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72B1 -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 Google Patents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72B1
KR102130972B1 KR1020190131128A KR20190131128A KR102130972B1 KR 102130972 B1 KR102130972 B1 KR 102130972B1 KR 1020190131128 A KR1020190131128 A KR 1020190131128A KR 20190131128 A KR20190131128 A KR 20190131128A KR 102130972 B1 KR102130972 B1 KR 10213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deodorant
o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홍찬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는 클로버 잎 오일 및 파인니들 오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주위 악취 성분을 분해하여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환경 시설, 산업 시설, 생활 시설 등의 다양한 장소 및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것은 물론 환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Deodorant composition and deodorant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취제는 악취를 제거하거나 저감하는 약제를 말하며, 크게 염화칼슘, 포르말린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화학적 탈취제 또는 활성탄 등과 같이 흡착 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한 물리적 탈취제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악취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의 자극성이 있는 물질 등의 악취 성분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의미한다.
그러나 탈취제의 원료로서 용도가 한정되는 고상의 활성탄이나 인체에 유독성을 갖는 방향성 화학물질의 사용은 감소되어야 하며, 천연 재료를 원료로 하여 인체에 무해한 탈취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미흡한 것인 사실이며, 대규모로 발생하는 악취의 경우 현실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적이다.
구체적으로,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축사 악취 민원은 595 개소 중에서 돼지 축사의 경우가 206 개소로 가장 많았고, 한우 축사의 경우가 137 개소, 닭 축사의 경우가 57 개소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민권익위원회는 지자체, 한국환경공단과 축사 악취 민원 595 개소에 대한 합동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해 시행해 줄 것을 권고하였다. 개선 방안의 유형별로는 축사 폐업 및 이전이 69 개소이었고, 축사 시설개선 및 밀폐 등을 통한 악취 발생 저감이 198 개소였으며, 악취억제제 살포 및 행정지도가 460 개소 등이었다.
따라서 악취 발생을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나, 종래까지 연구된 악취 억제 방법으로는 대규모 악취 발생지로부터 악취를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대안이 뚜렷하게 없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9461호에는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친환경 소취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포름알데히드 소취율을 가지는 오일과 암모니아 소취율을 가지는 오일을 10~45:55~9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향료에서 흔히 사용하는 천연 오일로만 구성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또한 천연 정유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소취 효과뿐만 아니라 방향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37148호에는 주원료로서 엄나무, 행정피나무, 제피나무, 동백나무, 오갈피나무, 누릅나무, 매실, 당귀, 감초, 황기, 대추나무, 천궁, 약쑥 등과 같은 한약재를 포함하는 천연 재료를 사용한 액상의 탈취제가 개시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9461호에는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친환경 소취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소취제 조성물은 포름알데히드 소취율을 가지는 오일과 암모니아 소취율을 가지는 오일을 10~45:55~9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향료에서 흔히 사용하는 천연 오일로만 구성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포름알데히드와 암모니아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정유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소취 효과뿐만 아니라 방향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이러한 탈취제들은 탈취 특성에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탈취제들은 각 악취 성분들을 분해하여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없거나 미흡하며, 빠른 시간 내에 탈취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 나아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매우 부족하며,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어려워 용도 및 장소에 제한적인 한계가 있다.
현재까지 항균 및 살균 특성이 우수한 고상의 탈취제는 많이 연구되었으나, 탈취 대상에 분무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분무용 탈취 조성물은 분사가 용이하도록 그 형상이 액상이어야 하므로, 탈취 특성이 우수한 고상 탈취제에 사용되는 물질은 적용성에 제한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규모뿐만 아니라 대규모 악취 근원지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분무용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한 탈취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946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371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 악취 성분을 분해하여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 시설, 산업 시설, 생활 시설 등의 다양한 장소 및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것은 물론 환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은 클로버 잎 오일 및 파인니들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및 아네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오렌지 오일 및 유칼립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클로버 잎 오일 3 내지 30 중량% 및 파인니들 오일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클로버 잎 오일 3 내지 30 중량%, 파인니들 오일 10 내지 60 중량%, 캠퍼 1 내지 15 중량%, 보르네올 1 내지 15 중량%,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1 내지 15 중량% 및 아네톨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클로버 잎 오일 3 내지 30 중량%, 파인니들 오일 10 내지 60 중량%, 캠퍼 1 내지 15 중량%, 보르네올 1 내지 15 중량%,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1 내지 15 중량%, 아네톨 1 내지 15 중량%, 오렌지 오일 5 내지 50 중량% 및 유칼립톨 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잔량의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액상으로 분무하는 분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무는 50 내지 80 중량% 농도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상으로 분무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무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이 0.05 내지 2 ㎛의 입자크기로 분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는 주위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 성분을 분해하여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는 환경 시설, 산업 시설, 생활 시설 등의 다양한 장소 및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는 인체에 무해한 것은 물론 환경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단수 형태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의 단위는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은 클로버 잎 오일(Gugenia caryyophyllus leaf oil, CAS# 8015-97-2) 및 파인니들 오일(Abies sibirica oil, CAS# 8021-29-2)을 포함한다. 이를 만족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성분들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악취를 덮는 수준의 종래 방향제와는 달리,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이산화황(SO2), 트리메틸아민 및 메르캅탄계 화합물 등의 주요 악취 성분들을 직접적으로 분해하여 제거하여 악취 성분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악취를 없앨 수 있다.
클로버 잎 오일 및 파인니들 오일의 사용 함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효과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는 조성비의 일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클로버 잎 오일 10 내지 50 중량% 및 파인니들 오일 50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클로버 잎 오일 3 내지 30 중량% 및 파인니들 오일 10 내지 60 중량%, 더 구체적으로 클로버 잎 오일 5 내지 20 중량% 및 파인니들 오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후술하는 성분 및/또는 용매가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캠퍼(Camphor), 보르네올(Borneol),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Isobirnyl acetate) 및 아네톨(Anethol)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만족할 경우, 상기 주요 악취 성분들의 분해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으며, 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및 아네톨이 모두 포함될 경우, 상기 주요 악취 성분들을 15 분 내에 평균 91% 이상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 조성물에 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또는 아네톨이 더 포함될 경우, 이의 사용 함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효과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는 조성비의 일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캠퍼 1 내지 15 중량%, 보르네올 1 내지 15 중량%,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1 내지 15 중량% 및 아네톨 1 내지 15 중량%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캠퍼 2 내지 10 중량%, 보르네올 1 내지 10 중량%,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2 내지 10 중량% 및 아네톨 1 내지 10 중량%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오렌지 오일(Citurs aurantium dulcis peel oil, CAS# 8008-57-9) 및 유칼립톨(Eucalyptus globulus leaf oil, CAS# 8000-48-4)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만족할 경우, 상기 주요 악취 성분들의 분해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고, 오렌지 오일 및 유칼립톨이 모두 포함될 경우, 상기 주요 악취 성분들의 분해 효율이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매우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클로버 잎 오일, 파인니들 오일, 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아네톨, 오렌지 오일 및 유칼립톨을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주요 악취 성분들을 15 분 내에 평균 95% 이상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 조성물에 오렌지 오일 또는 유칼립톨이 더 포함될 경우, 이의 사용 함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효과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는 조성비의 일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오렌지 오일 5 내지 50 중량% 및 유칼립톨 3 내지 30 중량%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오렌지 오일 10 내지 40 중량% 및 유칼립톨 5 내지 20 중량%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선에서 유제놀(Eugen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성분들과 함께 유제놀을 더 포함할 경우, 악취 주요 성분인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이산화황(SO2), 트리메틸아민 및 메르캅탄계 화합물 등의 분해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이 클로버 잎 오일, 파인니들 오일 및 유제놀을 포함할 경우, 유제놀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대비 상기 악취 주요 성분들의 분해 효율이 20% 이상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이 클로버 잎 오일, 파인니들 오일, 유제놀, 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아네톨, 오렌지 오일 및 유칼립톨을 모두 포함할 경우 상기 악취 주요 성분들을 15 분 내에 평균 97% 이상 분해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유제놀을 더 포함할 경우, 그 사용 함량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을 정도로 사용되면서 전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정도라면 무방하며, 일 예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2 내지 10 중량%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취제용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잔량의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조성물에 일정 농도로 물이 희석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유기용매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성물에 일정 농도로 물이 희석되어 사용될 경우, 이의 농도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일 예로 40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50 내지 8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60 내지 70 중량%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제형의 형태는 액상, 고상, 유동성을 가지는 반고상 등의 다양한 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상인 것이 분무 수단을 통하여 조성물의 단위 중량당 보다 넓은 용적에 적용하여 분해 및 제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은 물론, 미세먼지 저감 효과 측면에서도 좋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발명은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액상으로 분무하는 분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분무는 조성물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고, 소정의 농도로 물에 희석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40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50 내지 8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60 내지 70 중량%의 농도로 포함하는 수용액 상으로 분무될 수 있다. 상기 분사 장치의 구체적 예로는 프레쉬탑(fresh top) 분사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이 분무 수단을 통해 사용될 경우, 분무 입자크기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서브마이크론(Sub micron) 단위, 예를 들어 0.05 내지 2 ㎛, 구체적으로, 0.1 내지 1 ㎛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전술한 효과들을 더 잘 구현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일 예로 설명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이 분무 수단을 통해 사용될 경우, 분무 유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 25℃ 및 1 atm 기준 0.1 내지 5 ℓ/hr, 구체적으로 0.125 내지 0.25 ℓ/hr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분무 장치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 및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일 예로, 환경 기초 시설, 하수 처리 시설, 쓰레기 처리 시설, 음식물 자원화 시설 등의 환경 시설; 농/축/수산물 제조 유통 시설, 축사/도축 시설, 퇴비 사료 제조 시설, 식품 가공 시설, 금속 가공/제조 시설, 석유/화학 제품 제조 시설, 고무/아스팔트/플라스틱 제조 시설, 펄프 제지 제조 시설, 직조/가죽 제품 제조 시설, 재생 처리 시설, 인쇄/페인트 제조 시설, 가스 취급 제조 시설 등의 산업 시설; 음식점, 병원, 호델, 극장, 체육 시설, 리조트, 세탁 시설, 인쇄 시설, 레스토랑, PC방, 다중 이용 시설, 기타 냄새 발생 시설 등의 생활 시설;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적합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각 성분들을 25℃ 1 atm에서 10 분 동안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충분히 혼합하여 탈취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탈취용 액상 조성물의 농도가 70 중량%가 되도록 물로 희석한 후, 0.5 ㎛의 입자로 분무시키는 프레쉬탑(fresh top)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이산화황(SO2), 트리메틸아민 및 메르캅탄계 화합물에 대한 각각의 악취 가스의 제거율을 측정하고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악취 성분의 제거율 측정 실험은 KS M 0027의 기준에 따라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25℃ 및 상대습도 53%에서 각 성분의 검출 질량을 측정하여 실시되었으며, 분무 후 15 분이 경과된 후에 측정되었다. 또한 제거율(%)은 [(최초 가스농도-측정 가스농도)/최초 가스농도]×100로 계산되었다.
상기 프레쉬탑 분사 장치의 구체적 제원은, 크기 : 400 ×450 × 800 mm, 중량 : 40 kg, 조성물 탱크 용량 : 5 ℓ, 분무 풍량 : 100~180 m3/hr, 전원 : 220 V, 60Hz, 소비전력 : 100 W이다.
하기 표 1의 실시예 2 항목에 대한 성분 함량으로 탈취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즉, 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및 아네톨을 더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악취 가스의 제거율을 측정하고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실시예 3 항목에 대한 성분 함량으로 탈취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즉, 오렌지 오일 및 유칼립톨을 더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용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악취 가스의 제거율을 측정하고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kg)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클로버 잎 오일 11.0 11.0 11.0 11.0 - 11.0
파인니들 오일 31.5 31.5 31.5 31.5 31.5 -
캠퍼 - 5.0 5.0 5.0 5.0 5.0
보르네올 - 3.2 3.2 3.2 3.2 3.2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 5.0 5.0 5.0 5.0 5.0
아네톨 - 3.8 3.8 3.8 3.8 3.8
오렌지 오일 - - 24.0 24.0 24.0 24.0
유칼립톨 - - 12.0 12.0 12.0 12.0
유제놀 - - - 4.5 - -
악취 성분 15 분 후 제거율(%)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황화수소 69 85 91 96 59 53
암모니아 78 93 96 99 67 61
이산화황 86 95 98 100 75 72
트리메틸아민 84 91 93 95 64 57
메르캅틴계 화합물 85 94 97 100 83 77
상기 표 2에서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은 악취 성분의 제거율이 평균 약 80%였으며, 실시예 1 대비 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및 아네톨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2는 악취 성분의 제거율이 평균 91% 이상으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보다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대비 오렌지 오일 및 유칼립톨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3은 악취 성분의 제거율이 평균 95% 이상으로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보다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3 대비 유제놀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4는 악취 성분의 제거율이 평균 98% 이상으로 실시예 3과 비교하여 보다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클로버 잎 오일 또는 파인니들 오일이 제외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악취 성분의 제거율 64~69% 정도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클로버 잎 오일 및 파인니들 오일을 포함하고,
    캠퍼, 보르네올,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및 아네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클로버 잎 오일 3 내지 30 중량%, 상기 파인니들 오일 10 내지 60 중량%, 상기 캠퍼 1 내지 15 중량%, 상기 보르네올 1 내지 15 중량%, 상기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1 내지 15 중량% 및 상기 아네톨 1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오렌지 오일 및 유칼립톨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오렌지 오일 5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유칼립톨 3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잔량의 물을 더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8.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탈취제.
  9.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탈취용 조성물을 액상으로 분무하는 분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는 50 내지 80 중량% 농도로 상기 탈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상으로 분무되도록 하는 분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는 상기 탈취용 조성물이 0.05 내지 2 ㎛의 입자크기로 분무되는 것인 분사장치.
KR1020190131128A 2019-10-22 2019-10-22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KR10213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28A KR102130972B1 (ko) 2019-10-22 2019-10-22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28A KR102130972B1 (ko) 2019-10-22 2019-10-22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972B1 true KR102130972B1 (ko) 2020-07-07

Family

ID=7160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28A KR102130972B1 (ko) 2019-10-22 2019-10-22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218B1 (ko) * 2022-06-03 2023-07-07 한국화학연구원 아스콘 탈취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콘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82A (ja) * 1996-06-03 1997-12-09 Kao Corp 消臭剤組成物
KR100337148B1 (en) 2001-07-20 2002-05-18 Cng Co Ltd Deodorant fabricated using medicinal herb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4167218A (ja) * 2002-10-28 2004-06-17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剤組成物
KR20150019461A (ko) 2013-08-14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시스템 및 그것의 구동 정지 방법
WO2016049389A1 (en) * 2014-09-26 2016-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lodor reduction compositions
JP2016131495A (ja) * 2015-01-15 2016-07-25 ライオン商事株式会社 尿臭消臭剤
KR101980165B1 (ko) * 2016-12-02 2019-05-20 주식회사 불스원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582A (ja) * 1996-06-03 1997-12-09 Kao Corp 消臭剤組成物
KR100337148B1 (en) 2001-07-20 2002-05-18 Cng Co Ltd Deodorant fabricated using medicinal herb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4167218A (ja) * 2002-10-28 2004-06-17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剤組成物
KR20150019461A (ko) 2013-08-14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시스템 및 그것의 구동 정지 방법
WO2016049389A1 (en) * 2014-09-26 2016-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lodor reduction compositions
JP2016131495A (ja) * 2015-01-15 2016-07-25 ライオン商事株式会社 尿臭消臭剤
KR101980165B1 (ko) * 2016-12-02 2019-05-20 주식회사 불스원 분변의 악취 확산 차단을 위한 변기용수 피막형성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218B1 (ko) * 2022-06-03 2023-07-07 한국화학연구원 아스콘 탈취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콘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775B1 (ko) 친환경 살균 및 탈취제의 조성물
CN105435280B (zh) 一种高效植物除臭剂的制备方法
US20060228323A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removing noxious materials malodors and microbes, and methods of use and preparation thereof
CN106729862A (zh) 一种乳化型空气净化凝胶及其制备方法
CN105343918A (zh) 一种含贝壳粉的除臭剂
CN108144417A (zh) 多效环保除味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130972B1 (ko) 탈취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CN105311660A (zh) 一种具备抑菌杀菌作用的植物源除臭剂
CN105597126A (zh) 一种植物源消毒除臭剂
CN109569269A (zh) 一种蓖麻油酸锌生物酶复合型除味剂及制备方法
CN109569245A (zh) 一种天然植物源环保除臭剂及其制备方法
JP2005089414A (ja) 抗菌消臭処理用泡沫状エアゾール組成物、それを用いた抗菌消臭処理エアゾールスプレー、及び抗菌消臭処理方法
WO2010117307A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реды путем насыщения ее полезными веществами, выделяемыми растения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5032178A (zh) 纳米本草甲醛有机除味剂
JP5394629B2 (ja) 噴霧用消臭・芳香剤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噴霧式消臭・芳香器
CN101954106A (zh) 环保型室内外除臭剂
EP1128852B1 (en) Spray containing amphoteric material to reduce unpleasant odours
CN100439461C (zh) 纳米杀菌负离子醇酸磁漆
KR20220037887A (ko)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성능 냄새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EP0965541A2 (en) Waste disposal system
JP2002003319A (ja) 消臭、抗菌、防カビ作用を有する組成物
US20090232698A1 (en) Deodorization material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eodorization method
US9567553B2 (en) Cleaning composition suspension for spray bottle dispersal
DE69722597T2 (de) Aerosolbehälter mit flüssigem treibmittel zum parfümieren von umgebungsluft
KR102388383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세제 및 항균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이 코팅된 항균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