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77B1 -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77B1
KR101625677B1 KR1020090120894A KR20090120894A KR101625677B1 KR 101625677 B1 KR101625677 B1 KR 101625677B1 KR 1020090120894 A KR1020090120894 A KR 1020090120894A KR 20090120894 A KR20090120894 A KR 20090120894A KR 101625677 B1 KR101625677 B1 KR 10162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cabin
elastic body
shaft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347A (ko
Inventor
차준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677B1/ko
Priority to CN 201010579586 priority patent/CN102086654B/zh
Publication of KR2011006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 도어를 개폐할 때 전방 도어 하단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전방 도어를 개방시 쉽게 들어올려 개방할 수 있고 폐쇄시 중력에 의한 빠른 낙하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건설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에는, 상기 전방도어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도어를 개방 시 상기 캐빈의 내측 상방으로 유동하는 전방도어 상단축과, 상기 전방도어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도어를 개방 시 상기 캐빈 프레임의 가이드부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는 전방도어 하단축을 포함하되, 제 1 탄성체 지지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단부가 결합된 측과 대응되는 방향에 구비된 제 2 탄성체 지지부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120894
건설 중장비, 굴삭기, 캐빈, 전방 도어, 탄성체, 가스 스프링

Description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of front door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 도어를 개폐할 때 전방 도어 하단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전방 도어를 개방시 쉽게 들어올려 개방할 수 있고 폐쇄시 중력에 의한 빠른 낙하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전방도어가 구비된 건설 중장비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2 는 종래의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서 전방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종래의 건설 중장비 캐빈(100)에서 전방 도어(110)는 폐쇄시에는 캐빈 프레임(120)에 밀착되도록 닫혀 있다. 상기 전방 도어(110)를 개방시에는 전방도어 상단축(111)이 상기 캐빈 프레임(120)에 구비된 가이드부(121)를 따라 상기 캐빈(100)의 내측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121)에 구비된 고정홈(121-1)에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에 연결된 롤러(도면 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가 상기 전방 도어(110)를 개방시 상기 고정홈(121-1)으로부터 상기 롤러(도면 미도시)를 이탈시켜 개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방도어 하단축(112)은 상기 가이드부(121)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건설 중장비 캐빈의 전방 도어는, 전방 도어의 개방시에는 무게 중심이 전방 도어의 하단부에 있어 들어올리기 힘들고, 전방 도어의 폐쇄시에는 중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낙하할 수 있어 전방 도어 또는 캐빈 프레임의 파손 우려와 안전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면 도어를 와이어(wire)로 들어올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와이어에 의한 방식의 경우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성형해야하므로 이들에 대한 비용 소모가 크고, 건설 중장비의 특성상 진동이 심한 경우가 많은데 진동으로 인해 오작동의 염려가 있다.
따라서 건설 중장비용 캐빈의 전방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시에는 사용자가 쉽게 들어올릴 수 있고 폐쇄시에는 중력에 의한 낙하를 상쇄하여 부품 파손 및 안전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방 도어의 개방시 쉽게 들어올릴 수 있고 전방 도어를 하강시켜 폐쇄시 파손 및 사고의 위험이 적은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개발되었다.
본 발명은 건설 중장비 캐빈(1000)의 전방도어(1100)를 캐빈 프레임(1200)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캐빈(1000)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건설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1100)에는, 상기 전방도어(1100)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도어(1100)를 개방 시 상기 캐빈 프레임(120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빈(1000)의 내측 상방으로 유동하는 전방도어 상단축(1110)과, 상기 전방도어(1100)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도어(1100)를 개방 시 상기 캐빈 프레임(1200)의 가이드부(1210)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는 전방도어 하단축(1120)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의 단부(1121)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단부(1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서 상기 단부(1121)가 결합된 측과 대응되는 방향에 구비된 제 2 탄성체 지지부(1161)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성체(1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 구비된 유동 공간을 관통하는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에 제 1 회전축(1171)이 연결되고, 상기 단부(1121)의 유동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축(117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1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와,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과 상기 탄성체(1150)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가 유동될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 연결되되 상기 제 1 회전축(1171)이 형성된 위치보다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회전축(118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1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1150)는 질소 가스 또는 압축 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스의 체적 변화와 스프링의 탄성력을 함께 활용하는 가스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의 유동 공간의 길이는, 상기 전방도어(1100)의 개방 시 상기 탄성체(1150)의 길이와 상기 전방도어(1100)의 폐쇄 시 상기 탄성체(1150)의 길이 상호간 차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첫째, 전방 도어의 하단부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도어의 개방시 사용자가 쉽 게 들어올릴 수 있고, 도어를 하강시켜 폐쇄시 탄성력과 가스의 체적 변화에 따른 완충 작용 등을 이용하여 부품 파손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탄성체가 전방 도어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체가 유동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캐빈 프레임의 가이드부를 유동하도록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어 전방 도어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탄성체는 내부 공간에 가스가 주입된 탄성체를 활용할 수 있어 기계적 탄성력뿐만 아니라 가스의 체적 변화에 따른 완충력을 함께 공급하므로 전방 도어를 하강하여 폐쇄시 파손과 사고를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 중장비는 토목기계라고도 하며 그 종류는 굴삭기, 휠 로더, 지게차, 스키드 로더 등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다. 건설 중장비는 무인 장비도 고려할 수 있으나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장비는 작업자가 직접 탑승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형태이며 이러한 유인 장비는 작업자가 직접 작업 진행 상황과 가변적인 조건을 인지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굴삭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굴삭기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 기계로,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지반 공사, 토석 채취 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굴삭기는 궤도 또는 휠에 의해 구동되는 하부 주행체, 하부 주행체의 상단에 스윙(swing)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인 캐빈을 구비한 상부 선회체, 상부 선회체의 전방 방향으로 외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붐, 암, 버킷 등의 작업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선회체에 구비되는 캐빈은 일반적으로 도어가 측면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측면 도어가 형성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이러한 측면 도어 외에도 작업 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캐빈의 전방으로 출입을 해야 할 경우가 있고, 양 방향의 통풍과, 건설 중장비의 하단 작업시 작업 진행정도의 확인을 위한 시계 확보 등을 위해 캐빈의 전면 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전방 도어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전방 도어의 개폐와 관련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전방도어가 구비된 건설 중장비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도어를 나타내는 구조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도어와 캐빈 프레임간의 결합 상태에 대한 주요부를 나타낸 구조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도어 상단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서 전방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전방도어 하단부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는 탄성체(1150)와 가이드 플레이트(1160)를 포함하고,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 및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건설 중장비에 구비되는 캐빈(1000)은 사용자가 탑승하는 공간으로 각종 계기판과 스위치, 레버 등에 의해 건설 중장비의 운행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캐빈(1000)에는 사용자의 주 출입문인 측면 도어 외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도어(1100)가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그 밖에 상기 캐빈(1000)에 대한 것은 통상적인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전방 도어(1100)는 건설 중장비의 상기 캐빈(1000)에 구비되되, 상기 캐빈(1000)의 몸체에 해당하는 캐빈 프레임(1200)으로부터 상기 전방 도어(1100)를 이탈시켜 상기 캐빈(1000)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빈(1000)의 측면 도어(도면번호 미부여)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캐빈(1000)의 외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인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도어(도면번호 미부여)와 기능이 다르다. 출입이나 통풍을 위한 경우 상기 측면 도어(도면번호 미부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나,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사용자가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진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계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굴삭기를 예를 들면, 굴삭기가 위치된 지면보다 굴삭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의 지면이 더 낮은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 상기 캐빈(1000)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단 측의 시야가 확보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전방 도어(110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고정시켜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상기 캐빈 프레임(1200)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캐빈(1000)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전방도어 상단축(1110)과 전방도어 하단축(112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은 상기 전방 도어(110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도어(1100)를 개방시 상기 캐빈 프레임(120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빈(1000)의 내측 상방으로 유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은 상기 전방 도어(1100)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 도어(1100)를 개방시 상기 캐빈 프레임(1200)의 가이드부(1210)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가이드부(121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사용자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유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유리와 동일할 수 있다. 유리로 형성된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를 위해 상기 전방 도어(1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이, 하단부에는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은 소정의 중량을 갖는 상기 전방 도어(1100)의 유동을 담당하는 부위로 일정 수준의 강성을 지닌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캐빈(10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캐빈 프레임(12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210)는 상기 캐빈 프레임(1200)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이 유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1210)의 궤적에 따라 설계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210)는 상기 전방 도어(1100)가 폐쇄된 상태 부터 최대로 개방된 상태까지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이 유동하는 경로 전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210)는 상기 캐빈 프레임(1200)에서 상기 전방 도어(1100)가 구비된 위치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캐빈(1000)에서 사용자가 탑승한 내측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210)는 상단 가이드 롤러(1190)와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 및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가 회전하며 유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상단 가이드 롤러(1190), 상기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 상기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150)는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는 상기 전방 도어(1100)에서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보다 상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방 도어(110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는 돌출된 부위에 롤러(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 동작에 따른 유동에 대해 상기 가이드부(12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는 상기 탄성체(1150)의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체(1150)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인데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 과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은 상기 전방 도어(110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부(1121)가 형성된 다.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가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되는 공간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는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길게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 동작에 따른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의 유동에 따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의 내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는 상기 전방 도어(1100)가 닫힌 경우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가 결합된 위치와 대응되는 측에 제 2 탄성체 지지부(1161)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탄성체 지지부(1161)는 상기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탄성체(1150)가 회전 가능하며 유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는 상기 탄성체(1150)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탄성체 지지부(1161)는 상기 탄성체(1150)의 타단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체(1150)는 일단이 상기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 도어(1100)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1150)의 타단은 상기 제 2 탄성체 지지부(1161)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150)는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와 상기 제 2 탄성체 지지부(1161)에 결합되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150)의 형상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체(1150)는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방시에는 상기 전방 도어(1100)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사용자가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상기 전방 도어(1100)의 폐쇄시에는 상기 전방 도어(1100)가 중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낙하하지 않도록 중력을 상쇄하며 상방으로 밀어 올려주어야 한다. 상기 탄성체(1150)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뿐만 아니라 유체의 체적변화에 따른 완충력을 함께 활용하는 실시예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탄성체(1150)는 스프링과 같은 기계적 탄성체가 내부에 구비되고, 질소 가스 또는 압축 공기 등과 같은 유체가 내부에 충전되어 밀폐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방시에는 압축되어 있던 기계적 탄성체의 복원력과 작은 체적으로 압축된 유체의 부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방 도어(1100)를 상방으로 쉽게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전방 도어(1100)의 폐쇄시에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상기 전방 도어(1100)에 의해 인장된 기계적 탄성체와 체적이 늘어난 유체가 급격하게 압축되므로, 상기 전방 도어(1100)의 낙하 속도를 감소시켜 빠른 낙하로 인한 장비의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와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의 내측으로 구비된 유동 공간을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가 관통하면서 유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의 유동 공간을 관통하여 유동하면서 상기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를 형성하는 제 1 회전축(1171)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가 상 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를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축(117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가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1210)의 궤적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1210)의 내부를 유동한다. 상기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는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과 상기 탄성체(1150)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가 유동될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 연결되는 제 2 회전축(118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유동된다. 상기 제 2 회전축(1181)의 형성 위치는 상기 제 1 회전축(1171)이 형성된 위치보다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는 상기 제 2 회전축(118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1210)의 내부를 유동하도록 형성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폐 동작시에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의 유동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0)에서 상기 전방 도어(1100)가 닫혀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에 구비되는 상기 상단 가이드 롤러(1190)는 유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부(1210)에는 고정홈(12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1200)이 상기 캐빈(1000)의 전면에서 루프면으로 굴곡짐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210)도 상기 캐빈 프레임(1200)의 형성 방향대로 굴곡지도록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10)가 굴곡지는 지점에서 상기 상단 가이드 롤러(1190)가 고정되면, 상기 상단 가이드 롤러(1190)에 연결된 상기 전방도어 상단축(1110)이 고정되고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유동되거나 진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1211)은 상기 가이드부(1210)에서 상기 캐빈(1000)의 외측 방향으로 파이도 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방시에는 상기 고정홈(1211)에 고정된 상기 상단 가이드 롤러(1190)가 상기 가이드부(1210)의 궤적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도어(1100)를 내측으로 잡아당긴 후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된다.
도 6 에서는 상기 전방 도어(1100)를 개폐하는 경우 상기 전방 도어(1100)의 하단부에서의 유동을 나타낸다. 도 6a 는 상기 전방 도어(1100)가 닫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 는 상기 전방 도어(11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체(1150)가 이완되어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를 따라 상기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를 이용하여 상방으로 유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c 는 도 6b 보다 상기 전방 도어(1100)를 더 밀어 올려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가 상방으로 유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가 상기 가이드부(1210)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전방 도어(1100)를 닫을 경우 이러한 개방 과정의 역순에 따르면 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의 유동 공간의 길이는 상기 전방 도어(1100)를 개방한 경우 측정한 상기 탄성체(1150)의 길이와 상기 전방 도어(1100)를 폐쇄한 경우 측정한 상기 탄성체(1150)의 길이 상호간 차이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는 상기 탄성체(1150)의 이완 수축운동에 따른 길이 변화에 따라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의 유동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만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150)가 지표면과 이루는 각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가 지표면과 이루는 각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상기 전방 도어(1100)의 개방 정도에 따라 각도는 유동적이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의 유동 공간의 길이는 상기 전방 도어(1100)를 개방한 경우 측정한 상기 탄성체(1150)의 길이와 상기 전방 도어(1100)를 폐쇄한 경우 측정한 상기 탄성체(1150)의 길이 상호간 차이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고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 은 전방도어가 구비된 건설 중장비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서 전방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도어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도어와 캐빈 프레임간의 결합 상태에 대한 주요부를 나타낸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 캐빈에 구비되는 전방도어 상단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중장비의 캐빈에서 전방도어를 개폐하는 경우 전방도어 하단부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빈 110 : 전방도어
111 : 전방도어 상단축 112 : 전방도어 하단축
120 : 캐빈 프레임 121 : 가이드부
121-1 : 고정홈
1000 : 캐빈 1100 : 전방도어
1110 : 전방도어 상단축 1120 : 전방도어 하단축
1121 :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 1130 : 제 1 탄성체 지지부
1150 : 탄성체 1160 : 가이드 플레이트
1161 : 제 2 탄성체 지지부 1170 :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
1171 : 제 1 회전축 1180 :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
1181 : 제 2 회전축 1190 : 상단 가이드 롤러
1200 : 캐빈 프레임 1210 : 가이드부
1211 : 고정홈

Claims (4)

  1. 건설 중장비 캐빈(1000)의 전방도어(1100)를 캐빈 프레임(1200)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캐빈(1000)의 내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건설 중장비에 있어서 상기 전방도어(1100)에는,
    상기 전방도어(1100)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도어(1100)를 개방 시 상기 캐빈 프레임(120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빈(1000)의 내측 상방으로 유동하는 전방도어 상단축(1110)과, 상기 전방도어(1100)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전방도어(1100)를 개방 시 상기 캐빈 프레임(1200)의 가이드부(1210)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는 전방도어 하단축(1120)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 1 탄성체 지지부(11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의 단부(1121)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단부(1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유동 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서 상기 단부(1121)가 결합된 측과 대응되는 방향에 구비된 제 2 탄성체 지지부(1161)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탄성체(1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어(11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 구비된 유동 공간을 관통하는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 단부(1121)에 제 1 회전축(1171)이 연결되고, 상기 단부(1121)의 유동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축(117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1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 1 하단 가이드 롤러(1170)와,
    상기 전방도어 하단축(1120)과 상기 탄성체(1150)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가 유동될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60)에 연결되되 상기 제 1 회전축(1171)이 형성된 위치보다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회전축(118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1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제 2 하단 가이드 롤러(1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150)는 질소 가스 또는 압축 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가스의 체적 변화와 스프링의 탄성력을 함께 활용하는 가스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4. 삭제
KR1020090120894A 2009-12-08 2009-12-08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KR10162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94A KR101625677B1 (ko) 2009-12-08 2009-12-08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CN 201010579586 CN102086654B (zh) 2009-12-08 2010-12-03 重型工程装备用前门开关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94A KR101625677B1 (ko) 2009-12-08 2009-12-08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347A KR20110064347A (ko) 2011-06-15
KR101625677B1 true KR101625677B1 (ko) 2016-05-31

Family

ID=4409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94A KR101625677B1 (ko) 2009-12-08 2009-12-08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5677B1 (ko)
CN (1) CN1020866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9029B1 (ja) * 2013-02-22 2013-10-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用キャブおよび建設機械
US9221319B2 (en) 2013-02-22 2015-12-29 Komatsu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CN103161376A (zh) * 2013-02-23 2013-06-19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驾驶室及其前窗和工程机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729A (ja) 1999-03-18 2000-09-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693A (ja) * 1998-01-09 1999-07-27 Chuo Spring Co Ltd キャビンの窓開閉装置
KR100382823B1 (ko) * 1999-09-01 2003-05-0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백호
JP3747733B2 (ja) * 2000-03-28 2006-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KR100861561B1 (ko) * 2006-11-08 2008-10-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용 운전실
JP5026948B2 (ja) * 2007-12-25 2012-09-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729A (ja) 1999-03-18 2000-09-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6654B (zh) 2013-08-07
KR20110064347A (ko) 2011-06-15
CN102086654A (zh)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744B1 (ko) 건설 기계의 엔진 후드
EP2161150B1 (en) Sliding door safet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P2216238B1 (en) Bodywork for an operating machine and operating machine comprising said bodywork
JP4891731B2 (ja) 作業機械のアンテナ脱着装置
KR101625677B1 (ko) 건설 중장비용 전방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KR101037948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CN102155031A (zh) 工作机
JP2012162975A (ja) シャッタを有するクラムシェル型グラブバケット
KR100830570B1 (ko) Psd용 구동부 커버의 개폐 장치
KR20140044815A (ko) 건설 기계
KR20130122529A (ko) 건설 기계
JP5026948B2 (ja) 建設機械
KR200476161Y1 (ko) 중장비용 커버의 개폐장치
KR20080049531A (ko) 굴삭기의 붐 제어장치
KR101967900B1 (ko)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JP2023180705A (ja) ドア装置
JPH11336467A (ja) 簡易式トンネル防音扉
KR20090069620A (ko) 중장비용 커버의 개폐장치
JP6495138B2 (ja) 掘削土砂の搬出方法
JP6539615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2004130828A (ja) 作業用車両のキャブ構造
CN203050327U (zh) 用于驾驶室门的铰链组件以及驾驶室和机器
JP6869606B2 (ja) 整備用窓口開閉機構
JP2004034783A (ja) 建設機械
JP6369495B2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