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53B1 -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 Google Patents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753B1
KR102075753B1 KR1020190073043A KR20190073043A KR102075753B1 KR 102075753 B1 KR102075753 B1 KR 102075753B1 KR 1020190073043 A KR1020190073043 A KR 1020190073043A KR 20190073043 A KR20190073043 A KR 20190073043A KR 102075753 B1 KR102075753 B1 KR 10207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odorant
parts
extract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웅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753B1/ko
Priority to KR1020190144095A priority patent/KR102267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5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 A61F2013/510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with perfumes or odour-mask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재용 소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수한 소취력을 가지며, 소취력의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소취제,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생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Composition of deodorant for sanitary materials, Deodorant for sanitary materials}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 성분 등을 이용한 위생재용 소취제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산업의 발달, 위생 환경의 청결 등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이 대폭 길어져 평균 수명이 80세를 넘어, 100세 장수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들은 자신의 몸이나 의류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데 상당히 노력과 비용을 들이고 있으며, 또한 어린이나 여성, 병원 환자, 생선 등의 어류나 육류를 취급하는 사람들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들이 사용하는 의류, 여성 생리대, 환자나 어린아이의 기저귀 등에 악취가 베면, 의류는 세탁을 하여도 제거되지 않고, 또한 몸에 베인 악취는 목욕을 하여도 그대로 남아 자신은 물론, 가족이나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수나 방향제를 사용할 경우, 악취가 제거되기 어렵고, 또 제거가 된다 하더라도, 그의 부작용의 폐해가 더 커서 건강에 해악을 끼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 잦은 세탁, 목욕, 실내 환기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소극적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악취를 제거할 수 없고, 장기간 요하며, 방향제의 경우, LPG와 같은 압축가스를 사용한 제제의 경우, 고온에서 폭발 위험이 있고, 어린이들에게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방향제는 제2의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 소취제로서는 녹차, 천연 식물 또는 그의 추출물 등을 이용한 소취제, 금속, 다공성 물질 등의 광물을 이용한 소취제, 효소나 미생물을 이용한 소취제 등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특히, 천연 식물이나 그의 추출물을 액상으로 하거나, 또는 탄산칼슘 등의 다공질체에 담지시킨 이용한 발명, 목초액을 색소첨가제와 배합한 소취제, 에센셜 오일과 식물성 폴리페놀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취제, 키틴 또는 키토산의 올리고머를 개질시켜 섬유나 필름에 혼합하여 항균 소취작용을 갖는 발명,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의 미생물과 증점체를 함유하는 세정, 소취제, 담자균 균사체 발효산물을 함유하는 소취제, 과산화물과 질산 이온을 함유하는 소취제 광촉매, 광물질의 미분말을 이용한 소취제 등이 특허 발명된 바 있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637922호 (공고일 2006.10.17)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98221호 (공고일 2008.01.18)
본 발명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제품 특성 상, 인체에 직접 접촉해도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트러블이 없으면서, 소취력이 우수한 위생재용 소취제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의 최적 조성 및 조성비를 알게 되어 완성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위생재용 소취제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은 세라믹 콜로이드,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천연방부제 및 증점제 및 잔량의 플로랄 워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위생재용 소취제로서, 분말 형태의 위생재용 소취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생재용 소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평균입도 세라믹 콜로이드,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플로랄 워터, 천연방부제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을 미분쇄 공정을 수행하여 미분쇄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상기 미분쇄물을 건조시켜서 분말을 수득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위생재용 소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위생재용 소취제를 이용한 위생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로 제조한 소취제는 우수한 소취력을 가지며, 소취력의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바, 유아용 기저귀, 성인용 기저귀, 여성용 생리대 등의 위생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세라믹 콜로이드를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도 2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취제를 찍은 사진이다.
도 3는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위생재용 SAP(Super Absorbent Polymer) 시트를 찍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위생재용 소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위생재용 소취제는 세라믹 콜로이드,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플로랄 워터, 천연방부제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혼합물(또는 조성물)을 준비하는 1단계; 상기 혼합물(또는 조성물)을 미분쇄 공정을 수행하여 미분쇄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상기 미분쇄물을 건조시켜서 분말(또는 파우더)을 수득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1단계의 상기 혼합물 성분 중 상기 세라믹 콜로이드는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및 플로랄 워터 등의 조성에 대한 지지체 내지 담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라믹 콜로이드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활성탄, 이산화티탄, 벤토나이트, 산화아연 및 이산화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다공성 무기 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3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산화아연 10 ~ 35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 10 ~ 20 중량% 및 잔량의 실리카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산화아연 20 ~ 30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 12 ~ 18 중량% 및 잔량의 실리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 내 세라믹 콜로이드의 함량은 혼합물 전체 중량 중 50 ~ 6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52 ~ 64 중량%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6 ~ 64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세라믹 콜로이드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담체 역할을 하는 성분이 너무 적어서 소취제 수득률이 낮아져서 제조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함량이 65 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소취제의 소취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세라믹 콜로이드는 다공성이라서 그 자체로 소취력이 있으나 적정 크기의 세라믹 콜로이드를 사용하여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등이 세라믹 콜로이드의 공극에 함침되어 소취력 증대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콜로이드는 평균입도 0.1㎛ ~ 2.0㎛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0.2㎛ ~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0㎛인 것이 좋으며, 세라믹 콜로이드의 평균입도가 0.2㎛ 미만이면 너무 작아서 다른 성분들이 세라믹 콜로이드에 충분하게 담지되지 않아서 얻고자 하는 소취력 증대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고, 제조 및 구입이 매우 어려우며, 평균입도가 2㎛를 초과하면 세라믹 콜로이드의 크기가 너무 커서 소취 작용하는 작용 면적이 오히려 작아서 소취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지도록 세라믹 콜로이드를 미리 분쇄 등을 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악취 성분은 기상(氣相)이므로 기상 물질이 세라믹 콜로이드와 접촉하여 악취 제거가 가능하나 이는 제한적 기능인 바, 공극에 함침된 다른 성분들과 악취 유발 물질의 접촉을 통한 소취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1단계의 상기 혼합물 성분 중 상기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은 세라믹 콜로이드 및/또는 위생재 제조에 사용되는 섬유 등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유발을 방지하면서, 세라믹 콜로이드와 함께 소취력 증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혼합한 식물 추출 혼합물을 발효 여과물로 발효시켜서 제조한 것이다.
상기 식물 추출 혼합물은 병풀 추출물, 청호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님잎 추출물, 컴프리잎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병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호 추출물 60 ~ 100 중량부, 감초 추출물 60 ~ 100 중량부, 님잎 추출물 30 ~ 70 중량부, 컴프리잎 추출물 30 ~ 70 중량부 및 녹차 추출물 15 ~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병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호 추출물 70 ~ 90 중량부, 감초 추출물 60 ~ 85 중량부, 님잎 추출물 35 ~ 55 중량부, 컴프리잎 추출물 35 ~ 60 중량부 및 녹차 추출물 25 ~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청호 추출물이 60 중량부 미만이면 손상 피부에 대한 피부 재생 효과가 없을 수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격 상승 및 피부 트러블을 오히려 유발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감초 추출물이 60 중량부 미만이면 성난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 사용으로 제조비용만 증가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님잎 추출물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피부의 가려움증 및 염증 완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리잎 추출물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민간 피부 부위에 대한 진정 효과가 없을 수 있고,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항산화 효과를 통한 피부 트러블 감소 효과가 없을 수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비경제적이다. 상기 식물 추출 혼합물의 각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진공저온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등을 통해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상기 병풀 추출물은 건조된 병풀을 용매(부틸렌글리콜, 에탄올 및 증류수를 40 ~ 60 : 20 ~ 30 : 20 ~ 30 부피비로 혼합)에 1 : 1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80℃에서 4 ~ 14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 ~ 12 시간 동안 진공 저온 추출하여 병풀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호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님잎 추출물, 컴프리잎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각각은 모두 앞서 설명한 병풀 추출물과 동일한 용매 및 방법으로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발효에 사용되는 상기 발효 여과물은 비피다 발효 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효모 발효 여과물을 1 : 0.5 ~ 2 : 0.5 ~ 2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8 ~ 1.5 : 0.8 ~ 1.5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8 ~ 1.5 : 0.8 ~ 1.2 중량비로 포함하며, 이때, 각 발효 여과물이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면 식물 추출 혼합물의 발효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피다 발효 여과물(Bifida Ferment Filtrate)은 ICID에 등재된 화장품 원료로서, 소화기계에 존재하는 혐기성 유산균인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를 발효시켜 여과한 물질이다. 비피다 발효여과물은, 세포 재생 및 장벽 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서, 피부에서의 산소 공급을 활성화시킨다. 피부 장벽 강화로 거친 피부 개선 및 피부 리듬을 잡아주어 피부톤 개선과 수분 영양 공급 및 끈적임 없이 산듯한 발림성을 부여한다. 또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독성을 없애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은 상기 9종의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식물 추출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계 유산균을 접종한 후, 암실 및 혐기성 조건 하에서 20 ~ 40℃, 바람직하게는 30 ~ 35℃의 온도에서 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4 ~ 36 시간 발효시킨 후, 발효물을 70 ~ 90℃에서 5분 ~ 20분간 가열하여 유산균을 사멸시킨 후,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물이다. 그리고, 바실러스계 유산균의 상기 접종은 식물 추출 혼합물 1mL 중에 1×105 ~ 1×108 CFU를, 바람직하게는 5×105 ~ 5×107 CFU를 접종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락토바실러스계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박테리아(Lactobacillus bacteria),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c)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모 발효 여과물(Saccharomyces Ferment Filtrate)은 빵 또는 맥주를 만들 때 사용되는 천연 효모인 사카로미세스의 발효 여과물로서 아미노산, 핵산, 펩타이드,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하다. 효모 발효 여과물은 천연보습인자 NMF를 포함하고 아미노산 30%, 핵산 15%, 펩타이드 30% 이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핵산은 피부 세포 대사의 필수적인 성분으로 피부 세포의 재활성화를 해주며 피부를 부드럽게 윤기 있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 중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은 식물 추출 혼합물에 상기 발효 여과물을 1 : 0.10 ~ 0.20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12 ~ 0.18 중량비로 접종한 후, 30 ~ 37℃에서 36 ~ 58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42 ~ 52시간 동안 발효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1단계의 상기 혼합물 내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의 함량은 10 ~ 25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12 ~ 22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18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소취력 증대 효과가 없으며, 2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더 이상의 소취력 증대 효과가 없으면서, 오히려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경제적이다.
1단계의 혼합물 중 상기 천연방부제는 소취제 내 유기계 성분의 변질,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2-헥산디올 및 더마소프트 1388(Dermasof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방부제의 사용량은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중 1.0 ~ 3.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1.6 ~ 2.4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2.4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등이 변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 함량이 3.0 중량% 초과하면 이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고, 과량 사용이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1단계의 상기 증점제는 소취 성분의 안정성 향상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벤토나이트 등의 클레이류,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등의 무기계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중 0.1 ~ 3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0.6 ~ 1.8 중량%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단계의 상기 플로랄 워터(꽃수)는 혼합물 성분의 혼합을 위한 용매 역할, 향료 역할, 소취 향상 효과 증대 역할 및/또는 플로랄 워터 내 피부 개선 성분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방지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혼합물(또는 조성물) 성분 들 외에 혼합뭏 전체 중량 중 나머지 중량%를 차지한다. 상기 플로랄 워터는 병풀잎수, 라벤더꽃수, 포트마리골드꽃수, 로즈마리수 및 녹차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병풀잎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벤더꽃수 0.05 ~ 5 중량부, 포트마리골드꽃수 0.05 ~ 5 중량부, 로즈마리수 0.05 ~ 3 중량부 및 녹차수 0.05 ~ 3 중량부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병풀잎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벤더꽃수 0.05 ~ 2 중량부, 포트마리골드꽃수 0.05 ~ 2 중량부, 로즈마리수 0.05 ~ 1 중량부 및 녹차수 0.05 ~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랄 워터는 저온 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으로서,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건조된 병풀잎, 라벤더꽃, 포트마리골드꽃, 로즈마리 잎 및/또는 로즈마리 잎 줄기, 녹차잎 각각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초고속 진공저온 추출기에 증류수와 1 : 1 ~ 30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3 ~ 2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약 60 ~ 80℃에서 8 ~ 12시간 동안 추출하는 1단계; 1단계의 추출물을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랄 워터는 사용시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위생재용 소취제 제조방법의 2단계는 1단계의 혼합물을 미분쇄 공정을 수행하여 미분쇄물을 수득하는 공정이다.
상기 미분쇄 공정을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미분쇄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성 압연기(Planetary mill)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성 바스켓 압연기(Planetary basket mill)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미분쇄 방법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유성 바스켓 압연기에 1단계의 혼합물을 투입한 후, 비드 직경 1.0 ~ 2.5 mm, 아웃터 모터(outer motor) 500 ~ 800 rpm 및 이너 모터(inner motor) 800 ~ 1000 rpm 조건 하에서 미분쇄를 수행하여 미분쇄물을 수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3단계는 미분쇄물을 건조시켜서 최종 파우더, 즉 분말 형태의 본 발명의 소취제를 수득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건조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건조 방법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2단계의 미분쇄물을 오븐에 투입한 후, 50 ~ 80℃ 에서 5분 ~ 30분 동안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3단계의 건조를 수행하면 2단계의 미분쇄물 내 있던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내 수분 및 플로랄 워터 내 수분 증발하면서 소취 성분 및/또는 피부 개선 물질 등의 기능성 성분이 소취제에 남게 된다.
이렇게 3단계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위생재용 소취제는 분말(파우더) 타입으로서, 평균입도 0.2㎛ ~ 5.0㎛, 바람직하게는 0.2㎛ ~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5㎛ 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취제를 이용하여 소취 기능을 가지는 섬유, 부직포, 시트 등의 섬유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위생재 기저귀 및 여성용 생리대 등의 위생재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
준비예 1 : 플로랄 워터(꽃수)의 제조
(1) 병풀잎수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 병풀잎(Centella Asiatica Leaf)을 증류수에 1:3 중량비로 넣고, 약 80℃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병풀잎 플로랄 워터를 얻었다. 이 플로랄 워터를 다시 상기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여 냉장(약 3℃) 보관하였다.
(2) 라벤더수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된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꽃과 잎과 증류수를 1:1 중량비로 넣고, 약 75∼77℃에서 10 시간 동안 추출하여 라벤더 플로랄 워터를 얻었다. 이 플로랄 워터를 다시 상기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하여 라벤더 식물 추출 성분이 30∼50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를 방냉하여 냉장(약 3℃) 보관하였다.
(3) 포트마리골드꽃수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된 포트마리골드(Calendula officinalis) 꽃을 증류수에 1:20 중량비로 넣고, 약 75℃에서 5 시간 동안 추출하여 포트마리골드 플로랄 워터를 얻었다. 이 플로랄 워터를 다시 상기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여 냉장(약 3℃) 보관하였다.
(4) 로즈마리수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된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의 잎 및 줄기를 증류수에 약 1:20 중량비로 넣고, 약 75℃에서 5 시간 동안 추출하여 로즈마리 플로랄 워터를 얻었다. 이 플로랄 워터를 다시 상기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여 냉장(약 3℃) 보관하였다.
(5) 녹차수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된 녹차잎(Camellia Sinensis Leaf)을 증류수에 1:20 중량비로 넣고, 약 75℃에서 5 시간 동안 추출하여 로즈마리 플로랄 워터를 얻었다. 이 플로랄 워터를 다시 상기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여 냉장(약 3℃) 보관하였다.
(6) 혼합 플로랄 워터 ( 꽃수 ) 제조
상기 병풀잎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벤더꽃수 0.15 중량부, 포트마리골드꽃수 0.15 중량부, 로즈마리수 0.15 중량부 및 녹차수 0.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플로랄 워터를 제조하였다.
준비예 2 :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의 제조
(1) 식물 추출 혼합물의 제조
초고속 진공저온추출기(경서기계, COSMOS-660)에 건조 병풀을 부틸렌글리콜/에탄올/증류수(50/25/25 부피비)의 용매에1:5 중량비로 넣고, 약 7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병풀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하여 유기용매를 회수하였다. 추출물의 농도는 약 5% 정도이었다. 이를 다시 농축하여 추출물 중의 수분을 50% 정도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병풀 추출물을 냉장(약 3℃) 보관하였다.
청호, 감초, 님잎, 컴프리잎, 녹차 각각을 상기 병풀 추출물과 동일하게 조제하여 청호 추출물, 감초 추출물, 님잎 추출물, 컴프리잎 추출물, 녹차 추출물 각각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병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호 추출물 75 중량부, 감초 추출물 75 중량부, 님잎 추출물 45 중량부, 컴프리잎 추출물 45 중량부, 녹차 추출물 3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발효 여과물의 준비
비피다 발효 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효모 발효 여과물을 1 : 1: 1 중량비로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비피다 발효 여과물 및 효모 발효 여과물(사카로미세스 효모 발효 여과물)은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은 상기 식물 추출 혼합물 1mL 중 락토바실러스계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박테리아(Lactobacillus bacteria)을 1.2×106 ~ 1.5×106 CFU 을 접종한 후, 암실 및 혐기성 조건 하에서 약 30 ~ 32℃의 온도에서 26 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발효물을 85℃에서 15분간 가열하여 유산균을 사멸시킨 후,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물이다.
(3)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식물 추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발효 여과물 16.1 중량부를 접종한 후, 35 ~ 38℃에서 48 시간 동안 발효시켜서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소취제의 제조
실리카(Cas No. 7631-86-9) 65 중량%, 이산화아연(Cas No. 1314-13-2) 25 중량% 및 이산화티탄 15 중량%를 혼합하여 세라믹 콜로이드를 준비하였다. 이때, 세라믹 콜로이드의 평균입도는 약 0.2 ~ 1.2㎛였다(도 1의 광학현미경 사진 참조).
상기 세라믹 콜로이드, 준비예 2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천연방부제인 펜틸렌글라이콜(CAS no: 5343-92-0), 증점제인 비검 HV(VEEGUM® HV) 및 상기 준비예 1에서 제조한 플로랄 워터를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유성 바스켓 압연기(Planetary basket mill)에 투입 후, 습식 밀(직경 1.0mm의 볼 및 직경 2.5 mm의 볼= 1:1 중량비)을 이용하여아웃터모터(outer motor) 약 650 rpm 및 이너모터(inner motor) 900 rpm 조건 하에서 미분쇄를 수행하여 미분쇄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미분쇄물을 오븐에 투입한 후, 70 ~ 72℃ 에서 약 20분 동안 건조를 수행한 후, 서냉시켜서 분말(또는 파우더)인 평균입도 약 2.5㎛의 소취제를 수득하였다. 제조한 소취제는 냉장실(약 3℃)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사용하되,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소취제를 제조하여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4 를 각각 실시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미 조성비를 사용하여 제조하되, 세라믹 콜로이드를 평균입도 3.0 ~ 3.5㎛인 것을 사용하였다.
구분
(중량%)
세라믹
콜로이드
식물추출
복합
발효물
천연방부제 증점제 플로랄
워터
실시예 1 62 중량% 16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실시예 2 56 중량% 16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실시예 3 62 중량% 12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실시예 4 62 중량% 22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비교예 1 62 중량% 16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비교예 2 67 중량% 16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비교예 3 62 중량% 9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비교예 4 62 중량% 26 중량% 2.2중량% 1.2중량% 나머지 잔량
제조예 1 : 위생재용 SAP(Super Absorbent Polymer) 시트의 제조
140 gsm(gram per square Meter) SAP 파우더(시미토모사 제품)를 준비하였다.
상기 SAP 파우더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소취제, 펄프 및 티슈를 골고루 혼합한 후,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압착하고, 핫멜트로 고정시켰다(표 2 참조).
구분 함량(중량%)
SAP 파우더 50 중량%
소취제 8 중량%
펄프(pulp) 30 중량%
티슈(tissue) 15 중량%
제조예 2 ~ 4 및 비교제조예 1 ~ 4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생재용 SAP 시트를 제조하되, 실시예 1 대신 실시예 2 ~ 4 또는 비교제조예 1 ~ 4의 소취제 각각을 이용하여 위생재용 SAP 시트를 각각 제조하여, 제조예 2 ~ 4 및 비교제조예 1 ~ 4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1 :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력 측정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의 소취제를 이용하여, 제조예 1 ~ 4 및 비교제조예 1 ~ 4에서 제조한 위생재용 SAP(Super Absorbent Polymer) 시트에 대한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력을 F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가스검지관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험방법은 표 3와 같다.
그리고, 측정에 사용된 실시예 1의 소취제 사진은 도 2에 나타내었고, 제조예 1의 위생재용 SAP 시트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 소취제 시편: 1g / SAP 시트 시편 : 가로×세로, 7cm × 20cm
* 가스백 : 5 L 테트라백
* 가스백 내 가스량 : 3L
* 측정시간 : 2 기간 경과 후
* 초기농도 : 암모니아 100 ppm
* 탈취율(%) = ((Cb-Cs)/Cb)×100
Cb : Blank,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구분 암모니아 탈취율(%)
위생재용
SAP 시트
제조예 1 > 99.8
제조예 2 97.8
제조예 3 99.0
제조예 4 99.9
비교제조예 1 98.5
비교제조예 2 99.6
비교제조예 3 96.4
비교제조예 4 > 99.8
실험예 2 :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소취력 측정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의 소취제를 이용하여, 제조예 1 ~ 4 및 비교제조예 1 ~ 4에서 제조한 위생재용 SAP(Super Absorbent Polymer) 시트에 대한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소취력을 F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가스검지관법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험방법은 표 5와 같다.
* 소취제 시편: 1g / SAP 시트 시편 : 가로×세로, 10cm × 10cm
* 가스백 : 5 L 테트라백
* 가스백 내 가스량 : 3L
* 측정시간 : 2 기간 경과 후
* 초기농도 : 트리메틸아민 28 ppm
* 탈취율(%) = ((Cb-Cs)/Cb)×100
Cb : Blank,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구분 트리메틸아민 탈취율(%)
위생재용
SAP 시트
제조예 1 > 99.6
제조예 2 98.1
제조예 3 96.9
제조예 4 > 99.6
비교제조예 1 99.0
비교제조예 2 99.2
비교제조예 3 95.1
비교제조예 4 > 99.7
실험예 3 : 황화수소에 대한 소취력 측정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 의 소취제를 이용하여, 제조예 1 ~ 4 및 비교제조예 1 ~ 4에서 제조한 위생재용 SAP(Super Absorbent Polymer) 시트에 대한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소취력을 KOT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험방법은 표 7과 같다.
* 소취제 시편: 1g / SAP 시트 시편 : 가로×세로, 10cm × 10cm
* 가스백 : 5 L 테트라백
* 가스백 내 가스량 : 3L
* 측정시간 : 2 기간 경과 후
* 초기농도 : 황화수소 4.0 mg/kg
* 탈취율(%) = ((Cb-Cs)/Cb)×100
Cb : Blank,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구분 황화수소 탈취율(%)
위생재용
SAP 시트
제조예 1 > 99.9
제조예 2 98.9
제조예 3 99.2
제조예 4 > 99.9
비교제조예 1 99.4
비교제조예 2 99.7
비교제조예 3 98.0
비교제조예 4 > 99.9
실험예 4 : 메틸멀캅탄에 대한 소취력 측정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4 의 소취제를 이용하여 제조예 1 ~ 4 및 비교제조예 1 ~ 4에서 제조한 위생재용 SAP(Super Absorbent Polymer) 시트에 대한 메틸머캅탄에 대한 소취력을 KOT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험방법은 표 9와 같다.
* 소취제 시편: 1g / SAP 시트 시편 : 가로×세로, 10cm×10cm
* 가스백 : 5 L 테트라백
* 가스백 내 가스량 : 3L
* 측정시간 : 2 기간 경과 후
* 초기농도 : 메틸멀캅탄 8 ppm
* 탈취율(%) = ((Cb-Cs)/Cb)×100
Cb : Blank,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Cs : 시료, 2시간 경과 후, 시험가스백 안에 남아 있는 시험가스의 농도
구분 메틸멀캅탄 탈취율(%)
위생재용
SAP 시트
제조예 1 > 99.3
제조예 2 98.8
제조예 3 98.2
제조예 4 99.7
비교제조예 1 99.0
비교제조예 2 99.1
비교제조예 3 94.9
비교제조예 4 99.7
상기 표 4(암모니아 탈취율), 표 6(트리메틸아민 탈취율), 표8(황화수소 탈취율), 표 10(메틸멀캅탄 탈취율)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소취제(실시예 1 ~ 4)를 사용하여 제조한 위생재용 SAP 시트는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탈취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세라믹 콜로이드 평균입경이 2㎛를 초과한 것을 사용한 비교제조예 1및 세라믹 콜로이드를 과량 함유한 비교제조예 2의 경우, 제조예 1과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낮은 소취력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소취제 내 식물추출복합 발효물 함량이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3을 사용하여 제조한 SAP 시트(비교제조예 3)의 경우, 제조예 3과 비교할 때, 전반적인 탈취 효과가 급감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소취제 내 식물추출복합 발효물 함량이 25 중량% 초과 사용한 비교예 4를 사용하여 제조한 SAP 시트(비교제조예 4)의 제조예 4와 비교할 때, 과량 사용으로 인한 소취 효과 증대가 없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소취제 및 이를 이용한 위생재용 SAP 시트가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및 메틸머캅탄에 대한 우수한 소취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평균입도 0.2㎛ ~ 1.2 ㎛인 세라믹 콜로이드 52 ~ 64 중량%,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12 ~ 22 중량%, 천연방부제 1.6 ~ 2.4 중량% 및 증점제 0.6 ~ 1.8 중량% 및 잔량의 플로랄 워터를 포함하되,
    상기 세라믹 콜로이드는 이산화아연 10 ~ 35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 10 ~ 20 중량% 및 잔량의 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은 식물 추출 혼합물에 발효 여과물을 1 : 0.10 ~ 0.20 중량비로 접종 및 발효시킨 발효물로서,
    상기 식물 추출 혼합물은 병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청호 추출물 60 ~ 100 중량부, 감초 추출물 60 ~ 100 중량부, 님잎 추출물 30 ~ 70 중량부, 컴프리잎 추출물 30 ~ 70 중량부 및 녹차 추출물 15 ~ 50 중량부을 포함하며,
    상기 발효 여과물은 비피다 발효 여과물,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효모 발효 여과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4. 평균입도 0.2㎛ ~ 1.2 ㎛인 세라믹 콜로이드 52 ~ 64 중량%, 식물 추출 복합 발효물 12 ~ 22 중량%, 천연방부제 1.6 ~ 2.4 중량% 및 증점제 0.6 ~ 1.8 중량% 및 잔량의 플로랄 워터를 포함하되,
    상기 세라믹 콜로이드는 이산화아연 10 ~ 35 중량%, 이산화티탄 분말 10 ~ 20 중량% 및 잔량의 실리카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랄 워터는 병풀잎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라벤더꽃수 0.05 ~ 5 중량부, 포트마리골드꽃수 0.05 ~ 5 중량부, 로즈마리수 0.05 ~ 3 중량부 및 녹차수 0.05 ~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방부제는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2-헥산디올 및 더마소프트 1388(Dermasoft)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증점제는 무기계 증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6. 제3항 또는 제4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위생재용 소취제.
  7. 제6항의 소취제를 포함하며, 위생재 기저귀 또는 여성용 생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소취제.
  8. 삭제
KR1020190073043A 2019-06-19 2019-06-19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KR10207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043A KR102075753B1 (ko) 2019-06-19 2019-06-19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KR1020190144095A KR102267620B1 (ko) 2019-06-19 2019-11-12 위생재용 소취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043A KR102075753B1 (ko) 2019-06-19 2019-06-19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95A Division KR102267620B1 (ko) 2019-06-19 2019-11-12 위생재용 소취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753B1 true KR102075753B1 (ko) 2020-03-02

Family

ID=6980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043A KR102075753B1 (ko) 2019-06-19 2019-06-19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75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7922B1 (ko) 2004-08-19 2006-10-24 롯데제과주식회사 담배냄새 소취제와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 및 소취조성물,담배냄새 소취제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0798221B1 (ko) 2002-03-05 2008-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코어-쉘 구조의 탄소재를 포함하는 소취제
JP2009155293A (ja) * 2007-12-27 2009-07-16 Maruzen Pharmaceut Co Ltd 発酵甘草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酵甘草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美容用飲食品
JP2009201859A (ja) * 2008-02-29 2009-09-10 Sanei Gen Ffi Inc 芳香剤及び/又は消臭剤
KR20090129849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소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9971B1 (ko) * 2015-04-01 2016-02-01 서호석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 소취제 조성물
KR101690640B1 (ko) * 2015-10-02 2016-12-28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소취능을 갖는 섬유 제품
KR20170002147A (ko) * 2015-06-29 2017-01-06 (주) 베리콤 생체활성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용 글라스 분말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조성물
KR20180057094A (ko) * 2016-11-21 2018-05-30 에이디인터내셔날(주) 항균탈취 조성물
KR20190002240A (ko) * 2017-06-29 2019-01-08 최정란 녹차꽃과 편백잎 및 편백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한 실내공기 개선용 천연 방향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221B1 (ko) 2002-03-05 2008-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코어-쉘 구조의 탄소재를 포함하는 소취제
KR100637922B1 (ko) 2004-08-19 2006-10-24 롯데제과주식회사 담배냄새 소취제와 이를 포함하는 음식품 및 소취조성물,담배냄새 소취제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JP2009155293A (ja) * 2007-12-27 2009-07-16 Maruzen Pharmaceut Co Ltd 発酵甘草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酵甘草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美容用飲食品
JP2009201859A (ja) * 2008-02-29 2009-09-10 Sanei Gen Ffi Inc 芳香剤及び/又は消臭剤
KR20090129849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에버미라클 소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9971B1 (ko) * 2015-04-01 2016-02-01 서호석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 소취제 조성물
KR20170002147A (ko) * 2015-06-29 2017-01-06 (주) 베리콤 생체활성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용 글라스 분말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조성물
KR101690640B1 (ko) * 2015-10-02 2016-12-28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소취능을 갖는 섬유 제품
KR20180057094A (ko) * 2016-11-21 2018-05-30 에이디인터내셔날(주) 항균탈취 조성물
KR20190002240A (ko) * 2017-06-29 2019-01-08 최정란 녹차꽃과 편백잎 및 편백열매의 추출물을 포함한 실내공기 개선용 천연 방향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0937A (zh) 一种具有抗菌祛痘功能的保健湿巾
KR102136226B1 (ko) 수비드 공법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의 추출방법
CN104042523A (zh) 天然植物保健按摩精油
CN110638742A (zh) 一种黑头导出组合物、一种收敛舒缓组合物及由两者组成的去黑头组合物
CN111346155A (zh) 一种抑菌止痒、减少黑色素的女性私密护理膜及其制备方法
KR102296688B1 (ko)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7620B1 (ko) 위생재용 소취제 제조방법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97437B1 (ko) 피부보습 및 주름 개선용 발열성 미용 아이팩
KR102075753B1 (ko) 위생재용 소취제 조성물 및 위생재용 소취제
JP2024068135A (ja) ティーツリー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より製造された化粧料組成物
KR100905437B1 (ko) 아토피성 피부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726363A (zh) 一种植物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137316B (zh) 一种石斛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20200117652A (ko) 혼합추출물을 활용한 아토피, 여드름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9956A (ko) 발효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증강용 손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14901A (zh) 睡莲花青素抗氧化面贴膜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0958B1 (ko) 박하, 계피, 오레가노,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효과를 갖는 기능성 샴푸 제조방법
CN108938486B (zh) 防腐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143241A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685802B (zh) 防腐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33243B1 (ko) 한약재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한약재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9332A (ko)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