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631A -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 Google Patents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631A
KR20210020631A KR1020190100385A KR20190100385A KR20210020631A KR 20210020631 A KR20210020631 A KR 20210020631A KR 1020190100385 A KR1020190100385 A KR 1020190100385A KR 20190100385 A KR20190100385 A KR 20190100385A KR 20210020631 A KR20210020631 A KR 2021002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weight
parts
deodorant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167B1 (ko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퍼스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퍼스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퍼스아시아
Priority to KR102019010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1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정제수에 구연산나트륨, 푸마르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 호박산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용액에 에탄올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하며, 정제수와 과산화초산 및 초산나트륨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며, 상기 제3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4 용액과 제5 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탈취제를 제조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냄새 성분에 대한 악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MANUFACTURING METHOD FOR DEODORANT USING HINOKI CYPRESS EXTRACTS AND DEODORANT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냄새 성분에 대한 악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새란 특정 물질에서 확산되어 나온 분자가 콧속의 후세포(嗅細胞)를 자극하여 감지하게 되는 감각을 말하는 것으로,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식사를 할 때 음식 냄새가 옷에 배기도 하고, 거리 주변에 있는 쓰레기 및 오염물질에 의해 혐오스러운 냄새를 수없이 접하고 있다.
오늘날 자연계에는 인간이 생활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생활하수 및 쓰레기, 동물이나 가축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축 분뇨 또는 각종 식물로부터 얻게 되는 유기성 물질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유기성 폐기물은 적정한 습도와 온도 하에서 토양의 광물질 금속류, 염류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생화학적인 분해를 일으켜 각종 악취를 발생시킨다.
악취란 호기(呼氣)의 성분들로 인해 주위사람들이 불쾌하게 느끼는 냄새를 일컬으며, 악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은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이하 VSC라 한다)로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메르캅탄(Dimethylmercaptan, (CH3)2S) 등이 있고, 메틸메르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들 휘발성 황화물 이외에 트리메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이러한 악취의 발생 원인물질은 사람의 일상생활에 불쾌감을 주는 황화수소, 석탄산 또는 그 화합물 및 기타 자극성이 있는 기체 상의 물질로, 이 중 무기 물질과 알칼리 물질은 거의 냄새가 나지 않지만, 유기 물질은 대부분이 냄새를 발생시킨다.
그 중에서도 특히, 유황 화합물과 질소 화합물은 악취의 주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분해방법, 마스킹법, 흡착법, 중화법, 살균법 등이 있다.
상기 화학적인 분해방법은 비용이 비싸고, 속효성은 있으나 지속성이 없으며,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상기 마스킹법은 악취보다 강한 별도의 냄새를 발산시켜 악취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지만, 고가의 항료를 필요로 하고 근본적인 제거가 어렵다.
또한, 상기 흡착법은 악취를 배기 장치에 의해 옥외로 배출시키면서 활성탄 등에 흡착시키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많은 건설비가 소요되고 고가의 활성탄을 주기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상기 중화법은 악취를 산성이나 알칼리성의 물질로 중화시켜 처리하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사용시 일시적으로 악취가 소멸하지만 지속성이 없고, 산성기와 알칼리성기를 동시에 가지는 경우 화학 처리가 곤란하며, 악취 발생 물질이 중성일 경우 전혀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살균법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균 자체를 사멸시켜 부패를 막고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장시간 무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살균제 또는 방부제가 필요한 단점이 있고, 특히, 상기 살균법은 유기물의 부패 또는 발효 자체를 일으키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 또는 발효에 의한 악취가 아니면 소정의 목적물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해 개발된 탈취제의 경우 탈취 효과가 현저하지 않고, 또한, 악취를 생성하는 물질의 표면 일부분에서만 악취를 제거할 뿐, 즉각적으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악취를 생성하는 물질에 대한 탈취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다양한 냄새 성분에 대하여 강한 탈취 효과를 보이는 탈취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74764호(2011년 10월 1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30706호(2014년 08월 08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536877호(2015년 07월 08일 등록)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냄새 성분에 대한 악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정제수에 구연산나트륨, 푸마르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 호박산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용액에 에탄올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하며, 정제수와 과산화초산 및 초산나트륨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며, 상기 제3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4 용액과 제5 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탈취제를 제조한다.
상기 정제수에 구연산나트륨, 푸마르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 호박산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구연산나트륨 4 내지 8 중량부, 푸마르산나트륨 3 내지 7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 내지 3 중량부, 호박산 2 내지 5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에 에탄올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용액 50 내지 100 중량부, 에탄올 10 내지 20 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2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와 과산화초산 및 초산나트륨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정제수와 0.07(w/w)% 농도의 과산화초산 및 0.09(w/w)% 농도의 초산나트륨을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용액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동안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3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3 용액 30 내지 50 중량부 및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4 용액과 제5 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탈취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4 용액 및 제5 용액을 1:1~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제조방법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제조함으로써,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냄새 성분에 대한 악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정제수에 구연산나트륨, 푸마르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 호박산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구연산나트륨 4 내지 8 중량부, 푸마르산나트륨 3 내지 7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 내지 3 중량부, 호박산 2 내지 5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연산나트륨, 푸르미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은 탈취 효과를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포함되고, 상기 호박산은 황화합물계 물질의 악취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포함되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과 같은 자극성이 강한 악취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비표면적이 500 내지 1000m2/g이고 제올라이트 입자의 입경은 50 내지 300nm일 수 있는데, 상기 제올라이트는 먼저, 순수에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한 후 용해시키고 알루민산나트륨(Sodium Aluminate)을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에 1M의 Al2O3, 4M의 Na2O, 10M의 SiO2 및 125M의 H2O를 혼합한 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250~30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며, 상기 교반된 혼합액을 85 내지 105℃의 온도에서 150 내지 200RPM의 회전속도로 3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교반하고, 상기 가열하여 교반된 혼합액을 마이크로파 열원을 이용하여 8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0 내지 150RPM의 회전속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결정화하여 제올라이트 결정을 합성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결정에 순수를 이용하여 미반응 물질을 세척한 후 75 내지 85℃의 건조기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교반한 다음 3%의 질산을 이용하여 pH를 6.5 내지 7.5로 조절하며, 이후 염화암모늄(NH4Cl) 용액을 첨가한 다음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100 내지 150RPM의 회전속도로 15 내지 20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올라이트 결정화 용액을 제조하고, 이후 상기 제올라이트 결정화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순수 1000 내지 1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12% 질산은(AgNO3) 용액 10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한 다음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세척하며, 상기 세척 후 550 내지 600℃의 건조기에서 10 내지 12시간 동안 소성함으로써 분말형의 제올라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용액에 에탄올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1 용액 50 내지 100 중량부, 에탄올 10 내지 20 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이 상기 제1 용액 및 에탄올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2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에탄올은 탈취 효과의 속효성과 무기, 유기 물질 등에 대한 탈취, 소취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냄새 자극이 없고 인간의 신체에 무리없이 흡수되며 항균 작용, 탈취 작용 및 유해 화학 물질을 탈취하는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나무를 가공하여 제조된 추출물로, 상기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일본이 원산지이지만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조림수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데,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해 탈취제,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백나무에서 생산되는 피톤치드는 식물의 자기방어물질로써, 병원균 및 해충, 곰팡이 등에 저항하기 위해 식물이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그 자체에 살균, 살충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피톤치드의 구성물질은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이며, 항균작용, 진정작용, 탈취작용, 스트레스 해소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는 화학합성 물질이 아닌 천연물질이고, 인간의 신체에 무리 없이 흡수되며, 인간에게 해로운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한다.
또한, 피톤치드는 항균작용, 소취작용, 진정작용 및 스트레스 해소 작용 등 수많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톤치드는 뛰어난 살균, 항균, 세정작용으로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보습작용도 하며, 체내의 면역기능을 강화한다.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편백나무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는 줄기, 잎, 껍질 등 편백나무의 다양한 부분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편백나무를 볼 밀링(ball milling) 장치와 같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분말화할 수 있는데, 상기 편백나무의 분말은 3,000 내지 6,0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3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편백나무 분말을 수증기로 쪄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분말의 증숙은 일정한 압력하에서 일정한 온도의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편백나무 분말을 170 내지 190℃의 온도 및 5 내지 10kgf/cm2의 압력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분말의 증숙이 상기한 공정 조건의 하한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증숙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공정에서 발효가 용이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공정 조건의 상한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편백나무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이 휘발되거나 더 이상의 증숙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접종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의 발효를 촉진할 수 있는 발효균으로 기능하고,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유산균 배양액을 0.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여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에 접종할 수 있는데,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추후 공정에서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발효에 의해 편백나무 분말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를 이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는 김치로부터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접종된 편백나무 분말을 발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접종된 편백나무 분말을 43 내지 45℃의 온도 및 62 내지 64%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3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는데, 상기 편백나무 분말의 발효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편백나무 분말이 충분히 발효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발효에 의해 편백나무 분말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편백나무 분말을 추출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발효된 편백나무 분말 2000 내지 3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5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5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2 내지 3배 중량으로 희석하고, 18,000~20,00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발효된 편백나무 분말에 포함될 수 있는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2.0배 중량의 아세트산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정제수와 과산화초산 및 초산나트륨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정제수와 0.07(w/w)% 농도의 과산화초산 및 0.09(w/w)% 농도의 초산나트륨을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과산화초산(Peroxyacetic acid)은 분자식이 CH3COOOH로 표현되며, 반응성이 높고 옥시젠 라디칼(Oxygen radical)에 의해 단 몇 방울로도 다양한 종류의 세균을 박멸하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산화초산의 탄화수소 말단은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 세포에 쉽게 침투하여 미생물의 내부 및 외부의 S-S 및 S-H 결합을 분해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인 항균활성을 유도한다.
과산화초산이 유기물과 접촉되었을 때,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원자상의 옥시젠 라디칼이 발생되고, 발생된 옥시젠 라디칼은 접촉된 유기물을 산화시켜 살균효과를 발휘한다.
[반응식 1]
CH3COOOH + H2O ↔ CH3COOH + ·O2
따라서, 일반적으로 과산화초산은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의료기기용 세정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에어컨 필터 및 조리기구 세정제, 손 세정제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제4 용액은 상기 제2 용액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동안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제5 용액은 상기 제3 용액 30 내지 50 중량부 및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4 용액과 제5 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제4 용액 및 제5 용액을 1:1~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정제수 100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6 중량부, 푸마르산나트륨 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2 중량부, 호박산 4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용액 80 중량부, 에탄올 15 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45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이 상기 제1 용액 및 에탄올에 균일하게 혼합된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정제수와 0.07(w/w)% 농도의 과산화초산 및 0.09(w/w)% 농도의 초산나트륨을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2 용액 30 중량부 및 정제수 2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45분 동안 동안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3 용액 40 중량부 및 정제수 2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4 용액 및 제5 용액을 1: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2 내지 33℃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먼저, 정제수 100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10 중량부 및 죽염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용액 70 중량부, 정제수 80 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9 내지 41℃의 온도에서 60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2 용액 20 중량부 및 정제수 1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8 내지 39℃의 온도에서 50분 동안 동안 교반함으로써, 비교예 1에 따른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먼저, 정제수 100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5 중량부, 푸마르산나트륨 5 중량부 및 호박산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용액 70 중량부, 에탄올 20 중량부 및 목초액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9 내지 41℃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정제수와 0.07(w/w)% 농도의 과산화초산을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3 내지 34℃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2 용액 30 중량부 및 정제수 1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8 내지 39℃의 온도에서 50분 동안 동안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3 용액 40 중량부 및 정제수 2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8 내지 39℃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4 용액 및 제5 용액을 1:2.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3 내지 34℃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비교예 2에 따른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탈취제를 이용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다.
<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탈취 시험 >
300cc의 삼각 플라스크에 하기에 기재된 농도를 나타내는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의 악취원을 넣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탈취제 시험액을 각각 5cc씩 첨가 및 밀폐하고 교반 후 방치하였고, 이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악취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 암모니아 탈취 시험
28% 암모니아수를 4배 부피의 물에 희석하여 희석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희석액 0.15cc를 넣어 암모니아 농도가 160ppm이 되도록 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다.
암모니아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3분 후 63 128 115
5분 후 45 115 101
10분 후 28 106 94
30분 후 12 99 88
60분 후 8 93 83
2.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30% 메틸메르캅탄-메탄올용액을 200배로 물에 희석하여 희석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희석액 중에서 0.2cc를 덜어내어 암모니아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때, 메틸메르캅탄 농도가 170ppm이 되도록 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다.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1시간 후 44 105 104
2시간 후 23 88 77
3시간 후 11 75 62
3. 황화수소 탈취 시험
정제수 1에 황화수소 3을 상온에서 용해하여 용해액을 제조하였고, 상기 용해액을 5배로 희석한 것을 0.5cc 덜어내어 암모니아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때, 황화수소 농도가 310ppm이 되도록 하여 탈취 시험을 수행하였다.
황화수소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1시간 후 111 217 206
2시간 후 64 188 175
3시간 후 20 161 159
4.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200cc 플라스크에, [메탄올에 30% 용해한 메틸메르캅탄 알코올 용액 10 : 물 1000]을 0.1cc 덜어 밀폐 교반하였다.
메틸메르캅탄 탈취 시험 (단위 : ppm)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1시간 후 54 97 94
2시간 후 37 89 85
3시간 후 20 81 78
상기 [표 1] 내지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탈취제가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탈취제에 비하여 탈취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정제수에 구연산나트륨, 푸마르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 호박산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용액에 에탄올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하며,
    정제수와 과산화초산 및 초산나트륨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2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며,
    상기 제3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4 용액과 제5 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탈취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에 구연산나트륨, 푸마르산나트륨, 에틸렌글리콜, 호박산 및 제올라이트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구연산나트륨 4 내지 8 중량부, 푸마르산나트륨 3 내지 7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1 내지 3 중량부, 호박산 2 내지 5 중량부 및 제올라이트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1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에 에탄올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용액 50 내지 100 중량부, 에탄올 10 내지 20 중량부 및 편백나무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40 내지 42℃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제2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와 과산화초산 및 초산나트륨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정제수와 0.07(w/w)% 농도의 과산화초산 및 0.09(w/w)% 농도의 초산나트륨을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제3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용액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동안 교반하여 제4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용액에 정제수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3 용액 30 내지 50 중량부 및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7 내지 39℃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제5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용액과 제5 용액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탈취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4 용액 및 제5 용액을 1:1~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탈취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
KR1020190100385A 2019-08-16 2019-08-16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224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85A KR102249167B1 (ko) 2019-08-16 2019-08-16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85A KR102249167B1 (ko) 2019-08-16 2019-08-16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31A true KR20210020631A (ko) 2021-02-24
KR102249167B1 KR102249167B1 (ko) 2021-05-10

Family

ID=7468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385A KR102249167B1 (ko) 2019-08-16 2019-08-16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16B1 (ko) * 2021-04-07 2021-10-18 주식회사 이원바이오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연무연막 공간 살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618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취제 조성물
KR100645478B1 (ko) * 2005-03-07 2006-11-14 임순옥 탈취제
JP2007289452A (ja) * 2006-04-26 2007-11-08 Shiseido Co Ltd 消臭用組成物
KR100803503B1 (ko) * 2001-01-23 2008-02-14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및 소취 방법
KR101074764B1 (ko) 2009-10-16 2011-10-19 최하영 녹차씨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371B1 (ko) * 2011-11-21 2013-05-07 동의나라주식회사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CN103800932A (zh) * 2014-02-28 2014-05-21 中国石油大学(华东) 全效汽车除味剂
KR101430706B1 (ko) 2013-01-14 2014-09-2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389B1 (ko) * 2008-11-21 2014-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취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6877B1 (ko) 2014-12-31 2015-07-14 박형근 천연성분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536762B1 (ko) * 2013-10-15 2015-07-15 조동근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KR20160150332A (ko) * 2015-06-22 2016-12-30 정성필 환경친화적 살균·소독 및 악취저감용 옥시젠 라디칼 조성물
KR20170115504A (ko) * 2015-02-04 2017-10-17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5472B1 (ko) * 2019-04-23 2019-08-28 장지원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탈취제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03B1 (ko) * 2001-01-23 2008-02-14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및 소취 방법
KR20050087618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취제 조성물
KR100645478B1 (ko) * 2005-03-07 2006-11-14 임순옥 탈취제
JP2007289452A (ja) * 2006-04-26 2007-11-08 Shiseido Co Ltd 消臭用組成物
JP4721436B2 (ja) * 2006-04-26 2011-07-13 株式会社 資生堂 消臭用組成物
KR101470389B1 (ko) * 2008-11-21 2014-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취 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4764B1 (ko) 2009-10-16 2011-10-19 최하영 녹차씨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371B1 (ko) * 2011-11-21 2013-05-07 동의나라주식회사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KR101430706B1 (ko) 2013-01-14 2014-09-2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고체형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536762B1 (ko) * 2013-10-15 2015-07-15 조동근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CN103800932A (zh) * 2014-02-28 2014-05-21 中国石油大学(华东) 全效汽车除味剂
KR101536877B1 (ko) 2014-12-31 2015-07-14 박형근 천연성분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70115504A (ko) * 2015-02-04 2017-10-17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50332A (ko) * 2015-06-22 2016-12-30 정성필 환경친화적 살균·소독 및 악취저감용 옥시젠 라디칼 조성물
KR102015472B1 (ko) * 2019-04-23 2019-08-28 장지원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탈취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116B1 (ko) * 2021-04-07 2021-10-18 주식회사 이원바이오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연무연막 공간 살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167B1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264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2015472B1 (ko)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탈취제
KR101826886B1 (ko) 스테비아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 악취 제거제와 이의 제조방법
KR101989280B1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3294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KR101711050B1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 장치
CN114831137A (zh) 一种具有抑菌功效的除臭剂
CN114532369A (zh) 一种宠物用天然活性植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151753B1 (ko) 실내 유해화학물질 분해 소독제
KR102249167B1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CN113207915B (zh) 一种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569245A (zh) 一种天然植物源环保除臭剂及其制备方法
WO2022083085A1 (zh) 一种类植物液的环保高效除臭剂及其制备方法
JPH08164192A (ja) 植物性の消臭剤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54037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KR101477078B1 (ko) 생약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 및 살균제와 그 제조방법
KR20180051763A (ko) 항균 탈취제 조성물
KR20120108831A (ko) 미생물대사산물과 구연산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악취제거 방법
CN110946995A (zh) 天然草本宠物专用除臭除虫消毒剂
KR20110045915A (ko) 살균 및 세정기능이 보강된 탈취액 조성물
JP2804822B2 (ja) 消臭剤
CN111838202A (zh) 一种新型除味剂
KR102590504B1 (ko) 천연 소재의 증류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적 살균탈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