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88B1 - 크레인 버켓 인양기 - Google Patents

크레인 버켓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88B1
KR101861688B1 KR1020160117543A KR20160117543A KR101861688B1 KR 101861688 B1 KR101861688 B1 KR 101861688B1 KR 1020160117543 A KR1020160117543 A KR 1020160117543A KR 20160117543 A KR20160117543 A KR 20160117543A KR 101861688 B1 KR101861688 B1 KR 10186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hook
crane
lif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506A (ko
Inventor
조대연
Original Assignee
조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연 filed Critical 조대연
Priority to KR102016011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6Grabs actuated by a single rope or chain
    • B66C3/10Grabs actuated by a single rope or chain and having buckets opening automatically upon the grab being lowered on to the dump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2Bucket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작업장이나 하천 등에서 토사 등을 적재하여 인양하는 버켓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붐대 선단이 와이어와, 와이어의 끝단에 토사 등의 인양물을 적재하는 버켓을 걸어 승강시키는 작업후크, 버켓에 연결되면서 작업후크에 의해 상승되는 버켓지지수단,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메인후크로 연결되면서 버켓지지수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버켓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와이어를 이용 버켓을 하강하여 그 내부에 인양물을 적재한 다음 작업후크를 걸어 와이어로 승강시킨 후 승강된 버켓을 버켓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작업후크를 다시 하강하면서 버켓의 하면을 개방함으로써 토사를 간편하게 적재 인양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 버켓 인양기{A Salvage Device of a Crane Bucket}
본 발명은 굴삭작업장이나 하천 등에서 토사 등을 적재하여 인양하는 버켓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의 붐대 선단에 구비되는와이어와, 와이어의 끝단에 토사 등의 인양물을 적재하는 버켓을 걸어 승강시키는 작업후크, 버켓에 연결되면서 작업후크에 의해 상승되는 버켓지지수단,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메인후크로 연결되면서 버켓지지수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버켓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와이어를 이용 버켓을 하강하여 그 내부에 인양물을 적재한 다음 작업후크를 걸어 와이어로 승강시킨 후 승강된 버켓을 버켓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작업후크를 다시 하강하면서 버켓의 하면을 개방함으로써 토사를 간편하게 적재 인양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에서는 땅을 파는 굴삭(착)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발생되는 토사 등의 인양물을 인양하는 인양작업, 및 차량에 인양물을 운반하는 운반작업 또는 해안가의 토사 운반작업 등이 반복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특히, 구조물 기초를 공사하는 경우에는 크레인, 포크레인 또는 펌프 카 등과 같은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굴삭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굴삭작업을 시행한 토사 등은 크레인 등을 통해 외부로 인양하여 처리하는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토사 인양 작업은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설치한 와이어(로프)에 토사 인양 버켓을 연결하여 굴삭 작업장의 토사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고, 작업자들이 직접 또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굴삭작업장에서 굴삭된 토사나 암석 파쇄물 등을 토사 인양 버켓(Bucket)에 적재하여 인양 외부로 이송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지중 수직 굴삭작업에서의 토사 인양작업이나 하천가 등의 모래 등을 대형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 또는 이송하는 경우 와이어(로프)에 토사 인양 버켓을 연결하고 버켓에 토사나 모래 등을 적재하여 인양 또는 이송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 경우 토사 인양 버켓의 각 모서리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들을 토사 인양 버켓에서 상부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단일 와이어 로프로 취합한 후 상기 단일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에 연결한 상태로 토사 인양 버켓을 이송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71755호의 '굴삭기용 인양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굴삭기용 인양장치는 인양물을 수용하기 위한 인양기구;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해 상기 인양기구를 승강(昇降)시키는 윈치기구; 일측이 상기 인양기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윈치기구에 결합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윈치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기구가 굴삭기에 연결되도록 굴삭기의 버켓링크(Bucket Link)에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기구는 상기 제1와이어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1윈치 드럼(Winch Drum), 및 상기 제1윈치드럼에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제1윈치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여 구성된다.
KR 20-0471755 (등록번호) 2014.03.06. KR 20-0182238 (등록번호) 2000.03.06. KR 10-2011-0112895 (공개번호) 2011.10.14.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을 이용하는 토사 인양 버켓은 버켓 인양 과정에서 버켓이 정 위치 그대로 이송되지 못하고 와이어 로프가 꼬인 상태로 이송되어 토사 인양 버켓이 회전하면서 상부로 이송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토사 인양 버켓이 흔들리면서 적재된 토사나 암석이 하부로 낙하 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토사 인양 버켓의 하부면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토사를 지중에서 적재하거나 외부에서 배출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 '굴삭기용 인양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의 붐대 선단에 구비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끝단에 토사 등의 인양물을 적재하는 버켓을 걸어 승강시키는 작업후크, 버켓에 연결되면서 작업후크에 의해 상승되는 버켓지지수단,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메인후크로 연결되면서 버켓지지수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버켓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와이어를 이용 버켓을 하강하여 그 내부에 인양물을 적재한 다음 작업후크를 걸어 와이어로 승강시킨 후 승강된 버켓을 버켓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작업후크를 다시 하강하면서 버켓의 하면을 개방함으로써 토사를 간편하게 적재 인양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본 발명은 작업장비로 굴삭된 토사나 암석 파쇄물의 인양물을 적재하여 인양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에 있어서,
인양물을 적재하는 버켓(Bucket)과, 상기 버켓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연결와이어로 상기 버켓을 하향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버켓지지수단, 상기 버켓지지수단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켓지지수단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거나 분리하도록 하면서 그 상단부는 크레인의 메인후크에 걸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버켓고정수단,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버켓고정수단과 상기 버켓지지수단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작동와이어, 및 상기 작동와이어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버켓지지수단의 하부측에 구비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고리에 상기 버켓의 바닥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된 개폐와이어를 걸어 고정하는 작동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는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토사 적재용 버켓을 하강하고 그 내부에 토사를 적재한 다음 작업후크를 버켓에 걸어 와이어로 승강시킨 후 승강된 버켓을 버켓고정수단에 고정하고 상기 작업후크를 하강하면서 버켓의 하면을 개방하여 적재된 토사를 쏟아줌으로써 굴삭장이나 하천 등의 토사를 버켓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적재 인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이 적고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좋은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가 크레인에 설치된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에 대한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에 대한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를 통해 인양물을 버켓에 적재하여 인양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를 통해 인양물을 버켓에 적재하여 인양한 후 버켓의 인양물을 쏟아버리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장비로 굴삭된 토사나 암석 파쇄물 등의 인양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켓(110, Bucket)과,
상기 버켓(110)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연결와이어(121)로 상기 버켓(110)을 하향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버켓지지수단(120),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그 측면부에 설치되는 록킹수단(131)으로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하는 동시에 상단부는 크레인의 메인후크(132)에 걸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버켓고정수단(130),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버켓고정수단(130)과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작동와이어(140), 및
상기 작동와이어(14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하부측에 구비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고리(151)에 상기 버켓(110)의 바닥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된 개폐와이어(152)를 걸어 고정하는 작동후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 상기 버켓(110)은 내측으로 토사나 암석 파쇄물 등과 같은 인양물(또는 적재물)을 적재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바닥면부(111)와 측면부(112)가 구비되고 상부면은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버켓(110)의 상기 바닥면부(111)는 다수 개의 바닥플레이트(111a)로 구성되되 각각의 상기 바닥플레이트(111a)는 일측 모서리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부(112)와 힌지수단(미도시)으로 연결 설치되고 타측 모서리부(바닥면부의 중앙부 측에 구비되는 부분)는 상기 작동후크(150)의 상기 후크고리(151)에 걸어주는 상기 개폐와이어(152)의 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켓(110)은 상기 작동후크(15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바닥플레이트(111a)가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바닥면부(111)의 중앙부가 하강하여 개방되고 동시에 그 내부에 적재된 토사 등의 각종 인양 적재물이 하부로 쏟아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버켓(110)의 바닥면부가 개방되면서 쏟아지는 적재물은 이를 이송하기 위한 덤프트럭의 적재함이나 기타 소요처로 이송 처리되게 된다.
즉, 상기 작동후크(150)에 구비되는 상기 후크고리(151)에 연결된 상기 개폐와이어(152)가 상기 바닥플레이트(111a)를 지탱하고 있다가 상기 작동후크(150)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11a)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바닥플레이트(111)가 하향 회전되면서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어 본 구성에 한하지 않고 보다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은 그 상단부측이 작은 직경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삿갓형상의 원추몸통부(122)와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상단 모서리부에 구비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1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123)는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상단 모서리부에서 외측으로 직각되게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하부 외측면에는 상기 버켓(110)을 매달아 주도록 연결되는 상기 연결와이어(121)의 일측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편(124)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124)과 상기 연결와이어(121)의 설치 개수는 상기 버켓(110)을 안정적으로 매달아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개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4개씩 설치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켓(110)은 상기 연결와이어(121)에 의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하부측으로 매달아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내측으로는 상기 작동후크(150)가 상기 작동와이어(14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하 승강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작동후크(150)의 상단부는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상단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후크(150)의 상승 작용시 그 상단부가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상단부 직경에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와이어(140)를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하부측으로는 상기 작동후크(150)가 하강할 수 있으나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작동후크(150)가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내부면에 걸려 독자적으로 상승하지 못하고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을 지지하면서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이 상승(인양)되고 이에 매달아 설치되는 상기 버켓(110)이 상부측으로 상승(인양)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켓(110)에 토사 등의 적재물을 적재하여 상부측으로 인양 처리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켓고정수단(130)은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의 상기 메인후크(132)에 고정와이어(133)로 연결 고정되는 몸체부(134)와 상기 몸체부(134)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기 플랜지부(123) 상부면을 밀착시켜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35) 및 상기 버켓고정수단(1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록킹수단(131)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34)의 내부에는 한 쌍의 상부롤러(134a)와 하부롤러(134b)가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상부롤러(134a) 사이와 한 쌍의 상기 하부롤러(134b) 사이에 상기 작동와이어(140)가 삽설 지지되어 상하 승강(昇降)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와이어(140)는 상기 몸체부(134)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롤러(134a)와 하부롤러(134b)의 롤링작용에 의해 상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134)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상부롤러(134a)와 상기 하부롤러(134b)는 2개의 롤러수단이 서로 대향되도록 하여 상하 각각 한 쌍씩 설치되되 각 롤러는 상기 작동와이어(140)가 안착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들 롤러는 바닥면을 단순히 지지하면서 구르는 롤러와는 달리 도르래의 롤러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35)의 모서리 하부측으로는 원통형상의 슬리이브(135a,sleeve)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을 구성하는 상기 플랜지부(123)의 중앙부측에는 상기 슬리이브(135a)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돌기부(123a)를 형성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23)에는 그 플랜지면에서 상기 돌기부(123a)의 상단 모서리부까지 설치되는 리브(123b,rib)를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 더 설치 구비할 수 있다. 이들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5)의 하부면측으로 상기 플랜지부(123)가 상승하면서 밀착 지지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기 플랜지부(123)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상기 돌기부(123a)의 중앙부에는 상기 작동와이어(140)을 삽설하 여 안정적으로 상하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링형상의 와이어지지구(123c)가 연결 고정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후크(150)을 내리거나 올릴 때 상기 작동와이 어(140)는 상기 와이어지지구(123c)에 삽설된 상태로 상하 승강됨으로써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131)은 일단부측으로 유압에 의해 작동로드(136a)가 신축되도록 구비되면서 타단부측은 상기 몸체부(134)에 연결 설치되는 작동실린더(136)와, 일단부는 상기 작동로드(136a)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회동부(137a)로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회동부(137b)로 이루어지는 링크부(137), 및 상기 링크부(137)에 연결되면서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랜지부(123)을 걸어 고정하는 록킹부(13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실린더(136)는 통상적인 유압실린더로 일측으로 유압이 공급되면서 그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로드가 신장되고 다시 타측으로 유압이 공급되면서 신장된 작동로드가 수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록킹수단(131)은 상기 작동실린더(136)의 상단부측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작동로드(136a)가 신장되면서 상기 제1회동부(137a)를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링크부(137)는 상기 제2회동부(137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록킹부(138)가 회전되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기 플랜지부(123)를 걸어 록킹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록킹수단(131)은 상기 작동와이어(140)의 상승에 의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이 상승하면서 상기 플랜지부(123)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35)의 하부면에 밀착 지지된 후에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크레인 버켓 인양기(100)를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설치하여 굴삭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토사나 암석 파쇄물 등의 인양 적재물을 상기 버켓(110)에 적재하여 인양하는 작업 절차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를 통해 인양물을 버켓에 적재하여 인양하는 작동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를 통해 인양물을 버켓에 적재하여 인양한 후 버켓의 인양물을 쏟아버리는 작동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크레인 버켓 인양기(100)를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설치한 다음, 크레인의 붐대를 굴삭작업장의 상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다.
그리고 상기 작동와이어(140)를 풀어주기 전에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상기 버켓고정수단(130)의 상기 록킹수단(131)을 해제하여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을 하강 가능한 상태로 해 둔다.
이어 상기 작동와이어(140)를 풀어 주면서 하강시키게 되면 그 단부에 구비된 상기 작업후크(150)가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에 상기 버켓(110)을 매단 상태로 지지하면서 인양 적재물이 있는 곳까지 하강한다.
이어 작업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버켓(110) 내부로 토사나 암석 파쇄물 등의 인양 적재물을 적재한다.
적재물을 상기 버켓(110) 내부에 적재시킨 후 상기 작동와이어(14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업후크(150)가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에 상기 버켓(110)을 매단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부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플랜지부(123)가 상기 버켓고정수단(130)의 하부측에 구비된 상기 지지플레이트(135)의 하면에 밀착 지지되면 더 이상 상부측으로 상승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수단(131)에 구비된 상기 작동실린더(136)을 작동시켜 상기 작동로드(136a)를 신장시키게 되면 상기 제1회동부(137a)를 밀어주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링크부(137)는 상기 제2회동부(137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록킹부(138)를 회전시켜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기 플랜지부(123)를 걸어 록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에 상기 버켓(110)이 매달린 상태로 정지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와이어(140)를 플어 다시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작업후크(150)가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기 원추몸통부(122)에서 떨어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업후크(150)의 상기 후크고리(151)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상기 버켓(110)의 상기 바닥플레이트(111a)가 개방되면서 인양 적재물이 쏟아져 이송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버켓(110)은 상기 작동후크(15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바닥플레이트(111a)가 회전되면서 상기 바닥면부(111)의 중앙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적재된 토사 등의 각종 인양 적재물이 하부로 쏟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켓(110)의 바닥면부가 개방되면서 쏟아지는 적재물은 이를 이송하기 위한 덤프트럭의 적재함이나 기타 소요처로 이송 처리되게 된다.
이성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버켓 인양기는 크레인의 붐대 선단에 구비되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끝단에 토사 등의 인양물을 적재하는 버켓을 걸어 승강시키는 작업후크, 버켓에 연결되면서 작업후크에 의해 상승되는 버켓지지수단,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메인후크로 연결되면서 버켓지지수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버켓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와이어를 이용 버켓을 하강하여 그 내부에 인양물을 적재한 다음 작업후크를 걸어 와이어로 승강시킨 후 승강된 버켓을 버켓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작업후크를 다시 하강하면서 버켓의 하면을 개방함으로써 토사를 간편하게 적재 인양할 수 있게 된다.
100:크레인 버켓 인양기
110:버켓
111:바닥면부 112:측면부 111a:바닥플레이트
120:버켓지지수단
121:연결와이어 122:원추몸통부 123:플랜지부 124:고정편
123a:돌기부 123b:리브
130:버켓고정수단
131:록킹수단 132:메인후크 133:고정와이어 134:몸체부
134a:상부롤러 134b:하부롤러 135:지지플레이트 135a:슬리이브
136:작동실린더 136a:작동로드 137:링크부 137a:제1회동부
137b:제2회동부 138:록킹부
140:작동와이어
150:작동후크
151:후크고리 152:개폐와이어

Claims (5)

  1. 작업장비로 굴삭된 토사나 암석 파쇄물의 인양물을 적재하여 인양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에 있어서,
    인양물을 적재하는 버켓(110, Bucket)과,
    상기 버켓(110)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연결와이어(121)로 상기 버켓(110)을 하향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버켓지지수단(120),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부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거나 분리하도록 하면서 그 상단부는 크레인의 메인후크(132)에 걸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버켓고정수단(130),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에 연결 구비되면서 상기 버켓고정수단(130)과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작동와이어(140), 및
    상기 작동와이어(140)의 끝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하부측에 구비되면서 그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고리(151)에 상기 버켓(110)의 바닥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된 개폐와이어(152)를 걸어 고정하는 작동후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은 그 상단부측이 작은 직경부를 형성하고 하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삿갓형상의 원추몸통부(122)와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상단 모서리부에 구비되면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123)로 이루어지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몸통부(122)의 하부 외측면에는 상기 버켓(110)을 매달아 주도록 연결되는 상기 연결와이어(121)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편(124)이 형성 구비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고정수단(130)은 크레인의 붐대 선단부의 상기 메인후크(132)에 고정와이어(133)로 연결 고정되는 몸체부(134)와 상기 몸체부(134)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23)의 상부면을 밀착시켜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35) 및 상기 버켓고정수단(1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버켓지지수단(120)의 상단부를 걸어 고정하는 록킹수단(131)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34)의 내부에는 한 쌍의 상부롤러(134a)와 하부롤러(134b)가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상부롤러(134a) 사이와 한 쌍의 상기 하부롤러(134b) 사이에 상기 작동와이어(140)가 삽설 지지되면서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131)은 일단부측으로 유압에 의해 작동로드(136a)가 신축되도록 구비되면서 타단부측은 상기 몸체부(134)에 연결 설치되는 작동실린더(136)와, 일단부는 상기 작동로드(136a)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회동부(137a)로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회동부(137b)로 이루어지는 링크부(137), 및 상기 링크부(137)에 연결되면서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랜지부(123)을 걸어 고정하는 록킹부(138)로 구성되는 크레인 버켓 인양기.
KR1020160117543A 2016-09-12 2016-09-12 크레인 버켓 인양기 KR10186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43A KR101861688B1 (ko) 2016-09-12 2016-09-12 크레인 버켓 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43A KR101861688B1 (ko) 2016-09-12 2016-09-12 크레인 버켓 인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06A KR20180029506A (ko) 2018-03-21
KR101861688B1 true KR101861688B1 (ko) 2018-05-28

Family

ID=6190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43A KR101861688B1 (ko) 2016-09-12 2016-09-12 크레인 버켓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00B1 (ko) 2019-02-12 2019-08-13 (주)만어어태치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45B1 (ko) * 2018-10-04 2019-10-10 이경자 신축 가능한 붐대가 구비된 포크레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98B1 (ko) * 2005-11-11 2007-01-02 김휘숙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의 버켓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98B1 (ko) * 2005-11-11 2007-01-02 김휘숙 캐리 리프트형 버켓 크레인의 버켓 클램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00B1 (ko) 2019-02-12 2019-08-13 (주)만어어태치 굴삭기 장착용 윈치 버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06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7317A (en) Apparatus for temporarily covering a large land area
KR101861688B1 (ko) 크레인 버켓 인양기
JP4545774B2 (ja) 地下埋設体の切断方法と引上げ方法
JP2016164347A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工法における排土方法
JP3139525U (ja) 堤防・護岸の応急復旧用資材の投入器具
JP4526085B2 (ja) 地中杭の切断装置
US2594720A (en) Pier hole excavator
JP5508488B2 (ja) スケータークレーン
JP5430222B2 (ja) 拡底バケット用スタンド
KR200429090Y1 (ko) 유압식 크레인용 흙바가지
KR101229614B1 (ko) 토사 인양 장치
CN110980504A (zh) 用于特深竖井施工垂直输送系统的翻渣集土箱
JP2012077566A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排土システム
JP2016150840A (ja) 吊り具
US3143229A (en) Excavators
JP6692276B2 (ja) 支持構造、及び、底開き式バケットのホッパーへの載置方法
JP3072339U (ja) 土砂搬出バケット
TWI711744B (zh) 袋材及使用袋材的碎石投入方法
JP2012202043A (ja) 地盤の斜面を掘削する方法
JP2005336915A (ja) 立坑掘削装置
JP4868355B2 (ja) 揚土装置及びその格納方法
JP4264898B2 (ja) 掘削・揚土装置
JPS62268432A (ja) クレ−ン付き掘削機
JP2016056552A (ja) 円形立坑掘削装置の下降方法および上昇方法
JPS592191Y2 (ja) 地下連続壁構築用掘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