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468B1 -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468B1
KR100671468B1 KR1020050126313A KR20050126313A KR100671468B1 KR 100671468 B1 KR100671468 B1 KR 100671468B1 KR 1020050126313 A KR1020050126313 A KR 1020050126313A KR 20050126313 A KR20050126313 A KR 20050126313A KR 100671468 B1 KR100671468 B1 KR 10067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xpanded
skin layer
coating layer
f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가
Priority to KR102005012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08Application of reinforcing or stiffening layers to fur sk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04Fur d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10Cutting furs; Making fur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12Finishing, e.g. pointing furs; Producing designs o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여우나 밍크, 비버 등의 각종 천연 모피의 표면적을 확장하여 의류나 신변 장식구 등에 사용되는 모피원단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그러한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은, 모피 패턴의 표피층에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표피층이 수분을 머금은 상태가 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표피층의 일측면에 표면 보호용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각 확장용 절개부 지점이 벌어지도록 상기 모피 패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표면적을 확장하는 공정 그리고, 상기 확장된 표피층에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코팅층이 경화되도록 건조하는 공정 및 상기 표피층에서 상기 코팅층을 가리는 상태로 마감재를 덧대어서 마감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연 모피, 표피층, 모층,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 모피 패턴의 표면적 확장 작업, 표면 보호용 코팅액, 폴리졸(poly-sol), 코팅층, 표피층의 수축 억제, 원단의 통기성 및 내구성 향상

Description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expanded fur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확장 모피원단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전체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작업에 사용하는 모피 패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공정 중에서 확장용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공정 중에서 수분을 공급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공정 중에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공정 중에서 표면적을 확장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확장 작업에 의해 표피층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공정 중에서 표피층을 건조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다.
도 10은 도 1의 공정 중에서 마감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작업에 의해 마감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공정 중에서 확장용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의 다른 작업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천연 모피의 표면적을 확장하여 의류나 신변 장식구 등에 사용되는 모피원단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특히 확장된 모피 패턴의 균열이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피 원단은 고급 의류나 머플러 등과 같은 신변 장식용 악세서리 등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피 원단의 재료는 여우나 밍크, 비버 등의 천연 모피가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천연 모피를 이용한 모피 원단의 제작 방법으로는, 모피를 일정한 면적으로 절단한 모피패턴을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이들의 각 연결 지점을 재봉하여 평면의 형태로 제작하는 방법 또는, 띠상으로 가늘게 절단된 모피 패턴이 수평사와 수직사가 바둑판 모양으로 연결된 베이스지의 무수한 틈새를 통하 여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감겨지면서 평면의 형태로 제작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모피 원단은, 보온성은 우수하지만 각 모피 패턴의 연결부를 재봉 작업으로 각각 연결하여야 하므로 원단 제작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원단의 무게가 무겁고 통기성이 저하되어 착용감 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후자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모피 원단은, 모피 패턴이 베이스지의 무수한 틈새를 통하여 감겨진 상태로 지지되므로 만족할 만한 내구성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피 패턴이 상기 베이스지의 틈새를 통하여 감겨질 때 비틀려진 상태가 되므로 모피 원단의 질감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각 제조 방법들은 모피 원단의 제작시 원단 면적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모피 패턴이 사용되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정으로 모피의 표면적을 확장하여 통기성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특히, 확장된 모피의 표면적이 수축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모피 패턴의 표피층에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표피층이 수분을 머금은 상태가 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공정;
상기 표피층의 일측면에 표면 보호용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각 확장용 절개부 지점이 벌어지도록 상기 모피 패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표면적을 확장하는 공정;
상기 확장된 표피층에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코팅층이 경화되도록 건조하는 공정;
상기 표피층에서 상기 코팅층을 가리는 상태로 마감재를 덧대어서 마감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무수한 털들로 이루어지는 모층을 가지며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가 각각 벌어지면서 표면적이 확장된 표피층;
상기 표피층의 확장된 표면 위에 도포되는 코팅층;
상기 표피층에서 상기 코팅층을 덮는 상태로 덧대어지는 마감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합성수지류의 폴리 졸이 사용되며 상기 표피층의 일측면을 덮는 상태로 형성되어 확장된 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각 절개부 지점들이 확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확장 모피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확장 모피원단 제조방법의 전체 작업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도면 부호 S1은 모피 패턴의 확장을 위한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이 작업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모피 패턴(2)의 표피층(P1)에 도면에서와 같이 절개용 표시선(M)을 표기하고 이 선을 따라 나이프와 같은 절개용 도구(N)를 이용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4)를 형성한다.
상기 절개용 표시선(M)은 절개 작업 전에 상기 표피층(P1)의 일측면에 대응하여 염색이나 인쇄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하거나 이외에도 통상의 마킹용 펜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절개용 표시선(M)은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표피층(P1)에서 다수개가 위아래 방향으로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1열 이상이 표기된다.
상기 각 확장용 절개부(4)는 상기 절개용 표시선(M)을 따라 상기 절개용 도구(N)로 절개할 때 상기 각 절개용 표시선(M)의 절개 구간이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표피층(P1)의 전체 두께가 절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각 절개부(4)에 대응하는 지점에 절개용 표시선(M)을 표시하고 이 표시선(M)을 따라 절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표피층(P1)에 상기 절개용 표 시선(M)을 표시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자가 직접 절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절개 작업시 나이프와 같은 절개용 도구(N)를 이용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 또한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레이져 컷팅기나 프레스 컷팅기 등을 이용한 방식으로 절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개 지점을 형성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모피 패턴(2)에 수분을 공급하는 공정(S2)을 진행한다.
이 작업에는 도 5에서와 같은 판상의 작업대(T)가 사용되며, 이 작업대(T) 위에 상기 표피층(P1)이 도면에서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위치된다. 이 표피층(P1)은 상기 작업대(T)에 구비된 고정용 클램프(C)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수분 공급 작업은, 상기 모피 패턴(2) 즉, 표피층(P1)의 확장을 위한 연성 및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대(T) 위에 위치하는 표피층(P1)의 전체 표면을 향하여 분무기(K) 등으로 유체(W)를 분무하면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분무된 유체(W)는 상기 표피층(P1)의 가죽 내부에 스며들면서 이 표피층(P1)이 수분을 머금은 상태가 되어 연성 및 신축성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작업에 사용하는 분무 유체(W)는 순수 물이 사용된다.
상기 수분을 머금은 표피층(P1)에는 표면 보호를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S3)을 진행한다. 이 작업은, 표면 보호용 코팅액(W1)을 상기 표피층(2)의 전체 면에 도포한다.
상기 표면 보호용 코팅액(W1)은 접착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류의 폴리졸(poly-sol)을 사용한다. 이 폴리졸은 도포용 붓이나 스프레이 방식으로 상기 표피층(2)의 전체면을 덮는 상태로 균일하게 도포되면서 코팅층(6)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졸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계의 수지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수지액은 유연성, 저온 취성, 연성 등이 우수하여 각종 피혁 제품에 도포되어 표면 보호층 역할을 함과 아울러 외부의 수분을 차단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피혁의 수축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코팅층(6)은 상기 표피층(P1)에서 대략 0.2미리 내지 1.0미리의 두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두께 범위보다 얇으면 만족할 만한 수축 억제 작용을 얻기가 어렵고, 상기한 범위보다 두꺼우면 피혁의 질감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코팅층(6)의 코팅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표피층(P1)의 표면적을 확장하는 공정(S4)을 진행한다.
이 작업은, 상기 표피층(P1)에 도포된 코팅층(6)이 경화되기 전에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모피 패턴(2)이 상기 작업대(T)에서 고정용 클램프(C)에 의해 일측 테두리변이 고정된 상태에서 반대편의 테두리변측을 도면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당기면서 확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4)의 절개 구간을 사이에 두고 양쪽 에서 당기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각 절개부(4)가 도 8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벌어지고, 이와 같이 벌어지는 각 절개 지점들에 의해 상기 표피층(P1)의 표면적이 확장된다.
상기와 같이 모피 패턴(2)의 표면적을 확장하는 작업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잡아당기거나 별도의 구동원 즉,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연결하여 이 로드의 통상적인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당겨지면서 확장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 모피 패턴(2)은 상기와 같은 확장 작업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표피층(P1)의 확장 작업 전의 전체 길이(L)보다 도면에 표기된 확장 길이(L1)만큼 표면적이 확장된다. 이러한 확장 작업에 의해 상기 표피층(P1)의 면적을 대략 10% 이상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된 모피 패턴(2)은 상기 표피층(P1)이 확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건조하는 공정(S5)을 거친다.
이 작업은 상기 모피 패턴(2)이 확장된 상태로 상기 작업대(T) 위에 고정한 후 상기 표피층(P1)에 공급된 수분의 제거 및 코팅층(6)의 경화가 가능하도록 건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 작업은, 상기 표피층(P1)을 상온에서 자연 건조하거나, 유브이 오븐과 같은 장치를 이용한 방식으로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건조 과정을 거치면서 열에 의해 상기 표피층(P1)에 공급된 수분이 제거되고, 상기 코팅층(6)이 경화되면서 상기 각 절개부(4) 지점들이 도 9에서와 같이 벌어진 확장된 상태로 유 지된다.
특히, 상기 경화된 코팅층(6)은 확장된 표면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확장된 각 절개부(4)들이 오므라지면서 상기 표피층(P1)의 전체 또는 일부 표면이 수축되는 현상이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확장을 위한 각 작업들이 완료되면, 상기 모피 패턴(2)에서 상기 표피층(P1)의 표면을 마감하는 공정(S6)을 진행한다.
이 작업은 상기 각 절개부(4) 지점이 가려지도록 상기 확장된 표피층(P1) 위에 도 10에서와 같이 마감재(F)를 덧대어서 마감층(8)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F)는 자체 통기성을 갖도록 직조된 직물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실 등으로 제봉하는 작업을 거치면서 상기 표피층(P1)을 덮는 상태로 부착되어 도 11에서와 같이 마감층(8)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마감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마감층(8)은, 상기 표피층(P1)에서 상기 각 절개부(4)들의 통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태로 마감 처리가 가능하고, 상기 코팅층(6)과 함께 상기 확장된 표피층(P1)의 수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피층(P1)의 확장 작업시 이 표피층(P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2개의 테두리변을 확장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4)가 상기 표피층(P1)에서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변에 대응하도록 2방향의 절개 구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표피층(P1)의 확장 작업시 4개의 테두리변 중에서 마주하는 2개의 테두리변을 각각 당기는 동작에 의해 2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하므로 상기 표피층(P1)의 표면 확장성이 더욱 증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구성 및 통기성을 가지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가 용이하고, 특히 표피층에 코팅된 합성수지류의 표면 보호용 코팅층에 의해 확장된 원단 표면의 균열이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모피 패턴의 표피층에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표피층이 수분을 머금은 상태가 되도록 수분을 공급하는 공정;
    상기 표피층의 일측면에 표면 보호용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각 확장용 절개부 지점이 벌어지도록 상기 모피 패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표면적을 확장하는 공정;
    상기 확장된 표피층에서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코팅층이 경화되도록 건조하는 공정;
    상기 표피층에서 상기 코팅층을 가리는 상태로 마감재를 덧대어서 마감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용 절개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표피층에서 다수개의 지점을 1방향 이상으로 절개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을 공급하는 공정은, 상기 표피층에 물을 분무하거나 도포하여 수분이 머금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표피층의 표면을 덮는 상태로 폴리졸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적을 확장하는 공정은, 상기 표피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변을 잡아당기면서 1방향 이상으로 확장하는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적을 확장하는 공정은, 상기 코팅층의 경화 전에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을 건조하는 공정은, 상온 또는 고온 상태에서 건조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통기성을 가지는 직물 시트의 마감재를 상기 표피층에 재봉 또는 액상의 접착제로 부착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은, 상기 표피층에 상기 각 절개부가 형성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며,
    이 공정은, 인쇄나 염색 또는 펜을 이용하여 상기 각 절개부에 대응하는 지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10. 무수한 털들로 이루어지는 모층을 가지며 다수개의 확장용 절개부가 각각 벌어지면서 표면적이 확장된 표피층;
    상기 표피층의 확장된 표면 위에 도포되는 코팅층;
    상기 표피층에서 상기 코팅층을 덮는 상태로 덧대어지는 마감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합성수지류의 폴리졸이 사용되며 상기 표피층의 일측면을 덮는 상태로 형성되어 확장된 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각 절개부 지점들이 확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확장 모피원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각 절개부는, 상기 표피층에서 적어도 1방향 이상으로 절개되는 확장 모피원단.
KR1020050126313A 2005-12-20 2005-12-20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13A KR100671468B1 (ko) 2005-12-20 2005-12-20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13A KR100671468B1 (ko) 2005-12-20 2005-12-20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468B1 true KR100671468B1 (ko) 2007-01-19

Family

ID=38014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313A KR100671468B1 (ko) 2005-12-20 2005-12-20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831B1 (ko) 2008-03-14 2010-10-20 김용구 관통공이 형성된 모피 제품 제조방법
KR102176789B1 (ko) * 2019-05-03 2020-11-09 김용구 세탁 가능한 모피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제품
KR102253369B1 (ko) 2020-04-17 2021-05-17 한상윤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831B1 (ko) 2008-03-14 2010-10-20 김용구 관통공이 형성된 모피 제품 제조방법
KR102176789B1 (ko) * 2019-05-03 2020-11-09 김용구 세탁 가능한 모피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제품
KR102253369B1 (ko) 2020-04-17 2021-05-17 한상윤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KR20210128884A (ko) 2020-04-17 2021-10-27 정문성 모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모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63B1 (ko) 내절단성 글러브 및 의류
CN105690973B (zh) 粘合有卷起状态的韩纸和面料的织物的批量制造方法
DE10200801232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tickten Wandbelägen
KR100671468B1 (ko) 확장 모피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EP3064642B1 (en) Nubuck-leather-like she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CN108136715A (zh) 压花织物组件
DK180154B1 (en) Method for making leather laminate having textured surface
DE1560865C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elz- oder Fellstoffen
CN106103838B (zh) 牛巴革样片状物和其制造方法
KR101607924B1 (ko) 가죽 원단 염색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죽 원단
KR101453331B1 (ko) 종이원단 제조방법
EP3476998B1 (en) Napped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825554B1 (ko) 악어가죽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방 제조방법
ES2740728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para la fabricación de un cuero dividido fino a partir de una piel animal
KR101152380B1 (ko) 통기성을 가지는 인조가죽의 제조방법
US20020040762A1 (en) Textile composition
KR101171376B1 (ko) 모피실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피실과 이 모피실을 이용한 편물
CN1217010C (zh) 一种以纤维织物和毛皮为材料的组合式衣服及其制作方法
KR101234930B1 (ko) 레이저 가공된 혁대용 장식버클
US20130183538A1 (en) Method for shaping animal hide
KR102421100B1 (ko) 주름옻칠한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주름옻칠한지
KR101572653B1 (ko) 가죽 원단의 질감 표현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죽 원단
ATE497054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extilmaterials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textilmaterial
EP1942199A1 (en) Leather coated with aqueous composition comprising methacrylic resin
KR102490924B1 (ko) 천연한지 원사를 직조한 천연섬유를 활용한 비건섬유로 이루어진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154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612

Effective date: 200711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612

Effective date: 200711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0014288;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