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056B1 - 혼련기 - Google Patents

혼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056B1
KR101962056B1 KR1020177020932A KR20177020932A KR101962056B1 KR 101962056 B1 KR101962056 B1 KR 101962056B1 KR 1020177020932 A KR1020177020932 A KR 1020177020932A KR 20177020932 A KR20177020932 A KR 20177020932A KR 101962056 B1 KR101962056 B1 KR 101962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weight
moving
weight
knead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014A (ko
Inventor
요시히토 우라카미
다카시 모리베
슈이치 하나다
가즈히토 다카하시
지로 아가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 B29B7/2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in mixers having more than one rotor and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with feeding plungers
    • B01F15/0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01F7/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76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 B29B7/7495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for mix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discharging, e.g. doors
    • B29B7/26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discharging, e.g. doors from the underside in mixers having more than one rotor and a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 B29B7/28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measuring data of the driving system, e.g. torque, speed,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상부에 투입구(9)를 가짐과 함께, 피혼련물을 혼련하는 날개부(16)가 마련된 로터(4)를 내부에 갖는 케이싱(3)과, 투입구(9)를 폐쇄하는 플로팅 웨이트(7)와, 투입구(9) 상방에서, 지지된 상태의 플로팅 웨이트(7)를, 투입구(9) 바로 위의 전달 위치(P2)와, 투입구(9)의 측방의 대피 위치(P3)의 사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평 이동부(11)를 갖고, 전달 위치(P2)로부터 투입구(9)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P1)로, 수평 이동부(11)로부터 플로팅 웨이트(7)를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10)를 구비하는 혼련기(1)이다.

Description

혼련기
본 발명은, 피혼련물을 혼련하는 혼련기에 관한 것이다.
케이싱 내에서 한 쌍의 혼련용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원료 고무에 각종 첨가물을 배합한 피혼련물을 혼련하여, 고무 제품의 재료가 되는 혼련 고무를 제조하는 혼련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혼련기의 케이싱에는, 피혼련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혼련 중에는 투입구를 플로팅 웨이트로 폐쇄하고, 투입구를 통하여 피혼련물을 투입할 때는, 플로팅 웨이트를 피혼련물의 투입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혼련기는, 혼련기의 높이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플로팅 웨이트와, 플로팅 웨이트를 승강시키는 에어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4502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혼련기는, 플로팅 웨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에어 실린더가, 플로팅 웨이트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형상이기 때문에, 혼련기의 콤팩트화가 충분하지 않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혼련기는, 플로팅 웨이트와, 플로팅 웨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에어 실린더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혼련기의 높이를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었다.
이 발명은, 연직 방향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혼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혼련기는, 상부에 투입구를 가짐과 함께, 피혼련물을 혼련하는 날개부가 마련된 로터를 내부에 갖는 케이싱과,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플로팅 웨이트와, 상기 투입구 상방에서, 지지된 상태의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상기 투입구 바로 위쪽의 전달 위치와, 투입구의 측방의 대피 위치의 사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평 이동부를 갖고, 상기 전달 위치로부터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로, 상기 수평 이동부로부터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혼련물의 투입 시에, 플로팅 웨이트를 투입구 상방이며 투입구의 측방인 대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함으로써, 플로팅 웨이트의 대피 위치의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혼련기의 연직 방향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상기 혼련기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는, 지지된 상태의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상기 전달 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는 상기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고, 상기 전달 위치에서는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상기 수평 이동부와의 사이에서 전달 가능한 승강부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로팅 웨이트를 임의의 위치로 승강시킴으로써, 수평 이동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즉, 수평 이동부를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포크만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혼련기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플로팅 웨이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혼련물의 혼련 중에 있어서, 플로팅 웨이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혼련기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웨이트는,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돌출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혼련기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구는 상기 돌출부를 상방으로부터 압압해도 된다.
상기 혼련기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구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의 상기 피혼련물로부터의 반력에 대하여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부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체부에 의하여 플로팅 웨이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련기의 연직 방향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혼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혼련기의 플로팅 웨이트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본 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혼련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로서, 플로팅 웨이트가 대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혼련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로서, 플로팅 웨이트가 전달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혼련기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로서, 플로팅 웨이트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혼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혼련기(1)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혼련기(1)는, 예를 들면 원료 고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혼련물을 혼련함으로써 혼련 생성물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혼련기(1)는, 내부에 혼련실(2)이 마련된 케이싱(3)과, 혼련실(2)의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혼련용 로터(4)와, 피혼련물(G)(도 4 참조)이 투입되는 호퍼(6)가 마련된 프레임(5)과, 케이싱(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9)를 폐쇄시켜 피혼련물(G)을 혼련실(2)에 압입하는 플로팅 웨이트(7)와, 플로팅 웨이트(7)를 이동시키는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10)를 갖고 있다.
혼련기(1)는, 호퍼(6)로부터 투입된 피혼련물(G)을 혼련실(2)에 투입하고, 투입구(9)를 플로팅 웨이트(7)로 폐쇄한 상태에서 피혼련물(G)을 혼련용 로터(4)를 이용하여 혼련하는, 이른바 밀폐식 혼련기이다.
한 쌍의 혼련용 로터(4)는, 혼련실(2)의 내부에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혼련용 로터(4)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혼련용 로터(4)의 각각의 외표면에는, 각각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날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부(16)는, 예를 들면, 혼련용 로터(4)의 축선에 대하여 나선 형상으로 비틀려 형성된다. 이들 날개부(16)는, 혼련용 로터(4)의 회전에 의하여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호퍼(6)는, 프레임(5)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5)은, 투입구(9)의 측면을 연장하도록 형성된 측벽(28)을 갖고 있다. 즉, 프레임(5)의 측벽(28)의 내면은, 투입구(9)의 측면과 동일 평면 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벽(28)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수평 방향의 위치가 투입구(9)로부터 이간되는 경사면(36)을 갖고 있다.
케이싱(3)의 바닥부에는, 혼련된 피혼련물(G)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드롭 도어(8)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팅 웨이트(7)는, 투입구(9)를 폐쇄하는 본체부(17)와, 본체부(17)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돌출부(18)를 갖고 있다. 본체부(17)는, 투입구(9)를 개폐 가능한 블록 형상 부재이다. 본체부(17)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투입구(9)와 대략 동일 형상의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8)는, 판 형상부(19)와, 판 형상부(19)와 본체부(17)를 접속하는 복수의 실린더부(20)를 갖고 있다.
판 형상부(19)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상방으로부터 보아 본체부(17)와 대략 동일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다. 판 형상부(19)와 본체부(17)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20)는, 통 형상의 실린더 본체(21)와, 실린더 본체(21)의 내부를 실린더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2개로 분할하도록, 또한, 실린더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22)과, 피스톤(22)에 접속되고, 실린더 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피스톤 로드(23)를 갖고 있다. 실린더부(20)는, 이른바 쇼크 업소버(완충 장치)이다. 실린더부(20)는, 플로팅 웨이트(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부로서 기능한다.
실린더부(20)의 대체로서,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을 탄성체부로서 배치해도 된다. 즉, 플로팅 웨이트(7)의 판 형상부(19)와 본체부(17)를 접속하는 부재로서는, 탄성 변형하는 부재이면 적절히 채용해도 된다.
실린더부(20)의 실린더 본체(21)는, 플로팅 웨이트(7)의 본체부(17)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부(20)의 피스톤 로드(23)는, 플로팅 웨이트(7)의 본체부(1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판 형상부(19)에 접속되어 있다. 즉, 판 형상부(19)가 상방으로부터 압압됨으로써 피스톤 로드(23)를 통하여 피스톤(22)이 실린더 본체(21)에 봉입된 공기를 압축한다.
실린더부(20)는, 피스톤(22) 내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 계측 장치(26)와, 피스톤(22) 내의 공기압에 따라 공기를 피스톤(22) 외부로 방출하는 밸브(27)로 이루어지는 릴리스 기구(24)를 갖고 있다. 압력 계측 장치(26) 및 밸브(27)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는, 혼련 중에 있어서, 피스톤(22) 내의 공기압을 감시한다. 제어 장치는, 피스톤(22) 내의 공기압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에, 밸브(27)를 개방 상태로 하는 지령을 내린다. 이로써, 피스톤(22) 내의 공기압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에, 피스톤(22)으로부터 공기가 방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3)에는, 플로팅 웨이트(7)가 혼련실(2)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플로팅 웨이트(7)의 본체부(17)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33)에 걸어 맞추는 절결(34)이 형성되어 있다.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10)는, 플로팅 웨이트(7)를, 플로팅 웨이트(7)가 투입구(9)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P1)와, 폐쇄 위치(P1)의 바로 위(연직 방향의 상방, 바로 위쪽)의 전달 위치(P2)와, 전달 위치(P2)의 측방의 대피 위치(P3)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10)는, 투입구(9) 상방에서, 지지된 상태의 플로팅 웨이트(7)를, 투입구(9)의 바로 위의 전달 위치(P2)와, 투입구(9)의 측방의 대피 위치(P3)의 사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평 이동부(11)를 갖고 있다.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10)는, 지지된 상태의 플로팅 웨이트(7)를, 전달 위치(P2)와, 폐쇄 위치(P1)의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고, 전달 위치(P2)에서는 플로팅 웨이트(7)를 수평 이동부(11)와의 사이에서 전달 가능한 승강부(12)를 갖고 있다.
수평 이동부(11)는, 투입구(9)의 상방에서 플로팅 웨이트(7)를 지지하면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구이다. 수평 이동부(11)는, 포크(13)와, 포크(1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크 구동부(15)를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13)는, 한 쌍의 포크 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포크 부재(14)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봉 형상의 부재이며, 상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포크 부재(14)는,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포크 구동부(15)는, 포크(13)를, 포크(13)의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이다. 포크 구동부(15)는,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을 통하여, 예를 들면 케이싱(3)에 고정할 수 있다.
포크(13)는, 포크 구동부(15)에 의하여, 전달 위치(P2)에 위치하는 플로팅 웨이트(7)를 지지하는 제1 스트로크 위치(S1)(도 5 참조)와, 대피 위치(P3)에 위치하는 플로팅 웨이트(7)를 지지하는 제2 스트로크 위치(S2)(도 4 참조)의 사이에서 신축한다. 플로팅 웨이트(7)는, 포크(13)가 플로팅 웨이트(7)의 판 형상부(19)와 본체부(17)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부(12)는, 케이싱(3)의 상면으로부터 연직 방향 상방으로 뻗는 한 쌍의 샤프트(29)와, 샤프트(29)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웨이트 지지판(30)을 갖고 있다. 승강부(12)는, 볼 나사의 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샤프트(29)에는, 외주면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웨이트 지지판(30)은, 샤프트(29)의 나사 홈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으며, 너트와 샤프트(29)의 나사 홈의 사이에는 복수의 볼이 개재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샤프트(29)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트 지지판(30)이 상하로 승강한다.
웨이트 지지판(30)은, 플로팅 웨이트(7)의 판 형상부(19)와 본체부(17)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플로팅 웨이트(7)를 지지하는 판 형상 부재이다.
샤프트(29)는, 외주면이 투입구(9)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샤프트(29)에 의하여 플로팅 웨이트(7)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샤프트(29)를 플로팅 웨이트(7)의 가이드로 할 수 있다. 샤프트(29)의 외주면이 투입구(9)의 내주면을 따르도록 배치하지 않고, 별도로, 승강 중의 플로팅 웨이트(7)의 수평 위치를 가이드하는 판 형상(또는 봉 형상)의 가이드를 마련해도 된다. 또, 반드시 가이드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
승강부(12)에 있어서의 웨이트 지지판(30)의 승강을 실현하는 기구로서는, 볼 나사에 한정하지 않고, 유압 실린더의 기구를 이용하여 웨이트 지지판(30)을 승강시키는 구조로 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13)와 웨이트 지지판(30)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웨이트 지지판(30)의 사이에 포크(13)가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웨이트 지지판(30)은, 포크(13) 및 실린더부(20)의 피스톤 로드(23)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면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포크(13)는, 포크(13) 및 실린더부(20)의 피스톤 로드(23)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면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혼련기(1)는, 폐쇄 위치(P1)에 배치된 플로팅 웨이트(7)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제한 기구(25)는, 유압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한 기구(25)는, 케이싱(3)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한 기구 본체(31)와, 제한 기구 본체(31)로부터 신축 가능한 스토퍼(32)를 갖고 있다.
제한 기구(25)는, 스토퍼(32)를, 플로팅 웨이트(7)가 폐쇄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플로팅 웨이트(7)의 판 형상부(19)의 상면에 맞닿게 하는 위치(또는, 스토퍼(32)와 판 형상부(19)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발생하는 위치, 이하, 스토퍼 돌출 위치라고 부름)와, 플로팅 웨이트(7)의 승강 시에 플로팅 웨이트(7)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하, 스토퍼 대피 위치라고 부름)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혼련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혼련물(G)을 혼련실(2)에 투입할 때는, 호퍼(6)를 개방 상태로 하고, 플로팅 웨이트(7)를 대피 위치(P3)에 위치시킨다. 즉, 수평 이동부(11)의 포크(13)를 포크 구동부(15)측으로 인입하여, 포크(13)를 도 4에 나타내는 제2 스트로크 위치(S2)까지 이동시킨다. 이로써, 포크(13)에 지지된 플로팅 웨이트(7)는, 대피 위치(P3)에 배치된다.
피혼련물(G)을 혼련실(2)에 투입한 후, 플로팅 웨이트(7)를 폐쇄 위치(P1)로 이동시킨다.
먼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이동부(11)의 포크(13)를 포크 구동부(15)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하여, 플로팅 웨이트(7)를 전달 위치(P2)까지 이동시킨다. 즉, 포크(13)를 도 5에 나타내는 제1 스트로크 위치(S1)까지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플로팅 웨이트(7)의 측면이 승강부(12)의 샤프트(29)에 맞닿을 때까지 플로팅 웨이트(7)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승강부(12)는, 웨이트 지지판(30)이 플로팅 웨이트(7)의 판 형상부(19)와 본체부(17)의 사이에 삽입되는 높이에 웨이트 지지판(30)을 배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플로팅 웨이트(7)를 대피 위치(P3)로부터 전달 위치(P2)로 이동시킬 때는, 승강부(12)를 조작하여, 웨이트 지지판(30)의 상면을 포크(13)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어서, 승강부(12)를 조작하여, 플로팅 웨이트(7)의 하중이 포크(13)에 가해지지 않도록, 플로팅 웨이트(7)를 약간 상승시킨다. 즉, 플로팅 웨이트(7)를 수평 이동부(11)의 포크(13)로부터 승강부(12)의 웨이트 지지판(30)에 전달한다.
이어서, 포크(13)를 제2 스트로크 위치(S2)까지 대피시킨다. 즉, 플로팅 웨이트(7)를 하강시킬 때에, 플로팅 웨이트(7)와 포크(13)가 간섭하지 않도록, 포크(13)를 복귀시킨다. 이로써, 플로팅 웨이트(7)는, 수평 이동부(11)로부터 분리되어, 승강부(12)의 웨이트 지지판(30)에 의하여 지지된다.
다음으로, 플로팅 웨이트(7)를 전달 위치(P2)로부터 폐쇄 위치(P1)까지 이동시킨다. 즉, 플로팅 웨이트(7)에 의하여 투입구(9)를 폐쇄한다. 플로팅 웨이트(7)를 전달 위치(P2)로부터 하강시킬 때는, 제한 기구(25)의 스토퍼(32)는, 스토퍼 대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즉, 스토퍼(32)는, 스토퍼(32)가 플로팅 웨이트(7)의 상하 이동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먼저, 승강부(12)를 조작하여, 플로팅 웨이트(7)를 플로팅 웨이트(7)의 절결(34)이 케이싱(3)의 돌기(33)에 걸어 맞춰질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플로팅 웨이트(7)의 수평 방향의 위치는, 승강부(12)의 샤프트(29) 및 프레임(5)의 경사면(36)에 의하여 투입구(9)의 바로 위로 안내된다.
이어서, 제한 기구(25)를 조작하여, 스토퍼(32)를 스토퍼 돌출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투입구(9)가 플로팅 웨이트(7)에 의하여 폐쇄된다.
호퍼(6)를 통하여 투입된 혼련 재료는, 플로팅 웨이트(7)에 의하여 혼련실(2) 내에 압입된 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혼련용 로터(4)의 사이, 및 혼련용 로터(4)와 혼련실(2)의 내표면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 작용에 의하여 혼련된다. 이때, 플로팅 웨이트(7)에 부여되는 충격은, 실린더부(20)에 의하여 흡수된다. 즉, 실린더부(20)의 실린더 본체(21)의 내부의 공기가 압축됨으로써, 플로팅 웨이트(7)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된다.
또, 플로팅 웨이트(7)의 돌출부(18)가 릴리스 기구(24)를 갖고 있음으로써, 혼련실(2) 내부의 혼련물로부터의 반력이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플로팅 웨이트(7)의 변위를 허용시킬 수 있다. 릴리스 기구(24)에 의하여, 과도한 압력에 의하여 실린더부(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혼련된 재료는, 혼련실(2)의 바닥부에 마련된 드롭 도어(8)를 개방함으로써 혼련실(2)의 외부로 취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혼련물(G)의 투입 시에, 플로팅 웨이트(7)를 투입구(9) 상방이며 투입구(9)의 측방인 대피 위치(P3)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플로팅 웨이트(7)의 대피 위치(P3)의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혼련기(1)의 연직 방향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접속된 2개의 혼련기를 구비하는 탠덤형 시스템에 있어서, 하측의 혼련기에도 플로팅 웨이트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10)가, 승강부(12)를 가짐으로써, 플로팅 웨이트(7)를 임의의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수평 이동부(11)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즉, 수평 이동부(11)를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크(13)만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폐쇄 위치(P1)에 위치하는 플로팅 웨이트(7)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25)를 구비함으로써, 피혼련물(G)의 혼련 중에 있어서, 플로팅 웨이트(7)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 실린더부(20)가 혼련실(2) 내부의 피혼련물(G)로부터의 반력에 대하여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부로서 기능함으로써, 혼련 중에 플로팅 웨이트(7)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 릴리스 기구(24)에 의하여, 혼련실(2) 내부의 혼련물로부터의 반력이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플로팅 웨이트(7)의 변위가 허용됨으로써, 피혼련물(G)로부터 과도한 반력이 가해진 경우에, 돌출부(1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혼련기(1B)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혼련기(1B)는, 제1 실시형태의 혼련기(1)와 비교하여,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의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10B)는, 제1 실시형태의 수평 이동부(11)의 기능을 갖는 크레인부(38)를 갖고 있다.
크레인부(38)는, 프레임(5)의 최상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 마련된 레일(39)과, 레일(39) 상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암(40)을 갖고 있다.
암(40)은, 플로팅 웨이트(7)의 판 형상부(19)를 파지 가능한 핸드부(41)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크레인부(38)는, 암(40)을 이용하여 플로팅 웨이트(7)를 지지할 수 있다. 또, 크레인부(38)는, 플로팅 웨이트(7)를 대피 위치(P3)(도 1 참조)로부터 전달 위치(P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혼련기(1B)에 있어서, 플로팅 웨이트(7)를 전달 위치(P2)로부터 폐쇄 위치(P1)로 이동시키는 경우는, 전달 위치(P2)로부터 플로팅 웨이트(7)를 자유 낙하시킨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암(40)을 이용함으로써, 플로팅 웨이트(7)를 자유 낙하시키지 않고 폐쇄 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및 그들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외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혼련기(1, 1B)에 있어서는, 탄성체부로서 기능하는 실린더부(20)를 플로팅 웨이트(7)의 돌출부(18)에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탄성체부로서 기능하는 부재를 제한 기구(25)의 스토퍼(32)의 하면에 마련해도 된다. 즉, 완충 장치는, 플로팅 웨이트(7)와 스토퍼(32) 중 적어도 일방에 마련하면 된다.
1, 1B 혼련기
2 혼련실
3 케이싱
4 혼련용 로터
5 프레임
6 호퍼
7 플로팅 웨이트
8 드롭 도어
9 투입구
10, 10B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
11 수평 이동부
12 승강부
13 포크
14 포크 부재
15 포크 구동부
16 날개부
17 본체부
18 돌출부
19 판 형상부
20 실린더부
21 실린더 본체
22 피스톤
23 피스톤 로드
24 릴리스 기구
25 제한 기구
26 압력 계측 장치
27 밸브
29 샤프트
30 웨이트 지지판
31 제한 기구 본체
32 스토퍼
33 돌기
34 절결
36 경사면
38 크레인부
39 레일
40 암
41 핸드부
G 피혼련물
P1 폐쇄 위치
P2 전달 위치
P3 대피 위치
S1 제1 스트로크 위치
S2 제2 스트로크 위치

Claims (6)

  1. 상부에 투입구를 가짐과 함께, 피혼련물을 혼련하는 날개부가 마련된 로터를 내부에 갖는 케이싱과,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플로팅 웨이트와,
    상기 투입구 상방에서, 지지된 상태의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상기 투입구 바로 위의 전달 위치와, 투입구의 측방의 대피 위치의 사이에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평 이동부를 갖고, 상기 전달 위치로부터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로, 상기 수평 이동부로부터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팅 웨이트 이동 기구는, 지지된 상태의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상기 전달 위치와,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는 상기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고, 상기 전달 위치에서는 상기 플로팅 웨이트를 상기 수평 이동부와의 사이에서 전달 가능한 승강부를 갖는 혼련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플로팅 웨이트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 기구를 구비하는 혼련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웨이트는, 상기 투입구를 폐쇄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뻗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혼련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구는 상기 돌출부를 상방으로부터 압압하는 혼련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한 기구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의 상기 피혼련물로부터의 반력에 대하여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부를 갖는 혼련기.
KR1020177020932A 2015-02-05 2015-02-05 혼련기 KR101962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3294 WO2016125293A1 (ja) 2015-02-05 2015-02-05 混練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014A KR20170100014A (ko) 2017-09-01
KR101962056B1 true KR101962056B1 (ko) 2019-03-25

Family

ID=5656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932A KR101962056B1 (ko) 2015-02-05 2015-02-05 혼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00860B2 (ko)
JP (1) JP6159027B2 (ko)
KR (1) KR101962056B1 (ko)
CN (1) CN107206336B (ko)
WO (1) WO2016125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0860B2 (en) * 2015-02-05 2017-07-1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Technology Corporation Mixer provided with floating weight moving mechanism
JP6769184B2 (ja) * 2016-09-02 2020-10-14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材料の混練方法および装置
IT201800002860A1 (it) * 2018-02-20 2019-08-20 Colmec S P A Mescolatore-estrusore bivite, comprendente mezzi di controllo di una camera di rimescolamento
CN112058199B (zh) * 2020-08-25 2022-02-11 福建天甫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电子级氟化氨的制备系统及工艺
CN112428470B (zh) * 2020-10-12 2022-05-06 富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降解塑料袋原料加工设备
CN112372974B (zh) * 2020-10-22 2022-03-29 东营市东达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超高分子量聚乙烯管材成型系统及成型工艺
CN113061342A (zh) * 2021-03-26 2021-07-02 浙江百朗士橡塑科技有限公司 一种低硬度阻燃硅胶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4263A (en) 1973-04-30 1978-04-11 Firma Werner & Pfleiderer Kneading and mixing machine
JPS59145024A (ja) * 1983-02-07 1984-08-20 Sumitomo Rubber Ind Ltd 密閉式混練機
IT1269896B (it) * 1994-03-22 1997-04-16 Pomini Spa Apparecchiatura a cilindri contrapposti per l'azionamento dell'asta diun elemento pressore (di mescole in lavorazione) in macchine di tipo interno
JPH07303824A (ja) * 1994-05-12 1995-11-21 Hironobu Matsumura 加圧型ニーダ
JPH1058443A (ja) 1996-08-27 1998-03-03 Kobe Steel Ltd 密閉式混練機のウエイト作動装置
JPH10264158A (ja) * 1997-03-26 1998-10-06 Shibuya Mach Kk 発泡ポリスチレン等の減容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100640695B1 (ko) 2000-04-26 2006-10-3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배치 믹서 그리고 배치 믹서용 혼합 로터
JP3662878B2 (ja) * 2001-11-06 2005-06-22 株式会社フジエンヂニアリング 混練機
DE102009003606A1 (de) * 2009-03-12 2010-09-1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Gummimischung mit einer Mischkammer
CN201587048U (zh) 2009-10-12 2010-09-22 张家港市兰航机械有限公司 密炼机中的压锤装置
JP5791303B2 (ja) * 2011-02-16 2015-10-07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混練装置
JP5734167B2 (ja) * 2011-11-17 2015-06-10 鈴鹿エンヂニヤリング株式会社 密閉加圧型混練機の粉末配合剤回収装置及びその回収方法
JP5791545B2 (ja) * 2012-02-28 2015-10-07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混練機
JP5422070B1 (ja) * 2013-04-10 2014-02-19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金属イオン供給装置
TWM479837U (zh) 2014-02-17 2014-06-11 Jinn Guang Technology Co Ltd 密煉機攪拌槽結構
US9700860B2 (en) * 2015-02-05 2017-07-11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Technology Corporation Mixer provided with floating weight mov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5293A1 (ja) 2016-08-11
US20160361697A1 (en) 2016-12-15
US9700860B2 (en) 2017-07-11
CN107206336A (zh) 2017-09-26
KR20170100014A (ko) 2017-09-01
JPWO2016125293A1 (ja) 2017-04-27
JP6159027B2 (ja) 2017-07-05
CN107206336B (zh)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056B1 (ko) 혼련기
CN107185661B (zh) 匣钵物料破碎机
US20110247303A1 (en) Device for chamber conveyor belt machine
KR101564805B1 (ko) 혼련 장치
TWI565518B (zh) 混煉機
CN107662717A (zh) 一种快速切换导料方向的医用pvc粒料回收装置
CN105797370A (zh) 麻将机开门机构
KR101259749B1 (ko) 절삭칩 압축장치
CN206471237U (zh) 行程开关的具有多级缓冲装置的操作机构
KR20130130911A (ko) 너클프레스의 구동장치
CN109909323A (zh) 一种全自动四轴液压整型机及其整形方法
KR20160105191A (ko) 프레스의 다기능 쿠션장치
CN202418658U (zh) 辊压机进料用气动闸板阀
EP2625107B1 (en) Lifting apparatus
KR102329566B1 (ko) 수직식 프레스 성형기
CN209554291U (zh) 一种电气自动化下料装置
CN106521448A (zh) 一种双电缸垂直升降的开腔结构
CN207736801U (zh) 一种提高吸震性能的冲压装置
JP2005103897A (ja) 密閉式混練機
CN219407995U (zh) 一种转载机全封闭装置
CN217577929U (zh) 一种轿厢门开合装置
JPS6319207A (ja) 密閉式混練機
CN104217891B (zh) 一种直立式真空断路器用驱动机构
KR101062930B1 (ko) 침대 승하강 장치
CN108167372A (zh) 一种伸缩系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