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73B1 - 항균탈취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탈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673B1
KR101966673B1 KR1020160155293A KR20160155293A KR101966673B1 KR 101966673 B1 KR101966673 B1 KR 101966673B1 KR 1020160155293 A KR1020160155293 A KR 1020160155293A KR 20160155293 A KR20160155293 A KR 20160155293A KR 101966673 B1 KR101966673 B1 KR 10196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antimicrobial
antibacterial
deodo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094A (ko
Inventor
임방현
Original Assignee
에이디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에이디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6015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6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화학물질을 배제하고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보다 빠르게 탈취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균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탈취 및 항균기능을 보유한 항균탈취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탈취조성물은, 에탄올 20~40중량%, 정제수 50~75중량%, 계면활성제 1~3중량%, 소취제 0.2~2중량%, 편백수 3~7중량%, 페녹시에탄올 0.1~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0.1~1중량%을 포함하는 항균탈취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빠르게 항균,탈취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자극이 없는 항균탈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탈취 조성물{Compositions for antibacterial and deodorization}
본 발명은 항균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합성화학물질을 배제하고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보다 빠르게 탈취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균탈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균 및 탈취 기능이 있는 방향제는 시중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들 방향제는 대부분 합성원료를 사용하여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피부에 자극을 주어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포름알데이드, 메탄올, 나프탈렌, 벤젠 등의 성분은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어 소비자들이 기피하는 물질들이다.
등록특허 제10-0606253호에 의하면, 나노실버 또는 콜로이드실버를 유효성분으로 한 살균/항균 및 소위 기능의 섬유탈취제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지만, 이러한 섬유탈취제용 조성물은 가격이 비싸고, 항균 및 탈취기능은 어느 정도 있을지 모르지만 피부에 자극을 줘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람은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합성원료를 배제하고 천연물질로만 이루어지면서 빠르게 항균 탈취효과를 나타내며, 좋은 향기를 배출함과 동시에 피부자극도 없는 항균 탈취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하고 동시에 합성탈취제보다 빠르게 탈취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탈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취 및 항균기능을 보유한 항균탈취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탈취조성물은, 에탄올 20~40중량%, 정제수 50~75중량%, 계면활성제 1~3중량%, 소취제 0.2~2중량%, 편백수 3~7중량%, 페녹시에탄올 0.1~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0.1~1중량%을 포함하는 항균탈취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소취제는 마치현추출물, 병풀추출물, 아니스열매추출물, 감추출물, 녹차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나한백가지추출물,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추출물, 자몽추출물,위버대나무줄기추출물, 대왕송잎추출물 중의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추출물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빠르게 항균,탈취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자극이 없는 항균탈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유해성분이 없음을 확인하는 검사성적서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암모니아 탈취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트리메틸아민 탈취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탈취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피부안전성 평가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결과서;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항균성능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대장균 항균시험 결과사진;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황색포도상구균 항균시험 결과사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항균 및 탈취작용을 하는 조성물은 에탄올 20~40중량%, 정제수 50~75중량%, 계면활성제 1~3중량%, 소취제(LACIDE) 0.2~2중량%, 편백수 3~7중량%, 페녹시에탄올 0.1~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0.1~1중량%, 믹스바이오틱스(Mixbiotics) 추출물 0.1~1중량%, EZ-Naturocie 0.1~1중량%, 향료 0.5~1.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탄올 및 정제수는 용제로 사용되며, 소취제는 마치현추출물, 병풀추출물, 아니스열매추출물, 감추출물, 녹차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나한백가지추출물, 목련나무껍질추출물, 화이트윌로우껍질추출물, 자몽추출물,위버대나무줄기추출물, 대왕송잎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감추출물인 타닉산(Tannic acid)이 사용되었다.
상기 에탄올은 식물성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효주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EU-HPS)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한 분자 내에 보유하고 있는 물질로서, 두 물질을 잘 섞이게 하거나 경계면에 흡착을 쉽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편백수는 항균 및 탈취 기능을 위해서 사용되며, 편백나무 잎과 증류수를 각각 1kg 및 10~20L 비율로 혼합하고 100℃에서 3~4시간 가열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열수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액은 여과포로 여과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농축하여 사용한다.
상기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은 방부제로서 사용된다. 페녹시에탄올은 약한 점성이 있는 유성액체로서 유해한 성분인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지 안으면서 부패를 막는 작용을 한다. 상기 페녹시에탄올은 합성할 수 있지만 천연상태에서도 존재하며 식품용으로 FDA승인을 받은 안전한 물질이다. 하지만, 민감한 사용자를 위하여 사용량은 1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부제로서, 천연방부제인 프로폴리스 0.1~1중량%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나무의 싹이나 수액과 같은 식물로부터 수집하는 수지질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프로폴리스는 살균성, 항산화성, 항염작용 등의 기능이 있다.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점도 조절제로서 사용된다. 프로필렌글리콜은 무색,무취의 시럽과 같은 점도를 가진 무독성의 액체로 보습력이 좋으며 용해력이 높다.
상기 믹스바이오틱스는 천연 항균 및 방부제로서 사용된다. 믹스바이오틱스는 프로판디올(prop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프릴릴그라이콜(caprylyl glycol), 아니스열매추출물(pimpinella anisum(anise) fruit extract), 마치현추출물(portualca oleracea extract), 병풀추출물(centela asiatica extract) 등이 혼합된 물질로서, 광범위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며 부작용없는 방부제로서도 활용된다.
천연방부제로서 EZ-Naturocie 0.1~1중량% 또는 Naturotics Plus 0.1~1중량%도 사용가능하다.

성분

중량%

발효주정

30

정제수

60.1

계면활성제(EU-HPS)

2

소취제(Tannic acid)

1

편백수

5

페녹시에탄올

0.1

프로필렌글리콜

0.5

믹스바이오틱스

0.1

향료

1

EZ-Naturocie

0.1

Naturotics Plus

0.1
이 같은 조성물로 공인기관에서 검사한 결과 도 1 및 도 2와 같이 유해성분이 불검출되었으며 제품에 이상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인기관에서 암모니아, 트리메탈아민 및 포름알데이드 탈취시험을 한 결과 모두 30분 경과 후 98% 이상의 탈취율을 나타내었다.
실험방법은, 시험가스의 초기농도를 50μmol/mol로 주입하고 시험가스의 농도를 초기(0분), 30분, 60분, 90분, 120분에서 측정하였다.
시험가스의 농도는 가스검지관에 의해 측정하고, 시험 중 온도는 (23.0±5.0)℃, 습도는 (50±15)% R.H.를 유지하였다.
이와 별도로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동일한 시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blank농도라 하였다.
그리고, 각 시간대별 시험가스의 제거율은 다음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시험가스의 제거율(%) =
[{(blank농도) - (sample농도)} / (blank농도)] X 100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항균탈취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제품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시험에서 24시간 후 세균감소율이 99.9%로 나타나 항균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탈취 및 항균기능을 보유한 항균탈취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탈취조성물은,
    에탄올 20~40중량%, 정제수 50~75중량%, 계면활성제 1~3중량%, 소취제 0.2~2중량%, 편백수 3~7중량%, 페녹시에탄올 0.1~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0.1~1중량%, 믹스바이오틱스 0.1~1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믹스바이오틱스는 프로판디올(prop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카프릴릴그라이콜(caprylyl glycol), 아니스열매추출물(pimpinella anisum(anise) fruit extract), 마치현추출물(portualca oleracea extract) 및 병풀추출물(centela asiatica extract)이 혼합되며,
    상기 소취제는 타닉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탈취조성물.
  2. 삭제
KR1020160155293A 2016-11-21 2016-11-21 항균탈취 조성물 KR10196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93A KR101966673B1 (ko) 2016-11-21 2016-11-21 항균탈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93A KR101966673B1 (ko) 2016-11-21 2016-11-21 항균탈취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94A KR20180057094A (ko) 2018-05-30
KR101966673B1 true KR101966673B1 (ko) 2019-04-08

Family

ID=6230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293A KR101966673B1 (ko) 2016-11-21 2016-11-21 항균탈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623B1 (ko) * 2018-06-18 2020-07-23 스킨큐어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부제
KR101960295B1 (ko) * 2018-11-27 2019-03-20 황민지 탈취 또는 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
KR102000743B1 (ko) * 2019-04-04 2019-07-16 주식회사 에코씨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5753B1 (ko) * 2019-06-19 2020-03-02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KR102267620B1 (ko) * 2019-06-19 2021-06-2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위생재용 소취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808B2 (ja) 2000-01-24 2003-10-20 松下電工株式会社 消臭剤
JP2014069064A (ja) 2012-10-01 2014-04-21 Dentoro Chem:Kk 天然系由来の成分からなる消臭効果、消臭持続性、安全性に優れた消臭製品
KR101407051B1 (ko) 2013-01-14 2014-06-1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978A (ja) * 1995-03-08 1996-09-24 M T I:Kk 液状組成物
JPH11292710A (ja) * 1998-04-03 1999-10-26 T Pooru Kk 殺菌剤組成物
KR20040005535A (ko) * 2002-07-10 2004-01-16 (주)바이오자임 인터내셔날 소취기능이 있는 기능성 영양보충용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34271A (ko) * 2003-10-09 2005-04-14 (주)파이온텍 천연 추출물, 나노실버 및 천연 에센셜오일을 함유한항균제 조성물
KR20080089893A (ko) * 2007-04-03 2008-10-08 주식회사 해처럼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
EP2421521A1 (en) * 2009-04-24 2012-02-29 Janssen Pharmaceuticals, Inc. Stable topical compositions for 1,2,4-thiadiazole derivatives
KR101779007B1 (ko) * 2015-08-18 2017-09-20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808B2 (ja) 2000-01-24 2003-10-20 松下電工株式会社 消臭剤
JP2014069064A (ja) 2012-10-01 2014-04-21 Dentoro Chem:Kk 天然系由来の成分からなる消臭効果、消臭持続性、安全性に優れた消臭製品
KR101407051B1 (ko) 2013-01-14 2014-06-1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094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673B1 (ko) 항균탈취 조성물
AU2010275458B2 (en) Natural preservative blend
CN105411923B (zh) 含有葡萄柚籽提取物的天然广谱防腐组合物及其应用
Reyes et al. Gelatin-based films activated with red propolis ethanolic extract and essential oils
Gonçalves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Anacardium occidentale extract and cosmetic formulation development
EP2047749A2 (en) Compositions of natural origin for treating physiopathies and diseases caused by postharvest fruit and vegetable pathogens and their method of application
JP4201898B2 (ja) 抗菌製剤
JP2006523684A (ja) 活性化かんきつ類果皮エキス含有組成物
KR20130028667A (ko) 쓴맛 화합물, 향료, 스테비아의 추출물 및 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6005829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Sany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lid soap enriched with crude eucheuma cottoni extract
KR102259004B1 (ko)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JP2022033148A (ja) 剤および消臭方法
KR20130005533A (ko) 모기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모기약 조성물
EP3139738B1 (en) Product for activating defence mechanisms in plants
CN109172489A (zh) 一种防治蚊虫叮咬的婴幼儿用湿纸巾及其制备方法
US20140134124A1 (en) Sanitary compound for use on skin
Elsayed et al. Micro-encapsulation of Eugenia supra-auxillaris phenolics Rich Fraction for Its Possible Use as a Natural Food Preservative
JP6709030B2 (ja) 抗ノロウイルス剤
JP7175467B2 (ja) ノロウイルスおよびその代替ウイルスに対する抗ウイルス剤および抗ウイルス組成物
JP2019077658A (ja) 腋臭用デオドラント組成物
KR102560979B1 (ko) 카피르라임 및 님트리를 혼합 추출한 ky항균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보존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품보존제.
JP6923619B2 (ja) 消臭剤
O Bakr et al. Antioxidant and anti-listerial activities of selected Egyptian medicinal plants
KR20160025750A (ko) 풀빅산을 이용한 항균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