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165B1 -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165B1
KR101980165B1 KR1020160163739A KR20160163739A KR101980165B1 KR 101980165 B1 KR101980165 B1 KR 101980165B1 KR 1020160163739 A KR1020160163739 A KR 1020160163739A KR 20160163739 A KR20160163739 A KR 20160163739A KR 101980165 B1 KR101980165 B1 KR 101980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oilet
composition
delete delete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683A (ko
Inventor
윤세영
신나라
이근순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to KR102016016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1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용수 수상에 피막을 형성하여 분변의 악취가 화장실 내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forming a film of toilet water}
본 발명은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용수 수상에 피막을 형성하여 분변의 악취가 화장실 내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신축시 화장실을 가장 쉽고 편리하고 깨끗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거 공간 내에 설치하게 되었으며, 이제 화장실은 단순 배설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휴식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그 이용의 편의성과 더불어 쾌적성이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최근 화장실의 편의성은 크게 향상된 반면 작고 밀폐된 공간인 화장실의 최대 문제점은 용변시 퍼져나가는 악취로서 이는 화장실의 쾌적함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분변의 원인 물질로는 그의 배출원에 따라 상이하나, 이산화황, 황화수소, 메르캅탄, 알킬술피드 등의 황 함유 화합물, 암모니아, 질산염 등의 질소화합물, 메틸아민과 같은 아민류, 알데히드, 인돌류, 펩톤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황함유 화합물과 질소화합물이 가장 큰 악취의 원인이다.
한편, 악취 제거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환풍기를 설치하여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화장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난 후 일반 방향제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악취 제거 방법으로는 활성탄이나 실리카겔, 제올라이트와 같은 다공성 물질에 흡착시키는 물리적 처리법, 산화제 등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분해시키는 화학적 방법,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법, 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을 병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상술한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67849는 탈취 방향제에 관한 것으로, 글리신 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취부 및 천연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방향부의 이중으로 구성됨으로써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고, 화장실 등 악취의 근본적인 제거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상이 분리 제조되어 탈취제에 의한 방향효과의 저하 없이 우수한 탈취와 방향의 이중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탈취 방향제를 제공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47416는 분말상 또는 액상 악취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황산제1철, 황산제2철, 과망간산칼륨 및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악취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악취 제거용 조성물은 이미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확산된 후에 비로서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더욱이 공기 중에 분사되기 때문에 화장실 내부에 이미 퍼진 악취를 모두 제거하거나 원천적으로 봉쇄하기란 쉽지가 않았다. 또한, 이미 퍼진 악취를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조성물 자체의 향기가 강렬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조성물 자체의 강렬한 향기가 악취가 뒤섞여 더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여, 화장실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음 화장실 사용자 역시 남아 있는 악취로 인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변기 내 분변의 악취가 화장실 내로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은 변기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변기사용자 및 다음 변기사용자에게 분변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주지 않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현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현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현예" 또는 "구현예"에 대한 본 명세서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현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현예에서" 또는 "구현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발명의 동일한 구현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향료; (b)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c) 하나 이상의 에멀젼 안정화제(emulsion stablizer)를 포함하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을 용변 전에 변기용수 위에 분사 시, 피막을 형성하여 분변 악취의 확산을 차단하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향료는 2 ~ 3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는 0.5 ~ 10 중량%;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0.01 ~ 1 중량; 및 용매 잔부를 포함하는 상기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이 변기용수에 잘 침투되고, 변기용수 위에 빠르게 피막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향료는 아로마 화합물 및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환형 카보네이트인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로마 화합물은 휘발성 향기 물질로서 합성 화합물 또는 천연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화합물은 레몬그라스 오일, 큐민오일, 마조람 오일, 바질오일, 클로버오일, 베이오일, 베르가못 오일, 마조람 오일, 피톤치드 오일, 타임,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성 및 양쪽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지방산디에탄올아민,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폴리옥시캐스톨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수중유형에멀젼(oil in water emulsion)타입으로하여 상기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변기용수 내 분변의 악취가 변기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변기용수 위에 피막이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검(gum)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로 상기 검류는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산탄검, 카라야검, 로커스트콩검, 디우탄검, 크산탄검, 구아검, 한천, 알긴산, 카라기난, 덱스트란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용변 전에 변기 내 변기용수 위로 상기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용수 위에 피막을 형성하여 변기 내 분변의 악취가 화장실 내로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 외부 공간으로 향을 확산시킬 수 있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실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변기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음 변기사용자에게 분변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이 담긴 분사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향료; (b)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c) 하나 이상의 에멀젼 안정화제(emulsion stablizer)를 포함하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을 용변 전에 변기용수 위에 분사 시, 피막을 형성하여 분변 악취의 확산을 차단하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향료는 변기 외부로 퍼져나가 화장실의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향료는 아로마 화합물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아로마 화합물은 휘발성 향기 물질로서 합성 화합물 또는 천연 화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로는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환형 카보네이트의 유기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로마 화합물은 향료 총 중량의 50 중량 %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화합물은 레몬그라스 오일, 큐민오일, 마조람 오일, 바질오일, 클로버오일, 베이오일, 베르가못 오일, 마조람 오일, 피톤치드 오일, 타임 오일, 라벤더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몬그라스 오일인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유화시스템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이 변기용수 위에 분사 시, 피막을 빠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향료는 2 ~ 3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는 0.5 ~ 10 중량%;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0.01 ~ 1 중량; 및 용매 잔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조성비로 혼합 시 본 발명의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은 변기용수에 잘 침투되고, 변기용수 위에 피막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예서, 상기 향료가 2 중량% 미만일 경우, 향의 양이 너무 적어 화장실의 방향효과를 가지기 어렵고 변기용수 수상에 피막을 형성하기 부족하며, 반면 30 중량% 초과할 경우,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유화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0.5 중량% 미만인 경우, 오일을 충분히 유화시키기 어렵고, 반면 10 중량%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것이 되어 가용화되므로 효율적으로 피막을 형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상기 향료가 변기용수 내에 포집되어 외부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0.01% 중량% 미만일 경우, 유화시스템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1 중량% 초과할 경우, 점도가 과하게 상승되어 분사용액으로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성 및 양쪽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이 친수성이 강하고 소량으로도 물의 침투력, 유화 분산력 및 기포력이 강하여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지방산디에탄올아민,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폴리옥시캐스톨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수중유형에멀젼(oil in water emulsion)타입으로하여 상기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변기용수 내 분변의 악취가 변기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변기용수 위에 피막이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에멀젼 안정화제는 검(gum)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로 상기 검류는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산탄검, 카라야검, 로커스트콩검, 디우탄검, 크산탄검, 구아검, 한천, 알긴산, 카라기난, 덱스트란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용변 전에 변기 내 변기용수 위로 상기 조성물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조성물을 분사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하기 용이하며 간편하고, 상기 조성물이 분변과 함께 외부로 흘러 보내짐으로써, 분변의 악취가 변기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향료에 의하여 향이 방출되어 쾌적한 화장실을 만들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은 변기사용자 및 다음 변기사용자에게 분변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1 ]
10 중량%의 레몬그라스 오일(lemon grass oil) 20 g, 5 중량%의 계면활성제 혼합물(surfactant mixture) 10 g, 0.1 중량%의 검 혼합물(gum mixture) 0.2 g 및 정제수를 혼합 후, O/W에멀젼화하여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1 ]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분사기에 담아 준비하였다. 이의 사진을 도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1 ]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일반 분사 탈취제(페브리즈 화장실용 에어 상쾌한 하늘향, 한국 P&G)를 준비하였다.
[ 실험예 1] 관능 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변기 내 분변의 악취에 대한 관능 평가를 위하여, 용변 전에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변기용수 위에 분사 후, 분변의 악취가 어느 정도 인지를 관능 시험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5등급으로 점수를 매겨 3회 실시 후, 그 평균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남녀 17명의 패널에 의해 2주간 사용 후,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
5: 전혀 악취가 나지 않음
4: 악취가 나지 않음
3: 보통
2: 악취가 남
1: 악취가 심함
구분 평가 평균 점수
실시예 1 4.53
비교예 1 3.4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은 관능 평가 결과 17명의 패널의 평균 평가 점수가 4.53점으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반면, 일반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탈취제인 비교예 1은 3.41점으로 매우 낮은 평가 결과를 받았다.
[ 실험예 2] 만족도 평가 결과
상기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이용에 있어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용변 전에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변기용수 위에 분사 후, 변기를 사용하게 하였다. 각 패널의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만족도를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5등급으로 점수를 매겨 그 평균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17명의 패널에 의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기준
5: 매우 만족
4: 만족
3: 보통
2: 불만족
1: 매우 불만족
구분 평가 평균 점수
실시예 1 4.29
비교예 1 3.35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은 만족도 평가 결과 17명의 패널의 평균 평가 점수가 4.29점으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반면, 일반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탈취제인 비교예 1은 3.35점으로 매우 낮은 평가 결과를 받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2)

  1. 용변 전 변기 내 변기용수 위에 분사하여, 용변 후 상기 변기용수에서 부유하는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a) 휘발성 향기 물질로서 합성 화합물 또는 레몬그라스 오일, 큐민오일, 마조람 오일, 바질오일, 클로버오일, 베이오일, 베르가못 오일, 마조람오일, 피톤치드오일, 타임오일, 라벤더오일, 유칼립투스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 화합물인 아로마 화합물 및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환형 카보네이트인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항료 2 ~ 30 중량%;
    (b)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지방산디에탄올아민,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폴리옥시캐스톨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양이온계, 음이온계 및 양쪽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0.5 ~ 10 중량%;
    (c) 수중유형에멀젼(oil in water emulsion)타입으로 하여 분변 악취 차단용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키는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산탄검, 카라야검, 로커스트콩검, 디우탄검, 크산탄검, 구아검, 한천, 알긴산, 카라기난, 덱스트란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검(gum)류인 에멀젼 안정화제(emulsion stablizer) 0.01 ~ 1 중량; 및
    용매 잔부를 포함하는,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63739A 2016-12-02 2016-12-02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KR101980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39A KR101980165B1 (ko) 2016-12-02 2016-12-02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39A KR101980165B1 (ko) 2016-12-02 2016-12-02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83A KR20180063683A (ko) 2018-06-12
KR101980165B1 true KR101980165B1 (ko) 2019-05-20

Family

ID=6262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39A KR101980165B1 (ko) 2016-12-02 2016-12-02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72B1 (ko) * 2019-10-22 2020-07-07 한국화학연구원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5811A (zh) * 2019-05-31 2019-07-19 深圳市润贝化工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航空厕所除臭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808B2 (ja) 2000-01-24 2003-10-20 松下電工株式会社 消臭剤
JP2014069064A (ja) 2012-10-01 2014-04-21 Dentoro Chem:Kk 天然系由来の成分からなる消臭効果、消臭持続性、安全性に優れた消臭製品
KR101407051B1 (ko) 2013-01-14 2014-06-1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5978A (ja) * 1995-03-08 1996-09-24 M T I:Kk 液状組成物
JPH11292710A (ja) * 1998-04-03 1999-10-26 T Pooru Kk 殺菌剤組成物
KR20050034271A (ko) * 2003-10-09 2005-04-14 (주)파이온텍 천연 추출물, 나노실버 및 천연 에센셜오일을 함유한항균제 조성물
KR20080089893A (ko) * 2007-04-03 2008-10-08 주식회사 해처럼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
AU2015202610A1 (en) * 2014-05-30 2015-12-17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Deodorant antiperspirant compositions
KR101779007B1 (ko) * 2015-08-18 2017-09-20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808B2 (ja) 2000-01-24 2003-10-20 松下電工株式会社 消臭剤
JP2014069064A (ja) 2012-10-01 2014-04-21 Dentoro Chem:Kk 天然系由来の成分からなる消臭効果、消臭持続性、安全性に優れた消臭製品
KR101407051B1 (ko) 2013-01-14 2014-06-12 양주시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72B1 (ko) * 2019-10-22 2020-07-07 한국화학연구원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83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101B2 (ja) 消臭剤
KR101980165B1 (ko)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JP2008001700A (ja) 潮解性物質を含むフレグランス含有組成物
KR102154930B1 (ko) 탈취성과 항균성을 갖는 분무식 공기정화기용 공기정화제
KR20180118403A (ko) 편백 오일을 주원료로 한 에어컨/차량용 등 다목적 용도의 천연 탈취제 및 방향제
JP6441186B2 (ja) 消臭スプレー
JPH067415A (ja) 消臭剤
JP5357369B2 (ja) 介護臭用消臭剤
US1158360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unpleasant odors
US9572906B2 (en) Composition for reducing toilet odor containing polypropylene glycol as a reactive gas barrier
JP4782478B2 (ja) 香料組成物
JP6733066B1 (ja) ゴム臭気消臭用組成物及びゴム臭気の消臭方法
JP2004105244A (ja) 徐放性消臭コート剤
JP2007031605A (ja) 香料組成物
JP6733067B1 (ja) ゴム臭気消臭用組成物及びゴム臭気の消臭方法
JP2021040701A (ja) 消臭剤組成物
JP2003019190A (ja) ペット排泄物用消臭剤
JPH04193278A (ja) シェーバー用消臭剤
DE69722597T2 (de) Aerosolbehälter mit flüssigem treibmittel zum parfümieren von umgebungsluft
JPH067417A (ja) 消臭剤
JP2023089788A (ja) 玄関又はトイレの壁紙賦香用の香料、揮散器、及び玄関又はトイレの壁紙を賦香する方法
JPH05269186A (ja) 消臭剤
KR20010106851A (ko) 바디 파우더 조성물
JP2941967B2 (ja) シェーバー用スプレー消臭剤
RU2085216C1 (ru) Освежитель воздух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