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745B1 -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745B1
KR101537745B1 KR1020150066070A KR20150066070A KR101537745B1 KR 101537745 B1 KR101537745 B1 KR 101537745B1 KR 1020150066070 A KR1020150066070 A KR 1020150066070A KR 20150066070 A KR20150066070 A KR 20150066070A KR 101537745 B1 KR101537745 B1 KR 101537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gear pump
discharge
liqu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엔디시스템
김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8740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377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엔디시스템, 김승호 filed Critical (주) 케이엔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6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각종 선박의 선실, 함실에 대하여 보온단열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원료액에 의한 관로 막힘, 기어펌프 고착 등의 과부하시 다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무빙행거(800)로 인해 토출관(159)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The dispenser device with two liquid mixer and gear pump type}
본 발명은 특허 제10-1416835호의 이용발명으로서,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각종 선박의 선실, 함실에 대하여 보온단열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원료액에 의한 관로 막힘, 기어펌프 고착 등의 과부하시 다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무빙행거(800)로 인해 토출관(159)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서로 종류가 다른 액상물질인 이액(異液)을 정해진 유량과 압력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고점도의 에폭시, 우레탄, 실리콘 및 도료 등과 같은 고점도의 수지의 혼합비율의 변화가 없이 고점도의 수지를 혼합 공급하고, 주제와 경화제 등과 같이 특수 물질의 혼합시켜 토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혼합되는 각종 수지 물질이나 분체되는 도료의 주제와 경화제를 정확한 량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으로 토출량의 오차범위가 적고, 정량 주입, 정확한 계량에 의한 혼합이 가능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종래기술의 이액 혼합 장치를 도 33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탱크(10)는 폐쇄된 공간을 갖는 것으로 상부에는 모터(11)가 장착되고 이 모터(11)의 출력회전축에 그 폐쇄공간에 임펠러(12)가 위치되게 장착되어 있다.
진공펌프(13)는 탱크(10) 내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그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흡입라인(14)을 통해 탱크(1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라인(14)의 중간에는 진공병(15)이 설치되어 있다.
믹서기(20)는 외부케이스(21)내에서 회전혼합체가 모터(22)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혼합 토출시키는 것이며 이는 탱크(10)의 하단과 원료공급라인(31)을 연결되어 있고 이 원료공급라인(31)에는 펌프(32)와 제1압력스위치(33)와 압력게이지(34) 및 선택밸브(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32)와 믹서기(20) 사이의 원료공급라인(31)에는 펌프(32)의 구동에 의해 원료의 정량인출이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계량밸브(36)가 설치되어 있다.
건밸브(40)는 믹서기(20)에 의해 혼합된 원료의 토출을 제어하도록 그 토출단에 토출라인(4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몸체의 내부에 그 중심선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는 노즐과 이 노즐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세척액용기(50)는 원료공급라인(31)의 선택밸브(35)에 세척라인(52)을 통해 연결되고 이 세척라인(52)엔 고압용기(도시되지 않았음)측 에어라인(53)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세척액용기(50)의 세척액이 공급되도록 세척액밸브(55)와 첵밸브(56)를 갖는 라인이 있고 다른 하나의 라인에는 에어라인(53)과 유통되도록 공압밸브(57)를 갖는 것으로 분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액혼합장치는 원료공급라인(31)상의 밸브를 잠근 상태에서 탱크(10)내에 소정의 원료를 넣고 밀폐시킨 다음 모터(11)를 구동시키면 그 모터(11)의 임펠러(12)가 회전됨에 따라 원료를 저어주고 이와 같이 원료를 저어주면서 진공펌프(13)를 구동시키면 탱크(10)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탱크(10)에서 흡입되기 시작한 공기는 흡입라인(14)상의 진공병(15)을 통해 진공펌프(13)로 흡입되므로 탱크(10)내부는 진공상태로 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를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원료 중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탱크(10)내의 원료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고 난 후 진공펌프(13)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흡입라인(14)의 밸브를 잠그고 탱크(10)내부의 진공을 서서히 해제시킨다.
상기 탱크(10)내부의 진공을 해제시킨 후 원료공급라인(31)상의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펌프(32)를 구동시키면 탱크(10) 내부의 원료를 펌핑하여 원료공급라인(31)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면 제1압력스위치(33)에 의해 펌프(3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원료공급라인(31)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 펌프(32)를 구동시켜 항상 소정압력으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원료공급라인(31)내부가 소정압력으로 되면 계량밸브(36)를 개방하여 샘플링하여 정량토출이 되는지를 확인한 후 잠근 다음 선택밸브(35)에 의해 믹서기(20)로 원료공급라인(31)내부의 원료가 공급되도록 개방한다.
이렇게 각각의 원료공급라인(31)내부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가 믹서기(20)로 압입되면 믹서기(20)의 회전 혼합체에 의해 골고루 혼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원료는 토출라인(41)을 따라 건밸브(50)로 이동되고 이 건밸브(50)의 토출끝단을 혼합원료를 토출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고 건밸브(50)의 밸브몸체의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면 노즐이 상승됨으로써 밸브몸체 내부의 혼합원료가 노즐캡을 통해 혼합원료가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량의 혼합원료를 토출시킨 후 건밸브(50)의 밸브몸체로 공급되는 고압에어를 차단하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노즐이 원래위치로 복귀되어 혼합원료의 토출을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에 있어서는 원료 중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고 있어 장비가 비대해지며 탱크 내부의 원료를 다 사용한 후 다시 탱크에 원료를 투입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공정동안에 장비를 정지시켜야 했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펌프를 통하여 이액을 공급함에 따라 펌프의 회전구조에 의해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맥동 현상으로 정확한 압력과 수량을 공급하지 못함에 따라 정량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해 교반되는 탱크의 내측으로 주입한 상태에서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진공병으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복수의 공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공정에 따른 비용이 지출되고, 공급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진공펌프로 이액을 진공병으로 일차로 흡입한 상태로 펌프를 통하여 2차로 공급함에 따라 공급되는 이액을 각 펌프를 거치면서 정량을 조절하여야 함으로써, 공정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압력과 액량의 손실이 발생하여 조절이 어렵고, 모터에서 발생되는 맥동현상과 같은 불규칙한 흐름에 의해 정량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들에 대하여 특허 제10-0779216호를 등록받아 상술한 종래 문제점들을 개선한 바 있다.
즉, 상기 등록특허는 이액을 혼합 토출하기 위해서 원료캔을 안치하는 원료안치부를 양측에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원료안치부 측으로 안치된 원료캔의 양측으로 상부를 이송고정플레이트로 연결한 이송실린더를 형성하고, 이송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이송실린더로 상하 이송되도록 이송고정구로 이송바를 고정 형성하며, 이송바의 중앙에 모터고정부를 형성하고, 이송바의 하부에 이송바체결부를 형성한 공급이송부와, 상기 공급이송부의 이송바체결부에 체결되어 이송실린더의 작동으로 이송하면서 외주연에 밀폐링을 구비하고, 내측으로 중앙으로 상승되는 공급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원료액이 집수되는 공급공간을 형성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공급구 상부에 유입구로 유입된 원료액을 모터고정부에 고정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커플링으로 구동축에 결합된 토출기어의 회전으로 원료액을 가압하여 정량으로 토출구 측으로 토출하도록 기어펌프를 형성한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의 토출구 측으로 토출관을 직결하여 이액을 혼합시켜 토출하도록 형성한 혼합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종래 문제들이 해결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와 관련하여 최근 당업계에서는 혼합된 이액의 단부 토출시 보다 더 균일하고 안정적인 믹싱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LNGC선박과 같은 화물창의 시공시에는 요소요소마다 본딩시 해당 부분별 특수한 본딩 패턴(즉, 토출되는 수지의 형상을 의미 - 예컨데, 치약처럼 짜내거나 두루마리 휴지처럼 페이퍼가 롤링되어 바르는 등의 형상학적 의미를 일컬음)이 요구되는 바, 이러한 특수한 패턴 토출을 위한 노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본딩 방식은 수동방식으로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본딩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품질이 떨어짐은 물론 선박 안전 문제와도 직결되는 등 해결방안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특허 제10-1416835호(이하 '종전 발명' 이라 함)를 통해 상기한 종래 문제를 개선한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전 발명은 대용량 고점도 수지를 토출하기에 펌핑 성능이 부족하여 원활한 본딩 및 도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랐으며, 특히 모터와 기어펌프 간 연결 커플러가 모터 과부하시 결속된 상태가 계속되면 모터 자체를 파손시키게 함으로써, 대형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전 발명은 토출장치로부터 멀티노즐까지 연결된 토출관이 고정식 지지체를 통해 단순히 들어올려져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식 거치구조는 3D좌표로 하여금 이송되는 로딩장치의 운행을 오히려 방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종전 발명의 연결관은 고점도 토출액의 경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별도의 히팅수단이 결여된 구조로서, 가동 후 연결관 내부가 막히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력과 유지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이액 혼합장치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처럼 상하 이동하여 흡입한 뒤 배출되는 피스톤 펌핑 방식의 공급장치로서, 피스톤(4)이 상단으로 올라가면 체크볼(5)을 들어 올려 체크시트(8)에서 떨어뜨리게 한다.
반대로 상단에 있는 체크볼(2)이 체크시트(3)를 눌러 액을 빨아들일 수 있게 공기를 차단시켜 내부에 용액을 가득채운 뒤 다시 피스톤(4)이 하단으로 움직이면 역순으로 하단에 있는 체크볼(5)이 체크시트(8)를 눌러서 용액이 밑으로 빠지지 않게 한다.
이때, 상단에 있는 체크볼(2)은 압력으로 개방되면서 액이 밖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액을 가득 채운 후에는 피스톤이 상,하 어느쪽으로 움직이더라도 용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고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피스톤이 상,하 방향으로 전환시 움직임이 멈추게 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서 액의 압송이 잠시 끊기면서 맥동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각종 선박의 선실, 함실에 대하여 보온단열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장치의 과부하시 2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무빙행거(800)로 인해 토출관(151)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강화된 기어 펌핑 방식에 의해 점성이 높은 주제와 경화제(고점도 혼합 이액)에 대하여 원활한 토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오토 컨베이어 이송체를 통해 자동화 라인으로 본딩(도포)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전 수작업 본딩 대비 본딩 정밀도와 작업성 및 접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됨은 물론 선조시 생산 공기가 현저하게 단축되어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제 또는 경화제가 수용된 원료캔(1)이 안착되도록 원료안치부(112)를 갖는 프레임 파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캔(1)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송되도록 이송실린더(121)를 갖는 공급이송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이송부(120)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송되면서 원료캔(1)의 내부에 대하여 삽입 및 가압하면서 원료를 토출시키도록 인덕트 플레이트(131)를 갖는 드라이빙 파트(130)가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에 연결되어 토출 공급된 원료액을 가압하여 정량으로 토출하도록 기어펌프 파트(14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에서 정량으로 토출된 원료액은 터닝밸브 어셈블리(151)와 디스펜싱 밸브 파트(152)를 갖는 혼합토출부(150)에 의해 혼합된 후 토출되도록 하되,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의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원료캔(1)의 내주연과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원주면에는 원료캔(1) 내에서 기밀을 확보하도록 밀폐링(132)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내측 중앙을 향해 상승되는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는 공급테이퍼부(133)가 형성되어 원료액이 상향 집수되도록 공급공간(134)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기포배출부(135)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포배출부(135)는 압력센서(137)를 갖는 공급구(136)과 연통되어 원료를 가압하면서 발생하는 기포가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타측에는 히터부재를 갖는 가열부(138)가 형성되어 고점도 원료의 점성을 낮춘 후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일측에 구동모터(148)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48)는 구동축이 안전커플링(147)으로 하여금 기어펌프(141)의 작동축(146)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축(146)에 결합된 토출기어(145)는 유입기어(144)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시 유입구(142)를 통해 원료를 흡입한 후 토출기어와 유입기어의 치열 공간으로 유입된 원료액을 가압하면 토출구(143)로 하여금 정량 토출시키도록 하는 토출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상면 일측에 벤트스틱 아답터(139-1)를 갖는 벤트스틱(139)이 더 구비되어 인덕트 플레이트(131) 삽입시 원료캔(1) 드럼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안전커플링(147)은 복수의 커플러(147-1)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커플러(147-1)는 일측에 플렌지(147-11)가 형성되어 이웃한 플렌지와 서로 마주하게 되면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체(147-13)는 일부가 절개되어 커버체(147-14)에 의해 분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원통체와 커버체는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48)와 기어펌프(141) 사이에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또는 격벽 형태의 보강브라켓(700)이 구비되어 펌핑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모터 가동시 발생되는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토출구(143)와 대응되는 단부에 압력센서(149-1)를 갖는 체크블럭(149)이 구비되어 원료액이 기어펌프(14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벤트스틱(139) 일측에 액받침대(131-1)가 구비되어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혼합토출부(150)의 터닝밸브 어셈블리(151)는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로딩장치에 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51-1)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복수의 관로가 구비된 매니폴드(151-2)가 결합되고, 상기 매니폴드 일측에는 디스펜싱 밸브 파트(152)가 결합되며, 상기 매니폴드의 관로 단부에는 분할관(151-41)이 내장된 회전 고정샤프트(151-4)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 고정샤프트는 배출측 단부에 로터리 실린더(151-5)의 구동풀리(151-51)에 의해 연동하도록 종동풀리(151-61)를 갖는 믹서블럭(151-6)이 형성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설정된 배율에 따라 혼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믹서블럭(151-6)은 일 실시예로서, 토출측 단부에 엘리먼트(151-71)를 갖는 믹서 하우징(151-7)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하우징은 중공관으로서 내부에 수납된 엘리먼트는 일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꽈배기형 믹싱날이 이웃한 믹싱날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그재그 교번되면서 일체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믹서블럭(151-6)은 다른 실시예로서, 토출측 단부에 주제 배출파이프(151-81)와 경화제 배출파이프(151-82)가 구비된 비율 테스트 노즐(151-8)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관로가 구비된 매니폴드와 분할관을 갖는 회전 고정샤프트에 의해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비율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상면 일측에 내외측단을 관통하면서 에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131-2)가 결합되어 원료캔 드럼으로부터 인덕트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 파트의 원료안치부(112) 상면에는 환봉 형태의 레일(112-1)이 형성되어 원료캔 드럼의 교체시 단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함체 형태의 포크 포인트 브라켓이 결합되어 이동 및 운반시 무게 중심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포인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각종 선박의 선실, 함실에 대하여 보온단열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장치의 과부하시 2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무빙행거(800)로 인해 토출관(151)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강화된 기어 펌핑 방식에 의해 점성이 높은 주제와 경화제(고점도 혼합 이액)에 대하여 원활한 토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오토 컨베이어 이송체를 통해 자동화 라인으로 본딩(도포)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전 수작업 본딩 대비 본딩 정밀도와 작업성 및 접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됨은 물론 선조시 생산 공기가 현저하게 단축되어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 혼합 토출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장치의 프레임 파트, 공급 이송부, 드라이빙 파트, 기어펌프 파트, 혼합토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행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장치가 지게차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31 내지 3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3 내지 도 34는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의 토출장치(100)는 프레임 파트(110), 공급이송부(120), 드라이빙 파트(130), 기어펌프 파트(140), 혼합토출부(15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프레임 파트(110)는 주제 또는 경화제가 수용된 원료캔(1)이 안착되도록 원료안치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료안치부(112)는 하부에 고정구 또는 이송바퀴를 형성하고, 몸체 일측으로 제어부(118)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원료안치부(112) 상면에는 원료캔 드럼의 동심도를 잡아주고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 클램프(112-3)가 더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료안치부(112)의 상면에는 환봉 형태의 레일(112-1)이 형성되어 원료캔 드럼의 교체시 단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함체 형태의 포크 포인트 브라켓(112-2)이 결합되어 이동 및 운반시 무게 중심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포인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급이송부(120)는 원료캔(1)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송되도록 이송실린더(1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이송부(120)는 이송고정플레이트(122)가 형성되어 이송실린더(121)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도록 하고, 이송고정플레이트(122)의 하부에는 이송실린더(121)로 하여금 상하 이송되는 이송고정구(123)가 이송바(124)에 고정 형성되며, 이송바(124)의 중앙에는 모터고정부(125)를 형성하고, 이송바(124)의 하부에는 이송바체결부(126)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는 상기 공급이송부(120)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송되면서 원료캔(1)의 내부에 대하여 삽입 및 가압하면서 원료를 토출시키도록 인덕트 플레이트(1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원료캔(1)의 내주연과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원주면에는 원료캔(1) 내에서 기밀을 확보하도록 밀폐링(132)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내측 중앙을 향해 상승되는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는 공급테이퍼부(133)가 형성되어 원료액이 상향 집수되도록 공급공간(134)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기포배출부(135)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포배출부(135)는 압력센서(137)를 갖는 공급구(136)과 연통되어 원료를 가압하면서 발생하는 기포가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타측에는 히터부재를 갖는 가열부(138)가 형성되어 고점도 원료의 점성을 낮춘 후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주된 기술적 요지로서 상면 일측에 벤트스틱 아답터(139-1)를 갖는 벤트스틱(139)이 더 구비되어 인덕트 플레이트(131) 삽입시 원료캔(1) 드럼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벤트스틱(139) 일측에 액받침대(131-1)가 구비되어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상면 일측에 내외측단을 관통하면서 에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131-2)가 결합되어 원료캔 드럼으로부터 인덕트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인덕트 플레이트의 밑 바닥이 원료액과 완전히 밀착되면 기어펌프로 이송되는 액이 끊김 없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때 공기층이 발생되면 인덕트 흡입쪽에 액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도 같이 유입되어 원료액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드럼 내부는 액을 압축시켜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초기 유입시 인덕트 플레이트의 벤트 구멍으로 공기층을 배출시키기는 하나 기어펌프 바로 밑 부분은 벤트 구멍보다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2차로 벤트시켜 줄 수 있는 밸브가 따로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에 연결되어 토출 공급된 원료액을 가압하여 정량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일측에 구동모터(148)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48)는 구동축이 안전커플링(147)으로 하여금 기어펌프(141)의 작동축(146)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축(146)에 결합된 토출기어(145)는 유입기어(144)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시 유입구(142)를 통해 원료를 흡입한 후 토출기어와 유입기어의 치열 공간으로 유입된 원료액을 가압하면 토출구(143)로 하여금 정량 토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안전커플링(147)은 주된 기술적 요지로서, 복수의 커플러(147-1)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커플러(147-1)는 일측에 플렌지(147-11)가 형성되어 이웃한 플렌지와 서로 마주하게 되면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체(147-13)는 일부가 절개되어 커버체(147-14)에 의해 분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원통체와 커버체는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48)와 기어펌프(141) 사이에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또는 격벽 형태의 보강브라켓(700)이 구비되어 펌핑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모터 가동시 발생되는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토출구(143)와 대응되는 단부에 압력센서(149-1)를 갖는 체크블럭(149)이 구비되어 원료액이 기어펌프(14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어펌프는 유입구의 직경은 넓게 형성되고 토출구의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고점도 수지의 흡입력은 배가시키되 토출압은 증대시키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혼합토출부(150)는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에서 정량으로 토출된 원료액이 터닝밸브 어셈블리(151)를 통해 혼합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혼합토출부(150)의 터닝밸브 어셈블리(151)는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로딩장치에 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51-1)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복수의 관로가 구비된 매니폴드(151-2)가 결합되고, 상기 매니폴드 일측에는 디스펜싱 밸브 파트(152)가 결합되며, 상기 매니폴드의 관로 단부에는 분할관(151-41)이 내장된 회전 고정샤프트(151-4)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 고정샤프트는 배출측 단부에 로터리 실린더(151-5)의 구동풀리(151-51)에 의해 연동하도록 종동풀리(151-61)를 갖는 믹서블럭(151-6)이 형성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설정된 배율에 따라 혼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믹서블럭(151-6)은 일 실시예로서, 토출측 단부에 엘리먼트(151-71)를 갖는 믹서 하우징(151-7)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하우징은 중공관으로서 내부에 수납된 엘리먼트는 일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꽈배기형 믹싱날이 이웃한 믹싱날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그재그 교번되면서 일체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믹서블럭(151-6)은 다른 실시예로서, 토출측 단부에 주제 배출파이프(151-81)와 경화제 배출파이프(151-82)가 구비된 비율 테스트 노즐(151-8)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관로가 구비된 매니폴드와 분할관을 갖는 회전 고정샤프트에 의해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비율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디스펜싱 밸브 파트(152)는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개는 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를 개방해주는 것이고, 나머지 두 개는 액이 흐르지 않도록 차단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는 공기의 압력으로 작동시키게 되며, 실린더의 단면적과 공기의 압력에 따라 힘의 크기가 달라지면서 구동 및 연동하도록 형성된다.
즉, 액을 뽑아내어 주는 펌프의 힘과 토출하고자 하는 양에 따라 액의 토출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의 핀이 강하게 눌러져 액의 차단을 확실하게 단속해야 토출량도 정확해지며 노즐의 끝 부분에도 잔량이 남지 않게 되어 제품에 떨어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니들 핀(151-31)은 공기와 닿는 피스톤부와 연결되어 밸브를 개폐하도록 형성되고, 핀 조절나사(151-32)는 밸브 안 쪽의 피스톤을 움직이는 행정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핀 조절나사는 액이 나가는 구멍에서 액을 개폐시키는 니들 핀과 시트의 간격에 따라 미세한 양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브이 패킹(151-33)은 테프론 재질을 사용하여 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저마찰 계수를 갖고 있으며, 고압의 압력에 탁월한 성능을 보이게 된다.
또한, 브이 패킹 스크류(151-34)는 압력에 따라 조일수록 브이 패킹은 니들 핀을 더 강하게 조이게 된다.
이때, 실린더의 힘이 약하게 되면 니들 핀을 제대로 개폐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두 개의 밸브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핀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압력의 비율이 차이가 많으면 한 쪽 밸브로 역류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고압력은 브이 패킹과 니들 핀 및 시트 모든 부분이 강하게 작용하여야 압력을 견디고 자유롭게 움직이야 하므로 2단 실린더를 사용하여 부피를 키우지 않으면서 기존 밸브체보다 2배의 힘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토출장치(100)를 포함하며 로딩장치(400)와 컨베이어 이송체(500), 판넬(600) 및 무빙 행거(800)로 하여금 자동화 방식의 본딩 작업을 시스템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로딩장치(400)는 이송구(410)와 렉바디(420)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구 측에는 혼합토출부(150)가 결합되어 임의 설정된 3D 좌표에 따라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본딩 및 도포를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로딩장치(400)는 X,Y,Z 좌표를 가지며 이송구(410)가 본딩 포인트로 이송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되, 컨베이어 이송체의 상부에 결합된 X축 이송대(414)에는 제1슬라이더(415)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에는 Y축 이송대(416)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Y축 이송대(416)에는 제2슬라이더(417)가 결합되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에는 Z축 이송대(418)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Z축 이송대(418)에는 제3슬라이더(419)가 결합되어 상하 승강 운동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토출부가 자유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면서 토출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딩장치는 로봇 아암 방식의 자동화 구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컨베이어 이송체(500)는 상기 로딩장치(400)의 전후단에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프레임(510)은 직사각 형태의 골조로서, 프레임(510)의 상단 길이방향 선상에는 다수개의 로울러(5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이송체는 골조 하부에 캐스터를 두어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넬(600)은 상기 컨베이어 이송체의 로울러(530)에 놓여져 본딩 대상물을 이송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판넬(600)은 상부측에 모서리가 형성되어 설정된 각도를 기울기를 갖는 코너(엣지)판넬이거나 평판식 플랫판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컨베이어 이송체의 로울러(530)로 하여금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무빙 행거(800)는 패턴 도포시 토출관(159)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기립된 지주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일측 선상에는 다관절 회동형 아암이 형성되며, 상기 아암 선상에는 레일에 의해 직선왕복 운동하는 다수개의 호이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호이스트 연결고리 단부에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토출관이 선상이 현수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원료캔
100 ... 토출장치 110 ... 프레임 파트
112 ... 원료안치부 112-1 ... 레일
112-2 ... 포크 포인트 브라켓 112-3 ... 고정 클램프
118 ... 제어부 120 ... 공급이송부
121 ... 이송실린더 122 ... 이송고정플레이트
123 ... 이송고정구 124 ... 이송바
125 ... 모터고정부 126 ... 이송바체결부
130 ... 드라이빙 파트 131 ... 인덕트 플레이트
131-1 ... 액받침대 131-2 ... 체크밸브
132 ... 밀폐링 133 ... 공급테이퍼부
134 ... 공급공간 135 ... 기포배출부
136 ... 공급구 137 ... 압력센서
138 ... 가열부 139 ... 벤트스틱
139-1 ... 아답터 140 ... 기어펌프 파트
141 ... 기어펌프 142 ... 유입구
143 ... 토출구 144 ... 유입기어
145 ... 토출기어 146 ... 작동축
147 ... 안전커플링 147-1 ... 커플러
147-11 ... 플렌지 147-12 ... 안전볼트
147-13 ... 원통체 147-14 ... 커버체
148 ... 구동모터 149 ... 체크블럭
149-1 ... 압력센서 150 ... 혼합토출부
151 ... 터닝밸브 어셈블리 151-1 ... 베이스 플레이트
151-2 ... 매니폴드
151-4 ... 회전 고정샤프트 151-41 ... 분할관
151-5 ... 로터리 실린더 151-51 ... 구동풀리
151-6 ... 믹서블럭 151-61 ... 종동풀리
151-7 ... 믹서 하우징 151-71 ... 엘리먼트
151-8 ... 비율 테스트 노즐 151-81 ... 주제 배출파이프
151-82 ... 경화제 배출파이프 159 ... 토출관
400 ... 로딩장치 410 ... 이송구
414 ... X축 이송대 415 ... 제1슬라이더
416 ... Y축 이송대 417 ... 제2슬라이더
418 ... Z축 이송대 419 ... 제3슬라이더
420 ... 렉바디 500 ... 컨베이어 이송체
510 ... 프레임 530 ... 로울러
600 ... 판넬 700 ... 보강브라켓
800 ... 무빙 행거

Claims (10)

  1. 주제 또는 경화제가 수용된 원료캔(1)이 안착되도록 원료안치부(112)를 갖는 프레임 파트(110)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캔(1)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송되도록 이송실린더(121)를 갖는 공급이송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이송부(120)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송되면서 원료캔(1)의 내부에 대하여 삽입 및 가압하면서 원료를 토출시키도록 인덕트 플레이트(131)를 갖는 드라이빙 파트(130)가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에 연결되어 토출 공급된 원료액을 가압하여 정량으로 토출하도록 기어펌프 파트(14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에서 정량으로 토출된 원료액은 터닝밸브 어셈블리(151)와 디스펜싱 밸브 파트(152)를 갖는 혼합토출부(150)에 의해 혼합된 후 토출되도록 하되,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의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원료캔(1)의 내주연과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원주면에는 원료캔(1) 내에서 기밀을 확보하도록 밀폐링(132)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내측 중앙을 향해 상승되는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는 공급테이퍼부(133)가 형성되어 원료액이 상향 집수되도록 공급공간(134)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기포배출부(135)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포배출부(135)는 압력센서(137)를 갖는 공급구(136)과 연통되어 원료를 가압하면서 발생하는 기포가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타측에는 히터부재를 갖는 가열부(138)가 형성되어 고점도 원료의 점성을 낮춘 후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일측에 구동모터(148)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48)는 구동축이 안전커플링(147)으로 하여금 기어펌프(141)의 작동축(146)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축(146)에 결합된 토출기어(145)는 유입기어(144)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시 유입구(142)를 통해 원료를 흡입한 후 토출기어와 유입기어의 치열 공간으로 유입된 원료액을 가압하면 토출구(143)로 하여금 정량 토출시키도록 하는 토출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상면 일측에 벤트스틱 아답터(139-1)를 갖는 벤트스틱(139)이 더 구비되어 인덕트 플레이트(131) 삽입시 원료캔(1) 드럼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플링(147)은 복수의 커플러(147-1)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커플러(147-1)는 일측에 플렌지(147-11)가 형성되어 이웃한 플렌지와 서로 마주하게 되면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체(147-13)는 일부가 절개되어 커버체(147-14)에 의해 분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원통체와 커버체는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48)와 기어펌프(141) 사이에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또는 격벽 형태의 보강브라켓(700)이 구비되어 펌핑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모터 가동시 발생되는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토출구(143)와 대응되는 단부에 압력센서(149-1)를 갖는 체크블럭(149)이 구비되어 원료액이 기어펌프(14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벤트스틱(139) 일측에 액받침대(131-1)가 구비되어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토출부(150)의 터닝밸브 어셈블리(151)는
    로딩장치에 부착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51-1)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복수의 관로가 구비된 매니폴드(151-2)가 결합되고, 상기 매니폴드 일측에는 디스펜싱 밸브 파트(152)가 결합되며, 상기 매니폴드의 관로 단부에는 분할관(151-41)이 내장된 회전 고정샤프트(151-4)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 고정샤프트는 배출측 단부에 로터리 실린더(151-5)의 구동풀리(151-51)에 의해 연동하도록 종동풀리(151-61)를 갖는 믹서블럭(151-6)이 형성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설정된 배율에 따라 혼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블럭(151-6)은 토출측 단부에 엘리먼트(151-71)를 갖는 믹서 하우징(151-7)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하우징은 중공관으로서 내부에 수납된 엘리먼트는 일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꽈배기형 믹싱날이 이웃한 믹싱날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지그재그 교번되면서 일체로 연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블럭(151-6)은 토출측 단부에 주제 배출파이프(151-81)와 경화제 배출파이프(151-82)가 구비된 비율 테스트 노즐(151-8)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관로가 구비된 매니폴드와 분할관을 갖는 회전 고정샤프트에 의해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비율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상면 일측에 내외측단을 관통하면서 에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131-2)가 결합되어 원료캔 드럼으로부터 인덕트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파트의 원료안치부(112) 상면에는 환봉 형태의 레일(112-1)이 형성되어 원료캔 드럼의 교체시 단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함체 형태의 포크 포인트 브라켓이 결합되어 이동 및 운반시 무게 중심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포인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1020150066070A 2015-05-12 2015-05-12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101537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070A KR101537745B1 (ko) 2015-05-12 2015-05-12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070A KR101537745B1 (ko) 2015-05-12 2015-05-12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745B1 true KR101537745B1 (ko) 2015-07-20

Family

ID=5387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070A KR101537745B1 (ko) 2015-05-12 2015-05-12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7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781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러 도포 시스템, 및 도포 방법
KR101972790B1 (ko) * 2019-03-25 2019-04-29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KR101992601B1 (ko) * 2019-03-25 2019-09-30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장치
KR102175533B1 (ko) * 2019-12-09 2020-11-06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KR102653094B1 (ko) * 2023-09-11 2024-04-02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417A (ko) * 2005-07-18 2007-01-24 (주)플루익스 이액형 고점도 수지의 혼합 및 정량제어 토출기
KR100692234B1 (ko) * 2005-12-09 2007-03-12 (주)삼성금속 단열재 주입장치
KR100779216B1 (ko) * 2007-06-27 2007-11-28 김승호 이액 혼합 토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417A (ko) * 2005-07-18 2007-01-24 (주)플루익스 이액형 고점도 수지의 혼합 및 정량제어 토출기
KR100692234B1 (ko) * 2005-12-09 2007-03-12 (주)삼성금속 단열재 주입장치
KR100779216B1 (ko) * 2007-06-27 2007-11-28 김승호 이액 혼합 토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781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러 도포 시스템, 및 도포 방법
KR102429007B1 (ko) * 2016-12-14 2022-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실러 도포 시스템
KR101972790B1 (ko) * 2019-03-25 2019-04-29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KR101992601B1 (ko) * 2019-03-25 2019-09-30 오철규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장치
KR102175533B1 (ko) * 2019-12-09 2020-11-06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KR102653094B1 (ko) * 2023-09-11 2024-04-02 (주)케이엔디시스템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745B1 (ko)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101972790B1 (ko)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이액혼합액 도포시스템
KR101972791B1 (ko) 선박 화물창 단열블록용 자동이송시스템
JP3093790B2 (ja) 封止・接着剤製品の脱泡・分配方法および装置
KR102004249B1 (ko) 기포 제거와 형성 방지를 위한 액체 시린지 충진기
US20110059258A1 (en) Method for supplying a coating system with a particulate auxiliary material
CN102481983B (zh) 流体填充装置
JP2020523228A (ja) 建築構造物の積層造形ロボット用のセメント質材料ビーズを押し出すシステム
US10994299B2 (en) Two-component adhesive dispenser with mixing unit replacement system
KR101719533B1 (ko) 단연조 또는 다연조 구조의 피스톤과 온/오프 정밀 개폐식 작동밸브를 갖는 모터 가압형 플런저 구조의 고점도, 고필러 수지용 정량 혼합 토출장치
CN214021462U (zh) 一种自动进料喷涂机
US20240058828A1 (en) Fluid Dispensing Systems
KR102175533B1 (ko)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KR102653094B1 (ko)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CN207957722U (zh) 一种全自动化学试剂灌装机的灌装装置
US6877644B2 (en) Device for dispensing flowable material components
CN211035200U (zh) 一种用于灌装桶内灌装液体产品的灌装装置
CN211098603U (zh) 一种水性涂料一体化制备线
CN117839957A (zh) 用于液化天然气船舶内部板块粘合作业的自动涂抹装置
KR100779216B1 (ko)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102113084B1 (ko)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전면 입출입식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WO2017107785A1 (zh) 一种胶黏剂输送设备
KR101416835B1 (ko) 선박 화물창 본딩작업을 위한 패턴 토출식 컨베이어를 갖는 이액 혼합 토출장치
CN221091333U (zh) 一种适用于不同剂量的灌装设备
US20200230636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08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405

Effective date: 20191018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08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0405

Effective date: 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