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661B1 -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661B1
KR101787661B1 KR1020160145463A KR20160145463A KR101787661B1 KR 101787661 B1 KR101787661 B1 KR 101787661B1 KR 1020160145463 A KR1020160145463 A KR 1020160145463A KR 20160145463 A KR20160145463 A KR 20160145463A KR 101787661 B1 KR101787661 B1 KR 101787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material
water
dry mortar
amoun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민
Original Assignee
차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민 filed Critical 차상민
Priority to KR102016014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28C5/4234Charge or discharge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28C5/4206Control apparatus; Drive systems, e.g. coupled to the vehicle drive-system
    • B28C5/422Controll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03Details; Accessories
    • B28C5/4231Proportioning or supply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28C5/428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with moving mixing tools in a stationary container
    • B28C5/428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with moving mixing tools in a stationary container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건설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은 후측에 적재함(1)이 구비된 차량(A)과, 상기 차량(A)의 적재함(1)에 구비되며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건식모르타를 제조하고 제조된 건식모르타르에 일정비율의 물을 혼합하여 건축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보수재제조수단(B)과,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건축용 보수재를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C)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어 일측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는 교반기(13)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저장통체(10)와, 상기 저장통체(10)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0)과, 상기 배출구(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분체이송장치(30)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급수관(41)이 연결된 저수탱크(40)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42)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급수관(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43)와,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에 연결되어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을 통해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와 물을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보수재를 상기 가압펌프(C)로 배출하는 믹서(50)와,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펌프(42) 및 믹서(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60)이 상기 믹서(50)로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의 양과 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하여, 품질과 신뢰성이 확보된 보수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A)을 운전하여 시스템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Mixing and working system of reinforcement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건설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보수재는 시멘트와 모래가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건식모르타르에 일정한 비율로 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제조된 건설용 보수재는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숏크리트건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가압펌프에 의해 숏크리트건으로 공급된 보수재는 숏크리트건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가압펌프와 숏크리트건을 조작하여, 건설용 보수재가 대상물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건설용 보수재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시멘트와 모래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건식모르타르에 적당한 양의 물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완성된 건설용 보수재의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의 비율이 부정확하여, 건설용 보수재의 품질관리와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건설용 보수재를 제조할 경우, 건설용 보수재의 양을 정확히 조절하기 어려워, 작업이 완료된 후 건설용 보수재가 남게 됨으로, 불필요한 자원낭비 뿐 아니라, 남은 건설용 보수재를 폐기함에 따른 환경오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3249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건설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측에 적재함(1)이 구비된 차량(A)과, 상기 차량(A)의 적재함(1)에 구비되며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건식모르타를 제조하고 제조된 건식모르타르에 일정비율의 물을 혼합하여 건축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보수재제조수단(B)과,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건축용 보수재를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C)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어 일측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는 교반기(13)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저장통체(10)와, 상기 저장통체(10)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0)과, 상기 배출구(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분체이송장치(30)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급수관(41)이 연결된 저수탱크(40)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42)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급수관(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43)와,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에 연결되어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을 통해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와 물을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보수재를 상기 가압펌프(C)로 배출하는 믹서(50)와,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펌프(42) 및 믹서(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60)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61)과,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수단(62)을 더 포함하며,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61)을 조작하여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을 작동시켜 보수재를 제조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조된 보수재의 양을 측정하고, 제조된 보수재의 양이 작업자가 입력한 보수재의 양보다 적게 설정된 경고량에 도달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1차로 경고를 하고, 작업자가 입력한 양만큼 보수재가 제조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2차로 경고를 한 후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압펌프(C)에는 상기 믹서(50)에서 배출된 보수재를 수집하는 호퍼(80)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80)에는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81,82)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은 상기 호퍼(80)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포함하는 자외선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호퍼(8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하는 세척수단(8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호퍼(80)의 내부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세척수단(83)을 작동시켜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60)에 연결되어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 의해 제조된 보수재의 생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6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은 후측에 적재함(1)이 구비된 차량(A)과, 상기 차량(A)의 적재함(1)에 구비되며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건식모르타를 제조하고 제조된 건식모르타르에 일정비율의 물을 혼합하여 건축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보수재제조수단(B)과,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건축용 보수재를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C)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어 일측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는 교반기(13)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저장통체(10)와, 상기 저장통체(10)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0)과, 상기 배출구(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분체이송장치(30)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급수관(41)이 연결된 저수탱크(40)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42)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급수관(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43)와,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에 연결되어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을 통해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와 물을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보수재를 상기 가압펌프(C)로 배출하는 믹서(50)와,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펌프(42) 및 믹서(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60)이 상기 믹서(50)로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의 양과 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하여, 품질과 신뢰성이 확보된 보수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A)을 운전하여 시스템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후측에 적재함(1)이 구비된 차량(A)과, 상기 차량(A)의 적재함(1)에 구비되며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건식모르타를 제조하고 제조된 건식모르타르에 일정비율의 물을 혼합하여 건축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보수재제조수단(B)과,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건축용 보수재를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C)로 구성된다.
상기 차량(A)은 일반적인 트럭을 이용한다.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어 일측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는 교반기(13)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저장통체(10)와, 상기 저장통체(10)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0)과, 상기 배출구(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분체이송장치(30)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급수관(41)이 연결된 저수탱크(40)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42)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급수관(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43)와,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에 연결되어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을 통해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와 물을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보수재를 상기 가압펌프(C)로 배출하는 믹서(50)와,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펌프(42) 및 믹서(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통체(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차량(A)의 적재함(1)에 구비된 지지프레임(14)에 고정설치된 것으로, 상기 투입구(12)는 상측에 구비되어 도어(1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투입구(12)로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시멘트와 모래를 투입하면, 상기 교반기(13)가 작동되어 내부로 투입된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며, 이와 같이 제조된 건식모르타르는 저장통체(10)의 내부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저장통체(10)의 크기는 상기 차량(A)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저장통체(10)는 내부에 5톤 이상의 건식모르타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측정수단(20)은 상기 지지프레임(14)과 차량(A)의 적재함(1)의 사이에 구비된 하중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4)과 저장통체(10) 및 상기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함께 측정하여, 상기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양과, 상기 저장통체(10)의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4)과 저장통체(10)의 무게는 알려져 있음으로, 상기 무게측정수단(20)에 의해 측정된 무게에서 지지프레임(14)과 저장통체(10)의 무게를 빼면 상기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구하게 되며, 상기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가 줄어들게 되면, 줄어든 무게만큼의 건식모르타르가 상기 배출구(11)를 통해 상기 분체이송장치(30)로 공급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분체이송장치(30)는 상기 저장통체(10)의 배출구(11)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믹서(50)에 연결되는 배출관(31)이 구비된 것으로, 에어컴프레서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를 상기 배출관(31)으로 불어내어 상기 믹서(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체이송장치(30)는 분말형태의 재료를 이송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수탱크(4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다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것으로, 정지시에는 상기 급수관(41)을 통해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고, 작동시에만 상기 저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을 상기 믹서(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량측정기(43)는 상기 배수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저수탱크(40)에 저장된 물이 상기 믹서(50)로 공급될 때, 급수관(41)을 통해 믹서(5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믹서(50)는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배출구(51)가 형성되어,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을 통해 건식모르타르와 물이 공급되면, 건식모르타르와 물을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보수재는 상기 배출구(51)를 통해 상기 가압펌프(C)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60)은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61)과,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수단(62)과, 디스플레이수단(63)이 구비된다.
상기 입력수단(61)은 일반적인 키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무게단위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작업자가 입력하는 보수재의 양은 작업면적을 근거로 적절히 계산한 값을 입력하게 된다.
상기 경보수단(62)은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63)은 일반적인 LCD모니터를 이용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61)을 조작하여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하면,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을 구동시켜 보수재를 제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2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수탱크(40)에서 배출되어 상기 분체이송장치(30)에 의해 믹서(50)로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에 맞추어 상기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믹서(50)기로 정확한 비율의 건식모르타르와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를 통해 상기 믹서(50)로 공급된 건식모르타르와 물의 총량을 합산하여, 상기 믹서(50)에서 제조된 보수재의 총량을 계산하고, 제조된 보수재의 총량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63)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60)은 믹서(50)에 의해 제조된 보수재의 양이 작업자가 입력한 보수재의 양보다 적게 설정된 경고량에 도달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1차로 경고를 한다.
이때, 상기 경고량은 작업자가 입력한 보수재의 양에 비해 적게,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입력한 보수재의 양의 95%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61)을 이용하여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을 구동시켜 보수재를 제조하면서 제조된 보수재의 양을 감시하고, 제조된 보수재의 양이 경고량, 즉, 입력된 보수재의 양의 95%에 달하게 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구동시켜 작업자에게 1차로 경고를 함으로써, 작업자가 입력된 보수재의 량의 95%에 달하는 양의 보수재가 제조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 의해, 작업자가 입력한 양만큼 보수재가 제조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2차로 경고를 한 후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가압펌프(C)는 공급호스(70)를 통해 상기 숏크리트건(D)에 연결된 것으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과 별도로 on-off시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펌프(C)의 상측에는 상기 믹서(50)에서 배출된 보수재를 수집하는 호퍼(80)가 구비되어, 상기 호퍼(80)에 보수재가 저장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가압펌프(C)를 구동시키면,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를 상기 공급호스(70)를 통해 상기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다.
또한, 상기 호퍼(80)에는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81,82)과,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을 세척하는 세척수단(83)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은 상기 호퍼(80)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포함하는 자외선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낮을 때는 상기 발광부(81)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수광부(82)에 수신되며, 보수재의 높이가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가 설치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발광부(81)에서 출력된 빛이 보수재에 의해 가려져 수광부(82)에 수신되지 않게 됨으로서,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단(83)은 상기 호퍼(80)의 내부 양측에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향하도록 배치된 공기분사노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묻은 이물질을 불어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 의해 제조된 보수재가 상기 호퍼(80)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세척수단(83)을 구동시켜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한다.
즉,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는 상기 발광부(81)나 수광부(82)에 이물질이 묻어서 빛이 가려지는 경우에도, 상기 발광부(81)의 빛이 수광부(82)로 수신되지 않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호퍼(80) 내부의 보수재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것으로 잘못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광부(82)에 발광부(81)의 빛이 수신되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세척수단(83)을 가동시켜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하고, 다시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발광부(81)의 빛이 수광부(82)에 수신되지 않은 것인지를 확인하고, 이와 같이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한 후에도 상기 발광부(81)의 빛이 수광부(82)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수단(60)은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상승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일시정지시켜, 상기 호퍼(80)로 더 이상 보수재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강되어 상기 발광부(81)의 빛이 수광부(82)로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을 구동시켜 보수재를 다시 제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은 후측에 적재함(1)이 구비된 차량(A)과, 상기 차량(A)의 적재함(1)에 구비되며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건식모르타를 제조하고 제조된 건식모르타르에 일정비율의 물을 혼합하여 건축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보수재제조수단(B)과,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건축용 보수재를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C)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어 일측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는 교반기(13)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저장통체(10)와, 상기 저장통체(10)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0)과, 상기 배출구(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분체이송장치(30)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급수관(41)이 연결된 저수탱크(40)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42)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급수관(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43)와,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에 연결되어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을 통해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와 물을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보수재를 상기 가압펌프(C)로 배출하는 믹서(50)와,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펌프(42) 및 믹서(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60)이 상기 믹서(50)로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의 양과 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하여, 품질과 신뢰성이 확보된 보수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A)을 운전하여 시스템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0)에는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61)과,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수단(62)이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61)을 조작하여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을 작동시켜 보수재를 제조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조된 보수재의 양을 측정하고, 제조된 보수재의 양이 작업자가 입력한 보수재의 양보다 적게 설정된 경고량에 도달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1차로 경고를 하고, 작업자가 입력한 양만큼 보수재가 제조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2차로 경고를 한 후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입력한 양만큼의 보수재만을 정확히 제조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보수재를 제조하여, 작업이 완료된 후 남은 보수재를 폐기함에 따른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60)은 제조된 보수재의 양이 경고량(본 실시예의 경우, 입력된 보수재 양의 95%)에 도달하면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1차로 경고함으로, 작업자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이 정지되기 전에 미리 자신의 작업량의 남은 정도를 가늠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60)에 입력된 보수재의 양을 추가하도록 함으로써,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이 정지되어 작업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이, 보수재제조수단(B)이 정지되기 전에 작업자에게 미리 1차 경고를 하는 과정이 없을 경우, 작업자는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이 정지되어야 자신이 입력한 양 만큼의 보수재의 제조가 완료된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이 정지된 후, 작업자가 다시 상기 입력수단(61)을 조작하여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재설정하고,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이 다시 작동되어 보수재가 제조되어 상기 펌프로 공급될 때까지의 시간동안 작업이 정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미리 입력된 양만큼 보수재가 제조되기 전에 일정시점에서 상기 경보수단(62)이 작동되어 작업자에게 1차 경고를 함으로써, 작업자가 보수재의 양을 재설정할지를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에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작업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펌프(C)에는 상기 믹서(50)에서 배출된 보수재를 수집하는 호퍼(80)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80)에는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81,82)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일시정지 시킴으로써, 상기 가압펌프(C)를 통해 상기 숏크리트건(D)에 항상 일정하게 보수재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호퍼(80)에 과도한 양의 보수재가 공급되어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내부에 건식모르타르가 저장되는 저장통체(10)와 상기 분체이송장치(30)의 특성상, 상기 믹서(50)에 항상 일정한 양의 건식모르타르가 공급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상기 믹서(50)에서 제조되어 배출되는 보수재의 양 역시 일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믹서(50)에 가압펌프(C)를 직접 연결할 경우, 상기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되어 분사되는 보수재의 양이 일정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대상물에 보수재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가압펌프(C)에 호퍼(80)를 구비하여 상기 믹서(50)에서 배출된 보수재가 상기 호퍼(80)에 일단 저장된 후 상기 가압펌프(C)에 의해 가압되어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됨으로, 상기 호퍼(80)가 버퍼링기능을 하여 상기 숏크리트건(D)으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믹서(50)에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보수재가 제조되어 배출되어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 상기 제어수단(60)이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가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은 상기 호퍼(80)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포함하는 자외선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호퍼(8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하는 세척수단(83)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호퍼(80)의 내부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세척수단(83)을 작동시켜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 즉, 상기 호퍼(80)로 공급된 보수재가 튀어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묻은 경우, 이를 세척함으로써,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높이측정수단(81,82)에 오작동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60)에는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 의해 제조된 보수재의 생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63)이 됨으로, 작업자가 자신이 작업에 사용한 보수재의 총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차량 B. 보수재제조수단
C. 가압펌프 D. 숏크리트건

Claims (5)

  1. 후측에 적재함(1)이 구비된 차량(A)과,
    상기 차량(A)의 적재함(1)에 구비되며 모래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건식모르타를 제조하고 제조된 건식모르타르에 일정비율의 물을 혼합하여 건축용 보수재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보수재제조수단(B)과,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건축용 보수재를 숏크리트건(D)으로 공급하는 가압펌프(C)를 포함하고,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어 일측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하여 건식모르타르를 제조하는 교반기(13)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저장통체(10)와,
    상기 저장통체(10)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에 저장된 건식모르타르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0)과,
    상기 배출구(11)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1)로 배출된 건식모르타르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분체이송장치(30)와,
    상기 적재함(1)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일측에는 급수관(41)이 연결된 저수탱크(40)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42)와,
    상기 급수관(4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급수관(4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기(43)와,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에 연결되어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관(41)을 통해 공급되는 건식모르타르와 물을 혼합하여 보수재를 제조하고 제조된 보수재를 상기 가압펌프(C)로 배출하는 믹서(50)와,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분체이송장치(30)와 급수펌프(42) 및 믹서(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펌프(C)에는 상기 믹서(50)에서 배출된 보수재를 수집하는 호퍼(80)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80)에는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측정수단(81,82)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호퍼(80)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61)과,
    상기 제어수단(6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수단(62)을 더 포함하며,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61)을 조작하여 작업에 필요한 보수재의 양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을 작동시켜 보수재를 제조함과 동시에, 상기 무게측정수단(20)과 유량측정기(43)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조된 보수재의 양을 측정하고, 제조된 보수재의 양이 작업자가 입력한 보수재의 양보다 적게 설정된 경고량에 도달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1차로 경고를 하고, 작업자가 입력한 양만큼 보수재가 제조되면 상기 경보수단(62)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2차로 경고를 한 후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은
    상기 호퍼(80)의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포함하는 자외선센서를 이용하며,
    상기 호퍼(8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하는 세척수단(8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0)은 상기 높이측정수단(81,82)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호퍼(80)의 내부에 저장된 보수재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세척수단(83)을 작동시켜 상기 발광부(81)와 수광부(82)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에 연결되어 상기 보수재제조수단(B)에 의해 제조된 보수재의 생산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6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KR1020160145463A 2016-11-02 2016-11-02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KR101787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463A KR101787661B1 (ko) 2016-11-02 2016-11-02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463A KR101787661B1 (ko) 2016-11-02 2016-11-02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661B1 true KR101787661B1 (ko) 2017-10-19

Family

ID=6029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463A KR101787661B1 (ko) 2016-11-02 2016-11-02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2834A (zh) * 2018-10-15 2019-01-25 盐城恒久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施工用干拌砂浆环保处理装置
KR101991225B1 (ko) 2019-04-22 2019-06-19 박춘근 비율 정보에 기초한 사일로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054B1 (ko) * 2009-01-22 2009-10-19 허완구 차량 탑재형 모르타르 이송 및 혼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054B1 (ko) * 2009-01-22 2009-10-19 허완구 차량 탑재형 모르타르 이송 및 혼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2834A (zh) * 2018-10-15 2019-01-25 盐城恒久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施工用干拌砂浆环保处理装置
KR101991225B1 (ko) 2019-04-22 2019-06-19 박춘근 비율 정보에 기초한 사일로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537B2 (en) Lightweight foamed concrete mixer
US9180605B2 (en) Volumetric concrete mix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82768B1 (ko)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
KR101142349B1 (ko) 연속식믹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처플랜트 및 그 배처플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1136133B1 (ko) 토출압력을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기포콘크리트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기포콘크리트 시공 자동화시스템
KR101787661B1 (ko)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및 시공시스템
CN109352821B (zh) 混凝土配料、搅拌、输送系统及其控制方法
US6837609B1 (en) Soil modifying apparatus
KR20210113019A (ko) 강섬유 균등 공급이 가능한 숏크리트 배치 플랜트
KR20110029519A (ko) 이동식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KR100672003B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JP6174539B2 (ja) コンクリート混練装置
KR200417671Y1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20070006237A (ko) 이동식 콘크리트 혼합재 정량 투입장치
KR100647056B1 (ko) 유동화 처리토의 원료 공급기
JP4014685B2 (ja) 移動式コンクリート材料混練装置
CN218019355U (zh) 一种用于混凝土运输车的混凝土工作性能调节装置
JP4773700B2 (ja) 生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KR100851926B1 (ko) 이형용액 제조장치
JP2020151853A (ja) 生コンクリート生成用混錬装置における給水装置及び生コンクリート生成用混錬装置
CN220618497U (zh) 砂石料免运输污水处理系统
CN210988156U (zh) 一种用于饲料生产的油脂喷涂系统
CN209999483U (zh) 一种水泥浆加工设备
RU2284303C2 (ru) Способ гомогенизации молотой изве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21053922A (ja) バッチャー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