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997B1 - 친환경 항균탈취제 - Google Patents

친환경 항균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997B1
KR102231997B1 KR1020200034529A KR20200034529A KR102231997B1 KR 102231997 B1 KR102231997 B1 KR 102231997B1 KR 1020200034529 A KR1020200034529 A KR 1020200034529A KR 20200034529 A KR20200034529 A KR 20200034529A KR 102231997 B1 KR102231997 B1 KR 10223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co
antibacterial deodorant
friendly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혁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켐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켐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켐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3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랜 저장 또는 산화 부패에 의해서 생성된 냄새, 화학적인 냄새, 동물 배설물 냄새,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냄새 등 냄새를 유발하는 입자를 분해시켜 효과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항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항균탈취제는,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 추출물; 소이에틸 모르폴리늄에토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항균탈취제{Eco-Friendly Antibacterial Deodorant}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저장 또는 산화 부패에 의해서 생성된 냄새, 화학적인 냄새, 동물 배설물 냄새,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냄새 등 냄새를 유발하는 입자를 분해시켜 효과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항균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탈취제는 폐수처리장, 쓰레기매립장, 가축시설, 농수산물 공판장 및 염색공장, 도축장, 분뇨처리장 등에서 발행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각종 실내 공간(룸. 주방. 화장실. 기타 각종 가구류 등), 동물의 배설물 및 부패물 냄새, 조리과정에서의 발생되는 냄새 등과 같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첫째, 화학적 제거방법인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항균 및 악취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항균 및 악취 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항균 및 냄새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둘째, 물리 화학적 제거방법인 활성탄이나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항균 및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시키거나, 고비점의 용제,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흡수, 유동 파라핀, 고급 알코올,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항균 및 냄새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셋째, 생물 화학적 제거방법인 양성 계면 활성제, 살균제 등에 의한 살균작용으로 세균에 의한 악취성분의 발생을 차단하거나, 소화 효소, 세균, 효모등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인 유기산을 분해하여 항균 및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항균 및 탈취 기술은 성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제거가 아니라, 주로 향을 이용하여 악취 등이 발현되는 것을 막는 마스킹(masking)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는데, 이 방법은 향이 휘발되면 악취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염소계 소독제인 락스(Rox)류를 이용하였는데, 이 또한 고알칼리성으로 인해 피부에 자극적이고 사용할 때 발생하는 독성으로 인해 호흡기 또는 체내에 유해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항균 및 탈취를 근원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항균 및 탈취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환상다당류인 시클로덱스트린(cyclo dextrine)과 금속미네랄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스킹(masking)향을 첨가하여 의류 및 섬유표면에 분무하여 탈취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는데 (미국특허 제5,534,165호, 제5,593,670호, 제5,668,097호, 제5,714,137호, 제5,882,638호), 이것은 향으로 마스킹(masking)하는 동안 금속이온이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시키고 수분이 건조되는 동안 시클로 덱스트린(cyclo dextrine)이 분해되 항균 및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섬유에 대한 손상이 거의 없고 암모니아나 아민류 화합물과 같은 염기성 취기와, 담배 냄새 등의 휘산성 취기 물질에 대해서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으나 김치야채 냄새 및 음식물의 부패취 등의 산성취기에는 거의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글루코즈(glucose)로 구성된 시클로 덱스트린은 항균제와 방부제를 적절히 사용하지 않으면 미생물이 발생하여 번식될 수 있고 장기간 남아 있을 경우에도 곰팡이가 쉽게 증식하게 되어 냄새가 나거나 변색시키게 되는 원인이 됨은 물론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냄새 입자를 자체적으로 제거하여 탈취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항균탈취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미국특허 제5534165호 미국특허 제5593670호 미국특허 제5668097호 미국특허 제5714137호 미국특허 제58826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오랜 저장 또는 산화 부패에 의해서 생성된 냄새, 화학적인 냄새, 동물 배설물 냄새,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냄새 등 냄새를 유발하는 입자를 분해시켜 효과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항균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탈취제는 폐수처리장, 쓰레기매립장, 가축시설, 농수산물 공판장 및 염색공장, 도축장, 분뇨처리장 등에서 발행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 추출물; 소이에틸 모르폴리늄에토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제수에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추출물, 소이에틸 모르폴리늄에토설페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는 단계(S1);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매스틱(mastic)오일, 가문비 나무 오일, 에탄올를 프리믹스 하는 단계(S2); 및 상기 S1 단계에서 얻어진 용액에 상기 S2 단계에서 얻어진 프리믹스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탈취제는 장기간 저장 또는 산화 부패에 의해서 생성된 냄새, 화학적인 냄새, 동물 배설물 냄새,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냄새 등 냄새를 유발하는 입자를 분해시켜 효과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탈취제는 폐수처리장, 쓰레기매립장, 가축시설, 농수산물 공판장 및 염색공장, 도축장, 분뇨처리장 등에서 발행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한 항균탈취제 조성물이 용기에 담겨 있는 모습을 보여 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4의 항균탈취제를 주방용기에 사용하기 전과 후의 탈취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 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4의 항균탈취제를 화장실에 사용하기 전과 후의 탈취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 주는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4의 항균탈취제를 건물내에서 사용하기 전과 후의 탈취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 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항균탈취제는,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 추출물; 소이에틸 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은 탈취 기능을 한다.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은 0.1~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청각 추출물은 살균, 소독의 기능을 한다. 상기 청각 추출물은 0.1~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소이에틸 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는 탈취 기능을 한다. 상기 소이에틸 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는 1~1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는 동식물성 기름때의 유화, 분해, 세정력 증강, 재오염 방지의 기능을 하며, 효과적인 분산을 통해 침강방지 및 유화안정제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는 0.1~6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에탄올은 확산제로 기능한다. 상기 에탄올은 1~2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항균탈취제의 확산 효과가 떨어져 정해진 범위 만큼의 탈취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에탄올만 과량으로 먼저 확산되어 탈취 기능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없으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지속력 또한 현저히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친환경 항균탈취제는 매스틱(mastic)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스틱(mastic) 오일은 탈취제로 사용되며, 그 함량은 0.1~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친환경 항균탈취제는 가문비나무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문비나무 오일은 탈취제로 사용되며, 그 함량은 0.1~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친환경 항균탈취제는 소디움자일렌설포네이트, 옥탄설포네이트 및 큐멘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화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유화안정제 또는 가용화제로서 기능하며 최종 생성물의 유화를 도와 상기 최종 생성물이 투명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그 함량은 0.5~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친환경 항균탈취제는 녹차, 자몽, 유칼리투스, 페퍼민트, 세다우드 또는 로즈마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1~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친환경 항균탈취제는 나노은, 산화티타늄, 목초액, 흑운모 또는 제올라이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1~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타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물은 오존수, 이온교환수 또는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고 60~93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항균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설명에서 확산제, 유화안정제 등의 사용 가능한 종류 중에서 일 예를 특정하였으나, 이들을 대체하여서도 본 발명의 친환경 항균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정제수에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추출물, 소이에틸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S1).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추출물, 소이에틸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는 차례대로 정제수에 투입하되, 각각을 투입한 후 용해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하여 주고 다음 성분을 투입하여 교반한다.
특히, 상기 정제수는 38~42℃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온도범위의 하한에 미달하거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첨가물들이 균질하지 못하거나 층분리 현상 또는 침전물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음으로,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매스틱(mastic)오일, 가문비 나무 오일, 에탄올를 프리믹스 한다(S2).
마지막으로, 상기 S1 단계에서 얻어진 용액에 상기 S2 단계에서 얻어진 프리믹스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S3).
위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각 성분의 함량은, 정제수 60~93 중량부, 싸이클로덱스트린 0.1~5 중량부, 청각추출물 0.1~5 중량부, 소이에틸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 1~1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0.1~6 중량부, 매스틱(mastic)오일 0.1~2 중량부, 가문비 나무 오일 0.1~1.5 중량부, 에탄올 1~20 중량부, 유화안정제 0.5~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Ca, Mg, Na, Fe 등 2가 이온이 없는 순수한 정제수에 싸이클로덱스트린(wacker)을 투입하고 20분간 교반한 후, 청각추출물(대호양행, 농도 30%)을 투입하고 20분간 교반한 후, 소이에틸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크로다)를 투입하고 10분간 교반한다.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추출물, 소이에틸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는 차례대로 정제수에 투입하되, 각각 투입한 후 용해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성분에 대해 10 또는 20분 씩 교반하여 용해되었음을 확인하고 다른 성분을 투입하고 교반하였으나, 10 또는 20분 교반을 통해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해될 때까지 충분히 교반해 주어야 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용액에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매스틱(mastic)오일, 가문비 나무 오일, 에탄올을 프리믹스(Premix)한 후 서서히 투입하였다. 프리믹스 혼합물의 투입시 용액의 투명도를 확인하면서 교반하여 충분히 용해되도록 하여야 한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생성물의 투명도를 확인하고 불투명할 경우 소디움자일렌설포네이트를 계량하여 투입하고 20분간 교반하여 투명하게 제조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실시예 1 내지 6의 표면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사용된 성분들의 중량비는 아래 표 1과 같다.
원료명 실험1 실험2 실험3 실험4 실험5 실험6
정제수 92.80 86.35 79.90 72.95 66.00 62.05
싸이클로텍스트린
(CAVAMAX WB FOOD)
0.25 0.50 0.75 1.00 1.25 1.50
청각추출물 0.25 0.25 0.25 0.25 0.25 0.25
소이에틸몰포린리움에토설페이트 2.00 4.00 6.00 8.00 10.00 12.00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0.50 1.00 1.50 2.00 2.50 3.00
매스틱(mastic) 오일 0.10 0.20 0.30 0.4 0.50 0.60
가문비 나무 오일 0.1 0.2 0.3 0.4 0.50 0.60
에탄올 2.50 5.00 7.50 10.00 12.50 13.00
소디움자일렌설포네이트 1.50 2.50 3.50 5.00 6.50 7.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도 1은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한 항균탈취제 조성물이 용기에 담겨 있는 모습을 보여 주는 사진이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4의 조성에서 성분들이 가장 잘 용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세균오염도 측정기(TELTRON, Clean-Q)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항균탈취제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위 세균오염도 측정기는 미생물들의 에너지원인 ATP의 양을 측정하여 세균의 오염 정도를 판단하는 장치로, ATP의 양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세균에 의해 오염이 많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피부가 접촉하는 곳에서는 세균오염도가 200 이하일 때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세균오염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4의 항균탈취제로 주방용기를 세척하기 전과 후 세균오염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 주는 사진으로, 세균오염도가 항균탈취제 사용 전 115에서 사용 후 80으로 감소된 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항균탈취제가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4의 항균탈취제를 화장실에 사용하기 전과 후의 탈취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 주는 사진으로, 세균오염도가 항균탈취제 사용 전 53에서 사용 후 9로 감소된 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항균탈취제가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4의 항균탈취제를 건물내에서 사용하기 전과 후의 탈취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 주는 사진으로, 세균오염도가 항균탈취제 사용 전 60에서 사용 후 13으로 감소된 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항균탈취제가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싸이클로덱스트린 0.1~5 중량부; 청각 추출물 0.1~5 중량부; 소이에틸 모르폴리늄에토설페이트 1~1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0.1~6 중량부; 에탄올 1~20 중량부; 및 물 60~93 중량부;를 포함하고,
    매스틱(mastic) 오일 0.1~2 중량부, 가문비나무 오일 0.1~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소디움자일렌설포네이트, 옥탄설포네이트 및 큐멘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화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
  6. 제1항에 있어서,
    녹차, 자몽, 유칼리투스, 페퍼민트, 세다우드 또는 로즈마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
  7. 제1항에 있어서,
    나노은, 산화티타늄, 목초액, 흑운모 또는 제올라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이온교환수 또는 정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
  9. 정제수에 싸이클로덱스트린, 청각추출물, 소이에틸 모르폴리늄에토설페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는 단계(S1);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매스틱(mastic) 오일, 가문비나무 오일, 에탄올를 프리믹스 하는 단계(S2); 및
    상기 S1 단계에서 얻어진 용액에 상기 S2 단계에서 얻어진 프리믹스 혼합물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하고,
    정제수 60~93 중량부, 싸이클로덱스트린 0.1~5 중량부, 청각추출물 0.1~5 중량부, 소이에틸 모르폴리늄에토설페이트 1~1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디옥싸이드-소비탄 모노올레이트 0.1~6 중량부, 매스틱(mastic) 오일 0.1~2 중량부, 가문비나무 오일 0.1~1.5 중량부, 에탄올 1~20 중량부, 유화안정제 0.5~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38~42℃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제는 소디움자일렌설포네이트, 옥탄설포네이트 및 큐멘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항균탈취제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200034529A 2020-03-20 2020-03-20 친환경 항균탈취제 KR10223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529A KR102231997B1 (ko) 2020-03-20 2020-03-20 친환경 항균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529A KR102231997B1 (ko) 2020-03-20 2020-03-20 친환경 항균탈취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997B1 true KR102231997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529A KR102231997B1 (ko) 2020-03-20 2020-03-20 친환경 항균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997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165B2 (ko) 1978-02-10 1980-09-05
JPS5714137B2 (ko) 1979-12-28 1982-03-23
JPH0948715A (ja) * 1995-08-04 1997-02-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20090126901A (ko) * 2008-06-05 2009-12-09 청명환경주식회사 친환경적인 탈취제
KR20100092649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플래티늄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JP2011246465A (ja) * 2010-04-30 2011-12-08 Okayama Univ 虫歯予防剤
US20120301421A1 (en) * 2009-09-28 2012-11-29 Robert Joseph Hecking Deodorizer Composition and Method
JP5593670B2 (ja) 2009-10-02 2014-09-24 株式会社トヨトミ 暖房機の燃焼制御方法
JP5668097B2 (ja) 2013-05-15 2015-02-12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電線およびコイル
JP5882638B2 (ja) 2011-08-30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768613B1 (ko) * 2016-12-27 2017-08-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053889A (ko) * 2016-09-14 2019-05-20 지보당 에스아 방향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165B2 (ko) 1978-02-10 1980-09-05
JPS5714137B2 (ko) 1979-12-28 1982-03-23
JPH0948715A (ja) * 1995-08-04 1997-02-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20090126901A (ko) * 2008-06-05 2009-12-09 청명환경주식회사 친환경적인 탈취제
KR20100092649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플래티늄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US20120301421A1 (en) * 2009-09-28 2012-11-29 Robert Joseph Hecking Deodorizer Composition and Method
JP5593670B2 (ja) 2009-10-02 2014-09-24 株式会社トヨトミ 暖房機の燃焼制御方法
JP2011246465A (ja) * 2010-04-30 2011-12-08 Okayama Univ 虫歯予防剤
JP5882638B2 (ja) 2011-08-30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668097B2 (ja) 2013-05-15 2015-02-12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電線およびコイル
KR20190053889A (ko) * 2016-09-14 2019-05-20 지보당 에스아 방향제 조성물
KR101768613B1 (ko) * 2016-12-27 2017-08-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8420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mulated with essential oils
CN106942305A (zh) 一种杀菌植物除臭除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40061B1 (ko)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20130010883A (ko) 공기 소독제 및 악취 제거 제제
CN114831137B (zh) 一种具有抑菌功效的除臭剂
CN114938815A (zh) 一种抗菌抗病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31997B1 (ko) 친환경 항균탈취제
KR101772091B1 (ko) 항균성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방향제 제조방법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KR20030093612A (ko) 액상 항균 소취제 조성물
KR20220037887A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성능 냄새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3636B1 (ko) 친환경 약산성 세정제
KR102625331B1 (ko) 이온화 미네랄과 감잎 추출물 등 천연물로 조성된 천연 항균 탈취제 조성물
KR20080089891A (ko) 다목적 세정제
CN111264566A (zh) 一种家庭用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08935534A (zh) 空气消毒剂
KR102586840B1 (ko) 반도체 라인 로봇 세정제 조성물
KR20210020631A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2359725B1 (ko) 친환경 항균소독제
KR101639660B1 (ko) 미네럴과 유황을 이용한 소독 및 탈취제
KR20130011496A (ko)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갖는 주방용 세정제 조성물
CN115998628A (zh) 一种具有抑菌作用的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05903052A (zh) 一种环保空气净化剂
CN1631161A (zh) 一种含有稳定二氧化氯的蚕用消毒剂
GB2618005A (en) Disinfecting and sanitising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use of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