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790B1 -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790B1
KR101972790B1 KR1020190033477A KR20190033477A KR101972790B1 KR 101972790 B1 KR101972790 B1 KR 101972790B1 KR 1020190033477 A KR1020190033477 A KR 1020190033477A KR 20190033477 A KR20190033477 A KR 20190033477A KR 101972790 B1 KR101972790 B1 KR 10197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block
drum
turn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790B9 (ko
Inventor
오철규
Original Assignee
오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2826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727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규 filed Critical 오철규
Priority to KR102019003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790B1/ko
Publication of KR10197279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79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before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05Stacking of articles by using insertions or spacers between the stack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8Cross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주제드럼이 안착되고 안착된 주제드럼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주제드럼 내부의 주제를 공급하는 주제부; 경화제드럼이 안착되고 경화제드럼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경화제드럼 내부의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부; 주제부의 주제드럼 및 경화제부의 경화제드럼 둘레에 결합되어서 주제 및 경화제를 가열하는 히팅부; 제작된 단열블록을 파지하여서 자동이송라인에 안착시키는 픽업부;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어서 픽업부에 의해 픽업된 단열블록을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 이송컨베이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단열블록의 혼합액 도포면을 청소하는 청소부; 청소부 일측의 이송컨베이어부 상에 설치되고, 주제부 및 경화제부에 연결되어서 주제부 및 경화제부로부터 공급된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액을 단열블록에 도포하는 분사부; 이송컨베이어부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서 분사부에 의해 혼합액이 도포된 이송컨베이어부 상부의 단열블록을 파지하여서 적층공간에 적층시키되, 기적층된 단열블록의 혼합액이 적층되는 단열블록에 혼합액이 묻지 않도록 기적층된 단열블록의 상부면에 다수의 스페이서를 낙하시켜서 위치시키고 적층되는 단열블록이 스페이서들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열블록적층부; 적층공간에 적층된 단열블록을 파지하여서 혼합액이 도포된 도포면을 선박 화물창의 단열블록 부착면에 대향되도록 터닝시키는 단열블록터닝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제드럼 및 경화제드럼의 교체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주제드럼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히팅부의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팔로어플레이트가 주제드럼으로부터 원활히 분리되고, 단열블록에 이액혼합액을 도포하기 전에 단열블록의 도포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으며, 단열블록 일면에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여러개의 단열블록들을 적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된 단열블록을 Y축 방향으로 터닝시켜서 이송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Mixture application system for insulation block of ship forepeak}
본 발명은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제드럼 및 경화제드럼의 교체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주제드럼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히팅부의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팔로어플레이트가 주제드럼으로부터 원활히 분리되고, 단열블록에 이액혼합액을 도포하기 전에 단열블록의 도포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으며, 단열블록 일면에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여러개의 단열블록들을 적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된 단열블록을 Y축 방향으로 터닝시켜서 이송시킬 수 있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서로 종류가 다른 액상물질인 이액(異液)을 정해진 유량과 압력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고점도의 에폭시, 우레탄, 실리콘 및 도료 등과 같은 혼합 비율의 변화없이 고점도의 수지를 혼합 공급하고, 주제와 경화제 등과 같은 특수 물질을 혼합시켜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혼합되는 각종 수지 물질이나 분체되는 도료의 주제와 경화제를 정확한 양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으로 토출량의 오차범위가 적고, 정량 주입, 정확한 계량에 의한 혼합이 가능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종래의 이액 혼합 장치는, 몸체부, 공급이송부, 공급부, 펌핑부, 혼합토출부,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몸체부는, 이액을 혼합 토출하기 위해서 이액의 원료캔이 각각 안착되도록 원료안착부들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이송바퀴가 구비된다.
공급이송부는, 원료캔 내부에 위치된 공급부의 공급플랜지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부에 설치된 이송실린더와, 이송실린더의 상단에 설치되는 이송고정플레이트와, 상단이 이송고정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하단이 공급플랜지에 연결되어서 이송실린더의 작동시 공급플랜지를 승강시키는 이송바로 이루어진다.
공급부는, 원료캔의 내부에 구비되고 공급이송부의 이송바에 연결되어서 이송실린더의 작동시 원료캔 내부에서 승강되며 이송실린더에 의해 하강될 시 원료캔 내부의 이액을 펌핑부 측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공급플랜지와, 공급플랜지의 둘레에 설치되어서 공급플랜지 및 이송캔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링과, 공급플랜지에 설치되어서 원료캔 내부의 이액이 공급플랜지를 통과하여서 펌핑부로 공급될 시 이를 가열하는 가열부로 이루어진다.
펌핑부는, 공급부의 공급플랜지에 연결되어서 원료캔 내부의 이액이 공급플랜지를 통해 혼합토출부 측으로 펌핑되도록 하는 기어펌프와, 공급이송부의 이송바에 설치되어서 이송바의 승강시 이와 함께 승강되고 기어펌프에 연결되어서 기어펌프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모터축과 기어펌프의 구동축 사이에 구비되는 커플링으로 이루어진다.
혼합토출부는, 공급플랜지에 연결되어서 주제와 경화제가 공급되는 이액공급부와, 이액공급부에 연결되어서 이액공급부로 공급된 이액을 혼합시키는 혼합부와, 혼합부에 연결되어서 혼합된 이액을 토출시키는 토출노즐과, 공급플랜지 및 이액공급부 사이의 이송라인에 설치되어서 토출노즐 측으로 공급되는 이액의 토출압력을 센싱하는 토출압력센서와, 토출압력센서에 연결되어서 측정된 토출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로 이루어진다.
제어부는, 공급이송부, 공급부, 혼합토출부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공급이송부의 이송실린더를 작동시켜서 공급플랜지를 최상측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몸체부의 원료안착부들에 주제 원료캔과 경화제 원료캔을 각각 안착시킨다. 몸체에 원료캔들이 안착되면 공급이송부의 이송실린더를 작동시켜서 공급플랜지를 원료캔의 내부 하측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공급부의 펌핑부가 구동되어서 원료캔들 내부의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토출부 측으로 공급한다. 원료캔 내부의 주제 및 경화제는 공급이송부 및 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혼합토출부 측으로 원활히 토출되는 바, 공급이송부의 공급플랜지가 하강되면서 원료캔 내부를 가압하여서 펌핑하고, 펌핑부가 구동되면서 원료캔 내부의 주제 및 경화제가 혼합토출부 측으로 재차 펌핑된다.
원료캔 내부의 주제 및 경화제는 공급이송부 및 공급부에 의해 공급플랜지를 통과한 후 혼합토출부 측으로 펌핑되는 동안 가열부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가열된 주제 및 경화제는 유동성이 증가되므로 혼합토출부 측으로 원활히 공급될 뿐 아니라, 혼합토출부에서 용이하게 교반된다. 주제 및 경화제는 혼합토출부의 혼합부를 통과하면서 혼합되고, 혼합된 이액 혼합액은 토출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단열블록이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혼합토출부는 단열블록의 상부면에 이액 혼합액을 토출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주제 원료캔 및 경화제 원료캔을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주제 및 경화제를 다 사용한 원료캔은 비교적 가벼워서 몸체부의 원료안착부에서 분리시키기가 비교적 쉬우나, 새로운 주제 및 경화제 원료캔은 중량물이어서 몸체부의 원료안착부에 안착시키 위해 포크 리프트 등의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였다.
둘째, 종래의 히터부는 공급이송부의 공급플랜지에 고정 설치되어서 공급플랜지를 통과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가열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히터부는 공급플랜지를 통과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가열하는 구조이며, 원료캔 내부 전체를 가열하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원료캔 내부의 주제 및 경화제는 공급플랜지로 공급될 때까지 충분히 가열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원료캔 내부의 주제 및 경화제가 공급플랜지 측으로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히터부는 공급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므로 히터부의 고장시 분리하여 수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셋째, 공급플랜지가 원료캔의 바닥까지 하강하여서 원료캔 내부의 주제 및 경화제가 모두 소진되면 공급플랜지를 상승시켜서 원료캔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데, 그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즉, 공급플랜지의 하부면과 원료캔 사이의 공간은 진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플랜지를 분리하기 위해 이송실린더를 작동시켜도 공급플랜지가 원료캔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이송실린더에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이송실린더의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넷째, 종래의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작업자가 단열블록을 일일이 이송컨베이어 상에 올려 놓아야 한다. 따라서, 단열블록을 이송컨베이어 상에 올려놓는 작업을 위해 별도의 사람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상승되었다.
다섯째, 제작된 단열블록은 제작이나 보관, 운반시 외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을 수 있으며, 이물질이 묻은 상태에서 이액혼합액이 도포될 시 접착성이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선박 화물창의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섯째,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은 선박 화물창의 벽면에 부착시키기 전에 잠시 적재시킬 필요가 있는데, 단열블록 일면에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여러개의 단열블록들을 적재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들은 바닥에 하나씩 펼쳐 놓거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일곱째,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을 화물창의 내측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들어 올린 후 단열블록의 도포부위를 화물창 내측면에 대향되도록 단열블록의 위치를 변경시킨 다음 부착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22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494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제드럼 및 경화제드럼의 교체 작업이 매우 간편하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제드럼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히팅부의 착탈이 매우 간편하며, 히팅부의 유지보수가 매우 간편하고, 히팅부가 주제드럼에 장착되면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로어플레이트가 주제드럼으로부터 원활히 분리되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된 단열블록을 이송컨베이어부에 자동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블록에 이액혼합액을 도포하기 전에 단열블록의 도포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블록 일면에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여러개의 단열블록들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블록을 자동으로 터닝시켜서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의 도포면을 화물창의 내측면에 대향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X축 방향으로 이송된 단열블록을 Y축 방향으로 터닝시켜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주제드럼이 안착되고 안착된 주제드럼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주제드럼 내부의 주제를 공급하는 주제부; 경화제드럼이 안착되고 경화제드럼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경화제드럼 내부의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부; 주제부의 주제드럼 및 경화제부의 경화제드럼 둘레에 결합되어서 주제 및 경화제를 가열하는 히팅부; 제작된 단열블록을 파지하여서 자동이송라인에 안착시키는 픽업부;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어서 픽업부에 의해 픽업된 단열블록을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 이송컨베이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단열블록의 혼합액 도포면을 청소하는 청소부; 청소부 일측의 이송컨베이어부 상에 설치되고, 주제부 및 경화제부에 연결되어서 주제부 및 경화제부로부터 공급된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액을 단열블록에 도포하는 분사부; 이송컨베이어부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서 분사부에 의해 혼합액이 도포된 이송컨베이어부 상부의 단열블록을 파지하여서 적층공간에 적층시키되, 기적층된 단열블록의 혼합액이 적층되는 단열블록에 혼합액이 묻지 않도록 기적층된 단열블록의 상부면에 다수의 스페이서를 낙하시켜서 위치시키고 적층되는 단열블록이 스페이서들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열블록적층부; 적층공간에 적층된 단열블록을 파지하여서 혼합액이 도포된 도포면을 선박 화물창의 단열블록 부착면에 대향되도록 터닝시키는 단열블록터닝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원료안내면에는, 점성유체가이드홈들이 형성되되, 점성유체가이드홈들은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점성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원료안내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점성유체가이드홈의 횡단면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지며,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일부의 점성유체가 점성유체가이드홈을 따라 팔로어플레이트의 출구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여서, 가압되는 점성유체가 팔로어플레이트의 출구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구비되고, 점성유체가이드홈에는 마찰력저감코팅층이 도포된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하부베이스프레임에는, 주제드럼이 하부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되면 주제드럼의 하부단턱에 안착되면서 주제드럼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드럼픽싱플레이트가 구비되며, 하부베이스프레임 및 드럼픽싱플레이트 사이에는 드럼픽싱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가 구비되며, 주제드럼이 하부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 이송될시 드럼픽싱플레이트가 주제드럼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가 주제드럼이 하부베이스프레임 상에 안착되면 드럼픽싱플레이트가 상승되어서 주제드럼의 하부단턱에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히팅부는, 주제드럼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제1히터 및 제1히터를 감싸는 제1히팅커버로 이루어진 제1히팅부와, 제1히팅부와 한쌍을 이루고, 주제드럼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제2히터 및 제2히터를 감싸는 제2히팅커버로 이루어진 제2히팅부와, 제1히팅부 및 제2히팅부의 대응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코일인장코일스프링과, 제1히팅부에 구비되는 착탈편과, 제2히팅부에 구비되고 착탈편에 착탈되는 착탈레버로 이루어져서, 히팅부가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착탈되도록 구비되며; 주제드럼의 외주면 원둘레 길이가, 제1히팅부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제2히팅부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인장코일스프링의 길이의 합보다 길어서, 제1히팅부 및 제2히팅부가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착탈레버로 체결될 시, 인장코일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제1히팅부 및 제2히팅부가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픽업부는, 이송컨베이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픽업프레임과, 픽업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이송레일과, 수평이송레일에 결합되어서 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수평이송프레임과, 수평이송프레임에 설치되어서 수평이송프레임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이송되고 단열블록을 승강시키는 픽업승강실린더와, 픽업승강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고정되고 픽업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패드고정판과, 패드고정판에 설치되고 단열블록을 흡착하는 진공패드와, 패드고정판에 설치되고 진공패드에 연결되어서 진공패드에 진공을 형성시켜 흡착력을 부가하는 진공펌프와, 수평이송프레임에 고정되는 픽업가이드와, 픽업가이드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패드고정판에 고정되어서 패드고정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픽업가이드바와, 수평이송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수평이송프레임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픽업프레임 상부의 로드고정단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드의 신축시 수평이송프레임이 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하는 수평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청소부는, 픽업부 일측의 이송컨베이어부 상부에 설치되고 단열블록의 혼합액 도포면이 통과하며 에어탱크에 연결되어서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분배관과, 에어분배관에 복수개 설치되고 에어분배관에 공급된 에어가 분사되어서 단열블록의 혼합액 도포면을 청소하는 청소노즐과, 에어탱크와 에어분배관에 연결되어서 에어탱크의 에어를 에어분배관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호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단열블록적층부는, 적층부프레임과, 적층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층부수평이송레일과, 적층부수평이송레일에 결합되어서 적층부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적층부수평이송판과, 적층부수평이송판 상에 고정되고 적층부수평이송판과 함께 수평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적층부승강구동모터와, 적층부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적층부승강구동모터에 연결되어서 적층부승강구동모터의 구동시 승강되는 그리퍼설치판과, 적층부승강구동모터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와, 적층부수평이송판 상에 고정되는 가이드풀리와, 일단이 구동풀리에 권취되고 가이드풀리를 경유하며 타단이 그리퍼설치판에 고정되어서 적층부승강구동모터의 구동시 그리퍼설치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벨트와, 그리퍼설치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퍼수평이송레일과, 그리퍼수평이송레일에 결합되고 그리퍼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단열블록을 파지하는 그리퍼와, 그리퍼설치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일단이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의 작동실린더로드 단부가 그리퍼에 결합되어서 그리퍼가 그리퍼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그리퍼작동실린더와, 적층부수평이송판에 결합되는 안내로드가이드와, 안내로드가이드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그리퍼설치판에 결합되어서 그리퍼설치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설치판승강안내로드와, 적층부수평이송판 상부에 설치되는 적층부수평구동모터와, 적층부수평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층부수평구동모터에 구동벨트로 연결되는 구동타이밍풀리와, 적층부수평이송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타이밍풀리에 연결되어서 구동타이밍풀리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전동타이밍풀리와, 일단이 적층부수평이송판의 일단에 고정되고 구동타이밍풀리 및 전동타이밍풀리를 경유하며 타단이 적층부수평이송판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적층부수평구동모터의 구동시 적층부수평이송판이 적층부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타이밍벨트와, 그리퍼설치판에 설치되어서 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이 적재되면 적재된 단열블록의 상부면에 다수의 스페이서를 공급하는 스페이서공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스페이서공급부는, 그리퍼설치판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내에 다수 적재되어서 수납되는 스페이서와, 카트리지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공급부하판과, 공급부하판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공급모터와, 스페이서공급모터에 연결되어서 스페이서공급모터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풀리와, 공급부하판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전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전동풀리에 체결되는 전동벨트와, 전동풀리의 하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전동풀리와 함께 회전되고 카트리지에 수납된 스페이서들 중에서 최하측의 스페이서 하단을 지지하며 전동풀리가 1회전될 때마다 최하측의 스페이서가 낙하되도록 제2낙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2스토퍼와, 전동풀리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전동풀리와 함께 회전되고 카트리지에 수납된 스페이서들 중에서 하측에서 두 번째 스페이서 하단을 지지하며 전동풀리가 1회전될 때마다 하측에서 두 번째 스페이서가 낙하되어서 제2스토퍼에 지지되도록 제1낙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스토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단열블록터닝부는, 이송컨베이어부 상에 설치되고 적재된 단열블록이 위치되는 터닝부고정프레임과, 터닝부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터닝부고정브라켓과, 터닝부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터닝구동모터와, 터닝구동모터에 연결되어서 터닝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터닝구동풀리와, 터닝부고정브라켓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고 터닝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는 터닝전동풀리와, 터닝구동풀리 및 터닝전동풀리에 연결되어서 터닝구동풀리의 회전력을 터닝전동풀리에 전달하는 터닝전동벨트와, 회전축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클램프연결브라켓과, 클램프연결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서 회전축의 회전시 클램프연결브라켓과 함께 회전되는 클램프작동실린더와, 클램프작동실린더에 연결되어서 클램프작동실린더의 작동시 단열블록 측으로 이송되면서 단열블록의 측면을 파지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이송컨베이어부는, 픽업부에 의해 픽업된 단열블록이 청소부, 분사부를 경유하도록 이송시키는 X축이송컨베이어와, X축이송컨베이어의 일측에 X축이송컨베이어와 직교하도록 설치되어서 청소부, 분사부를 경유한 단열블록을 단열블록적층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Y축이송컨베이어와, X축이송컨베이어 및 Y축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서 X축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을 Y축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도록 하는 터닝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터닝컨베이어는, X축이송컨베이어 및 Y축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터닝컨베이어프레임과, 터닝컨베이어프레임 상부에 다수 배열되고 X축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이 터닝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이송시키는 X축이송롤러와, Y축이송컨베이어에 대향되는 일단이 터닝컨베이어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과,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에 결합되고 X축이송롤러 상부에 위치한 단열블록을 Y축이송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키는 Y축이송롤러들과, 터닝컨베이어프레임에 설치되고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에 연결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로 이루어지며;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이 수평상태일 경우, Y축이송롤러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의 저면은 X축이송롤러에 접촉되고, 각도조절실린더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의 일단이 상승될 경우, Y축이송롤러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의 저면은 Y축이송롤러들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보조안착부에 안착된 주제드럼을 하부베이스프레임 측으로 밀면 이송롤러가 공회전되면서 중량의 주제드럼이 하부베이스프레임 측으로 이송되고, 하부베이스프레임의 드럼가이드바를 따라 하부베이스프레임 상부로 이송되며, 드럼픽싱플레이트에 안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중량의 주제드럼을 간단히 밀어서 하부베이스프레임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하부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드럼픽싱플레이트에 의해 이동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히팅부가,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착탈되도록 제1히팅부 및 제2히팅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제드럼의 외주면 원둘레 길이가, 제1히팅부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제2히팅부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인장코일스프링의 길이의 합보다 길어서, 제1히팅부 및 제2히팅부가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착탈레버로 체결될 시, 인장코일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제1히팅부 및 제2히팅부가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주제드럼의 둘레에 히팅부가 체결되므로 주제드럼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히팅부의 착탈이 매우 간편하여서 히팅부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히팅부가 주제드럼에 장착되면 인장코일스프링에 의해 주제드럼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므로, 히팅부의 열이 주제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부의 일측에는 단열블록을 이송컨베이어부에 안착시키도록 픽업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작된 단열블록을 이송컨베이어부에 자동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부의 상부에는 에어분배관 및 청소노즐이 구비된 청소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열블록이 이송컨베이어부를 따라 이송될 때에 단열블록의 도포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열블록에 이액혼합액을 도포하기 전에 단열블록의 도포면이 청소되므로 접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이 적재공간에 적재되면 스페이서공급부에서 스페이서가 낙하되어서 이액혼합액 사이로 다수개 배열된다. 따라서 적재된 상하의 단열블록들 사이에 스페이서가 자동으로 공급되어서 구비되므로 하측의 단열블록에 도포된 이액혼합액이 상측의 단열블록에 묻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단열블록을 다수 적재시킬 수 있으므로 적재공간 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부 일측의 적재공간에는 적재된 단열블록을 파지하여서 터닝시키도록 단열블록터닝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단열블록터닝부는, 적재된 단열블록을 자동으로 터닝시켜서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의 도포면을 화물창의 내측면에 대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열블록의 접착면을 선박 화물창의 부착면에 자동으로 대향시킬 수 있으므로, 단열블록을 선박 화물창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X축이송컨베이어와 Y축이송컨베이어 사이에는 터닝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터닝컨베이어는 터닝컨베이어프레임에 설치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과,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에 연결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가 구비된다. 이러한 터닝컨베이어는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이 수평상태일 경우, Y축이송롤러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의 저면은 X축이송롤러에 접촉되고, 각도조절실린더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의 일단이 상승될 경우, Y축이송롤러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의 저면은 Y축이송롤러들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X축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이 터닝컨베이어 상에 위치되면 각도조절실린더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 및 Y축이송롤러들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들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터닝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단열블록이 경사지게 배열된 Y축이송롤러들에 의해 Y축이송컨베이어 측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X축이송컨베이어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된 컨베이어는 터닝컨베이어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팔로어플레이트의 원료안내면에는, 점성유체가이드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성유체가이드홈들은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점성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원료안내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점성유체가이드홈의 횡단면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일부의 점성유체가 점성유체가이드홈을 따라 팔로어플레이트의 출구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여서, 가압되는 점성유체가 팔로어플레이트의 출구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므로, 점성유체가 원료안내면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점성유체가이드홈에는 마찰력저감코팅층이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팔로어플레이트가 가압될 시, 점성유체가이드홈 내부로 진입된 주제가 점성유체가이드홈 이외에 위치한 주제보다 흐름이 더 빠르며, 이에 따라 주제가 신속히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하부베이스프레임에는 드럼픽싱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주제드럼이 하부베이스프레임 측으로 이동될시에는 드럼픽싱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주제드럼이 하부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되면 승강부가 구동되어서 드럼픽싱플레이트를 상승시켜서 주제드럼의 하부단턱에 안착시킨다. 그러므로 하부베이스프레임에 안착된 주제드럼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하부베이스프레임 및 드럼픽싱플레이트를 보인 부분 발췌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넌리턴밸브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분사부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팔로어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및 저면도
도 12는 드럼픽싱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발췌 정면도
도 13 및 도 14는 히팅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및 배면도
도 15 및 도 16은 픽업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7 및 도 18은 청소부를 보인 개략적 발췌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9 및 도 20은 단열블록적층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1은 단열블록적층부의 수평 이송수단을 보인 개략적 발췌 정면도
도 22는 스페이서공급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23 및 도 24는 단열블록터닝부를 보인 개략적 발췌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5는 단열블록터닝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26은 이송컨베이어부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27은 터닝컨베이어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하부베이스프레임 및 드럼픽싱플레이트를 보인 부분 발췌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넌리턴밸브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분사부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팔로어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2는 드럼픽싱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발췌 정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히팅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픽업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청소부를 보인 개략적 발췌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19 및 도 20은 단열블록적층부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1은 단열블록적층부의 수평 이송수단을 보인 개략적 발췌 정면도이고, 도 22는 스페이서공급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이며, 도 23 및 도 24는 단열블록터닝부를 보인 개략적 발췌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5는 단열블록터닝부를 보인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도 26은 이송컨베이어부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7은 터닝컨베이어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주제부(100), 경화제부(200), 분사부(400), 히팅부(300), 이송컨베이어부(900), 청소부(600), 단열블록적층부(700), 단열블록터닝부(80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주제부(100)는, 주제드럼(101)이 안착되고 안착된 주제드럼(101)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주제드럼(101) 내부의 주제를 공급한다. 이러한 주제부(100)는, 내부에 주제가 저장되고 하단부에 단턱(101a)이 형성되어 있는 주제드럼(101)과, 주제드럼(101)이 안착되는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이 구비된다.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면에는 주제드럼(101)의 하면에 선접촉되면서 중량의 주제드럼(101)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드럼가이드바(111)가 구비되고,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중앙에는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되면 주제드럼(101)의 단턱(101a)에 지지되는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구비된다.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모서리 부위에는 인양볼트(116)가 구비되고,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캐스터(114)가 구비되며 캐스터(114)의 일측에는 레벨풋(115)이 구비된다.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보조안착부(117)가 구비된다. 보조안착부(117)에는 예비용 주제드럼(101)이 안착된다. 이러한 보조안착부(117)에는 다수의 이송롤러(118)가 공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주제드럼(101)을 밀면 이송롤러(118)가 공회전되면서 중량의 주제드럼(101)이 이송된다.
이러한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는 에어리프터실린더(120)가 설치된다. 에어리프터실린더(120)는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복수개 설치되어서 후술할 팔로어플레이트(130)를 승강시키며, 주제드럼(101) 내의 주제가 공급라인(172)을 통해 분사부(400) 측으로 펌핑되도록 한다. 에어리프터실린더(120)의 실린더로드(121) 상단에는 상부프레임(122)이 결합되어서 에어리프터실린더(120)의 작동시 승강된다.
상부프레임(122)에는 디스텐스로드(133)의 상단이 결합되어 있고, 디스텐스로드(133)의 하단에는 팔로어플레이트(130)가 결합된다. 팔로어플레이트(130)는 외주면 둘레에는 주제드럼(10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팔로어플레이트오링(132)이 결합되어 있으며, 팔로어플레이트(130)의 하부면에는 외측 둘레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의 원료안내면(131)이 형성되어 있다.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상부에는 원료안내면(131)을 따라 가압된 주제가 공급라인(172)을 통해 분사부(400)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디스차지블록(134)이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차지블록(134)의 상부에는 디스차지블록(134)의 내부에 진공 흡입력이 형성되도록 기어펌프(140)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차지블록(134)은 리워크클립(123)에 의해 에어리프터실린더(120)의 케이싱에 지지된다.
디스텐스로드(133)에는 커넥션플레이트(153)가 결합되어 있으며, 커넥션플레이트(153)에는 모터(150)가 설치된다. 이 모터(150)의 모터축(151)과 기어펌프(140)의 기어펌프축(141)은 다운커플링(152) 및 기어펌프커플링(142)에 의해 결합된다. 모터(150)와 기어펌프(140) 사이에는 모터픽싱하우징(144)이 설치되어서 이들 사이를 지지한다.
디스차지블록(134)에는 디스차지블록(134) 내부로 유입된 주제가 분사부(40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넌리턴밸브(160)가 결합된다. 넌리턴밸브(160)에는 히팅호스(168)가 연결되어서 분사부(400) 측으로 공급되는 주제가 히팅호스(168)를 통과하는 동안 냉각되지 않도록 가열시킨다.
넌리턴밸브(160)는, 밸브몸체(161), 역류방지볼(165), 가압스프링(166), 마개(167)로 이루어진다.
밸브몸체(161)는, 디스차지블록(134)과 히팅호스(168) 사이에 연결되고 주제가 유입되는 입구(163)와 주제가 배출되는 출구(164)와 입구(163) 및 출구(164)를 연결하는 유로(162)가 형성되어 있다. 역류방지볼(165)은, 밸브몸체(161)의 유로(162)에 구비되어서 입구(163)를 개폐한다. 가압스프링(166)은 밸브몸체(161)에 내장되어서 역류방지볼(165)을 입구(163)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마개(167)는 밸브몸체(161)에 결합되어서 역류방지볼(165) 및 가압스프링(166)이 밸브몸체(161)에 내장되도록 한다.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원료안내면(131)에는 에어밴트유닛(170)이 연결되어 있어서 팔로어플레이트(130) 내부에 외부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밴트유닛(170)에는 에어밴트유닛(170)을 개폐하도록 탈기레버(171)가 구비된다.
도 10 및 도 11은 팔로어플레이트(13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및 그 저면도이다. 이러한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원료안내면(131)에는, 점성유체가이드홈(135)들이 형성되되, 점성유체가이드홈(135)들은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점성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원료안내면(131)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점성유체가이드홈(135)의 횡단면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팔로어플레이트(130)는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일부의 점성유체가 점성유체가이드홈(135)을 따라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출구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여서, 가압되는 점성유체가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출구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한다.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점성유체가이드홈(135)에는 마찰력저감코팅층이 도포될 수 있다.
도 12는 드럼픽싱플레이트(112)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발췌 정면도이다.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는,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되면 주제드럼(101)의 하부단턱(101a)에 안착되면서 주제드럼(10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구비된다.
하부베이스프레임(110) 및 드럼픽싱플레이트(112) 사이에는 드럼픽싱플레이트(112)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113)가 구비되며,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이송될시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주제드럼(101)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가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안착되면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상승되어서 주제드럼(101)의 하부단턱(101a)에 안착되도록 구비된다. 승강부(113)는 승강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화제부(200)는, 경화제드럼(201)이 안착되고 경화제드럼(201)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경화제드럼(201) 내부의 경화제를 공급한다.
이러한 경화제부(200)는 주제부의 구성 및 작동과 동일하고, 경화제드럼에 주제 대신 경화제가 저장된 점만 다르며, 이에 따라 경화제부(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분사부(400)는, 주제부(100)의 주제드럼(101) 및 경화제부(200)의 경화제드럼(201)에 연결되어서 주제 및 경화제가 공급되고, 공급된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며, 혼합된 이액혼합액을 단열블록(10)에 도포한다.
이러한 분사부(400)는, 주제부(100)와 경화제부(200)에 연결되어서 주제부(100) 및 경화제부(200)에서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가 노즐(409)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류방지밸브(401)와, 역류방지밸브(401)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가 유입되어서 믹싱되는 믹싱블록(403)과, 믹싱블록(403)에 설치되어서 믹싱블록(403)을 가열하는 히터(404)와, 역류방지밸브(401) 및 믹싱블록(403)에 연결되는 로터리피팅(402)과, 믹싱블록(403)에 연결되어서 믹싱블록(403)에 유입된 이액혼합액이 공급되는 믹싱관(407)과, 믹싱블록(403) 및 믹싱관(407)을 연결하는 터미널니플(406)과, 믹싱관(407) 내부에 설치되어서 믹싱관(407)으로 유입된 이액혼합액을 혼합시키는 스틱믹서(408)와, 믹싱관(407)의 단부에 결합되어서 이액혼합액을 단열블록(10)의 도포면에 도포하는 노즐(409)로 이루어진다.
히팅부(300)는, 주제부(100)의 주제드럼(101) 및 경화제부(200)의 경화제드럼(201) 둘레에 결합되어서 주제 및 경화제를 가열한다.
이러한 히팅부(300)는, 주제드럼(101)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제1히터(303) 및 제1히터(303)를 감싸는 제1히팅커버(302)로 이루어진 제1히팅부(301)와, 제1히팅부(301)와 한쌍을 이루고, 주제드럼(101)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제2히터(306) 및 제2히터(306)를 감싸는 제2히팅커버(305)로 이루어진 제2히팅부(304)와,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의 대응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코일스프링(310)과, 제1히팅부(301)에 구비되는 착탈편(309)과, 제2히팅부(304)에 구비되고 착탈편(309)에 착탈되는 착탈레버(308)로 이루어져서, 히팅부(300)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착탈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주제드럼(101)의 외주면 원둘레 길이는, 제1히팅부(301)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제2히팅부(304)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인장코일스프링(310)의 길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착탈레버(308)로 체결될 시, 인장코일스프링(310)이 인장되면서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픽업부(500)는, 제작된 단열블록(10)을 파지하여서 자동이송라인에 안착시킨다.
이러한 픽업부(500)는, 이송컨베이어부(9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픽업프레임(510)과, 픽업프레임(5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이송레일(511)과, 수평이송레일(511)에 결합되어서 수평이송레일(511)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수평이송프레임(520)과, 수평이송프레임(520)에 설치되어서 수평이송프레임(52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이송되고 단열블록(10)을 승강시키는 픽업승강실린더(540)와, 픽업승강실린더(540)의 실린더로드(541)에 고정되고 픽업승강실린더(540)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패드고정판(550)과, 패드고정판(550)에 설치되고 단열블록(10)을 흡착하는 진공패드(570)와, 패드고정판(550)에 설치되고 진공패드(570)에 연결되어서 진공패드(570)에 진공을 형성시켜 흡착력을 부가하는 진공펌프(560)와, 수평이송프레임(520)에 고정되는 픽업가이드(580)와, 픽업가이드(580)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패드고정판(550)에 고정되어서 패드고정판(550)의 승강을 안내하는 픽업가이드바(581)가 구비된다.
수평이송프레임(520)의 상부에는 수평이송실린더(530)가 고정된다. 이러한 수평이송실린더(530)는, 수평이송프레임(52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실린더로드(531)의 단부가 픽업프레임(510) 상부의 로드고정단(532)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드(531)의 신축시 수평이송프레임(520)이 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한다.
이송컨베이어부(900)는,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어서 픽업부(500)에 의해 픽업된 단열블록(10)을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컨베이어부(900)는, X축이송컨베이어(910), Y축이송컨베이어(920), 터닝컨베이어(930)로 이루어진다.
X축이송컨베이어(910)는, 픽업부(500)에 의해 픽업된 단열블록(10)이 청소부(600), 분사부(400)를 경유하도록 이송시킨다.
Y축이송컨베이어(920)는, X축이송컨베이어(910)의 일측에 X축이송컨베이어(910)와 직교하도록 설치되어서 청소부(600), 분사부(400)를 경유한 단열블록(10)을 단열블록적층부(700) 측으로 이송시킨다.
터닝컨베이어(930)는, X축이송컨베이어(910) 및 Y축이송컨베이어(920) 사이에 설치되어서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10)을 Y축이송컨베이어(92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터닝컨베이어(930)는, X축이송컨베이어(910) 및 Y축이송컨베이어(920) 사이에 설치되는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과,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 상부에 다수 배열되고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10)이 터닝컨베이어(93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이송시키는 X축이송롤러(932)와, Y축이송컨베이어(920)에 대향되는 일단이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934)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과,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에 결합되고 X축이송롤러(932) 상부에 위치한 단열블록(10)을 Y축이송컨베이어(920) 측으로 이송시키는 Y축이송롤러(935)들과,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에 설치되고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에 연결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을 힌지축(93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93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터닝컨베이어(930)는,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이 수평상태일 경우, Y축이송롤러(935)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932)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10)의 저면은 X축이송롤러(932)에 접촉되고, 각도조절실린더(936)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의 일단이 상승될 경우, Y축이송롤러(935)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932)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10)의 저면은 Y축이송롤러(935)들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청소부(600)는, 이송컨베이어부(90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이송되는 단열블록(10)의 혼합액 도포면을 청소한다.
이러한 청소부(600)는, 픽업부(500) 일측의 이송컨베이어부(900) 상부에 설치되고 단열블록(10)의 혼합액 도포면이 통과하며 에어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서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분배관(601)과, 에어분배관(601)에 복수개 설치되고 에어분배관(601)에 공급된 에어가 분사되어서 단열블록(10)의 혼합액 도포면을 청소하는 청소노즐(602)과, 에어탱크와 에어분배관(601)에 연결되어서 에어탱크의 에어를 에어분배관(601)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호스(603)로 이루어진다.
단열블록적층부(700)는, 이송컨베이어부(90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서 분사부(400)에 의해 혼합액이 도포된 이송컨베이어부(900) 상부의 단열블록(10)을 파지하여서 적층공간에 적층시키되, 기적층된 단열블록(10)의 혼합액이 적층되는 단열블록(10)에 혼합액이 묻지 않도록 기적층된 단열블록(10)의 상부면에 다수의 스페이서(743)를 낙하시켜서 위치시키고 적층되는 단열블록(10)이 스페이서(743)들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열블록적층부(700)는, 적층부프레임(701)과, 적층부프레임(7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과,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에 결합되어서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적층부수평이송판(703)과, 적층부수평이송판(703) 상에 고정되고 적층부수평이송판(703)과 함께 수평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와, 적층부프레임(701) 내부에 위치되고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에 연결되어서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의 구동시 승강되는 그리퍼설치판(710)이 구비된다.
또한, 단열블록적층부(700)는,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705)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 상에 고정되는 가이드풀리(706)와, 일단이 구동풀리(705)에 권취되고 가이드풀리(706)를 경유하며 타단이 그리퍼설치판(710)에 고정되어서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의 구동시 그리퍼설치판(710)을 승강시키는 승강벨트(707)와, 그리퍼설치판(7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과,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에 결합되고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단열블록(10)을 파지하는 그리퍼(721)와, 그리퍼설치판(710)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22)이 구비된다.
또한, 단열블록적층부(700)는, 일단이 고정브라켓(722)에 결합되고 타단의 작동실린더로드(724) 단부가 그리퍼(721)에 결합되어서 그리퍼(721)가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그리퍼작동실린더(723)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에 결합되는 안내로드가이드(711)와, 안내로드가이드(711)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그리퍼설치판(710)에 결합되어서 그리퍼설치판(7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설치판승강안내로드(712)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 상부에 설치되는 적층부수평구동모터(730)와, 적층부수평구동모터(730)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풀리(731)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층부수평구동모터(730)의 구동풀리(731)에 구동벨트(733)로 연결되는 구동타이밍풀리(732)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타이밍풀리(732)에 연결되어서 구동타이밍풀리(732)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전동타이밍풀리(734)와, 일단이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일단에 고정되고 구동타이밍풀리(732) 및 전동타이밍풀리(734)를 경유하며 타단이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적층부수평구동모터(730)의 구동시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이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타이밍벨트(735)와, 그리퍼설치판(710)에 설치되어서 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10)이 적재되면 적재된 단열블록(10)의 상부면에 다수의 스페이서(743)를 공급하는 스페이서공급부(740)로 이루어진다.
스페이서공급부(740)는, 그리퍼설치판(710)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카트리지(742)와, 카트리지(742) 내에 다수 적재되어서 수납되는 스페이서(743)와, 카트리지(742)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공급부하판(751)과, 공급부하판(751)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공급모터(741)와, 스페이서공급모터(741)에 연결되어서 스페이서공급모터(741)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풀리(744)와, 공급부하판(75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전동풀리(746)와, 구동풀리(744) 및 전동풀리(746)에 체결되는 전동벨트(745)가 구비된다.
또한, 스페이서공급부(740)는, 제2스토퍼(749)와 제1스토퍼(747)가 구비된다.
제2스토퍼(749)는, 전동풀리(746)의 하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전동풀리(746)와 함께 회전되고 카트리지(742)에 수납된 스페이서(743)들 중에서 최하측의 스페이서(743) 하단을 지지하며 전동풀리(746)가 1회전될 때마다 최하측의 스페이서(743)가 낙하되도록 제2낙하공간(75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스토퍼(747)는, 전동풀리(746)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전동풀리(746)와 함께 회전되고 카트리지(742)에 수납된 스페이서(743)들 중에서 하측에서 두 번째 스페이서(743) 하단을 지지하며 전동풀리(746)가 1회전될 때마다 하측에서 두 번째 스페이서(743)가 낙하되어서 제2스토퍼(749)에 지지되도록 제1낙하공간(748)이 형성되어 있다.
단열블록터닝부(800)는, 적층공간에 적층된 단열블록(10)을 파지하여서 혼합액이 도포된 도포면을 선박 화물창의 단열블록(10) 부착면에 대향되도록 터닝시킨다.
이러한 단열블록터닝부(800)는, 이송컨베이어부(900) 상에 설치되고 적재된 단열블록(10)이 위치되는 터닝부고정프레임(801)과, 터닝부고정프레임(801)에 고정되는 터닝부고정브라켓(802)과, 터닝부고정브라켓(802)에 설치되는 터닝구동모터(803)와, 터닝구동모터(803)에 연결되어서 터닝구동모터(803)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터닝구동풀리(804)와, 터닝부고정브라켓(802)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807)과, 회전축(807)의 일단에 결합되고 터닝구동모터(803)의 회전동력을 회전축(807)에 전달하는 터닝전동풀리(806)와, 터닝구동풀리(804) 및 터닝전동풀리(806)에 연결되어서 터닝구동풀리(804)의 회전력을 터닝전동풀리(806)에 전달하는 터닝전동벨트(805)와, 회전축(807)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회전축(807)과 함께 회전되는 클램프연결브라켓(808)과, 클램프연결브라켓(808)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서 회전축(807)의 회전시 클램프연결브라켓(808)과 함께 회전되는 클램프작동실린더(809)와, 클램프작동실린더(809)에 연결되어서 클램프작동실린더(809)의 작동시 단열블록(10) 측으로 이송되면서 단열블록(10)의 측면을 파지하는 클램프(81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에어리프터실린더(120)와 모터(150)가 작동되면서 주제드럼(101)의 주제 및 경화제드럼(201)의 경화제가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원료안내면(131) 중앙 측으로 가압된다.
에어리프터실린더(120)가 작동되어서 상부프레임(122)이 하강되면 팔로어플레이트(130)가 하강하면서 주제드럼(101) 내의 주제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주제가 원료안내면(131)을 따라 이송되면서 디스차지블록(134)으로 공급된다.
또한, 모터(150)가 구동되면 모터축(151)이 기어펌프축(141)을 회전시키게 되어서 기어펌프(140)가 구동된다. 기어펌프(140)가 구동되면 팔로어플레이트(130)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주제드럼(101) 내의 주제가 디스차지블록(134)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주제는 에어리프터실린더(120)에 의해 가압되고 기어펌프(140)에 의해 흡입되면서 디스차지블록(134)으로 공급된다.
디스차지블록(134)으로 공급된 주제는 넌리턴밸브(160)의 역류방지볼(165)을 밀어서 가압스프링(166)을 압축시키므로 밸브몸체(161)의 입구(163), 유로(162), 출구(164)를 경유한 후 히팅호스(168)로 공급된다. 히팅호스(168)로 공급되는 주제는 분사부(400)의 역류방지밸브(401)로 유입된다.
경화제부(200)도 주제부(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주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사부(400)의 역류방지밸브(401)로 공급된다. 역류방지밸브(401)로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는 드라이빙실린더(405)에 의해 믹싱블록(403)으로 공급되면서 1차로 믹싱된 후 믹싱관(407)으로 공급된다. 믹싱관(407)으로 공급되는 이형혼합액은 스틱믹서(408)에 의해 2차로 믹싱된 후 노즐(409)을 통해 분사된다.
한편, 단열블록(10)이 픽업부(500)의 하부에 위치되면 픽업승강실린더(540)가 작동되어서 진공패드(570)를 하강시키고, 진공패드(570)가 단열블록(10)의 상부면에 접촉되면 진공펌프(560)가 구동되어서 진공패드(570)가 단열블록(10)에 흡착되도록 한다.
단열블록(10)이 진공패드(570)에 흡착되면 픽업승강실린더(540)가 작동되어서 단열블록(10)을 상승시키고, 수평이송실린더(530)가 작동되어서 단열블록(10)을 X축이송컨베이어(910) 상에 위치시킨다. 단열블록(10)이 X축이송컨베이어(910) 상에 위치되면 픽업승강실린더(540)가 작동되어서 단열블록(10)을 X축이송컨베이어(910) 상에 안착시키고, 진공패드(570)에서 진공이 해제된다.
X축이송컨베이어(910)에 안착되어서 이송되는 단열블록(10)은 청소부(600)를 통과하게 되는 바, 청소부(600)의 청소노즐(602)에서 에어가 분사되면서 이형혼합액이 도포될 단열블록(10)의 도포면이 세척된다.
청소부(600)를 통과한 단열블록(10)은 분사부(400) 측으로 이송되며, 분사부(400)은 단열블록(10)의 도포면에 이형혼합액을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도포한다.
분사부(400)에는 노즐(409)을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분사부(400)의 노즐(409)이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단열블록(10)의 도포면에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이형혼합액을 도포한다.
단열블록(10)의 도포면에 이형혼합액이 도포되면 단열블록(10)이 X축이송컨베이어에서 터닝컨베이어(930)로 이동된다. 단열블록(10)이 터닝컨베이어(930) 상부에 위치되면 각도조절실린더(936)가 구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절브라켓(933) 및 이에 배열된 Y축이송롤러(935)들을 힌지축(934)을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터닝컨베이어(930) 상부에 위치된 단열블록(10)은 경사면을 따라 Y축이송컨베이어(920) 측으로 이송된다.
단열블록(10)이 Y축이송컨베이어(920)로 이송되면 단열블록적층부(700)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컨베이어(920) 상의 단열블록(10)을 적재공간으로 운반한다.
그리퍼(721)가 단열블록(10)의 양측을 파지한 후 적재공간에 적재시킬 시, 스페이서공급부(740)에 의해 스페이서(743)가 단열블록(10) 상부면에 다수개 배열된다. 스페이서(743)는 이형혼합액이 도포되지 않는 네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의 공급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스페이서공급모터(741)가 구동되면 구동풀리(744), 전동풀리(746)가 연동되고, 전동풀리(746)에 설치된 제1스토퍼(747) 및 제2스토퍼(749)가 회전된다. 제1스페이서(743) 및 제2스페이서(743)에는 제1낙하공간(748) 및 제2낙하공간(75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743)의 하단부가 제1스토퍼(747) 및 제2스토퍼(749)에 지지되어 있다가, 제1스토퍼(747) 및 제2스토퍼(749)가 1회전하는 동안 스페이서(743)의 하단부가 제1낙하공간(748) 및 제2낙하공간(750)에 위치되면, 스페이서(743)들이 하측으로 낙하된다.
이때 최하측의 스페이서(743)는 제2스토퍼(749)의 제2낙하공간(750) 하측으로 낙하되어서 단열블록(1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밑에서 두 번째로 위치한 스페이서(743)는 제1스토퍼(747)의 제1낙하공간(748)을 통과하는 동안 제2스토퍼(749)가 360° 회전되므로 제2스토퍼(749)의 제2낙하공간(750)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2스토퍼(749)에 걸려서 지지된다.
적재공간에 적재된 단열블록(10)에 스페이서(743)들이 안착되면 단열블록적층부(700)가 구동되어서 그 위해 다른 단열블록(10)을 적재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보조안착부(117)에 안착된 주제드럼(101)을 하부베이스프레임(110) 측으로 밀면 이송롤러(118)가 공회전되면서 중량의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 측으로 이송되고,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드럼가이드바(111)를 따라 하부베이스프레임(110) 상부로 이송되며, 드럼픽싱플레이트(112)에 안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중량의 주제드럼(101)을 간단히 밀어서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드럼픽싱플레이트(112)에 의해 이동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히팅부(300)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착탈되도록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제드럼(101)의 외주면 원둘레 길이가, 제1히팅부(301)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제2히팅부(304)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인장코일스프링(310)의 길이의 합보다 길어서,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착탈레버(308)로 체결될 시, 인장코일스프링(310)이 인장되면서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주제드럼(101)의 둘레에 히팅부(300)가 체결되므로 주제드럼(101) 내부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히팅부(300)의 착탈이 매우 간편하여서 히팅부(300)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히팅부(300)가 주제드럼(101)에 장착되면 인장코일스프링(310)에 의해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므로, 히팅부(300)의 열이 주제드럼(101)에 안정적으로 전달된다.
셋째, 이송컨베이어부(900)의 일측에는 단열블록(10)을 이송컨베이어부(900)에 안착시키도록 픽업부(5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작된 단열블록(10)을 이송컨베이어부(900)에 자동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넷째, 이송컨베이어부(900)의 상부에는 에어분배관(601) 및 청소노즐(602)이 구비된 청소부(6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열블록(10)이 이송컨베이어부(900)를 따라 이송될 때에 단열블록(10)의 도포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열블록(10)에 이액혼합액을 도포하기 전에 단열블록(10)의 도포면을 청소되므로 접착력이 향상된다.
다섯째,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10)이 적재공간에 적재되면 스페이서공급부(740)에서 스페이서(743)가 낙하되어서 이액혼합액 사이로 다수개 배열된다. 따라서 적재된 상하의 단열블록(10)들 사이에 스페이서(743)가 자동으로 공급되어서 구비되므로 하측의 단열블록(10)에 도포된 이액혼합액이 상측의 단열블록(10)에 묻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단열블록(10)을 다수 적재시킬 수 있으므로 적재공간 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여섯째, 이송컨베이어부(900) 일측의 적재공간에는 적재된 단열블록(10)을 파지하여서 터닝시키도록 단열블록터닝부(8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단열블록터닝부(800)는, 적재된 단열블록(10)을 자동으로 터닝시켜서 이액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10)의 도포면을 화물창의 내측면에 대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열블록(10)의 접착면을 선박 화물창의 부착면에 자동으로 대향시킬 수 있으므로, 단열블록(10)을 선박 화물창에 부착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곱째, X축이송컨베이어(910)와 Y축이송컨베이어(920) 사이에는 터닝컨베이어(930)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터닝컨베이어(930)는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에 설치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과,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에 연결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을 힌지축(93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936)가 구비된다. 이러한 터닝컨베이어(930)는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이 수평상태일 경우, Y축이송롤러(935)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932)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10)의 저면은 X축이송롤러(932)에 접촉되고, 각도조절실린더(936)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의 일단이 상승될 경우, Y축이송롤러(935)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932)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10)의 저면은 Y축이송롤러(935)들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10)이 터닝컨베이어(930) 상에 위치되면 각도조절실린더(936)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 및 Y축이송롤러(935)들을 힌지축(934)을 중심으로 들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터닝컨베이어(930) 상에 안착된 단열블록(10)이 경사지게 배열된 Y축이송롤러(935)들에 의해 Y축이송컨베이어(920) 측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된 단열블록(10)은 터닝컨베이어(930)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여덟째,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원료안내면(131)에는, 점성유체가이드홈(135)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성유체가이드홈(135)들은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점성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원료안내면(131)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점성유체가이드홈(135)의 횡단면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일부의 점성유체가 점성유체가이드홈(135)을 따라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출구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여서, 가압되는 점성유체가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출구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므로, 점성유체가 원료안내면(131)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점성유체가이드홈(135)에는 마찰력저감코팅층이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팔로어플레이트(130)가 가압될 시, 점성유체가이드홈(135) 내부로 진입된 주제가 점성유체가이드홈(135) 이외에 위치한 주제보다 흐름이 더 빠르며, 이에 따라 주제가 신속히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아홉째,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는 드럼픽싱플레이트(112)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113)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 측으로 이동될시에는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되면 승강부(113)가 구동되어서 드럼픽싱플레이트(112)를 상승시켜서 주제드럼(101)의 하부단턱(101a)에 안착시킨다. 그러므로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된 주제드럼(101)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모터(150)에는 금속메쉬폼이 외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금속메쉬폼은 기공을 갖는 금속 재질의 메쉬폼 형태이다.
온도변색층은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도포되어서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침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변색층 위에는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층은 히터부에 의해 내부의 온도사 상승함에 따라 간접 가열되는 모터(15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히터 모터(15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모터(150)의 온도는 금속메쉬폼에 전달되며, 금속메쉬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변색층(162)이 반응하여, 결과적으로 모터(15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층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층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온도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150)의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모터(150)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모터(150)가 정상 구동되는 상태인지, 과열된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온도변색층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료안내면(131)의 점성유체가이드홈(135)에는 마찰력저감코팅층이 도포될 수 있는바, 이 마찰력저감코팅층의 도포 재료는,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20중량%, 옥시카르복시산엽 15중량%, 이미다졸린 티온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25중량%, 디글리시딜 아닐린 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7㎛로 형성할 수 있다.
구아나디노 벤조이미다졸, 옥시카르복시산엽, 이미다졸린 티온 및 디글리시딜 아닐린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마찰력 저감 및 부식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진공패드(570)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진공패드(570)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진공패드(570)의 수명이 증대된다.
100 : 주제부 101 : 주제드럼
110 : 하부베이스프레임 111 : 드럼가이드바
112 : 드럼픽싱플레이트 113 : 승강부
114 : 캐스터 115 : 레벨풋
116 : 인양볼트 117 : 보조안착부
118 : 이송롤러 120 : 에어리프터실린더
121,531,541 : 실린더로드 122 : 상부프레임
123 : 리워크클립 130 : 팔로어플레이트
131 : 원료안내면 132 : 팔로어플레이트오링
133 : 디스텐스로드 134 : 디스차지블록
135 : 점성유체가이드홈 140 : 기어펌프
141 : 기어펌프축 142 : 기어펌프커플링
144 : 모터픽싱하우징 150 : 모터
151 : 모터축 152 : 다운커플링
153 : 커넥션플레이트 160 : 넌리턴밸브
161 : 밸브몸체 162 : 유로
163 : 입구 164 : 출구
165 : 역류방지밸브 166 : 가압스프링
167 : 마개 168 : 히팅호스
170 : 에어밴트유닛 171 : 탈기레버
172 : 공급라인 200 : 경화제부
201 : 경화제드럼 300 : 히팅부
301 : 제1히팅부 302 : 제1히팅커버
303 : 제1히터 304 : 제2히팅부
305 : 제2히팅커버 306 : 제2히터
308 : 착탈레버 309 : 착탈편
310 : 인장코일스프링 400 : 분사부
401 : 역류방지밸브 402 : 로터리피팅
403 : 믹싱블록 404 : 히터
405 : 드라이빙실린더 406 : 터미널니플
407 : 믹싱관 408 : 스틱믹서
409 : 노즐 500 : 픽업부
510 : 픽업프레임 511 : 수평이송레일
520 : 수평이송프레임 530 : 수평이송실린더
532 : 로드고정단 540 : 픽업승강실린더
550 : 패드고정판 560 : 진공펌프
570 : 진공패드 580 : 픽업가이드
581 : 픽업가이드바 600 : 청소부
601 : 에어분배관 602 : 청소노즐
603 : 에어공급호스 700 : 단열블록적층부
701 : 적층부프레임 702 : 적층부수평이송레일
703 : 적층부수평이송판 704 : 적층부승강구동모터
705,731,744 : 구동풀리 706 : 가이드풀리
707 : 승강벨트 710 : 그리퍼설치판
711 : 안내로드가이드 712 : 설치판승강안내로드
720 : 그리퍼수평이송레일 721 : 그리퍼
722 : 고정브라켓 723 : 그리퍼작동실린더
724 : 작동실린더로드 730 : 적층부수평구동모터
732 : 구동타이밍풀리 733 : 구동벨트
734 : 전동타이밍풀리 735 : 타이밍벨트
740 : 스페이서공급부 741 : 스페이서공급모터
742 : 카트리지 743 : 스페이서
745 : 전동벨트 746 : 전동풀리
747 : 제1스토퍼 748 : 제1낙하공간
749 : 제2스토퍼 750 : 제2낙하공간
751 : 공급부하판 800 : 단열블록터닝부
801 : 터닝부고정프레임 802 : 터닝부고정브라켓
803 : 터닝구동모터 804 : 터닝구동풀리
805 : 터닝전동벨트 806 : 터닝전동풀리
807 : 회전축 808 : 클램프연결브라켓
809 : 클램프작동실린더 801 : 클램프
900 : 이송컨베이어부 910 : X축이송컨베이어
920 : Y축이송컨베이어 930 : 터닝컨베이어
931 : 터닝컨베이어프레임 932 : X축이송롤러
933 :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
934 : 힌지축 935 : Y축이송롤러
936 : 각도조절실린더

Claims (10)

  1. 주제드럼(101)이 안착되고 안착된 주제드럼(101)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주제드럼(101) 내부의 주제를 공급하는 주제부(100);
    경화제드럼(201)이 안착되고 경화제드럼(201)의 내부를 가압하여서 경화제드럼(201) 내부의 경화제를 공급하는 경화제부(200);
    주제부(100)의 주제드럼(101) 및 경화제부(200)의 경화제드럼(201) 둘레에 결합되어서 주제 및 경화제를 가열하는 히팅부(300);
    제작된 단열블록(10)을 파지하여서 자동이송라인에 안착시키는 픽업부(500);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되어서 픽업부(500)에 의해 픽업된 단열블록(10)을 자동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900);
    이송컨베이어부(90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이송되는 단열블록(10)의 혼합액 도포면을 청소하는 청소부(600);
    청소부(600) 일측의 이송컨베이어부(900) 상에 설치되고, 주제부(100) 및 경화제부(200)에 연결되어서 주제부(100) 및 경화제부(200)로부터 공급된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액을 단열블록(10)에 도포하는 분사부(400);
    이송컨베이어부(900)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서 분사부(400)에 의해 혼합액이 도포된 이송컨베이어부(900) 상부의 단열블록(10)을 파지하여서 적층공간에 적층시키되, 기적층된 단열블록(10)의 혼합액이 적층되는 단열블록(10)에 혼합액이 묻지 않도록 기적층된 단열블록(10)의 상부면에 다수의 스페이서(743)를 낙하시켜서 위치시키고 적층되는 단열블록(10)이 스페이서(743)들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열블록적층부(700);
    적층공간에 적층된 단열블록(10)을 파지하여서 혼합액이 도포된 도포면을 선박 화물창의 단열블록(10) 부착면에 대향되도록 터닝시키는 단열블록터닝부(80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료안내면(131)에는,
    점성유체가이드홈(135)들이 형성되되, 점성유체가이드홈(135)들은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점성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원료안내면(131)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점성유체가이드홈(135)의 횡단면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지며,
    점성유체가 가압될시 일부의 점성유체가 점성유체가이드홈(135)을 따라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출구 측으로 유도되도록 하여서, 가압되는 점성유체가 팔로어플레이트(130)의 출구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구비되고,
    점성유체가이드홈(135)에는 마찰력저감코팅층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는,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에 안착되면 주제드럼(101)의 하부단턱(101a)에 안착되면서 주제드럼(10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구비되며,
    하부베이스프레임(110) 및 드럼픽싱플레이트(112) 사이에는 드럼픽싱플레이트(112)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113)가 구비되며,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이송될시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주제드럼(101)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가 주제드럼(101)이 하부베이스프레임(110) 상에 안착되면 드럼픽싱플레이트(112)가 상승되어서 주제드럼(101)의 하부단턱(101a)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히팅부(300)는,
    주제드럼(101)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제1히터(303) 및 제1히터(303)를 감싸는 제1히팅커버(302)로 이루어진 제1히팅부(301)와, 제1히팅부(301)와 한쌍을 이루고, 주제드럼(101)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제2히터(306) 및 제2히터(306)를 감싸는 제2히팅커버(305)로 이루어진 제2히팅부(304)와,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의 대응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코일스프링(310)과, 제1히팅부(301)에 구비되는 착탈편(309)과, 제2히팅부(304)에 구비되고 착탈편(309)에 착탈되는 착탈레버(308)로 이루어져서, 히팅부(300)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착탈되도록 구비되며;
    주제드럼(101)의 외주면 원둘레 길이가, 제1히팅부(301)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제2히팅부(304) 내주면의 원둘레 길이 및 인장코일스프링(310)의 길이의 합보다 길어서,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착탈레버(308)로 체결될 시, 인장코일스프링(310)이 인장되면서 제1히팅부(301) 및 제2히팅부(304)가 주제드럼(10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픽업부(500)는,
    이송컨베이어부(9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픽업프레임(510)과,
    픽업프레임(5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이송레일(511)과,
    수평이송레일(511)에 결합되어서 수평이송레일(511)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수평이송프레임(520)과,
    수평이송프레임(520)에 설치되어서 수평이송프레임(52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왕복이송되고 단열블록(10)을 승강시키는 픽업승강실린더(540)와,
    픽업승강실린더(540)의 실린더로드(541)에 고정되고 픽업승강실린더(540)에 의해 승강 구동되는 패드고정판(550)과,
    패드고정판(550)에 설치되고 단열블록(10)을 흡착하는 진공패드(570)와,
    패드고정판(550)에 설치되고 진공패드(570)에 연결되어서 진공패드(570)에 진공을 형성시켜 흡착력을 부가하는 진공펌프(560)와,
    수평이송프레임(520)에 고정되는 픽업가이드(580)와,
    픽업가이드(580)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패드고정판(550)에 고정되어서 패드고정판(550)의 승강을 안내하는 픽업가이드바(581)와,
    수평이송프레임(520)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수평이송프레임(520)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실린더로드(531)의 단부가 픽업프레임(510) 상부의 로드고정단(532)에 고정되며 실린더로드(531)의 신축시 수평이송프레임(520)이 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하는 수평이송실린더(5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청소부(600)는,
    픽업부(500) 일측의 이송컨베이어부(900) 상부에 설치되고 단열블록(10)의 혼합액 도포면이 통과하며 에어탱크에 연결되어서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분배관(601)과,
    에어분배관(601)에 복수개 설치되고 에어분배관(601)에 공급된 에어가 분사되어서 단열블록(10)의 혼합액 도포면을 청소하는 청소노즐(602)과,
    에어탱크와 에어분배관(601)에 연결되어서 에어탱크의 에어를 에어분배관(601)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호스(6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열블록적층부(700)는,
    적층부프레임(701)과,
    적층부프레임(7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과,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에 결합되어서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는 적층부수평이송판(703)과,
    적층부수평이송판(703) 상에 고정되고 적층부수평이송판(703)과 함께 수평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와,
    적층부프레임(701) 내부에 위치되고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에 연결되어서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의 구동시 승강되는 그리퍼설치판(710)과,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에 연결되어서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705)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 상에 고정되는 가이드풀리(706)와,
    일단이 구동풀리(705)에 권취되고 가이드풀리(706)를 경유하며 타단이 그리퍼설치판(710)에 고정되어서 적층부승강구동모터(704)의 구동시 그리퍼설치판(710)을 승강시키는 승강벨트(707)와,
    그리퍼설치판(7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과,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에 결합되고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단열블록(10)을 파지하는 그리퍼(721)와,
    그리퍼설치판(710)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722)과,
    일단이 고정브라켓(722)에 결합되고 타단의 작동실린더로드(724) 단부가 그리퍼(721)에 결합되어서 그리퍼(721)가 그리퍼수평이송레일(720)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그리퍼작동실린더(723)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에 결합되는 안내로드가이드(711)와,
    안내로드가이드(711)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이 그리퍼설치판(710)에 결합되어서 그리퍼설치판(7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설치판승강안내로드(712)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 상부에 설치되는 적층부수평구동모터(730)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상부에 설치되고 적층부수평구동모터(730)에 구동벨트(733)로 연결되는 구동타이밍풀리(732)와,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타이밍풀리(732)에 연결되어서 구동타이밍풀리(732)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전동타이밍풀리(734)와,
    일단이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일단에 고정되고 구동타이밍풀리(732) 및 전동타이밍풀리(734)를 경유하며 타단이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적층부수평구동모터(730)의 구동시 적층부수평이송판(703)이 적층부수평이송레일(702)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타이밍벨트(735)와,
    그리퍼설치판(710)에 설치되어서 혼합액이 도포된 단열블록(10)이 적재되면 적재된 단열블록(10)의 상부면에 다수의 스페이서(743)를 공급하는 스페이서공급부(7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스페이서공급부(740)는,
    그리퍼설치판(710)에 설치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카트리지(742)와,
    카트리지(742) 내에 다수 적재되어서 수납되는 스페이서(743)와,
    카트리지(742)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공급부하판(751)과,
    공급부하판(751) 상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공급모터(741)와,
    스페이서공급모터(741)에 연결되어서 스페이서공급모터(741)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풀리(744)와,
    공급부하판(751)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전동풀리(746)와,
    구동풀리(744) 및 전동풀리(746)에 체결되는 전동벨트(745)와,
    전동풀리(746)의 하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전동풀리(746)와 함께 회전되고 카트리지(742)에 수납된 스페이서(743)들 중에서 최하측의 스페이서(743) 하단을 지지하며 전동풀리(746)가 1회전될 때마다 최하측의 스페이서(743)가 낙하되도록 제2낙하공간(750)이 형성되어 있는 제2스토퍼(749)와,
    전동풀리(746)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전동풀리(746)와 함께 회전되고 카트리지(742)에 수납된 스페이서(743)들 중에서 하측에서 두 번째 스페이서(743) 하단을 지지하며 전동풀리(746)가 1회전될 때마다 하측에서 두 번째 스페이서(743)가 낙하되어서 제2스토퍼(749)에 지지되도록 제1낙하공간(748)이 형성되어 있는 제1스토퍼(74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열블록터닝부(800)는,
    이송컨베이어부(900) 상에 설치되고 적재된 단열블록(10)이 위치되는 터닝부고정프레임(801)과,
    터닝부고정프레임(801)에 고정되는 터닝부고정브라켓(802)과,
    터닝부고정브라켓(802)에 설치되는 터닝구동모터(803)와,
    터닝구동모터(803)에 연결되어서 터닝구동모터(803)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터닝구동풀리(804)와,
    터닝부고정브라켓(802)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807)과,
    회전축(807)의 일단에 결합되고 터닝구동모터(803)의 회전동력을 회전축(807)에 전달하는 터닝전동풀리(806)와,
    터닝구동풀리(804) 및 터닝전동풀리(806)에 연결되어서 터닝구동풀리(804)의 회전력을 터닝전동풀리(806)에 전달하는 터닝전동벨트(805)와,
    회전축(807)의 타단에 고정되어서 회전축(807)과 함께 회전되는 클램프연결브라켓(808)과,
    클램프연결브라켓(808)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서 회전축(807)의 회전시 클램프연결브라켓(808)과 함께 회전되는 클램프작동실린더(809)와,
    클램프작동실린더(809)에 연결되어서 클램프작동실린더(809)의 작동시 단열블록(10) 측으로 이송되면서 단열블록(10)의 측면을 파지하는 클램프(8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부(900)는,
    픽업부(500)에 의해 픽업된 단열블록(10)이 청소부(600), 분사부(400)를 경유하도록 이송시키는 X축이송컨베이어(910)와,
    X축이송컨베이어(910)의 일측에 X축이송컨베이어(910)와 직교하도록 설치되어서 청소부(600), 분사부(400)를 경유한 단열블록(10)을 단열블록적층부(700) 측으로 이송시키는 Y축이송컨베이어(920)와,
    X축이송컨베이어(910) 및 Y축이송컨베이어(920) 사이에 설치되어서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10)을 Y축이송컨베이어(920)로 이송되도록 하는 터닝컨베이어(930)로 이루어지고;
    터닝컨베이어(930)는,
    X축이송컨베이어(910) 및 Y축이송컨베이어(920) 사이에 설치되는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과,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 상부에 다수 배열되고 X축이송컨베이어(910)를 따라 이송된 단열블록(10)이 터닝컨베이어(93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이송시키는 X축이송롤러(932)와,
    Y축이송컨베이어(920)에 대향되는 일단이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934)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과,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에 결합되고 X축이송롤러(932) 상부에 위치한 단열블록(10)을 Y축이송컨베이어(920) 측으로 이송시키는 Y축이송롤러(935)들과,
    터닝컨베이어프레임(931)에 설치되고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에 연결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을 힌지축(934)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936)로 이루어지며;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이 수평상태일 경우, Y축이송롤러(935)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932)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10)의 저면은 X축이송롤러(932)에 접촉되고, 각도조절실린더(936)가 작동되어서 Y축이송롤러각도조절브라켓(933)의 일단이 상승될 경우, Y축이송롤러(935)들의 상단이 X축이송롤러(932)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서 단열블록(10)의 저면은 Y축이송롤러(935)들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KR1020190033477A 2019-03-25 2019-03-25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KR10197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477A KR101972790B1 (ko) 2019-03-25 2019-03-25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477A KR101972790B1 (ko) 2019-03-25 2019-03-25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790B1 true KR101972790B1 (ko) 2019-04-29
KR101972790B9 KR101972790B9 (ko) 2021-10-15

Family

ID=6628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477A KR101972790B1 (ko) 2019-03-25 2019-03-25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790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4586A (zh) * 2019-12-26 2020-04-24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喇叭组装点胶及上下料自动机
CN111137673A (zh) * 2020-01-15 2020-05-12 埃华路(芜湖)机器人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机器人行业盘类零件多功能无动力输送系统
KR102113084B1 (ko) 2020-02-04 2020-05-20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전면 입출입식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CN111515093A (zh) * 2020-04-16 2020-08-11 深圳市艾伦德科技有限公司 一种点胶机变轨线体结构
KR102175533B1 (ko) 2019-12-09 2020-11-06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KR102201137B1 (ko) 2020-08-07 2021-01-08 오철규 단열블록 접합용 혼합 본딩액 도포 장치
CN112871542A (zh) * 2021-01-19 2021-06-01 廖韦琴 一种积胶式中空玻璃铝框丁基胶涂胶装置
CN112917788A (zh) * 2021-01-11 2021-06-08 亚光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防火板的生产系统
CN113620065A (zh) * 2021-10-11 2021-11-09 常州黑珍珠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码堆功能的混凝土砌块的输送机
CN113976391A (zh) * 2021-10-13 2022-01-28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一种全自动门扇玻璃翻胶设备
KR20220045723A (ko) 2020-10-06 2022-04-13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CN114715673A (zh) * 2022-06-07 2022-07-08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路板转移装置
CN115072260A (zh) * 2022-06-02 2022-09-20 汇网电气有限公司 一种低压开关柜无人化上线装置
CN117020506A (zh) * 2023-10-10 2023-11-10 吉林大学 一种车身焊装输送线中具有自动调整方向的夹持装置
CN117049063A (zh) * 2023-09-11 2023-11-14 上海畅联国际物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快消货物快速分拣的分拣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234B1 (ko) 2005-12-09 2007-03-12 (주)삼성금속 단열재 주입장치
KR100704940B1 (ko) 2005-07-18 2007-04-06 (주)플루익스 이액형 고점도 수지의 혼합 및 정량제어 토출기
KR101009120B1 (ko) * 2008-10-20 2011-01-18 (주) 청호열처리 펌프드라이버 허브 침탄방지제 자동도포장치
JP3190016U (ja) * 2014-01-29 2014-04-10 株式会社河合電器製作所 ドラム缶加熱装置
KR101537745B1 (ko) * 2015-05-12 2015-07-20 (주) 케이엔디시스템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JP5856917B2 (ja) * 2012-07-13 2016-02-10 株式会社コガネイ 減圧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40B1 (ko) 2005-07-18 2007-04-06 (주)플루익스 이액형 고점도 수지의 혼합 및 정량제어 토출기
KR100692234B1 (ko) 2005-12-09 2007-03-12 (주)삼성금속 단열재 주입장치
KR101009120B1 (ko) * 2008-10-20 2011-01-18 (주) 청호열처리 펌프드라이버 허브 침탄방지제 자동도포장치
JP5856917B2 (ja) * 2012-07-13 2016-02-10 株式会社コガネイ 減圧弁
JP3190016U (ja) * 2014-01-29 2014-04-10 株式会社河合電器製作所 ドラム缶加熱装置
KR101537745B1 (ko) * 2015-05-12 2015-07-20 (주) 케이엔디시스템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0016 UR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533B1 (ko) 2019-12-09 2020-11-06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CN111054586A (zh) * 2019-12-26 2020-04-24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喇叭组装点胶及上下料自动机
CN111137673A (zh) * 2020-01-15 2020-05-12 埃华路(芜湖)机器人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机器人行业盘类零件多功能无动力输送系统
KR102113084B1 (ko) 2020-02-04 2020-05-20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전면 입출입식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CN111515093A (zh) * 2020-04-16 2020-08-11 深圳市艾伦德科技有限公司 一种点胶机变轨线体结构
KR102201137B1 (ko) 2020-08-07 2021-01-08 오철규 단열블록 접합용 혼합 본딩액 도포 장치
KR20220045723A (ko) 2020-10-06 2022-04-13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CN112917788A (zh) * 2021-01-11 2021-06-08 亚光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防火板的生产系统
CN112871542A (zh) * 2021-01-19 2021-06-01 廖韦琴 一种积胶式中空玻璃铝框丁基胶涂胶装置
CN113620065A (zh) * 2021-10-11 2021-11-09 常州黑珍珠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码堆功能的混凝土砌块的输送机
CN113976391A (zh) * 2021-10-13 2022-01-28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一种全自动门扇玻璃翻胶设备
CN113976391B (zh) * 2021-10-13 2022-07-22 湖南亘晟门窗幕墙有限公司 一种全自动门扇玻璃翻胶设备
CN115072260A (zh) * 2022-06-02 2022-09-20 汇网电气有限公司 一种低压开关柜无人化上线装置
CN114715673A (zh) * 2022-06-07 2022-07-08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路板转移装置
CN117049063A (zh) * 2023-09-11 2023-11-14 上海畅联国际物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快消货物快速分拣的分拣机
CN117049063B (zh) * 2023-09-11 2024-02-20 上海畅联国际物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快消货物快速分拣的分拣机
CN117020506A (zh) * 2023-10-10 2023-11-10 吉林大学 一种车身焊装输送线中具有自动调整方向的夹持装置
CN117020506B (zh) * 2023-10-10 2023-12-01 吉林大学 一种车身焊装输送线中具有自动调整方向的夹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790B9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790B1 (ko)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KR101972791B1 (ko)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자동이송시스템
RU25081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елительно-поворотного стола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ых и химических катализаторов на монолитной основе
KR101537745B1 (ko)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20180032564A (ko)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 및 토출 방법, 및 도포 장치
TW201615285A (zh) 自動貼裝機
US6708739B2 (en) Labor saving, high speed, high volume, liquid filling machine, for palletized containers
CN212370455U (zh) 一种擦胶机构及点胶生产线
JP2010137915A (ja) 簡易液体商品充填装置
CN111886079B (zh) 用于在包装站处理插入和装配辅助件内表面的润滑剂喷洒设备和润滑剂施用方法
JPH07257690A (ja) 移動式液状物自動充填機
KR101184476B1 (ko) Led모듈 코팅시스템
US20070134412A1 (en) Flow-through dip-spin coat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101992601B1 (ko)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장치
CN110987465B (zh) 一种雨刮传动组件自动化流水线
CN208574873U (zh) 一种uv涂镀生产线
CN215248639U (zh) 一种全自动贴胶设备
CN109203460A (zh) 增材制造设备和增材制造系统
CN115350838A (zh) 一种循环型机动车零部件喷涂回收设备、系统及方法
CN114160378A (zh) 一种点胶设备
KR102113084B1 (ko)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전면 입출입식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CN112844154B (zh) 一种自动配料装置及其自动配料方法
CN219254732U (zh) 一种液压风扇的中心架构装配设备
CN113176130A (zh) 一种染色仪
KR102323344B1 (ko) 반자동식 접착제 포장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287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906

Effective date: 20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