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078B1 - 들기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들기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078B1
KR101992078B1 KR1020190001653A KR20190001653A KR101992078B1 KR 101992078 B1 KR101992078 B1 KR 101992078B1 KR 1020190001653 A KR1020190001653 A KR 1020190001653A KR 20190001653 A KR20190001653 A KR 20190001653A KR 101992078 B1 KR101992078 B1 KR 10199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lla
oil
filtration plate
temperatur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철
Original Assignee
김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철 filed Critical 김한철
Priority to KR102019000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깨 또는 들깨분말을 고온에서 볶은 후, 일정온도까지 온도를 하강시켜 착유함으로써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볶음 공정 후 온도 하강 공정에서 들깨에 섞인 작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착유함으로써 착유효율을 높여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착유 후 침전 공정에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들기름 특유의 고소한 향과 맛을 가지면서도 맑고 깨끗한 고순도의 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들깨를 이용한 들기름 제조방법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들깨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물로 제거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들깨를 240~270℃의 고온으로 10~15분 가열하여 볶는 볶음단계와, 고온에서 볶은 들깨를 130~150℃의 온도로 낮춤과 동시에 들깨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와,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를 통해 소정의 온도로 낮아진 들깨를 압착기로 기름을 짜는 착유단계와, 착유단계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들기름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OF PERILLA OIL}
본 발명은 들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들깨 또는 들깨분말을 고온에서 볶은 후, 일정온도까지 온도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하여 착유함으로써 발암물질 발생위험을 낮추고 착유효율을 높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착유 후 기름을 침전 및 여과시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들기름 특유의 고소한 향과 맛을 가지면서도 맑고 깨끗한 순도 높은 들기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들기름은 1년생 초본인 들깨(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japonica Hara)를 착유한 기름이다. 식품공전에서는 처음에는 볶은 후에 압착하여 얻은 기름으로 정의하다가 2000년 9월부터는 압착유 외에 용매추출을 한 원유를 상법으로 정제한 정제 들깨유도 들기름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들기름은 참기름과 함께 우리나라의 전통 식용유의 하나이며, 특징은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포화지방산이 약 10%고 나머지 90%는 불포화지방산이라는 점이며 n-3계열 고도불포화지방산에 속하는 α-리놀렌산(C18:3)이 60% 전후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다.
α-리놀렌산의 함량이 높은 들기름의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대장암과 유방암의 증식 억제, 학습능력의 향상, 혈소판의 응집능력을 저하시키는데 따른 심장질환과 혈전의 예방, 알레르기성 체질의 개선 등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사람이 섭취하는 기름의 지방산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름이다. 또한, 들깨를 190~210℃로 볶아 압착해서 얻은 들기름은 독특한 향기를 갖는데 볶음 온도에 따라 향기성분의 함량과 패턴은 다르게 된다.
종래의 들기름 제조방법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4209호호의 “보관성이 향상된 들기름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들깨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들깨를 냉풍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건조한 들깨 및 건조한 다정큼나무(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뿌리와 함께 40 내지 6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볶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볶음 공정 이후, 체를 이용하여 들깨 및 다정큼나무(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Thunb) Ohashi) 뿌리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분리된 들깨를 착유기에 넣고 15 내지 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착유 단계와, 상기 단계의 착유된 기름을 120 메쉬(mesh) 이상의 여과망으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들깨를 저온에서 볶는 방식이므로, 들깨 본연의 색깔을 유지한 채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볶아지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장시간 볶는 방식이므로 참깨의 표피가 탄화되어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어 제조되는 참기름의 풍미를 저해할 수 있으며, 제조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착유 후 여과 과정이 없어 장기간 보관시 산패(酸敗)에 의한 기름의 변질 및 변색으로 인해 들기름 특유의 고소한 향과 맛을 내기 어려워 순도 높은 들기름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들깨 또는 들깨분말을 고온에서 볶은 후, 일정온도까지 온도를 하강시켜 착유함으로써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볶음 공정 후 온도 하강 공정에서 들깨에 섞인 작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착유함으로써 착유효율을 높여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착유 후 침전 공정에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들기름 특유의 고소한 향과 맛을 가지면서도 맑고 깨끗한 고순도의 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들깨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물로 제거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된 들깨를 240~270℃의 고온으로 10~15분 가열하여 볶는 볶음단계; 상기 고온에서 볶은 들깨를 130~150℃의 온도로 낮춤과 동시에 들깨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 상기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를 통해 소정의 온도로 낮아진 들깨를 압착기로 기름을 짜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들기름 제조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들깨분말을 150~230℃의 고온으로 25~28분 가열하여 볶는 볶음단계; 상기 고온에서 볶은 들깨분말을 110~130℃의 온도로 낮추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소정의 온도로 낮아진 들깨를 압착기로 기름을 짜되, 압착기의 압력을 600bar까지 상압시킨 후, 600~620bar 사이에서 기름을 짜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들기름 제조방법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들기름 제조방법에 의하면, 들깨 또는 들깨분말을 고온에서 가열한 후, 가열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착유함으로써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발생 위험을 종래보다 낮추고, 착유효율을 높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착유 후 침전 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들기름 특유의 고소한 향과 맛을 가지면서도 맑고 깨끗한 고순도의 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들깨를 사용한 들기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들깨분말을 사용한 들기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들깨를 이용한 들기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들기름 제조방법은, 들깨를 원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들깨가 입고되면, 변질되지 않도록 냉동 창고에 보관하여 두고, 세척단계(S10), 볶음단계(S20),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S30), 착유단계(S40), 침전단계(S50), 충진 및 포장단계(S60)를 차례로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세척단계(S10)는, 들깨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물로 제거하는 단계로서,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들깨의 표면에 묻어있는 각종 이물질이나 잔류 농약성분을 제거하고 체로 걸려 물기를 제거한다.
볶음단계(S20)는, 상기 세척단계(S10)를 통해 세척된 들깨를 고온에서 일정시간 가열하여 볶는 단계로서, 볶음 솥(용기)을 이용하거나, 열매체기 또는 로스팅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들깨의 볶음 온도는 240~270℃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26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볶음 시간은 10~15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3분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볶음 온도와 시간이 상기 범위의 하한보다 낮거나 짧게 되면, 본연의 색깔을 유지한 채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볶아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들깨의 표피가 탄화되어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고, 제조되는 들기름의 풍미를 저해할 수 있다.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S30)는, 상기 볶음단계(S20)를 통해 볶은 들깨를 소정온도로 낮춤과 동시에, 들깨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즉 볶음단계(S20)에서의 볶음 온도인 240~270℃보다 낮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품온 130~150℃ 범위로 낮춘 상태에서 다음 공정인 착유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들깨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수단으로는 풍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풍구의 바람을 이용하여 들깨의 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들깨 내에 섞인 작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석발기를 이용하여 들깨에 섞인 돌이나 잔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착유단계(S40)는 압착기 또는 착유기를 이용하여 볶은 들깨에 압력을 가하여 기름을 짜는 단계로서,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를 통해 볶은 들깨가 품온 130~150℃ 범위로 낮아진 상태에서 수행된다. 이로써 들깨의 탄화 및 산패를 최소화하여 들기름 특유의 향과 맛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전단계(S50)는, 상기 착유단계(S40)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 또는 보관탱크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하부에 침전물이 가라앉아 있게 되면, 침전물 위에 있는 기름만을 배출하여 농도가 일정한 들기름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들기름이 제조되면, 병, PET, 캔, 종이박스 등의 부자재를 입고/보관하여 둔 상태에서 투입하여 들기름을 충진하고 포장하는 충진 및 포장단계(S60)를 수행한 후 보관하거나 출고함으로써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들깨분말을 이용한 들기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들기름 제조방법은, 들깨분말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들깨분말이 입고되면, 변질되지 않도록 냉동 창고에 보관하여 두고, 볶음단계(S110), 냉각단계(S120), 착유단계(S130), 침전단계(S140), 충진 및 포장단계(S150)를 차례로 수행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볶음단계(S110)는, 상기 들깨분말을 고온에서 일정시간 가열하여 볶는 단계로서, 볶음 솥(용기)을 이용하거나, 열매체기 또는 로스팅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들깨분말의 볶음 온도는 150~2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20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볶음 시간은 25~28분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볶음 온도와 시간이 상기 범위의 하한보다 낮거나 짧게 되면, 본연의 색깔을 유지한 채 충분히 가열되지 않아 볶아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들깨분말이 탄화되어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고 또한 제조되는 들기름의 풍미를 저해할 수 있다.
냉각단계(S120)는, 상기 볶음단계(S110)를 통해 볶은 들깨분말을 소정온도로 낮추는 단계로서, 즉 볶음단계(S110)에서의 볶음 온도인 150~230℃보다 낮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품온 110~130℃ 범위로 낮춘 상태에서 다음 공정인 착유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착유단계(S130)는 압착기 또는 착유기를 이용하여 볶은 들깨분말에 압력을 가하여 기름을 짜는 단계로서, 냉각단계(S120)를 통해 볶은 들깨분말의 온도가 110~130℃ 범위로 낮아진 상태에서 수행되고, 압착기의 압력을 600bar까지 상압시킨 후, 600~620bar 범위 내에서 기름을 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들깨분말의 탄화 및 산패를 최소화하여 들기름 특유의 향과 맛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전단계(S140)는, 상기 착유단계(S130)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 또는 보관탱크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하부에 침전물이 가라앉아 있게 되면, 침전물 위에 있는 기름만을 배출하여 농도가 일정한 들기름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들기름이 제조되면, 병, PET, 캔, 종이박스 등의 부자재를 입고/보관하여 둔 상태에서 투입하여 들기름을 충진하고 포장하는 충진 및 포장단계(S150)를 수행한 후, 보관하거나 출고함으로써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할 수 있는 여과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여과기에 채용할 수 있는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기(200)는 제1 여과 플레이트(100)와, 제1 여과 플레이트(100) 상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적층되는 제2 여과 플레이트(101)와, 제2 여과 플레이트(101) 상에 적층 배치되는 제3 여과 플레이트(102)와, 제3 여과 플레이트(102) 상에 적층 배치되는 제4 여과 플레이트(103)를 구비한다. 제1 여과 플레이트(100)와 제2 여과 플레이트(101) 사이에는 보조 여과 플레이트(101d)가 복수층 배치될 수 있고, 제4 여과 플레이트(103) 상부에는 최상층 여과 플레이트(101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여과 플레이트(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링 형태의 외곽 프레임(110)과 중심관 형태의 중심 프레임(120) 및 외곽 프레임(110)과 중심 프레임(112) 사이에 채워지는 메쉬(130)을 구비한다. 외곽 프레임(110)에는 손잡이(140)가 결합될 수 있다. 메쉬(130)는 0.28㎜ 이하의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 여과 플레이트(100)의 구조는 제2 내지 제4 여과 플레이트와 보조 여과 플레이트(101b, 101d)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중심 프레임(120)은 링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가 메쉬(130)와 맞닿거나 메쉬(130)와 결합하는 플렌지(121), 플렌지(12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하는 벽 형태의 수직 연장부(122), 수직 연장부(122)의 하부측 말단부를 막는 바닥부(123), 및 수직 연장부(122)에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홀(1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복수의 유동홀들(124)은 복수의 여과 플레이트(100, 101d, 101, 102, 103 및 101b)에서 압력에 의해 얻어지는 기름을 모아 하부측으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여과기 또는 그 내부의 메쉬 등의 필터의 파손을 방지하고 막힘 없이 기름을 추출할 수 있어 작업 효율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들기름을 제조하는 것에 의해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의 발생 위험을 종래보다 낮추면서 착유효율을 높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착유 후 침전 및 여과 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들기름 특유의 고소한 향과 맛을 가지면서도 맑고 깨끗한 고순도의 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

  1. 들깨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 농약성분이나 이물질을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체로 걸러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된 들깨가 본연의 색깔을 유지한 채 볶아지고 들깨의 탄화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세척된 들깨를 240~270℃의 고온으로 10~15분 가열하여 볶는 볶음단계;
    상기 고온에서 볶은 들깨를 130~150℃의 온도로 낮춤과 동시에 들깨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
    상기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를 통해 상기 130~150℃의 온도를 가진 들깨에 압착기로 압력을 가하여 기름을 짜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볶음단계의 온도와 시간을 통해 상기 들깨의 색깔을 유지하며,
    상기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는 풍구를 이용하여 상기 볶은 들깨의 온도를 130~150℃의 온도로 냉각시킴과 함께 상기 볶은 들깨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착유단계는 상기 냉각 및 이물질제거 단계에서 얻은 품온 130~150℃의 들깨에 압력을 가하여 기름을 짜서 얻어진 들기름의 산패가 최소화되고 향과 맛이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착유단계를 위한 착유기 내에 설치되는 여과기는, 제1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 상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적층되는 제2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여과 플레이트 상에 적층되는 제3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여과 플레이트 상에 적층되는 제4 여과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여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여과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보조 여과 플레이트들 각각은 원형 링 형태의 외곽 프레임과 중심관 형태의 중심 프레임 및 상기 외곽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 사이에 채워지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직경 혹은 가장 긴 변의 길이가 0.28mm 이하인 메쉬를 가져 0.28mm 이상의 이물을 걸러내며,
    상기 중심 프레임은 링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가 상기 메쉬와 맞닿거나 메쉬와 결합하는 플렌지, 상기 플렌지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하는 벽 형태의 수직 연장부,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부측 말단부를 막는 바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에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유동홀들은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보조 여과 플레이트들에서 압력에 의해 얻어지는 기름을 모아 하부측으로 전달하며,
    상기 침전단계에서 상기 불순물이 상기 용기의 하부에 가라앉으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있는 기름을 배출하여 농도가 일정한 들기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기름 제조방법.
  2. 들깨분말이 본연의 색깔을 유지한 채 볶아지고 들깨의 탄화가 최소화되도록 들깨분말을 150~230℃의 고온으로 25~28분 가열하여 볶는 볶음단계;
    상기 고온에서 볶은 들깨분말을 110~130℃의 온도로 낮추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를 통해 상기 110~130℃의 온도를 가진 들깨분말에 압착기로 압력을 가하여 기름을 짜되, 상기 압착기의 압력을 600bar까지 상압시킨 후, 600~620bar 사이에서 기름을 짜는 착유단계; 및
    상기 착유단계에서 얻어진 기름을 용기에 수용하고 소정시간 동안 정치하여 둠으로써 기름으로부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볶음단계의 온도와 시간을 통해 상기 들깨분말의 색깔을 유지하며,
    상기 착유단계는 상기 냉각단계에서 얻은 품온 110~130℃의 들깨분말에 압력을 가하여 기름을 짜서 얻어진 들기름의 산패가 최소화되고 들기름의 향과 맛이 유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착유단계를 위한 착유기 내에 설치되는 여과기는, 제1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 상에 일정 간격으로 두고 적층되는 제2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여과 플레이트 상에 적층되는 제3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여과 플레이트 상에 적층되는 제4 여과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여과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여과 플레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보조 여과 플레이트들 각각은 원형 링 형태의 외곽 프레임과 중심관 형태의 중심 프레임 및 상기 외곽 프레임과 상기 중심 프레임 사이에 채워지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직경 혹은 가장 긴 변의 길이가 0.28mm 이하인 메쉬를 가져 0.28mm 이상의 이물을 걸러내며,
    상기 중심 프레임은 링 형태의 외부 가장자리가 상기 메쉬와 맞닿거나 메쉬와 결합하는 플렌지, 상기 플렌지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하는 벽 형태의 수직 연장부, 상기 수직 연장부의 하부측 말단부를 막는 바닥부, 및 상기 수직 연장부에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유동홀들은 상기 제1 여과 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4 여과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보조 여과 플레이트들에서 압력에 의해 얻어지는 기름을 모아 하부측으로 전달하며,
    상기 침전단계에서 상기 불순물이 상기 용기의 하부에 가라앉으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있는 기름을 배출하여 농도가 일정한 들기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기름 제조방법.
KR1020190001653A 2019-01-07 2019-01-07 들기름 제조방법 KR10199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53A KR101992078B1 (ko) 2019-01-07 2019-01-07 들기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53A KR101992078B1 (ko) 2019-01-07 2019-01-07 들기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078B1 true KR101992078B1 (ko) 2019-06-21

Family

ID=6705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653A KR101992078B1 (ko) 2019-01-07 2019-01-07 들기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10B1 (ko) * 2020-06-23 2020-11-30 신연지 기름 찌꺼기를 제거한 참기름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WO2024071683A1 (ko) * 2022-09-28 2024-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들깨 고유 풍미와 고소함이 조화된 들기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573A (ko) * 2001-04-06 2002-10-19 신언치 참기름의 제조방법
KR100891566B1 (ko) * 2008-09-16 2009-04-06 새싹종합식품(주) 벤조피렌의 함량을 최소화한 참기름 제조방법
KR20170030738A (ko) * 2015-09-10 2017-03-20 김민선 벤조피렌이 발생하지 않는 참기름과 들기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573A (ko) * 2001-04-06 2002-10-19 신언치 참기름의 제조방법
KR100891566B1 (ko) * 2008-09-16 2009-04-06 새싹종합식품(주) 벤조피렌의 함량을 최소화한 참기름 제조방법
KR20170030738A (ko) * 2015-09-10 2017-03-20 김민선 벤조피렌이 발생하지 않는 참기름과 들기름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10B1 (ko) * 2020-06-23 2020-11-30 신연지 기름 찌꺼기를 제거한 참기름 제조 방법 및 제조 시스템
WO2024071683A1 (ko) * 2022-09-28 2024-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들깨 고유 풍미와 고소함이 조화된 들기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079B1 (ko) 참기름 제조방법
KR101744128B1 (ko) 식물성 식용유 제조 방법
KR101992078B1 (ko) 들기름 제조방법
CN104256766A (zh) 绿藻、苹果复合果蔬汁及制备方法
CN104560366A (zh) 液压冷榨非精炼原香茶油的制作方法
CN105255587A (zh) 一种浓香风味菜籽油的低温物理精炼方法
CN103229961B (zh) 粒状红豆馅和红豆饮料的制备方法
KR20170030738A (ko) 벤조피렌이 발생하지 않는 참기름과 들기름 제조방법
CN104928011A (zh) 以元宝枫籽为原料制取元宝枫油、元宝枫蛋白粉的生产工艺
CN1875758A (zh) 一种蓉沙馅料的制备方法
CN104223254A (zh) 马蹄、刺梨复合果蔬汁及制备方法
KR101580262B1 (ko) 기능성 두부의 제조방법
CN104560370A (zh) 原生态茶叶籽油的制作方法
CN104256769A (zh) 西番莲复合果蔬汁及制备方法
CN109825360A (zh) 一种压榨茶油的生产方法
CN104694363B (zh) 一种安吉白茶青稞茶酒的制备方法
CN101433293B (zh) 一种豆腐皮的加工方法
KR101190833B1 (ko) 균질한 식물성 기름의 제조방법
CN106010775A (zh) 一种多级去杂菜籽油的加工方法
KR102320390B1 (ko) 살균 및 비가열에 의한 들기름 제조방법
CN103881806A (zh) 一种利用辣椒籽榨油的方法
CN110305733A (zh) 一种利用玉米整粒制备玉米油的方法
CN114507562A (zh) 一种食用植物油冷炼自动化生产工艺
CN115181601A (zh) 一种高效出油的橄榄油压榨生产工艺
CN104187959A (zh) 复合浓缩苹果、芹菜果蔬汁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