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900B1 -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 Google Patents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900B1
KR101967900B1 KR1020190016205A KR20190016205A KR101967900B1 KR 101967900 B1 KR101967900 B1 KR 101967900B1 KR 1020190016205 A KR1020190016205 A KR 1020190016205A KR 20190016205 A KR20190016205 A KR 20190016205A KR 101967900 B1 KR101967900 B1 KR 10196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ucket
drive motor
winch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수
곽민구
Original Assignee
(주)만어어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만어어태치 filed Critical (주)만어어태치
Priority to KR1020190016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크레인이 아닌 굴삭기 암에 장착됨에 따라 공간이 협소하고 지반이 약한 공사현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크레인이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크레인 사용료가 절감됨은 물론 공사 현장에 항시 구비되어 있는 굴삭기가 사용됨에 따라 공사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은 굴삭기 암의 선단에 장착되는 윈치바디와, 상기 윈치바디 외부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윈치바디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1 케이블드럼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1 케이블드럼의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1 케이블과, 상기 제 1 케이블드럼의 타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케이블과 함께 승, 하강되는 제 2 케이블과,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상기 도어에는 제 2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굴삭기 암의 실린더 수축 및 신장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버킷이 포함된다.

Description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WINCH BUCKET FOR EXCAVATOR MOUNTING}
개시된 내용은 크레인 등 특수장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터파기 공사현장에서 발생된 토사 담아 현장 외부로 운반하는 버킷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공사현장은 건축될 건물의 설계를 고려해 지반을 일정 깊이까지 파내려가는 터파기 공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터파기 공사는 지반의 토사를 파내는 굴삭기와, 굴삭기에 의해 파내진 토사를 외부로 운반하는 버킷과, 버킷에 의해서 운반된 토사를 싣고 운반하는 덤프트럭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버킷은 토사를 담아내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크레인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터파기 공사 현장에서 승, 하강 및 이동된다. 즉, 토사를 상차할 때는 크레인에 의해서 터파기 공사현장으로 하강되며 굴삭기가 그 내부에 토사를 담게된다. 토사가 완충되면 다시 크레인에 의해 터파기 공사현장에서 상승 및 이동되어 덤프트럭으로 담겨진 토사를 하차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토사 운반에 사용되는 크레인은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비교적 면적이 협소하거나 지반이 약한 공사현장에는 투입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버킷의 이동과 버킷 하측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서 두 개의 윈치가 구비된 크레인이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크레인은 고가의 중장비이기 때문에 구매가 어려워 현장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은 노후장비가 많은 실정이며, 앞으로는 연식이 오래된 크레인은 도심내 진입이 불가능하여 사용에 제약이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서 비교적 신형 크레인의 경우 임대비용이 점차 비싸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36141호(2002.04.27)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61688호(2018.05.21)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17962호(2009.09.10)
크레인이 아닌 굴삭기 암에 장착 가능하여 사용 가능하고 모터에 의해 버킷을 승, 하강 시킬 수 있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굴삭기 암의 선단에 장착되는 윈치바디와, 상기 윈치바디 외부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윈치바디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1 케이블드럼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1 케이블드럼의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1 케이블과, 상기 제 1 케이블드럼의 타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케이블과 함께 승, 하강되는 제 2 케이블과,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상기 도어에는 제 2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굴삭기 암의 실린더 수축 및 신장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버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굴삭기 암의 선단에 장착되는 윈치바디와, 상기 윈치바디 외부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구동모터와, 상기 윈치바디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케이블드럼과, 상기 윈치바디 외부 타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구동모터과, 상기 윈치바디 내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3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3 케이블드럼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2 케이블드럼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3 케이블드럼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2 케이블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3 케이블과, 상기 제 3 케이블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4 케이블과,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상기 제 3 케이블이, 상기 도어에는 제 4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 및 제 3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상기 제 3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버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굴삭기 암의 선단에 장착되는 윈치바디와, 상기 윈치바디 외부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구동모터와, 상기 윈치바디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4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4 케이블드럼과, 상기 윈치바디 외부 타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5 구동모터와, 상기 윈치바디 내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5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5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5 케이블드럼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4 케이블드럼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4 케이블드럼과 상기 5 케이블드럼 사이의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4 케이블드럼의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5 케이블과, 일단 측은 상기 제 4 케이블드럼의 타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타단 측은 상기 제 5 케이블드럼에 권취되며 상기 제 제 4 구동모터 및 제 5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일단 측 또는 타단 측이 선택적으로 승, 하강되는 제 6 케이블과,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 및 제 5 케이블드럼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제 6 케이블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4 구동모터 구동시 상기 제 5 케이블의 후크와 함께 승, 하강되고, 상기 제 5 구동모터 구동시 단독으로 승, 하강되는 풀리후크와,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상기 제 5 케이블이, 상기 도어에는 상기 풀리후크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상기 제 5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버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에 의하면 크레인이 아닌 굴삭기 암에 장착됨에 따라 공간이 협소하고 지반이 약한 공사현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크레인이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크레인 사용료가 절감됨은 물론 공사 현장에 항시 구비되어 있는 굴삭기가 사용됨에 따라 공사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측면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작동도.
도 5 및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다른 작동도.
도 7 내지 도 10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측면도.
도 12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정면도
도 13 및 도 1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작동도.
도 15 내지 도 18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사용상태도.
도 19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측면도.
도 20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정면도.
도 21 및 도 22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작동도.
도 23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다른 작동도.
도 24 내지 도 27은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측면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작동도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굴삭기 암(300)의 선단에 윈치바디(10)가 장착된다. 이 윈치바디(10)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이 굴삭기에 설치되게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윈치바디(10) 상부에는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기 위한 브래킷(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케이블드럼이 설치될 공간이 형성된다.
윈치바디(10)가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는 것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태치먼트가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윈치바디(10)의 외부 일측에는 제 1 구동모터(20)가 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구동모터(20)는 추후에 설명될 제 1 케이블드럼(70)이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구동모터(20)는 굴삭기 캐빈 내에서 제어되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굴삭기로부터 제공받게된다. 이러한 제 1 구동모터(2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면서 제 1 케이블드럼(7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전술한 윈치바디(10) 내측에는 제 1 케이블드럼(7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케이블드럼(70)은 전술한 제 1 구동모터(20)와 연결되어 제 1 구동모터(20)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제 1 케이블(140) 및 제 2 케이블(150)이 권취 또는 권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케이블드럼(70)의 일측에는 제 1 케이블(140)이, 타측에는 제 2 케이블(150)이 각각 권취됨에 따라 그 내측에 두 케이블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칸막이용 플랩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윈치바디(10)의 내측 전방에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120)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120)는 제 1 케이블드럼(70)의 하측 전방에 위치되어 제 1 케이블드럼(70)에 권취된 제 1 케이블(140) 승, 하강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방 가이드롤러(120)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어 홈 내에 위치된 제 1 케이블(14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전술한 윈치바디(10)의 내측 후방에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130)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130)는 제 1 케이블드럼(70)의 하측 후방에 위치되어 제 2 케이블드럼(80)에 권취된 제 2 케이블(150) 승, 하강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방 가이드롤러(130)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어 홈 내에 위치된 제 2 케이블(15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케이블드럼(70)에는 제 1 케이블(140)이 권취된다. 이러한 제 1 케이블(140)은 전술한 제 1 구동모터(2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제 1 케이블드럼(70)에 권취 및 권출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버킷(220)이 승, 하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케이블(140)은 전술한 제 1 케이블드럼(70)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전방 가이드롤러(120)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2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1 케이블(140)은 제 1 케이블드럼(70) 일측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제 1 구동모터(20)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케이블드럼(70)에는 제 2 케이블(150)이 함께 권취된다. 이러한 제 2 케이블(150)은 전술한 제 1 구동모터(2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제 1 케이블드럼(70)에 권취 및 권출되면서 전술한 제 1 케이블(140)과 함께 추후에 설명될 버킷(220)이 승, 하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 케이블(150)은 전술한 제 1 케이블드럼(70) 타측에 권취된 상태로 후방 가이드롤러(130)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2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2 케이블(150)은 제 1 케이블드럼(70) 타측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제 1 구동모터(20)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케이블(140)의 후크(200)와 제 2 케이블(150)의 후크(200)에는 버킷(220)이 사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버킷(220)은 그 내부에 공사 현장의 토사 운반을 위해서 토사가 상, 하차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킷(220)은 그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210)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제 1 케이블(140)이, 도어(210)에는 제 2 케이블(150)이 각각 연결되어 제 1 구동모터(20)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굴삭기 암(300)의 실린더(400) 수축 및 신장 여부에 따라 도어(210)가 개폐된다.
이때 전술한 버킷(220) 상단의 모서리 마다에는 체결구(220)가 구비되고 도어(210)는 한 쌍이 구비되되 그 외측 가장자리가 버킷(22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힌지 체결되는 쌍여닫이 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케이블(140)의 후크(200)와 체결구(220)에는 제 1 연결케이블(230)이 연결되고, 제 2 케이블(150)의 후크(200)와 도어(2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연결케이블(240)이 연결된다.
이러한 버킷(220)의 도어(210)는 윈치바디(10)의 회동에 따라서 반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굴삭기 암(300)의 실린더(400)를 수축시켜 윈치바디(10)의 전방이 상향 기울어지게 하면 제 2 케이블(150)의 후크(200)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제 1 케이블(140)의 후크(200)가 제 2 케이블(150)의 후크(200)보다 높게 들어올려져 버킷(220)은 원래의 위치에서 상승되고 이때 도어(210)는 토사와 도어(210)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버킷(220) 내부의 토사가 하차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의 전체적인 사용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버킷(220) 내에 토사가 상차될 시에는 굴삭기 암(300)의 실린더(400)를 신장시켜 윈치바디(10)의 전방이 하향 기울어지게 한다. 그리고 제 1 구동모터(20)의 정방향 구동시켜 버킷(220)이 하강되게 한다. 하강된 버킷(220) 내에 토사가 상차된 후에는 제 1 구동모터(20)의 역방향 구동시켜 상기 버킷(220)이 상승되게 한다.
버킷(220) 내에 상차된 토사가 하차될 시에는 굴삭기 암(300)의 실린더(400)를 수축시켜 윈치바디(10)의 전방이 상향 기울어지게 한다. 이때 제 2 케이블(150)의 후크(200)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제 1 케이블(140)의 후크(200)가 제 2 케이블(150)의 후크(200)보다 높게 들어올려진다. 이때 버킷(220)은 원래의 위치보다 상승되고 도어(210)는 토사와 도어(210)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버킷(220) 내의 토사가 하차된다. 하차 후에는 굴삭기 암(300)의 실린더(400)를 다시 신장시켜 윈치바디(10)의 전방이 상차 시와 같이 하향 기울어지게 하여 개방된 상기 도어(210)가 폐쇄되게 한다.
도 11 내지 도 18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측면도이고, 도 12는 정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작동도이고, 도 15 내지 도 18은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이하에는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굴삭기 암(300)의 선단에 윈치바디(10)가 장착된다. 이 윈치바디(10)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이 굴삭기에 설치되게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윈치바디(10) 상부에는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기 위한 브래킷(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케이블드럼이 설치될 공간이 형성된다.
윈치바디(10)가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는 것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태치먼트가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윈치바디(10)의 외부 일측에는 제 2 구동모터(30)가 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구동모터(30)는 추후에 설명될 제 2 케이블드럼(80)이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구동모터(30)는 굴삭기 캐빈 내에서 제어되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굴삭기로부터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제 2 구동모터(3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면서 제 2 케이블드럼(8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 2 구동모터(30)는 추후에 설명될 제 3 구동모터(40)와는 서로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즉, 제 2 구동모터(30)가 우측면에 설치되면 제 3 구동모터(40)는 좌측면에 설치되고 제 2 구동모터(30)가 좌측면에 설치되면 제 3 구동모터(40)가 우측면에 설치된다.
전술한 윈치바디(10) 내측에는 제 2 케이블드럼(8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 2 케이블드럼(80)은 전술한 제 2 구동모터(30)와 연결되어 제 2 구동모터(30)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제 3 케이블(160)이 권취 또는 권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위해 제 2 케이블드럼(80)은 전술한 윈치바디(10)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제 2 구동모터(30)와 연결되어 제 2 구동모터(30)의 구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된다.
전술한 윈치바디(10)의 외부 타측에는 제 3 구동모터(40)가 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3 구동모터(40)는 추후에 설명될 제 3 케이블드럼(90)이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구동모터(40)는 제 2 구동모터(30)와 마찬가지로 굴삭기 캐빈 내에서 제어되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굴삭기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러한 제 3 구동모터(4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면서 제 3 케이블드럼(9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전술한 윈치바디(10) 내측에는 제 3 케이블드럼(9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 3 케이블드럼(90)은 전술한 제 3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제 3 구동모터(40)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제 4 케이블(170)이 권취 또는 권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위해 전술한 제 3 케이블드럼(90)은 전술한 윈치바디(10) 내부 후방에 구비되고 제 3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제 3 구동모터(40)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된다.
한편 전술한 윈치바디(10)의 내측 전방에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120)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120)는 제 2 케이블드럼(80)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 2 케이블드럼(80)에 권취된 제 3 케이블(160) 승, 하강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방 가이드롤러(120)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어 홈 내에 위치된 제 3 케이블(16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전술한 윈치바디(10)의 내측 후방에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130)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130)는 제 3 케이블드럼(90)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 3 케이블드럼(90)에 권취된 제 4 케이블(170) 승, 하강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방 가이드롤러(130)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어 홈 내에 위치된 제 4 케이블(17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 2 케이블드럼(80)에는 제 3 케이블(160)이 권취된다. 이러한 제 3 케이블(160)은 전술한 제 2 구동모터(3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제 2 케이블드럼(80)에 권취 및 권출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버킷(220)이 승, 하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3 케이블(160)은 전술한 제 2 케이블드럼(80)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전방 가이드롤러(120)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2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3 케이블(160)은 제 2 케이블드럼(80) 일측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제 2 구동모터(30)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3 케이블드럼(90)에는 제 4 케이블(170)이 권취된다. 이러한 제 4 케이블(170)은 전술한 제 3 구동모터(4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제 4 케이블드럼(100)에 권취 및 권출되면서 전술한 제 3 케이블(160)과 함께 추후에 설명될 버킷(220)이 승, 하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4 케이블(170)은 전술한 제 3 케이블드럼(90)에 권취된 상태로 후방 가이드롤러(130)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2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4 케이블(170)은 제 3 케이블드럼(90)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제 3 구동모터(40)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된다. 제 2 구동모터(30)와 제 3 구동모터(40)가 윈치바디(10)의 서로 다른 측면에 구비됨에 따라 제 3 케이블(160) 및 제 4 케이블(170)은 제 2 구동모터(30)와 제 3 구동모터(40)가 정방향 구동시 동시에 하강되고, 제 2 구동모터(30)와 제 3 구동모터(40)가 역방향 구동시 동시에 상승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제 3 구동모터(40) 구동시 전술한 제 4 케이블(170)이 단독으로 승, 하강된다. 제 4 케이블(170)은 추후에 설명될 버킷(220)의 도어(210)와 연결됨에 따라 제 2 구동모터(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 3 구동모터(40)를 정방향 구동시키면 제 4 케이블(170)이 하강되면서 도어(210)가 개방되고, 제 3 구동모터(40)를 역방향 구동시키면 제 4 케이블(170)이 상승되면서 도어(210)가 폐쇄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 3 케이블(160)의 후크(200)와 제 4 케이블(170)의 후크(200)에는 버킷(220)이 사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버킷(220)은 그 내부에 공사 현장의 토사 운반을 위해서 토사가 상, 하차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킷(220)은 그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210)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제 3 케이블(160)이, 도어(210)에는 제 4 케이블(170)이 각각 연결되어 제 2 구동모터(30) 및 제 3 구동모터(40)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제 3 구동모터(40)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210)가 개폐된다.
이때 전술한 버킷(220) 상단의 모서리 마다에는 체결구(220)가 구비되고 도어(210)는 한 쌍이 구비되되 그 외측 가장자리가 버킷(22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힌지 체결되는 쌍여닫이 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3 케이블(160)의 후크(200)와 체결구(220)에는 제 1 연결케이블(230)이 연결되고, 제 4 케이블(170)의 후크(200)와 도어(2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연결케이블(240)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의 전체적인 사용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버킷(220) 내에 토사가 상차될 시에는 상기 윈치바디(10)가 수평을 이루도록 굴삭기 암(300)의 실린더(400)가 조절되게 한다. 그리고 제 2 구동모터(30)와 제 3 구동모터(40)를 동시에 정방향 구동시켜 버킷(220)이 하강되게 한다. 하강된 버킷(220) 내에 토사가 상차된 후에는 제 2 구동모터(30)와 제 3 구동모터(40)를 동시에 역방향 구동시켜 버킷(220)이 상승되게 한다.
버킷(220) 내에 상차된 토사가 하차될 시에는 상차 시와 같이 윈치바디(1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3 구동모터(40)를 정방향 구동시켜 도어(210)가 개방되게 한다. 도어(210)가 개방되면 버킷(220) 내의 토사가 하차되고, 하차 후에는 제 3 구동모터(40)를 역방향 구동시켜 개방된 도어(210)가 폐쇄되게 한다.
도 19 내지 도 27에는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는 측면도이고, 도 20은 정면도이며, 도 21 내지 도 23은 작동도이고, 도 24 내지 도 27은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과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이하에는 도 19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의 구성부재와 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굴삭기 암(300)의 선단에 윈치바디(10)가 장착된다. 이 윈치바디(10)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이 굴삭기에 설치되게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윈치바디(10) 상부에는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기 위한 브래킷(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케이블드럼이 설치될 공간이 형성된다.
윈치바디(10)가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는 것은 종래기술에 따른 어태치먼트가 굴삭기 암(300)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윈치바디(10)의 외부 일측에는 제 4 구동모터(50)가 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4 구동모터(50)는 추후에 설명될 제 4 케이블드럼(100)이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 4 구동모터(50)는 굴삭기 캐빈 내에서 제어되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굴삭기로부터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제 4 구동모터(5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면서 제 4 케이블드럼(1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전술한 윈치바디(10) 내측에는 제 4 케이블드럼(1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 4 케이블드럼(100)은 전술한 제 4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제 4 구동모터(50)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제 4 케이블(170)이 권취 또는 권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위해 제 4 케이블드럼(100)은 전술한 윈치바디(10)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제 4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제 4 구동모터(50)의 구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4 케이블드럼(100)의 일측에는 제 4 케이블(170)이, 타측에는 제 5 케이블(180) 일단 측이 각각 권취됨에 따라 그 내측에 두 케이블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칸막이용 플랩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윈치바디(10)의 외부 타측에는 제 5 구동모터(60)가 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 5 구동모터(60)는 추후에 설명될 제 5 케이블드럼(110)이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 5 구동모터(60)는 제 4 구동모터(50)와 마찬가지로 굴삭기 캐빈 내에서 제어되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굴삭기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러한 제 5 구동모터(6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되면서 제 3 케이블드럼(9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전술한 윈치바디(10) 내측에는 제 5 케이블드럼(11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 5 케이블드럼(110)은 전술한 제 5 구동모터(60)와 연결되어 제 5 구동모터(60)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제 5 케이블(180)이 권취 또는 권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위해 전술한 제 5 케이블드럼(110)은 전술한 윈치바디(10) 내부 후방에 구비되고 제 5 구동모터(60)와 연결되어 제 5 구동모터(60)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된다.
한편 전술한 윈치바디(10)의 내측 전방에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120)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120)는 제 4 케이블드럼(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 4 케이블드럼(100)에 권취된 제 4 케이블(170) 승, 하강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방 가이드롤러(120)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어 홈 내에 위치된 제 4 케이블(17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전술한 윈치바디(10)의 내측 후방에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130)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130)는 제 5 케이블드럼(110)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 5 케이블드럼(110)에 권취된 제 5 케이블(180) 승, 하강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방 가이드롤러(130)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어 홈 내에 위치된 제 5 케이블(18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 4 케이블드럼(100)에는 제 5 케이블(180)이 권취된다. 이러한 제 5 케이블(180)은 전술한 제 4 구동모터(5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제 4 케이블드럼(100)에 권취 및 권출되면서 추후에 설명될 버킷(220)이 승, 하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5 케이블(180)은 전술한 제 4 케이블드럼(100)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전방 가이드롤러(120)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2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5 케이블(180)은 제 4 케이블드럼(100) 일측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제 4 구동모터(50)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된다.
전술한 제 4 케이블드럼(100) 및 제 5 케이블드럼(110)에는 제 6 케이블(190) 양단이 각각 권취된다. 이러한 제 6 케이블(190)은 제 4 구동모터(50)가 구동되고 제 5 구동모터(60)는 구동되지 않을시에 전술한 제 5 케이블(180)과 함께 승, 하강된다. 또한 제 5 구동모터(60)가 구동되고 제 4 구동모터(50)가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추후에 설명될 풀리후크(210)를 승, 하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제 6 케이블(190)은 그 일단 측이 제 4 케이블드럼(100)의 타측에 권취된 상태로 후방 가이드롤러(130)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타단 측은 제 5 케이블드럼(110)에 권취된다. 또한 제 4 구동모터(50) 및 제 5 구동모터(60)의 구동방향에 따라 일단 측 또는 타단 측이 선택적으로 승, 하강된다.
전술한 후방 가이드롤러(130) 및 제 5 케이블드럼(110) 사이에 위치된 제 6 케이블(190) 상에는 풀리후크(210)가 설치된다. 이 풀리후크(210)는 제 4 구동모터(50) 구동시 제 5 케이블(180)의 후크(200)와 함께 추후에 설명될 버킷(220)이 승, 하강되게 하고, 제 5 구동모터(60) 구동시 단독으로 승, 하강되며 버킷(220)의 도어(210)가 개폐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제 6 케이블(190)의 일단 측은 제 4 케이블드럼(100) 타측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고 타단 측은 제 5 케이블드럼(110)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된다. 따라서 제 4 구동모터(50)의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시 제 5 케이블(180)과 함께 풀리후크(210)가 하강 및 상승된다. 그리고 제 5 구동모터(60)의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시 풀리후크(210)가 단독으로 하강 및 상승된다.
다음으로 도 24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 5 케이블(180)의 후크(200)와 제 4 케이블(170)의 후크(200)에는 버킷(220)이 사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버킷(220)은 그 내부에 공사 현장의 토사 운반을 위해서 토사가 상, 하차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킷(220)은 그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210)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제 5 케이블(180)이, 도어(210)에는 풀리후크(210)가 각각 연결되어 제 4 구동모터(50)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제 5 구동모터(60)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210)가 개폐된다.
이때 전술한 버킷(220) 상단의 모서리 마다에는 체결구(220)가 구비되고 도어(210)는 한 쌍이 구비되되 그 외측 가장자리가 버킷(22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힌지 체결되는 쌍여닫이 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5 케이블(180)의 후크(200)와 체결구(220)에는 제 1 연결케이블(230)이 연결되고, 풀리후크(210)와 도어(2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연결케이블(240)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1")의 전체적인 사용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버킷(220) 내에 토사가 상차될 시에는 윈치바디(10)가 수평을 이루도록 굴삭기 암(300)의 실린더(400)가 조절되게 한다. 그리고 제 4 구동모터(50)의 정방향 구동시켜 버킷(220)이 하강되게 한다. 하강된 버킷(220) 내에 토사가 상차된 후에는 제 4 구동모터(50)의 역방향 구동시켜 버킷(220)이 상승되게 한다.
버킷(220) 내에 상차된 토사가 하차될 시에는 상차 시와 같이 윈치바디(1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 5 구동모터(60)를 정방향 구동시켜 도어(210)가 개방되게 한다. 도어(210)가 개방되면 버킷(220) 내의 토사가 하차되고, 하차 후에는 제 5 구동모터(60)를 역방향 구동시켜 개방된 도어(210)가 폐쇄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에 의하면 크레인이 아닌 굴삭기 암에 장착됨에 따라 공간이 협소하고 지반이 약한 공사현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크레인이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크레인 사용료가 절감됨은 물론 공사 현장에 항시 구비되어 있는 굴삭기가 사용됨에 따라 공사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1" :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0 : 윈치바디
11 : 브래킷
20 : 제 1 구동모터
30 : 제 2 구동모터
40 : 제 3 구동모터
50 : 제 4 구동모터
60 : 제 5 구동모터
70 : 제 1 케이블드럼
80 : 제 2 케이블드럼
90 : 제 3 케이블드럼
100 : 제 4 케이블드럼
110 : 제 5 케이블드럼
120 : 전방 가이드롤러
130 : 후방 가이드롤러
140 : 제 1 케이블
150 : 제 2 케이블
160 : 제 3 케이블
170 : 제 4 케이블
180 : 제 5 케이블
190 : 제 6 케이블
200 : 후크
210 : 풀리후크
220 : 버킷
210 : 도어
220 : 체결구
230 : 제 1 연결케이블
240 : 제 2 연결케이블
300 : 굴삭기 암
400 : 실린더

Claims (21)

  1. 굴삭기 암의 선단에 장착되는 윈치바디;
    상기 윈치바디 외부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구동모터;
    상기 윈치바디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1 케이블드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
    상기 제 1 케이블드럼의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1 케이블;
    상기 제 1 케이블드럼의 타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케이블과 함께 승, 하강되는 제 2 케이블; 및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상기 도어에는 제 2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굴삭기 암의 실린더 수축 및 신장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버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은 상기 제 1 케이블드럼 일측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블은 상기 제 1 케이블드럼 타측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킷 상단의 모서리 마다에는 체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한 쌍이 구비되되 그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버킷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힌지 체결되는 쌍여닫이 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의 후크와 상기 체결구에는 제 1 연결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케이블의 후크와 상기 도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연결케이블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버킷 내에 토사가 상차될 시에는 굴삭기 암의 실린더를 신장시켜 상기 윈치바디의 전방이 하향 기울어지게 하고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정방향 구동시켜 상기 버킷이 하강되게 하며 하강된 버킷 내에 토사가 상차된 후에는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역방향 구동시켜 상기 버킷이 상승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버킷 내에 상차된 토사가 하차될 시에는 굴삭기 암의 실린더를 수축시켜 상기 윈치바디의 전방이 상향 기울어지게 하되 이때 상기 제 2 케이블의 후크보다 낮은 위치에 있던 상기 제 1 케이블의 후크가 상기 제 2 케이블의 후크보다 높게 들어올려져 상기 버킷은 상승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토사와 도어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상기 버킷 내의 토사가 하차되며 하차 후에는 굴삭기 암의 실린더를 신장시켜 상기 윈치바디의 전방이 상차 시와 같이 하향 기울어지게 하여 개방된 상기 도어가 폐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8. 굴삭기 암의 선단에 장착되는 윈치바디;
    상기 윈치바디 외부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구동모터;
    상기 윈치바디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케이블드럼;
    상기 윈치바디 외부 타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구동모터;
    상기 윈치바디 내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3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3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3 케이블드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2 케이블드럼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3 케이블드럼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
    상기 제 2 케이블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3 케이블;
    상기 제 3 케이블드럼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4 케이블; 및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상기 제 3 케이블이, 상기 도어에는 제 4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 및 제 3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상기 제 3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버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블은 상기 제 2 케이블드럼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 4 케이블은 상기 제 3 케이블드럼에 반시계방향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상기 윈치바디의 일측면 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구동모터는 상기 윈치바디의 타측면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와 제 3 구동모터가 정방향 구동시 상기 제 3 케이블 및 제 4 케이블이 동시에 하강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와 제 3 구동모터가 역방향 구동시 상기 제 3 케이블 및 제 4 케이블이 동시에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버킷 상단의 모서리 마다에는 체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한 쌍이 구비되되 그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버킷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힌지 체결되는 쌍여닫이 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3 케이블의 후크와 상기 체결구에는 제 1 연결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 4 케이블의 후크와 상기 도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연결케이블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버킷 내에 토사가 상차될 시에는 상기 윈치바디가 수평을 이루도록 굴삭기 암의 실린더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구동모터와 제 3 구동모터를 동시에 정방향 구동시켜 버킷이 하강되게 하고 하강된 버킷 내에 토사가 상차된 후에는 상기 제 2 구동모터와 제 3 구동모터를 동시에 역방향 구동시켜 버킷이 상승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버킷 내에 상차된 토사가 하차될 시에는 상차 시와 같이 상기 윈치바디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3 구동모터를 정방향 구동시켜 도어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버킷 내의 토사가 하차되게 하고, 하차 후에는 상기 제 3 구동모터를 역방향 구동시켜 개방된 도어가 폐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5. 굴삭기 암의 선단에 장착되는 윈치바디;
    상기 윈치바디 외부 일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구동모터;
    상기 윈치바디 내부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4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4 케이블드럼;
    상기 윈치바디 외부 타측에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5 구동모터;
    상기 윈치바디 내부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 5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 5 구동모터의 작동여부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제 5 케이블드럼;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4 케이블드럼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롤러;
    상기 윈치바디의 내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 4 케이블드럼과 상기 5 케이블드럼 사이의 하측에 위치되며 서로의 홈이 맞물리게 위치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롤러;
    상기 제 4 케이블드럼의 일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그 선단에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는 제 5 케이블;
    일단 측은 상기 제 4 케이블드럼의 타측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의 맞물린 홈 내로 유입되고 타단 측은 상기 제 5 케이블드럼에 권취되며 상기 제 4 구동모터 및 제 5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일단 측 또는 타단 측이 선택적으로 승, 하강되는 제 6 케이블;
    상기 후방 가이드롤러 및 제 5 케이블드럼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제 6 케이블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4 구동모터 구동시 상기 제 5 케이블의 후크와 함께 승, 하강되고, 상기 제 5 구동모터 구동시 단독으로 승, 하강되는 풀리후크; 및
    내부에 토사가 상차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토사가 하차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되 상측에는 상기 제 5 케이블이, 상기 도어에는 상기 풀리후크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며 상기 제 5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버킷;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5 케이블은 상기 제 4 케이블드럼 일측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정방향 구동시 하강되고 역방향 구동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6 케이블의 일단 측은 상기 제 4 케이블드럼 타측에 반시계방향으로 권취되고 타단 측은 상기 제 5 케이블드럼에 시계방향으로 권취되어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시 상기 제 5 케이블과 함께 상기 풀리후크가 하강 및 상승되고, 상기 제 5 구동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시 상기 풀리후크가 단독으로 하강 및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버킷 상단의 모서리 마다에는 체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한 쌍이 구비되되 그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버킷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에 힌지 체결되는 쌍여닫이 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 5 케이블의 후크와 상기 체결구에는 제 1 연결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풀리후크와 상기 도어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제 2 연결케이블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버킷 내에 토사가 상차될 시에는 상기 윈치바디가 수평을 이루도록 굴삭기 암의 실린더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정방향 구동시켜 상기 버킷이 하강되게 하며 하강된 버킷 내에 토사가 상차된 후에는 상기 제 4 구동모터의 역방향 구동시켜 상기 버킷이 상승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버킷 내에 상차된 토사가 하차될 시에는 상차 시와 같이 상기 윈치바디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5 구동모터를 정방향 구동시켜 도어가 개방되게 하여 상기 버킷 내의 토사가 하차되게 하고, 하차 후에는 상기 제 5 구동모터를 역방향 구동시켜 개방된 도어가 폐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KR1020190016205A 2019-02-12 2019-02-12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KR101967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05A KR101967900B1 (ko) 2019-02-12 2019-02-12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205A KR101967900B1 (ko) 2019-02-12 2019-02-12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900B1 true KR101967900B1 (ko) 2019-08-13

Family

ID=6762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05A KR101967900B1 (ko) 2019-02-12 2019-02-12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90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859A (ja) * 1991-11-26 1993-06-15 Shimizu Corp クラムシエルバケツト
JPH07279197A (ja) * 1994-04-05 1995-10-24 Osaki Kensetsu Kk バケット装置
KR100336141B1 (ko) 1999-11-08 2002-05-22 조양선 건물외장 시공용 크레인 버켓
JP2002167170A (ja) * 2000-09-25 2002-06-11 Komatsu Ltd 高揚程揚重車両
JP2003012266A (ja) * 2001-07-03 2003-01-15 Anjun Nakamura 運搬容器懸吊用クレーン装置
KR200331448Y1 (ko) * 2003-07-25 2003-10-30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어 로프 탈선 점검장치
KR100917962B1 (ko) 2008-09-18 2009-09-21 유명철 이동식 버켓 크레인
KR101039560B1 (ko) * 2010-06-29 2011-06-15 대한민국 굴삭기 부착형 집재기
KR20130002909U (ko) * 2013-03-05 2013-05-15 도윤기 굴삭기용 인양장치
KR101861688B1 (ko) 2016-09-12 2018-05-28 조대연 크레인 버켓 인양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859A (ja) * 1991-11-26 1993-06-15 Shimizu Corp クラムシエルバケツト
JPH07279197A (ja) * 1994-04-05 1995-10-24 Osaki Kensetsu Kk バケット装置
KR100336141B1 (ko) 1999-11-08 2002-05-22 조양선 건물외장 시공용 크레인 버켓
JP2002167170A (ja) * 2000-09-25 2002-06-11 Komatsu Ltd 高揚程揚重車両
JP2003012266A (ja) * 2001-07-03 2003-01-15 Anjun Nakamura 運搬容器懸吊用クレーン装置
KR200331448Y1 (ko) * 2003-07-25 2003-10-30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어 로프 탈선 점검장치
KR100917962B1 (ko) 2008-09-18 2009-09-21 유명철 이동식 버켓 크레인
KR101039560B1 (ko) * 2010-06-29 2011-06-15 대한민국 굴삭기 부착형 집재기
KR20130002909U (ko) * 2013-03-05 2013-05-15 도윤기 굴삭기용 인양장치
KR101861688B1 (ko) 2016-09-12 2018-05-28 조대연 크레인 버켓 인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7435B2 (en) Power shovel hoist machinery with auxiliary weight box
AU2017202342B2 (en) Rope shovel with non-linear digging assembly
AU2015202966B2 (en) Dipper for a mining shovel
RU2517143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KR101967900B1 (ko)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JP6075401B2 (ja) 建設機械
KR100661598B1 (ko)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의 버켓 클램핑 장치
JP2008231687A (ja) ヘドロ浚渫用バケットおよび浚渫機
KR101625677B1 (ko)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KR20080074060A (ko) 토사 이동 적재용 버킷 구동장치
KR20190012402A (ko) 트럭 적재함의 덮개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22529A (ko) 건설 기계
JP2860978B2 (ja) 懸垂型掘削機
KR200230350Y1 (ko) 차량용 크레인의 운전석 커버장치
CN214653212U (zh) 物料转运装置和作业机械
JPH08100443A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6495138B2 (ja) 掘削土砂の搬出方法
KR101946962B1 (ko) 자바라 타입의 블라인드가 구비된 특장차
KR101448717B1 (ko) 덤프게이트 고정훅 강제 리턴장치
JP4881695B2 (ja) コンテナ
CN112850523A (zh) 物料转运装置、作业机械和取料方法
JP2000303501A (ja) 建設機械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ソール装置
JPH08156701A (ja) 建設機械の運転室の前下窓格納装置
KR20090069620A (ko) 중장비용 커버의 개폐장치
JP5199696B2 (ja) 長物用工具箱及びこれを備える高所作業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