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007B1 -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007B1
KR101779007B1 KR1020150116176A KR20150116176A KR101779007B1 KR 101779007 B1 KR101779007 B1 KR 101779007B1 KR 1020150116176 A KR1020150116176 A KR 1020150116176A KR 20150116176 A KR20150116176 A KR 20150116176A KR 101779007 B1 KR101779007 B1 KR 10177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extract
leaf
lemon
whit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592A (ko
Inventor
허진희
Original Assignee
허진희
전일염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희, 전일염공(주) filed Critical 허진희
Priority to KR102015011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smet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하고 주정 알코올을 추가하여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기 및 진드기를 퇴치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악취(불쾌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레몬향으로 악취(불쾌취)를 중화시켜 주는 효과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보습효과 및 진정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Description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BRIC DEODORANT CONTAINING HINOKI CYPRESS LEAF EXTRACT, LEMON LEAF EXTRACT AND WHITE TEA LEAF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하고 주정 알코올을 추가하여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기 및 진드기를 퇴치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악취(불쾌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레몬향으로 악취(불쾌취)를 중화시켜 주는 효과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보습효과 및 진정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인간에게 불쾌감을 주는 악취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후각을 감퇴시키고, 식욕을 잃게 하며, 호흡을 곤란하게 하고, 멀미, 구토 및 두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생활환경을 해칠 우려가 있는 물질인 악취물질을 원인별로 분류하면 식품에 원래 함유되어 있는 것과 보존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에는 동물의 지방에 함유되는 단쇄 지방산(monoenoic fatty acid), 두리안(durian, 과실)의 악취 등이 있으며, 후자에는 원래 무취의 물질이 효소나 미생물의 활동으로 악취물질로 변하는 것과 산화에 의해 악취물질로 변하는 것이 있다. 전자의 예로는 생선의 부패취로 물고기에 함유된 아미노산이 악취의 아민(amine)으로 변하는 것이 있으며, 후자의 예로는 불포화지방산으로부터 카보닐(carbonyl)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이 있다.
악취물질을 화학구조로 분류하면 함질소화합물의 아민(amine), 함황산화합물의 메르캅탄(mercaptan), 함산소화합물의 카보닐(carbonyl) 등으로 나누어진다. 식품의 가공과정에서는 부차 반응에 의해 악취물질이 발생하는 예가 많다. 그 발생은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작업 환경의 악화나 공해요인으로도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악취물질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직접연소법, 촉매산화법, 흡착법, 미생물탈취법(바이오필터법), 오존산화법 및 마스킹(masking) 등이 있다.
직접연소법은 황이나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물질이면서 가연성인 악취물질을 적당한 온도에서 연소시켜 이산화탄소, 물 및 기타 무기성 기체로 바꾸는 방법으로, 연소온도는 물질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650~800 ℃의 범위이며, 접촉시간은 0.3~0.5 초면 충분하다.
그러나 직접연소법은 온도나 접촉시간이 불충분하면 악취물질 제거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부분 산화의 결과로 생기는 각종 알데히드(aldehyde), 케톤(ketone) 또는 불포화산이 생겨 냄새가 더 나는 수가 있다.
직접 연소법은 650~800 ℃를 사용하지만, 촉매산화법은 260~340 ℃를 사용하여 촉매를 병용한다. 촉매로는 백금 합금에 활성 알루미나(alumina)를 코팅한 것이나 니크롬선에 백금 합금을 코팅한 것 등을 사용한다. 악취 물질을 열교환기로 가열하고, 촉매를 코팅한 엘리먼트(element)에 접촉시켜서 산화 탈취한다. 탈취율은 직접 연소법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며, 악취 물질 중 촉매에 해를 주는 물질(촉매독)이 포함될 때에는 탈취율은 더 저하된다.
흡착법은 활성탄, 제오라이트(Zeolite) 또는 활성 백토 등의 표면적이 넓은 흡착제를 사용하여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보다 흡착 능력이 높은 야자곡 입상 활성탄을 사용해도 모든 악취 성분이 흡착되는 것은 아니며, 악취 가스량이 많고 농도가 높으면 다량의 활성탄을 필요로 하고, 그 취급과 재생에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처리비용도 높은 단점이 있다.
미생물탈취법(바이오필터법) 바이오필터(biofilter)를 통해 탈취하는 방법으로, 바이오필터는 효소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이다. 담체(carrier)에 미생물을 고정화시키면 악취 제거가 가능하다.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을 통해 악취물질이 이산화탄소, 물 및 광물염으로 전환된다.
오존산화법은 기체상태의 악취물질에 오존을 작용시켜 상온 산화에 의하여 탈취하는 방법으로, 분뇨처리장과 같은 곳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꼭 필요한 양의 오존만을 발생시켜 주지 않으면 과량의 오존 자체가 문제가 된다.
마스킹법은 악취를 직접 제거하는 대신에 방향이 강한 물질로 악취를 마스킹하는 것으로, 악취 물질을 분해하거나 흡착하는 일 없이 다른 물질의 향기로 그 악취를 느낄 수 없게 하는 방법이다. 보통 나프탈렌(naphthalene), 장뇌(camphor) 및 다이클로로벤젠(dichlorobenzene) 등이 사용되고 기타물질로는 레몬유, 각종 수지, 알코올(alcohol) 및 향수 등도 사용된다.
간단하고 쉽게 사용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인 마스킹법으로 탈취제가 많이 사용되는데, 일반 마스킹방식의 탈취제는 보다 강한 냄새로 악취를 덮어버리는 방식으로 악취를 제거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악취 제거 방법이 되지 못한다.
또한 섬유에 사용되는 탈취제의 경우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이 되는 만큼 화학 성분으로 인해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 알러지(allergy) 반응을 일으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과 세탁이 어려운 섬유에 대한 탈취 욕구의 증가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들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항균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으며, 인공항료가 아닌 인체에 무해한 천연항료로 악취를 마스킹할 수 있는 섬유탈취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성 성분으로 인체에 무해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효과 및 항알러지효과가 있고, 모기 및 진드기에 대한 퇴치 효과가 있으며,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레몬향으로 악취를 중화시킬 수 있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안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소재로서 사용된 편백, 레몬 및 차나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은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회목, 히노끼 및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30~40 m이고 폭은 1~2 m 가량이며,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작은 바늘 모양의 잎이 가지에 밀생한다.
일본과 한국 남부에 분포하고, 성분에는 γ-카디넨(cadinene), α-테르피네올(terpineol) 및 보르네올(borne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과 목재에는 1%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편백은 강한 항균작용을 하여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가려움을 진정시켜 주며, 세균이 피부 내에 침투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편백은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키는 작용을 하여 체내의 면연력을 향상시켜준다.
또한 편백은 항알러지 효과 및 살충효과가 우수하여 아토피, 천식 및 비염 등 알러지 질환을 일으키는 집먼지 진드기 퇴치를 위한 천연살충제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편백은 탈취효과가 우수하여 의류, 침구류 등의 섬유 탈취제로 많이 이용된다.
레몬(Citrus limon)은 운향과의 상록소교목으로, 비교적 시원하고 기후의 변화가 없는 곳에서 잘 자라며, 이탈리아, 에스파냐, 미국의 캘리포니아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 많이 재배된다.
높이는 3∼6 m이며, 잎은 어릴 때 붉은색을 띠지만 점점 녹색으로 변한다.
비타민 C와 구연산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신맛이 강하다. 과피에서 레몬유(油)를 짜서 음료, 향수 및 레모네이드의 원료로 사용하고, 과즙은 음료, 식초 및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며 과자를 만들 때 향료로도 사용한다.
레몬은 수분을 보충해주는 작용을 한다. 몸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 레몬즙을 섭취하면 수분을 보충하는데 효과적이며, 이러한 보습 효과로 피부 보습을 위한 팩 및 크림 등의 화장품에 많이 이용된다.
또한 레몬 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리모닌(limonin) 및 시트랄(citral) 등의 성분은 역한 체취를 없애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레몬은 방향제나 탈취제에 많이 이용되며, 레몬 껍질에는 살충, 살균 및 항균 성분도 함유되어 있어 모기 및 진드기를 퇴치하는 데 효과적이고, 우수한 항균력으로 세정제 및 소독제에 많이 이용된다.
차나무(Camellia sinensis)는 차나무과의 상록교목 또는 관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및 인도 등에 분포하며 열대, 아열대 온대 지방에서 서식한다.
차나무에는 변종이 많으며, 이들 변종은 그 모양이 각기 다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는 소엽종은 자연 상태에서도 높이가 2∼3 m이고, 인도 아삼 지방의 대엽종은 높이가 15 m에 달하므로 재배할 때에는 가지치기를 하여 높이가 0.5∼1 m 되도록 한다.
녹차, 홍차, 백차 및 우롱차 등으로 부르는 차는 모두 차나무의 잎이며, 발효(산화) 정도에 따라 녹차, 황차, 백차, 청차, 홍차 및 흑차 순으로 구분한다. 이때 가장 많이 발효된 것이 흑차이며, 가장 적게 발효된 것이 녹차이다.
이 중 백차는 솜털이 덮인 차의 어린 싹을 따서 닦거나 비비기를 하지 않고 그대로 건조 시켜 만든 차로서, 차 잎은 은색의 광택을 낸다. 백차는 향기가 맑고 맛이 산뜻하며, 다종의 아미노산, 광물질, 미량의 원소 및 단백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탈취성분인 카테킨(catechin)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고, 항균작용이 우수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897호(선행문헌 1)에는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7513호(선행문헌 2)에는 식물 정유를 이용한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의 내용을 살펴보면, 냄새 원인 성분이 휘발되어 냄새로 인식되는 과정에서 냄새 원인 성분이 공기중으로 휘발되는 속도를 늦추어 효과적인 냄새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중수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탈취제 성분으로 편백 추출물, 레몬밤잎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다.
선행문헌 2의 내용을 살펴보면, 탈취 작용이 우수한 천연 식물을 증류 정제하여 오일 형태의 정유를 추출하고, 추출된 오일 형태의 정유를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증류처리로 희석시켜 발화성을 갖도록 가공한 후, 가공된 정유를 숙성하여 제조하는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탈취제 성분으로 편백유 및 레몬이 포함되어 있다.
선행문헌들에는 본 발명에 사용된 편백 및 레몬을 함유하나, 백차잎은 함유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 1에 녹차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나, 녹차는 백차와 가공 방법이 다르며, 이에 따라 함유되는 성분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녹차와 백차는 찻잎 속의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산화효소인 폴리페놀 옥시다아제(polyphenol oxidase에 의해 산소와 반응하는 산화 정도에 따라 분류된 것으로, 녹차보다 백차의 산화 정도가 더 크다.
즉, 녹차는 찻잎이 어느 정도 자랐을 때 따서 건조시킨 후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에 볶아 주는 반면, 백차는 찻잎이 열리기 전에 잎을 따서 건조만 한다.
솜털이 덮인 차의 어린 싹을 따서 만든 백차에는 어느 정도 자랐을 때 따서 만든 녹차보다 각종 비타민 및 아미노산 카테킨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또한 백차는 건조만 하기 때문에 건조 후 불에 볶는 녹차보다 기능성 성분의 파괴 및 손실이 적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백차잎을 함유하지 않은 선행문헌들에서의 효능은 탈취효과가 우수한 성분인 카테킨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효능에 이를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470897호(2014.12.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7513호(2011.10.04)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식물성 성분을 함유하여 항균효과 및 항알러지효과가 있고, 모기 및 진드기에 대한 퇴치효과가 있으며, 악취물질을 제거하여 근본적인 악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레몬향으로 악취를 중화시키고, 피부를 자극하거나 건조시키지 않아 민감성 피부에도 사용할 수 있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하고 주정 알코올을 추가하여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균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기 및 진드기를 퇴치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악취(불쾌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레몬향으로 악취(불쾌취)를 중화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보습효과 및 진정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기 및 진드기를 퇴치하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악취(불쾌취)를 제거하는 동시에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레몬향으로 악취(불쾌취)를 중화시켜 주는 효과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는 레몬잎 추출물을 함유하여 보습효과 및 진정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험예와 참고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탈취제의 제조방법
1) 건조 단계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선별하여 준비한다.
편백은 가지, 정유, 열매 및 잎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잎 부위가 사용될 수 있다.
레몬은 가지, 열매 및 잎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잎 부위가 사용될 수 있다.
차나무는 가지 및 잎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솜털이 덮인 어린잎이 사용될 수 있다.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은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원적외선건조, 전기건조, 동결건조 또는 마이크로웨이브건조 등 다양한 건조 방법이 사용되어 건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냉풍건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냉풍건조를 통해 고온에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 쉽게 휘발 되는 것이 방지되고,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의 추출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냉풍건조는 1~5일간 10~4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의 수분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2) 분쇄 단계
건조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분쇄한다.
분쇄는 로토리크러셔(Rotary crusher), 조크러셔(Jaw crusher), 롤크러셔(Roll crusher), 콘크러셔(Cone crusher), 해머크러셔(Hammer crusher), 임팩트크러셔(Impact crusher), 해머밀(Hammer mill), 로드밀(Rod mill), 볼밀(Ball mill), 레이몬드밀(Raymond mill), 슈퍼밀(Super mill), 롤밀(Roll mill), 핀밀(Pin mill), 제트밀(Jet mill), 코니카볼밀(Conical ball mill) 또는 진동밀(Vibration mill)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분쇄는 1~100 mesh 크기로 수행될 수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설계 조건에 따라 분쇄 단계를 2회 이상 반복 수행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이후 추출 단계에서 추출 효율이 증가된 효능을 보유하게 된다.
3) 추출 단계
분쇄된 편백잎을 추출한다.
추출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진공 추출법, 감압추출법,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percolation)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증류법이 사용될 수 있다.
수증기 증류법은 수증기를 통해 편백을 증류해서 편백의 기능성 성분을 수집하는 것으로, 먼저 편백에 스팀 및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스팀 및 압축공기 공급시 기능성 성분을 많이 함유한 편백 추출물을 얻기 위해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 범위는 2.0~4.0 kgf/cm2으로 조절될 수 있고,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 범위는 1.0~3.0 atm으로 조절될 수 있다.
스팀 및 압축공기로 인해 편백이 증류되어 편백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수증기와 함께 유출된다.
편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과 함께 유출되는 수증기를 냉각하여 응축시키면 응축수가 생긴다.
수증기가 응축되어 생긴 응축수로부터 원심분리를 통해 층으로 분리된 편백수 및 편백오일을 각각 추출한다.
각각 추출된 편백수 및 편백오일을 혼합하여 편백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추출된 편백수 및 편백오일의 혼합비율은 1:20~80으로 조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0으로 조성될 수 있다.
분쇄된 레몬잎을 추출한다.
추출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진공 추출법, 감압추출법,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percolation)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유체 증류법이 사용될 수 있다.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서 초임계 물질은 이산화탄소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임계조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불연성이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임계온도가 낮으므로 용질성분의 변질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어 의약품 및 식품 등을 추출하는데 적합하여 초임계 추출용매로 널리 쓰인다.
초임계 유체 추출시 초임계 유체인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다른 용매가 혼합된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에는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물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은 20~300 분동안 30~50 ℃의 온도 및 100~350 bar의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분쇄된 백차잎을 추출한다.
추출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진공 추출법, 감압추출법,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공정 추출법, 퍼콜레이션(percolation) 추출법 등의 다양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유체 증류법이 사용될 수 있다.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서 초임계 물질은 이산화탄소가 이용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다른 용매가 혼합된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에는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물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은 100~500 분동안 30~70 ℃의 온도 및 200~500 bar의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4) 여과 단계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여과한다.
여과는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흡입여과, 상압여과, 감압여과, 가압여과, 한외여과, 정밀여과 및 역삼투여과 등의 방법이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과시간, 온도 및 횟수 또한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기재한 여과 방법 이외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5) 농축 단계
여과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농축한다.
농축은 증발농축, 동결농축, 건조농축, 막농축, 진공농축 및 감압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한 농도로 농축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2가지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농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압 농축될 수 있으며, 2~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6) 혼합 및 교반 단계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한 후, 주정 알코올을 추가하여 혼합한다.
이때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물의 혼합 비율은 레몬잎 추출물 0.01~3 중량부 기준으로 편백잎 추출물 20~40 중량부, 백차잎 추출물 20~40 중량부 및 주정 알코올 60~80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력 및 세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추가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단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섬유에 강한 흡착력을 보이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피부에 자극이 적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천연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콩이나 계란 노른자에 등에 함유되어 있는 레시틴(lecithin) 또는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saponin)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되는 계면활성제의 혼합비율은 레몬잎 추출물 0.01~3 중량부 기준으로 0.1~3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계조건에 따라 증류수가 추가될 수 있으며, 추가되는 증류수의 혼합비율은 레몬잎 추출물 0.01~3 중량부 기준으로 20~40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효능을 강화하기 위해 탈취제가 추가될 수 있으며, 탈취제는 테르펜(terpene)류, 폴리페놀(polyphenol)류, 갈릭산(gallic acid),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알칼로이드(alkaloid), 후라보노이드(Flavonoid) 및 수산화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beta-cyclodext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되는 탈취제의 혼합비율은 레몬잎 추출물 0.01~3 중량부 기준으로 0.01~3 중량부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가 완성된다.
제조예 1.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선별하여 준비한 후 3일간 25 ℃에서 냉풍건조 방법으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건조하였다.
건조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50 mesh크기로 각각 분쇄하였다.
분쇄된 편백잎은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였다. 이때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은 3.0 kgf/cm2으로 설정하였으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은 2 atm으로 설정하였다.
추출된 편백수 및 편백오일의 혼합비율은 1:20으로 조성하여 편백잎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분쇄된 레몬잎은 140 분동안 40 ℃의 온도 및 200 bar의 압력하에서 초임계 유체 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분쇄된 백차잎은 480 분동안 50 ℃의 온도 및 300 bar의 압력하에서 초임계 유체 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감압여과로 각각 여과하였다.
여과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감압농축으로 각각 농축하였다.
레몬잎 추출물 0.08 중량부 기준으로 편백잎 추출물 30 중량부, 백차잎 추출물 30 중량부, 주정 알코올 70 중량부. 증류수 30 중량부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5 중량부의 혼합비율로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한 후 주정 알코올, 증류수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하여 혼합한다.
이후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섬유 탈취제를 완성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추출된 편백수 및 편백오일의 혼합비율은 1:40으로 조성하여 편백잎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추출된 편백수 및 편백오일의 혼합비율은 1:60으로 조성하여 편백잎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4.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추출된 편백수 및 편백오일의 혼합비율은 1:80으로 조성하여 편백잎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5.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레몬잎 추출물 0.08 중량부 기준으로 편백잎 추출물 30 중량부, 백차잎 추출물 30 중량부, 주정 알코올 70 중량부. 증류수 30 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5 중량부 및 테르펜(terpene) 0.08 중량부의 혼합비율로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한 후 주정 알코올, 증류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테르펜(terpene)을 추가하여 혼합한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레몬잎 추출물 0.08 중량부 기준으로 편백잎 추출물 30 중량부, 백차잎 추출물 30 중량부 및 변성 알코올 70 중량부의 혼합비율로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한 후 변성 알코올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으며, 레몬잎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았다.
참고예 1. 알코올 종류에 따른 섬유 탈취제의 선호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탈취제의 향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변성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의 향과 주정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의 향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섬유 탈취제는 제조예 3의 주정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과 비교예 1의 변성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된 것이며, 평가는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아질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시료 향 선호도
비교예 1 3.92±0.51
제조예 3 5.17±0.28
평가 결과, 비교예 1의 향 선호도보다 제조예 3의 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에서 자극적인 아세톤 냄새로 거부감이 들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제조예 3에서는 상대적으로 자극적인 냄새가 없어 사용하기 무난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변성 알코올은 공업용 알코올을 음용으로 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알코올에 변성제로서 독성이나 냄새가 강한 화합물을 첨가한 것으로, 변성제로서는 메탄올, 벤젠 및 벤진을 비롯하여 많은 화합물이 사용된다.
주정 알코올은 무색의 유동성 액체로서, 특유의 방향과 자극성을 갖고 있으나 독성은 없으며, 에탄올(ethanol),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그래인 알코올(grain alcohol) 및 에틸(ethyl) 수산화물 등으로 불린다.
주정 알코올은 곡물(쌀, 보리 및 옥수수)과 서류(고구마, 감자 및 타피오카) 등이 함유되어 있는 전분질을 미생물이나 효소 등으로 당화시켜 발효성 당으로 변화시킨 후 발효공정을 거쳐 생산되며, 원료는 크게 전분질 원료와 당질 원료로 구분된다.
즉, 변성 알코올에는 냄새를 좋지 않게 만드는 성분이 추가되므로 주정 알코올이 사용되어 제조된 섬유 탈취제보다 변성 알코올이 사용되어 제조된 섬유 탈취제가 알코올 향이 강해 향 선호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고예 2. 편백오일과 편백수의 조성비율에 따른 선호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편백오일과 편백수의 조성비율에 따른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섬유 탈취제의 휘발성, 탈취능, 보습감 및 향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섬유 탈취제는 제조예 1의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2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 제조예 2의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4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 제조예 3의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6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 및 제조예 4의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8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이며, 평가는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휘발성, 탈취능, 보습감 및 향 선호도는 점수가 높아질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시료 휘발성 탈취능 보습감 향 선호도
제조예 1 5.78±0.09 5.08±0.65 5.64±0.77 6.74±0.54
제조예 2 5.97±0.46 4.95±0.58 5.79±0.63 6.72±0.28
제조예 3 6.11±0.17 4.57±0.63 5.95±0.61 6.70±0.77
제조예 4 6.21±0.12 4.01±0.21 5.11±0.47 6.69±0.88
평가 결과, 휘발성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및 제조예 4의 순으로 평가되어, 제조예 4의 휘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조예 4는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8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섬유 탈취제에 비해 편백수의 비율이 높아 휘발성이 우수하여 잔여감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탈취능은 제조예 4, 제조예 3, 제조예 2 및 제조예 1의 순으로 평가되어, 제조예 1의 탈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조예 1은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2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섬유 탈취제에 비해 편백오일의 비율이 높아 탈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습감은 제조예 4,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순으로 평가되어, 제조예 3의 보습감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조예 3은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6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것으로, 보습과 진정효과가 있는 편백수와 보습효과가 있는 편백오일이 1:60의 비율로 혼합되었을 때 보습감이 가장 높게 느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 선호도는 제조예 4, 제조예 3, 제조예 2 및 제조예 1의 순으로 평가되어, 제조예 1의 향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조예 1은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2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섬유 탈취제에 비해 편백오일의 비율이 높아 향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휘발성, 탈취능, 보습감 및 향 선호도를 종합하여 보면, 편백오일과 편백수를 1:60의 비율로 조성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의 선호도가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참조예 3. 탈취제 추가에 따른 탈취능 선호도 평가
본 발명의 추가되는 탈취제에 따른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섬유 탈취제의 탈취능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섬유 탈취제는 제조예 3의 추가적으로 탈취제를 사용하지 않은 섬유 탈취제 및 제조예 5의 추가적으로 탈취제를 사용하는 섬유 탈취제이며, 평가는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아질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시료 탈취능
제조예 3 6.14±0.77
제조예 5 6.46±0.63
평가 결과, 제조예 3의 탈취능보다 제조예 5의 탈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백차잎 추출물의 탈취효과와 추가되어 첨가된 탈취제의 탈취효과로 인해 탈취효과가 강화되어 제조예 5의 탈취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참조예 4. 레몬잎 추출물에 따른 민감성 및 향 선호도 평가
본 발명의 레몬잎 추출물에 따른 선호도를 평가하기 위해 섬유 탈취제의 민감성 및 향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섬유 탈취제는 제조예 3의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 탈취제 및 비교예 2의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지 않는 섬유 탈취제이며, 평가는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평가는 7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민감성은 점수가 높아질수록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설정하였고, 향 선호도는 점수가 높아질수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하였다.
시료 민감성 향 선호도
제조예 3 3.24±0.77 6.74±0.54
비교예 2 4.98±0.25 3.21±0.97
평가 결과, 제조예 3보다 비교예 2가 피부에서의 민감성이 더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 선호도 역시 비교예 2보다 제조예 3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레몬잎 추출물은 보습 효과와 피부 진정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섬유에 사용하였을 때 피부에서의 민감성을 감소시켜주며, 레몬 향을 통해 알코올 향이 중화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레몬잎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섬유 탈취제보다 레몬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섬유 탈취제의 민감성 완화 및 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6)

  1.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편백잎, 레몬잎 및 백차잎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상기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각각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혼합하고 주정 알코올 및 탈취제를 추가하여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되,
    상기 편백잎 추출물은 편백오일과 편백수가 1:60으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에서, 혼합비율은 레몬잎 추출물 0.08 중량부, 편백잎 추출물 30 중량부, 백차잎 추출물 30 중량부, 주정 알코올 70 중량부 및 탈취제 0.08 중량부이며,
    상기 탈취제는 테르펜(terpene)류, 폴리페놀(polyphenol)류, 갈릭산(gallic acid),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알칼로이드(alkaloid), 후라보노이드(Flavonoid) 및 수산화프로필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beta-cyclodext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탈취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섬유 탈취제.
KR1020150116176A 2015-08-18 2015-08-18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76A KR101779007B1 (ko) 2015-08-18 2015-08-18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76A KR101779007B1 (ko) 2015-08-18 2015-08-18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92A KR20170021592A (ko) 2017-02-28
KR101779007B1 true KR101779007B1 (ko) 2017-09-20

Family

ID=5854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176A KR101779007B1 (ko) 2015-08-18 2015-08-18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0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988B1 (ko) * 2021-02-17 2021-08-23 주식회사 디노보 침구용 살균 탈취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673B1 (ko) * 2016-11-21 2019-04-08 에이디인터내셔날㈜ 항균탈취 조성물
KR101980165B1 (ko) * 2016-12-02 2019-05-20 주식회사 불스원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KR20180064643A (ko) * 2016-12-06 2018-06-15 김종철 천연식물 추출물로 만들어진 섬유향수
KR101901297B1 (ko) * 2016-12-29 2018-09-28 (주)금천 한방 약재를 이용한 정신 안정 및 숙면 유도 기능이 있는 정유향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596B1 (ko) * 2017-04-12 2018-07-18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편백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0295B1 (ko) * 2018-11-27 2019-03-20 황민지 탈취 또는 먼지 흡착 방지용 조성물
KR102300243B1 (ko) * 2019-11-21 2021-09-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242B1 (ko) * 2019-11-21 2021-09-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40B1 (ko) *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91985B1 (ko) * 2021-02-17 2021-08-23 주식회사 디노보 인체에 안전한 모기 기피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513A (ko) 2010-03-25 2011-10-04 김오겸 식물 정유를 이용한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897B1 (ko) 2013-02-08 2014-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냄새제거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988B1 (ko) * 2021-02-17 2021-08-23 주식회사 디노보 침구용 살균 탈취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92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007B1 (ko)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8162B1 (ko)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260371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KR101869492B1 (ko) 침향을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방법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KR102227273B1 (ko) 세정 및 코팅기능이 강화된 그래핀이 포함된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KR102183861B1 (ko)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571344B1 (ko)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6531B1 (ko)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집먼지진드기 살비용 조성물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1385257B1 (ko) 탈취용 조성물
KR102229621B1 (ko) 친환경 목화섬유를 함유한 담배필터 및 그 제조방법
US11406588B2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comprising a 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Opuntia ficus extract or persimmon juice
CN101878787A (zh) 一种天然驱蚊香粉及其使用方法
KR10254037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KR102228735B1 (ko)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1560672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 악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206567A (ja) 健康的コラーゲン化粧品
KR102512244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3369B1 (ko)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KR102276638B1 (ko) 편백유와 편백수를 함유하는 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