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854A - 유아용 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854A
KR19990067854A KR1019990000544A KR19990000544A KR19990067854A KR 19990067854 A KR19990067854 A KR 19990067854A KR 1019990000544 A KR1019990000544 A KR 1019990000544A KR 19990000544 A KR19990000544 A KR 19990000544A KR 19990067854 A KR19990067854 A KR 1999006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plate
shoulder belt
infa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까가와오사무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9006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8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시트플레이트의 높이 조정에 따라서 어깨벨트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유아용 시트를 제공한다.
시트백(12)이 부착된 시트보디(16)에 대해서 전방시트플레이트(22)및 후방 시트플레이트(24)로 이루어진 시트플레이트(20)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시트플레이트(20)는 전방링크(38)및 후방링크(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시트플레이트(20)를 상하 이동시키면 연동부재(120)가 상하이동하고, 그 연동부재(120)의 긴구멍(122),(124)에 걸어 맞춘 어깨벨트가이드부재(130),(140)가 접근 분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어깨벨트(92)사이의 거리가 조정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시트 {CHILD SEAT}
본발명은 아이들을 태우기 위한 유아용 시트에 관하며, 특히 차량의 좌석에 설치된 유아용 시트에 관한다.
상세하게는 시트플레이트가 승강 가능하고, 이 시트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서 어깨벨트의 거리가 조정되는 유아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아이들을 태우기 위한 차량용 유아용 시트에 있어서, 아이들의 체격등에 맞추어서 시트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6-35774호 공보, 실개평4-35931호 공보, 특개평9-39627호공보)
일본국 특개소 64-28051호공보에는 시트백의 상부 뒷면에 역(逆)T자 형상의 지지체를 설치하고, 볼트로 그 지지체를 상하이동시키고, 그 지지체의 좌단 및 우단에 걸어맞춘 1쌍의 슬라이드부재를 시트백(seat back)의 경사슬롯(slots)을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한 어깨벨트사이의 거리조정을 가능하게 한 유아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64-28051호 공보의 유아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플레이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작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시야가 좁게 되고, 승차 중 쾌적함이 저하한다.
일본국 실공평6-35774호 공보는 시트플레이트를 승강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어깨벨트 사이의 거리조정기구가 없기 때문에, 어린이의 경우에는 어깨벨트의 접촉위치가 불쾌한 감이 있었다.
본발명은 시트플레이트를 승강 가능하게 하는 한편, 이 시트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서, 어깨벨트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는 유아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유아용시트는 시트백과, 그 시트백을 따라서 상하이동가능한 시트플레이트와 그 시트백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2개의 어깨벨트와 그 어깨벨트(10)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수단을 보유하는 유아용 시트에 있어서, 그 거리조정수단은 상기한 시트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서,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유아용 시트에 있어서, 유아(幼兒)의 체격에 따라서 시트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정하면, 그것에 따라서 어깨벨트사이의 거리도 조정된다.
즉, 체격이 작은 유아를 위한 시트플레이트를 상승시키면 어깨벨트사이의 거리가 작아지게 되고, 체격이 큰 유아를 위한 시트플레이틀 하강시키면 어깨벨트사이의 거리가 크게된다.
본발명은 이 어깨벨트의 거리조정을 시트플레이트와 연동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시트백에 시트백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1쌍의 어깨벨트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한 어깨벨트는 그 어깨벨트가이드부재에 걸어맞추어져 있고, 그 어깨벨트가이드부재를 상기한 시트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서 접근, 분리시키는 연동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연동부재는 그 시트플레이트의 승강에 따라서 상기한 시트백의 뒷면을 따라서 승강하게 되고, 그 연동부재의 승강방향 이동을 상기한 어깨벨트가이드부재의 접근, 분리방향의 이동으로 교환하여 그 어깨벨트가이드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발명의 시트플레이트는 전방시트플레이트와 후방시트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그 전방시트플레이트의 후부와 그 후방시트플레이트의 전부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겹쳐있고, 그 후방 시트플레이트의 후단부는 시트백에 대해서 상하방향 슬라이드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시트플레이트가 승강하여 전방시트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해도, 시트플레이트와 시트백과의 사이 거리가 넓어지지 않는다. 또한 시트플레이트와 연동부재가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아용 시트의 사시도,
도2는 유아용 시트의 종단면도,
도3은 시트플레이트를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 유아용 시트의 단면도,
도4는 시트플레이트및 슬라이드프레임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5는 도3의 V-V선의 단면도,
도6a는 도1의 VI-VI선의 단면도
도6b는 도6a의 VIB-VIB선의 단면도
도7a는 어깨벨트의 거리조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7b는 연동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7c는 도7b의 VIIC-VIIC선의 단면도
-부호의 간단한 설명-
시트백 --------------------------------- (12)
시트보디 ------------------------------- (16)
시트플레이트 --------------------------- (20)
전방링크 ------------------------------- (38)
유아용 시트 ---------------------------- (10)
이하 도1∼도7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유아용 시트(10)는 시트사이드(seat sides)를 보유한 시트보디(16)와 그 시트보디(16)에 부착된 시트백(12)과 그 시트보디(16)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된 시트플레이트(20)와 그 시트보디(16)를 지지하는 베이스(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플레이트(20)는 전방시트플레이트(22)와 후방시트플레이트(24)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그 후방시트플레이트(24)의 앞쪽 가장자리는 전방시트플레이트(22)의 뒤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겹쳐서 맞추어져 있다.
도6a,6b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듯이, 그 전방시트플레이트(22)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하는 전후가이드슬릿(26)이 설치되고, 후방시트플레이트(24)에 설치된 돌기(28)가 전후 가이드슬릿(26)에 연결되고, 이로 인하여 전방시트플레이트(22)가 후방시트플레이트(24)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6a와 같이, 시트백(12)의 하단은 상방으로 상하 가이드슬릿(30)이 돌출되어 있고, 후방시트플레이트(24)의 후단부(24a)가 상하가이드슬릿(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때문에 후방시트플레이트(24)는 시트백(12)에 항상 접속된 상태로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4및 도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방시트플레이트(22)의 하면은 전후2개소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링크접속부(34),(36)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링크접속부(34),(36)에 각각 전방 링크(38)와 후방 링크(40)의 상단이 각각 지축(42),(44)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링크(38),(40)의 후단측은 베이스(18)에 설치된 링크부착부(46),(48)에 대해서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시트보디(16)를 구성하는 시트사이드(14)에는 각각 다른 높이에 핀의 차입용 구멍으로서 차입구멍(50),(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입구멍(50),(52)에 삽입된 핀(60),(62)가 각각 상기한 링크접속부(34),(36)의 측면에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도4및 도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이 핀(60),(62)의 후단부(60a),(62a)는 슬라이드부재로서 슬라이드프레임(66)에 설치된 유아용시트의 전후방향에 대해서 경사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슬릿(70),(72)에 걸어맞추어 있다.
이 슬라이드프레임(66)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슬릿(74)이 설치되고, 슬라이드와셔(76)를 끼워서 볼트(78)가 이 슬릿(74)을 통하여 링크접속부(34),(36)에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슬라이드프레임(66)이 유아용 시트(1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전방시트플레이트(22)에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프레임(66)의 전방 끝에 설치된 핸들(80)은 전방시트플레이트(22)의 전방 가장자리 중앙에 설치된 노치부(notch)(82)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방시트플레이트(22)의 중앙부 하면은 스프링걸림부재(84)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핸들(80)의 후방부분과 이 걸림부(84)의 사이에 인장코일스프링(86)이 걸쳐지고 슬라이드프레임(66)을 항시 후방측으로(시트백(12)으로 향하는 방향) 힘을 가하고 있다.
핸들(80)을 쥐고 슬라이드프레임(66)을 전방으로 당기면, 핀(60),(62)의 후단부(60a),(62a)가 경사방향의 가이드슬릿(70),(72)에 안내되어 이동하고, 핀(60),(62)이 차입구멍(50),(52)에서 빠진다.
이로 인하여 시트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핸들(80)에서 손을 떼면, 슬라이드프레임(66)이 스프링(86)으로 당겨져 후퇴하고, 핀(60),(62)이 가이드슬릿(70),(72)에 안내되어 돌출하고, 차입구멍(50),(52)에 삽입된다.
도2,도3과 같이, 시트보디(16)의 후판부분은 2중 표피로 되어 있고, 2중 표피부분의 내부에 어깨벨트(92)가 감싸여 있다.
시트보디(16) 상부에 설치된 凸부(110)의 전면 슬롯(112)을 통하여 2개의 어깨벨트(92)가 전방으로 향하여 나와 있다.
이 슬롯(112)은 중앙에서 정상으로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이 어깨벨트(92)에는 텅(tongue)(94)이 장착되어 있고,이 텅(94)은 전방시트플레이트(22)에 설치된 버클(96)에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2및 도3의 부호(96a)는 텅(94)을 버클(96)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버튼(button)을 나타낸다.
또한 어깨벨트(92)의 후단측은 1개의 텐션벨트(98)(tension belt)에 접속되어 있고, 이 텐션벨트(98)는 시트백(12)및 시트플레이트(20)의 하측을 둘러쌓아 텐션벨트록기구(100)를 통하여, 전방으로 당겨져 나온다.
이 텐션벨트록기구(100)는 텐션벨트(98)가 전방으로 당겨질 때에는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하고, 텐션벨트(98)가 후방으로 들어갈 때에는 그것을 저지하는 록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이 록(lock)기능을 해제하기 위하여 록해제벨트(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해제벨트(102)를 당기면 텐션벨트(98)가 도2및 도3의 좌우방향으로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어깨벨트(92)사이의 거리조정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트백(12)의 뒷면을 따라서 상하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동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동부재(120)의 하단에는 레버(126)가 설치되고, 이 레버(126)의 선단이 도2및 도3을 통하여 후링크(後link)(40)에 축핀(128)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트플레이트(20)의 승강에 따라서 연동부재(120)가 승강한다.
도7과 같이 이 연동부재(120)의 상부에는 2개의 긴구멍(122),(124)이 설치되어 있다. 긴구멍(122),(124)는 하부만큼 서로 접근하고, 상부만큼 서로 분리하도록 경사져서 돌출 되어있다.
시트백(12)의 상부가장자리(118)에는 가이드부재(130),(1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고, 그 가이드부재(130),(140)의 핀(132),(142)이 연동부재(120)의 긴구멍(122),(124)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가이드부재(130)(140)에는 시트백(12)의 상부가장자리에 걸어맞춘 아래방향의 가이드홈(150)이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 시트보디(16)의 슬롯(112)의 상부가장자리에 걸어맞추는 상부홈(134),(136),(144),(14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134),(136),(144),(146),(150)에 의해 가이드부재(130),(140)은 시트백(12)의 상부가장자리(118)및 슬롯(112)을 따라서 시트보디(16)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부재(120)의 긴구멍(122),(124)에 가이드부재(130),(140)의 핀(132),(142)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연동부재(120)가 상승하면 가이드부재(130),(140)사이는 접근하고, 연동부재(120)가 하강하면 가이드부재(130),(140)사이는 분리된다.
또한, 시트백(12)의 상부뒷면은 철(凸)부(110) 앞면의 돌출한 받침대(154)에 맞닿고, 시트백(12)의 상부가 나사(156)에 의해 철부(110)에 고정된다. 연동부재(120)는 받침대(154),(154)끼리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트보디(16)및 시트플레이트(20)에는 연질커버가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아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플레이트(20)의 높이를 조절하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프레임(66)의 핸들(80)을 당기고, 핀(60),(62)을 차입구멍(50),(52)에서 빼고, 시트플레이트(20)를 상하 이동시킨다.
핸들(80)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86)에 장력에 의해 슬라이드프레임(66)이 후퇴하고 , 핀(60),(62)이 돌출한다.
그리고, 슬라이드플레이트(20)를 상하로 약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그 높이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차입구멍(50),(52)에 핀(60),(62)의 선단측이 끼워지고, 그 시트플레이트(20)가 소망위치에 정지하여 고정된다.
이 시트플레이트(20)의 상하이동에 따라서 연동부재(120)가 상하이동하고 , 가이드부재(130),(140)가 접근, 분리지고, 어깨벨트(92)사이의 거리가 조정된다.즉, 시트플레이트(20)를 상승시키면 어깨벨트(92)사이가 접근하고, 시트플레이트(20)를 하강시키면 어깨벨트(92)사이는 분리된다.
시트플레이트(20)를 소망높이에 설치한 후, 시트플레이트(20)에 어린이를 태우고, 텅(94)을 버클(96)에 장착한다. 이어서, 텐션벨트(98)를 당기고, 어린이의 신체를 유아용 시트에 확실히 보호시킨다.
이 경우 어깨벨트(92)사이의 거리가 시트플레이트(20)의 높이조절에 따라서 조정되고, 항상 어깨벨트(92),(92)가 어린이 좌우어깨의 중앙부근에 접하게 되고, 어린이가 위화감, 불쾌감이 생기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시트플레이트(24)의 후단이 항상 시트백(12)에 접속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시트플레이트(20)가 상하 이동하고, 전방시트플레이트(22)가 그것에 따라서 전후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도, 시트플레이트(20)와 시트백(12)과의 사이에 큰 거리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후방시트플레이트(24)와 전방시트플레이트(22)가 겹쳐서 있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도 거리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슬라이드프레임(66)이 스프링(86)에서 후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고, 슬라이드프레임(66)을 핸들(80)에 의해 전방으로 당기지 않는 한 핀(60),(62)이 후퇴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플레이트(20)의 정지, 고정강도가 상당히 높다. 또한, 이 시트플레이트(20)의 높이조절도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80)을 당기는 것만으로 실시할 수 있고, 상당히 간단하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유아용 시트는 시트플레이트의 상하높이 조절조작에 따라서 어깨벨트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도 어깨벨트의 장착감이 양호하게 된다. 본발명에 의하면, 시트플레이트가 상하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도 시트플레이트와 시트백과의 사이에 거리가 넓어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시트백(12)과 상기한 시트백을 따라서 상하이동 가능한 시트플레이트와 상기한 시트백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2개의 어깨벨트(92)와, 상기한 어깨벨트 끼리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한 거리조정수단은 상기한 시트플레이트(20)의 승강에 따라서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트백(12)에 시트백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1쌍의 어깨벨트가이드부재(130),(140)가 설치되고, 상기한 어깨벨트는 상기한 어깨벨트가이드부재에 걸어맞추어 있고, 상기한 어깨벨트가이드부재는 상기한 시트플레이트(20)의 승강에 따라서 접근 분리되는 연동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재는 상기한 시트플레이트(20)의 승강에 의해 상기한 시트백의 뒷면을 따라서, 승강하는 것이고, 상기한 연동부재의 승강방향의 이동을 상기한 어깨벨트가이드부재의 접근 분리되는 방향의 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한 어깨벨트가이드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4. 제1항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트플레이트(20)는 전방시트플레이트(22)와 후방시트플레이트(24)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전방시트플레이트의 후부와 상기한 후방시트플레이트의 전부(前部)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겹쳐져 있고,
    상기한 후방시트플레이트의 후단부는 시트백에 대해서 상하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트플레이트와 상기한 연동부재는 링크를 매개로 하여 연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부재의 상부에 제1 및 제2의 긴구멍이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한 긴구멍사이는 하부만큼 서로 접근하고, 상부만큼 서로 분리하도록 경사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트백의 후방에 시트보디(16)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제1긴구멍(122)에 한쪽의 상기한 어깨벨트가이드부재가 걸어맞추고, 제2긴구멍(124)에 다른쪽의 상기한 어깨벨트가이드부재가 걸어맞추어져 있고, 그 어깨벨트가이드부재는 시트백(12)에 가로로 설치된 슬롯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슬롯은 중앙이 높고, 양끝이 낮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10. 제1항내지 제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어깨벨트에 텅이 설치되어 있고, 텅이 버클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버클은 시트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KR1019990000544A 1998-01-12 1999-01-12 유아용 시트 KR19990067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4047 1998-01-12
JP10004047A JPH11198694A (ja) 1998-01-12 1998-01-12 チャイルド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54A true KR19990067854A (ko) 1999-08-25

Family

ID=1157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544A KR19990067854A (ko) 1998-01-12 1999-01-12 유아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45184A (ko)
EP (1) EP0930194A1 (ko)
JP (1) JPH11198694A (ko)
KR (1) KR19990067854A (ko)
TW (1) TW3919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734A (ja) * 1999-02-08 2000-10-24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プロテクタ、育児器具のプロテクタ、育児器具および新生児用ベッド
US6705675B1 (en) * 2000-05-08 2004-03-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Adjustable child seat for toddlers to small children
US6457774B2 (en) * 2000-06-06 2002-10-01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safety seat
US7066536B2 (en) 2002-02-11 2006-06-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eat
US7055903B2 (en) * 2004-01-09 2006-06-06 Cosco Management, Inc. Adjus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US7021710B2 (en) * 2004-03-10 2006-04-04 Cosco Management, Inc. Juvenile vehicle seat with movable headrest
US7246852B2 (en) * 2004-03-10 2007-07-24 Cosco Management, Inc. Headrest actua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CA2572201A1 (en) * 2004-06-29 2006-01-12 Kidnetik Corp. Child restraint apparatus for a vehicl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JP4823592B2 (ja) * 2005-07-12 2011-11-24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クッション
JP4758699B2 (ja) * 2005-07-21 2011-08-3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US7232185B2 (en) * 2005-09-15 2007-06-19 Wonderland Nursery Goods Co., Ltd. Adjustable head rest for child car seat
EP1772308A3 (en) * 2005-10-07 2010-06-30 Combi Corporation Cushion for retaining posture of child and structure using same cushion
AU2007200053A1 (en) 2006-01-12 2007-07-26 Hts Hans Torgersen & Sonn As Belt guide
US7367092B1 (en) 2006-02-02 2008-05-06 Dilday Marlene A Child-proof lock assembly
CN201023458Y (zh) * 2006-12-28 2008-02-20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安全带装置及具有所述安全带装置的座椅
JP5584035B2 (ja) * 2010-07-21 2014-09-0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FR2981018B1 (fr) * 2011-10-07 2013-11-15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a assise reglable en hauteur
FR2996501A1 (fr) * 2012-10-08 2014-04-11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a assise reglable en hauteur
CN105667355B (zh) * 2014-11-20 2018-11-30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垫高机构及具有该机构的儿童安全座椅
CN104608659B (zh) * 2014-12-06 2017-08-25 郑州鸿贝科技股份有限公司 含有安全带组调整机构的汽车儿童座椅
CN105286377B (zh) * 2015-10-14 2018-01-02 广东乐美达集团有限公司 一种幼儿用座椅
CN107161202B (zh) * 2017-06-06 2023-05-2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座兜及儿童推车
CN217218608U (zh) * 2021-12-28 2022-08-19 东莞金旺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带调节结构、靠背结构及座椅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997A (en) * 1986-12-31 1989-08-22 Shubin Steven A Child safety car seat
GB8709141D0 (en) * 1987-04-15 1987-05-20 Britax Excelsior Child's seat
JPH0717030B2 (ja) * 1990-05-31 1995-03-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ウエザストリップの端末成形方法
US5082325A (en) * 1990-07-20 1992-01-21 Century Products Company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5135285A (en) * 1991-08-09 1992-08-04 Chrysler Corporation Twin shoulder bel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ild restraint system
JP2870308B2 (ja) * 1992-07-14 1999-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ベース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2666716B2 (ja) * 1993-12-27 1997-10-22 池田物産株式会社 組込み式チャイルドシート
US5449223A (en) * 1994-06-07 1995-09-12 Hoover Universal, Inc. Shoulder bel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5899534A (en) * 1994-06-20 1999-05-0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Child seat for a vehicle and a seat belt system for the child seat
JPH0939627A (ja) * 1995-08-01 1997-02-10 Molten Corp 幼児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98694A (ja) 1999-07-27
US6045184A (en) 2000-04-04
EP0930194A1 (en) 1999-07-21
TW391934B (en)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7854A (ko) 유아용 시트
KR101997547B1 (ko) 차일드 시트
US6491348B1 (en)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8573693B2 (en)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KR100403224B1 (ko) 자동차용 연소자 안전 좌석
CA2126123C (en) Child safety seat for automobile
US8579369B2 (en) Truss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KR101866149B1 (ko) 폭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카시트
US20040124676A1 (en) Harness-control panel adjuster for child-restraint seat
US9022471B2 (en)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KR20050005789A (ko) 유아용 시트
KR19990067891A (ko) 유아용 시트
KR101852746B1 (ko)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KR19990068041A (ko) 유아용 시트
KR20230026510A (ko) 어린이 안전 시트 및 그 측면 날개의 높이와 폭의 조정기구
KR102122867B1 (ko) 누름식 노브로 동작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카시트
JPH07165012A (ja) 自動車用座席
CN116424415A (zh) 婴儿车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KR100635866B1 (ko) 시트체가 곡선운동이 유도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트
JPH1016707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ベルトの高さ調節機構
WO2022263637A1 (en) Child safety seat
KR0131924B1 (ko) 헤드 레스트(head rest)를 이용한 어린이용 안전 시트
KR0114457Y1 (ko) 팔걸이가 장착된 시트
JPH0858447A (ja) 子供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