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5723A -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723A
KR20220045723A KR1020200128697A KR20200128697A KR20220045723A KR 20220045723 A KR20220045723 A KR 20220045723A KR 1020200128697 A KR1020200128697 A KR 1020200128697A KR 20200128697 A KR20200128697 A KR 20200128697A KR 20220045723 A KR20220045723 A KR 2022004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agent
drum
piston rod
upper frame
lif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규
Original Assignee
오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규 filed Critical 오철규
Priority to KR102020012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723A/ko
Publication of KR2022004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0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11/021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piston type
    • G01F11/025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piston type with manually operated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B05C11/1018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responsive to distanc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39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ntrol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제탱크 내의 주제 소모량과 경화제탱크 내의 경화제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주제 또는 경화제가 최소 기준량에 도달하면 알람장치의 구동을 통하여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제드럼 및 경화제드럼의 교체 작업이 곧바로 진행될 수 있고, 단열블록에 대한 이액 혼합액의 도포 작업이 갑작스런 중단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Device for measuing mixed bonding fluid amount for insulation blocks of ship forepeak}
본 발명은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이액혼합액을 단열블록의 표면에 도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액혼합액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소진시 곧바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액(異液) 혼합 토출장치는 서로 종류가 다른 액상물질인 이액(異液)을 정해진 유량과 압력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고점도의 에폭시, 우레탄, 실리콘 및 도료 등과 같은 혼합 비율의 변화없이 고점도의 수지를 혼합 공급하고, 주제와 경화제 등과 같은 특수 물질을 혼합시켜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혼합되는 각종 수지 물질이나 분체되는 도료의 주제와 경화제를 정확한 양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으로서, 토출량의 오차범위가 적고, 정량 주입, 정확한 계량에 의한 혼합이 가능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선박용 단열블록과 단열블록을 접합시키기 위하여 단열블록의 표면에 혼합 본딩액을 라인 형태로 도포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 본딩액을 토출하여 도포하기 위한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 장치는, 몸체부, 공급이송부, 공급부, 펌핑부, 혼합토출부, 제어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출원되어 이미 등록(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72790호)받은 바 있다.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 장치에 있어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 본딩액을 라인 형태로 도포하는 도포장치에는 주제인 레진이 채워진 주제드럼과 경화제가 충진된 경화제드럼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상기 주제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주제와 상기 경화제드럼부터 배출되는 경화제가 혼합부에서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후, 단열블럭에 도포된다.
그러나, 상기 단열블럭에 이액 혼합액을 도포하는 공정 즉,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혼합액을 도포하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바, 이때 상기 주제드럼에 충진된 주제가 모두 소모되거나 상기 경화제드럼에 충진된 경화제가 모두 소모되어, 단열블럭에 이액 혼합액을 도포하는 공정이 갑자기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단열블럭에 이액 혼합액을 도포하는 공정이 갑자기 중단되면, 단열블럭의 일부 면적에만 이액 혼합액이 도포됨에 따라, 추후에 나머지 면적에 이액 도포액을 도포하더라도 도포 상태가 불균일해지는 등 도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972790호(2019.04.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주제탱크 내의 주제 소모량과 경화제탱크 내의 경화제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주제 또는 경화제가 최소 기준량에 도달하면 알람장치의 구동을 통하여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제드럼 및 경화제드럼의 교체 작업이 곧바로 진행될 수 있고, 단열블록에 대한 이액 혼합액의 도포 작업이 갑작스런 중단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화제드럼 및 주제드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일측쪽에 장착되는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 상기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피스톤로드;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상단부를 취부하는 동시에 제1디스펜서 유닛을 취부하는 제1상부프레임; 상기 제1상부프레임에 취부된 상태에서 제1피스톤로드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상기 경화제드럼 내의 경화제를 펌핑 흡입하여 혼합 사용처로 분배하는 제1디스펜서 유닛;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타측쪽에 장착되는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 상기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피스톤로드;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상단부를 취부하는 동시에 제2디스펜서 유닛을 취부하는 제2상부프레임; 및 상기 제2상부프레임에 취부된 상태에서 제1피스톤로드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상기 주제드럼 내의 주제를 펌핑 흡입하여 혼합 사용처로 분배하는 제2디스펜서 유닛;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상부프레임에 경화제드럼 내의 경화제 잔량을 센싱하는 제1거리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제2상부프레임에 주제드럼 내의 주제 잔량을 센싱하는 제2거리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 및 제2거리감지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반에서 상기 경화제드럼 내의 경화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거나 상기 주제드럼 내의 주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면, 시각적 및 청각적인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는 상기 제어반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발광하는 동시에 청각적인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는 상기 제1상부프레임이 제1피스톤로드와 함께 하강할 때 상기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의 상단면에 대한 상대적 거리 변화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는 상기 제2상부프레임이 제2피스톤로드와 함께 하강할 때 상기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의 상단면에 대한 상대적 거리 변화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경화제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경화제와 주제드럼부터 배출되는 주제가 혼합된 이액 혼합액을 단열블럭에 도포하는 공정 중, 주제탱크 내의 주제 소모량과 경화제탱크 내의 경화제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경화제 또는 주제의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면 알람장치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경화제드럼 또는 주제드럼의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둘째, 작업자가 알람장치의 발광색 또는 경고음을 듣고, 경화제드럼 및 주제드럼의 교체 작업을 곧바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단열블록에 대한 이액 혼합액의 도포 작업이 갑작스런 중단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의 제어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제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00) 상에 경화제가 충진된 경화제드럼(100)과 주제가 충진된 주제드럼(200)이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경화제드럼(100) 내에 충진된 경화제는 제1디스펜서 유닛(310)에 의하여 펌핑 흡입된 후 혼합 사용처(예, 단열블록에 경화제와 주제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장치)로 송출 분배되고, 상기 주제드럼(200) 내에 충진된 주제도 제2디스펜서 유닛(320)에 의하여 펌핑 흡입된 후 혼합 사용처(예, 단열블록에 경화제와 주제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장치)로 송출 분배된다.
상기 제1디스펜서 유닛(310)을 경화제드럼(100)의 경화제 잔량 수준에 맞추어 경화제드럼 내에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상면 일측쪽에는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가 장착되고, 이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에는 제1피스톤로드(140)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피스톤로드(140)의 상단부 및 상기 제1디스펜서 유닛(310)의 상단부는 제1상부프레임(120)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의 구동에 따라 제1피스톤로드(140)가 당겨지며 하강하면, 상기 제1상부프레임(120) 및 제1디스펜서 유닛(310)이 함께 동일거리로 하강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디스펜서 유닛(310)이 경화제드럼(100) 내의 경화제를 펌핑 흡입하게 된다.
상기 제2디스펜서 유닛(320)을 주제드럼(200)의 주제 잔량 수준에 맞추어 주제드럼 내에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300)의 상면 타측쪽에는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가 장착되고, 이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에는 제2피스톤로드(240)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피스톤로드(240)의 상단부 및 상기 제2디스펜서 유닛(320)의 상단부는 제2상부프레임(220)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의 구동에 따라 제2피스톤로드(240)가 당겨지며 하강하면, 상기 제2상부프레임(220) 및 제2디스펜서 유닛(320)이 함께 동일거리로 하강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디스펜서 유닛(320)이 주제드럼(200) 내의 주제를 펌핑 흡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디스펜서 유닛(310) 및 제2디스펜서 유닛(320)은 경화제 또는 주제와 같은 유체를 펌핑 흡입하여 사용처로 송출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펌프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30)와, 모터(330)의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유체를 흡입 펌핑하는 기어펌프(340)와, 모터(330)와 기어펌프(340)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플링 장치(350)와, 펌핑 흡입된 경화제 또는 주제와 같은 유체를 사용처로 송출하기 위한 디스차지블록(370)과, 디스차지블록(370)의 아래에 장착되어 경화제 드럼 또는 주제드럼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경화제 또는 주제와 같은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료안내구(390)를 갖는 팔로어플레이트(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상부프레임(120)에 경화제드럼(100) 내의 경화제 잔량을 센싱하여 그 센싱신호를 제어반(400)에 유무선 통신으로 송신하는 제1거리감지센서(110)가 장착되고, 상기 제2상부프레임(220)에는 주제드럼(200) 내의 주제 잔량을 센싱하여 그 센싱신호를 제어반(400)에 유무선 통신으로 송신하는 제2거리감지센서(210)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반(400)은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110) 및 제2거리감지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화제드럼(100) 내의 경화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거나 상기 주제드럼(200) 내의 주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면, 알람장치(410)에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알람장치(410)는 상기 제어반(40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발광하는 동시에 청각적인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110)는 상기 제1상부프레임(120)이 제1피스톤로드(140)와 함께 하강할 때 상기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의 상단면에 대한 상대적 거리 변화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210)는 상기 제2상부프레임(220)이 제2피스톤로드(240)와 함께 하강할 때 상기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의 상단면에 대한 상대적 거리 변화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화제드럼(100)이 밀폐된 상태이므로 경화제드럼(100) 내의 경화제 잔량을 제1거리감지센서(110)가 직접적으로 센싱하지 못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주제드럼(200)이 밀폐된 상태이므로 주제드럼(200) 내의 주제 잔량을 제2거리감지센서(210)가 직접적으로 센싱하지 못하므로,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110)는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의 상단면과의 상대적 거리 변화를 센싱하고,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210)는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의 상단면과의 상대적 거리 변화를 센싱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화제드럼(100)의 경화제 잔량이 줄어들수록 상기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의 구동에 의하여 제1상부프레임(120)과 제1피스톤로드(140)이 하강하므로, 제1상부프레임(120)에 장착된 제1거리감지센서(110)가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 변화를 센싱하더라도 경화제드럼(100) 내의 잔량 센싱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제드럼(200)의 주제 잔량이 줄어들수록 상기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의 구동에 의하여 제2상부프레임(220)과 제2피스톤로드(240)이 하강하므로, 제2상부프레임(220)에 장착된 제2거리감지센서(210)가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 변화를 센싱하더라도 주제드럼(200) 내의 잔량 센싱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먼저, 경화제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경화제와 주제드럼부터 배출되는 주제가 혼합된 이액 혼합액을 단열블럭에 도포하는 공정 중,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110)에서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의 상단면과의 상대적 거리 변화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동시에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210)에서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의 상단면과의 상대적 거리 변화를 실시간으로 센싱한다(S101).
다음으로, 상기 경화제드럼(100) 내의 경화제 또는 상기 주제드럼(200) 내의 주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min)이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즉, 상기 제어반(400)에서 제1거리감지센서(110) 및 제2거리감지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경화제드럼(100) 내의 경화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거나 상기 주제드럼(200) 내의 주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반(400)에서 제1거리감지센서(11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130)의 상단면과의 상대적 거리 변화가 최소 기준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경화제드럼(100) 내의 경화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반(400)에서 제2거리감지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230)의 상단면과의 상대적 거리 변화가 최소 기준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주제드럼(200) 내의 주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상기 제어반(400)에서 알람장치(410)에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알람장치(410)가 시각적으로 발광하는 동시에 청각적인 경고음을 출력하며 작동된다(S103).
따라서, 작업자가 경화제드럼(100) 또는 주제드럼(20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S104).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단열블럭에 이액 혼합액을 도포하는 공정 중 상기 경화제드럼(100) 내에 충진된 경화제가 거의 소모되거나 상기 주제드럼(200)에 충진된 주제가 거의 소모됨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경화제드럼(100) 또는 주제드럼(20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으며, 이때 단열블럭에 이액 혼합액을 도포하는 공정이 갑자기 중단되지 않으므로 이미 도포 중인 단열블록에 대한 이액 혼합액 도포 공정을 끝마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이액 혼합액 도포 공정을 종료한 후, 작업자가 경화제드럼(100) 또는 주제드럼(20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한다(S105).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경화제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경화제와 주제드럼부터 배출되는 주제가 혼합된 이액 혼합액을 단열블럭에 도포하는 공정 중, 주제탱크 내의 주제 소모량과 경화제탱크 내의 경화제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경화제 또는 주제의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면 알람장치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경화제드럼 또는 주제드럼의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작업자가 알람장치의 발광색 또는 경고음을 듣고, 경화제드럼 및 주제드럼의 교체 작업을 곧바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단열블록에 대한 이액 혼합액의 도포 작업이 갑작스런 중단없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1피스톤로드(140) 및 제2피스톤로드(240)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트리에탄올아민 15중량%, 인디아졸 25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프로피온아미드 1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트리에탄올아민, 인디아졸, 프로피온아미드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1거리감지센서(110) 및 제2거리감지센서(21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와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1거리감지센서(110) 및 제2거리감지센서(210)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 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제1거리감지센서(110) 및 제2거리감지센서(210)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제1거리감지센서(110) 및 제2거리감지센서(21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거리감지센서(110) 및 제2거리감지센서(21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0.1 몰 및 알킬 글리콜에테르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반(400)의 둘레에는 살균기능 및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방향제 물질과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코니퍼 노트 오일(Conifer note oil) 50중량%, 웜우드 오일(Wormwoo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코니퍼 노트 오일(Conifer note oil)은 신경통, 근육통, 항울증,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웜우드 오일(Wormwood oil)은 해독 작용, 피부 질환 치료, 살균, 가려움증 완화, 머리를 맑게 하고,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제어반(400)에 코팅됨에 따라, 제어반(400)을 살균 처리하고 제어반(400)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방향제 물질 및 기능성 오일에 대해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제어반(400)의 외부케이스와 제어반(400)이 안착되는 프레임 사이에는 진동흡수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진동흡수패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흡수패드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55중량%, 유기산 코발트염 6중량%,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 6중량%, 카아본블랙 22중량%, 3C(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6중량%, 유황 5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 열전도성 등을 증대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유기산 코발트염과 나프탈릭 안하이드라이드는 접착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는 산화방지제로 첨가되며, 유항은 촉진제 등의 역할을 위해 첨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흡수패드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진동흡수패드의 수명이 증대된다.
고무재질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터(330)의 외부케이스 둘레에는 방사율이 높은 고방사율의 방열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모터(330)의 구동시 발생된 열이 외부케이스 표면으로부터 잘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방열코팅제는 적외선 방사체 분말과 바인더로 이루어져 핀튜브 표면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적외선 방사체 분말은, 옥, 세르사이트, 코디에라이트, 게르마늄, 산화철, 운모, 이산화망간, 실리콘카바이드, 맥섬석, 카본, 산화구리, 산화코발트, 산화니켈, 오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크롬,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규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둘 이상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바인더로는, 실란 바인더, 유기 바인더, 실리콘 화합물 바인더,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모터(330)의 외부케이스와 방열코팅제 사이에는 프라이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열코팅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프라이머로서는,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사용한다.
또한, 방열코팅제 표면에는 방열코팅제를 보호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보호층이 더 형성된다. 이 보호층은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란 바인더는, 4개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실란을 포함하되, 상기 4개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실란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i-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한다.
또한, 유기 바인더는, 탄소사슬의 양 말단 또는 사슬의 측쇄에 열중합이 가능한 비닐기, 아크릴기, 에스테르기, 우레탄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및 열경화가 가능한 유기 관능기를 적어도 1관능기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고분자, 그리고 광중합이 가능한 비닐기, 알릴기, 아크릴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및 광경화가 가능한 유기 관능기를 적어도 1관능기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며, 또한 상기 유기 고분자는 탄화수소기의 일부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실리콘 화합물 바인더는, 실록산(-Si-O-)을 기본으로 하면서, 실리콘 원자의 4개 결합부위 중 어느 하나에 직쇄, 측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물질이며, 상기 탄화수소기는 알킬기, 케톤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알릴기, 알콕시기, 방향족기, 아미노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시기, 사이클로부텐기, 카르복실기, 알키드기, 우레탄기, 비닐기, 니트릴기, 수소 또는 에폭시 작용기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가지거나, 상기 탄화수소기의 일부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무기바인더는,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 Na+, K+, Mg2+, Pb2+, Ca2+ 중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이는 수산화물인 LiOH, NaOH, KOH, Mg(OH)2, Pb(OH)2, Ca(OH)2을 사용한다.
또한,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는, 콜로이드 무기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0.1~150중량부 또는 유기수지 0.1~1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콜로이드 무기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아연, 바륨타이타네이트, 지르코늄타이타네이트 및 스트론튬타이타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글래스 프릿(glass frit) 바인더는 유리조성을 고온에서 녹인 뒤 냉각시켜서 분말 혹은 조각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보호코팅이나 씰링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용융 온도도 조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상기 글래스 프릿은 상온에서 고상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온도를 올리면 액상으로 되어 바인더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액상에서 접착시킨 뒤 다시 냉각을 시키게 되면 고상의 형태로 접착이 되게 된다.
또한, 모터(330)의 외부케이스 일측에는 금속메쉬폼이 부착된다. 이러한 금속메쉬폼은 기공을 갖는 금속 재질의 메쉬폼 형태이다.
온도변색층은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도포되어서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침투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변색층 위에는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층은 히터부에 의해 내부의 온도사 상승함에 따라 간접 가열되는 모터(33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모터(33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모터(330)의 온도는 금속메쉬폼에 전달되며, 금속메쉬폼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변색층이 반응하여, 결과적으로 모터(33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금속메쉬폼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층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층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온도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터(330)의 온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모터(330)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모터(330)가 정상 구동되는 상태인지, 과열된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온도변색층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경화제드럼
110 : 제1거리감지센서
120 : 제1상부프레임
130 :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
140 : 제1피스톤로드
200 : 주제드럼
210 : 제2거리감지센서
220 : 제2상부프레임
230 :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
240 : 제2피스톤로드
300 : 베이스프레임
310 : 제1디스펜서 유닛
320 : 제2디스펜서 유닛
330 : 모터
340 : 기어펌프
350 : 커플링 장치
370 : 디스차지블록
380 : 팔로어플레이트
390 : 원료안내구
400 : 제어반
410 : 알람장치

Claims (3)

  1. 베이스프레임 상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화제드럼 및 주제드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일측쪽에 장착되는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 상기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피스톤로드;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상단부를 취부하는 동시에 제1디스펜서 유닛을 취부하는 제1상부프레임; 상기 제1상부프레임에 취부된 상태에서 제1피스톤로드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상기 경화제드럼 내의 경화제를 펌핑 흡입하여 혼합 사용처로 분배하는 제1디스펜서 유닛;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타측쪽에 장착되는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 상기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피스톤로드; 상기 제2피스톤로드의 상단부를 취부하는 동시에 제2디스펜서 유닛을 취부하는 제2상부프레임; 및 상기 제2상부프레임에 취부된 상태에서 제1피스톤로드의 하강시 함께 하강하여 상기 주제드럼 내의 주제를 펌핑 흡입하여 혼합 사용처로 분배하는 제2디스펜서 유닛;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상부프레임에 경화제드럼 내의 경화제 잔량을 센싱하는 제1거리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제2상부프레임에 주제드럼 내의 주제 잔량을 센싱하는 제2거리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 및 제2거리감지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반에서 상기 경화제드럼 내의 경화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거나 상기 주제드럼 내의 주제 잔량이 최소 기준치에 도달하면, 시각적 및 청각적인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발광하는 동시에 청각적인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리감지센서는 상기 제1상부프레임이 제1피스톤로드와 함께 하강할 때 상기 제1에어리프트 실린더의 상단면에 대한 상대적 거리 변화를 센싱하고, 상기 제2거리감지센서는 상기 제2상부프레임이 제2피스톤로드와 함께 하강할 때 상기 제2에어리프트 실린더의 상단면에 대한 상대적 거리 변화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KR1020200128697A 2020-10-06 2020-10-06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KR20220045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697A KR20220045723A (ko) 2020-10-06 2020-10-06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697A KR20220045723A (ko) 2020-10-06 2020-10-06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723A true KR20220045723A (ko) 2022-04-13

Family

ID=81212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697A KR20220045723A (ko) 2020-10-06 2020-10-06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57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463A (zh) * 2022-04-27 2022-09-06 广州文冲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用主机基座换新定位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90B1 (ko) 2019-03-25 2019-04-29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90B1 (ko) 2019-03-25 2019-04-29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463A (zh) * 2022-04-27 2022-09-06 广州文冲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用主机基座换新定位工艺
CN115009463B (zh) * 2022-04-27 2024-01-02 广州文冲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用主机基座换新定位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0233B (ko)
Cho et al. Self-healing polymer coatings
Antonucci et al. Chemistry of silanes: interfaces in dental polymers and composites
KR20220045723A (ko)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 도포용 이액혼합액 소모량 측정 장치
CN104745141A (zh) 一种双组分缩合型有机硅灌封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A1311329C (en) Room temperature-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CN107034466B (zh) 腐蚀控制涂层
CN1312240C (zh) 具有生物膜抑制涂层的基体
EP2631275A1 (en) Encapsulating agent for optical semiconductor devices,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CN102575105A (zh) 有机硅氧烷组合物
KR101789514B1 (ko) 친환경 표면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코팅 방법
JP2010529645A (ja) 発光体を有するシリコン成形部材
NO169081B (no) Elastisk formelement av silikonelastomer og anvendelse avdette for dyptrekking av plateemner ved elastoforming
KR101591903B1 (ko) 콜로이달실리카-실란의 졸-겔 조성물, 세라믹 폴리머 코팅제 및 세라믹 코팅막 시공방법
CN101311238A (zh) 浅色耐高温有机硅胶粘剂/密封剂
JP5891617B2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半導体デバイス用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デバイス
US9428689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organic-inorganic hybrid pre-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phosphor
EP0586184B1 (en) Polydimethylsiloxanes for modulus reduction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KR102340479B1 (ko) 라돈 차단 보수공법을 위한 라돈 투과 차단용 코팅제 조성물 분사장치
CN104559913A (zh) 一种高透明脱醇型有机硅灌封胶、制备方法及应用
TW201525072A (zh) 光學材料
Zhang et al. Progress in polymer-ceramic hybrid antifouling coatings
KR20090084351A (ko) 축광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비닐 장판지
KR101566529B1 (ko) 광학기기용 경화형 폴리실록산 조성물, 봉지재 및 광학기기
JP6496185B2 (ja) 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