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529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529A
KR20130122529A KR1020127033487A KR20127033487A KR20130122529A KR 20130122529 A KR20130122529 A KR 20130122529A KR 1020127033487 A KR1020127033487 A KR 1020127033487A KR 20127033487 A KR20127033487 A KR 20127033487A KR 20130122529 A KR20130122529 A KR 2013012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
hatch
close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827B1 (ko
Inventor
쇼오고 기무라
도모유키 다나카
히로시 다베타
하지메 이시이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을 운전실 내에 배치하는 것에 있어서, 선회 반경을 크게 하지 않고,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전실(6)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을 구비한 미니 셔블에 있어서, 스텝의 일부에,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설치하고, 도어(5)의 일부에, 이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스텝의 돌출부(12a)를 덮는 볼록부(5a)를 설치하고 있다. 운전실(6)의 바닥(11)이, 운전석(4)의 전방측에 배치된 평탄부(11a)와, 이 평탄부(11a)에 연속 설치되어서 승강구(20)측에 배치된 단차부(11b)를 포함하고, 운전실(6) 내에, 바닥(11)의 단차부(11b)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2)를 단차부(11b)에 연속 설치하고, 스텝이 바닥(11)의 단차부(11b)와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지고, 플랜지부(12)에 돌출부(12a)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승강구를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을 구비한 미니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도시된 유압 셔블이 있다. 이 유압 셔블은 선회체와, 이 선회체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선회체 위에 설치되고, 승강구를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과, 이 운전실의 승강구에 설치되고,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실 내에는 운전석이 배치되고, 운전석의 하방이며 전방 위치에는 상판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판은 운전석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평탄부와, 이 평탄부에 연속 설치되어서 승강구측에 배치된 단차부로 이루어져 있고, 이 단차부가 상술한 스텝을 구성하고 있다. 운전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는, 스텝을 구성하는 단차부는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스텝을 구성하는 단차부는 운전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26307호 공보
상술한 유압 셔블이 미니 셔블 등의 소형의 건설 기계일 경우에는, 운전실내의 발주위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술한 단차부의 형상 치수를 작게 설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에 수반하여, 단차부, 즉 스텝을 통해서 행해지는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도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미니 셔블 등의 소형의 건설 기계이여도,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운전실 내에 배치되는 스텝을 구성하는 단차부의 형상 치수를 도어측으로 확장시키고, 게다가 폐쇄된 도어의 전체면을 따르도록 크게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운전실의 외곽 형상은, 작업 장치측에 배치되는 운전실의 기둥, 즉 전방측 필러가 그것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되면, 미니 셔블 등의 소형의 건설 기계에서 원래 요구되는 차폭 이하의 치수인 선회체의 선회 반경의 외측에 운전실이 돌출하게 된다. 즉, 선회체의 선회 반경이 원래 요구되고 있는 선회 반경보다도 커지고, 작업 환경에 의한 제약을 받아, 당해 미니 셔블 등의 소형의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를 통해서 실시되는 각종 작업에 지장이 발생할지 모른다.
또한, 스텝을 도어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함으로써, 이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텝을 구성한 경우에는, 당해 건설 기계가 한냉지에 배치되어서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 도어로부터 돌출되고, 외부로 노출된 스텝 부분에 눈이 쌓이고, 그 적설이 동결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적설의 동결이 발생하면, 도어의 개폐가 곤란해지기 쉽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텝을 운전실 내에 배치하는 것에 있어서, 선회 반경을 크게 하지 않고,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선회체와, 이 선회체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선회체 위에 설치되고, 승강구를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과, 이 운전실의 상기 승강구에 설치되고,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일부에, 상기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일부에, 이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상기 돌출부를 덮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운전실의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스텝의 일부에만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운전실의 외곽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고 스텝에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선회 반경을 크게 하지 않고,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닫았을 때에 도어의 일부에 설치한 볼록부에 의해 스텝에 설치한 돌출부가 덮이기 때문에, 돌출부를 포함시킨 스텝 전체를 운전실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건설 기계가 적설이 발생하는 한냉지에 배치되었을 경우라도, 스텝에 있어서 적설이 동결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바닥이, 운전석의 전방측에 배치된 평탄부와, 이 평탄부에 연속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구측에 배치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실 내에, 상기 바닥의 상기 단차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상기 단차부에 연속 설치하고, 상기 스텝이, 상기 바닥의 단차부와 상기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돌출부를 갖는 플랜지부와, 볼록부를 갖는 도어와의 조합에 있어서, 돌출부의 형상이 다른 것을, 또는 볼록부의 형상의 다른 것을 미리 복수조 고려해 둠으로써, 운전실의 기본 구조의 설계 변경을 발생시키지 않고, 선정된 플랜지부와 도어와의 원하는 조합을 갖는 운전실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은 서로 상기 승강구를 끼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작업 장치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필러와,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설치 필러를 갖고, 상기 전방측 필러에,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측단부를 수용시키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도어를 폐쇄했을 때에, 전방측 필러의 오목부에 도어의 측단부가 수용되므로, 도어의 측단부가 전방측 필러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지 않고, 원래 요구되어 있는 선회 반경의 유지에 공헌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가 미니 셔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측 필러측의 단부에, 상기 전방측 필러에 근접할수록 상기 개구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굴곡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에 위치하는 상기 도어의 상기 볼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에 상기 돌출부의 상기 굴곡부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굴곡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상기 볼록부의 상기 굴곡부는, 상기 도어를 열었을 때에 상기 선회체의 외장 커버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도어의 볼록부의 굴곡부가 선회체를 형성하는 외장 커버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형성하므로, 도어의 개방 동작에 수반되는 도어의 손상 및 외장 커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텝의 일부에,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도어의 일부에, 이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스텝의 돌기부를 덮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으로, 운전실의 외곽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고 스텝에 돌출부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선회 반경을 크게 하지 않고,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를 선회시켜 작업 장치를 구동시켜서 지장 없이 원하는 작업을 실시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닫았을 때에 도어에 설치한 볼록부에 의해 플랜지부의 돌출부가 덮이므로, 당해 건설 기계가 적설이 생기는 한냉지에 배치되었을 경우라도, 스텝에 있어서 적설이 동결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한 적설에 의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사태를 발생하지 않고,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실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미니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미니 셔블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연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일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미니 셔블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미니 셔블에 구비되는 운전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의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소형의 건설 기계의 하나인 미니 셔블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니 셔블은 좌우 한쌍의 크롤러(1a)를 갖는 주행체(1)와, 이 주행체(1) 위에 배치되는 선회체(2)와, 이 선회체(2)에 상하 방향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장치(3)는 선회체(2)에 설치되는 붐(3a)과, 이 붐(3a)의 선단에 설치되는 아암(3b)과, 이 아암(3b)의 선단에 설치되는 버킷(3c)을 포함하고 있다.
선회체(2) 위에는, 운전석(4)이 수용되어 승강구를 개폐 가능한 도어(5)를 갖는 운전실(6)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선회체(2)에는, 엔진(7), 도시하지 않은 펌프 등이 수용되어 외측이 외장 커버(8)로 덮인 기계실(9)과, 중량 밸런스를 확보하는 카운터 웨이트(10)를 배치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닫은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연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운전실의 도어를 연 상태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미니 셔블은, 운전실(6)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의 일부에, 운전실(6)의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6)의 바닥(11)이, 상술한 운전석(4)의 전방측에 배치된 평탄부(11a)와, 이 평탄부(11a)에 연속 설치되어서 이 평탄부(11a)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승강구측에 배치된 단차부(11b)를 포함하고, 운전실(6) 내에, 바닥(11)의 단차부(11b)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12)를 단차부(11b)에 연속 설치하고, 상술한 스텝이, 바닥(11)의 단차부(11b)와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지고, 플랜지부(12)에 도 4에 도시하는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5)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설치하고 있다.
플랜지부(12)는 한쌍의 볼트(14)에 의해, 운전실(6)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2)에 설치된 돌출부(12a)의 주요부의 단부면은, 예를 들어 수평면내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운전실(6)은,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승강구를 끼우도록 설치되고, 작업 장치(3)측에 배치되는 기둥, 즉 전방측 필러(15)와, 도어(5)가 힌지(18)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둥, 즉 도어 설치 필러(13)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에 있어서의 전방측 필러(15)측의 단부에는, 전방측 필러(15)에 근접함에 따라서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6)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굴곡부(12a1)를 설치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의 하단부 부분의 일부에는, 이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스텝을 구성하는 플랜지부(12)에 설치한 돌출부(12a)를 덮는 볼록부(5a)를 설치하고 있다. 이 볼록부(5a)의 주요부는,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의 주요부의 단부면의 직선형 형상으로 따라,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5a)는, 예를 들어 도어(5)의 제작시에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필러(15)에, 도어(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도어(5)의 측단부(5b)를 수용시키는 오목부(15a)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닫았을 때에 위치하는 도어(5)의 볼록부(5a)에 있어서의 전방측 필러(15)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도어(5)를 닫았을 때에 상술한 돌출부(12a)의 굴곡부(12a1)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굴곡부(5a1)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굴곡부(5a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열었을 때에 선회체(2)의 외장 커버(8)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운전실(6)의 기본적인 외곽 형상은 변경되지 않고, 이것에 따라 도 4, 도 6에 도시하는 선회 반경(17)은, 종전의 미니 셔블의 것과 동등한 선회 반경, 즉 주행체(1)의 한쌍의 크롤러(1a)에 의해 규정되는 차폭 이하의 치수를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열었을 때의 측단부(5b)의 위치는, 예를 들어 대략 선회 반경(17)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운전석(4)에 착석할 때는,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열고, 바닥(11)의 단차부(11b)와, 돌출부(12a)를 갖는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텝에 발을 걸어서, 바닥(11)의 평탄부(11a)로 올라, 운전석(4)에 착석하면 된다. 이렇게 운전석(4)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운전실(6) 내에 배치되는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작업 장치(3)가 구동하고,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의 원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어(5)가 활짝 열렸을 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가 선회체(2)의 외장 커버(8)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작업중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도어(5)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종료했을 때는 오퍼레이터는 운전석(4)으로부터 이격되고, 바닥(11)의 평탄부(11a)로부터 단차부(11b)와 플랜지부(12)로 이루어지는 스텝에 내리고, 또한 당해 미니 셔블의 접지면에 내려온 후, 예를 들어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폐쇄하면 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가 도어(5)의 볼록부(5a)에 의해 덮이는 동시에, 도어(5)의 측단부(5b)가 전방측 필러(15)의 오목부(15a)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단부면을 수평면내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도어(5)의 볼록부(5a)의 주요부를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의 주요부에 있어서의 단부면을, 예를 들어 수평면내에 있어서 곡선 형상으로 하거나, 요철부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또한 도어(5)의 볼록부(5a)를 수평면내에 있어서 곡면을 갖도록, 또는 연직면내에 있어서 곡면을 갖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들의 돌출부(12a) 및 볼록부(5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6)의 승강구(20)를 형성하는 개구면(15)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a)를 스텝을 구성하는 플랜지부(12)의 일부에만 설치하기 때문에, 운전실(6)의 외곽 형상을 변경시키지 않고 스텝에 돌출부(12a)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선회 반경(17)을 크게 하지 않고, 스텝의 형상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회체(2)를 선회시켜 작업 장치(3)를 구동시켜서, 지장 없이 원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실(6)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5)를 닫았을 때에, 도어(5)에 설치한 볼록부(5a)에 의해 플랜지부(12)의 돌출부(12a)가 덮이므로, 돌출부(12a)를 포함한 스텝 전체를 운전실(6)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미니 셔블이 적설이 생기는 한냉지에 배치되었을 경우라도, 돌출부(12a)를 포함시킨 스텝에 있어서 적설이 동결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된 적설에 의해 도어(5)가 열리지 않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고, 도어(5)의 원활한 개폐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a)를 갖는 플랜지부(12)와, 볼록부(5a)를 갖는 도어(5)의 조합에 있어서, 돌출부(12a)의 형상이 다른 것을, 또는 볼록부(5a)의 형상의 다른 것을 미리 복수조 고려함으로써, 운전실(6)의 기본 구조의 설계 변경을 발생시키지 않고, 선정된 플랜지부(12)와 도어(5)의 조합을 갖는 운전실(6)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를 폐쇄했을 때에, 전방측 필러(15)의 오목부(15a)에 도어(5)의 측단부(5a)가 수용되므로, 도어(5)의 측단부(5b)가 전방측 필러(15)보다도 외측에 위치하지 않고, 원래 요구되고 있는 선회 반경(17)의 유지에 공헌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의 볼록부(5a)의 굴곡부(5a1)가 선회체(2)를 형성하는 외장 커버(8)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어(5)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는 도어(5)의 손상 및 외장 커버(8)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미니 셔블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미니 셔블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는 미니 셔블보다도 큰 유압 셔블이여도 좋고, 또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을 선회체 위에 설치한 것이면, 유압 셔블과는 다른 건설 기계이여도 좋다.
1 : 주행체
2 : 선회체
3 : 작업 장치
4 : 운전석
5 : 도어
5a : 볼록부
5a1 : 굴곡부
5b : 측단부
6 : 운전실
8 : 외장 커버
11 : 바닥
11a : 평탄부
11b : 단차부
12 : 플랜지부
12a : 돌출부
12a1 : 굴곡부
13 : 도어 설치 필러
14 : 볼트
15 : 전방측 필러
15a : 오목부
16 : 개구면
17 : 선회 반경
20 : 승강구

Claims (4)

  1. 선회체와, 이 선회체에 설치되는 작업 장치와, 상기 선회체 위에 설치되고, 승강구를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운전실과, 이 운전실의 상기 승강구에 설치되고, 운전실에 대한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스텝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일부에, 상기 승강구를 형성하는 개구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일부에, 이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텝의 상기 돌출부를 덮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바닥이, 운전석의 전방측에 배치된 평탄부와, 이 평탄부에 연속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구측에 배치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실 내에, 상기 바닥의 상기 단차부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플랜지부를 상기 단차부에 연속 설치하고,
    상기 스텝이 상기 바닥의 단차부와 상기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은, 서로 상기 승강구를 끼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작업 장치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필러와,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설치 필러를 갖고,
    상기 전방측 필러에, 상기 도어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측단부를 수용시키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당해 건설 기계가 미니 셔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돌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측 필러측의 단부에, 상기 전방측 필러에 근접할수록 상기 개구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굴곡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에 위치하는 상기 도어의 상기 볼록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방측 필러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상기 도어를 닫았을 때에 상기 돌출부의 상기 굴곡부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굴곡부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상기 볼록부의 상기 굴곡부는, 상기 도어를 열었을 때에 상기 선회체의 외장 커버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127033487A 2010-05-24 2011-05-24 건설 기계 KR101778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8565A JP5054802B2 (ja) 2010-05-24 2010-05-24 建設機械
JPJP-P-2010-118565 2010-05-24
PCT/JP2011/061885 WO2011148945A1 (ja) 2010-05-24 2011-05-24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29A true KR20130122529A (ko) 2013-11-07
KR101778827B1 KR101778827B1 (ko) 2017-09-14

Family

ID=4500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487A KR101778827B1 (ko) 2010-05-24 2011-05-24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3086B2 (ko)
EP (1) EP2565332B1 (ko)
JP (1) JP5054802B2 (ko)
KR (1) KR101778827B1 (ko)
CN (1) CN102906343B (ko)
WO (1) WO2011148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110B2 (ja) * 2010-07-29 2015-04-22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フレーム構造
JP5841504B2 (ja) * 2012-08-06 2016-01-13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US11072517B2 (en) 2019-04-11 2021-07-27 Kundel Industries, Inc. Jib crane with tension frame and compression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2530A (en) * 1972-04-26 1974-04-09 Deere & Co Tractor cab
JPH01175490U (ko) 1988-06-01 1989-12-13
JPH07106259B2 (ja) 1993-01-25 1995-11-15 株式会社エース電研 パチンコゲーム機
JPH08291538A (ja) * 1995-04-21 1996-11-05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車体構造
US6170588B1 (en) * 1997-06-03 2001-01-0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evolving construction machine
JP3589575B2 (ja) * 1997-09-30 2004-1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4650860B2 (ja) * 2001-03-28 2011-03-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旋回式建設機械
JP4201186B2 (ja) * 2003-08-27 2008-12-24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4313220B2 (ja) * 2004-02-12 2009-08-1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898447B (zh) * 2004-06-07 2010-07-14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4516009B2 (ja) * 2005-12-13 2010-08-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001224B2 (ja) * 2008-06-27 2012-08-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756861B2 (ja) * 2011-09-09 2015-07-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06343A (zh) 2013-01-30
KR101778827B1 (ko) 2017-09-14
CN102906343B (zh) 2015-04-01
JP2011246889A (ja) 2011-12-08
EP2565332B1 (en) 2017-08-23
EP2565332A1 (en) 2013-03-06
US20130058747A1 (en) 2013-03-07
JP5054802B2 (ja) 2012-10-24
WO2011148945A1 (ja) 2011-12-01
EP2565332A4 (en) 2015-07-22
US9033086B2 (en) 201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4102B2 (ja) 建設機械用キャブ
EP3406804B1 (en) Compact construction machinery
KR20140018883A (ko) 건설 기계
JP4524437B2 (ja) 旋回作業車のターニングフレーム
KR20130122529A (ko) 건설 기계
US20140017053A1 (en) Construction machine
US7857083B2 (en) Excavation machine
US6135223A (en) Guard cover for a construction machine
JP2010047975A (ja) 上部体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4044314B2 (ja) 建設機械
KR20130122605A (ko) 건설 기계
JP5824414B2 (ja) 建設機械
JP6919463B2 (ja) 作業機械
JP4703369B2 (ja) 作業機械
JP2014031687A (ja) 作業機
JP2009154755A (ja) 建設機械
JP3461440B2 (ja) 旋回作業機
JP4576598B2 (ja) 旋回作業車のターニングフレーム
JPH09203077A (ja) 作業機のステップ装置
JP2004034783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