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742B1 -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742B1
KR101961742B1 KR1020177012764A KR20177012764A KR101961742B1 KR 101961742 B1 KR101961742 B1 KR 101961742B1 KR 1020177012764 A KR1020177012764 A KR 1020177012764A KR 20177012764 A KR20177012764 A KR 20177012764A KR 101961742 B1 KR101961742 B1 KR 10196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nsitive adhesive
envelope
pressure
envelop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205A (ko
Inventor
게이꼬 후지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나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나미
Publication of KR2017012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부(12)에 봉투 본체부(1)를 고착한 배변 봉투(100)로서, 봉투 본체부(1)는, 돌기를 가지는 선단부(3)와, 개구부(2)를 포함하는 봉투 본체로서, 봉투 본체는, 선단부(3)의 돌기가 개구부(2)의 내측에 위치하는 2장 겹침 상태로 되고, 2장 겹침 상태의 되접어 꺾음부(5)로부터, 2장 겹침 상태로, 개구부(2)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긴 원형상의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부(12)는, 점착제층(7)과 보호 필름(8)을 포함하고, 점착제부(12)에는, 점착제층(7)과 보호 필름(8)을 관통하도록 관통공(9)이 형성되고 있고, 봉투 본체부(1)의 개구부(2)와 점착제부(12)의 관통공(9)이 맞도록 고착되어 있는 배변 봉투(100)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한 배변 봉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DEFECATION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컴팩트한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장실에 갈 수 없는 사람이나, 기저귀 사용의 와병중의 사람 등의 배변은, 기저귀내 배변이 주류이지만, 기저귀내의 배변에서는, 대장균에 의한 감염증으로 중증화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배변 봉투의 사용도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배변 봉투는, 항문의 구멍에 맞추어 주위에 배변 봉투의 접착부를 접착하고, 봉투 본체를 항문으로부터 뒤집듯이 해서 직장내에 넣고, 배변과 함께 항문으로부터 배출시키는 구조였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다른 종래의 배변 봉투는, 봉투 본체가 구불구불하게 접혀져(혹은, 단지 눌러 찌그러뜨리는 것처럼 되어) 있는 것도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이것은, 간병 등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고, 일회용 장갑을 이용하는 일 없이, 좌약 등의 약제를 직장내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167181호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53584호 특허문헌 2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항문으로부터 직장내에 삽입해 받아내는 배변 봉투는, 삽입시에, 사용자에게 고통을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닉 상태가 되는 일이 있다.
또, 배변 봉투의 직장내의 삽입에 저항이 있는 경우나, 질환에 의해 배변 봉투를 직장내에 투입할 수 없는 경우 등에서는, 배변 봉투가 체외에 노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화감(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과 같은, 약제를 직장내에 삽입할 수 있는 배변 봉투는,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는 하지만, 봉투 본체가, 구불구불하게 접혀져 또는 눌러 찌그러진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와병 상태(누워만 있는 상태)로 한정적이며, 중증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뒤척임(몸부림)이나 다소의 움직임이 가능한 사용자라면, 역시 위화감(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배변 봉투를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위생적이고 피부 발진이나 염증, 욕창 예방이나 대장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이 필요하고, 게다가 사용자의 정신면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컴팩트한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관한 하나의 형태는, 점착제부에 봉투 본체부를 고착한 배변 봉투로서, 봉투 본체부는, 돌기가 형성된 선단부와 개구부를 가지는 봉투 본체로서, 봉투 본체는, 선단부의 돌기가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2장 겹침 상태로 되고, 2장 겹침 상태의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2장 겹침 상태로,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겨진 원형상의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점착제부는, 점착제층과 보호 필름을 가지고, 점착제부에는, 점착제층과 보호 필름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있고, 봉투 본체부의 개구부와, 점착제부의 관통공이 맞도록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봉투이다.
(2) 상기 (1)의 형태에 있어서, 관통공은, 별 형상이더라도 좋다.
(3) 상기 (1) 또는 (2)의 형태에 있어서, 점착제부는, 점착제층 측의 박리지와, 보호 필름 측의 지지 필름을 가지더라도 좋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겨진 원형상의 상태인 봉투 본체는, 봉투 본체의 내면이 외측이 되도록, 개구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바깥쪽으로 되접어 꺾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개구부가 선단부의 돌기에 겹쳐진 2장 겹침 상태로 되고, 그리고, 2장 겹침 상태의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2장 겹침 상태로,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아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5) 본 발명에 관한 또다른 형태는, 돌기가 형성된 선단부와, 개구부를 가지는 봉투 본체인 봉투 본체부와, 점착제층과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점착제층과 보호 필름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점착제부를, 봉투 본체부의 개구부와 점착제부의 관통공이 맞도록, 고착한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으로서, 봉투 본체부의 형성 공정은, 봉투 본체의 내면이 외측이 되도록, 봉투 본체를 개구부 측으로부터 선단부 측을 향해 바깥쪽으로 되접어 꺾는 공정과, 개구부의 내측에 선단부의 돌기가 위치하는2장 겹침 상태의 2장 겹침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2장 겹침부의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봉투 본체를 2장 겹침 상태로,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한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배변 봉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배변 봉투를 구성하는 봉투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봉투 본체부를 되접어 꺾은 2장 겹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2장 겹침 상태의 봉투 본체부가 둥글게 감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둥글게 감겨져 원형상이 된 봉투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배변 봉투를 구성하는 점착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배변 봉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배변 봉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배변 봉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점착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실시 형태의 설명의 전체를 통해서 같은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배변 봉투(100)는, 기저귀와 병용하여 항문 주위에 직접 붙여서 사용되는 컴팩트한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봉투 본체부(1)는, 천연 고무 라텍스나 염화 비닐, 그 외의 수지 등의 소재를 이용해 바셀린 가공된, 개구부(2)의 측에 약간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봉투 본체로, 선단부(3)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봉투 본체부(1)는, 스트레이트한 원통상이라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봉투 본체부(1)의 개구부(2)를 아래로 하고, 선단부(3)을 위로 해서, 봉투 본체부(1)의 내면이 외측으로 오도록, 개구부(2)를 아래에서 위로 바깥쪽을 향해 되접어 꺾어, 2장 겹침(포갬) 상태의 2장 겹침부(4)를 형성한다.
2장 겹침부(4)의 되접어 꺾음부(5)를,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2장 겹침 상태로, 아래에서 위로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아, 둥글게 감긴 부분(6)을 형성하면서,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둥글게 감긴 부분(6)이 개구부(2)에 거의 밀착할 때까지 둥글게 감아서, 원형상의 봉투 본체부(1)를 형성한다.
봉투 본체부(1)의 형성 공정의 각 공정을 실시할 때는, 봉투 본체부(1)의 내부에, 봉투 본체부(1)와 동형의 형재(型材)를 삽입하면 좋다.
항문 주위에 직접 붙이는 점착제부(12)는, 음부를 고려하면서 둔부(엉덩이부)의 형상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타원형으로 중앙을 따라서 완만하게 잘록하게 생긴, 표주박 형상으로 형성하고, 피부에의 영향이 적은 피부측의 방수 점착제층(7)과, 외측의 보호 필름(8)을 구비하여, 양자를 관통하는 관통공(9)을 형성하고, 거기에 원형상으로 둥글게 감겨진 봉투 본체부(1)의 개구부(2)를 고착시킨다.
봉투 본체부(1)의 고착은, 방수 점착제층(7)에의 접착이라도 좋고, 보호 필름(8)에의 접착 또는 용착이라도 좋다.
점착제는, 접착제이어도 좋다.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방수 점착제층(7) 측에는 박리지(10)가 구비되고, 보호 필름(8) 측에는 지지 필름(11)이 구비되어 있다.
박리지(10) 및 지지 필름(11)은, 둘로 나뉘어져 박리되도록 이루어져 있더라도 좋다. 도 1 및 도 6에서는, 박리지(10) 및 지지 필름(11)은, 일부가 벗겨진 상태이다.
배변 봉투(100)를 사용할 때는, 원형상으로 둥글게 감겨진 봉투 본체부(1)가, 항문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갖다 댄다.
하지만, 항문의 중심이 애매하면, 선단부(3)의 돌기에 외측으로부터 손가락을 밀어넣어, 손가락으로 항문에 접촉해서 초점을 맞춘다.
이 돌기는, 요철가능하므로, 좌약 등의 약제를 사용할 때는, 돌기의 내측에 약제를 넣고, 방수 점착제층(7) 측의 하얀 박리지(10)를 벗겨서, 항문의 주위에 붙이고, 보호 필름(8) 측의 지지 필름(11)을 벗겨내서, 약제를 삽입한다.
배변 봉투(100)를 붙인 상태로 배변하면, 배변 봉투(100)의 선단부(3)가 변에 의해 밀려나오고, 변은, 원형상으로 둥글게 감긴 봉투 본체부(1)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도 8 및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둥글게 감긴 부분(6)을 서서히 풀어 통 모양에 변화시키면서, 선단부(3)에 모인다.
모인 변은, 배변 봉투(100)의 점착제부(12)를 항문 주위로부터 벗기는 것에 의해, 배변 봉투(100)째 제거할 수 있어서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변 봉투는, 간단하게 첨부(부착) 또는 제거가 가능하므로, 위생적이며, 수고나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변 봉투는, 기저귀와 병용해서 사용하는 것게 의해, 누운 상태로 배변하더라도, 배변이 직접 배변 봉투의 내부를 통과해서 모이므로, 음부, 서혜부 및 둔부 등이, 변에 의해 더러워지는 일이 없고, 피부 발진이나 염증, 소양이 해소되고, 기저귀내 배변과 같은, 대장균에 의한 감염증에 의해 증증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변취에 의해 주위에 불쾌감을 주는 일도 없다.
배변 봉투를 처리하는 경우는, 점착제부를 반으로 접는 것에 의해, 관통공이 폐지되기 때문에, 변이 넘쳐 나오거나, 변취가 방출되거나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배변 봉투는, 기저귀와 병용해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고령자, 신체장애자, 병상인 등 와병 상태의 사람이나, 뒤척임이나 다소의 움직임이 가능한 사람이라도 위화감(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변 봉투는, 배변 조정을 능숙하지 않고, 좌약 등의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약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변 봉투는, 점착제부의 관통공의 중심에, 항문이 위치하도록 첨부되므로, 1회의 배변 봉투의 변량에 따라서는, 2번째 이후의 배변 후에, 배변 봉투를 처리하는 등 사용의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변 봉투는, 배변 봉투의 선단부의 돌기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손가락으로 항문을 찾아, 초점을 맞출 수 있으므로, 정전이나 재해시라도, 배변 봉투를 자기 또는 타인의 항문 주위의 적절한 위치에 첨부할 수 있다.
(변형예)
둥글게 감겨진 원형상의 봉투 본체부(1)의 형성 방법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선단부(3) 측으로부터 개구부(2) 측을 향해, 선단부(3)의 돌기를 봉투 본체부(1)의 내측에 밀어넣는 것에 의해 안쪽을 향하게 되접어 꺾어가서, 선단부(3)의 돌기가 개구부(2)의 내측에 위치하는 2장 겹침 상태의 2장 겹침부(4)로 하고, 또한 2장 겹침부(4)의 되접어 꺾음부(5)로부터, 2장 겹침 상태로, 개구부(2)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아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형성 방법이라면, 봉투 본체부(1)를 점착제부(12)에 고착한 후부터라도, 둥글게 감긴 부분(6)을 형성할 수 있는,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점착제부(12)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항문 주위의 음부, 서혜부 및 둔부의 형상에 맞추어, 하트 형상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형상이라면, 사용자가 움직여도, 배변 봉투(100)가 벗겨지기 어렵다.
관통공(9)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별 모양이라도 좋다.
이러한 형상이면, 배변 봉투(100)를 항문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이 간단하게 되고, 변이 관통공(9)을 통과하기 쉬워져, 항문 부근에의 변의 재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움직여도, 배변 봉투(100)가 벗겨지기 어렵고, 또, 고착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점착제부(12)로부터 봉투 본체부(1)가 떨어지는 일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1 : 봉투 본체부
2 : 개구부
3 : 선단부
4 : 2장 겹침부
5 : 되접어 꺾음부
6 : 둥글게 감긴 부분
7 : 방수 점착제층
8 : 보호 필름
9 : 관통공
10 : 박리지
11 : 지지 필름
12 : 점착제부
100 : 배변 봉투

Claims (5)

  1. 점착제부에 봉투 본체부를 고착한 배변 봉투로서,
    상기 봉투 본체부는,
    돌기가 형성된 선단부와 개구부를 가지는 봉투 본체로서, 상기 봉투 본체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돌기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2장 겹침 상태로 되고, 2장 겹침 상태의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2장 겹침 상태로, 상기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겨진 원형상의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부는, 점착제층과 보호 필름을 가지고,
    상기 점착제부에는,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보호 필름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봉투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점착제부의 상기 관통공이 맞도록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봉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부는, 상기 점착제층의 외측의 박리지와, 상기 보호 필름의 외측의 지지 필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봉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본체가, 상기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겨진 원형상의 상태는, 상기 봉투 본체의 내면이 외측이 되도록, 상기 봉투 본체를 상기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측에 향해 바깥쪽으로 되접어 꺾어가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상기 선단부의 상기 돌기가 위치하는 2장 겹침 상태로 되고, 그리고, 2장 겹침 상태의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상기 봉투 본체를 2장 겹침 상태로, 상기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아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봉투.
  5. 돌기가 형성된 선단부와 개구부를 가지는 봉투 본체인 봉투 본체부와,
    점착제층과 보호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보호 필름을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점착제부를,
    상기 봉투 본체부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점착제부의 상기 관통공이 맞도록 고착된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봉투 본체부의 형성 공정은,
    상기 봉투 본체의 내면이 외측이 되도록, 상기 봉투 본체를 상기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선단부 측을 향해 바깥쪽으로 되접어 꺾는 공정과,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상기 선단부의 상기 돌기가 위치하는2장 겹침 상태의 2장 겹침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2장 겹침부의 되접어 꺾음부로부터, 상기 봉투 본체를 2장 겹침 상태로, 상기 개구부까지 바깥쪽으로 둥글게 감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KR1020177012764A 2014-12-12 2015-12-10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KR101961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7153 2014-12-12
JPJP-P-2014-267153 2014-12-12
PCT/JP2015/084676 WO2016093315A1 (ja) 2014-12-12 2015-12-10 排便袋及び排便袋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205A KR20170128205A (ko) 2017-11-22
KR101961742B1 true KR101961742B1 (ko) 2019-03-25

Family

ID=5610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764A KR101961742B1 (ko) 2014-12-12 2015-12-10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99801B1 (ko)
KR (1) KR101961742B1 (ko)
CN (1) CN106999290B (ko)
WO (1) WO2016093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6606B1 (ja) * 2016-11-25 2017-08-30 株式会社テクノクラート 排便処理用具
KR102599807B1 (ko) 2021-11-03 2023-11-08 심민수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 자판기 운영시스템
KR20230064257A (ko) 2021-11-03 2023-05-10 심민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554A (ja) 1998-09-29 2000-04-11 Terumo Corp 肛門挿入式採便具
JP5544612B2 (ja) 2011-06-13 2014-07-09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摘便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8658A (en) * 1981-04-10 1982-10-18 Tokyo Eizai Lab Surgical pus discharge bag and method
GB8729637D0 (en) * 1987-12-19 1988-02-03 Smith Ind Plc Collection bags
JPH09294761A (ja) * 1996-05-08 1997-11-18 Naigai Tokushu Senko Kk 身体装着用排泄物受容器
EP0887061A1 (en) * 1997-06-28 1998-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ecal collector
JP2000010254A (ja) * 1998-06-19 2000-01-14 Toshiba Corp ハーフトーン型位相シフトマスク及び合わせずれ測定マークの測定方法
CN2402300Y (zh) * 2000-03-14 2000-10-25 连正杰 一种人工肛门集便器
JP3798691B2 (ja) * 2001-12-27 2006-07-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6167181A (ja) 2004-12-16 2006-06-29 Chest M I Inc 排便袋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1180015B (zh) * 2005-05-20 2012-05-30 科洛普拉斯特公司 用于冲洗和/或排泄的装置
JP4192917B2 (ja) * 2005-05-20 2008-12-10 吉村清 おむつ
JP2008253584A (ja) 2007-04-06 2008-10-23 Chest M I Inc 排便袋
US8684982B2 (en) * 2010-10-29 2014-04-01 Convatec Technologies Inc. Controlled evacuation ostomy appliance
AU2012365050B2 (en) * 2012-01-09 2015-11-19 Kyoung-Hun Kim Collector for human fe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554A (ja) 1998-09-29 2000-04-11 Terumo Corp 肛門挿入式採便具
JP5544612B2 (ja) 2011-06-13 2014-07-09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摘便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93315A1 (ja) 2017-04-27
CN106999290B (zh) 2019-06-21
JP5999801B1 (ja) 2016-09-28
KR20170128205A (ko) 2017-11-22
CN106999290A (zh) 2017-08-01
WO2016093315A1 (ja)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742B1 (ko)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JPH1121702A (ja) ずり上げ穴付大人用完全パンツ型おむつとその製法
JP2008253584A (ja) 排便袋
ES2246517T3 (es) Elemento de revestimiento de uso unico con gelificante, adaptable a las chatas higienicas.
JP5894324B1 (ja) 使い捨て型便器
US20230181384A1 (en) Diaper system
JPS5911010Y2 (ja) 排尿用処理袋
JP2010148852A (ja) 排便介護器具
JP3212086U (ja) 排便収納補助具
KR101561497B1 (ko) 노약자용 건강 기저귀
JP2000102554A (ja) 肛門挿入式採便具
KR102070191B1 (ko) 환자용 오물처리기
JPH07124189A (ja) 便キャッチ
JP2012223537A (ja) 大小便処理用オムツ
JP7099694B2 (ja) 排尿用具
JP2000126215A (ja) 排泄物収納袋
JP2006167181A (ja) 排便袋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150366415A1 (en) Sanitary Napkin
JP5626553B1 (ja) 使い捨て排尿袋
KR102224345B1 (ko) 환자용 배변기
JPH05161709A (ja) 吸引式排泄物処理器
JP6792016B2 (ja) 大小便の逆流漏れの防止と収集の機能を有する使い捨て介護装置
KR101983492B1 (ko) 위생용 기저귀
JPS6133937Y2 (ko)
JP2007160032A (ja) コンパクト使い捨て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