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629B1 -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29B1
KR101977629B1 KR1020177020445A KR20177020445A KR101977629B1 KR 101977629 B1 KR101977629 B1 KR 101977629B1 KR 1020177020445 A KR1020177020445 A KR 1020177020445A KR 20177020445 A KR20177020445 A KR 20177020445A KR 101977629 B1 KR101977629 B1 KR 10197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rim
sheet
horizontal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047A (ko
Inventor
루시아 지앙
커리 양
얀 쭈
지안후아 쭈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6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01M50/529Intercell connections through partitions, e.g. in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를 개시한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인출 시트, 및 각각이 적어도 두 개의 용접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출 시트에 용접되는 복수의 연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시트와 각 연결 시트는 별개의 부품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용접이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제조 비용이 낮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높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ELECTRIC CONNECTOR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2015년 3월 31일자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특허청에 제출한 중국특허출원 제201520188443.8호의 우선권과 그 이익을 주장하며,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여기서 원용하도록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수의 권선 코어들을 포함하는 배터리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전극 단자는 전기 커넥터를 통해 권선 코어들의 탭들과 연결된다. 전기 커넥터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고 국부적으로 얇아지고 꼬여져서 복수의 용접부를 형성한다. 복수의 용접부는 초음파 용접을 통해 탭들에 용접된다. 초음파 용접 공정 중에, 용접 헤드는 많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고, 이는 복수의 권선 코어들이 제공되는데 있어서 인접한 탭들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와 탭들 사이의 용접은 불편하고, 이는 용접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전기 커넥터의 국부 박막화 및 꼬임 공정 비용은 매우 높고, 얇아지고 꼬여진 부분은 복잡한 구조, 집중 응력, 낮은 유동 용량(flow capacity) 및 높은 전류밀도를 가진다. 다시 말해, 전기 커넥터는 고율 충전/방전에서 낮은 구조안정성뿐만 아니라, 고온 현상을 보이며,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파괴하고 안전성 문제(security problem)를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관련 기술영역에서 종래의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어느 정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커넥터는 용접의 용이성, 단순한 구조, 낮은 제조 비용,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구조, 높은 안전성 등의 다수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위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첫 번째 측면의 실시예들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전기 커넥터는: 인출 시트, 및 각각이 적어도 두 개의 용접부를 구비하며, 인출 시트에 용접되는 복수의 연결 시트;를 포함하고, 인출 시트와 각 연결 시트는 별개의 부품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용접의 용이성, 단순한 구조, 낮은 제조 비용,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구조, 높은 안전성 등의 다수의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추가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각 연결 시트와 인출 시트는 일체형으로 몰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출 시트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절곡부의 두께는 인출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출 시트는 수평부, 및 수평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연결 시트는 각각 복수의 수직부에 용접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수직부는 중간부에 버퍼부를 포함하고, 버퍼부는 탭과의 매칭을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수직부는 가장자리에 원호 변이부(arc transition)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수직부는 수평부에서 멀리 떨어진 원호 단부(arc end)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는 가장자리에 원호 변이부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는 대략 U-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각 연결 시트는: 수직 연결 림, 수직 연결 림에 연결되며 인출 시트에 용접되는 제1 수직 림, 및 수직 연결 림에 연결되며 제1 수직 림과 이격되는 제2 수직 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수직 림과 제2 수직 림은 두 개의 용접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는 대략 U-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지며, 각 연결 시트는: 수평 연결 림, 수평 연결 림에 연결되며 인출 시트에 용접되는 제3 수직 림, 및 수평 연결 림에 연결되며 제3 수직 림과 이격되는 제4 수직 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수직 림과 제4 수직 림은 두 개의 용접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는 수평 연결 림에서 멀리 떨어진 제4 수직 림의 끝단에 연결되고, 제3 수직 림을 향해 연장되는 수평 지지 림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평 지지 림은 원호 변이 방법으로 제4 수직 림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연결 시트가 제공되고, 각 연결 시트는 두 개의 용접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두 번째 측면의 실시예들은 배터리를 제공한다. 배터리는: 내부에 수용 챔버를 정의하는 셸; 상기 셸에 실장되어 상기 수용 챔버를 밀봉하는 커버 플레이트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전극 단자를 가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권선 코어; 및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인출 시트가 상기 전극 단자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권선 코어에는 탭이 제공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각 연결 시트는 상기 용접부를 통해 적어도 두 개의 권선 코어의 상기 탭에 용접된다.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는, 제조의 용이성, 낮은 비용,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퍼포먼스 등의 다수의 장점을 보인다.
탭에 용접된 연결 시트와 인출 시트는 별개의 부품이므로, 먼저 연결 시트가 탭에 용접되고, 다음에 인출 시트가 연결 시트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헤드가 인접한 탭과 간섭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며, 따라서 용접을 용이하게 하고 탭에 대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추가 측면과 효과들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거나, 혹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로부터 학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이들 및 기타 관점과 효과는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또한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전기 커넥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명세서를 통하여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들은 전체적으로 본 개시를 이해함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커넥터(40)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전기 커넥터(40)는 인출 시트(100) 및 복수의 연결 시트(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 시트(200)는 인출 시트(100)에 용접되고, 인출 시트와 복수의 연결 시트는 별개의 부품(parts)이며, 즉 전기 커넥터는 일체형 부품(integrated pieces)이 아니다. 각 연결 시트(200)는 탭(tabs)에 용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용접부(21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40)에 따르면, 인출 시트는 복수의 연결 시트(200)에 용접되고, 각 연결 시트(200)는 적어도 두 개의 용접부(210)를 포함하며, 즉 각 연결 시트(200)는 적어도 두 개의 탭에 용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 커넥터(4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수의 권선 코어 사이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인출 시트(100)와 연결 시트(200)를 비일체형 부품(non-integrated pieces)으로 구성함으로써, 연결 시트(200)의 용접부(210)의 연장 방향은 탭의 연장 방향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전기 커넥터(40)에 대한 국부 박막화 및 꼬임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즉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얇고 꼬여진 구조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는 한편으로 전기 커넥터(40)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기 커넥터(40)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용접 공정 과정에서 전기 커넥터(40)의 취약 부분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며, 전기 커넥터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전기 커넥터(40)의 유동 용량(flow capacity)을 개선하고, 높은 국부 온도를 방지하고, 따라서 안전성(security)을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전기 커넥터(40)는 비일체형 구조이므로, 따라서 용접 과정에서, 먼저 연결 시트(200)는 탭에 용접될 수 있고, 다음에 인출 시트(100)가 연결 시트(200)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는 초음파 용접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용접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40)는 용접의 편리성, 단순한 구조, 낮은 제조 비용, 안정적이고 믿을 수 있는 구조, 높은 안전성 등의 다수의 장점을 보여준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커넥터(40)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전기 커넥터(40)는 인출 시트(100) 및 복수의 연결 시트(20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연결 시트(200)가 제공되며, 각 연결 시트(200)는 두 개의 용접부(210)를 포함하고, 이는 네 개의 코어를 용접하는데 적절하다. 만일 네 개의 코어(제1 코어, 제2 코어, 제3 코어, 및 제4 코어를 포함)가 배터리로 조립되면, 코어간의 거리는 매우 작으며, 코어들은 용접 공정 중에 탭에 대한 손상 없이 견고하게 용접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40)의 인출 시트(100) 및 복수의 연결 시트(200)가 별개의 부품(separate parts)이기 때문에, 먼저 두 개의 연결 시트(200)는 각각 두 개의 코어(즉,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탭에 용접될 수 있고, 용접은 두 개의 연결 시트(200)의 용접부(210), 즉 제2 수직 림(limb)(250) 또는 제4 수직 림(280)에 적용된다. 다음에 두 개의 코어(즉 제1 코어 및 제2 코어)는 서로 겹쳐질 수 있으며, 두 개의 연결 시트(200)는 각각 두 개의 코어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위의 각각의 두 개의 코어(즉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은 외측에서 다른 코어(즉 제3 코어 또는 제4 코어)와 겹쳐질 수 있으며, 추가로 겹쳐진 코어(즉 제3 코어 또는 제4 코어)의 탭은 각 연결 시트(200)의 다른 용접부(210), 즉 제1 수직 림(240) 또는 제3 수직 림(270)과 용접될 수 있다. 다음에, 인출 시트(100)는 두 개의 연결 시트(200) 안쪽으로 연장되고 두 개의 연결 시트(200)의 다른 용접부(210), 즉 제1 수직 림(240) 또는 제3 수직 림(270)에 용접될 수 있다. 용접헤드는 용접 공정 중에 인접한 탭과 간섭하지 않으며, 따라서 용접을 용이하게 하고 탭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200)와 인출 시트(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출 시트(100)와 연결 시트(200)는 스탬핑 성형(stamping molding)을 통해 준비되고, 이는 인출 시트(100)와 연결 시트(2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인출 시트(100)와 연결 시트(200)의 구조적 안정성과 퍼포먼스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인출 시트(100)는 절곡부(bending portion)를 포함한다. 그리고 절곡부의 두께는 인출 시트(100)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크다. 다시 말해, 인출 시트(100)의 절곡부는 두께를 가지고 절곡(bending)하여 형성되고, 이는 인출 시트(100)의 절곡부의 강도와 유동 용량을 손실 없이 보장하며, 따라서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인출 시트(100)는 수평부(110) 및 복수의 수직부(120)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은 도면에서 화살표 A로 나타낸다. 수평부(110)는 배터리 커버 플레이트의 전극 단자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복수의 수직부(120)는 수평부(110)와 연결되고 각 연결 시트(200)가 각 수직부(120)에 용접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직부(120)는 복수의 연결 시트(200)를 수평부(110)와 연결시킬 수 있고, 따라서 연결 시트(200)의 위치는 탭에 용접하는데 적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각 수직부(120)는 중간부에 버퍼부(130)를 포함하고, 그리고 버퍼부(130)는 원호(arc) 형상과 같이 탭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각 수직부(120)의 상부 파트(upper part)와 하부 파트(lower part)는 버퍼부(130)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날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수직부(120)가 탭에 가까이 배열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 버퍼부(130)의 형상이 코어의 비압축 파트(un-compressed part)의 형상과 매칭되므로, 코어의 위치를 제한하고 코어의 이동을 예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에서와 같이, 각 수직부(120)는 가장자리에 원호 변이부(arc transition)을 포함하며, 즉 제1 원호 변이부(121), 이는 코어가 진동 중에 수직부(12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200)는 가장자리에 원호 변이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즉 제2 원호 변이부(220), 이는 코어가 진동 중에 연결 시트(20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에서와 같이, 각 수직부(120)는 수평부(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호 단부(arc end)(122)를 포함한다. 원호 단부(122)는 조립 가이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에서와 같이, 각 연결 시트(200)는 대략 U-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는 수직 연결 림(230), 제1 수직 림(240), 및 제2 수직 림(250)을 포함한다. 수직 연결 림(230), 제1 수직 림(240) 및 제2 수직 림(250)은 인출 시트(100)의 수직부(120)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수직 림(240) 및 제2 수직 림(250)은 수직 연결 림(230)의 두 개의 사이드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이격될 수 있고, 제1 수직 림(240)은 인출 시트(100)의 수직부(120)에 용접되고, 제1 수직 림(240)과 제2 수직 림(250)은 각각 두 개의 용접부(210)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수직 림(240)은 인출 시트(100)와 탭에 용접되고, 반면 제2 수직 림(250)은 탭에만 용접된다. 따라서 인출 시트(100)와 연결 시트(200)가 차지하는 공간은 중첩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커넥터(40)가 차지하는 공간을 상당히 감축시킬 수 있고 배터리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3에서와 같이, 각 연결 시트(200)는 대략 U-형상의 수직 단면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연결 시트(200)는 수평 연결 림(260), 제3 수직 림(270), 및 제4 수직 림(280)을 포함한다. 제3 수직 림(270)과 제4 수직 림(280)은 인출 시트(100)의 수직부(120) 외측에 위치하며, 수평 연결 림(260)은 인출 시트(100)의 수직부(120) 아래에 위치한다. 제3 수직 림(270)과 제4 수직 림(280)은 수평 연결 림(260)의 두 개의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이격될 수 있고, 제3 수직 림(270)은 인출 시트(100)의 수직부(120)에 용접되고, 제3 수직 림(270)과 제4 수직 림(280)은 각각 두 개의 용접부(210)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3 수직 림(270)은 인출 시트(100)와 탭에 용접되고, 반면 제4 수직 림(280)은 탭에만 용접된다. 따라서 인출 시트(100)와 연결 시트(200)가 차지하는 공간은 중첩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커넥터(40)가 차지하는 공간을 상당히 감축시킬 수 있고 배터리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서와 같이, 각 연결 시트(200)는 수평 지지 림(290)을 더 포함한다. 수평 지지 림(290)은 수평 연결 림(260)에서 멀리 떨어진 제4 수직 림(280)의 끝단에 연결되고, 그리고 제3 수직 림(270)을 향해 연장된다. 수평 지지 림(290)은 제4 수직 림(280)과 연결을 위한 원호 변이부를 갖는다. 위와 같은 구조로, 연결 시트(200)는 탭에 대한 스크래칭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1)를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1)는 셸(shell)(10), 커버 플레이트(20), 복수의 권선 코어, 그리고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셸(10)은 내부에 수용 챔버(11)를 정의한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셸(10)에 결합되어 수용 챔버(11)를 밀봉한다. 커버 플레이트(20)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전극 단자를 갖는다. 복수의 권선 코어는 수용 챔버(11) 내에 수용된다. 전기 커넥터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커넥터(40)이다. 전기 커넥터(40)는 수용 챔버(11) 내에 수용되고, 인출 시트(100)는 전극 단자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 권선 코어에는 탭(30)이 제공되며, 그리고 각 연결 시트(200)는 용접부(210)를 통해서 적어도 두 개의 권선 코어의 탭(30)에 용접된다.
본 개시에 따른 배터리(1)는,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40)와 함께, 제조의 편리함, 낮은 비용,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성능 등의 다수의 장점을 보여준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1)의 다른 구조 및 작동은 관련 기술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으로,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중앙", "종", "횡", "길이", "폭", "두께", "상부", "하부", "앞쪽", "뒤쪽",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꼭대기", "바닥", "내부", "외부", "시계방향", 그리고 "반시계방향"은 도면에서 기술되거나 나타난 것과 같은 위치 또는 위치관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관련 용어들은 기술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이 특정의 위치에서 구성되거나 작동되어야 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을 제한하기 위해 해석될 수 없다.
아울러,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들은 여기에서 기술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상대적으로 중요하거나 현저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숫자를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및 "제2"에 의해 정의된 특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면, "복수의"는 적어도 두 개, 예를 들어, 두 개, 세 개 등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면, "결합되는", "실장되는", "연결되는", "연결된"과 같은 용어 및 그의 파생어들은 영구 결합, 분리 가능한 결합, 또는 일체형 결합; 기계적 또는 전기적 결합, 연결 그리고 커플링; 직접 연결 또는 매개자를 통한 간접 연결; 내부 실장, 두 요소간의 결합 및 연결일 수 있으며, 당업자들은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이거나 다르게 한정되어 있지 않다면,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것은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이 아닌 이들 사이의 추가 특징을 통해 접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에", "꼭대기에" 및 "상부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직접 및/또는 간접으로 제2 특징 위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또는 단순히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의 수평 높이보다 큰 것을 나타낸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에", "하부에" 및 "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직접 및/또는 간접으로 제2 특징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또는 단순히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의 수평 높이보다 작은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언급된, "실시예", "일부 실시예", "하나의 실시예",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는 실시예 또는 예시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별한 특징, 구조, 재료, 혹은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다양한 곳에서 이러한 구(phrases)의 존재는 본 개시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인용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특별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하나 또는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시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나타내어지고 기술되었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 사상 및 원리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간단한 개조가 이루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간단한 개조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함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배터리(battery)
10: 셸(shell)
11: 수용 챔버(accommodating chamber)
20: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30: 탭(tab)
40: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100: 인출 시트(leading-out sheet)
110: 수평부(horizontal portion)
120: 수직부(vertical portion)
130: 버퍼부(buffer part)
121: 제1 원호 변이부(first arc transition)
122: 원호 단부(arc end)
200: 연결 시트(connecting sheet)
210: 용접부(welding portion)
220: 제2 원호 변이부(second arc transition)
230: 수직 연결 림(vertical connecting limb)
240: 제1 수직 림(first vertical limb)
250: 제2 수직 림(second vertical limb)
260: 수평 연결 림(horizontal connecting limb)
270: 제3 수직 림(third vertical limb)
280: 제4 수직 림(fourth vertical limb)
290: 수평 지지 림(horizontal supporting limb)

Claims (18)

  1. 인출 시트; 및
    각각이 권선코어의 탭에 용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용접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출 시트에 용접되는 복수의 연결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 시트와 각 연결 시트는 별개의 부품이며,
    상기 인출 시트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서로 대향하는 양 가장자리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부를 포함하고,
    각 수직부는 중간부에 버퍼부를 포함하고, 각 수직부의 상부 파트와 하부 파트는 상기 버퍼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며, 상기 버퍼부는 상기 탭의 형상과 매칭되는 형상을 갖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인출 시트와 각 연결 시트는 일체형으로 몰드되는(integrally moulded)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시트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의 두께는 상기 인출 시트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전기 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시트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직부에 용접되는 전기 커넥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각 수직부는 가장자리에 원호 변이부(arc transition)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각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에서 멀리 떨어진 원호 단부(arc end)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각 연결 시트는 가장자리에 원호 변이부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각 연결 시트는 U-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각 연결 시트는:
    수직 연결 림,
    상기 수직 연결 림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 시트에 용접되는 제1 수직 림, 및
    상기 수직 연결 림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수직 림과 이격되는 제2 수직 림
    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림과 제2 수직 림은 두 개의 용접부를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각 연결 시트는 U-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지며, 각 연결 시트는:
    수평 연결 림,
    상기 수평 연결 림에 연결되며 상기 인출 시트에 용접되는 제3 수직 림, 및
    상기 수평 연결 림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수직 림과 이격되는 제4 수직 림
    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직 림과 제4 수직 림은 두 개의 용접부를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각 연결 시트는 상기 수평 연결 림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제4 수직 림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수직 림을 향해 연장되는 수평 지지 림을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 림은 원호 변이 방법으로 상기 제4 수직 림에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결 시트가 제공되고, 각 연결 시트는 두 개의 용접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7. 내부에 수용 챔버를 정의하는 셸;
    상기 셸에 실장되어 상기 수용 챔버를 밀봉하는 커버 플레이트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전극 단자를 가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권선 코어; 및
    제1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인출 시트가 상기 전극 단자에 연결되는 배터리.
  18. 제17항에 있어서,
    각 권선 코어에는 탭이 제공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의 각 연결 시트는 상기 용접부를 통해 적어도 두 개의 권선 코어의 상기 탭에 용접되는 배터리.
KR1020177020445A 2015-03-31 2016-03-31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KR101977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188443.8 2015-03-31
CN201520188443.8U CN204596866U (zh) 2015-03-31 2015-03-31 电连接件和具有它的电池
PCT/CN2016/077994 WO2016155642A1 (en) 2015-03-31 2016-03-31 Electric connector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047A KR20170096047A (ko) 2017-08-23
KR101977629B1 true KR101977629B1 (ko) 2019-05-14

Family

ID=5393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445A KR101977629B1 (ko) 2015-03-31 2016-03-31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46065A1 (ko)
EP (1) EP3278382B1 (ko)
JP (1) JP2018509745A (ko)
KR (1) KR101977629B1 (ko)
CN (1) CN204596866U (ko)
WO (1) WO2016155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596866U (zh) * 2015-03-31 2015-08-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连接件和具有它的电池
JP6788821B2 (ja) * 2016-05-31 2020-11-2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蓄電装置、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DE102017204197B4 (de) * 2017-03-14 2022-12-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assebolzen für ein Kraftfahrzeug
CN111785885B (zh) * 2020-07-23 2022-07-19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组件及电动设备
CN114188673B (zh) * 2021-12-09 2024-03-19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电芯及电子设备
CN115338495A (zh) * 2022-07-25 2022-11-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一种陶瓷管壳气密封装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7431A1 (en) 2004-06-23 2005-12-29 Kyu-Woong Cho Rechargeable battery
JP2006051664A (ja) 2004-08-11 2006-02-23 Miyakoshi Printing Machinery Co Ltd 塗液供給装置
US20110052976A1 (en) 2009-08-27 2011-03-03 Hideyuki Ishii Battery
JP201300422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Vehicle Energy Ltd 角形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8440334B2 (en) 2009-03-30 2013-05-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20130157095A1 (en) 2010-09-29 2013-06-20 Hitachi Vehicle Energy,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20130260215A1 (en) 2012-03-28 2013-10-03 Robert Bosch Gmbh Rechargeable battery
WO2013168466A1 (ja) 2012-05-10 2013-11-1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US8614018B2 (en) 2010-01-26 2013-12-2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14042005A1 (ja) * 2012-09-12 2014-03-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2014096388A (ja) 2014-01-24 2014-05-22 Gs Yuasa Corp 電池
US8828590B2 (en) 2010-08-19 2014-09-09 Gs Yuasa International Ltd. Electric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current collect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rent collect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4227A (en) * 1983-07-18 1985-11-19 Japan Storage Battery Company Limited Alkaline battery
JPH1125951A (ja) * 1997-07-07 1999-01-29 Sanyo Electric Co Ltd 電 池
JPH11354095A (ja) * 1998-06-08 1999-12-2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WO2003100886A1 (en) * 2002-05-27 2003-12-0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Battery
CN202495505U (zh) * 2011-11-25 2012-10-17 深圳市比亚迪锂电池有限公司 一种电连接件以及一种电池
JP6048080B2 (ja) * 2011-11-29 2016-12-2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DE102012217478A1 (de) * 2012-09-26 2014-03-27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Stromabnehmer zur Gehäusekontaktierung
US20140272490A1 (en) * 2013-03-12 2014-09-18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10333113B2 (en) * 2013-06-19 2019-06-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retainer
KR101502899B1 (ko) * 2013-07-09 2015-03-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2015092457A (ja) * 2013-09-30 2015-05-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角型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6293501B2 (ja) * 2014-01-29 2018-03-14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314084B1 (ko) * 2014-04-04 2021-10-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204596866U (zh) * 2015-03-31 2015-08-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连接件和具有它的电池
CN105186155B (zh) * 2015-07-30 2018-04-13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线缆连接器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7431A1 (en) 2004-06-23 2005-12-29 Kyu-Woong Cho Rechargeable battery
JP2006051664A (ja) 2004-08-11 2006-02-23 Miyakoshi Printing Machinery Co Ltd 塗液供給装置
US8440334B2 (en) 2009-03-30 2013-05-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20110052976A1 (en) 2009-08-27 2011-03-03 Hideyuki Ishii Battery
US8614018B2 (en) 2010-01-26 2013-12-2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828590B2 (en) 2010-08-19 2014-09-09 Gs Yuasa International Ltd. Electric storage device provided with current collecting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rent collecting member
US20130157095A1 (en) 2010-09-29 2013-06-20 Hitachi Vehicle Energy,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201300422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Vehicle Energy Ltd 角形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60215A1 (en) 2012-03-28 2013-10-03 Robert Bosch Gmbh Rechargeable battery
WO2013168466A1 (ja) 2012-05-10 2013-11-1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WO2014042005A1 (ja) * 2012-09-12 2014-03-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2014096388A (ja) 2014-01-24 2014-05-22 Gs Yuasa Corp 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8382A1 (en) 2018-02-07
KR20170096047A (ko) 2017-08-23
CN204596866U (zh) 2015-08-26
JP2018509745A (ja) 2018-04-05
EP3278382B1 (en) 2019-06-26
EP3278382A4 (en) 2018-02-07
US20170346065A1 (en) 2017-11-30
WO2016155642A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629B1 (ko)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CN103534834B (zh) 电池组及车辆
KR101991850B1 (ko) 전기 자동차용 박막 커패시터
EP3930031B1 (en) Battery
US9231236B2 (en) Battery pack
KR101909616B1 (ko) 배터리 스페이서, 전기 코어 보호 어셈블리 및 파워 배터리
US9570723B2 (en) Electric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 storage apparatus
CN102377140A (zh) 电气接线箱
JP6517936B2 (ja) 薄膜コンデンサ
JP5334482B2 (ja) 組電池
US10461290B2 (en) Electric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 storage apparatus
CN208111590U (zh) 二次电池
JP2018174052A (ja) 配線モジュール
CN109671878B (zh) 电池顶盖组件及二次电池
JP6305065B2 (ja) 電池
CN205070082U (zh) 一种插座
JP2008075547A (ja) 電動圧縮機の過負荷リレー保持装置
CN115377568B (zh) 扣式电池以及扣式电池的制备方法
JP7014655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WO2024066163A1 (zh) 单体电池及电池包
JP5429958B2 (ja) チョークコイル及びトランス、並びに巻線の製造方法
CN220138463U (zh) 单体电池及电池包
KR102053842B1 (ko)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러한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CN210628527U (zh) 一种端子连接片、电池组以及电池包
EP3859817B1 (en)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