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294A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294A
KR20160058294A KR1020140158726A KR20140158726A KR20160058294A KR 20160058294 A KR20160058294 A KR 20160058294A KR 1020140158726 A KR1020140158726 A KR 1020140158726A KR 20140158726 A KR20140158726 A KR 20140158726A KR 20160058294 A KR20160058294 A KR 2016005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nnamon
extract
antifungal composition
essential oil
antifun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균
최소영
윤성란
배수곤
최성용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5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8294A/ko
Publication of KR2016005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피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은, 천연 식물 추출물인 계피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안전하고 뛰어난 항진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합성 방부제 대신 화장품, 식품 및 의약품의 천연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진균 조성물은 최저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가 낮아 미량의 사용만으로도 우수한 항진균력을 가지며, 상기 솔잎 추출물의 계피향 마스킹(masking) 효과로 인해 계피의 특이취를 감춰 줄 수 있어 활용범위가 다양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Antifungal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extract and natural preservati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피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에 관한 것이다.
우리 생활주변에서 널리 이용되는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화장품 등의 많은 제품에는 내부물성의 변화를 방지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보존을 위해서 인체 사용이 허가된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다.
방부제란 넓은 의미로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변질 및 부패나 화학변화를 방지하여 영양가와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첨가물을 의미하여, 좁은 의미로는 세균, 곰팡이, 효모 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식품 및 의약품을 보존하는 첨가물로서 부패미생물의 발육을 저지하거나 살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부제의 이상적인 조건으로는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하고, 그 첨가로 인해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하며, 미량으로도 효과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상기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천연에서 산출된 물질도 있으나 거의 대부분 화학적으로 합성한 인공물질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 방부제 중에서 가장 안전한 것으로 인정되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파라벤류의 방부제들조차 피부 알러지 (Andrea Counti et al., Contact Dermatitis, 1997, 37; 35-36)와 환경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Edwin et al.,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998, 153; 12-19) 및 내성균 유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식품에 주로 사용되는 방부제들은 허용된 기준 내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항균력에 대한 불신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계속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체내 축적으로 인한 급·만성 독성이나 돌연변이 유발 등의 새로운 문제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화학적 방부제나 첨가물에 대한 사용 거부감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미생물 등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는 천연 방부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천연 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활성 물질들의 경우 대부분 색취, 안정성 저하, 좁은 항균스펙트럼, 제형상 문제 등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편백 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3794호)과 목련추출물인 마그놀롤(magnolol)(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8077호), 자몽추출물인 DF-100(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993-0009496호) 등 극히 일부만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합성 방부제와 동등한 방부 효과를 가지면서 안전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천연 방부제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3794호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9-0028077호 3.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993-0009496호
1. Andrea Counti et al., Contact Dermatitis, 1997, 37; 35-36 2. Edwin et al.,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998, 153; 12-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합성 화학 방부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피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계피 추출물은 신남알데히드(cinnamaldehyde), 유게놀(eugenol), 사이클로이소사티벤(cycloisosativene) 및 쿠마린(coumarin)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솔잎추출물은 α-피넨(α-pinene), α-카디놀(α-cadinol) 및 피톨(phytol)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피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은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진균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방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은, 천연 식물 추출물인 계피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안전하고 뛰어난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합성 방부제 대신 화장품, 식품 및 의약품 등의 천연 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진균 조성물은 최저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가 낮아 미량의 사용만으로도 우수한 항진균력을 가지며, 상기 솔잎 추출물의 계피향 마스킹(masking) 효과로 인해 계피의 특이취를 감춰 줄 수 있어 활용범위가 다양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혼합정유 중 계피 정유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Optical Density, O.D.)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계피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계피는 계피나무의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을 벗기고, 코르코층을 다소 제거하여 말린 것으로 빛깔은 황갈색이다. 계피는 스리랑카가 전세계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남인도, 수마트라, 보르네오 등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계피는 여러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중, 계피유라고 하는 정유(Essential oil)가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다. 계피유의 중요한 효과는 항균효과이다. 계피에 든 향기 성분이 마치 항생제처럼 해로운 세균을 죽이며, 때문에 충치 예방에도 많이 활용된다. 이는 위궤양, 위암을 유발하는 헬리코박터균이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포도상구균, 병원성 대장균등을 죽일 수 있다. 또한, 곰팡이를 없애는 효과도 있다. 가장 위험한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간암 유발)이 계피나 건포도가 든 빵엔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살충 작용의 효과도 있다. 계피의 향기 성분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집먼지 진드기 등을 죽이는 데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계피 추출물은 계피로부터 추출된 계피유(계피정유)를 이르는 것으로, 신남알데히드(cinnamaldehyde), 유게놀(eugenol), 사이클로이소사티벤(cycloisosativene) 및 쿠마린(coumarin)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피 추출물에는 신남알데하이드(Cinnamaldehyde)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신남알데하이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진정작용을 나타내고, 부신피질성 고혈압에 대한 혈압 강화작용은 나타내고,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살충작용이 있다.
이러한 계피 추출물은 열처리된 계피를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계피 추출물 제조방법은, (a) 계피를 열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를 거친 계피에 비극성용매를 첨가하고 교반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얻어진 비극성용매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에 극성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극성용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얻어진 극성용매 추출물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열처리는 계피의 조직을 연화시켜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성분이 쉽게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상기 열처리는 1 내지 3회 반복될 수 있으며, 반복횟수가 2회일 경우 계피 조직의 연화작용이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나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처리는 90 ~ 95℃에서 5 ~ 15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처리 후 진행되는 냉각 과정의 온도는 실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비극성용매는 계피로부터 지용성 성분(정유성분, 지질성분)을 추출하는 역할을 하며,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농축은 질소농축기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 의해 추출물로부터 비극성 용매가 제거된다.
상기 (d)단계에서, 상기 (c)단계로부터 얻어진 농축물에 포함된 계피의 정유성분은 극성용매에 재용해되고 지질성분은 용해되지 않고 남게 된다. 상기 극성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e)단계에서, 상기 농축은 질소농축기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극성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지질성분은 여과되고, 농축에 의해 정유성분이 용해된 극성용매로부터 극성용매가 제거됨으로써 계피의 정유성분이 얻어진다.
상기 계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a)단계를 거친 계피를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 분쇄된 계피를 이용하여 비극성 용매 및 극성용매로 추출할 경우((b)단계 ~ (e)단계) 정유 수율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솔잎은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의 잎으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잡냄새를 없애며 세균억제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솔잎 성분에는 정유성분,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수지 등이 있으며 수분 58.1%, 단백질 4.5%, 지질 3.9%, 당질 19.6%, 섬유소 13.3%, 회분 0.6% 정도가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밖에 솔잎의 성분에는 항암효과를 낼 수 있는 비타민A와 비타민C의 함량도 매우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추출물은 솔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성분을 이르는 것으로, α-피넨(α-pinene), α-카디놀(α-cadinol) 및 피톨(phytol)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유성분은 세균억제와 함께 계피향을 마스킹(masking)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솔잎 추출물 또한 계피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열처리된 솔잎을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솔잎의 용매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예 5 내지 8 및 표 2를 참조하면, 솔잎으로부터 추출된 정유성분의 총 함량 및 α-pinene의 추출량 면에서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추출물은 상기 계피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솔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a)단계 내지 (e)단계를 포함하는 계피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단, 솔잎 추출물의 경우 상기 (a)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은 상기 계피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피 추출물에 대한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계피향 마스킹(masking)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반면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함량 대비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항진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를 제공한다. 상기 천연방부제는 화장품, 식품, 의약품, 농약, 생활용품 등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식물 추출물 시료의 제조>
제조예 1 : 계피 추출물의 제조
계피를 세척한 후, 추출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당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계피를 95℃에서 10분동안 섞어 가면서 열처리한 후, 실온에서 식혀주었다.
이렇게 열처리 및 냉각단계를 거친 계피를 분쇄하여 얻어진 계피 분말 10g에 비극성용매인 헥산 30㎖를 넣고 2일간 교반하여 계피로부터 헥산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상기 헥산 추출물을 여과한 후, 여과한 것 중 10㎖을 질소농축기로 농축하여 헥산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농축물에 극성용매인 에탄올 10㎖을 넣고 교반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한 후, 이것을 다시 질소농축기로 농축, 에탄올을 제거하여 계피 정유성분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계피 정유성분을 에탄올 3㎖에 녹인 후, 여기에 내부표준물질로서 n-부틸벤젠(N-butylbenzene)을 5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내부표준 물질인 n-부틸벤젠(N-butylbenzene)과 비교하여 정유성분의 상대량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추출량으로 기재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CG/MS(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컬럼(column)은 Agilent DB-1MS Capillary column(30m, 0.25mm, 0.25um) (Agilent technologies Inc., Chandler, AZ, USA) 이었다. 상기 GC/MS 분석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오븐온도를 60℃에서 5분 유지한 다음, 분당 7℃씩 상승시켜 230℃까지 올린 후, 230℃에서 20분간 유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시료의 주입에는 스플리트 모드(split mode)를 사용하였고 스플리트 비율(split ratio)은 20:1이었다. GC-MS에 의해 분리된 각 peak의 성분 분석은 GC-MS의 software로 내장된 WILEY library 이용하여 정성분석 하였다.
제조예 2 내지 4 : 계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열처리 및 냉각 단계를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반복횟수만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벙법으로 계피정유를 얻었다.
반복
횟수(회)
정유성분 추출량(ppm)
cinnam-
aldehyde
eugenol cyclo-
isosativene
coumarin 합계
제조예 1 1 8,000 18 134 347 8,499
제조예 2 2 15,157 14 134 1,466 16,771
제조예 3 3 10,845 19 137 1,132 12,133
제조예 4 0 6,191 17 85 302 6,595
제조예 5 : 솔잎 추출물의 제조
솔잎을 세척한 후, 추출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당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솔잎을 95℃에서 10분동안 섞어 가면서 열처리한 후, 실온에서 식혀주었다.
이렇게 열처리 및 냉각단계를 거친 솔잎을 50℃에서 1일간 건조한 후, 분쇄하여 얻어진 솔잎 분말 3g에 비극성용매인 헥산 30㎖를 넣고 2일간 교반하여 솔잎으로부터 헥산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상기 헥산 추출물을 여과한 후, 여과한 것 중 10㎖을 질소농축기로 농축하여 헥산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농축물에 극성용매인 에탄올 10㎖을 넣고 교반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한 후, 이것을 다시 질소농축기로 농축, 에탄올을 제거하여 솔잎 정유성분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솔잎 정유성분을 에탄올 2.5㎖에 녹인 후, 여기에 내부표준물질로서 n-부틸벤젠(N-butylbenzene)을 50㎍/㎖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내부표준 물질인 n-부틸벤젠(N-butylbenzene)과 비교하여 정유성분의 상대량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추출량으로 기재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CG/MS(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컬럼(column)은 Thermo Scientific TG-5ms Capillary column(30m, 0.25mm, 0.25um)이었다. 상기 GC/MS 분석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오븐온도를 60℃에서 5분 유지한 다음, 분당 7℃씩 상승시켜 230℃까지 올린 후, 230℃에서 20분간 유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시료의 주입에는 스플리트 모드(split mode)를 사용하였고 스플리트 비율(split ratio)은 20:1이었다. GC-MS에 의해 분리된 각 peak의 성분 분석은 GC-MS의 software로 내장된 NIST library 이용하여 정성분석 하였다.
제조예 5 내지 8 : 솔잎 추출물의 제조
상기 열처리 및 냉각 단계를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반복횟수만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벙법으로 솔잎정유를 얻었다.
반복횟수(회) 정유성분 추출량(ppm)
α-pinene α-cadinol phytol 합계
제조예 5 1 165 480 358 1,003
제조예 6 2 166 521 355 1,042
제조예 7 3 144 439 306 889
제조예 8 0 396 375 295 1,066
제조예 9 :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의 제조
상기 솔잎 대신에 청미래덩굴잎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청미래덩굴잎 정유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 연잎 추출물의 제조
상기 솔잎 대신에 연잎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잎 정유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 곰취잎 추출물의 제조
상기 솔잎 대신에 곰취잎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곰취잎 정유를 제조하였다.
< 항진균 조성물의 최저저해농도(MIC) 결정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먼저, 항진균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항진균 조성물의 구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제1성분 제1성분
실시예 1 계피정유(제조예 2) 솔잎정유(제조예 8)
비교예 1 계피정유(제조예 2) 청미래덩굴잎 정유(제조예 9)
비교예 2 계피정유(제조예 2) 연잎 정유(제조예 11)
비교예 3 계피정유(제조예 2) 곰취잎 정유(제조예 12)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제1성분의 농도가 150ppm, 75ppm, 37.5ppm 및 18.25ppm, 제2성분의 농도가 50ppm, 75ppm, 100ppm이 되도록 준비하고, 상기 제1성분과 제2성분을 농도별로 혼합하여 12가지의 혼합정유를 제조하였고, 이들을 항진균 조성물로 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조직배양 플레이트에 넣고, 동시에 상기 항진균 조성물을 각각 농도별로 첨가한 후, 30 ℃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천연 항진균 조성물의 MIC를 측정하기 위하여 2배 희석법을 이용하였다. 항진균 시험을 위해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최저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유추한다. 흡광도가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 것이 균의 생장이 억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때의 최소 농도를 최저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로 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항진균 조성물 중 제1성분인 계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제2성분의 농도는 100ppm으로 고정)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최저저해농도(MIC)
제1성분 제2성분 합계
실시예 1 75ppm 100ppm 175ppm
비교예 1 150ppm 100ppm 250ppm
비교예 2 150ppm 100ppm 250ppm
비교예 3 150ppm 100ppm 250ppm
상기 표 4 및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계피정유 및 솔잎정유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항진균 조성물의 경우, 175ppm의 제일 낮은 농도에서 효모에 대하여 MIC를 나타내어 높은 항진균력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솔잎 추출물의 계피향 마스킹(masking) 효과 검증>
실시예 2 내지 6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계피정유와 제조예 8에 따라 제조된 솔잎정유를 하기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항진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항진균 조성물에 대하여 9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계피향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계피향이 나는 정도에 따라 강함은 +++, 중간은 ++, 약함은 +, 무취는 ―로 표시하였다.
솔잎:계피
(중량비)
향 참가자
1 2 3 4 5 6 7 8 9
실시예 1 3:1 + + + + + + - + +
실시예 2 2:1 + + + + + + + + +
실시예 3 1:1 + + + + ++ + + + +
실시예 4 1:2 ++ ++ ++ ++ +++ +++ ++ ++ ++
실시예 5 1:3 +++ +++ +++ +++ +++ +++ +++ +++ +++
상기 표 5를 살펴보면, 솔잎정유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질수록 실험대상자들이 계피향을 느끼는 정도가 약해졌음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솔잎 정유가 계피향 마스킹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계피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 추출물은 신남알데히드(cinnamaldehyde), 유게놀(eugenol), 사이클로이소사티벤(cycloisosativene) 및 쿠마린(coumarin)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 추출물은 열처리된 계피를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것인 항진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는 1 내지 3회 반복 열처리된 것인 항진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추출물은 α-피넨(α-pinene), α-카디놀(α-cadinol) 및 피톨(phytol)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정유성분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추출물은 용매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인 항진균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피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은 1:3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항진균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항진균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방부제.
KR1020140158726A 2014-11-14 2014-11-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KR20160058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26A KR20160058294A (ko) 2014-11-14 2014-11-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26A KR20160058294A (ko) 2014-11-14 2014-11-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94A true KR20160058294A (ko) 2016-05-25

Family

ID=5611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726A KR20160058294A (ko) 2014-11-14 2014-11-14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82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151A (ko) 2017-10-16 2019-04-24 (주)예스킨 천연물 항진균 식품조성물
KR20190073126A (ko) 2017-12-18 2019-06-26 정해진 보존기간 연장을 위한 천연방부제 및 제조방법
KR20190101318A (ko) 2019-07-20 2019-08-30 류형준 천연물 항진균 조성물
KR20200052661A (ko) * 2018-11-07 2020-05-15 (주) 클레어 집먼지진드기 기피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151A (ko) 2017-10-16 2019-04-24 (주)예스킨 천연물 항진균 식품조성물
KR20190073126A (ko) 2017-12-18 2019-06-26 정해진 보존기간 연장을 위한 천연방부제 및 제조방법
KR20200052661A (ko) * 2018-11-07 2020-05-15 (주) 클레어 집먼지진드기 기피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1318A (ko) 2019-07-20 2019-08-30 류형준 천연물 항진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zoughi et al. Wild edible Swiss chard leaves (Beta vulgaris L. var. cicla): Nutrition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Wadikar et al. Coleus aromaticus: a therapeutic herb with multiple potentials
Rattanachaikunsopon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basil (Ocimum basilicum) oil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in vitro and in food
Bunawan et al. Cosmos caudatus Kunth: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Moneruzzaman Khandaker et al. Bioactive constituent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ree cultivars of wax apple (Syzygium samarangense L.) fruits
Dhaouadi et al. Commercial Lawsonia inermis L. dried leaves and processed powder: Phyto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llelopathic activities
Gheisari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Iranian Bael (Aegle marmelos) fruit against some food pathogens
Fratianni et al. Polyphenol composition,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quorum quenching activity of the “Carciofo di Montoro”(Cynara cardunculus var. scolymus) Global Artichoke of the Campania Region, Southern Italy
Safithri et al. Formula of Piper crocatum, Cinnamomum burmanii, and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as a functional beverage for diabetics.
Hosseini et al. Total pheno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and extracts of Ferulago angulata ssp. angulata
KR2016005829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Anggraini et al. The exotic plants of Indonesia: Mahkota Dewa (Phaleria macrocarpa), Sikaduduak (Melastoma malabathricum Linn) and Mengkudu (Morinda citrifolia) as potent antioxidant sources
Soleimani et al. An investig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Hyssopus officinalis L. and Echinacea purpurea L. plant extracts in oil model system
KR101673202B1 (ko) 황금, 오미자, 금은화, 사상자 및 산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41498B1 (ko) 천연 항균 물질 복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7367B1 (ko) 브로콜리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Yang et al. New insights of fig (Ficus carica L.) as a potential function food
KR100876667B1 (ko) 육두구, 육계 및 양강 혼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항균 활성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mulaiky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enzyme content, phenolic conte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miphora gileadensis grown in Saudi Arabia
Kavak Optimization of extraction time, temperature and solvent concentration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Cydonia oblonga mill. Leaves
KR100509176B1 (ko)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Babayan et al.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SPECIES OF $ ARTEMISIA $ GENUS, REPRESENTED IN ARMENIAN FLORA
KR1023051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El-Anany et al. Potential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of coffee mixed with lemongrass (Cymbopogon citrates) leaves
Mamabolo et al. Effect of different plant parts on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ndigenous tea (Jatropha zeyheri) of South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