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582A -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및 암모니아 냄새와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및 암모니아 냄새와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582A
KR20140047582A KR1020137023307A KR20137023307A KR20140047582A KR 20140047582 A KR20140047582 A KR 20140047582A KR 1020137023307 A KR1020137023307 A KR 1020137023307A KR 20137023307 A KR20137023307 A KR 20137023307A KR 20140047582 A KR20140047582 A KR 2014004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oil
acids
deodorant composition
d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가와노
다카히로 이시카와
사다히코 야마자키
구니히데 호시노
Original Assignee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높고,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자극취 등이 없는 유용성(油溶性) 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이머산류(dimer acids) 및 트리머산류(trimer acids)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및 암모니아 냄새와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OIL-SOLUBLE DEODORA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ODORIZING AMMONIA ODOR AND AMINE ODOR}
본 발명은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용성(油溶性)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민류의 냄새를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종래의 유용성 탈취제로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향료 조성물의 알데히드류(특허 문헌 3)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구조를 갖는 물질의 예로는 숙신산, 프탈산, 디메틸 에이코사디엔산(eicosadienoic acid), 테트라데칸2산(tetradecanedioic acid) 등이 있다. 상기 물질은 유용성 용매, 예컨대 탄화수소 용매에 용해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탈취제만 불가피하게 개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48-44441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1-129854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03090호
그러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는 아민류의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알데히드류 등은 아민류의 냄새를 탈취하는 효과는 가지나,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 특유의 강한 자극취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사용이 한정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높고,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자극취 등이 없는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중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이머산류(dimer acids) 및 트리머산류(trimer acids)가 암모니아, 아민류, 예컨대 트리메틸아민 등의 냄새에 대해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과 암모니아 냄새 또는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2) 다이머산류가 다이머산 및 수소화 다이머산 중 적어도 하나인, (1)에 따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3) 트리머산류가 트리머산 및 수소화 트리머산 중 적어도 하나인, (1) 또는 (2)에 따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4)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5)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이 나트륨, 칼륨, 칼슘, 구리, 철, 아연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4)에 따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6) 지방산 금속염이 리시놀레산아연(zinc ricinoleate)인, (4) 또는 (5)에 따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7)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의 총 함유량이 0.1 중량% 이상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8)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냄새 또는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9)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탈취 대상에 적용하는 것, 또는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탈취 대상 주위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또는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따라서 이 조성물은 종래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비해, 암모니아, 아민류, 예컨대 트리메틸아민 등의 냄새에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함유된 다이머산류는 디카르복실산의 골격을 가지며, 그 안의 트리머산류는 트리카르복실산의 골격을 가진다.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는 유용성 용매, 예컨대 탄화수소에 용이하게 용해되므로 상당히 유용하다.
게다가,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는 거대한 분자량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이 있는 액상 물질이며,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취급의 관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자극취 등이 없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다양한 제품에 첨가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중량%"는 "질량%"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다이머산류는 불포화 지방산의 이량체로 이루어지는 디카르복실산, 및 다이머산에 통상 함유되는 불포화 결합을 환원시켜 얻는 수소화 다이머산을 가리킨다. 다이머산류는 다이머산 및 수소화 다이머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머산 및 수소화 다이머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이머산은 불포화 지방산의 이량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복실산이다. 다이머산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은 10개 이상 24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지방산의 예로는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이 있다. 다이머산은 이들 불포화 지방산을 이량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수 가능한 다이머산은, 유채씨유, 대두유 및 톨유와 같은 식물 유래 물질을 정제하고, 불포화 지방산의 저중합체로부터 이량체를 분리하여 얻는다.
다이머산의 예로는 지방족 다이머산, 환식 다이머산, 예컨대 지환식 다이머산, 방향족 다이머산, 이환식 다이머산 등이 있다. 다이머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소화 다이머산은, 다이머산에 수소를 첨가하는 것을 통해 다이머산에 통상 함유되는 불포화 결합을 환원시켜 얻는 다이머산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소화 다이머산은 전술한 각각의 다이머산을 수소의 첨가를 통해 환원시켜 얻을 수 있다.
특히, 그의 바람직한 예로는 다이머산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탄소 원자수가 18개인 다이머산을 수소의 첨가를 통해 환원시켜 얻는 수소화 다이머산이 있고, 그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다이머산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이 올레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인 다이머산을 수소의 첨가를 통해 환원시켜 얻는 수소화 다이머산이 있다.
수소화 다이머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리머산류는 불포화 지방산의 삼량체로 이루어지는 트리카르복실산, 및 트리머산에 통상 함유되는 불포화 결합을 환원시켜 얻는 수소화 트리머산을 가리킨다. 트리머산류는 트리머산 및 수소화 트리머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머산 및 수소화 트리머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리머산은 불포화 지방산의 삼량체로 이루어지는 트리카르복실산이다. 트리머산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은 10개 이상 24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지방산의 예로는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이 있다. 트리머산은 이들 불포화 지방산을 삼량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수 가능한 트리머산은, 유채씨유, 대두유 및 톨유와 같은 식물 유래 물질을 정제하고, 불포화 지방산의 저중합체로부터 삼량체를 분리하여 얻는다.
트리머산의 예로는 지방족 트리머산, 환식 트리머산, 예컨대 지환식 트리머산, 방향족 트리머산, 이환식 트리머산 등이 있다. 트리머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소화 트리머산은, 트리머산에 수소를 첨가하는 것을 통해 트리머산에 통상 함유되는 불포화 결합을 환원시켜 얻는 트리머산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소화 트리머산은 전술한 각각의 트리머산을 수소의 첨가를 통해 환원시켜 얻을 수 있다.
특히, 그의 바람직한 예로는 트리머산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의 탄소 원자수가 18개인 트리머산을 수소의 첨가를 통해 환원시켜 얻는 수소화 트리머산이 있고, 그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트리머산을 구성하는 불포화 지방산이 올레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인 트리머산을 수소의 첨가를 통해 환원시켜 얻는 수소화 트리머산이 있다.
수소화 트리머산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는, 탈취 조성물이 색조가 옅고 실질적으로 무색이라는 것과 같은 바람직한 특성의 관점에서 다이머산, 수소화 다이머산 및 수소화 트리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수소화 다이머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수소화 다이머산은 무색 무취이고, 수소가 첨가되지 않은 다이머산은 색상이 담황색이다. 따라서, 수소화 다이머산은 색조 및 향조의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는 시판품일 수 있다. 시판품의 예로는, "PRIPOL1017", "PRIPOL1022" 및 "PRIPOL1029"(전부, 다이머산 80 중량% 및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비를 가짐); "PRIPOL1012" 및 "PRIPOL1013"(전부, 다이머산 95 중량%를 가짐); "PRIPOL1009"(수소화 다이머산 99 중량%); "PRIPOL1025"(수소화 다이머산 80 중량% 및 수소화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비를 가짐)(전부 CRODA Inc. 제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함유되는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의 총 함유량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고 탈취할 암모니아 및 아민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며,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이고, 0.1 ∼ 10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 ∼ 80 중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중의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의 총 함유량이 0.1 중량% 이상일 경우, 암모니아 및 아민류에 대한 탈취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의 혼합비는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고 사용 형태에 따라 달라지며, 다이머산류 대 트리머산류(다이머산류:트리머산류)의 혼합비(중량비)는 0:10 ∼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9 ∼ 9:1이 더 바람직하며, 2:1 ∼ 4:1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취제 조성물은,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를 혼입하는 것에 의해, 암모니아 및 아민류뿐만 아니라 황산 수소염, 메르캅탄 등의 악취에 대해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낸다.
지방산 금속염의 지방산의 예로는 리시놀레 산,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운데실렌산, 라우르산 등이 있다. 이들 중, 용해성 및 안정성의 관점에서 리시놀레 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기산 금속염의 유기산의 예로는 글루콘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옥소산 등이 있다. 이들 중, 용해성의 관점에서 글루콘산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의 금속염의 금속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구리, 철, 아연, 마그네슘 등이 있다. 이들 중, 탈취 효과의 관점에서 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거나, 이들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에서, 유용해성의 관점에서 지방산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지방산 아연염이 더 바람직하다. 지방산 아연염 중에서, 용해성 및 안정성의 관점에서 리시놀레산아연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서,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의 총 함유량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고 황산 수소염 및 메르캅탄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며,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50.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0.01 ∼ 20 중량%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중의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의 총 함유량이 0.0001 중량% 이상일 경우, 황산 수소염 및 메르캅탄을 탈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며, 다른 탈취제와 더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유지, 밀랍, 탄화수소, 알코올,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스테르, 에테르, 에스테르, 케톤 및 지방산과 같은 용매와, 산화 방지제, 광안정화제, pH 조정제, 방부제, 향료, 계면 활성제, 색소, 자외선 흡수제, 항균제, 겔화제 및 증점제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유지의 예로는 아보카도 오일, 아몬드유, 올리브유, 경화유, 야자유,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대두유, 참기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유지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랍의 예로는 칸델릴라 왁스, 호호바 오일, 비즈 왁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밀랍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의 예로는 노멀 파라핀(normal paraffin), 이소파라핀, 파라핀,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바셀린, 톨루엔, 크실렌, 미네랄 스피리트(mineral spirit), 이소헥산, 노멀 데칸(normal decane), 노멀 헵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탄화수소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예로는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1,3-부탄디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알코올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의 예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글리콜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 에테르의 예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모노메틸 에테르, 3-메톡시-3-메틸-1-부탄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글리콜 에테르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 에스테르의 예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글리콜 에스테르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테르의 예로는 부틸 카르비톨, 2-메톡시 에탄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에스테르의 양은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의 예로는 벤질 벤조에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에스테르의 양은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톤의 예로는 아세톤, 디아세톤 알코올, 시클로헥사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케톤의 양은 0.1 중량% 이상이다.
지방산의 예로는 이소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야자유 지방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케톤의 양은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계면 활성제의 양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의 가용화의 관점에서 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의 예로는 천연 정유, 예컨대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라임 오일, 베르가못 오일, 라반딘 오일, 라벤더 오일, 제라늄 오일 및 장미 오일, 백단유, 탄화수소, 예컨대 α-피넨, β-피넨, 리모넨 및 p-시멘, 및 지방족 알코올, 예컨대 옥타놀 및 p-tert-부틸시클로헥산올, 테르펜 알코올, 예컨대 멘톨, 시트로넬롤 및 게라니올, 방향족 알코올, 예컨대 벤질 알코올 및 페닐에틸 알코올, 지방족 알데히드, 테르펜 알데히드, 방향족 알데히드, 아세탈, 쇄식 케톤(chain ketone), 환식 케톤, 예컨대 다마스콘, β-이오논 및 메틸 이오논, 테르펜 케톤, 예컨대 카르본, 멘톤, 이소멘톤 및 캠퍼, 방향족 케톤, 예컨대 아세토페논 및 라즈베리 케톤, 에테르, 예컨대 디벤질 에테르, 옥시드, 예컨대 리날로올 옥시드 및 로즈 옥시드, 무스크, 예컨대 시클로타펜데카놀리드 및 시클로헥사데카놀리드, 락톤, 예컨대 γ-노나락톤, γ-운데카락톤 및 쿠마린, 지방족 에스테르, 예컨대 에스테르 아세테이트 및 에스테르 프로피오네이트, 방향족 에스테르, 예컨대 에스테르 벤조에이트 및 에스테르 페닐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향료의 양은 0.0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공지된 담체와 조합될 수 있다. 담체의 예로는 알코올, 글리콜, 유지, 밀랍, 탄화수소,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스테르, 에테르, 에스테르 및 케톤과 같은 용매, 및 향료 조성물과 같은 액체 담체, LPG와 같은 기체 담체, 및 규산칼슘, 실리카 겔, 겔화제 및 증점제와 같은 고체 담체가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중 담체의 함유량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고 악취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며, 0.001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3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의 형태는, 용도에 따라 액상, 분말형, 겔형, 과립형 및 에어로졸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제 조성물은 유성이나, 계면 활성제, 알코올,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스테르, 에테르, 에스테르, 케톤 및 지방산과 같은 용매, 향료 조성물 등을 조합함으로써 수성 성분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을 혼합함으로써, 탈취제 조성물은 유용성 최종 제품 및 수용성 최종 제품 중 어느 것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탈취제(deodorant), 방향제 및 방취제(deodorizer)와 같은 최종 제품으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탈취제용 유용성 조성물, 방향제용 유용성 조성물, 방취제용 유용성 조성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가정 용품 및 토일레트리 제품(toiletry products)과 같은 최종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가정 용품의 예로는 탈취 스프레이, 의류용 세제, 의류용 표백제, 의류용 유연제, 식기용 세제, 욕실용 세제, 화장실용 세제 등이 있다.
가정 용품 중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의 함유량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고, 악취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며, 가정 용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1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토일레트리 제품의 예로는 바디 세정제, 데오도란트, 샴푸, 린스,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 팩, 블리치제, 퍼머넌트제, 헤어 염색약 등이 있다.
토일레트리 제품 중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의 함유량은 엄밀하게 제한되지 않고, 악취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며, 토일레트리 제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1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음식물 쓰레기, 의류, 냉장고, 옷장/벽장/락커, 실내, 차량, 화장실, 욕실, 애완 용품, 공장, 공업 폐수, 공기 청정기, 공기 조절기, 탈취기, 송풍기 및 환풍기용 필터, 하수 처리장, 가축사 및 진개(dust and garbage) 처리장을 탈취 또는 냄새 제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탈취 또는 냄새 제거 대상에 직접 적용하거나, 대상 주위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는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과 같은 아민류에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악취 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화장실 냄새, 오물 냄새, 실내 냄새 또는 애완동물 냄새에,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을 적용할 경우, 탈취 효과에 의해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와 병용함으로써, 황산 수소염, 메르캅탄 등에 대한 우수한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수소화 다이머산, 수소화 다이머산과 수소화 트리머산의 혼합물, 및 다이머산과 트리머산의 혼합물의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φ 55 mm를 갖는 여과지에, 시료로서, 수소화 다이머산["PRIPOL1009"(상품명)(CRODA Inc. 제조)], 수소화 다이머산 80 중량%와 수소화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물["PRIPOL1025"(상품명, CRODA Inc. 제조)] 또는 다이머산 80 중량%와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물["PRIPOL1017"(상품명, CRODA Inc. 제조)"] 각각의 20 중량% 이소파라핀 용액 1.0 g을 적가한 다음, 5 L 테들러 백에 넣고, 밀봉하고, 무취 공기를 주입하였다.
이어서, 테들러 백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고, 60분 후 및 120분 후에 용기 중의 암모니아의 농도를 가스 검지관(Gestec Service, Inc. 제조)을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 탈취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암모니아의 초기 농도는 80 ppm이었다.
(탈취율의 산출식)
탈취율(%) = [(C-S)/C] × 100
S: 시료를 함유하는 용기 중의 냄새 가스의 농도(ppm)
C: 대조군으로서의 용기 중의 냄새 가스의 농도(ppm)
여기서 사용한 대조군은, 여과지에 이소파라핀 1.O g을 적가하여 얻었다.
(비교예 1)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시료로서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정을 통해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탈취 시험의 결과(초기 농도: 80 ppm)
시료명 60분 후의
탈취율(%)
120분 후의
탈취율(%)
실시예 1-1 수소화 다이머산 86.0 97.0
실시예 1-2 수소화 다이머산 80 중량%와
수소화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물
83.0 96.0
실시예 1-3 다이머산 80 중량%와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물
83.0 96.0
비교예 1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12.0 15.0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의 경우는,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경우에 비해 암모니아 냄새에 대해 우수한 탈취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2)
<수소화 다이머산, 수소화 다이머산과 수소화 트리머산의 혼합물, 및 다이머산과 트리머산의 혼합물의 트리메틸아민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악취 물질로서 트리메틸아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정을 실시하고,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 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트리메틸아민의 초기 농도는 25 ppm으로 조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트리메틸아민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시료로서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정 방법으로 트리메틸아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트리메틸아민 냄새에 대한 탈취 시험의 결과(초기 농도 25 ppm)
시료명 60분 후의
탈취율(%)
120분 후의
탈취율(%)
실시예 2-1 수소화 다이머산 84.0 92.0
실시예 2-2 수소화 다이머산 80 중량%와
수소화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물
80.0 88.0
실시예 2-3 다이머산 80 중량%와
트리머산 20 중량%의 혼합물
80.0 88.0
비교예 2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00.0 00.0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2-3의 경우는,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경우에 비해 트리메틸아민 냄새에 대해 우수한 탈취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3)
<수소화 다이머산과 리시놀레산아연의 혼합물의 암모니아 및 황산 수소염에 대한 탈취 효과>
φ 55 mm를 갖는 여과지에, 수소화 다이머산 50 중량%, 리시놀레산아연 1.0 중량% 및 알코올계 용매 49.0 중량%를 혼합하고 조정한 시료의 20 중량% 이소파라핀 용액 1.0 g을 적가한 다음, 5 L 테들러 백에 넣고, 밀봉하고, 무취 공기를 주입하였다.
이어서, 테들러 백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고, 60분 후 및 120분 후에 용기 중의 암모니아의 농도를 가스 검지관(Gestec Service, Inc. 제조)을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상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황화수소 가스를 주입하고,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탈취율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암모니아의 초기 농도는 40 ppm이었고, 황화수소의 초기 농도는 10 ppm이었다.
(비교예 3)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시료로서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조정을 실시하고,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냄새에 대한 탈취 시험의 결과

시료명
암모니아 황화수소
60분 후의
탈취율(%)
120분 후의
탈취율(%)
60분 후의
탈취율(%)
120분 후의
탈취율(%)

실시예 3
수소화 다이머산,
리시놀레산아연 및
알코올계 용매의
혼합물

84.0

92.0

92.0

100.0
비교예 3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12.0 18.0 00.0 00.0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소화 다이머산과 리시놀레산아연의 혼합물은 암모니아 냄새 및 황화수소 냄새에 대해 우수한 탈취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4-1)
<조합 향료와 수소화 다이머산의 혼합물의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φ 55 mm를 갖는 여과지에, 레몬 버베나 조합 향료 50 중량% 및 수소화 다이머산 50 중량%를 혼합하고 조정한 시료의 20 중량% 이소파라핀 용액 1.0 g을 적가한 다음, 5 L 테들러 백에 넣고, 밀봉하고, 무취 공기를 주입하였다.
이어서, 테들러 백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고, 60분 후 및 120분 후에 용기 중의 암모니아의 농도를 가스 검지관(Gestec Service, Inc. 제조)을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탈취율은, 실시예 1에 기재된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암모니아의 초기 농도는 40 ppm이었다.
(실시예 4-2)
<수소화 다이머산의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시료로서 수소화 다이머산을 사용하고, 실시예 4-1에서와 동일한 조정을 실시하고,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의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탈취 효과>
레몬 버베나 조합 향료 50 중량% 및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를 혼합하고 조정한 시료를 사용하고,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조정을 실시하고,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암모니아 냄새에 대한 탈취 시험의 결과(초기 농도 40 ppm)
시료명 60분 후의
탈취율(%)
120분 후의
탈취율(%)
실시예 4-1 수소화 다이머산과
레몬 버베나 조합 향료의 혼합물
75.0 94.0
실시예 4-2 수소화 다이머산 75.0 94.0
비교예 4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와
레몬 버베나 조합 향료의 혼합물
13.0 18.0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소화 다이머산과 레몬 버베나 조합 향료의 혼합물은,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와 레몬 버베나 조합 향료의 혼합물에 비해 암모니아 냄새에 대해 우수한 탈취 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그의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동안, 그의 개념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에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 출원은 2011년 3월 4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048207호를 기초로 하며, 그 내용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문헌들의 내용도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따라서 이 조성물은 종래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비해, 암모니아, 아민류, 예컨대 트리메틸아민 등의 냄새에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에 함유된 다이머산류는 디카르복실산의 골격을 가지며, 그 안의 트리머산류는 트리카르복실산의 골격을 가진다.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는 유용성 용매, 예컨대 탄화수소에 용이하게 용해되므로 상당히 유용하다.
게다가,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는 거대한 분자량에도 불구하고 유동성이 있는 액상 물질이며,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취급의 관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은 자극취 등이 없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고 다양한 제품에 첨가될 수 있어 상당히 유용하다.

Claims (9)

  1. 다이머산류(dimer acids) 및 트리머산류(trimer acids) 중 적어도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용성(油溶性) 탈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다이머산류가 다이머산 및 수소화 다이머산 중 적어도 하나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리머산류가 트리머산 및 수소화 트리머산 중 적어도 하나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지방산 금속염 및 유기산 금속염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이 나트륨, 칼륨, 칼슘, 구리, 철, 아연 및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지방산 금속염이 리시놀레산아연(zinc ricinoleate)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의 총 함유량이 0.1 중량% 이상인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8.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냄새 또는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9.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탈취 대상에 적용하는 것, 또는 다이머산류 및 트리머산류 중 적어도 하나를 탈취 대상 주위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또는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KR1020137023307A 2011-03-04 2012-03-02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및 암모니아 냄새와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KR201400475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8207A JP5825806B2 (ja) 2011-03-04 2011-03-04 油溶性消臭剤組成物
JPJP-P-2011-048207 2011-03-04
PCT/JP2012/056044 WO2012121359A1 (en) 2011-03-04 2012-03-02 Oil-soluble deodora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odorizing ammonia odor and amine od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582A true KR20140047582A (ko) 2014-04-22

Family

ID=4679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307A KR20140047582A (ko) 2011-03-04 2012-03-02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및 암모니아 냄새와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23193A1 (ko)
EP (1) EP2680890A4 (ko)
JP (1) JP5825806B2 (ko)
KR (1) KR20140047582A (ko)
CN (1) CN103402554B (ko)
WO (1) WO20121213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011B1 (ko) * 2020-10-15 2022-02-07 (주)티셀환경소재연구소 양극산화를 이용한 징크리시놀리에이트 입자의 제조방법
KR20220121566A (ko) * 2021-02-25 2022-09-01 진태원 고성능 탈취력을 지닌 방향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130B1 (fr) 2014-02-06 2019-10-18 Arkema France Composition d'amines a odeur masquee
CN106283625B (zh) * 2016-08-10 2018-06-0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用于纺织品的抗菌除臭喷剂
EP3763698B1 (en) * 2018-03-09 2023-11-29 Irec Co., Ltd. Cobalt soap,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rubber belt produced using said cobalt soap
US20230043567A1 (en) 2021-08-03 2023-02-09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odor management
CN220144215U (zh) * 2021-11-05 2023-12-08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表面清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6520A (en) * 1996-12-20 1998-12-08 Procter & Gamble Company Antiperspirant gel-solid stick compositions containing select fatty acid gellants
JP2002275020A (ja) * 2001-03-22 2002-09-25 Nippon Fine Chem Co Ltd 油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外用剤
US6552160B2 (en) * 2001-05-14 2003-04-22 Arizona Chemical Company Ester-terminated poly(ester-amides) useful for formulating transparent gels in low polarity fluids
JP2004277285A (ja) * 2003-01-20 2004-10-07 Nippon Fine Chem Co Ltd 化粧料及び化粧料製造用組成物
US7253249B2 (en) * 2003-04-22 2007-08-07 Arizona Chemical Company Ester-terminated poly(ester-amide) in personal care products
US8664292B2 (en) * 2004-05-27 2014-03-04 Croda International Plc Compositions and articles containing a cross-linked polymer matrix and an immobilized active liquid, as well a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GB0607500D0 (en) * 2006-04-13 2006-05-24 Ici Plc Structurants for oil phases
GB0709781D0 (en) * 2007-05-22 2007-06-27 Unichema Chemie Bv Composition and method
EP2256165A4 (en) * 2008-02-04 2013-09-04 Teijin Lt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011B1 (ko) * 2020-10-15 2022-02-07 (주)티셀환경소재연구소 양극산화를 이용한 징크리시놀리에이트 입자의 제조방법
KR20220121566A (ko) * 2021-02-25 2022-09-01 진태원 고성능 탈취력을 지닌 방향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1359A1 (en) 2012-09-13
JP2012183189A (ja) 2012-09-27
EP2680890A1 (en) 2014-01-08
CN103402554B (zh) 2016-03-09
US20130323193A1 (en) 2013-12-05
EP2680890A4 (en) 2014-08-27
JP5825806B2 (ja) 2015-12-02
CN103402554A (zh)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7582A (ko) 유용성 탈취제 조성물, 및 암모니아 냄새와 아민 냄새를 탈취하는 방법
US6528047B2 (en) Odor absorption and deodorization
JP5005261B2 (ja) 浴室用消臭洗浄剤組成物
EP1345883B1 (en) Malodor counteractant compositions
US7288507B2 (en) Malodor counteractant compounds
JP4177002B2 (ja) 香料組成物
CA2815504A1 (en) Water-based air freshener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103435B2 (en) Malodor reducing compositions
WO2018094314A1 (en) Malodor counteractant composition and methods
JP6829207B2 (ja) エアゾール型芳香剤
WO2008110995A2 (en) Solubilizing system for volatile ingredients
JP2016202557A (ja) 消臭剤組成物
JP3789148B2 (ja) 消臭剤
JP2003321697A (ja) 消臭香料組成物
JP5871746B2 (ja) 悪臭発生抑制剤およびその利用
JP5405621B2 (ja) 香料組成物
EP1563830B1 (en) Use of 2-methyl benzoic acid methyl ester in perfume compositions
KR20180027593A (ko) 향료 조성물
JP6169851B2 (ja) 油溶性消臭剤組成物
WO2020018485A3 (en) Fragrance compositions containing norbornene derivatives
JP6599433B2 (ja) 揮散部材に吸液させて揮散させる揮散液
JP2013189409A (ja) 皮膚外用剤
KR101803976B1 (ko) 나노에멀젼 형태를 갖는 다목적용 세정제 조성물
WO2021149566A1 (ja) 消臭用組成物
JPH11244364A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