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629B1 -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용 창유리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용 창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629B1
KR101983629B1 KR1020137027553A KR20137027553A KR101983629B1 KR 101983629 B1 KR101983629 B1 KR 101983629B1 KR 1020137027553 A KR1020137027553 A KR 1020137027553A KR 20137027553 A KR20137027553 A KR 20137027553A KR 101983629 B1 KR101983629 B1 KR 10198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length
laminated film
film
transmittance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327A (ko
Inventor
타카유키 우토
?이치 오사다
와타루 고우다
유지 마츠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7Sunglare reduction by coatings, interposed foils in laminar windows, or perman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02B5/282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reflecting for infrared and transparent for visible light, e.g. heat reflectors, laser 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02B5/287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comprising at least one layer of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Abstract

(과제) 광의 입사 각도나 필름 두께의 근소한 차이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억제하면서도 종래의 폴리머 다층 적층 필름보다 뛰어난 열선 컷팅 성능을 구비한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각각 50층 이상 적층된 구성을 포함하고, 또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고, 또한 투과광의 입사 각도 12°와 입사 각도 45°에서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10 이하이고, 또한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용 창유리{LAMINATE FILM AND AUTOMOTIVE WINDOW GLASS USING SAME}
본 발명은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동차나 전차, 건물의 창유리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보호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를 받아서 여름철의 외부, 특히 태양광에 의한 열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는 열선 컷팅 유리가 자동차나 전차 등의 탈것, 건물의 창유리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열선 컷팅 유리의 일례로서, 유리 중이나 맞춤 유리에 사용되는 중간막 중에 열선 흡수재를 함유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러나, 열선 흡수재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태양광을 열에너지로 변환하기 때문에 그 열이 실내로 방사되어서 열선 컷팅 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열선을 흡수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유리 온도가 상승하여 외기온과의 차이에 의해 유리 본체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유리 상에 열선 반사막을 형성하거나, 열선 반사 기능을 구비한 필름을 맞춤 유리 중에 삽입한 열선 반사 유리도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적외선을 비롯한 입사광은 외부로 반사되기 때문에, 실내에는 광·열로서 유입되지 않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열선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열선에 의한 유리 온도의 상승도 억제되기 때문에 유리의 파손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선반사 유리의 대표예로서 금속막을 유리 표면 상에 스퍼터법 등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그러나, 금속막은 열선은 반사하지만 가시광에도 불균일한 반사를 갖고, 또한 그 반사 강도가 파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유리에 착색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시광 영역과 근적외선 영역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없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열선 컷팅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금속막은 전파를 차단하는 성질을 구비하기 때문에 휴대전화 등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열선반사 유리의 기타 예로서, 굴절률이 다른 폴리머가 교대로 적층된 폴리머 다층 적층 필름을 끼워 넣은 맞춤 유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이러한 폴리머 다층 적층 필름은 그 층 두께를 제어하여 반사하는 파장을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근적외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열선 컷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등 전파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뛰어난 전파 투과성을 유지한 것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층 적층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면에 대한 광의 입사 각도가 커짐에 따라 반사할 수 있는 광의 파장이 저파장측으로 시프트하여 색상이 변화한다. 그 때문에, 색 변화가 없는 열선 반사 유리를 얻기 위해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광의 반사 대역을 가시광 영역에서 떨어진 근적외 영역에 설치할 필요가 있어 열선 컷팅 성능을 높일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또한, 이러한 다층 적층 필름이 주로 광을 반사할 수 있는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태양광의 그저 일부밖에 반사할 수 없기 때문에, 열선 컷팅 성능으로서는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일본 특허공개 2010-1785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901911호 공보 일본 특허 제431031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의 폴리머 다층 적층 필름보다 뛰어난 열선 컷팅 성능을 구비하고, 또한 보는 각도에 따른 색변화가 억제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하는 것을 본래의 취지로 한다. 또한, 그 각종의 개량된 형태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각각 50층 이상 적층된 구성을 포함하고, 또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고, 또한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 45°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10 이하이고, 또한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인 것을 본래의 취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저파장측에 반사 대역을 설치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보는 각도에 따른 색변화가 적기 때문에, 시인성이 뛰어나고 또한 종래의 폴리머 다층 적층 필름보다 뛰어난 열선 컷팅 성능을 구비한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동차나 전차, 건물의 창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태양광에 의한 실내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a)는 장치의 개략정면도, (b), (c), (d)는 각각 L-L', M-M', N-N'로 자른 수지 유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층의 나열순-층 두께의 관계(층 두께 분포)의 예이며, λ/4 설계의 사상에 근거하여 경사 구조를 3개 구비한 적층 필름의 예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의 각종의 변경은 당연히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나 광경화성 수지와 비교해서 저렴하고, 또한 공지의 용융 압출에 의해 간편하게 또한 연속적으로 시트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적어도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각각 50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다른 광학적 성질이란 필름의 면내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직교하는 2방향 및 상기 면에 수직한 방향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굴절률이 0.01 이상 다른 것을 말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교대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진다는 것은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두께 방향으로 규칙적인 배열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개의 열가소성 수지 A, B로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층을 A층, B층이라고 표현하면, A(BA)n(n은 자연수)과 같이 적층된 것이다. 이렇게 광학적 성질이 다른 수지가 교대로 적층됨으로써 각 층의 굴절률의 차와 층 두께의 관계로부터 설계한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간섭 반사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층하는 층수가 각각 50층 미만인 경우에는 적외 영역에 있어서 충분한 대역에 걸쳐서 높은 반사율이 얻어지지 않아서 충분한 열선 컷팅 성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상술한 간섭 반사는 층수가 늘어날수록 넓은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하여 높은 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되어서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구비한 적층 필름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층수에 상한은 없지만, 층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제조 장치의 대형화에 따른 제조 비용의 증가나 필름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에서의 핸들링성의 악화가 발생하고, 특히 필름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에서는 맞춤 유리화의 공정에서의 공정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10000층 정도가 실용 범위가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아세탈 등의 쇄상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류의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 부가 중합, 다른 올레핀류와의 부가 공중합체인 지환족 폴리올레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폴리머, 나일론 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6 등의 폴리아미드, 아라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코폴리머, 폴리아세탈, 폴리글리콜산, 폴리스티렌, 스티렌 공중합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4불화 에틸렌 수지, 3불화 에틸렌 수지, 3불화 염화에틸렌 수지, 4불화 에틸렌-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불화 비닐리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강도·내열성·투명성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특히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은 공중합체이어도, 2종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이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는 단량체로부터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박산, 다이머산, 도데칸디온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그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높은 굴절률을 발현하는 테레프탈산과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해도 좋고, 또한 히드록시벤조산 등의 옥시산 등을 일부 공중합해도 좋다.
또한,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솔베이트, 스피로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디올 성분은 1종만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가,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중합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또한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폴리헥사메틸렌나프탈레이트 및 그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중 적어도 2개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각 층의 면내 평균 굴절률의 차가 0.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면내 평균 굴절률의 차가 0.03보다 작을 경우에는 충분한 반사율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열선 컷팅 성능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 달성방법으로서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가 결정성이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가 비정성인 것이다. 이 경우,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의 연신,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 용이하게 굴절률차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사용하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각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각 열가소성 수지의 SP값의 차의 절대치가 1.0 이하인 것이 제일 바람직하다. SP값의 차의 절대치가 1.0 이하이면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폴리머는 동일한 기본 골격을 구비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기본 골격이란 수지를 구성하는 반복단위이며, 예를 들면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밀한 적층 구조가 실현되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동일한 기본 골격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가 동일한 기본골격을 포함하는 수지이면, 적층정밀도가 높고 또한 적층 계면에서의 층간 박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사용하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각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각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가 20℃ 이하인 열가소성 수지의 조합이다. 유리전이온도의 차가 20℃보다 클 경우에는 적층 필름을 제막할 때의 두께 균일성이 불량하게 되어 금속 광택의 외관 불량으로 된다. 또한, 적층 필름을 성형할 때에도 과연신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중 결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비정성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층 필름에 있어서 결정성 수지를 배향·결정화시키는데 적당한 연신 온도로 연신했을 때에, 결정성 수지와 비교해서 비정성 수지의 배향을 억제할 수 있어 용이하게 굴절률차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지의 조합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가 스피로글리콜 유래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로글리콜 유래의 폴리에스테르란 스피로글리콜을 디올 성분으로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이며, 다른 에스테르 구조단위와의 공중합체, 스피로글리콜을 단일 디올 성분으로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들을 다른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여 바람직하게 스피로글리콜 잔기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전체 디올 잔기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스피로글리콜 유래의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가 작기 때문에, 성형시에 과연신이 되기 어렵고 또한 층간 박리되기도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는 스피로글리콜과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이 사용된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로글리콜과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해서 얻은 폴리에스테르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면내 굴절률차가 커지기 때문에, 높은 반사율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유리전이온도차가 작고, 접착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성형시에 과연신이 되기 어렵고, 또한 층간 박리되기도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의 폴리에스테르인 것도 바람직하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의 폴리에스테르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디올 성분으로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이며, 다른 에스테르 구조 단위와의 공중합체,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단일 디올 성분으로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들을 다른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여 바람직하게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의 전체 디올 잔기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유래의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의 유리전이온도의 차가 작기 때문에, 성형시에 과연신이 되는 것이 어렵고 또한 층간 박리되기도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15몰% 이상 60몰% 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높은 반사 성능을 가지면서, 특히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작아서 층간에서의 박리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15몰% 이상 60몰% 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매우 강하게 접착한다. 또한, 그 시클로헥산디메탄올기는 기하 이성체로서 시스체 또는 트랜스체가 있고, 또한 배좌 이성체로서 이스형 또는 보트형도 있으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연신해도 배향 결정화되기 어렵고, 고반사율이고, 열이력에 의한 광학 특성의 변화도 더욱 적어서 제막시의 파열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반사율이란 백색광을 입사 각도 12°로 입사시켰을 때의 반사광의 반사율로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백색광이란 태양광이나 할로겐 램프와 같이 가시광 영역의 넓은 범위에 있어서 연속해서 강도 분포를 구비하고, 무채색으로서 인식할 수 있는 광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중에서 산출한 C*값, a*값, b*값으로서는 할로겐 램프(텅스텐)의 광에 의한 것으로서 규정된다. 태양광은 가시광 영역에 주로 강도 분포를 구비하고 있어 파장이 커짐에 따라서 그 강도 분포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에서,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가시광 영역의 광을 컷팅함으로써 열선 컷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투명성도 저하하여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그래서, 가시광 영역보다 약간 큰 파장 900∼1200nm(전체 태양광의 강도의 약 18%)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높임으로써 효율적으로 열선 컷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미만일 경우, 그 열선 컷팅 성능이 충분하지 않아서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이 요구되는 용도로의 전개는 어렵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8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90% 이상이다.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커킴에 따라서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 되는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적층 필름의 층 수 또는 교대로 적층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차를 크게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교대로 적층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굴절률차에도 의하지만, 예를 들면 바람직한 층수로서는 상기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의 전체 층수가 200층 이상이고,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80%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400층 이상, 9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500층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과반수의 층에 대해서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400∼6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광학 두께(㎛)란 각 층에 있어서의 층 두께(㎛)와 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굴절률(-)의 곱이며,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은 적층 필름에 있어서 간섭 반사가 발생하는 파장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400∼650nm인 층에 의한 간섭 반사는 약 800∼1300nm의 파장 범위에 생기게 되기 때문에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반사율은 층수나 인접하는 층의 굴절률의 차가 커질수록 높아지는 것이어서, 과반수의 층에 대해서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400∼650nm인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900∼1200nm에서의 반사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A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굴절률 1.66)를 사용하고,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스피로글리콜과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굴절률 1.55)를 사용했을 경우에,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7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400∼650nm가 되는 층의 수를 약 200층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또한, 그 경우의 각 층의 두께의 범위는 약 120∼220nm가 된다.
또한, 수지의 굴절률의 차가 커짐에 따라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7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층수는 적어지고, 굴절률의 차가 0.3 이상이면 층수가 약 50층 정도라도 충분한 반사율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 45°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각각 1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굴절률이 다른 수지를 교대로 적층하여 얻어지는 간섭 반사의 원리에 근거하여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두께나 광의 입사 각도에 의해 반사 대역이 변화되어 색상이 변화된다. 그 때문에, 여러 각도에 있어서 안정한 색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필요한 있는 창유리에는 문제가 되지만, 투과광의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 45°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각각 10 이하일 경우, 약간의 필름 두께의 차이나 광의 입사 각도에 차이에 의하지 않고 안정한 색상으로 할 수 있어 창유리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Δa* 및 b*값의 차 Δb*이 각각 5 이하이다. 이렇게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작아짐에 따라, 보는 각도에 따른 색상 변화가 억제되어 보다 창유리 등에 적합한 필름으로 되는 것이다. 또한,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가 60°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각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 75°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각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필름면에 대하여 보다 큰 각도로부터 보아도 색상의 변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 달성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가시광 영역에 특정 영역에 있어서 흡수를 병용하는 방법이나, 가시광 영역 전반에 있어서 균질한 반사율의 광의 반사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 가시광 영역의 일부에 반사를 설정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투과율이란 입사 각도 12°로 입사된 백색광의 직선 투과광의 투과율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이 굴절률이 다른 수지를 교대로 적층해서 얻어지는 간섭 반사의 원리에 근거하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 두께나 광의 입사 각도에 의해 반사 대역이 변화되어 색상이 변화된다. 그 때문에, 적층 필름의 간섭 반사를 형성하는 파장 대역을 900∼1200nm로 하지 않을 경우, 1차의 간섭 반사 또는 고차의 간섭 반사 때문에 가시광 영역에 반사가 발생하고, 또한 필름면에 대한 각도에서 대역이 변화됨으로써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여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의 장해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필름면에 대한 각도에서 대역이 변화되는 영역에 착색 성분 등에 의해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반사광의 각도의 변화에 의하지 않고 색상이 안정한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서,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 45°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을 각각 10 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 50% 이하인 경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과율이 30% 이하인 경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과율의 감소의 요인에 대해서 광의 반사의 기여보다 광의 흡수에 의한 기여가 큰 것이다. 이 경우, 높은 색상 변화 억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태양광은 특히 파장 400∼800nm의 가시광 영역에 큰 강도 분포를 구비하고 있고, 전체 태양광 강도의 약 54%를 차지한다. 그 때문에, 파장 400∼800nm에 있어서의 일부 대역의 투과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광의 흡수에 의해 투과율을 감소시켰을 경우에는 흡수된 광의 일부가 열로 변환되어서 열로서 유입되기 때문에 차열 효율이 다소 낮아지는 것에 반하여, 광의 반사에 의해 투과율을 감소시켰을 경우에는 광의 열로의 변환이 발생하지 않아서 차열 성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투과율의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대역에 따라서는 투과율이 저하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도 저하하여 탈것이나 건물의 창유리와 같이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대해서 충분한 투명성을 부여할 수 없을 경우도 있기 때문에 대역과의 균형에 의해 투과율의 하한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파장 6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적외선 영역에 형성된 간섭 반사가 필름면에 대하여 큰 각도에서 보았을 경우에 발생하는 저파장 시프트에 의해 가시광 영역(특히 600∼800nm)으로 시프트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파장 6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짐으로써 시프트해 온 간섭 반사에 의한 색상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서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 45°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을 각각 10 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파장 600∼800nm의 대역에 있어서는 가시광 영역 중에서의 가시광선의 강도 분포가 18%이며, 파장 500∼600nm은 가시광선의 강도 분포의 76%와 비교해서 극히 작기 때문에, 파장 600∼800nm의 투과율을 저하시켰을 경우에 있어서도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의 정도는 작아진다.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에 대한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 효과의 비율이 근적외선 영역보다 비교적 크고, 또한 파장 600∼800nm의 투과율만 제어를 해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1% 억제함으로써 일사 투과율을 1.3% 저하할 수 있고, 파장 500∼600nm의 투과율만을 제어해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1% 억제했을 경우의 0.2%과 대비해서 투명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열선 컷팅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투과율의 감소 요인에 대해서 광의 반사 기여보다 광의 흡수에 의한 기여가 큰 것이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6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50% 이하가 되는 영역을 50nm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파장 6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30% 이하가 되는 영역을 50nm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영역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작아짐으로써, 필름면에 대한 보는 각도에 따라서 근적외선 영역에 형성된 간섭 반사가 저파장 시프트하여 온 경우에서도 투과율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어 색상 변화를 거의 억제할 수 있도록 되는 것 이외에, 열선 컷팅 성능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장 6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이 100nm 이상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650∼800nm 사이의 150nm의 대역에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투과율이 50% 이하가 되는 대역의 폭이 넓어짐으로써, 보다 필름면에 대한 각도가 큰 곳에서 필름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도, 색상 변화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파장 600nm로부터 파장 800nm로 변화됨에 따라서 가시광선 투과율의 강도 분포가 저하하기 때문에, 파장 650nm보다 큰 대역에 투과율 80% 이하가 되는 대역이 존재함으로써, 색상 변화의 억제와 높은 투명성, 높은 열선 컷팅성을 양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80% 이하인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과 같이 간섭 반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장 강한 강도의 광이 얻어지는 1차 간섭 반사 이외에 고차 간섭 반사가 발생한다. 특히 3차 간섭 반사의 강도는 크고, 1차 간섭 반사가 발생하는 대역의 약 1/3의 파장에 있어서 발생한다. 이 때문에, 1차 간섭 반사가 파장 1200nm 이상의 대역에서 발생할 경우, 3차 반사가 파장 400nm 이상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 고차 간섭 반사에 있어서도, 1차 간섭 반사와 마찬가지로 입사광의 필름면에 대한 각도가 커짐으로써 저파장 시프트하지만, 이 대역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저파장 시프트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색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장 600∼800nm의 범위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파장 400∼450nm도 또한 가시광선의 강도 분포가 1%이며, 파장 500∼600nm은 가시광선의 강도 분포의 76%와 비교해서 극히 작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에 대한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 효과의 비율이 근적외선 영역보다 비교적 크고, 또한 파장 400∼450nm의 투과율만을 제어해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1% 억제함으로써 일사 투과율을 8.9% 저하할 수 있고, 파장 500∼600nm의 투과율만을 제어해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1% 억제했을 경우의 0.2%와 대비해서 투명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열선 컷팅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렇게 파장 400∼450nm의 투과율이 80% 이하일 경우에는 근적외선 영역에 형성하는 1차 간섭 반사의 대역을 파장 1300∼1400nm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1차 간섭 반사에 의한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과 고차 간섭 반사에 의한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열선 컷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과율 30% 이하인 것이다. 이 파장 범위에서의 투과율을 작게 할수록 필름면에 대한 각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투과율의 감소 요인에 대해서 광의 반사의 기여보다 광의 흡수에 의한 기여가 큰 것이다. 흡수에 의한 광의 투과율의 감소이면, 필름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에 의한 대역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색상이 안정해진다.
상술에 나타내는 광학특성의 필름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파장 400∼450nm 또는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 및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 양쪽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아도 좋다.
착색 성분이 상기 성질을 갖는지의 여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판단된다. 우선, 착색 성분이 특정된 경우에는 착색 성분을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A 또는 열가소성 수지 B의 단층 필름의 400∼800nm의 파장역의 투과율을 계측하고,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을 구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한편에서, 착색 성분을 특정할 수 없을 경우에 있어서는 이하의 방법에 근거해서 얻어지는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로부터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처음에,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적층 필름에 대해서 400∼800nm의 파장역의 투과율을 계측하고, 파장 400∼45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을 평균 투과율 A1이라고 하고, 파장 450∼6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을 평균 투과율 A2라고 하고, 파장 600∼8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을 평균 투과율 A3이라고 한다.
그 다음에, 적층 필름의 한쪽 표면으로부터 광선을 입사시키고, 400∼800nm의 파장역의 반사율을 계측하여, 파장 400∼45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평균 반사율 B1이라고 하고, 파장 450∼6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평균 반사율 B2라고 하고, 파장 600∼8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평균 반사율 B3이라고 한다.
그 다음에, 적층 필름의 다른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광선을 입사시키고, 400∼800nm의 파장역의 반사율을 계측하여, 파장 400∼45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평균 반사율 C1이라고 하고, 파장 450∼6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평균 반사율 C2라고 하고, 파장 600∼800nm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을 평균 반사율 C3이라고 한다.
다음에, 이하의 (1) 및 (2)의 방법에 근거하여 파장 400∼450nm 또는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과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의 관계를 판단한다.
(1) 파장 400∼450nm의 평균 투과율과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의 관계 평균 반사율 B1과 평균 반사율 C1을 비교한다. 평균 반사율 B1이 평균 반사율 C1보다 크면 평균 투과율 A1에 평균 반사율 B1을 더하고, 이것을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또한, 평균 투과율 A2에 평균 반사율 B2를 더하고, 이것을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한편, 평균 반사율 C1이 평균 반사율 B1보다 크면, 평균 투과율 A1에 평균 반사율 C1을 더하고, 이것을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또한, 평균 투과율 A2에 평균 반사율 C2를 더하고, 이것을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상기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과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을 비교하여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2) 파장 600∼800nm의 평균 투과율과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의 관계
평균 반사율 B3과 평균 반사율 C3을 비교한다. 평균 반사율 B3이 평균 반사율 C3보다 크면, 평균 투과율 A3에 평균 반사율 B3을 더하고, 이것을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또한, 평균 투과율 A2에 평균 반사율 B2를 더하고, 이것을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한편, 평균 반사율 C3이 평균 반사율 B3보다 크면, 평균 투과율 A3에 평균 반사율 C3을 더하고, 이것을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또한, 평균 투과율 A2에 평균 반사율 C2를 더하고, 이것을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이라고 한다.
상기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과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을 비교하여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장 400∼450nm 또는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10% 이상 낮은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400∼450nm 또는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아짐에 따라서 가시광선 투과율에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필름면에 대한 각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층은 특히 특정하는 것이 아니고, 열가소성 수지 A와 열가소성 수지 B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의 수지 중에 함유해도 좋고, 열가소성 수지 A와 열가소성 수지 B가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의 편측 또는 양측에 착색층을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반사율이 30% 이상이 되는 반사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반사율이란 입사 각도 12°로 입사된 백색광의 반사율로 한다. 이 파장 범위에 반사 대역을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게 되어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반사율이 50% 이상이 되는 반사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보다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상기 파장 범위에서 반사되는 광의 C*값이 40 미만이면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반사율이 30% 이상이 되는 반사 대역을 50nm 이상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파장 900∼1200nm에 반사를 형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1차 간섭 파장이 소망의 대역이 되는 층 두께의 층을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도, 파장 800nm 이상으로 설계된 1차 간섭 반사에 따라 발생하는 고차 간섭 반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1차 간섭 반사에 의한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과 고차 간섭 반사에 의한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열선 컷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상이고 또한 적어도 필름의 한쪽 면으로부터 계측한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대역이 확대됨에 따라서 컷팅할 수 있는 열선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에 열선 컷팅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에서, 본 발명에 대표되는 λ/4 설계라고 불리는 교대로 적층하는 층의 광학 두께를 목적의 반사 파장(1200∼1400nm)의 1/4로 하여 간섭 반사를 초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목적의 반사 대역(1200∼1400nm)에서의 반사율은 높아지지만, 목적으로 하는 반사 파장의 약 1/3의 파장에 있어서도 3차 반사라고 불리는 반사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파장 1200∼1400nm의 1/3의 파장에 해당하는 파장 400∼450nm의 반사 대역에 있어서도 강한 간섭 반사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50% 이상이 되도록 필름을 설계하면,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상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장 400∼450nm의 광이 반사되면, 반사광은 청색을 나타내게 된다. 그 때문에, 그러한 필름을 자동차나 전차 등의 탈것 또는 건물 등의 창유리에 사용하면, 색상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게다가, 광선의 입사 각도에 따라서는 간섭 반사 대역이 저파장측으로 시프트하고, 그 결과로서 3차 반사 대역도 저파장측으로 시프트하여 가시광 영역 외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사람의 눈으로 3차 반사를 감지할 수 없다. 즉, 광선의 입사 각도에 의해 3차 반사광이 청색으로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하는 것이다. 그러한 필름을 자동차나 전차 등의 탈것 또는 건물 등의 창유리에 사용하면 각도에 의해 색상이 변화되거나 가시광의 반사에 따른 비침 등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상이고, 또한 적어도 필름의 한쪽 면으로부터 계측한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시광의 반사에 의한 착색이나 비침을 억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파장 1200∼1400nm의 평균 반사율이 높아질수록 열선 컷팅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자동차, 전차 등의 탈것이나 건물의 창유리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이를 위한 달성방법은 교대로 적층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층수를 늘리는 것이며, 전체 층수가 400층 이상이면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층수가 600층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층 이상이다. 또한,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20%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낮아짐으로써 반사광의 색상이나 비침 등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달성방법은 후술한 바와 같이 착색 성분에 의한 반사광의 흡수 효과를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500∼7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이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500∼700nm에 있어서는 열선 컷팅 성능은 향상되지만, 그 효과를 상회하는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가 나타나기 때문에, 특히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파장 500∼7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을 15% 이하로 함으로써, 충분히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의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파장 500∼700nm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커짐으로써 필름면에의 비침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파장 500∼7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이 15% 이하이면 비침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500∼700nm에 있어서의 최소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뿐만 아니라 흡수에 의한 투과율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투명성이 높은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 중에 착색 성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착색 성분이란 파장 400∼800nm의 광을 흡수하는 성분을 말한다. 이러한 착색 성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착색 성분에 유래한 착색이 있지만, 적층 필름과는 달리 착색 성분은 투과율의 입사 각도의 차이에 의한 광의 흡수 대역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는 각도가 바뀌는 것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착색 성분을 사용하는 양으로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이 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높은 열선 컷팅 성능과, 투명성, 필름면에 대한 각도에서의 색상의 안정성을 양립한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착색 성분은 파장 400∼800nm의 광을 흡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지의 안료,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내후성의 관점에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적층 필름의 제조 공정이나 그 후의 유리 등으로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에, 내열성이 부족한 경우에서는 색의 변화나 표면으로의 블리딩 아웃에 따른 장치, 제품의 오염 등의 문제나, 장기 사용시의 경시 열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염료보다 내열성, 내후성이 뛰어난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용도인 탈것이나 건물 등의 창유리에 있어서는 투명도, 특히 헤이즈가 작은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기안료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유기안료를 사용함으로써 무기안료와 비교해서 적층 필름의 소재가 되는 수지에 분산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고투명, 저헤이즈의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유기안료의 예로서는 프탈로시아닌 안료, 아조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티오인디고 안료, 베리논 안료, 페릴렌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디옥사진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퀴노프탈론 안료, 이소오노돌린 안료, 니트로소 안료, 알리자린 레이크 안료, 금속 착염 아조메틴 안료, 아닐린 블랙, 알칼리 블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 성분이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비정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열선 반사 성능을 얻기 위해서,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가 결정성 수지이고, 다른쪽의 수지가 비정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되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결정성 수지에 착색 성분을 첨가하면, 연신 공정에 있어서 착색 성분이 결정성 수지의 연신에 의한 변형에 추종할 수 없어 착색 성분의 응집이나 보이드의 형성 등이 발생하여 헤이즈의 상승이나 투명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비정성 수지에 착색 성분을 첨가했을 경우에는 연신 공정에서의 착색 성분의 연신 추종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비정성 수지는 비교적 저온에서 재용융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착색 성분의 응집이나 보이드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상이고, 또한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하로 하기 위해서도 착색 성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면, 파장 400∼450nm의 광을 흡수하는 착색 성분을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 중에 포함시킴으로써, 적층 필름 내를 투과할 때에 상기 파장의 광이 착색 성분에 의해 흡수되고, 결과로서 간섭 반사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광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한 형태는 파장 650∼800nm의 광을 흡수하는 착색 성분을 병용하는 것이다. 파장 400∼450nm의 광을 흡수하는 착색 성분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파장 400∼450nm의 반사광의 평균 반사율을 억제하는 효과는 있지만, 동시에 투과광은 황색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 자동차나 전차 등의 탈것이나 건물의 창유리에 그러한 필름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투과광의 색상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투과광이 청색을 나타내는 파장 영역인 650∼800nm의 광을 흡수하는 착색 성분을 병용했을 경우, 황색과 청색의 혼색 효과에 의해 투과광의 색조를 보다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녹색으로 하거나 무채색으로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착색 성분의 첨가량 등은 적당히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가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내부 헤이즈란 표면 반사의 영향을 제외하고 헤이즈 측정을 행했을 때의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석영셀 중에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테트랄린(액체)을 채운 후에, 그 액 중에 필름을 넣어서 측정했을 때의 헤이즈 값이다. 자동차나 전차 등의 탈것이나 건물의 창유리에는 높은 투명도와 요구되어 헤이즈는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내부 헤이즈가 작은 필름은 이러한 높은 투명도가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는 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내부 헤이즈가 낮을수록 투명도가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한 것이 되고, 특히 내부 헤이즈가 0.5% 이하이면 높은 투명도, 저헤이즈가 요구되는 자동차나 전차 등의 프론트글래스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 달성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안료를 사용하는 것이나, 비정성 수지 중에 착색 성분을 함유시키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필름에 포함되는 착색 성분의 융점이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300℃ 정도까지 안정하게 압출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착색 성분의 융점이 300℃ 이하이면 압출기 내에서 착색 성분을 용융시킴으로써 내부 헤이즈를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착색 성분의 융점은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HT+50℃
여기에서, AT는 착색 성분의 융점(℃), HT는 적층 필름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가장 높은 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이다. 이러한 관계식을 만족함으로써, 적층 필름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착색 성분을 함유시켰을 때에 압출 수지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와 마찬가지로 착색 성분이 용융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 중으로의 분산 상태가 보다 좋아지기 때문에 필름의 내부 헤이즈를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색 성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적층된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착색층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착색층이 착색 성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착색 성분을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함유시킬 경우에는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와 동일한 적층 필름의 제조 공정에 의해 착색 성분을 포함한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유리한 점이나 착색 성분이 없는 경우와 거의 같은 기계적 물성·표면 특성·가공 특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탈것이나 건물용 창유리 등의 제품화를 향한 적용성에 큰 차이가 없다고 하는 메리트가 있다. 또한, 착색 성분의 선택의 폭도 넓다. 적층 필름의 한쪽 표면에만 착색층을 형성했을 경우, 착색층을 형성하지 않고 있는 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착색 성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광이 적층 필름 내에서 간섭 반사되기 때문에, 높은 반사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착색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 압출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나, 코팅,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공압출에 의한 경우,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착색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착색층이 없을 경우와 거의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고, 저비용으로 착색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코팅이나 인쇄에 의해 착색층을 형성할 경우, 특히 수지의 제약이 없어지기 때문에 착색 성분의 분산성이 뛰어나고 투명도가 높은 적층 필름을 얻는데에 적합하다. 이 경우, 착색층에 있어서의 착색 성분의 바인더로서는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바인더로서 기능하면 어떤 수지를 사용해도 좋고, 열가소성 수지이어도, 열·광경화성 수지이어도 좋다. 또한, 투명성을 갖고 있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염화비닐 수지, 비닐부티랄 수지, 셀룰로올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특히 저렴하고 광안정성이 뛰어난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 필름의 한쪽 면 상에 착색층 A, 다른쪽 면 상에 착색층 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착색층 A 및 착색층 B의 파장 W에 있어서의 흡수율 Abs(W)가 하기식 1 및 식 2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흡수율이란 입사 각도 12°로 입사된 광선에 대해서 상기 파장에 대응하는 광의 강도를 100이라고 했을 때에 착색층 A 또는 착색층 B에서 흡수된 강도의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착색층 중 파장 450nm에 있어서의 흡수율이 작은 착색층을 착색층 A, 다른쪽 착색층을 착색층 B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 색상을 볼 경우, 적층 필름의 투과광의 색상과 적층 필름의 반사광의 색상의 2종류의 광의 색상이 문제가 된다. 용도에 따라서는 허용되는 색상이 다른 경우가 있고, 특히 탈것이나 건물의 창유리 등의 인목에 접하는 용도에 있어서는 적색 빛이 있는 색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기식 2를 충족시킴으로써, 착색층 A측에서 입사된 광 중 파장 700nm 근방의 광의 대부분은 착색층 A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결과로서 파장 700nm 근방의 광의 반사광의 강도가 약화되어 청색을 띠게 된다. 또한, 파장 700nm 근방의 반사광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필름면에 대하여 0°의 입사 각도에서 보았을 때에 근적외선 영역(900∼1200nm)에 간섭 반사가 발생하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필름면에 대하여 큰 입사 각도(60°이상)에서 보았을 때에 간섭 반사의 반사 대역이 저파장 시프트했을 때에도 파장 700nm 근방에 형성된 흡수층의 효과에 의해 간섭 반사가 약화되어 색상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하기식 1을 충족시킬 경우, 비교적 허용되는 간섭색이 되는 파장 450nm 근방의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것 이외에 착색층 B의 흡수에서의 파장 450nm의 투과광의 투과율을 억제함으로써, 투과광의 색상의 안정과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색층 A는 파장 450nm의 흡수율이 10% 이하이고, 또한 착색층 B의 파장 450nm의 흡수율이 30% 이상인 것이다. 또한, 착색층 A의 파장 700nm의 흡수율이 30% 이상이고, 또한 착색층 B의 흡수율이 10% 이하이다. 이렇게, 파장 450nm 또는 파장 700nm에 있어서의 광의 흡수율이 한쪽 착색층에서 크고 다른쪽 착색층에서 높아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소망하는 효과를 얻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파장 1200∼1400nm의 광을 반사시키는 필름을 설계했을 경우, 원리적으로 파장 400∼450nm의 광도 반사되는 것이지만, 다른 용도나 필름 설계에 따라서는 청색의 반사색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기식 1 또는 2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을 충족시킴으로써, 착색층 B측에서 입사된 광 중 파장 450nm 근방의 광의 대부분은 착색층 B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결과로서 파장 450nm 근방의 광의 반사광의 강도가 약화되어 반사광의 색조를 무채색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입사 각도에 의해 반사 대역의 저파장 시프트에 따른 색상의 변화도 억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하기식 2를 충족시킴으로써, 파장 700nm 근방의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고, 게다가 착색층 A의 흡수에서의 파장 700nm의 투과광의 투과율이 간섭 반사의 저파장 시프트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투과광의 색상의 안정과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AbsA(450)<AbsB(450) 식 1
AbsA(700)>AbsB(700) 식 2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인 층을 10페어(쌍)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어란 인접하는 2층의 쌍을 가리킨다.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일 경우, 파장 약 1200∼약 1400nm의 범위에 1차 간섭 반사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고범위로 반사 대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열선 컷팅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을 600∼700nm로 형성했을 경우, 3차 간섭 반사를 약 400∼450nm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장 400∼450nm의 대역에서는 가시광선의 분포의 비율이 파장 500∼700nm의 대역과 비교해서 대폭 적기 때문에,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열선 컷팅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인 층이 10페어 이상이면, 상술한 효과를 얻는데에 바람직한 간섭 반사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인 층의 쌍이 연속해서 10페어 이상 포함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속해서 100페어 이상 포함하는 것이다.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인 층의 쌍이 연속해서 존재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간섭 반사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러한 층의 쌍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간섭 반사의 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연속하는 100페어 이상으로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가 됨으로써 파장 1200∼1400nm에서의 1차 간섭 반사의 평균 반사율도 70% 이상, 파장 400∼450nm에서의 3차 간섭 반사의 평균 반사율을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30% 이상으로 하고, 또한 적어도 필름의 한쪽 면으로부터 계측한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30% 이하로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인 층을 10페어 이상 포함하고, 또한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장 약 1200∼약 1400nm의 범위에 1차 간섭 반사를 도입함으로써, 열선 컷팅 성능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만, 한편에서 파장 400∼450nm에 3차의 간섭 반사가 발생한다. 여기에서,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층을 적어도 1층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짐으로써, 3차 간섭 반사에 의한 반사광을 착색 성분에 의해 흡수 억제할 수 있고, 적어도 필름의 한쪽 면으로부터 계측한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30% 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일사 반사율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일사 반사율이란 JIS A 5759에서 규정되는 일사 반사율이다. 일사 반사율이 30% 이상임으로써 열선의 흡수에 따른 유리의 파손을 억제하면서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15% 이상 40% 미만, 또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을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사 반사율이 30% 이상이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일사 반사율이 40% 이상이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사 반사율이 50% 이상이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시광선 투과율이란 ISO 9050에서 규정되는 TVIS이다. 일사 반사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열선 컷팅 성능이 향상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임으로써 자동차의 프론트글래스와 같이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특히 파장 400∼700nm의 반사율을 30% 이상 4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나, 후술하는 설계 방법에 의한 파장 1200nm 이상에 반사 성능을 부여함으로써 달성가능하고, 그것을 위해서는 인접하는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인 층을 10층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4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광은 특히 파장 400∼700nm의 가시광 영역에 큰 강도 분포를 구비하고 있고, 태양광의 강도의 약 44%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미만인 경우,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향상되어 착색이 없는 적층 필름이 얻어지지만, 반대로 가시광 영역 태양광을 반사하는 성능이 열화되기 때문에 그 열선 컷팅 성능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흡수에 의해 태양광의 투과를 억제할 경우, 흡수된 광의 일부가 열로서 유입되지만, 반사에 의해 태양광의 투과를 억제할 경우에는 흡수일 경우 열의 유입이 없기 때문에 열선 컷팅 성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한 것이 된다. 파장 400∼700nm에서는 전체 가시광선의 강도의 약 81%를 차지하기 때문에, 상기 영역에서의 반사율이 커지고, 즉 투과율이 저하함으로써 자동차나 전차, 건물의 창유리와 같이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하지 않게 되어 창유리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충분한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40% 미만일 필요가 있다.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40% 미만일 경우, 충분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20% 이상 40% 미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25% 이상 35% 미만이다. 이 경우, 자동차의 프론트글래스 등의 매우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인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파장 400∼700nm의 전부 또는 일부에 간섭 반사를 도입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400∼700nm 중에서 연속하는 1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차가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400∼700nm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는 각 파장에 있어서의 근소한 반사율 차이에 의해 색상에 차이가 생긴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반사 파장은 광의 입사 각도나 필름 두께의 근소한 차이에 의해서도 변화되고, 그 근소한 반사율의 차이에 의해서도 색상이 변화되는 것이다. 특히, 창유리 용도에서는 여러 각도에 있는 것을 시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다 광의 입사 각도에 의한 색상의 변화가 적은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파장 400∼700nm 중에서 연속하는 1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차가 10% 미만일 경우에 있어서는 필름 두께나 광의 입사 각도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창유리 용도로 사용하는데에 적합한 필름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400∼700nm 중에서 적어도 연속하는 1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차가 5% 미만이며, 이 경우에는 필름 두께의 차이나 광의 입사 각도의 차이에 의한 색상 차이는 거의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파장 400∼700nm에서의 전역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차가 10% 미만이다. 이 경우에는 가시광 영역 전역에서 거의 균일한 반사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필름의 착색 자체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필름 두께의 차이나 광의 입사 각도에 의하지 않고 거의 착색이 없는 필름이 된다. 이러한 적층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경사 구조를 구비한 층 두께 분포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사용해서 파장 400∼700nm의 광을 반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파장 900∼1400nm의 광을 반사하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적층된 구성 적층요소 Ln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또한 파장 400∼700nm의 광을 반사하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적층된 구성 적층요소 Lv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구성 적층요소란 설계에 관계되는 1차 반사 파장 또는 반사 대역의 광을 반사하는 층의 군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 적층요소 Ln, Lv를 구비함으로써, 파장 400∼700nm 및 파장 900∼1400nm에서의 광을 반사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한 적층 필름의 형태로서, 구성 적층요소 Ln에 포함되는 층수가 구성 적층요소 Lv에 포함되는 층수보다 많은 적층 필름이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각 구성 적층요소가 동일한 수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파장 400∼700nm에서의 반사율보다 파장 900∼1400nm에서의 반사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되고,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40% 미만이고, 또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이점의 하나로서는 필름의 두께를 불필요하게 두껍게 하지 않고 필름면에 대한 각도의 변화에 따른 색상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열선 컷팅 성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의 두께 증가에 따른 핸들링성의 저하나 맞춤 유리화 공정에 있어서의 성형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한 적층 필름의 형태로서, 구성 적층요소 Ln을 구성하는 각 층의 면내 평균 굴절률차가 구성 적층요소 Lv를 구성하는 각 층의 면내 평균 굴절률차보다 0.01 이상 큰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층수이면 면내 평균 굴절률차가 큰 구성 적층요소 Ln에서의 반사율의 쪽이 커지고,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40% 미만이고, 또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이점으로서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물성을 제어할 수 있어 보다 맞춤 유리화 공정에 적합한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적층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피드 블록을 포함하는 적층장치로 각 구성 적층요소에 대응하는 층 두께 분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구성 적층요소 Ln 및 구성 적층요소 Ln 사이에 접착층이 존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매우 넓은 대역의 광을 반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다수의 층수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층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적층장치 내에서의 유동 중에 층 두께 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쉬워져서 소망하는 층 두께 분포를 구비한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성 적층요소 Ln과 구성 적층요소 Lv가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있어서는 하나의 적층장치 내에서 필름을 얻고자 했을 경우에 적층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거나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어, 제조 장치의 비용이나 제조 스페이스, 적층 정밀도의 저하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다른 필름이 접착층을 통해서 접착되게 되면, 보다 소형 장치에서 간편하게 고정밀도로 적층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소망하는 열선 컷팅 성능의 적층 필름이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특히 열가소성 수지 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열가소성 수지 A와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이 교대로 적층되어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하기식 3을 따라 반사율이 결정된다. 보통, 본 목적에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하기식 4에서 규정되는 광학 두께의 비(k)가 1이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파장 900∼1400nm의 광을 반사하도록 설계된 구성 적층요소 Ln의 2차 반사가 억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광학 두께의 비(k)를 1.25 이상으로 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의도적으로 2차 반사를 도입함으로써, 파장 900∼1400nm의 광을 반사하는 층을 사용해서 파장 450∼700nm의 광을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3차 반사에 의해 400∼500nm의 광을 반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보다 적은 층수에 있어서도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두께가 큰 층이 비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경우, 높은 열선 컷팅 성능을 부여하면서도, 맞춤 유리 공정에서 창유리의 곡면부에서 발생하는 연신 시의 응력을 억제할 수 있어 맞춤 유리 공정에서의 성형 불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na·da+nb·db)=λ 식 3
|(na·da)/(nb·db)|=k 식 4
na: A층의 면내 평균 굴절률
nb: B층의 면내 평균 굴절률
da: A층의 층 두께(nm)
db: B층의 층 두께(nm)
λ: 주반사 파장(1차 반사 파장)
k: 광학 두께의 비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140℃에서 30분 가열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이 사용되는 용도인 탈것이나 건물의 창유리에 있어서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중간막을 2매의 유리에 끼워 넣은 맞춤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맞춤 유리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통상의 맞춤 유리의 중간막 대신에 2매의 중간막 사이에 적층 필름을 끼워 넣은 것이 사용된다. 이 맞춤 유리를 제작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100∼140℃의 범위에 있어서 중간막을 개재해서 2매의 유리와 적층 필름을 열압착시키는 공정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 때 열수축률이 큰 적층 필름을 사용하면 열수축의 결과로서 필름 중에 주름이 들어가 성형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140℃에서 30분 가열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1% 이내일 경우, 상기 맞춤 유리화의 공정에 있어서도 주름 등의 외관불량이 없는 맞춤 유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달성방법으로서, 후술하는 제막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후의 필름의 이완 처리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140℃에서 신장시의 5% 응력이 1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술한 맞춤 유리화 공정에 있어서, 유리의 곡면 부위에도 유연하게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품위가 좋은 맞춤 유리가 얻어지게 된다. 이 달성방법으로서는 다른 광학물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 비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또한 비정성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비율의 층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결정성 열가소성 수지보다 비정성 열가소성 수지의 비율이 커짐에 따라서 열압착 공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열가소성 수지 A, B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기재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 A 및 B를 펠릿 등의 형태로 준비한다. 펠릿은 필요에 따라서 열풍 중에서 또는 진공 하에서 건조된 후 별도의 압출기에 공급된다. 압출기 내에 있어서 융점 이상으로 가열 용융된 수지는 기어 펌프 등에 의해 수지의 압출량을 균일화시키고, 필터 등을 개재해서 이물이나 변성된 수지 등을 제거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A 또는 열가소성 수지 B에 착색 성분을 혼련한 펠릿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후의 공정은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때와 같은 공정으로 착색 성분을 포함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사전에 혼련한 펠릿을 사용함으로써 착색 성분이 열가소성 수지 중에 분산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착색 성분을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A 또는 열가소성 수지 B와 블렌딩해서 압출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착색 성분을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 A 또는 열가소성 수지 B의 펠릿을 준비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후의 공정은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공정으로 착색 성분을 포함한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A나 열가소성 수지 B 중에 착색 성분을 혼련할 경우와 비교하여, 일반적인 착색 성분 마스터 펠릿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또한 착색 성분의 함유량도 블렌드 비율로 수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제어성의 면에서 유리하다.
이들 2대 이상의 압출기를 사용해서 다른 유로로부터 송출된 열가소성 수지 A 및 B는 다음에 적층장치로 송입된다. 적층장치로서는 멀티매니폴드 다이나 피드 블록이나 스태틱 믹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본 발명의 구성을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미세 슬릿을 갖는 부재를 적어도 별개로 2개 이상 포함하는 피드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적층 필름의 적층 구조는 일본 특허공개 2007-307893호 공보의 [0053]∼[0063] 단에 기재된 내용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단, 슬릿 플레이트의 간격, 길이는 층 두께를 결정하는 설계값 때문에 다르다. 이하에, 도 1을 참조해서 적층 구조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의 X는 필름 폭방향을 나타내고, Y는 필름 두께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적층장치(7)는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7-307893호 공보에 설명되는 장치와 동일한 3개의 슬릿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적층장치(7)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 구조의 층 두께 분포의 예를 도 2에 나타낸다. 횡축에 층의 나열순(18), 종축에 각 층의 두께(nm)(19)를 취하면, 적층 구조는 슬릿판(71)에 의해 형성된 수지 적층류에 의한 층 두께의 경사 구조(11), 슬릿판(72)에 의해 형성된 수지의 적층류에 의한 층 두께의 경사 구조(12), 슬릿판(73)에 의해 형성된 수지의 적층류에 의한 층 두께의 경사 구조(13)의 3개의 경사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경사 구조는 다른 어느 하나의 경사 구조와 방향이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류의 불안정 현상에 의한 플로우 마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최표층에는 두께 1㎛ 이상의 후막층(20)을 형성하여 있다. 또한, 1개의 슬릿판으로 형성되는 경사 구조는 수지 A의 층 두께 분포(21)와 수지 B의 층 두께 분포(22)로 이루어지고, 그 층 두께의 비는 2대의 압출기의 수지 A 및 수지 B의 압출량의 비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층 두께의 비는 후막층을 제외한 열가소성 수지 A층의 전체 두께합과 열가소성 수지 B의 층의 전체 두께합의 비에 의해 구해진다. 각 층 두께는 적층 단면을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전체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각 층 두께도 비례해서 변화되기 때문에 층 두께의 절대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평균층 두께란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층 두께의 평균이다. 예를 들면, 601층의 층 두께 분포에 있어서는 최표층의 2층의 후막층을 제외한 나머지 599층의 박막층에 있어서, B1, A1, B2, A2, B3·····A299, B300으로 각 층이 배열되어 있을 때, 평균층 두께의 분포란 B1과 A1의 평균, B2와 A2의 평균이라고 하는 Bm, Am(m은 정수)의 평균을 순차 플롯팅해서 얻어지는 층 두께 분포가 된다.
적층장치(7)를 구성하는 각각의 슬릿판으로부터 유출된 적층 구조를 갖는 수지류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장치의 유출구(11L, 12L, 13L)로부터 유출되고, 이어서 합류기(8)에서 도 1(c)에 나타낸 11M, 12M, 13M의 단면형상으로 재배치된다. 그 다음에, 접속관(9) 내부에서 유로 단면의 필름 폭방향의 길이가 확폭되어서 금구(10)로 유입되고, 또한 매니폴드에서 확폭되어 금구(10)의 립으로부터 용융 상태에서 시트상으로 압출되고 캐스팅 드럼 상에 냉각 고화되어 미연신 필름이 얻어질 얻을 있다. 여기에서, 금구 내부에서의 확폭비인 금구 립의 필름 폭방향 길이(17)를 금구의 유입구부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길이(15)로 나눈 값을 5 이하로 함으로써, 확폭에 의한 적층 흐트러짐을 억제하고, 또한 필름 폭방향에서 반사율 및 반사 대역이 균일한 다층 적층 필름인 편광 반사체가 얻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확폭비는 3 이하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캐스팅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2축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이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말한다. 연신은 축차로 2방향으로 연신해도 좋고, 동시에 2방향으로 연신해도 좋다. 또한,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재연신을 더 행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면내 배향차를 억제할 수 있는 점이나 표면 스크레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동시 2축 연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차 2축 연신의 경우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여기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연신이란 필름에 길이방향의 분자 배향을 부여하기 위한 연신을 말하고, 통상은 롤의 주속차에 의해 실시되고, 이 연신은 1단계로 행해도 좋고, 또한 복수개의 롤쌍을 사용해서 다단계로 행해도 좋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15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2∼7배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연신 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00℃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1축 연신된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나 프레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 후, 이활성, 이접착성, 대전 방지성 등의 기능을 인라인 코팅에 의해 부여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탈것이나 건물의 창유리로서 사용하기 위한 맞춤 유리화를 행하는 경우도 많지만, 여기에서 중간막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접착성을 부여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이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코팅은 양면에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접착성 코팅 중에 착색 성분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접착성 코팅 중에 착색 성분을 구비함으로써, 착색층의 형성과 이접착성의 부여를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적층 필름의 제조공정과 같은 공정에 의해 착색 성분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폭방향의 연신이란 필름에 폭방향의 배향을 부여하기 위한 연신을 말하고, 통상은 텐터를 사용하여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하여 폭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15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2∼7배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연신 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20℃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2축 연신된 필름은 평면성, 치수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 내에서 연신 온도 이상 융점 이하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열처리한 후, 균일하게 서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권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로부터 서냉 시에 이완 처리 등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의 열처리를 행하는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 A 또는 열가소성 수지 B 중 어느 하나의 융점보다 낮고 다른쪽 융점보다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한편 열가소성 수지를 지지체로 하여 다른쪽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높게 결정 배향화한 열가소성 수지와 용융한 열가소성 수지 사이의 굴절률차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율이나 차열 성능이 높은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착색 성분을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를 열처리에 의해 용융시킬 수 있으면, 보이드 등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어 헤이즈를 억제한 투명성이 높은 필름을 얻는 것도 가능해진다.
동시 2축 연신의 경우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동시 2축 연신의 경우에는 얻어진 캐스트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나 프레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 후, 이활성, 이접착성, 대전 방지성 등의 기능을 인라인 코팅에 의해 부여해도 좋다.
다음에, 캐스트 필름을 동시 2축 텐터에 도입하고,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하여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동시 및/또는 단계적으로 연신한다. 동시 2축 연신기로서는 팬터그래프 방식, 스크류 방식, 구동 모터 방식, 리니어 모터 방식이 있지만, 임의로 연신 배율을 변경가능하고, 임의의 장소에서 이완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구동 모터 방식 또는 리니어 모터 방식이 바람직하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면적 배율로서 6∼50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면적 배율로서 8∼30배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동시 2축 연신의 경우에는 면내 배향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연신 배율을 동일하게 함과 아울러, 연신 속도도 거의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20℃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2축 연신된 필름은 평면성, 치수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어서 텐터 내에서 연신 온도 이상 융점 이하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처리 시에, 폭방향에서의 주 배향축의 분포를 억제하기 위해서, 열처리 존에 들어가기 직전 및/또는 직후에 순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열처리한 후, 균일하게 서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권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로부터 서냉 시에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이완 처리를 행해도 좋다. 열처리 존에 들어가기 직전 및/또는 직후에 순시에 길이 방향으로 이완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열수축률을 저감하기 위해서, 열처리 후의 이완 처리로서 열처리 온도 하에서의 제 1 이완 처리와 100℃ 이하에서의 제 2 이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광학특성에 큰 영향을 부여하지 않고 필름의 긴장 상태를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어 특히 150℃ 이하의 온도 조건에 있어서의 열수축률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이완 처리가 5% 이하이고, 또한 제 1과 제 2 이완 처리가 합계로 10% 이하인 것이다. 이 경우, 필름에 불필요한 주름이나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고 광학특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열수축률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착색 성분을 포함한 착색층이 얻어진 적층 필름 상에 열·광경화성 코팅이나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그 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존의 방법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의 맞춤 유리화 공정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유리에 적합한 사이즈로 컷팅 맞춤 유리로 하고, 한쪽 유리 상에 폴리비닐부티랄이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로 대표되는 중간막으로서 사용하는 수지 필름, 커팅한 적층 필름, 수지 필름, 다른쪽 유리를 배치한 후, 120℃ 분위기 하에서 1시간 정도 가열해서 가압착한다. 계속해서, 140℃, 1.5MPa까지 가압, 가열한 상태에서 30분 유지함으로써 본 접착하여 맞춤 유리를 얻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맞춤 유리는 투명도가 높고, 필름 또는 유리면에 대한 각도에 의하지 않고 색상이 안정하고 열선 컷팅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자동차나 전차, 건물 등에 사용하는 열선 컷팅 유리에 적합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실시예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물성의 측정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
특성값의 평가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층 두께, 적층수, 적층 구조
필름의 층구성은 미크로톰을 사용해서 단면을 잘라낸 샘플에 대해서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관찰에 의해 구했다. 다시 말해, 투과형 전자현미경 H-7100FA형 (Hitachi, Ltd. 제품)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75kV의 조건에서 필름의 단면을 10000∼40000배로 확대 관찰하고 단면 사진을 촬영하여 층구성 및 각 층 두께를 측정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콘트라스트를 높게 얻기 위해서, RuO4나 OsO4 등을 사용한 염색 기술을 사용했다.
(2) 층 두께의 산출 방법
(1)항에서 얻어진 약 4만배의 TEM 사진 화상을 CanonScanD123U를 사용해서 화상 사이즈 720dpi로 취입했다. 화상을 비트맵 화일(BMP) 또는 압축 화상 화일(JPEG)로 퍼스널컴퓨터에 보존하고, 그 다음에 화상처리 소프트웨어 Image-Pro Plus ver.4(판매원 Pranetron Inc.)를 사용하여 이 화일을 열고 화상 해석을 행했다. 화상 해석 처리는 수직 식 프로파일 모드에서 두께방향 위치와 폭방향의 2개의 라인 사이에 끼워진 영역의 평균 밝기의 관계를 수치 데이터로서 판독했다. 표 계산 소프트웨어(Excel 2000)를 사용하여 위치(nm)와 밝기의 데이터에 대하여 샘플링 스텝 6(발췌 6)에 의해 데이터 채용한 후에 3점 이동 평균의 수치 처리를 실시했다. 또한, 이 얻어진 주기적으로 밝기가 변화되는 데이터를 미분하고,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프로그램에 의해 그 미분 곡선의 극대값과 극소값을 판독하고, 인접하는 이들의 간격을 1층의 층 두께로서 층 두께를 산출했다. 이 조작을 사진마다 행하여 모든 층의 층 두께를 산출했다. 얻어진 층 두께 중 1㎛ 이상의 두께의 층을 후막층으로 했다. 또한, 박막층은 500nm 이하의 두께의 층으로 했다.
(3) 반사율·투과율 측정
Hitachi, Ltd. 제품의 분광 광도계(U-4100 Spectrophotomater)에 부속의 12° 정반사 부속 장치 P/N134-0104를 부착하고, 입사 각도 φ=12°에 있어서의 파장 250∼2600nm의 절대 투과율 및 반사율을 측정했다. 측정 조건: 슬릿은 2nm(가시)/자동 제어(적외)로 하고, 게인은 2로 설정하고, 주사 속도를 600nm/분으로 했다. 샘플을 필름 폭방향 중앙부에서 5cm×5cm로 잘라내어 측정했다. 이들 결과로부터, 표 1에 나타내는 특정 파장 대역의 평균 또는 최대 투과율, 반사율을 구했다. 또한, 얻어진 반사율, 투과율의 값을 사용하여 JIS A 5759 6.3.3, 6.3.5에 기재된 방법으로 일사 반사율, 가시광선 투과율을 산출했다.
(4) C*값, a*값, b*값의 산출
Hitachi, Ltd. 제품의 분광 광도계(U-4100 Spectrophotomater)에 부속의 각도 가변 투과 부속 장치를 부착하여 입사 각도 φ=45°에 있어서의 파장 250∼2600nm의 절대 투과율을 측정했다. 측정 조건: 슬릿은 2nm(가시)/자동 제어(적외)로 하고, 게인은 2로 설정하고, 주사 속도를 600nm/분으로 했다. 샘플을 필름 폭방향 중앙부에서 5cm×10cm로 잘라내어 측정했다. 얻어진 각도 45° 및 (3)항에서 측정한 각도 12°에서의 투과율과 C광원의 분광 분포와 XYZ계의 등색 함수를 사용해서 C광원 하에서의 XYZ값, 및 XYZ값을 사용해서 C*값, a*값, b*값을 산출했다. 얻어진 a*값, b*값에 대해서 각각의 각도 12° 및 각도 45°와의 차를 Δa*값, Δb*값이라고 했다.
(5) 열가소성 수지 A, B의 굴절률
JIS K7142(1996) A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6) 열수축률
샘플을 필름 폭방향 중앙부에서 길이방향 150mm×폭방향 10mm로 잘라냈다. 이 샘플편을 23℃ 60%RH의 분위기에 30분간 방치하고, 그 분위기 하에서 필름 길이 방향으로 약 100mm의 간격으로 2개의 표시를 붙이고, NIKON 제품의 만능투영기(모델 V-16A)를 사용하여 그 표시의 간격을 측정하고 그 값을 A라고 했다. 그 다음에, 샘플을 3g 중량의 하중 상태에서 150℃의 분위기 중에 30분간 방치하고, 이어서 23℃ 60%RH의 분위기 중에서 1시간 냉각, 조온 후, 먼저 붙인 표시의 간격을 측정하고, 이것을 B라고 했다. 이때, 하기 식(8)으로부터 열수축률을 구했다. 필름 길이방향(MD), 폭방향(TD) 각각에 대해서 n수는 3으로 해서 그 평균치를 채용했다.
열수축률(%) = 100×(A-B)/A ···식(8).
(7) 5% 응력
JIS-K7127(1999년)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서 인스트론 타입의 인장 시험기를 사용해서 측정했다. 또한, 신도는 필름 길이방향, 폭방향 중 어느 하나의 높은 값으로 한다. 측정은 하기의 조건으로 했다.
측정 장치: ORIENTEC CO., LTD. 제품의 필름 강신도 자동 측정장치 "Tensilon AMF/RTA―100"
시료 사이즈: 폭 10mm×시료 길이간 50mm
인장 속도: 300mm/분
측정 환경: 온도 100℃.
(8) 내부 헤이즈
필름 폭방향 중앙부에서 4cm×3.5cm의 치수로 잘라낸 것을 샘플로 했다. 장치는 헤이즈 미터(Suga Test Instruments Co., Ltd. 제품의 HGM-2DP(C광용))를 사용하고, 샘플을 석영셀 내에 넣고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테트랄린에 침지한 상태에서 측정했다. 이 경우의 캘리브레이션은 용액과 석영셀에서만 실시했다.
(9)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
Seiko Instruments Inc. 제품의 EXSTAR DSC6220을 사용하고, JIS-K-7121:1987에 준하여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을 구했다.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열가소성 수지를 전자 천평으로 5mg 계량하여 알루미늄 패킹에 끼워 넣은 것을 샘플로 하고, 상기 샘플을 SC6220을 사용하여 25℃로부터 300℃까지 20℃/분으로 승온 했다.
(실시예 1)
광학특성이 다른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 A와 열가소성 수지 B를 준비했다. 열가소성 수지 A로서 고유 점도가 0.6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했다. 이 수지 A는 결정성 수지이며, 필름화한 후의 면내 평균 굴절률은 1.66, 융점 256℃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스피로글리콜 25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30몰%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SPG·T/CHDC)를 사용했다. 또한, 이 수지 B의 고유 점도는 0.72인 비정성 수지이고, 필름화한 후의 면내 평균 굴절률은 1.55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B 중에는 착색 성분으로서 BASF 제품의 RUMOGEN 788(착색 성분 1)을 0.2중량%의 비율로 2축 압출기에서 혼련하여 펠릿상으로 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착색 성분 1은 300℃에서 융해되는 것이며, 파장 400∼45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고, 파장 600∼8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이었다. 준비한 열가소성 수지 A 및 B를 각각 2대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80℃에서 용융시켜서 혼련했다. 그 다음에, 각각 FSS 타입의 리프 디스크 필터를 5매 개재한 후, 기어 펌프로 필름의 후막층을 제외한 광학 두께의 비가 열가소성 수지 A/열가소성 수지 B=1이 되도록 계량하면서 슬릿수 201개의 슬릿 플레이트를 3매 사용한 구성인 601층 적층장치에 합류시켜서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601층 적층된 적층체로 했다. 적층체로 하는 방법은 일본 특허공개 2007-307893호 공보 [0053]∼[0056] 단의 기재에 따라 행했다. 또한, A층끼리를 포개서 형성하는 층이 있기 때문에, 슬릿 플레이트 내의 간극수는 603개가 된다. 여기에서는 슬릿 길이는 모두 일정하게 하고 슬릿 간극만 변화시킴으로써 층 두께 분포를 경사 구조로 했다. 얻어진 적층체는 열가소성 수지 A가 301층 열가소성 수지 B가 300층이며, 두께 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경사 구조를 갖고 있었다. 적층장치의 슬릿 플레이트의 간극으로부터 산출되는 목적의 층 두께 분포 패턴은 도 2로 했다. 또한, 후막층은 인접층의 20배의 두께가 되도록 슬릿 간극을 조정했다. 또한, 금구 내부에서의 확폭비인 금구 립의 필름 폭방향 길이(17)를 금구의 유입구부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길이(15)로 나눈 값을 2.5가 되도록 했다.
얻어진 캐스트 필름을 75℃로 설정한 롤군에 의해 가열한 후, 연신구간 길이 100mm 사이에서 필름 양면으로부터 라디에이션 히터에 의해 급속 가열하면서, 종 방향으로 3.3배 연신하고, 그 후 일단 냉각했다. 이어서, 이 1축 연신 필름의 양면에 공기 중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여 기재 필름의 젖음 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 막 도포액을 도포하여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을 텐터에 도입하고, 100℃의 열풍으로 예열한 후 110℃의 온도에서 횡방향으로 3.5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 내에서 24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동 온도 조건에서 폭방향으로 2%의 이완 처리를, 또한 100℃까지 급냉한 후에 폭방향으로 5%의 이완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권취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로 800∼1100nm에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구비한 적층 필름이었다.
또한, 같은 방법에서 주로 1100∼1400nm에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구비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들 2매의 필름에 대해서, 우레탄계 접착제를 다이 방식의 드라이 라미네이터를 사용해서 7㎛ 도포해서 형성한 접착층을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팅하여 1매의 적층 필름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300∼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가져서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의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97%이며,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88%,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54%였다.
(실시예 2)
적층장치로서 슬릿수 201개의 슬릿 플레이트를 2매 사용한 구성인 401층 적층장치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300∼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그 반사율은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작아서 열선 컷팅 성능이 저하하여 있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에틸렌글리콜 70몰%에 대하여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몰%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HDM 공중합 PET)[Eastman Chemical Company 제품의 PETG GN001]을 사용하고, 열가소성 수지 B 중에 착색 성분 1을 0.2중량% 더 혼련한 펠릿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여기에서 사용한 CHDM 공중합 PET는 필름화한 후의 면내 평균 굴절률이 1.575가 되는 비정성 수지였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300∼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그 반사율 및 열선 컷팅 성능은 실시예 1보다 작고 실시예 2보다 높은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이 800∼1200nm가 되도록 필름 두께를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파장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실시예 1과 비교해서 근적외선 영역의 반사 대역이 다소 좁지만, 600∼80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높은 열선 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착색 성분 1의 함유량을 0.1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파장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지만, 그 투과율의 정도는 실시예 4보다 높아져 있고, 약간 열선 컷팅 성능은 저하하여 있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한쪽 면에 착색 성분 1을 2중량% 포함한 비정성 수지인 아크릴 수지(NIPPON SHOKUBAI CO., LTD. 제품의 IRG-205)로 이루어지는 두께 5㎛의 착색층을 코팅으로 형성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갖고, 또한 600∼80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해서 보다 투명성이 높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한쪽 면에 Nippon Kayaku Co., Ltd. 제품의 YELLOW2G(착색 성분 2)를 2중량% 포함한 아크릴 수지(NIPPON SHOKUBAI CO., LTD. 제품의 IRG-205)로 이루어지는 두께 5㎛의 착색층을 코팅으로 형성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착색 성분 2는 300℃에서 융해되는 것이며, 파장 400∼45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고, 파장 600∼8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큰 착색 성분이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400∼45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갖고, 또한 400∼45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는 거의 확인할 수 없고, 실시예 1과 비교해서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 약간 황색 착색이 보여지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의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89%이며,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22%,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99%였다.
(실시예 8)
착색 성분으로서 DIC Corporation 제품의 L-50(착색 성분 3)을 4% 혼련한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착색 성분 3은 310℃에서는 완전히 용융 상태로는 되지않는 것이고, 파장 400∼45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크고, 파장 600∼8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이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300∼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55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갖고, 또한 550∼80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내고,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는 거의 확인할 수 없는 것이었지만, 가시광선 투과율 약간 낮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의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87%이며,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92%,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69%였다.
(실시예 9)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필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필름의 한쪽 면에 착색 성분 1을 2중량% 포함한 아크릴 수지(IRG-205, NIPPON SHOKUBAI CO., LTD. 제품)로 이루어지는 두께 5㎛의 착색층(A)을, 다른쪽 면에 착색 성분 2를 2중량% 포함한 아크릴 수지(IRG-205, NIPPON SHOKUBAI CO., LTD. 제품)로 이루어지는 두께 5㎛의 착색층 B를 코팅으로 형성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300∼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400∼450nm 및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갖고, 또한 400∼450nm 및 600∼80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 이외에 반사광의 색상 차이는 거의 확인할 수 없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착색층 A와 착색층 B의 파장 450nm 및 파장 700nm에 있어서의 흡수율은 이하와 같았다.
AbsA(450): 5%
AbsB(450): 58%
AbsA(700): 66%
AbsB(700): 0%.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대역 800∼1400nm의 1202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구성 적층요소 Ln). 또한, 열가소성 수지 A로서 실시예 1에 나타내는 PET 수지를, 열가소성 수지 B로서 실시예 3에 나타내는 CHDM 공중합 PET와 PET 수지를 1:1의 비율로 혼련한 수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대역 400∼800nm의 1202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구성 적층요소 Lv). 여기에서 사용한 CHDM 공중합 PET와 PET 수지의 블렌딩 혼련 후의 수지는 필름화한 후의 면내 평균 굴절률이 1.610이 되는 것이었다. 이들 2매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드라이 라미네이팅함으로써 2404층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강한 반사를, 파장 대역 400∼800nm에 약하게 균일한 반사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300∼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갖고, 또한 가시영역에도 균일한 반사를 구비하기 때문에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대역 800∼1400nm의 1202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구성 적층요소 Ln). 또한, 구성 적층요소 Ln을 작성하는데 사용한 적층장치와는 다른 층 두께 분포가 되도록 설계된 슬릿수 201개의 슬릿 플레이트를 3매 사용한 구성인 601층 적층장치를 사용하고,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대역 400∼80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구성 적층요소 Lv). 이들 2매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드라이 라미네이팅함으로써 1803층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강한 반사를, 파장대역 400∼800nm에 약하게 균일한 반사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300∼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갖고, 또한 가시영역에도 균일한 반사를 구비하기 때문에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열가소성 수지로서 착색 성분 1을 0.2중량%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 A와,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 광의 흡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가져서 높은 열선반사 성능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한편에서, 내부 헤이즈가 실시예 1에서는 0.4%이었던 것이 4.0%로 상승하여 다소 투명성 이 낮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착색 성분으로서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제품의 안료 마스터(TYL·착색 성분 4)를 2.0중량% 혼련한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20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단, 여기에서는 2매의 적층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팅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착색 성분 4는 300℃에서 용융 상태로 되는 것이며, 파장 400∼45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고, 파장 600∼8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큰 착색 성분이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400∼45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비교예 4와 비교해서 400∼45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열선 차단 성능의 향상이 보여지고,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의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88%이며,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65%,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99%였다.
(실시예 14)
착색 성분 4의 함유량을 8.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20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400∼450nm에 있어서도 현저한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실시예 13과 비교해서 열선 차단 성능의 더욱 향상이 보여지지만, 황색 착색이 두드러지는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착색 성분으로서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제품의 안료 마스터(TYL·착색 성분 5)를 3.0중량% 혼련한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20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착색 성분 5는 300℃에서 용융 상태로 되는 것이며, 파장 400∼45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과 같고, 파장 600∼8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이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비교예 4와 비교해서 600∼80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열선 차단 성능의 향상이 보여지고,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의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99%이며,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99%,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88%였다.
(실시예 16)
착색 성분 4의 함유량을 13.0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20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실시예 15와 비교해서 열선 차단 성능의 더욱 향상이 보여지지만, 약간 청색을 띠지만 착색의 정도는 약한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착색 성분으로서 착색 성분 4를 5중량%, 착색 성분 5를 3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20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400∼450nm 및 600∼80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비교예 4와 비교해서 열선 차단 성능의 더욱 향상이 보여지고, 약간 녹색을 띠지만 착색의 정도는 약한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착색 성분으로서 착색 성분 4를 5중량%, 착색 성분 5를 3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400nm의 12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서의 반사율은 충분히 작은 것이었다. 또한, 400∼450nm 및 600∼80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열선 차단 성능의 더욱 향상이 보여지고, 약간 녹색을 띠지만 착색의 정도는 약한 것이었다. 특히, 반사광의 색상은 거의 무채색으로 되고 있어 색상의 변화도 없는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착색 성분으로서 착색 성분 4를 3중량%, 착색 성분 5를 3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400nm의 12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서의 반사율은 충분히 작은 것이었다.
또한, 400∼450nm 및 600∼80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열선 차단 성능의 더욱 향상이 보여지고, 약간 녹색을 띠지만 착색의 정도는 약한 것이었다. 특히, 반사광의 색상은 거의 무채색으로 되어 있고, 실시예 1보다는 색면의 변화는 보여지지만,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색상의 변화는 작은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착색 성분으로서 착색 성분 4를 5중량%, 착색 성분 5를 3중량%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400nm의 8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서의 반사율은 충분히 작은 것이었다. 또한, 400∼450nm 및 600∼80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실시예 2와 비교해서 열선 차단 성능의 더욱 향상이 보여지고, 약간 녹색을 띠지만 착색의 정도는 약한 것이었다. 특히, 반사광의 색상은 거의 무채색으로 되고 있어 색상의 변화도 없는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착색 성분으로서 SUMIKA COLOR CO., LTD. 제품의 착색 마스터(EMB PET·착색 성분 6)를 4.0중량% 혼련한 열가소성 수지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해서 반사 대역 800∼120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한 착색 성분 6은 300℃에서 용융 상태로 되는 것이며, 파장 400∼45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크고, 파장 600∼8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이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600∼800nm에 있어서도 광의 흡수가 보여지는 것이었다. 이 필름은 비교예 4와 비교해서 600∼800nm에 흡수를 구비함으로써 열선 차단 성능의 향상이 보여지고,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의 파장 450∼6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94%이며, 파장 400∼45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84%, 파장 600∼800nm의 보정 후의 평균 투과율은 67%였다.
(비교예 1)
착색 성분 1을 0.2중량%의 비율로 2축 압출기에서 혼련한 실시예 1에 나타내는 PET 수지를 사용한 것과, 적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캐스트 필름, 연신, 열처리를 행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약간 청색을 띠지만 필름면에 대하여 색상의 변화는 감지되지 않는 것이었다. 단, 열선 컷팅 성능은 극히 낮은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A,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1202층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400nm에 구비하고 있고, 또한 ∼470nm에도 3차 반사를 구비한 필름이었다. 이 필름은 근적외선 영역에 높고 또한 넓은 반사 대역을 구비하지만, 실시예 1과 비교해서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높고, 다소 열선 반사 성능이 열화한 것이었다. 또한,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가 보여졌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반사 대역 700∼1200nm가 되도록 필름 두께를 조정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700∼1200nm에 구비하지만, 파장 400∼7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이 필름은 실시예 4와 비교해서 거의 동등한 파장 600∼800nm의 투과율이 되지만,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착색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A,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601층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파장 40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이 필름은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도 비교적 작지만, 열선 컷팅 성능은 열화한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적층장치를 사용하여 반사 대역 800∼1200nm의 601층 적층 필름과 반사 대역 310∼450nm의 601층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들 2매의 적층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드라이 라미네이팅하여 1202층 적층 필름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은 주가 되는 반사 대역을 310∼450nm 및 800∼1200nm에 구비하지만, 파장 450∼800nm에는 반사 대역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었다. 각도 12°와 각도 45°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색상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이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1]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1
[표 1-2]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2
[표 1-3]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3
[표 1-4]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4
[표 1-5]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5
[표 1-6]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6
[표 1-7]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7
[표 1-8]
Figure 112013094252729-pct00008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태양광 등으로부터 초래되는 열선을 컷팅할 수 있는 열선 컷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각도에 의한 색상의 변화가 작고, 높은 효율로 열선을 컷팅할 수 있는 열선 컷팅 필름에 관한 것이며, 자동차, 전차, 건물 등의 창유리 용도로서 적합한 것이다.
7: 적층장치 71: 슬릿 플레이트
72: 슬릿 플레이트 73: 슬릿 플레이트
8: 합류기 9: 접속관
10: 금구
11: 슬릿 플레이트(71)에 의해 형성된 층 두께의 경사 구조
12: 슬릿 플레이트(72)에 의해 형성된 층 두께의 경사 구조
13: 슬릿 플레이트(73)에 의해 형성된 층 두께의 경사 구조
11L: 슬릿 플레이트(71)의 유출구로부터의 수지 유로
12L: 슬릿 플레이트(72)의 유출구로부터의 수지 유로
13L: 슬릿 플레이트(73)의 유출구로부터의 수지 유로
11M: 슬릿 플레이트(71)의 유출구에 연통하고 합류기에 의해 배치된 수지 유로
12M: 슬릿 플레이트(72)의 유출구에 연통하고 합류기에 의해 배치된 수지 유로
13M: 슬릿 플레이트(73)의 유출구에 연통하고 합류기에 의해 배치된 수지 유로
14: 수지 유로의 폭방향 길이
15: 금구의 유입구부에서의 필름 폭방향의 길이
16: 금구 유입구부에서의 유로의 단면
17: 금구 립의 필름 폭방향 길이
18: 층의 나열순
19: 층 두께
20: 후막층의 두께를 나타내는 점
21: 열가소성 수지 A의 층 두께 분포
22: 열가소성 수지 B의 층 두께 분포

Claims (21)

  1.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각각 50층 이상 적층된 구성을 포함하고, 또한 파장 900∼12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고, 또한 입사 각도 12°로 입사한 백색광과 입사 각도 45°로 입사한 백색광에 대해서 그들의 투과광의 a*값의 차 Δa* 및 b*값의 차 Δb*이 각각 10 이하이고, 또한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적층된 구성의 편측 또는 양측에 별도의 층을 구비하고, 상기 별도의 층에 파장 400∼450nm 또는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600∼80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가 되는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400∼450nm에 있어서 투과율이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각각 50층 이상 적층된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이고, 또한 과반수의 층에 대해서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400∼6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400∼800nm에 있어서 반사율이 30% 이상이 되는 반사 대역을 50nm 이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1200∼14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상이고, 또한 적어도 필름의 한쪽 면으로부터 계측한 파장 400∼45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인접하는 층의 광학 두께의 합이 600∼700nm인 층을 10페어 이상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별도의 층은 파장 400∼45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500∼7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이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열가소성 수지 중에 착색 성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착색 성분이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비정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내부 헤이즈는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에 포함되는 착색 성분의 융점은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층은 착색층 A층 및 착색층 B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구성의 한쪽 면 상에 상기 착색층 A, 다른쪽 면 상에 상기 착색층 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착색층 A 및 착색층 B는 파장 400∼450nm 또는 파장 600∼8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50∼600nm에 있어서의 평균 투과율보다 작은 착색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착색층 A 및 착색층 B의 파장 W에 있어서의 흡수율 Abs(W)가 하기식 1 및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AbsA(450)<AbsB(450) (식 1)
    AbsA(700)>AbsB(700) (식 2)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일사 반사율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400∼700nm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5% 이상 4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파장 400∼700nm 중에서 연속하는 100nm에 있어서의 최대 반사율과 최소 반사율의 차가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900∼1400nm의 광을 반사하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적층된 구성 적층요소 Ln과 파장 400∼700nm의 광을 반사하는 다른 광학적 성질을 갖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교대로 적층된 구성 적층요소 Lv를 갖고, 상기 구성 적층요소 Ln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층수가 구성 적층요소 Lv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층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파장 900∼1400nm의 광을 반사하는 구성 적층요소 Ln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파장 400∼700nm의 광을 반사하는 구성 적층요소 Lv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또한 구성 적층요소 Ln을 구성하는 각 층의 면내 평균 굴절률차가 구성 적층요소 Lv를 구성하는 각 층의 면내 평균 굴절률차보다 0.01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140℃에서 30분 가열했을 때의 열수축률이 ±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140℃에서 신장 시의 5% 응력이 1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1.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창유리.
KR1020137027553A 2011-06-27 2012-06-22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용 창유리 KR101983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1587 2011-06-27
JP2011141587 2011-06-27
PCT/JP2012/065950 WO2013002130A1 (ja) 2011-06-27 2012-06-22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窓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327A KR20140024327A (ko) 2014-02-28
KR101983629B1 true KR101983629B1 (ko) 2019-05-29

Family

ID=4742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553A KR101983629B1 (ko) 2011-06-27 2012-06-22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용 창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2590B2 (ko)
EP (1) EP2724856B1 (ko)
JP (1) JP5867393B2 (ko)
KR (1) KR101983629B1 (ko)
CN (1) CN103608173B (ko)
WO (1) WO2013002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671B1 (ko) 2012-03-16 2019-12-0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다층 적층 필름
JP5987573B2 (ja) 2012-09-12 2016-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駆動方法
KR102041525B1 (ko) * 2012-11-20 2019-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신 성능 시험장치
JP6427925B2 (ja) * 2013-04-18 2018-11-28 東レ株式会社 ウインドウフィルム
JP6139266B2 (ja) * 2013-05-27 2017-05-31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5129759A1 (ja) * 2014-02-25 2015-09-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シート、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7129861A (ja) * 2016-01-18 2017-07-27 東レ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US10815145B2 (en) * 2016-03-31 2020-10-27 Corning Incorporated High index glass and devices incorporating such
US10732332B2 (en) 2016-11-07 2020-08-04 Toray Industries, Inc. Light source unit
JP7342651B2 (ja) 2018-11-29 2023-09-12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ム
WO2020116586A1 (ja) * 2018-12-05 2020-06-11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合わせガラス
WO2020234808A1 (en) * 2019-05-23 2020-1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film
CN115793316A (zh) * 2022-11-30 2023-03-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热辐射调控模组、热辐射调控装置及车辆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9271A (ja) 1998-01-13 2002-03-2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カラーシフトフィルム
JP2003515754A (ja) 1999-11-22 2003-05-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層光学体
WO2005040868A1 (ja) 2003-10-27 2005-05-06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
WO2005095097A1 (ja) 2004-03-31 2005-10-13 Toray Industries, Inc. 積層フィルム
JP2007176154A (ja) 2005-11-29 2007-07-12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US20070195412A1 (en) 2004-03-11 2007-08-23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Anti-reflection multi-layer laminated film
JP2008200924A (ja) * 2007-02-19 2008-09-04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0659A (en) * 1993-05-24 1994-11-01 The Dow Chemical Company Two component infrared reflecting film
JP3901911B2 (ja) 2000-04-28 2007-04-04 帝人株式会社 透明積層フィルム
KR101129113B1 (ko) * 2003-09-01 2012-03-2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반사방지필름
US7851050B2 (en) * 2003-10-14 2010-12-14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d film
CN100548664C (zh) * 2004-03-31 2009-10-14 东丽株式会社 层压薄膜
CN101243023B (zh) * 2005-08-16 2012-07-18 旭硝子株式会社 车窗用夹层玻璃
US7520608B2 (en) * 2006-03-20 2009-04-21 High Performance Optics, Inc. Color balanced ophthalmic system with selective light inhibition
JP2007307893A (ja) 2006-04-20 2007-11-29 Toray Ind Inc マット調フィルムおよび成形品
JP5264331B2 (ja) 2008-07-08 2013-08-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機能性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9271A (ja) 1998-01-13 2002-03-2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カラーシフトフィルム
JP2003515754A (ja) 1999-11-22 2003-05-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層光学体
WO2005040868A1 (ja) 2003-10-27 2005-05-06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
US20070195412A1 (en) 2004-03-11 2007-08-23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Anti-reflection multi-layer laminated film
WO2005095097A1 (ja) 2004-03-31 2005-10-13 Toray Industries, Inc. 積層フィルム
JP2007176154A (ja) 2005-11-29 2007-07-12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JP2008200924A (ja) * 2007-02-19 2008-09-04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4856B1 (en) 2020-11-25
US9452590B2 (en) 2016-09-27
CN103608173B (zh) 2015-09-02
KR20140024327A (ko) 2014-02-28
JP5867393B2 (ja) 2016-02-24
CN103608173A (zh) 2014-02-26
JPWO2013002130A1 (ja) 2015-02-23
EP2724856A1 (en) 2014-04-30
WO2013002130A1 (ja) 2013-01-03
EP2724856A4 (en) 2015-01-21
US20140127485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629B1 (ko) 적층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용 창유리
KR101084516B1 (ko) 근적외선 차폐 필름
JP6007903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
JP5807466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窓ガラス
EP2786865A1 (en) Biaxially stretched laminated polyester film, infrared-ray-shielding structure for laminated glass which comprises said film, and laminated glass comprising said film or said structure
JP6427925B2 (ja) ウインドウフィルム
JP2012030563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窓ガラス
JP7160091B2 (ja) 車両用フロントガラス
JP6225495B2 (ja) 多層積層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ラス窓部材
JP2005313586A (ja) 積層フィルム
JP2012173374A (ja) 熱線反射部材
WO2019203142A1 (ja) 車両用ドアガラス
JP2018127607A (ja) フィルム
JP6015382B2 (ja) 積層フィルムならびに遮熱部材
JP2017132255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205615A (ja) フィルム
JP7342651B2 (ja) フィルム
JP2019014836A (ja) フィルム
JP2018104536A (ja) フィルム
JP2023072756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