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094B1 -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094B1
KR102653094B1 KR1020230120477A KR20230120477A KR102653094B1 KR 102653094 B1 KR102653094 B1 KR 102653094B1 KR 1020230120477 A KR1020230120477 A KR 1020230120477A KR 20230120477 A KR20230120477 A KR 20230120477A KR 102653094 B1 KR102653094 B1 KR 102653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discharge
fixing
magn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이재성
김승용
이경희
선병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디시스템
김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디시스템, 김승호 filed Critical (주)케이엔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12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 B05C11/1021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5/02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17C3/027Wallpanels for so-called membran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저장용 엘엔지탱크의 보냉 및 기밀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원료액에 의한 관로 막힘, 기어펌프 고착 등의 과부하시 다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무빙행거(800)로 인해 토출관(159)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Automatic Dispenser for LNG ship interior panel bonding work}
본 발명은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저장용 엘엔지탱크의 보냉 및 기밀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 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 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원료액에 의한 관로 막힘, 기어펌프 고착 등의 과부하시 다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무빙행거(800)로 인해 토출관(159)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서로 종류가 다른 액상물질인 이액(異液)을 정해진 유량과 압력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고점도의 에폭시, 우레탄, 실리콘 및 도료 등과 같은 고점도의 수지의 혼합비율의 변화가 없이 고점도의 수지를 혼합 공급하고, 주제와 경화제 등과 같이 특수 물질의 혼합시켜 토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혼합되는 각종 수지 물질이나 분체되는 도료의 주제와 경화제를 정확한 량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으로 토출량의 오차범위가 적고, 정량 주입, 정확한 계량에 의한 혼합이 가능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종래기술의 이액 혼합 장치를 도 33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탱크(10)는 폐쇄된 공간을 갖는 것으로 상부에는 모터(11)가 장착되고 이 모터(11)의 출력회전축에 그 폐쇄공간에 임펠러(12)가 위치되게 장착되어 있다.
진공펌프(13)는 탱크(10) 내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그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흡입라인(14)을 통해 탱크(1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라인(14)의 중간에는 진공병(15)이 설치되어 있다.
믹서기(20)는 외부케이스(21)내에서 회전혼합체가 모터(22)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혼합 토출시키는 것이며 이는 탱크(10)의 하단과 원료공급라인(31)을 연결되어 있고 이 원료공급라인(31)에는 펌프(32)와 제1압력스위치(33)와 압력게이지(34) 및 선택밸브(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32)와 믹서기(20) 사이의 원료공급라인(31)에는 펌프(32)의 구동에 의해 원료의 정량인출이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계량밸브(36)가 설치되어 있다.
건밸브(40)는 믹서기(20)에 의해 혼합된 원료의 토출을 제어하도록 그 토출단에 토출라인(4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밸브몸체의 내부에 그 중심선방향으로 이동 개폐되는 노즐과 이 노즐을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세척액용기(50)는 원료공급라인(31)의 선택밸브(35)에 세척라인(52)을 통해 연결되고 이 세척라인(52)엔 고압용기(도시되지 않았음)측 에어라인(53)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세척액용기(50)의 세척액이 공급되도록 세척액밸브(55)와 첵밸브(56)를 갖는 라인이 있고 다른 하나의 라인에는 에어라인(53)과 유통되도록 공압밸브(57)를 갖는 것으로 분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액혼합장치는 원료공급라인(31)상의 밸브를 잠근 상태에서 탱크(10)내에 소정의 원료를 넣고 밀폐시킨 다음 모터(11)를 구동시키면 그 모터(11)의 임펠러(12)가 회전됨에 따라 원료를 저어주고 이와 같이 원료를 저어주면서 진공펌프(13)를 구동시키면 탱크(10)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탱크(10)에서 흡입되기 시작한 공기는 흡입라인(14)상의 진공병(15)을 통해 진공펌프(13)로 흡입되므로 탱크(10)내부는 진공상태로 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를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원료 중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탱크(10)내의 원료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고 난 후 진공펌프(13)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흡입라인(14)의 밸브를 잠그고 탱크(10)내부의 진공을 서서히 해제시킨다.
상기 탱크(10)내부의 진공을 해제시킨 후 원료공급라인(31)상의 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펌프(32)를 구동시키면 탱크(10) 내부의 원료를 펌핑하여 원료공급라인(31)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되면 제1압력스위치(33)에 의해 펌프(3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원료공급라인(31)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 펌프(32)를 구동시켜 항상 소정압력으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원료공급라인(31)내부가 소정압력으로 되면 계량밸브(36)를 개방하여 샘플링하여 정량토출이 되는지를 확인한 후 잠근 다음 선택밸브(35)에 의해 믹서기(20)로 원료공급라인(31)내부의 원료가 공급되도록 개방한다.
이렇게 각각의 원료공급라인(31)내부에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가 믹서기(20)로 압입되면 믹서기(20)의 회전 혼합체에 의해 골고루 혼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원료는 토출라인(41)을 따라 건밸브(50)로 이동되고 이 건밸브(50)의 토출끝단을 혼합원료를 토출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고 건밸브(50)의 밸브몸체의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면 노즐이 상승됨으로써 밸브몸체 내부의 혼합원료가 노즐캡을 통해 혼합원료가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량의 혼합원료를 토출시킨 후 건밸브(50)의 밸브몸체로 공급되는 고압에어를 차단하면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노즐이 원래위치로 복귀되어 혼합원료의 토출을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에 있어서는 원료 중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고 있어 장비가 비대해지며 탱크 내부의 원료를 다 사용한 후 다시 탱크에 원료를 투입하고 기포를 제거하는 공정동안에 장비를 정지시켜야 했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펌프를 통하여 이액을 공급함에 따라 펌프의 회전구조에 의해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맥동 현상으로 정확한 압력과 수량을 공급하지 못함에 따라 정량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기 위해 교반되는 탱크의 내측으로 주입한 상태에서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진공병으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복수의 공정을 거쳐야 함에 따라 공정에 따른 비용이 지출되고, 공급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는 진공펌프로 이액을 진공병으로 일차로 흡입한 상태로 펌프를 통하여 2차로 공급함에 따라 공급되는 이액을 각 펌프를 거치면서 정량을 조절하여야 함으로써, 공정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압력과 액량의 손실이 발생하여 조절이 어렵고, 모터에서 발생되는 맥동현상과 같은 불규칙한 흐름에 의해 정량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들에 대하여 특허 제10-0779216호를 등록받아 상술한 종래 문제점들을 개선한 바 있다.
즉, 상기 등록특허는 이액을 혼합 토출하기 위해서 원료캔을 안치하는 원료안치부를 양측에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원료안치부 측으로 안치된 원료캔의 양측으로 상부를 이송고정플레이트로 연결한 이송실린더를 형성하고, 이송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이송실린더로 상하 이송되도록 이송고정구로 이송바를 고정 형성하며, 이송바의 중앙에 모터고정부를 형성하고, 이송바의 하부에 이송바체결부를 형성한 공급이송부와, 상기 공급이송부의 이송바체결부에 체결되어 이송실린더의 작동으로 이송하면서 외주연에 밀폐링을 구비하고, 내측으로 중앙으로 상승되는 공급테이퍼부가 구비되어 원료액이 집수되는 공급공간을 형성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공급구 상부에 유입구로 유입된 원료액을 모터고정부에 고정된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커플링으로 구동축에 결합된 토출기어의 회전으로 원료액을 가압하여 정량으로 토출구 측으로 토출하도록 기어펌프를 형성한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의 토출구 측으로 토출관을 직결하여 이액을 혼합시켜 토출하도록 형성한 혼합토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한 종래 문제들이 해결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와 관련하여 최근 당업계에서는 혼합된 이액의 단부 토출시 보다 더 균일하고 안정적인 믹싱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LNGC선박과 같은 화물창의 시공시에는 요소요소마다 본딩시 해당 부분별 특수한 본딩 패턴(즉, 토출되는 수지의 형상을 의미 - 예컨데, 치약처럼 짜내거나 두루마리 휴지처럼 페이퍼가 롤링되어 바르는 등의 형상학적 의미를 일컬음)이 요구되는 바, 이러한 특수한 패턴 토출을 위한 노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본딩 방식은 수동방식으로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본딩 정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품질이 떨어짐은 물론 선박 안전 문제와도 직결되는 등 해결방안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특허 제10-1416835호(이하 '종전 발명' 이라 함)를 통해 상기한 종래 문제를 개선한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전 발명은 대용량 고점도 수지를 토출하기에 펌핑 성능이 부족하여 원활한 본딩 및 도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랐으며, 특히 모터와 기어펌프 간 연결 커플러가 모터 과부하시 결속된 상태가 계속되면 모터 자체를 파손시키게 함으로써, 대형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전 발명은 토출장치로부터 멀티노즐까지 연결된 토출관이 고정식 지지체를 통해 단순히 들어올려져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식 거치구조는 3D좌표로 하여금 이송되는 로딩장치의 운행을 오히려 방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종전 발명의 연결관은 고점도 토출액의 경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별도의 히팅수단이 결여된 구조로서, 가동 후 연결관 내부가 막히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인력과 유지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이액 혼합장치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처럼 상하 이동하여 흡입한 뒤 배출되는 피스톤 펌핑 방식의 공급장치로서, 피스톤(4)이 상단으로 올라가면 체크볼(5)을 들어 올려 체크시트(8)에서 떨어뜨리게 한다.
반대로 상단에 있는 체크볼(2)이 체크시트(3)를 눌러 액을 빨아들일 수 있게 공기를 차단시켜 내부에 용액을 가득채운 뒤 다시 피스톤(4)이 하단으로 움직이면 역순으로 하단에 있는 체크볼(5)이 체크시트(8)를 눌러서 용액이 밑으로 빠지지 않게 한다.
이때, 상단에 있는 체크볼(2)은 압력으로 개방되면서 액이 밖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액을 가득 채운 후에는 피스톤이 상,하 어느쪽으로 움직이더라도 용액이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고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피스톤이 상,하 방향으로 전환시 움직임이 멈추게 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서 액의 압송이 잠시 끊기면서 맥동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저장용 엘엔지탱크의 보냉 및 기밀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장치의 과부하시 2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이동 설치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트롤리 행거로 인해 토출관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강화된 기어 펌핑 방식에 의해 점성이 높은 주제와 경화제(고점도 혼합 이액)에 대하여 원활한 토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오토 컨베이어 이송체를 통해 자동화 라인으로 본딩(도포)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전 수작업 본딩 대비 본딩 정밀도와 작업성 및 접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됨은 물론 선조시 생산 공기가 현저하게 단축되어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료 캔을 고정함에 있어서 마그네틱 클램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교체 및 고정할 수 있고, 원료 캔의 돌출 부위에 따라 유동 없이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본딩 작업 중 원료 캔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제 또는 경화제가 각각 수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원료캔(1)이 안착되어 원료캔(1)으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토출 장치(100), 판넬(600)을 투입하여 상기 원료캔(1)에 수용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하여 도포되는 위치로 로딩하는 로딩 장치(400), 상기 로딩 장치(400)에 구비되어 x, y, z 3방향으로 이동하며 판넬(600)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혼합 토출부(200) 및 상기 로딩 장치(400)로 판넬(600)을 투입하는 컨베이어 이송체(5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원료캔(1)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송되며 원료캔(1) 내부에 대하여 삽입 및 가압하면서 원료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인덕트 플레이트(131)를 포함하는 드라이빙 파트(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원료캔(1)의 내주연과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원주면에는 원료캔(1) 내에서 기밀을 확보하도록 밀폐링(132)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내측 중앙을 향해 상승되는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는 공급테이퍼부(133)가 형성되어 원료액이 상향 집수되도록 공급공간(134)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기포배출부(1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포 배출부(135)에는 인덕트 플레이트 하강 시 자동으로 동작되며 원료 캔(1) 내부로부터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진공 장치(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진공 장치(1000)는 인덕트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기포 배출부(135)에 결합되어 기포가 배출되는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 밸브(1010)와, 상기 자동 밸브(10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진공 장치(1000)에 의해 기포가 배출되다가 원료액이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 밸브(1010)를 차단할 수 있는 액체 감지 센서(10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밀폐링(132)은 수축팽창 실(1100)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 장치(100)에는 원료 캔(1)을 고정할 수 있는 마그네틱 클램프(12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 장치(100)에는 토출 장치(100)로부터 혼합 토출부(200) 측으로 연결되는 토출관(159)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 설치 가능한 트롤리 스윙 행거(1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엔지선(LNG Carrier)을 포함한 저장용 엘엔지탱크의 보냉 및 기밀을 위한 철판 및 시트판의 접합 시공시 고점도 수지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본딩하도록 하되, 상기한 본딩에 따른 펌핑시에는 기어펌프를 통해 대용량, 고점도 수지의 토출시 맥동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정량 토출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되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의 결속을 조장하는 커플러는 장치의 과부하시 2분할로 파괴되면서 분리되도록 하는 안전 커플러로 형성되어 위험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모터와 기어펌프 사이에는 격벽 형태의 잔넬 또는 파티션 구조의 보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펌핑 진동이나 모터 가동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로딩장치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3D(X,Y,Z) 좌표에 따라 본딩 포인트를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본딩 목적물인 철판 및 시트판에 대하여 본딩 패턴(도포 형상-일자 또는 그외 형상)을 무인으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패턴 도포시에는 무빙행거로 인해 토출관(159)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강화된 기어 펌핑 방식에 의해 점성이 높은 주제와 경화제(고점도 혼합 이액)에 대하여 원활한 토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오토 컨베이어 이송체를 통해 자동화 라인으로 본딩(도포)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전 수작업 본딩 대비 본딩 정밀도와 작업성 및 접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됨은 물론 선조시 생산 공기가 현저하게 단축되어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 혼합 토출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장치의 프레임 파트, 공급 이송부, 드라이빙 파트, 기어펌프 파트, 혼합토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이송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행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장치가 지게차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32 내지 33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4 내지 도 35는 종래의 이액 혼합 토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트 플레이트에서 기포 배출부에 진공 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트 플레이트에서 밀폐링에 수축팽창 실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출 장치에 마그네틱 클램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클램프의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클램프에서 원료캔 고정부의 제자리 회전부가 자석에 의해 이격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빙 행거 구성에 트롤리 스윙 행거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빙 행거 구성에 트롤리 스윙 행거를 적용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의 토출장치(100)는 프레임 파트(110), 공급이송부(120), 드라이빙 파트(130), 기어펌프 파트(140), 혼합토출부(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프레임 파트(110)는 주제 또는 경화제가 수용된 원료캔(1)이 안착되도록 원료안치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료안치부(112)는 하부에 고정구 또는 이송바퀴를 형성하고, 몸체 일측으로 제어부(118)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원료안치부(112) 상면에는 원료캔 드럼의 동심도를 잡아주고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 클램프(112-3)가 더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료안치부(112)의 상면에는 환봉 형태의 레일(112-1)이 형성되어 원료캔 드럼의 교체시 단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되고, 하면에는 함체 형태의 포크 포인트 브라켓(112-2)이 결합되어 이동 및 운반시 무게 중심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포인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공급이송부(120)는 원료캔(1)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송되도록 이송실린더(1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이송부(120)는 이송고정플레이트(122)가 형성되어 이송실린더(121)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도록 하고, 이송고정플레이트(122)의 하부에는 이송실린더(121)로 하여금 상하 이송되는 이송고정구(123)가 이송바(124)에 고정 형성되며, 이송바(124)의 중앙에는 모터고정부(125)를 형성하고, 이송바(124)의 하부에는 이송바체결부(126)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는 상기 공급이송부(120)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송되면서 원료캔(1)의 내부에 대하여 삽입 및 가압하면서 원료를 토출시키도록 인덕트 플레이트(1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원료캔(1)의 내주연과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원주면에는 원료캔(1) 내에서 기밀을 확보하도록 밀폐링(132)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내측 중앙을 향해 상승되는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는 공급테이퍼부(133)가 형성되어 원료액이 상향 집수되도록 공급공간(134)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기포배출부(135)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기포배출부(135)는 압력센서(137)를 갖는 공급구(136)과 연통되어 원료를 가압하면서 발생하는 기포가 배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타측에는 히터부재를 갖는 가열부(138)가 형성되어 고점도 원료의 점성을 낮춘 후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주된 기술적 요지로서 상면 일측에 벤트스틱 아답터(139-1)를 갖는 벤트스틱(139)이 더 구비되어 인덕트 플레이트(131) 삽입시 원료캔(1) 드럼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벤트스틱(139) 일측에 액받침대(131-1)가 구비되어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상면 일측에 내외측단을 관통하면서 에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131-2)가 결합되어 원료캔 드럼으로부터 인덕트 플레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인덕트 플레이트의 밑 바닥이 원료액과 완전히 밀착되면 기어펌프로 이송되는 액이 끊김 없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때 공기층이 발생되면 인덕트 흡입쪽에 액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도 같이 유입되어 원료액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드럼 내부는 액을 압축시켜 공기층이 생기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초기 유입시 인덕트 플레이트의 벤트 구멍으로 공기층을 배출시키기는 하나 기어펌프 바로 밑 부분은 벤트 구멍보다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2차로 벤트시켜 줄 수 있는 밸브가 따로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상기 드라이빙 파트(130)에 연결되어 토출 공급된 원료액을 가압하여 정량으로 토출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일측에 구동모터(148)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148)는 구동축이 안전커플링(147)으로 하여금 기어펌프(141)의 작동축(146)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작동축(146)에 결합된 토출기어(145)는 유입기어(144)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시 유입구(142)를 통해 원료를 흡입한 후 토출기어와 유입기어의 치열 공간으로 유입된 원료액을 가압하면 토출구(143)로 하여금 정량 토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안전커플링(147)은 주된 기술적 요지로서, 복수의 커플러(147-1)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커플러(147-1)는 일측에 플렌지(147-11)가 형성되어 이웃한 플렌지와 서로 마주하게 되면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체(147-13)는 일부가 절개되어 커버체(147-14)에 의해 분해 조립되도록 하되, 상기 원통체와 커버체는 다수개의 안전볼트(147-12)에 의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48)와 기어펌프(141) 사이에는 일측이 개구된 함체 또는 격벽 형태의 보강브라켓(700)이 구비되어 펌핑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모터 가동시 발생되는 충격에도 견고한 지지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는 토출구(143)와 대응되는 단부에 압력센서(149-1)를 갖는 체크블럭(149)이 구비되어 원료액이 기어펌프(141)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어펌프는 유입구의 직경은 넓게 형성되고 토출구의 직경이 좁게 형성되어 고점도 수지의 흡입력은 배가시키되 토출압은 증대시키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에는 모터 승하강 장치(148-1)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 승하강 장치(148-1)는, 이송 고정 플레이트(122)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볼트 구조로 승하강되는 양중 고리(148-1a) 및 상기 양중 고리(148-1a)의 하부 양측으로부터 구동 모터(148)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양중 고리(148-1a)의 회전에 의해 구동 모터(148)를 상하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와이어(148-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양중 고리(148-1a)를 회전시켜 승하강되도록 함에 따라 와이어(148-1b)와 연결된 구동 모터(148)를 별도의 장비 없이 리프팅 할 수 있어서,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수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혼합 토출부(200)는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에서 정량으로 토출된 원료액이 혼합되는 믹싱부(210)와, 상기 믹싱부(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믹싱부(210)에서 혼합된 원료액이 도포되는 도포 노즐(220) 및 상기 믹싱부(210)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기 전 토출되는 유로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기어펌프 파트(140)로부터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믹싱 전 토출시켜 정량 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 토출 확인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포 노즐(220)은, 판넬(600)에 접착제를 도포함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되는 패턴 형태에 따라 굴곡 위치에서 도포 노즐(22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접착제가 도포되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도포 방향 전환부(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도포 방향 전환부(230)는 제어에 의해 도포 노즐(220)을 특정 각도로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모터(231) 및 상기 방향 전환 모터(231)와 도포 노즐(220)을 연결하여 방향 전환 모터(231)의 회전에 따라 도포 노즐(220)이 회전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방향 전환 벨트풀리(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장치(200)에는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되기 전 각각 토출시켜 정량 토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량 토출 확인부(2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정량 토출 확인부(240)는, 주제 측 유로와 경화제 측 유로에 각각 설치되어 토출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되기 전 개별적으로 토출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정량 확인 노즐(241) 및 상기 정량 확인 노즐(241)에 각각 설치되어 정량 확인 노즐(24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정량 확인 밸브(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정상 토출되는지 확인할 때 도포 노즐(220)을 분리하지 않고, 혼합되기 전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토출시켜 정량으로 토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내부 패널에 도포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제를 도포함에 있어서, 자동 도포를 위한 원점을 다시 설정할 필요 없이 정량 토출 여부만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토출장치(100)를 포함하며 로딩장치(400)와 컨베이어 이송체(500), 판넬(600) 및 무빙 행거(800)로 하여금 자동화 방식의 본딩 작업을 시스템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로딩장치(400)는 이송구(410)와 렉바디(420)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구 측에는 혼합토출부(200)가 결합되어 임의 설정된 3D 좌표에 따라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본딩 및 도포를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혼합 토출부(200)는 끝부분에 노즐이 구비되는데, 판넬(600)의 형태에 따라 경사면에 토출할 경우 노즐 부분을 회전시키며 경사면에 대응하여 토출할 수 있는 각도 노즐(221)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각도 노즐(221)은 도포 노즐(220)에 결합되는 도포 노즐 결합부(221a) 및 이액이 혼합되어 토출되는 부분에 끝부분이 절곡되게 구비되어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이액을 도포할 수 있는 경사 토출부(2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경사면이 형성된 판넬(600)의 경우 도포 각도에 따른 흐름 현상이나 번짐 현상 등을 방지하며 도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로딩장치(400)는 X,Y,Z 좌표를 가지며 이송구(410)가 본딩 포인트로 이송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되, 컨베이어 이송체의 상부에 결합된 X축 이송대(414)에는 제1슬라이더(415)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에는 Y축 이송대(416)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Y축 이송대(416)에는 제2슬라이더(417)가 결합되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에는 Z축 이송대(418)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Z축 이송대(418)에는 제3슬라이더(419)가 결합되어 상하 승강 운동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토출부가 자유방향으로 위치 가변되면서 토출 포인트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딩장치는 로봇 아암 방식의 자동화 구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컨베이어 이송체(500)는 상기 로딩장치(400)의 전후단에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프레임(510)은 직사각 형태의 골조로서, 프레임(510)의 상단 길이방향 선상에는 다수개의 로울러(5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이송체는 골조 하부에 캐스터를 두어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넬(600)은 상기 컨베이어 이송체의 로울러(530)에 놓여져 본딩 대상물을 이송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판넬(600)은 상부측에 모서리가 형성되어 설정된 각도를 기울기를 갖는 코너(엣지)판넬이거나 평판식 플랫판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컨베이어 이송체의 로울러(530)로 하여금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넬(600)은 후면으로 이동되어 얼라인먼트 되는 것으로, 판낼(600)이 안착되는 뒤쪽 얼라인 지점을 지지하는 스토퍼 플레이트(430)와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430)와 마주보게 구비되어 스토퍼 플레이트(430) 측으로 왕복 이송되는 얼라인 플레이트(440) 및 상기 얼라인 플레이트(440)를 스토퍼 플레이트(430) 측으로 밀착 이동시키는 얼라인 실린더(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작업을 위한 정위치로 얼라인되어 정확한 위치로 혼합된 이액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무빙 행거(800)는 패턴 도포시 토출관(159)의 처짐, 엉킴을 방지하면서 자유 이송을 보장하도록 함은 물론 견고한 현수와 지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기립된 지주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일측 선상에는 다관절 회동형 아암이 형성되며, 상기 아암 선상에는 레일에 의해 직선왕복 운동하는 다수개의 호이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호이스트 연결고리 단부에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토출관이 선상이 현수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덕트 플레이트에서 기포 배출부에 진공 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덕트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기포 배출부(135)에 진공 장치(1000)를 설치하여 원료통(1) 내부의 기포를 보다 정밀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공 장치(1000)는, 인덕트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기포 배출부(135)에 설치되어 기포가 배출되는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 밸브(10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 밸브(1010)는 설정에 의해 작업자 없이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 밸브(1010)의 상부에는 자동 밸브(1010)를 통해 기포가 배출되다가 원료액이 배출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액체 감지 센서(1020)가 구비된다.
상기 자동 밸브(1010)는 액체 감지 센서(1020)와 연결되어 액체 감지 센서(1020)에서 액체가 감지되면 자동 밸브(1010)가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동 밸브(10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진공 장치(1000)에 의해 기포가 배출되다가 원료액이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 밸브(1010)를 차단할 수 있는 액체 감지 센서(10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동 밸브(1010)에는, 원료액의 배출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테프론 튜브(1030)가 연장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액체 감지 센서(1020)는 상기 테프론 튜브(10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정전 용량식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테프론 튜브(1030)를 통해 원료액이 누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정전 용량식 센서는 근접 센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액체 또는 고체, 금속 탱크 등을 관통하여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테프론 튜브(1030)를 통해 원료액이 감지될 경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동 밸브(1010)를 빠르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프론 튜브(1030)의 끝부분에는 외부에 구비되는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진공 배관(1040)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진공 배관(1040)을 통해 외부의 진공 펌프와 연결됨에 따라 원료캔(1) 내부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하고, 원료액이 누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덕트 플레이트에서 밀폐링에 수축팽창 실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밀폐링(132)이 결합되는 위치에는 수축팽창 실(110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축팽창 실(1100)은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거나 공기를 배출하여 수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측면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 형태를 이루다가 공기 주입시 호형상으로 확장되는 측면 팽창부(1110) 및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공기주입 및 배출 밸브(1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축팽창 실(1100)은 인덕트 플레이트(131)의 외측에 상하 2중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주입 및 배출 밸브(1120)는 인덕트 플레이트(131)의 상부에 설치되되, 2중으로 설치된 수축팽창 실(1100)이 연통되게 연결되어 동시에 팽창시키거나 수축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원료캔(2)과 인덕트 플레이트(131) 사이에 수축팽창 실(1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축팽창 실(1100) 내부의 공기 배출함에 따라 원료캔(1) 내부에서 인덕트 플레이트(131)의 이동이 빠르고 용이하게 되고, 원료캔(1)과 인덕트 플레이트(131)의 센터가 정확히 맞지 않아도 공기 주입을 통해 팽창되며 상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고, 밀폐 기능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토출 장치에 마그네틱 클램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원료캔(1)을 프레임 파트(110)에 고정할 때, 마그네틱 클램프(1200)를 적용할 수 있다.
마그네틱 클램프(1200)는 자성을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2개의 자석이 적층 구비되어 두 자석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위치될 경우 상호 자성의 흐름에 의해 외부로 자력이 발생하지 않고, 적층된 자석 중 하나의 자석을 회전시켜 적층된 두 자석이 서로 같은 극성으로 위치될 경우 적층된 두 개의 자석이 합쳐지며 자성의 흐름이 외부를 통과하여 흐르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간편한 조작으로 강력한 자력을 외부로 발생시키거나 자력이 외부로 발생되지 않도록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그네틱 클램프(1200)는, 회전 조작에 의해 프레임 파트(110)에 부착되거나 떨어지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적층 구비되는 자석을 회전시킬 수 있는 탈착 레버(1210)와, 프레임 파트(110)에서 원료캔(1)이 설치되는 위치로 부착되는 자석 부착 고정부(1220) 및 상기 자석 부착 고정부(1220)에서 원료캔(1)의 하부 돌출부 상부로 구비되어 원료캔(1)의 하부에서 돌출된 부분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는 원료캔 고정부(1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 부착 고정부(1220)는 원료캔(1)의 전면을 지지하고, 동시에 상기 원료캔 고정부(1230)는 원료캔(1)의 하부 돌출부 상부를 고정하여 원료캔(1)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원료캔 고정부(1230)는 원료캔(1)의 하부 돌출부 크기와 형상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원료캔(1)을 고정하는 원료캔 고정 블록(1231)과, 상기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구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위치 조절 장공(1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의 상부에는 마그네틱 클램프(1200)가 원료캔(1)을 고정한 상태에서 원료캔(1) 하부 돌출부의 굴곡면이나 형상에 따라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는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자리 회전되도록 제자리 회전부(1235)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 자석 부착 고정부(1220)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크류 동작 너트부(1234)에 체결되어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를 회전시키면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이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에 형성된 나사산 피치에 따라 상하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원료캔(1)의 하부 돌출부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원료캔 고정 블록(1231)에 형성된 고정위치 조절 장공(1232)을 이용해 볼트를 체결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자석 부착 고정부(1220)가 프레임 파트(11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고정위치 조절 장공(1232) 측으로 볼트를 체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부에서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클램프에서 원료캔 고정부의 제자리 회전부가 자석에 의해 이격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제자리 회전부(1235)는, 상부와 하부가 극성이 다른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상부와 같은 극성을 가지며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을 밀어 이격시키는 상부 이격 자석(1235b) 및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하부에 구비되어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하부와 같은 극성을 가지며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을 밀어 이격시키는 하부 이격 자석(1235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자리 회전부(1235)는 회전 마찰을 최소화하며 회전되어 조작이 용이하고 그리스 등 별도의 윤활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빙 행거 구성에 트롤리 스윙 행거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무빙 행거(800)가 설치되는 위치에 이송 구조로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한 트롤리 스윙 행거(130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트롤리 스윙 행거(1300)는 하부에 바퀴 구조의 이송 장치(1310)가 구비되고, 그 상부로 프레임 형태의 포스트 바디(1320)가 구비된다.
그리고 포스트 바디(1320)의 상부에는 스윙 행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1330) 및 상기 높이 조절부(1330)의 상부에 구비되어 토출관(159)을 지지하는 3관절 토출관 지지부(13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부(1330)는 상기 3관절 토출관 지지부(13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 조작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파워 베이스(1331) 및 상기 파워 베이스(1331)의 일측에 구비되어 파워 베이스(1331)를 회전 조작할 수 있는 업다운 조절부(1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3관절 토출관 지지부(1340)의 하부에는 토출관(159)을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토출관 지지부재(1341)가 구비된다.
이때, 3관절 토출관 지지부(1340)는 3개의 관절로 측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토출관(159)을 거치한 상태에서 토출관(159)이 연결된 혼합 토출부(200)의 이동에 따라 관절 방향으로 회전되며 토출관(159)을 지지하여 다양한 범위에서 토출관(159)의 유동 방향에 따라 토출관(159)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빙 행거 구성에 트롤리 스윙 행거를 적용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2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기존 무빙 행거(800)위치에 트롤리 스윙 행거(1300)를 적용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토출관(159)을 지지하는 범위를 다양하게 하여, 토출관(159)이 동작 중 꼬이거나 접히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원료캔
100 ... 토출장치 110 ... 프레임 파트
112 ... 원료안치부 112-1 ... 레일
112-2 ... 포크 포인트 브라켓 112-3 ... 고정 클램프
118 ... 제어부 120 ... 공급이송부
121 ... 이송실린더 122 ... 이송고정플레이트
123 ... 이송고정구 124 ... 이송바
125 ... 모터고정부 126 ... 이송바체결부
130 ... 드라이빙 파트 131 ... 인덕트 플레이트
131-1 ... 액받침대 131-2 ... 체크밸브
132 ... 밀폐링 133 ... 공급테이퍼부
134 ... 공급공간 135 ... 기포배출부
136 ... 공급구 137 ... 압력센서
138 ... 가열부 139 ... 벤트스틱
139-1 ... 아답터 140 ... 기어펌프 파트
141 ... 기어펌프 142 ... 유입구
143 ... 토출구 144 ... 유입기어
145 ... 토출기어 146 ... 작동축
147 ... 안전커플링 147-1 ... 커플러
147-11 ... 플렌지 147-12 ... 안전볼트
147-13 ... 원통체 147-14 ... 커버체
148 ... 구동모터 149 ... 체크블럭
149-1 ... 압력센서 200 ... 혼합토출부
210 : 믹싱부 220 : 도포 노즐
221 : 절곡 노즐 230 : 도포 방향 전환부
231 : 방향 전환 모터 232 : 벨트풀리
240 : 정량 토출 확인부 241 : 정량 확인 노즐
242 : 정량 확인 밸브 159 ... 토출관
400 ... 로딩장치 410 ... 이송구
414 ... X축 이송대 415 ... 제1슬라이더
416 ... Y축 이송대 417 ... 제2슬라이더
418 ... Z축 이송대 419 ... 제3슬라이더
420 ... 렉바디 500 ... 컨베이어 이송체
510 ... 프레임 530 ... 로울러
600 ... 판넬 700 ... 보강브라켓
800 ... 무빙 행거 1000....진공 장치
1100...수축팽창 실 1200...마그네틱 클램프
1300...트롤리 스윙 행거

Claims (6)

  1. 주제 또는 경화제가 각각 수용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원료캔(1)이 안착되어 원료캔(1)으로부터 주제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토출 장치(100);,
    판넬(600)을 투입하여 상기 원료캔(1)에 수용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하여 도포되는 위치로 로딩하는 로딩 장치(400);
    상기 로딩 장치(400)에 구비되어 x, y, z 3방향으로 이동하며 판넬(600)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토출하는 혼합 토출부(200); 및
    상기 로딩 장치(400)로 판넬(600)을 투입하는 컨베이어 이송체(5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원료캔(1)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송되며 원료캔(1) 내부에 대하여 삽입 및 가압하면서 원료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인덕트 플레이트(131)를 포함하는 드라이빙 파트(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 장치(100)에는 원료 캔(1)을 고정할 수 있는 마그네틱 클램프(1200)가 구비되되,
    상기 마그네틱 클램프(1200)는, 회전 조작에 의해 프레임 파트(110)에 부착되거나 떨어지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에 적층 구비되는 자석을 회전시킬 수 있는 탈착 레버(1210)와, 프레임 파트(110)에서 원료캔(1)이 설치되는 위치로 부착되는 자석 부착 고정부(1220) 및 상기 자석 부착 고정부(1220)에서 원료캔(1)의 하부 돌출부 상부로 구비되어 원료캔(1)의 하부에서 돌출된 부분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는 원료캔 고정부(1230)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캔 고정부(1230)는 원료캔(1)의 하부 돌출부 크기와 형상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원료캔(1)을 고정하는 원료캔 고정 블록(1231)과, 상기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구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고정위치 조절 장공(1232)을 포함하되,
    상기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의 상부에는 마그네틱 클램프(1200)가 원료캔(1)을 고정한 상태에서 원료캔(1) 하부 돌출부의 굴곡면이나 형상에 따라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는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자리 회전되도록 제자리 회전부(1235)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 자석 부착 고정부(1220)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스크류 동작 너트부(1234)에 체결되어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를 회전시키면 원료캔 고정 블록(1231)이 고정위치 조절 스크류(1233)에 형성된 나사산 피치에 따라 상하로 정밀하게 조절되며,
    제자리 회전부(1235)는, 상부와 하부가 극성이 다른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이 구비되고, 상기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상부와 같은 극성을 가지며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을 밀어 이격시키는 상부 이격 자석(1235b) 및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하부에 구비되어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의 하부와 같은 극성을 가지며 정위치 회전 자석(1235a)을 밀어 이격시키는 하부 이격 자석(1235c)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31)는 원료캔(1)의 내주연과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원주면에는 원료캔(1) 내에서 기밀을 확보하도록 밀폐링(132)이 결합되며, 하부에는 내측 중앙을 향해 상승되는 형상으로 기울기를 갖는 공급테이퍼부(133)가 형성되어 원료액이 상향 집수되도록 공급공간(134)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기포배출부(1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배출부(135)에는 인덕트 플레이트 하강 시 자동으로 동작되며 원료 캔(1) 내부로부터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진공 장치(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장치(1000)는 인덕트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기포 배출부(135)에 결합되어 기포가 배출되는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자동 밸브(1010)와, 상기 자동 밸브(10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진공 장치(1000)에 의해 기포가 배출되다가 원료액이 배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 밸브(1010)를 차단할 수 있는 액체 감지 센서(10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132)은 수축팽창 실(1100)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장치(100)에는 토출 장치(100)로부터 혼합 토출부(200) 측으로 연결되는 토출관(159)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 설치 가능한 트롤리 스윙 행거(1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KR1020230120477A 2023-09-11 2023-09-11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KR102653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0477A KR102653094B1 (ko) 2023-09-11 2023-09-11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0477A KR102653094B1 (ko) 2023-09-11 2023-09-11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094B1 true KR102653094B1 (ko) 2024-04-02

Family

ID=9071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0477A KR102653094B1 (ko) 2023-09-11 2023-09-11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0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953B2 (ja) * 1990-05-30 1998-03-11 ブローム ウント フォス インドゥストゥリ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回転するシャフトに対するシール装置
KR20080092656A (ko) * 2007-04-13 2008-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건조를 위한 중량 구조물 탑재용 지그
JP2012215450A (ja) * 2011-03-31 2012-11-08 Sekisui Medical Co Ltd 気泡除去装置
KR101537745B1 (ko) * 2015-05-12 2015-07-20 (주) 케이엔디시스템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102267265B1 (ko) * 2020-01-13 2021-06-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초장섬유가 함침된 수지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953B2 (ja) * 1990-05-30 1998-03-11 ブローム ウント フォス インドゥストゥリ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回転するシャフトに対するシール装置
KR20080092656A (ko) * 2007-04-13 2008-10-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건조를 위한 중량 구조물 탑재용 지그
JP2012215450A (ja) * 2011-03-31 2012-11-08 Sekisui Medical Co Ltd 気泡除去装置
KR101537745B1 (ko) * 2015-05-12 2015-07-20 (주) 케이엔디시스템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102267265B1 (ko) * 2020-01-13 2021-06-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초장섬유가 함침된 수지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745B1 (ko) 선박 화물창 본딩 작업을 위한 기어펌프 방식의 고점도 대용량 이액 혼합 토출장치
KR102004249B1 (ko) 기포 제거와 형성 방지를 위한 액체 시린지 충진기
US7967037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ensing liquids
US10994299B2 (en) Two-component adhesive dispenser with mixing unit replacement system
CN104815783A (zh) 一种灌胶机设备
KR102653094B1 (ko) Lng 선박 내부 패널 본딩 작업을 위한 자동 도포 장치
US11826772B2 (en) Fluid dispensing systems
KR20210030088A (ko) 액상 원료 공급장치
KR101719533B1 (ko) 단연조 또는 다연조 구조의 피스톤과 온/오프 정밀 개폐식 작동밸브를 갖는 모터 가압형 플런저 구조의 고점도, 고필러 수지용 정량 혼합 토출장치
CN117839957A (zh) 用于液化天然气船舶内部板块粘合作业的自动涂抹装置
US10364933B2 (en) Puck wear detection
KR102113084B1 (ko) Lng 선박 내부 패널 설치용 전면 입출입식 소형 접착제 자동 도포 장치
KR101787661B1 (ko)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CN215054979U (zh) 一种聚合物水泥砂浆喷砂浆机
KR102465976B1 (ko) 점성 액체 토출 장치
JPH06320093A (ja) 2液反応硬化性樹脂剤の混合供給塗布装置
KR100779216B1 (ko) 이액 혼합 토출장치
CN220534570U (zh) 智能制浆注浆站
US6386398B2 (en) Dispenser
CN219690330U (zh) 一种桥梁支座灌浆装置
AU2021106881A4 (en) Underground cementitious material pump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16835B1 (ko) 선박 화물창 본딩작업을 위한 패턴 토출식 컨베이어를 갖는 이액 혼합 토출장치
CN220378290U (zh) 一种矿用无机材料连续注浆装置
CN220328383U (zh) 油封骨架涂料定量气动搅拌机
CN109911644A (zh) 自动卸料运输料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