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369B1 -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 Google Patents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369B1
KR102253369B1 KR1020200047033A KR20200047033A KR102253369B1 KR 102253369 B1 KR102253369 B1 KR 102253369B1 KR 1020200047033 A KR1020200047033 A KR 1020200047033A KR 20200047033 A KR20200047033 A KR 20200047033A KR 102253369 B1 KR102253369 B1 KR 10225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
weight
parts
extract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윤
Original Assignee
한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윤 filed Critical 한상윤
Priority to KR102020004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369B1/ko
Priority to KR1020200091647A priority patent/KR102388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1/00Surface finishing of leather

Abstract

본 발명은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은 모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코팅액을 상기 모피에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폴리비닐알콜, 발수제, 천연살충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정전기 방지제 및 소취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은 모피 제조시 생성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발생을 억제하며 외관이 미려하고 질감이 부드러운 모피를 제조할 수 있고 모피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발생이나 모피에서 생성될 수 있는 곰팡이나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체 유익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피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METHOD FOR MANUFACTURING FUR AND FUR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피 제조시 생성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발생을 억제하며 외관이 미려하고 질감이 부드러운 모피를 제조할 수 있고 모피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발생이나 모피에서 생성될 수 있는 곰팡이나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체 유익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방한용 의류들을 많이 사용하고, 이와 같은 방한용 의류 등을 살펴보면 토끼털, 여우털, 밍크털 등의 각종 모피를 이용한 것이 많은데, 이는 외관상으로 부드럽고 풍성한 느낌을 주며 그 기질상 추위를 견디는 방한효과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모피는 털이 붙은 채로 벗긴 짐승의 가죽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래 케라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조직과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결체조직으로 구성되는 포유동물의 피부를 벗긴 그대로의 것을 가리키나, 일반적으로는 털이 붙어 있는 채로 무두질하여 의복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모피라고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각종 모피로 모피의류를 만들고자 할 때에는 토끼나 여우 그리고 밍크 등과 같은 짐승의 털가죽을 벗겨내어 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벗겨낸 털가죽을 몸체부와 그 주변의 머리부, 꼬리부 및 다리부를 재단하여 원단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천연 모피를 이용한 모피 원단의 제작 방법으로는, 모피를 일정한 면적으로 절단한 모피패턴을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이들의 각 연결 지점을 재봉하여 평면의 형태로 제작하는 방법, 또는 띠상으로 가늘게 절단된 모피 패턴이 수평사와 수직사가 바둑판 모양으로 연결된 베이스지의 무수한 틈새를 통하여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감겨지면서 평면의 형태로 제작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대다수 모피의 가공 과정에서는 기능성이 부여되지 않은 단순가공 공정 등의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기 때문에 각종 유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성장에 좋은 조건을 조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유해세균 및 곰팡이류의 번식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악취 등이 주위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피부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게 되어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에 모피의 가공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 등과 같은 화학물질들은 모피의 가공 후에도 모피 원단에 잔류하여 모피 착용자의 피부트러블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71468호(2007년 01월 1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769996호(2007년 10월 18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547531호(2015년 08월 20일 등록)
본 발명은 모피 제조시 생성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발생을 억제하며 외관이 미려하고 질감이 부드러운 모피를 제조할 수 있고 모피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발생이나 모피에서 생성될 수 있는 곰팡이나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체 유익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은 모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코팅액을 상기 모피에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폴리비닐알콜, 발수제, 천연살충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정전기 방지제 및 소취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80 내지 12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10 내지 20 중량부, 발수제 0.1 내지 1 중량부, 천연살충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일라이트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정전기 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및 소취 비드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살충추출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쇠뜨기, 소태나무, 어성초 및 쇠비름이 각각 1:1:1:1:1: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천연식물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천연식물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2 내지 4일 동안 건조한 후 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천연식물 200g 당 4,000㎖의 증류수를 넣고, 2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뒤 여과하하며, 상기 여과된 천연식물 열수추출물을 60 내지 65℃에서 감압농축하고 최종 농축액이 400㎖가 되도록 맞춘 후 이를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모피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은 모피 제조시 생성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발생을 억제하며 외관이 미려하고 질감이 부드러운 모피를 제조할 수 있고 모피에서 발생하는 정전기의 발생이나 모피에서 생성될 수 있는 곰팡이나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체 유익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피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모피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모피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은 모피에 코팅액을 분무한 후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은 모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코팅액을 상기 모피에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코팅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폴리비닐알콜, 발수제, 천연살충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정전기 방지제 및 소취 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80 내지 12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10 내지 20 중량부, 발수제 0.1 내지 1 중량부, 천연살충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일라이트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정전기 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및 소취 비드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혼합액은 용제를 혼합하여 교반한 상태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아크릴 실리콘 및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투입한 후, 실란 커플링제 및 촉매를 순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실리콘 혼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실리콘 혼합액은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디메틸실록산 30 내지 40 중량부, 폴리아크릴 실리콘 40 내지 70 중량부 및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5 내지 2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하고, 실란커플링제 1 내지 3 중량부 및 촉매 0.05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K) 및 에틸아세테이트(EA)를 혼합한 혼합 용제를 사용하는데, 상기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는 2:3:2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실리콘계 수지로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마스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4003205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10~300의 정수이며, n은 10~300의 정수이고,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점도는 500 내지 10,000cps일 수 있는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점도가 500cps 미만인 경우에는 도포 및 건조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000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도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 실리콘은 톨루엔 60 중량부, 디메틸실리콘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가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실리콘 오일 25 중량부, 메타메틸 아크릴(메타크릴산메틸, methamethyl acryl) 15 중량부, 메타 아크릴산(methacrylic acid) 0.8 중량부, 2-HEMA(hydroxyethyl methacrylate) 4 중량부 및 BPO(benzoyl peroxide) 0.5 중량부를 첨가한 후 115 내지 125℃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된 폴리아크릴 실리콘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실리콘을 형성하기 위한 실리콘 폴리머로, 점도 520 내지 550mpa·s인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알케닐기는 비닐기, 프로페닐기 및 펜테닐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비닐실록산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비닐실록산 공중합체,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디메틸 비닐실록시기가 봉쇄된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및 분자사슬 양쪽말단의 트리메틸실록시기가 봉쇄된 메틸비닐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에폭시 실란계, 아미노실란계 및 이소시아네이트 실란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 GPTMS(glycidoxypropyl trimethoxy silan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백금 또는 백금을 포함하는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백금계 킬레이트 촉매는 백금족 원소(예를 들어, Pt, Pd, Hr, Ru, Os, Ir) 중 하나와 염소이온, 또는 산소 및/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유기분자와 단일 또는 다중으로 배위결합을 한 형태의 촉매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은 우수한 선형성, 평평한 지그재그 입체형태(zig-zag conformation), 고결정성, pH 13.5 이상에서도 견디는 우수한 내알카리성, 우수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물성적 특성과 다양한 적용 범위로 인해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고강도 및 고탄성율 겔의 제조 및 고성능 폴리비닐알콜 섬유 제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은 전기방사 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전기방사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고분자 수지용액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방사구에서 토출되어 나오는 용액에 액체 젯(jet)의 형성을 유도하 고, 이때 용매의 휘발 중에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한 연속적인 잡아늘림으로 굵기가 미세한 섬유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전기방사기술을 이용할 경우 3차원 망상구조인 웹의 형태로 섬유사가 콜렉터에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미세섬유는 높은 비표면적 및 장력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 향상, 화학적 물성 향상 그리고 세포생체재료 인식특성 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은 미세섬유, 필터를 포함한 산업용 소재, 광화학 센서 소재, 바이오메디컬 소재, 미용 소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발수제는 메틸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 플로오르에틸렌프로필렌, 테트라플로오르에틸렌 페르플루오트알킬비닐에테르, 폴리불화비닐라덴 및 호모폴리머 폴리불화비닐라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살충추출물은 오염 물질, 진드기류, 해충 등에 대한 살충, 항균, 항충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천연식물로는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쇠뜨기, 소태나무, 어성초 및 쇠비름으로 이루어진 천연식물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천연식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쇠뜨기, 소태나무, 어성초 및 쇠비름이 각각 1:1:1:1:1:1:1:1:1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은행나무는 학명 Ginkgo biloba L로 표기하고,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송 교목으로, 예로부터 정원수나 가로수로 사용되었고, 그 열매인 은행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은행나무의 잎은 예로부터 한방에서 고혈압, 파킨스병 및 당뇨병 등의 치료제로 널리 처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은행잎으로부터 추출한 독특한 플라보노이드성분을 이용한 약제가 고혈압, 노인성 치매증 및 당뇨병 등 성인병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화장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은행나무를 이용하여 항균 소재를 처리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Durazzini)는 중국, 대만, 일본, 한국 등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마당의 정원수로 많이 이용한다. 자귀나무 수피는 대한약전외 한약규격집에 합환피로 수록되어 있으며, 초여름에 채취한 나무껍질을 말려서 사용한다. 원통모양 또는 반원통 모양으로 바깥면은 회갈색 또는 갈색이며, 안쪽 면은 연한 황갈색 또는 황백색이다. 냄새가 없고 맛이 담담하며 떫고 혀를 약간 자극한다. 기존 연구에서 탄닌과 사포닌, 시토스테롤 등의 파이토케미칼이 풍부하게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능으로는 간장, 흥분, 이뇨, 구충, 진해, 진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무화과나무(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아시아 서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2~4m의 높이로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으로 두꺼우며,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털이 있다. 유액은 무좀, 종기, 치질에, 잎은 무좀이나 신경통에, 열매는 혈압 강하, 변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는 현삼과의 오동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한국 특산종이다. 오동나무의 높이는 15m 정도이며, 나무 껍질은 연한 갈색으로 짙은 갈색의 줄이 세로로 나있다. 오동나무의 껍질은 동피라고 하는데 기관지 폐렴, 세균성 설사, 급성 장염, 급성 결막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동나무 잎은 동엽이라고 하는데 안면 홍조, 농포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단풍나무(Acer palmatum)는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의 식물로 산지의 계곡에서 자란다. 높이는 10m에 달하고, 작은 가지는 털이 없으며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넓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고 길이가 5~6cm이다. 잎자루는 붉은 색을 띠고 길이가 3~5cm이다. 단풍나무는 주로 관상용으로 심으며 땔감으로 쓰인다. 한방에서 뿌리 껍질과 가지를 계조축(鷄爪)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무릎관절염으로 통증이 심할 때, 물에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골절상을 입었을 때 오가피를 배합해서 사용하며, 소염 작용과 해독 효과가 있다.
상기 쇠뜨기(Equisetum Arvense L)는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살이 잘 들어오는 곳이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키는 30~40cm이고, 생식경은 이른 봄에 나와 줄기 끝에 마치 아파트와 같은 모양으로 포자낭수를 형성한다. 영양경은 속이 비어 있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지상에서 곧게 서며 세로로 모가 나있다. 줄기는 약용으로 쓰인다. 필두엽이라고도 한다. 풀밭에서 자라며 땅속 줄기가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상기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는 매우 쓴맛인 콰신(quassin)을 함유하고 있으며 나무껍질에 황색의 피복이 있고 높이는 약 20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우상복엽으로 작은 잎은 광난형이고 밑은 둥글고 끝은 날카롭다. 꽃은 황록색의 자웅 이주로 5~6월경에 취산화서 형태로 액출하고 열매는 핵과로서 타원상 구형이고 9월경에 적색으로 익는다. 잎, 나무껍질, 줄기, 뿌리 등 각 부분을 약재로 사용하는데, 청열조습, 건위, 살충, 해독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세균성하리, 위장염, 담도감염,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으며, 민간에서 건위제, 소화불량, 위염 및 식욕부진 등 주로 위장을 다스리는 약으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의 줄기는 길이 20~35cm, 지름 2~3mm로 세로로 주름이 있고 마디가 명료하다. 밑의 마디에는 가는 뿌리가 남아 있고 질은 무르며 꺽어지기 쉽다. 잎은 말리거나 쭈구러져 있으나 펴면 심장형으로 되어 있다. 잎은 길이 3~5cm, 너비 3~4cm이고 끝은 뾰족하다. 주요성분으로는 아피질린, 베타시토스테롤 등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강심, 이뇨, 항균이 있으며 폐에 작용하며 해열과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종기를 없애고 고름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모든 열독과 종기에 효과가 있다.
상기 쇠비름은 1년생 잡초로서 오행초(五行草), 장명채(長命采), 마치채(馬齒菜)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길가, 텃밭 등에서 자생하며, 약 15~30cm 높이의 줄기는 갈적색으로 땅 위로 비스듬히 퍼져 자란다. 쇠비름에 함유된 성분으로 특이한 것은 식물체임에도 불구하고 오메가-3-지방산이나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 도파민(dopamine) 같은 물질이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이며, 왁스나 펙틴질을 포함한 수용성 다당류나 각종 비타민류 및 아미노산, 유기산, 배당체 성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쇠비름은 양념 등에 버무려 식용하거나 약재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효과나 항암(dopamine의 역할), 심장병 (K+ 이온의 작용), 항염증(오메가-3-지방산의 역할), 당뇨(오메가-3-지방산에 의한 혈당조절) 등에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상기 천연살충추출물은 상기 천연식물을 발효한 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천연살충추출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쇠뜨기, 소태나무, 어성초 및 쇠비름으로 이루어진 천연식물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한 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식물과 혼합되는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 속(Acetovacter sp)으로, 상기 아세토박터속 미생물로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살충추출물은 상기 미생물이 첨가된 천연식물을 35 내지 40℃의 온도에서 50 내지 100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천연식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로는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된 천연식물의 추출은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시료에 추출 용매로서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발효된 천연식물과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7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천연살충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쇠뜨기, 소태나무, 어성초 및 쇠비름으로 이루어진 천연식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하고, 상기 천연식물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2 내지 4일 동안 건조한 후 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시키며 상기 분쇄된 천연식물 200g 당 4,000㎖의 증류수를 넣고, 2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뒤 여과하였다.
이때, 상기 천연식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쇠뜨기, 소태나무, 어성초 및 쇠비름이 각각 1:1:1:1:1: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여과된 천연식물 열수추출물을 60 내지 65℃에서 감압농축하고 최종 농축액이 400㎖가 되도록 맞춘 후 이를 여과하여 천연식물추출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천연식물추출물을 10g/L되게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탄소원으로 덱스트로즈와 pH조절제로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Dipotassium phosphate)를 첨가하였다.
이때, 사용한 균주로는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vacter aceti)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발효조를 이용하여 10일간, 35℃,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고,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한 후 여과기를 이용하여 최종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1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액을 다시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천연살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일라이트 추출물은 일라이트(illite)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일라이트(illite)는 대표적인 천연 점토 광물질로써 다공성 운모 미네랄로 정의되며 얇은 판상(sheel)의 구조로 요곡성과 탄성을 가지고 있어 탄성과 흡착성이 다른 광물보다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라이트(illite) 광물의 주 성분은 모공속의 노폐물 및 과일 피지를 제거하는 산화규소(SiO2) 57.5%, 혈액순환을 촉진 작용을 하는 산화알루미늄(Al2O3) 23.3%, 콜라겐 결합작용을 하는 산화철(Fe2O3) 6.76%, 해독작용, 스트레스 억제 및해소 작용을 하는 산화칼슘(C2O) 0.1%, 삼투압 조절 및 수분 조절 기능을 제공하는 산화나트륨(Na2O) 1.21%, 산화마그네슘(MgO) 0.38%, 산화칼륨(K2O) 6.43%, 이산화티타늄(TiO2), MnO, Li, Cr, Zn, Sr 등 4.32%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요 기능으로는 물속의 부유물질을 흡착하고, 음이온을 띠기 때문에 양이온의 부유 미립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 침전을 유발하여, 물의 정화기능, 특정 방사성물질에 대한 흡착/분해 능력이 뛰어나고, 물/토양/대기 중에서 각종 중금속 및 유독가스를 흡착 탈취 분해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면역을 증강시키며, 수중에서 다량의 용존산소를 발산하며, 물 분자를 활성화하고, 일라이트 자체에서 음이온을 다량 발생하고, 40℃에서 93%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바이러스/박테리아/곰팡이 등의 정균 작용, 피부에 묻어있는 각종 중금속/유기물질/독성물질 등을 흡착 분해하고, 탄성이 좋고 덩어리지지 않으므로 부착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정전기 방지제로는 모노머 및 올리고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전도성 고분자가 상기 바인더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대전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코팅액 조성물의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polyethylene dioxythiophene), 4급 암모늄화합물, 에폭시화아민, 지방산에스테르, 황산화된 왁스 및 리듐 아미드 컴플렉스(Li-Amide complex)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로는 모노머와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바인더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열경화성 바인더로는 수용성 바인더 또는 용제타입의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로는 아크릴계 바인더, 우레탄계 바인더, 우레탄-아크릴계 공중합체 바인더, 에스테르계 바인더, 에테르계 바인더, 아미드계 바인더, 아마이드계 바인더, 또는 에폭시계 바인더 타입으로서 멜라민 경화제 또는 에폭시 경화제와 같은 경화제와 사용이 가능한 고분자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성 바인더로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우레탄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서 단관능기에서부터 다관능기를 갖는 여러 종류의 광중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취 비드는 모피 자체에서 생성되는 냄새나 착용자로부터 생성되는 땜냄새 등 각종 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소취 비드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소취 비드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및 가교제가 일정한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300 내지 400 중량부, 친수성 첨가제 20 내지 40 중량부 및 가교제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2-아크릴로일에탄 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에탄술폰산, 2-메타아크릴로일프로판술폰산 또는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 프로판 술폰산의 음이온성 단량체와 그 염; 메타아크릴아미드, N-치환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흡수성 중합체로 형성된 후 상기 흡수성 중합체 내에서 용출됨으로써, 상기 흡수성 중합체 내부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수성 중합체 내부에 형성된 미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소디움도데실설페이트, 인산염,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솔비탄 모노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안정된 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로는 탄소수 8 내지 12의 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탄소수 2 내지 10의 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2 내지 10의 폴리올의 폴리(메트)알릴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및 가교제가 혼합된 혼합용액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수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친수성 첨가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혼합용액을 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정제수는 혼합용액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10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정제수가 혼합된 혼합용액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중합 방법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 또는 UV 조사에 따른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중합개시제로는 광중합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광중합개시제로는 벤조인 에테르(benzoin ether), 디알킬아세토페논(dialkyl acetophenone), 하이드록실 알킬케톤(hydroxyl alkylketone), 페닐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아실포스핀(acyl phosphine) 및 알파-아미노케톤(α-aminoke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아실포스핀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용하는 lucirin TPO, 즉, 2,4,6-트리메틸-벤조일-트리메틸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benzoyl-trimethyl phosphine oxide)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중합체 파우더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건조는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중합체의 분쇄는 핀 밀(pin mill), 해머 밀(hammer mill), 스크류 밀(screw mill) 등과 같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경이 1000 내지 2000㎛가 되도록 분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합체 파우더에 소취액을 혼합하여 소취 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소취액은 황사마스크 내에 잔류하는 착용자의 입냄새, 담배냄새 등의 불쾌취나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소취액은 상기 중합체 파우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취액은 구연산나트륨, 젖산나트륨, 글리세린,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 안식향산나트륨, 자몽종자추출물,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취액은 구연산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젖산나트륨 2 내지 4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6 중량부, 염화칼륨 0.5 내지 1.5 중량부, 염화나트륨 0.1 내지 0.5 중량부,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 0.5 내지 1.5 중량부, 안식향산나트륨 1 내지 3 중량부, 자몽종자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황칠나무 잎 추출물 0.1 내지 0.3 중량부 및 정제수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연산나트륨은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물에 잘 용해되고 수용액은 산성을 나타내는데, 상기 구연산나트륨은 pH 조정제, 산패방지제, 증점제, 유화제, 안정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고, 비타민C의 분해를 억제해서 식품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구연산의 산미를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젖산나트륨은 무색의 액체로 냄새가 없거나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는 염류 식품제조용 첨가물이다. 화학식은 C3H5NaO3이고 물에 용해되며, 수용액의 pH는 5.0~9.0이며, 글리세린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식품에 쓰여질 수 있으며, 유화제, 향미향상제, 습윤제, pH조정제로 사용된다.
상기 글리세린은 화학식 C3H5OH)3로 CAS 번호는 56-81-5이며, 무색, 무취의 액체이다. 점성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는데, 지방산과 마찬가지로 유지 성분이며, 공업적으로도 유지를 분해함으로써 얻어진다. 글리세린은 3개의 수산기를 가진 3가 알코올이다. 무색의 끈기 있는 액체로 흡습성이 있으며 감미가 조금 있고, 녹는점 20℃, 끓는점 290℃이다. 글리세린은 글리프탈 수지 등의 합성 원료로 쓰이는 외에 윤활제 혹은 연고 같은 약품, 담배나 화장품의 방건제(防乾劑)·정미제(呈味劑) 등에, 나아가서는 방동제(防凍劑)·냉각제·인쇄용 잉크 등 대단히 넓은 이용도를 가진 중요한 물질이다. 그러므로 오늘날에는 이와 같은 유지 분해에 의해서뿐 아니라 프로필렌을 원료로 하는 합성법에 의해서도 제조되고 있으며, 천연품·합성품이 거의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염화칼륨은 자연에서는 바닷물 속에 약 0.08% 가량 포함되어 있으며, 실빈(sylvine) 또는 실바이트(sylvite)라는 광물에서 얻는다. 흰색의 정방정계(正方晶系)에 속하는 결정으로 천연으로 산출되는 것은 쓴맛과 짠맛이 섞여 있기도 하다. 상기 염화칼륨은 물에 잘 녹으며 전류를 잘 통하고, 알칼리 금속원소인 칼륨이온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보라색의 불꽃 반응을 한다. 또한, 상기 염화칼륨은 공업적으로는 칼륨염의 제조원료로 사용되고, 실험실에서는 완충용액 및 전극액으로 쓰인다. 상기 염화칼륨(KCl)의 단결정(單結晶)은 적외선 흡수측정 시에 이용되는 프리즘이나 셀의 창 제조에 사용될 수 있고, 기타 열처리제, 사진 시약, 의약품 등으로 쓰인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나트륨과 염소의 화합물로 식용 소금의 주성분이다. 해수의 염류 중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많고, 상기 염화나트륨은 나트륨 이온(Na+)과 염화 이온(Cl-)이 결합하여 극성 구조를 가지기에 같은 극성 용매인 물에 잘 녹는다. 또한, 상기 염화나트륨의 결정 구조는 팔면체를 띠는 각 원자는 6개의 가장 가까운 이웃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상기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은 분자량이 815.19, CAS No.는 39479-63-5이고,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결정성분말로서 냄새가 없거나 또는 약간 특이한 냄새가 있다. 상기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은 식품영양 강화제로 사용될 수 있고 항균성을 갖고 있음이 알려진 이후, 각종 식품 공장에서 보존제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상기 비타민B1라우릴황산염은 최근 TLS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소독제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친환경적인 소독제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 안식향산나트륨은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일어나는 부패와 변질방지를 위해 식품에 첨가하는 보존료의 일종으로, 식품의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증식을 억제한다.
상기 자몽종자추출물(GSE, Grapefruit seed extract)은 항균, 항진균, 항산화 효과가 있고, 독성 실험에서는 안식향산나트륨, 솔빈산 칼륨에 비해서 거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기 자몽종자추출물의 성분 중 ascorbic acid, ascorbyl palmitate 및 tocopherol 등이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의 세포벽 및 세포막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효소활성을 억제하며, DNA/RNA에서 비롯되는 세포증식 기작을 방지하여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등에 살균 효과를 나타나며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합성에 저해효과를 가진다.
상기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잎으로부터 추출하여 제조된 것으로,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 오갈피속의 상록활엽교목으로 높이 15m 이상까지 자라는 한국 고유의 토종나무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광택이 있고, 꽃은 6월에 피며, 길이 7~19mm의 열매가 검게 익는다. 최저기온이 영하 2℃ 이상, 연 평균기온이 12~15℃ 이상인 지역에서 자라는 난대성 식물이다.
황칠나무는 황칠을 분비하는데, 상기 황칠은 일반적으로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 성분인 비휘발 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방향 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 (cadinene)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칠에 포함된 방향 성분은 심신을 맑고 편안하게 해주는 안식향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향수, 화장료나 기능성 식음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상기 황칠나무 잎 추출물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잎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황칠나무 잎을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황칠나무 잎을 일정한 입도로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황칠나무 잎을 일정한 입도로 분쇄함으로써 상기 황칠나무 잎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 황칠나무 잎의 분쇄는 입경이 500 내지 2500㎛의 범위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황칠나무 잎의 입경이 500㎛ 미만으로 분쇄되는 경우에는 분쇄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입자가 너무 작아 추후 공정에서 입자들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500㎛를 초과하여 분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황칠나무 잎으로부터 유용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잎을 저온 감압의 분위기에서 초음파를 가한 후 고형분을 제거함으로써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잎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가하고, 상기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분을 체(sieve)와 같은 공지의 거름망 등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용매는 상기 분쇄된 황칠나무 잎 100 중량부에 대해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용매로는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C1 내지 C4)의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 및 0.1 내지 0.5kgf/cm2의 압력하에서 상기 혼합액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30 내지 5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추출함으로써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
송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모피 100 중량부에 대해 코팅액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상기 모피의 표면에 분무한 후, 7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여 송치 모피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1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15 중량부, 발수제 0.5 중량부, 천연살충추출물 2 중량부, 일라이트 추출물 3 중량부, 정전기 방지제 1 중량부 및 소취 비드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송치 모피를 실시예로 하여 시험을 수행하였고, 비교예로는 코팅액이 첨가되지 않은 송치 모피를 제조하여 비교예에 따른 모피로 사용하였다.
1.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함량 조사
상기 송치 모피에 대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s)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시험조건은 하기와 같다.
시험조건 및 참고사항
1. 시료 준비 : 송치 모피 시편(5cm × 5cm)
2. 시료 전처리 : 2시간, 65℃
3. 시료 처리
3.1 테들러 백 크기 : 3L
3.2 질소 주입량 : 3L
3.3 흡착제 : Tenax TA(VOCs), DNPH catridge(Aldehyde)
3.4 시료 채취량
3.4.1 Aldehyde : 1.5L 3.4.2 VOCs : 1L
4. 분석조건(VOCs)
4.1 ATD(Turbomatrix manufactured by Perkin Elmer, USA)
4.1.1 튜브 탈착 온도 : 280℃ 4.1.2 탈착 시간 : 15분
4.1.3 탈착 최고 온도 : 280℃ 4.1.4 탈착 최저 온도 : -30℃
4.2 GC/MS
4.2.1 이동가스 : 헬륨
4.2.2 컬럼온도 : 40℃(2분)→7℃/분→220℃(25분)→7℃/분→280℃(5분)
4.2.3 컬럼 : HP-1, 60m × 0.32mm
5. 분석조건 (Aldehyde)
5.1 HPLC
5.1.1 컬럼 : C18 (150mm × 4.6mm ID) 5.1.2 컬럼온도 : 40℃
5.1.3 이동상 : A : Water/THF(8:2,V:V), B : Acetonitrile
5.1.4 기울기 용리 : 0→25min, B 20→60%, 25→40min, B 20% Hold
5.1.5 유량: 1.5 mL/min 5.1.6 측정 파장: 360nm 5.1.7 주입량 : 20㎕
<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 ; 단위 ㎍/㎥ >
구분 실시예 비교예
Benzene 10 미만 63
Toluene 10 미만 469
Xylene 10 미만 358
Formaldehyde 10 미만 165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송치 모피는 Benzene, Toluene, Xylene, Formaldehyde의 함량이 10㎍/㎥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모피는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2. 탈취 시험
시험항목 경과시간(분) 비교예 농도(ppm) 실시예 농도(ppm)
탈취시험 30 453 185
90 426 151
150 390 115
300 362 9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암모니아의 시험가스 및 FTIR을 이용한 가스농도측정에 의해 얻어진 탈취시험 결과이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송치 모피는 시간이 지날수록 탈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3. 항균 시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송치 모피를 이용하여 사용균주 Escherichia coil ATCC 25922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을 이용하여 항균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료 구분 초기농도 48시간 후 농도(CFU/40p)
대장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515 1125
실시예 515 210
녹동균에 의한 시험 비교예 370 875
실시예 370 19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송치 모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균이 증가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른 송치 모피는 세균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송치 모피는 항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농도의 단위 중 CFU는 Colony Forming Unit를 의미하며 40p는 0.04mL를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모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코팅액을 상기 모피에 분무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코팅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폴리비닐알콜, 발수제, 천연살충추출물, 일라이트 추출물, 정전기 방지제 및 소취 비드를 포함하되,
    상기 코팅액은 실리콘 혼합액 80 내지 12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10 내지 20 중량부, 발수제 0.1 내지 1 중량부, 천연살충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일라이트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정전기 방지제 0.1 내지 1.5 중량부 및 소취 비드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천연살충추출물은,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쇠뜨기, 소태나무, 어성초 및 쇠비름이 각각 1:1:1:1:1:1: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천연식물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천연식물을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2 내지 4일 동안 건조한 후 건조된 천연식물을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천연식물 200g 당 4,000㎖의 증류수를 넣고, 2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뒤 여과하하며, 상기 여과된 천연식물 열수추출물을 60 내지 65℃에서 감압농축하고 최종 농축액이 400㎖가 되도록 맞춘 후 이를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
KR1020200047033A 2020-04-17 2020-04-17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KR10225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33A KR102253369B1 (ko) 2020-04-17 2020-04-17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KR1020200091647A KR102388023B1 (ko) 2020-04-17 2020-07-23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33A KR102253369B1 (ko) 2020-04-17 2020-04-17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647A Division KR102388023B1 (ko) 2020-04-17 2020-07-23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369B1 true KR102253369B1 (ko) 2021-05-17

Family

ID=76158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33A KR102253369B1 (ko) 2020-04-17 2020-04-17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KR1020200091647A KR102388023B1 (ko) 2020-04-17 2020-07-23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647A KR102388023B1 (ko) 2020-04-17 2020-07-23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33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82A (ko) * 1999-12-08 2000-04-06 박성길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천연 가죽 자재 및 그 가공 방법
KR20020067485A (ko) * 2002-08-06 2002-08-22 강종문 모피 목도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71468B1 (ko) 2005-12-20 2007-01-19 주식회사 리가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9996B1 (ko) 2006-08-04 2007-10-25 주식회사 기원실업 모피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7531B1 (ko) 2013-10-04 2015-08-26 해성텍 주식회사 질감이 부드러운 가죽 제조방법
KR102084663B1 (ko) * 2019-09-24 2020-03-05 우일무역(주) 군용 의류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82A (ko) * 1999-12-08 2000-04-06 박성길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천연 가죽 자재 및 그 가공 방법
KR20020067485A (ko) * 2002-08-06 2002-08-22 강종문 모피 목도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71468B1 (ko) 2005-12-20 2007-01-19 주식회사 리가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9996B1 (ko) 2006-08-04 2007-10-25 주식회사 기원실업 모피 원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7531B1 (ko) 2013-10-04 2015-08-26 해성텍 주식회사 질감이 부드러운 가죽 제조방법
KR102084663B1 (ko) * 2019-09-24 2020-03-05 우일무역(주) 군용 의류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84A (ko) 2021-10-27
KR102388023B1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261B1 (ko) 항균성이 우수한 섬유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162992B1 (ko) 항균성 황사마스크
KR101779007B1 (ko)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3772B1 (ko) 항균성 황사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8100B1 (ko) 식품 포장용 항균필름
KR101944750B1 (ko) 항균성 공기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30113729A (ko) 숯겔 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5627B1 (ko) 친환경, 신축성 및 형태 유지력이 있는 원단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2227273B1 (ko) 세정 및 코팅기능이 강화된 그래핀이 포함된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83861B1 (ko)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KR102330277B1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369B1 (ko)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KR102228352B1 (ko) 솔잎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7798A (ko) 항균성 공기정화 필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CN107440965A (zh) 一种深层净化洗面奶
CN106983691A (zh) 一种含莲多酚的抗氧化收缩毛孔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20025934A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36250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함유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팩의 제조방법
CN107496273A (zh) 油茶果洁面乳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