car seat
JP2007143835A (ja) 2005-11-28 2007-06-14 Recaro Kk チャイルドシート
GB0710548D0 (en) * 2006-06-30 2007-07-11 Meeker R & D Inc Juvenile convertible car seat
EP2036766A1 (en) * 2007-09-13 2009-03-18 Team-Tex Child seat
CN201304957Y (zh) * 2008-08-18 2009-09-09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安全带调整装置
CN102085819B (zh) * 2009-12-07 2015-11-25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汽车椅以及该儿童汽车椅的头靠与肩带垫的组合
GB2506517B (en) * 2011-06-07 2014-09-03 Bp Childrens Prod Hk Co Ltd Child Safety Se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8885A (ja) * 2007-09-11 2010-12-16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自動車シート用子供保護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99A (ko) 2013-07-16
US20130175835A1 (en) 2013-07-11
EP2612792A1 (en) 2013-07-10
US9022470B2 (en) 2015-05-05
EP2612792B1 (en) 2016-12-14
JP5840502B2 (ja) 2016-01-06
CN103192747B (zh) 2016-12-28
TW201341226A (zh) 2013-10-16
JP2013141834A (ja) 2013-07-22
TWI568612B (zh) 2017-02-01
CN103192747A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547B1 (ko) 차일드 시트
US8979198B2 (en) Child safety seat
JP201000637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897554B1 (ko) 어린이용 시트
US8579369B2 (en) Truss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JP5393617B2 (ja) 子供用安全シート組立体およびその操作方法
KR19990067854A (ko) 유아용 시트
CN110893802B (zh) 儿童限制系统及其儿童限制载具
EP0931691A1 (en) Child seat
US6702379B2 (en) Movable seat protector for vehicle seat
KR20120010103A (ko) 아동 시트용 벨트 고정구 및 이것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아동 시트
TWI654102B (zh) Child seat
KR19990068041A (ko) 유아용 시트
JP6770794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
JP2004195022A (ja) 椅子
CN104661881B (zh) 用于安全带的锁扣装置
US11413992B2 (en) Child safely seat
KR1021180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웨빙가이드
TWI654103B (zh) Child seat
JP7366400B2 (ja) 子供用座席および子供用座席付き自転車
KR102316916B1 (ko) 보조벨트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JPH07124040A (ja) 幼児用椅子
CN116238401A (zh) 轮椅固定机构
JP2021154773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