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743B1 -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743B1
KR102000743B1 KR1020190039555A KR20190039555A KR102000743B1 KR 102000743 B1 KR102000743 B1 KR 102000743B1 KR 1020190039555 A KR1020190039555 A KR 1020190039555A KR 20190039555 A KR20190039555 A KR 20190039555A KR 102000743 B1 KR102000743 B1 KR 10200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rfactant
deodoriz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씨
Priority to KR102019003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specially adapted to be released by contact with a liquid, e.g. for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56Lavatory cleansing b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48Dihydric alcohols bran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79Mono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탈취 블록은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나트륨(sodium stearate),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또,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은 (a) 제1 교반기에 23 내지 38 중량부의 정제수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제1 교반기와 상이한 제2 교반기에 5 내지 10 중량부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8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상기 제2 교반기에 2 내지 5 중량부의 분말상 구연산 나트륨을 첨가 및 교반하여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교반기에 상기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제1 교반기에 18 내지 24 중량부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는 단계; (f) 상기 제1 교반기에 8 내지 14 중량부의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단계; (g) 후에, 상기 제1 교반기에 3 내지 5 중량부의 제1 계면활성제, 및 3 내지 5 중량부의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상이한 제2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 (h) 상기 제1 교반기 내의 혼합 용액 온도를 80 내지 90℃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제1 교반기에 10 내지 13 중량부의 분말상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i) 상기 스테아린산 나트륨이 첨가된 혼합 용액을 몰드에 충진하는 단계; 및 (j) 상기 몰드에 충진된 혼합 용액을 24시간 동안 에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ECO-FRIENDLY DISINFECTION AND DEODORIZATION BLOCK, DEODORIZATION APPARTU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모니아 가스, 트리메틸아민 가스, 황화수소 가스, 메틸케르캅탄 가스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탈취력을 가지되,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t-부타놀을 불포함하는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화장실 바닥, 변기 및 배수관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저농도에 그치므로 생리적으로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한순간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 혐오감을 주며, 눈이나 호흡기 점막을 자극하여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우리들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산업현장과 다중이 모여 살아가는 생활 환경에서 발생하는 악취들은 각종 화학물질(환경부 분류 약 260여종)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특정한 몇 종류의 화학물질에 의한 악취보다는 수많은 종류의 악취들이 서로 섞여있는 복합 악취의 형태로 나타난다.
악취는 악취 물질의 농도보다는 사람들이 실제로 악취를 느끼는 악취 강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수많은 악취 물질 중에서도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트리메틸아민((CH3)3N)이 전체 악취 강도의 9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일상생활에서 산성계열의 악취인 메틸메르캅탄(최소 감지값 0.0001ppm; 암모니아의 1,500배)과 황화수소(최소 감지값 0.0005ppm; 암모니아의 300배)는 악취 강도가 매우 높으면서도 비점이 낮아서 연중계절에 관계없이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문제시되고 있다.
또한 화장실 악취의 주된 원인물질로는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트리메틸아민((CH3)3N) 등이 있으며, 이는 앞에서 살펴본 악취 강도가 높은 물질에 해당하여 작은 농도로도 불쾌감을 야기한다.
화장실 변기에는 지하철 손잡이의 11배에 해당하는 양의 병균이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국화장실협회와 서울대 미생물연구소에서 서울시내의 공중화장실의 서양식 변기시트(좌대)에 상존하는 병원균의 서식정도와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화장실 변기 1개에는 평균 71마리의 세균이 검출됐다.
더욱이 소변기는 세균의 온상이며, 매 20분마다 세균수가 2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소변기를 세척, 살균, 소독하여야 소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향료나 향기를 이용하여 후각적으로 보완하는 의화적 탈취법(마스킹법), 산화·환원·중화·부가반응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화학적 탈취법, 활성탄이나 실리카겔 등의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물리적 흡착법, 및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하여 단절하는 생물학적 탈취법 등이 있다.
의화적 탈취법은 악취가 그다지 심하지 않거나 악취발생 장소가 많이 넓지 않고 폐쇄된 공간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심한 악취가 나는 장소나 외부에 노출된 개방된 장소 또는 넓은 공간의 장소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생물학적 탈취법의 경우 미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호응을 얻고 있으나 악취제거에 미생물을 사용할 경우 유용한 미생물의 증식을 위하여 영양분(주로 당밀)을 계속적으로 미생물에게 공급하여서 미생물을 증식시켜하는데, 상기 유용한 미생물을 증식시키는 과정에서 공급되는 당밀이 악취 발생 미생물에게도 함께 영양분으로 사용될 수 있어 악취제거 효과가 상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산화·환원·중화·부가반응을 이용하여 악취분자를 아무런 냄새가 없는 물질로 분해하는 화학적 탈취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화학약품으로 합성된 살균 탈취제는 밀폐된 공간에 비치되어 사용될 때 방출되는 화학 성분에 의하여 호흡기 질환, 가려움증, 발진 등 인체에 유해한 부작용을 일으킨 바 있으며, 피부에 직접 접촉될 경우에 피부 트러블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살균, 탈취 기능을 가진 친환경 탈취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 화장실 소변기의 악취와 세균 번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소변기에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거나, 주기적으로 각종 세정제나 살균제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또한, 변기나 배수관의 교체 공사를 통하여 악취와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청소 방법은 화장실 위생을 위한 일시적인 방법에 지나지 않으며, 근본적인 소변의 악취, 세균 및 오염물의 원인 제거에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세정제나 살균제는 1회의 사용으로 소모되어 이들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부담되고, 변기나 배수관의 교체는 일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어 설비 교체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1회 설치로 반영구적으로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탈취 설비 배치 방법이 상기 일시적인 청소 방법에 비해 비용 및 시간 면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인증기준설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개정된 환경표지 인증기준에 따르면, 탈취제가 친환경 인증을 받기 위하여는 암모니아 가스, 황화수소 가스, 트리메틸아민 가스, 메틸메르캅탄 가스에 대해 상당한 정도로 탈취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t-부타놀 등의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을 이용한 탈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블록은,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나트륨(sodium stearate),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고형체이다.
상기 탈취 블록은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구연산 나트륨을 8 내지 2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글리세린을 33 내지 78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42 내지 7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계면활성제를 13 내지 28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계면활성제를 13 내지 28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체 탈취 블록은, 상기 고형체 내에 분산된 결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블록은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을 불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구는 상술한 탈취 블록, 상기 탈취 블록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은 하기 단계 (a) 내지 단계 (j)를 포함한다.
(a) 제1 교반기에 23 내지 38 중량부의 정제수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제1 교반기와 상이한 제2 교반기에 5 내지 10 중량부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8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상기 제2 교반기에 2 내지 5 중량부의 분말상 구연산 나트륨을 첨가 및 교반하여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교반기에 상기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제1 교반기에 18 내지 24 중량부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는 단계;
(f) 상기 제1 교반기에 8 내지 14 중량부의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단계;
(g) 상기 제1 교반기에 3 내지 5 중량부의 제1 계면활성제, 및 3 내지 5 중량부의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상이한 제2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
(h) 상기 제1 교반기 내의 혼합 용액 온도를 80 내지 90℃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제1 교반기에 10 내지 13 중량부의 분말상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i) 상기 스테아린산 나트륨이 첨가된 혼합 용액을 몰드에 충진하는 단계; 및
(j) 상기 몰드에 충진된 혼합 용액을 24시간 동안 에이징하는 단계
상기 단계 (e)는 상기 단계 (d)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 상기 단계 (f)는 상기 단계 (e)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g)는 상기 단계 (f)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계면활성제 함량은 상기 제2 계면활성제 함량 보다 클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정 수준 이상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지며,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일정 수준 이상의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지며,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살균 및 탈취 기구 및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취 기구의 탈취 블록의 단면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제조예에 따른 탈취 조성물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탈취 블록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2에 따른 탈취 조성물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비교예 3에 따른 탈취 블록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4에 따른 탈취 블록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탈취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취 기구의 탈취 블록의 단면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탈취 기구(1)는 탈취 블록(100)을 수납하는 하우징(200) 및 하우징(200) 상측에 배치되며 하우징(200)과 결합하는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탈취 블록(100)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오목한 구조를 가지며, 커버(300)는 탈취 블록(100)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며 하우징(2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우징(200) 상측에 배치된다. 즉, 탈취 블록(100)은 하우징(200)이 제공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하우징(200) 및 커버(300)에 의해 개략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탈취 블록(100)은 구연산 나트륨,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2가지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탈취 블록(100)은 색소, 향료 및 응고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취 블록(100)은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연산 나트륨 8 내지 28 중량부, 글리세린 33 내지 78 중량부, 제1 계면활성제 13 내지 28 중량부 및 제2 계면활성제 13 내지 2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탈취 블록(100)은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 0.04 내지 2 중량부, 향료 4 내지 11 중량부 및 응고제 42 내지 72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취 블록(100)은 대체로 표면이 매끄럽고, 전체적으로 반투명하여 내부 형상이 비춰보이는 고형체일 수 있다. 또한, 탈취 블록(100)은 고형 블록으로 비누와 유사한 제형을 가지므로, 강한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바스라질 수 있으며 뾰족한 물체로 표면을 긁는 경우 탈취 블록(100) 표면에 스크래치가 남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탈취 블록(100)은 부분적으로 상이한 밀도를 형성하는 파티클(partic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티클(particle)은 백색의 결정상 내지는 결정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티클은 탈취 블록(100)의 외부 표면뿐만이 아니라 내부에도 분포할 수 있으며, 각 파티클(particle)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결정상은 고형체 내에 대략 균일하게 분산 내지는 분포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형상의 탈취 블록은 고형체 내부에 분포된 결정체를 포함하여, 결정체를 불포함하는 탈취 블록에 비해 탈취 및 살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탈취 블록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필렌 글리콜은 무색의 맑고 투명한 액체로 냄새가 없으며, 살균소독, 향균, 세척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프로필렌 글리콜은 미국 식품의약품(FDA)이 승인한 청정원료로서 독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에 해당하며, 탈취 블록(100) 조성물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한다. 또한, 프로필렌 글리콜은 금속염을 분산시키는 역할과 동시에 탈취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안정화 역할을 수행한다.
구연산 나트륨은 자연에 존재하는 동식물의 대사 물질로서 감귤류에서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유기산이다. 상쾌한 신 맛을 내는 산미제, pH 조절제, 산화 방지제, 세제, 수렴제 등으로 식품, 의약산업에 널리 사용되며, 구연산 나트륨 역시 프로필렌 글리콜과 더불어 독성의 거의 없는 안정한 물질에 해당한다.
또, 구연산 나트륨은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물에 잘 용해되며, 정균 작용(세균의 수를 줄이는 작용) 및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등 우수한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다. 나아가, 구연산 나트륨은 다른 첨가 성분들과의 상승효과로 살균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구연산 나트륨은 부식방지제 역할을 하므로, 탈취 블록(100)이 소변기 등의 시설 구조물과 접촉하더라도 이들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연산 나트륨은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28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연산 나트륨 함량이 8 중량부 미만인 경우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다. 구연산 나트륨 함량이 2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어는점 강하를 방해하여 고체 형태의 탈취 블록 제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글리세린은 글리세롤이라 불리며, 무색, 무취의 액체로 점성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으며, 보존이나 건조 방지제, 안정제, 윤활제 등으로 널리 이용된다. 글리세린은 거품의 지속력을 높여 세정력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점도를 조절한다.
아울러, 글리세린은 미국 식품의약품(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 미국국립독성계획단(NTP) 및 국제 발암성연구소(IARC)에서 발암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안전한 물질에 해당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글리세린은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3 내지 78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 함량이 3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탈취 블록의 안정성 및 보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점도가 낮아 제형의 장기 안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글리세린 함량이 7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며, 혼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서, 세제 등에 널리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는 비해리형의 친수기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세정력을 가지며,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해 저자극성을 가질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제1 계면활성제 및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상이한 비이온성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이고, 제2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일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은 안정성이 높은 계면활성제로 유화력이 우수하다.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는 우수한 유화력, 세정력, 침투력 및 가용화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블록은 서로 상이한 계면활성제들(즉,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을 병용 사용하여 유화력과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를 포함하는 탈취 블록은 응고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고형상의 투명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는 각각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내지 28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 각각의 함량이 13 중량부 미만인 경우 오염물 사이의 계면으로 신속하게 탈취제를 침투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어 멸균·살균 효과가 감소하며, 28 중량부 초과인 경우 필요 이상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되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습윤 침투력이 강하여 계면활성제 성분이 소변기에 잔류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제2 계면활성제의 함량 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의 함유량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함유량과 더 작을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의 함량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의 함량 보다 더 큰 경우, 고형상의 탈취 블록이 더 오랜 기간 보존될 수 있음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블록이 화장실의 소변기 등에 사용될 경우, 사용 기간은 짧게는 2달, 길게는 6개월 가량 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장기간 동안 탈취 블록이 사용되는 점을 고려할 때, 탈취 블록의 보존 기간, 사용되는 중에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 사용 중에 액상의 소변 등과 자주 접촉할 때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은 탈취 블록의 매우 중요한 특성이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의 함량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의 함량 보다 더 큰 경우, 고형상의 탈취 블록이 더 오랜 기간 보존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서로 다른 종류의 2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최종 생산물의 투명도가 높아지고, 적정선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어 생산 과정에서 조성물이 불규칙적으로 뭉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색소 및 향료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청색 색소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색소로는 염료, 레이크, 유기 합성 색소(타르 색소), 예컨대 유기 안료, 천연 색소, 무기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한 예를 들어, 히비스커스 색소, 허클베리 색소, 자두 색소, 파래 색소, 듀베리 색소, 포도 과즙 색소, 블랙베리 색소, 블루베리 색소, 뽕나무 색소, 모렐로 체리 색소, 레드 커런트 색소, 로건베리 색소, 파프리카 분말, 맥아 추출물, 루틴, 플라보노이드, 붉은 양배추 색소, 적무 색소, 팥 색소, 강황 색소, 올리브 차, 카우베리 색소, 클로렐라 색소, 사프란 색소, 들깨 색소, 딸기 색소, 치커리 색소, 피칸너트 색소, 적미 맥아 색소, 잇꽃 색소, 자색 고구마 색소, 락 색소, 스피룰리나 색소, 양파 색소, 타마린드 색소, 고추 색소, 치자 색소, 치자 나무 색소, 시콘(sikon) 색소, 자단 색소, 크릴새우 색소, 오렌지 색소, 당근 카로틴, 카르멜, 나트륨 철 클로로필린, 리보플라빈, 노르빅신 칼륨, 노르빅신 나트륨, 앨러먼스, 에리트로신, 뉴 콕신, 플록신 B, 로즈 벵골, 애시드 레드, 쿠토라딘, 선셋 옐로우, 퍼스트 그린, 브릴리언트 블루, 인디고카르민, 레이크 레드 C, 리톨레드, 로다민, 플록신, 인디고, 폰소, 오렌지 I, 수단 블루 등이 공지되어 있다. 무기 안료로는 운모, 활석, 탄산칼슘, 고령토, 무수 규산, 알루미늄 옥사이드, 철단, 철 옥사이드, 군청, 카본 블랙, 이산화티타늄, 아연 디옥사이드, 운모,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 붕소 니트리드, 광색성 안료, 미립자 복합 분체(hybrid finepowder), 합성 운모 등이 있다.
향료의 예로는 천연 정유, 예컨대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라임 오일, 베르가못 오일, 라반딘 오일, 라벤더 오일, 제라늄 오일 및 장미 오일, 백단유, 탄화수소, 예컨대 α-피넨, β-피넨, 리모넨 및 p-시멘, 및 지방족 알코올, 예컨대 옥타놀 및 p-tert-부틸시클로헥산올, 테르펜 알코올, 예컨대 멘톨, 시트로넬롤 및 게라니올, 방향족 알코올, 예컨대 벤질 알코올 및 페닐에틸 알코올, 지방족 알데히드, 테르펜 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아세탈, 쇄식 케톤(chain ketone), 환식 케톤, 예컨대 다마스콘, β-이오논 및 메틸 이오논, 테르펜 케톤, 예컨대 카르본, 멘톤, 이소멘톤 및 캠퍼, 방향족 케톤, 예컨대 아세토페논 및 라즈베리 케톤, 에테르, 예컨대 디벤질 에테르, 옥시드, 예컨대 리날로올 옥시드 및 로즈 옥시드, 무스크, 예컨대 시클로타펜데카놀리드 및 시클로헥사 데카놀리드, 락톤, 예컨대 γ-노나락톤, γ-운데카락톤 및 쿠마린, 지방족 에스테르, 예컨대 에스테르 아세테이트 및 에스테르 프로피오네이트, 방향족 에스테르, 예컨대 에스테르 벤조에이트 및 에스테르 페닐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소 및 향료의 양은 고형상 탈취 블록의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색소의 경우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 대비 0.04 내지 2 중량부, 향료의 경우 4 내지 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고제로는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응고제를 사용함은 제조된 탈취제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응고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42 내지 7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고제 함량이 42 중량부 미만인 경우 혼합물들이 효과적으로 응고되지 않으며, 7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물의 교반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은 정제수를 제1 교반기에 담는 단계(S100), 제2 교반기에 정제수를 넣고 가열한 후 구연산 나트륨을 넣어 용해시키는 단계(S200), 제1 교반기에 제2 교반기의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투입하는 단계(S300), 정제수와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혼합한 제1 교반기에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는 단계(S400), 상기 제1 교반기에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단계(S500), 상기 제1 교반기에 계면활성제들을 첨가하는 단계(S600), 및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향료 및 색소를 첨가하는 단계(S800), 몰드에 충진한 후 에이징하여 굳히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제수를 제1 교반기에 담는 단계(S100)는 제1 교반기에 정제수를 넣고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제수의 함량은 23 내지 38 중량부일 수 있다.
제2 교반기에 정제수를 넣고 가열한 후 구연산 나트륨을 넣어 용해시키는 단계(S200)는 정제수를 제1 교반기에 담는 단계(S100)와 별도로 진행된다. 제2 교반기에 정제수를 넣고 가열한 후 구연산 나트륨을 넣어 용해시키는 단계(S200)는 구체적으로 제2 교반기에 정제수 5 내지 10 중량부를 넣고 약 8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고, 분말 상태의 구연산 나트륨 2 내지 5 중량부를 상기 정제수에 첨가 및 교반하여 완전히 녹이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2 교반기에는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 내지는 구연산 나트륨 용액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제2 교반기의 온도가 80℃ 미만일 경우, 구연산 나트륨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최종 결과물인 탈취 블록 조성물이 현탁해지고 탈취 블록의 투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교반기에 제2 교반기의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투입하는 단계(S300)는 제2 교반기의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제1 교반기에 있는 정제수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분말 상태의 구연산 나트륨을 제1 교반기의 정제수에 바로 투입하지 않고, 제2 교반기에서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으로 별도 제조(즉, S200)하여 제1 교반기에 투입 및 교반함으로써 최종 조성물의 현탁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제1 교반기에 구연산 나트륨 분말을 바로 투입하지 않고, 완전히 용해된 상태의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투입함으로써 최종 조성물의 현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탈취 블록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구연산 나트륨을 다른 물질에 비하여 정제수에 제일 먼저 첨가함으로써, 최종 조성물이 현탁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연산 나트륨을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보다 먼저 투입한 경우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투입한 이후 구연산 나트륨을 투입한 경우를 비교 실험한 결과,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이후에 구연산 나트륨을 투입하였을 때 최종 조성물이 현저히 현탁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구연산 나트륨과 정제수가 교반된 제1 교반기에 프로필렌 글리콜을 투입한다(S400). 구체적으로 프로필렌 글리콜은 18 내지 24 중량부로 제1 교반기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글리콜 함량이 18 중량부보다 낮은 경우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며, 24 중량부보다 높은 경우 지나친 점도 상승으로 세정력을 저하시킨다.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는 단계(S400)는 후술할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단계(S500) 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글리콜과 글리세린은 모두 점도가 상당이 높으므로, 상대적인 함량이 큰 프로필렌 글리콜을 먼저 넣어야 조성물의 혼합이 용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탈취 블록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정제수,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 프로필렌 글리콜이 교반된 제1 교반기에 글리세린을 넣는다(S500). 구체적으로, 글리세린은 8 내지 14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글리세린의 함량이 8 중량부 이하인 경우 탈취 블록의 안정성 및 보존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점도가 낮아 제형의 장기 안정도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글리세린 함량이 1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며, 혼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정제수,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충분히 교반된 이후 계면활성제를 투입한다(S600).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계면활성제와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이며, 제2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일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계면활성제와 제2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제1 계면활성제와 제2 계면활성제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한 경우와 2 종류 모두 사용한 경우를 비교 실험한 결과,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 최종 생산물의 투명도가 증가하였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고형화가 진행되어 안정화된 제형 확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1 계면활성제와 제2 계면활성제 각각 3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계면활성제와 제2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각각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탈취제의 침투 기능이 저하되어 멸균 및 살균 효과가 감소한다. 또, 제1 계면활성제와 제2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각각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필요 이상의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되어 경제적으로 비효율 적이며 계면활성제 성분이 소변기에 잔류하게 된다.
제1 계면활성제와 제2 계면활성제는 동시에 투입될수도 있고 차례로 투입할 수도 있으나,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보다 나중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보다 먼저 투입한 경우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이후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투입한 경우를 비교 실험한 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보다 먼저 투입된 경우 교반 과정에서 거품이 지나치게 많이 발생하며, 최종 제품이 완전히 응고가 되지 않아 불안정한 제형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이후 파우더 형태의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첨가한다(S700). 구체적으로, 제1 교반기 내의 혼합 용액의 용도를 80 내지 90℃로 설정한 이후에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10 내지 13 중량부 투입하여 300rpm에서 약 90분 동안 교반을 진행한다.
80℃ 미만에서는 스테아린산 나트륨이 녹지 않으며, 90℃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조성물이 매우 불투명해지므로, 스테아린산 나트륨 투입 전 제1 교반기 내의 혼합 용액 온도를 80℃ 내지 90℃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제1 교반기는 정제수를 투입하는 단계(S100) 이후 서서히 가열되어 최종적으로 본 단계(S700)에서 80℃ 내지 9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단계(S700)에서 교반을 충분히 진행하지 않을 경우 최종 고형 블록을 형성할 경우에 완전히 응고가 이루어지지 않고 꾸덕꾸덕 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약 90분 이상 충분히 교반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색소 및 향료를 제1 교반기 내에 투입한다(S800). 색소 및 향료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색소와 향료의 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색소는 0.01 내지 0.3 중량부, 향료는 1.0 내지 2.0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1 교반기 내의 내용물을 몰드에 충진하고, 24시간 이상 에이징하여 굳힌다(S900). 에이징을 통해 제조 과정에서 투입된 정제수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며, 고체 형태의 탈취 블록(100)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부분적으로 상이한 밀도를 형성하여 대략 균일하게 분포된 결정상을 갖는 탈취 블록(100)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이징은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최종 완성된 탈취 블록(100)은 안정성이 입증되며 독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만 이루어지며,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 등의 물질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친환경 인증 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예: 탈취 조성물 및 탈취 블록의 제조>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을 통해 탈취 블록을 제조하였다. 응고제(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첨가한 후, 몰드에 충진하는 탈취 조성물의 최종 조성은 정제수 약 41 중량%, 구연산 나트륨 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21 중량%, 글리세린 12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4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3 중량%, 스테아린산 나트륨 12 중량%, 청색 색소 0.1 중량% 및 향료 1.5 중량%였다.
상기 탈취 조성물의 이미지를 도 4에 나타내고, 몰드에 충진한 후 고형화된 탈취 블록을 도 2에 나타내었다.
탈취 조성물 및 탈취 블록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투명도를 가지며, 특히 고화된 후의 탈취 블록은 충분한 경도를 가지고 상온에서 150일 이상 보관되는 경우에도 물러지거나 바스러지거나, 또는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제조예에 따른 탈취 블록은 암모니아가스, 트리메틸아민가스, 황화수소가스 및 메틸메르캅탄 가스 모두에 대해 우수한 탈취력을 가지며, 친환경 인증 요건을 만족할 수 있다.
<비교예 1>
구연산 나트륨을 별도 용해하지 않고, 제1 교반기에 바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 조성물을 제조하고, 탈취 블록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탈취 블록의 이미지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 1에 따른 탈취 블록은 좌하단의 탈취 블록 및 우하단의 탈취 블록과 같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제대로 응고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탈취 블록의 투명도가 낮고, 표면에서 가루가 석출되어 제품성이 열등하였다.
<비교예 2>
구연산 나트륨 용액을, 프로필렌 글리콜과 글리세린 사이의 단계에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 조성물을 제조하고, 몰드에 충진하였다. 그리고 몰드에 충진된 상태의 탈취 조성물의 이미지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 2에 따른 탈취 조성물은 거품이 다량 발생하고, 투명도가 확연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에 따른 탈취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으로 응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를, 프로필렌 글리콜과 글리세린 사이의 단계에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 조성물을 제조하고, 탈취 블록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탈취 블록의 이미지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 3에 따른 탈취 블록은 불투명할 뿐만 아니라, 응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8을 참조하면, 비교예 3에 따른 탈취 블록(좌)과 제조예에 따른 탈취 블록(우)는 확연한 차이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를 4 중량% 사용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과 동일 함량으로 첨가하고, 제1 교반기 내의 혼합물이 100도로 설정한 후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 블록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탈취 블록의 이미지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 4에 따른 탈취 조성물은 불투명한 액상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응고 과정에서 불투명도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불투명한 상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교예 4에 따른 탈취 블록은 상온에서의 안정성이 불량하여, 90일 이내에 물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탈취 블록
200: 하우징
300: 커버

Claims (7)

  1. 프로필렌 글리콜 100 중량부,
    구연산 나트륨 8 내지 28 중량부,
    글리세린 33 내지 78 중량부,
    스테아린산 나트륨 42 내지 72 중량부,
    제1 계면활성제 13 내지 28 중량부, 및
    제2 계면활성제 13 내지 28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형체 탈취 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 탈취 블록은, 상기 고형체 내에 분산된 결정상을 포함하는, 탈취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1,4-디클로로벤젠, 스티렌, 메타놀, 이소프로파놀, 및 t-부타놀을 불포함하는 탈취 블록.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취 블록;
    상기 탈취 블록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6. (a) 제1 교반기에 23 내지 38 중량부의 정제수를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제1 교반기와 상이한 제2 교반기에 5 내지 10 중량부의 정제수를 투입하고 8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상기 제2 교반기에 2 내지 5 중량부의 분말상 구연산 나트륨을 첨가 및 교반하여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1 교반기에 상기 구연산 나트륨 용해액을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제1 교반기에 18 내지 24 중량부의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하는 단계;
    (f) 상기 제1 교반기에 8 내지 14 중량부의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단계;
    (g) 상기 제1 교반기에 3 내지 5 중량부의 제1 계면활성제, 및 3 내지 5 중량부의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상이한 제2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
    (h) 상기 제1 교반기 내의 혼합 용액 온도를 80 내지 90℃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와 상기 제2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제1 교반기에 10 내지 13 중량부의 분말상 스테아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단계;
    (i) 상기 스테아린산 나트륨이 첨가된 혼합 용액을 몰드에 충진하는 단계; 및
    (j) 상기 몰드에 충진된 혼합 용액을 24시간 동안 에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단계 (d) 후에 수행되고,
    상기 단계 (f)는 상기 단계 (e) 후에 수행되고,
    상기 단계 (g)는 상기 단계 (f) 후에 수행되고,
    상기 제1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이고,
    상기 제2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이며,
    상기 제1 계면활성제 함량은 상기 제2 계면활성제 함량 보다 큰, 탈취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0190039555A 2019-04-04 2019-04-04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55A KR102000743B1 (ko) 2019-04-04 2019-04-04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555A KR102000743B1 (ko) 2019-04-04 2019-04-04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743B1 true KR102000743B1 (ko) 2019-07-16

Family

ID=6747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555A KR102000743B1 (ko) 2019-04-04 2019-04-04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484A (ko) * 2020-04-23 2021-11-03 김석근 친환경 세정식 소변기용 탈취제 조성물 및 탈취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280A (ko) * 1981-10-09 1984-04-30 니시모리 마사아끼 탈취제 조성물
US6479058B1 (en) * 1999-09-02 2002-11-12 Mccadden Michael E. Composition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poison ivy and other forms of contact dermatitis
WO2006137821A1 (en) * 2005-03-31 2006-12-28 Bioneutral Laboratories Corporation Usa Deodorizing compositions for biowast
KR20100091962A (ko) * 2007-10-09 2010-08-19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탈취 조성물
KR20100111774A (ko) * 2009-04-08 2010-10-18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KR20120137058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제 조성물
KR20140030776A (ko) * 2012-09-03 2014-03-12 김종군 수성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3316A (ko) * 2014-05-19 2015-11-30 한국화학연구원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20180057094A (ko) * 2016-11-21 2018-05-30 에이디인터내셔날(주) 항균탈취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280A (ko) * 1981-10-09 1984-04-30 니시모리 마사아끼 탈취제 조성물
US6479058B1 (en) * 1999-09-02 2002-11-12 Mccadden Michael E. Composition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poison ivy and other forms of contact dermatitis
WO2006137821A1 (en) * 2005-03-31 2006-12-28 Bioneutral Laboratories Corporation Usa Deodorizing compositions for biowast
KR20100091962A (ko) * 2007-10-09 2010-08-19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탈취 조성물
KR20100111774A (ko) * 2009-04-08 2010-10-18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무독성 소취제 조성물
KR20120137058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방향제 조성물
KR20140030776A (ko) * 2012-09-03 2014-03-12 김종군 수성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3316A (ko) * 2014-05-19 2015-11-30 한국화학연구원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20180057094A (ko) * 2016-11-21 2018-05-30 에이디인터내셔날(주) 항균탈취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484A (ko) * 2020-04-23 2021-11-03 김석근 친환경 세정식 소변기용 탈취제 조성물 및 탈취제
KR102400575B1 (ko) * 2020-04-23 2022-05-20 김석근 친환경 세정식 소변기용 탈취제 조성물 및 탈취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6296B (zh) 一种婴儿抗菌生物洗涤剂及其制备方法
JPH0211501A (ja) 抗菌剤組成物
CN112293414A (zh) 杀菌除异味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3671629A (en) Sterilizing composition comprising potassium monopersulphate and sodium chloride coated with an edible oil and magnesium stearate
KR102000743B1 (ko) 친환경 살균 및 탈취 블록, 이를 포함하는 탈취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CN102408951B (zh) 一种冰箱消毒除臭清洁剂及制备工艺
KR20140047582A (ko)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및 암모니아 냄새와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CN106955639A (zh) 一种复配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
KR101067786B1 (ko) 소금과 유효미생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고형 소변기 세정제 조성물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Paulsen The health risks of chemicals in personal care products and their fate in the environment
KR102199015B1 (ko) 탈취성 및 살균성이 우수한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4721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활성이 뛰어난 화장실 및 욕실 세정용 조성물
CN102226135A (zh) 杀菌去污除臭洗鞋液及其制备方法
KR101420225B1 (ko) 세탁 또는 세정 보조용 발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25385A (zh) 一种利用柑橘皮渣制备的便池除臭皂丸
CN111109285A (zh) 一种选择性强氧化室内喷雾用二氧化氯速溶物
KR101639660B1 (ko) 미네럴과 유황을 이용한 소독 및 탈취제
WO2014113706A1 (en)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ducing toilet odor using polypropylene glycol as a reactive gas barrier
KR102231997B1 (ko) 친환경 항균탈취제
KR101803976B1 (ko) 나노에멀젼 형태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JPS6324963B2 (ko)
JPH06256792A (ja) 抗菌性薬用洗浄剤
JP2018023701A (ja) 介護作業改善剤。
JP4202096B2 (ja) 水に徐溶性の固形組成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トイレ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