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257A -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257A
KR20230064257A KR1020210149650A KR20210149650A KR20230064257A KR 20230064257 A KR20230064257 A KR 20230064257A KR 1020210149650 A KR1020210149650 A KR 1020210149650A KR 20210149650 A KR20210149650 A KR 20210149650A KR 20230064257 A KR20230064257 A KR 2023006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bag
information
folded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수
Original Assignee
심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민수 filed Critical 심민수
Priority to KR102021014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257A/ko
Publication of KR2023006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1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vending, access and use of specific services not covered anywhere else in G07F17/00
    • G07F17/0021Access to services on a time-basis
    • G07F17/0028Use of a wired telephone or public communication de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Zo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된 우유팩을 절단 및 부착을 통해 동일한 규격을 갖는 배변봉투로 제작하여 재활용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관한 것으로, 사용한 우유팩을 전개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하가 개방된 4개의 측벽(111,112,113,114)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는 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공간형성용 측벽부(110)와;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은 상태에서, 연이은 외면 쪽이 접촉되게 재차 접은 후 외부에 위치되는 한쪽 측벽(111)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접힘선(111a)에 의해 접혀져 한쪽 측벽(111)의 외면을 감싸는 외벽 일측 접촉벽(120)과; 상기 외벽 일측 접촉벽(120)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2접힘선(121a)에 의해 접혀져 다른 한쪽 측벽(114)의 외면을 감쌈으로써,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형태로 접혀지게 유도하는 외벽 타측 접촉벽(130)과;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것으로, 개방된 상부 쪽이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에 부착되어,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통해 포위된 애완동물의 분변이 수용되는 분변수용부(1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Pet toilet bags with recycled milk pack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d using them.}
본 발명은 사용된 우유팩을 절단 및 부착을 통해 동일한 규격을 갖는 배변봉투로 제작하여 재활용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 애완동물의 위치는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는 객체에서 나아가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며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친밀감을 주는 가족과 같은 존재로서 반려동물이라고도 칭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 중 특히, 반려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앞으로 반려견시장의 규모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견을 위한 옷, 집, 껌, 배변 처리 용품 등 다양한 종류의 용품들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
한편, 반려견을 사육하는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행위 중 하나로 산책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반려견에게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때, 반려견 산책 중 큰 어려움 중의 하나로 반려견의 분변처리이다.
즉, 공원이나 공공시설 등에서 애완견이 보는 분변이 수거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아 도시 미화나 공원의 환경미화를 해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은 물론이고, 사람들에게 불쾌감과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사회적 문제점으로도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애완견주는 일회용 비닐봉투와 휴지를 휴대하고 다니며 반려견이 배설시 견주가 직접 손으로 치우곤 하는데, 이 또한 아니라 견주의 신체에 배변이 묻는 것과 같은 비위생적인 방법이어서, 이를 해소하고자 애완견의 배변을 수거 가능한 배변봉투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제안되는 여러 종류의 배변봉투는 그 규격이 상이(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참조)하기 때문에, 공원이나 공공시설에 배치되는 자판기에 적용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애완견주가 산책 전에 항시 휴대를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변봉투는 그 재질이 종이 내지 펄프를 사용하는데, 원자재 구매에 따른 비용 발생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우유팩의 주재료인 원지는 펄프(pulp)로서, 주로 침엽수 (Softwood)를 이용하여 생산되는데, 산림자원이 갖는 경제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일부 국가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 웨덴 등)에서만 생산되고 있으며, 이들 국가를 제외한 모든 나라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사용된 우유팩은 펄프만을 추출하여 화장지나 키친타월을 생산하는데 주로 재활용되고 있지만, 우유팩에서 펄프를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재활용 공정에 따라 그 재활용 비용이 적지 않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재활용 공정에 따른 재활용 시간 또한 많이 소요(특허문헌 5 참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된 우유팩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봉투로 재활용하는 작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20-2019-0002121 U KR 20-2017-0002379 U KR 10-2017-0128205 A KR 20-0397105 Y1 KR 10-1688089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된 우유팩을 절단 및 부착을 통해 동일한 규격을 갖는 배변봉투로 제작하여 재활용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공시설이나 도로와 같이 애완동물과 동반하여 보행하는 애완동물 보호자가 사전에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소지 않고서도 보행 중인 거리에 설치된 자판기에서 애완동물의 식별코드만으로도 배변봉투를 수령가능하게 제공함과 더불어 애완동물의 식별코드도 자판기에서 발급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지역마다 산재해 있는 자판기를 통해 가입한 회원들의 관리를 중앙시스템에서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정부기관의 애완동물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미등록인 경우 등록을 유도하여 주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역별 자판기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인출개수도 인지하여 모두 인출되기 전에 재입고되게 안내하여 주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되는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인입된 애완동물의 분변을 비료 또는 메탄가스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능하게 안내하게 수거하여 주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되는 분변의 방치로 지역별 자판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오염 확산을 방지하는 기준점을 인지하여 능동적으로 수거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함에 수거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살균하여, 오염으로 인한 위험성을 최소화시켜 주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완동물 보호자가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지급받는 동안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을 안내하되, 해당 애완동물 보호자가 보호하고 있는 종의 크기에 맞는 크기별 애완동물 맞춤광고영상을 안내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는, 사용한 우유팩을 전개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하가 개방된 4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는 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공간형성용 측벽부와;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은 상태에서, 연이은 외면 쪽이 접촉되게 재차 접은 후 외부에 위치되는 한쪽 측벽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접힘선에 의해 접혀져 한쪽 측벽의 외면을 감싸는 외벽 일측 접촉벽과; 상기 외벽 일측 접촉벽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2접힘선에 의해 접혀져 다른 한쪽 측벽의 외면을 감쌈으로써,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형태로 접혀지게 유도하는 외벽 타측 접촉벽과;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것으로, 개방된 상부 쪽이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의 내면 쪽에 부착되어,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통해 포위된 애완동물의 분변이 수용되는 분변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는, 사용한 우유팩을 전개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접혀진 공간형성용 측벽부가 상기 외벽 일측 접촉벽와 상기 외벽 타측 접촉벽 사이에 접촉되어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이 풀어지지 않게 감싸도록, 제3 접힘선 및 제4 접힘선이 이격 형성되고, 양측면이 고정되는 고정유지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상부에는 각각 포집날개가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분변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접촉하여 포위하되, 상기 포집날개는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포위하여 애완동물의 분변을 수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상부에는 각각 오염접촉 방지날개가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분변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접촉하여 포위하되, 상기 오염접촉 방지날개는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로 포위하여 애완동물의 분변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른 한쪽 측벽에는, 한 쌍의 끼움홈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외벽 타측 접촉벽의 하면에는 끼임날개가 연장되되, 끼임날개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이 절개되어 연장되며, 상기 끼임날개의 절개된 양착 가장자리 부분을 접은 후 상기 한 쌍의 끼움홈에 각각 끼움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작생성하는 방법은, 사용한 우유팩인 재활용 우유팩을 수집하고, 수집된 재활용 우유팩을 전개하는 단계와;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을 봉투용 전개 우유팩의 전개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봉투용 전개 우유팩의 영역 중 상부에는 상하가 개방된 4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는 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공간형성용 측벽부가 형성되어, 개방된 분변수용부의 상부 쪽을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의 내면 쪽에 부착하는 단계와;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 중 맞닿는 측벽 부분을 고정연결하는 단계와;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상부에 연장된 포집날개를 각각 안쪽으로 접고,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 중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 상부에 연장된 오염접촉 방지날개를 각각 바깥쪽으로 접는 단계와;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은 상태에서, 연이은 외면 쪽이 접촉되게 재차 접은 후 외부에 위치되는 한쪽 측벽의 하면에서 연장된 외벽 일측 접촉벽을 제1접힘선에서 접어 한쪽 측벽의 외면을 감싸게 한 후 외벽 일측 접촉벽의 하면에 연장된 외벽 타측 접촉벽을 제2접힘선에서 접어 다른 한쪽 측벽의 외면을 감싸여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형태로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작생성하는 방법은, 외벽 타측 접촉벽의 하면에 연장된 끼임날개의 절개된 양착 가장자리 부분을 접은 후 다른 한쪽 측벽에 관통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에 각각 끼움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을 봉투용 전개 우유팩의 전개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에서, 고정유치체도 전개형상으로 함께 절단되고, 고정유지체의 양측면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제3 접힘선 및 제4 접힘선을 따라 접어 상하가 개방된 관체 형상으로 제작하는 단계와;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돌출된 분변수용부도 접은 상태에서,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를 끼워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가 풀리지 않게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이용하여 애완동물 배변을 수거하는 방법은,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끼워진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를 제거하는 단계와;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접혀진 분변수용부를 편 후 다른 한쪽 측벽의 끼움홈에 끼움 고정된 끼임날개를 빼내 고정해제하는 단계와;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이루는 접혀진 4개의 측벽을 사각형태로 펼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공간형성용 측벽부의 상부 부분이 지면에 놓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여 지면에 접촉하되,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 상부에 연장된 각 포집날개는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그리고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 상부에 연장된 각 오염접촉 방지날개는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로 접촉한 후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이루는 4개의 측벽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어, 애완동불 보호자가 공간형성용 측벽부를 파지한 손가락들이 각 오염접촉 방지날개에 접촉하여 지면에 놓인 애완동물의 분변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더불어 포집날개가 애완동물의 분변을 집게형태로 잡아 포위하여 수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이용하여 애완동물 배변을 수거하는 방법은,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를 외벽 일측 접촉벽에 끼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작생성하는 방법은, 외벽 일측 접촉벽 및 외벽 타측 접촉벽이 각각 한쪽 측벽의 외면 및 다른 한쪽 측벽의 외면을 감싸게 접은 후 끼임날개의 양측부를 다른 한쪽 측벽의 한 쌍의 끼움홈에 각각 끼움고정하여 분변수거를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된 우유팩을 절단 및 부착을 통해 동일한 규격을 갖는 배변봉투로 제작하여 재활용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공시설이나 도로와 같이 애완동물과 동반하여 보행하는 애완동물 보호자가 사전에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소지 않고서도 보행 중인 거리에 설치된 자판기에서 애완동물의 식별코드만으로도 배변봉투를 수령가능하게 제공함과 더불어 애완동물의 식별코드도 자판기에서 발급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지역마다 산재해 있는 자판기를 통해 가입한 회원들의 관리를 중앙시스템에서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정부기관의 애완동물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미등록인 경우 등록을 유도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별 자판기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인출개수도 인지하여 모두 인출되기 전에 재입고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되는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인입된 애완동물의 분변을 비료 또는 메탄가스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능하게 안내하게 수거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되는 분변의 방치로 지역별 자판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오염 확산을 방지하는 기준점을 인지하여 능동적으로 수거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함에 수거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살균하여, 오염으로 인한 위험성을 최소화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 보호자가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지급받는 동안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을 안내하되, 해당 애완동물 보호자가 보호하고 있는 종의 크기에 맞는 크기별 애완동물 맞춤광고영상을 안내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 및 봉투용 전개 우유팩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구비되는 분변수용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작생성하는 방법을 이루는 각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이용하여 애완동물 배변을 수거하는 방법을 이루는 각 단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가 수납되는 지역별 자판기와 각 단말이 연계된 것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가 수납되는 지역별 자판기를 나타낸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가 수납되는 지역별 자판기의 외관인 자판기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가 수납되는 지역별 자판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크기가 대·중·소·로 각각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는 공간형성용 측벽부(110), 외벽 일측 접촉벽(120), 외벽 타측 접촉벽(130) 및 분변수용부(190)로 이루어진다.
먼저,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는 사용한 우유팩을 전개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하가 개방된 4개의 측벽(111,112,113,114)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는 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부재이다.
상기 외벽 일측 접촉벽(120)는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은 상태에서, 연이은 외면 쪽이 접촉되게 재차 접은 후 외부에 위치되는 한쪽 측벽(111)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접힘선(111a)에 의해 접혀져 한쪽 측벽(111)의 외면을 감싸는 부재이다.
상기 외벽 타측 접촉벽(130)는 외벽 일측 접촉벽(120)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2접힘선(121a)에 의해 접혀져 다른 한쪽 측벽(114)의 외면을 감쌈으로써,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형태로 접혀지게 유도하는 부재이다.
상기 분변수용부(19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것으로, 개방된 상부 쪽이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에 부착되어,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통해 포위된 애완동물의 분변이 수용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분변수용부(190)의 재질은 방수가 가능한 비닐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접혀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한 우유팩을 전개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접혀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가 외벽 일측 접촉벽(120)와 외벽 타측 접촉벽(130) 사이에 접촉되어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이 풀어지지 않게 감싸도록, 제3 접힘선(141) 및 제4 접힘선(142)이 이격 형성되고, 양측면이 고정되는 고정유지체(140)가 제공되어진다.
여기서, 고정유지체(140)는 직육면체 형상의 접혀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가 풀어지지 않게 방지하여 주는 기능과 더불어 애완동물의 분변 수거 시 애완동물의 분변을 분변수용부(190)로 인입시키는 스틱으로도 이용가능하여, 애완동물 보호자가 애완동물의 분변에 오염되지 않도록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애완동물의 분변 수거가 용이하도록,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1,113) 상부에는 각각 포집날개(111b,113a)가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분변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접촉하여 포위하되, 포집날개(111b,113)는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포위하여 애완동물의 분변을 수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애완동물의 분변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는 각각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가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분변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접촉하여 포위하되,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는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로 포위하여 애완동물의 분변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이루는 구성 중 다른 한쪽 측벽(114)에는, 한 쌍의 끼움홈(114b)이 관통형성되고, 외벽 타측 접촉벽(130)의 하면에는 끼임날개(150)가 연장되되, 끼임날개(15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이 절개되어 연장되며, 끼임날개(150)의 절개된 양착 가장자리 부분을 접은 후 한 쌍의 끼움홈(114b)에 각각 끼움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작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한 우유팩인 재활용 우유팩을 수집하고, 수집된 재활용 우유팩을 전개(S100)한다. 이때,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은 물세척을 통해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A)에 절단하고자 하는 봉투용 전개 우유팩(B) 및 고정유치체(140)의 전개형상을 전개 우유팩(A)에 표시(S110)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수작업으로 진행할 때 필요한 과정이며, 자동화 공정으로 변환 시 프레스 금형 공정을 통해 전개형상의 표시 없이 절개공정을 바로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A)을 봉투용 전개 우유팩(B) 및 고정유치체(140)의 전개형상으로 절단(S120)한다.
이후, 절단된 봉투용 전개 우유팩(B)의 영역 중 상부에는 상하가 개방된 4개의 측벽(111,112,113,114)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는 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공간형성용 측벽부(110)가 형성되어, 개방된 분변수용부(190)의 상부 쪽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에 부착(S130)한다.
이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맞닿는 측벽(111,114) 부분을 고정연결(S140)한다.
여기서, 고정연결은 본딩 또는 테이핑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딩을 통한 고정연결시에는 맞닿는 측벽(111,114)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부착날개가 구비 제공될 수 있다.
이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 연장된 포집날개(111b,113a)를 각각 안쪽으로 접고,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 연장된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를 각각 바깥쪽으로 접는(S150)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은 상태에서, 연이은 외면 쪽이 접촉되게 재차 접은 후 외부에 위치되는 한쪽 측벽(111)의 하면에서 연장된 외벽 일측 접촉벽(120)을 제1접힘선(111a)에서 접어 한쪽 측벽(111)의 외면을 감싸게 한 후 외벽 일측 접촉벽(120)의 하면에 연장된 외벽 타측 접촉벽(130)을 제2접힘선(121a)에서 접어 다른 한쪽 측벽(114)의 외면을 감싸여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형태로 완성(S160)한다.
이후, 외벽 타측 접촉벽(130)의 하면에 연장된 끼임날개(150)의 절개된 양착 가장자리 부분을 접은 후 다른 한쪽 측벽(114)에 관통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114b)에 각각 끼움하여 고정(S170)한다.
이후, 전개된 고정유지체(130)의 양측면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제3 접힘선(131) 및 제4 접힘선(132)을 따라 접어 상하가 개방된 관체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후,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에 돌출된 분변수용부(190)도 접은 상태에서,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130)를 끼워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풀리지 않게 고정(S180)시켜 완료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에 끼워진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130)를 제거(S200)한다.
이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에 접혀진 분변수용부(190)를 편 후 다른 한쪽 측벽(114)의 끼움홈(114b)에 끼움 고정된 끼임날개(150)를 빼내 고정해제(S210)한다.
이후,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이루는 접혀진 4개의 측벽(111,112,113,114)을 사각형태로 펼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형성한 상태에서, 공간형성용 측벽부(110)의 상부 부분이 지면에 놓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여 지면에 접촉하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1,113) 상부에 연장된 각 포집날개(111b,113a)는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그리고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 연장된 각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는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로 접촉한다.
이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어, 애완동불 보호자가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파지한 손가락들이 각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에 접촉하여 지면에 놓인 애완동물의 분변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더불어 포집날개(111b,113)가 애완동물의 분변을 집게형태로 잡아 포위하여 수거(S220)한다.
이후,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130)를 외벽 일측 접촉벽(120)에 끼운(S230) 후 일측 접촉벽(120)이 접혀지면서 형성되는 공간에 애완동물에 연결된 하네스 줄을 걸친 후 외벽 일측 접촉벽(120) 및 외벽 타측 접촉벽(130)이 각각 한쪽 측벽(111)의 외면 및 다른 한쪽 측벽(114)의 외면을 감싸게 접은 후 끼임날개(150)의 양측부를 다른 한쪽 측벽(114)의 한 쌍의 끼움홈(114b)에 각각 끼움고정하여 분변수거를 완료(S240)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공공시설이나 도로와 같이 애완동물과 동반하여 보행하는 애완동물 보호자가 사전에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소지 않고서도 보행 중인 거리에 설치된 자판기에서 애완동물의 식별코드만으로도 배변봉투를 수령가능하게 제공함과 더불어 애완동물의 식별코드도 자판기에서 발급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는 애완동물 보호자가 보호하는 애완동물을 식별하는 애완동물 식별정보가 구비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더 포함하고, 보행자가 왕래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자판기 하우징(301)에 수납영역(302)에 적층 수납되고,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제공 요청 시 식별코드 판독부(311)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판독한 후 수납영역(302)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배출구(303)를 통해 배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로 이루어진 지역별 자판기(3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는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애완동물 보호자가 보호하는 애완동물을 식별하는 애완동물 식별정보가 구비된 부재이다.
한편, 애완동물 식별정보에는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종류, 애완동물의 성별, 애완동물 나이 등의 애완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되어진다.
또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에는 유기된 애완동물을 보호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애완동물 보호자의 연락처도 포함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는 바코드나 큐알코드(Quick Response Code)와 같이 지매체에 인쇄되어 표시되는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큐알코드는 2차원 바코드의 하나로서, 사각형의 작은 스페이스에 인식패턴과 배열패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버전 40의 경우 23,648비트의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와 달리 코너의 모서리에 파인더 패턴이 배치되어 있어 360도 어느 방향에서도 인식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지역별 자판기(300)는 애완동물과 함께 하는 애완동물 보호자인 보행자가 왕래하는 곳인 공공시설(학교, 관공서, 병원, 공원), 대중교통시설(기차역, 고속버스, 전철역, 공항)은 물론 건물(사무실, 공장, 기숙사, 휴게실)이나 주택가 및 거리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부재로, 내부에 스낵류, 과일류, 간편 조리 음식류, 음료류 및 생활용품 등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상품을 내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상품진열창을 통해 보행자가 보면서 버튼이나 키패드를 매개로 상품진열창에서 소개된 특정 상품을 선택한 다음 현금이나 카드를 투입하여 결제를 수행한 이후 특정 상품을 수령할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지역별 자판기(300)의 일반적인 상품구성에 함께 산책하는 애완동물의 분변까지 수거하는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도 지역별 자판기(300)가 설치된 어느 곳에서나 수령할 수 있게 제공함으로써, 애완동물 보호자의 부주의로 인해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휴대하지 않아도 애완동물과 산책하는 도중에 마주치는 지역별 자판기(300)에서 수령가능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은 공공시설이나 도로와 같이 보행자가 다니는 곳에 애완동물의 분변 방치가 야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함께 산책하는 애완동물의 식별만으로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지급 제공하고, 수거되는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에 인입된 애완동물의 분변을 비료 또는 메탄가스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상호 윈윈하는 이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역별 자판기(300)의 세부구성은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들이 자판기 하우징(301)에 수납영역(302)에 적층 수납되고,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제공 요청 시 식별코드 판독부(311)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판독한 후 수납영역(302)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배출구(303)를 통해 배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식별코드 판독부(311)는 애완동물 식별코드(200)인 큐알코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인식한 후 판독하는 부재이다.
상기 정보입력부(320)는 애완동물 보호자가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정보입력부(320)에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 (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휠, 조그 스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애완동물 보호자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 제공 요청에 따라 애완동물의 식별 및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토출을 위한 식별코드 판독부(311) 및 정보입력부(32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재이다.
한편, 애완동물 보호자는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의 발급을 요청하면, 정보출력부(340)를 통해 애완동물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의 신상을 나타내는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회원가입화면(미도시)을 정보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하고,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되는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를 정보저장부(360)에 저장함과 아울러 식별코드 생성부(313)를 통해 입력된 애완동물 식별정보를 토대로 애완동물 식별코드 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식별코드 출력부(315)를 통해 그 생성된 애완동물 식별코드 정보가 표시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그 출력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배출구(303)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정보저장부(360)는 회원가입화면과 같은 각종 데이터와 더불어 애완동물 보호자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 제공 요청에 따라 애완동물의 식별 및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토출과 더불어 회원 가입을 위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부재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340)는 애완동물 보호자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 제공 요청에 따라 애완동물의 식별 및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토출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의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 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출력부재가 선택 적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지역별 자판기(300)와 정보통신부(350)를 통해 후술되는 동물보호 관리시스템(500)이나 동물등록 대행업체측 단말(600)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정보통신부(350)는 지역별 자판기(300)에서 정보전송 시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이더넷(Ethernet)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별 자판기(300)에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되는 구멍인 수거부(304)가 형성되고, 수거부(304)로 인입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되는 수거함(305)이 배치되며,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 요청 시 식별코드 판독부(311)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판독한 후 수거부(304)를 개방하여 수거함(305)으로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각 지역마다 산재해 있는 자판기를 통해 가입한 회원들의 관리를 중앙시스템에서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정부기관의 애완동물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미등록인 경우 등록을 유도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애완동물 보호자가 소지한 애완동물 보호자측 단말(40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애완동물 등록정보가 애완동물 보호자 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보호자별 애완동물 등록정보 DB(미도시)를 포함하는 동물보호관리스템(500)을 더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애완동물에게 동물등록을 위한 무선식별용 칩의 탑재 및 동물보호관리스템(500)으로 애완동물 등록정보를 등록하는 동물등록 대행업체가 운영하는 동물등록 대행업체측 단말(600)을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의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동물등록 여부 확인신호를 동물보호관리스템(500)에 전송한다.
동물보호관리스템(500)은 전송되는 동물등록 여부 확인신호에 포함된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를 보호자별 애완동물 등록정보 DB와 매칭하여 등록여부를 확인하되,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미등록임을 안내하는 동물 미등록신호를 지역별 자판기(300)로 전송한다.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전송되는 동물 미등록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애완동물을 동물보호관리스템(500)에 등록할 것인지 문의하는 정보를 정보출력부(340)를 통해 출력 안내한다.
이후,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애완동물 보호자가 동물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동물등록을 요청한 애완동물 보호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동물등록 요청신호를 동물등록 대행업체측 단말(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지역별 자판기(300)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배변봉투(100)도 인지하여 모두 인출되기 전에 재입고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는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공급을 수행하는 업체에서 운영하는 배변봉투 공급업체측 단말(700);을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배출될 때마다 카운팅하여 수납영역(302)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잔존개수를 나타내는 봉투잔존 개수정보를 정보저장부(360)에 누적 저장하여 관리하며, 그 저장관리되는 봉투잔존 개수정보가 봉투의 재입고를 안내하는 개수를 나타내는 봉투 재입고 요청정보에 도달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봉투 재입고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재입고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공급업체측 단말(7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수거되는 분변의 방치로 지역별 자판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수거가능하게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수거되는 애완동물 배변봉투에 인입된 애완동물의 분변을 비료 또는 메탄가스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활용 가능하게 안내하게 수거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 요청 시 식별코드 판독부(311)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판독한 후 수거부(304)를 개방하여 수거함(305)으로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오염 확산을 방지하는 기준점을 인지하여 능동적으로 수거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때,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오염 확산을 방지하는 기준점은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수거 부피,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수거 중량 및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수거 일자를 고려하여 특정할 수 있다.
먼저,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오염 확산을 방지하는 기준점이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수거 부피로 특정할 경우, 수거함(305)의 내벽에는 적재감지센서(306)가 설치되어, 수거함(305)에 적재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감지하는 적재감지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수거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을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적재감지센서(306)로부터 적재감지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수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오염 확산을 방지하는 기준점이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수거 중량으로 특정할 경우, 수거함(305)의 하부에는 로드셀(307)이 설치되어, 수거함(305)에 적재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로드셀(307)로부터 중량감지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수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오염 확산을 방지하는 기준점이 수거된 애완동물의 분변의 수거 일자로 특정할 경우,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수거함(305)에 최초로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된 날부터 일자별로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된 일자가 봉투의 수거를 요청하는 수거봉투 누적일자를 나타내는 수거봉투 누적일자정보에 도달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수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수거함에 수거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살균하여, 오염으로 인한 위험성을 최소화시켜 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역별 자판기(300)에는 수거함(305)의 상부 쪽에 자외선 램프(308)가 설치되어, 수거된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은 세균을 20초 이내에 99.9% 정도의 살균이 가능하며, 별도의 잔존물질이 없어 인체에 무해한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에서는 애완동물 보호자가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지급받는 동안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을 안내하되, 해당 애완동물 보호자가 보호하고 있는 종의 크기에 맞는 크기별 애완동물 맞춤광고영상을 안내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크기가 대·중·소·로 각각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로 구분되어진다.
그리고 지역별 자판기(300)의 수납영역(302)에 수납되는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도 대·중·소·로 각각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로 구분되어 수납되어진다.
지역별 자판기(300)의 정보저장부(360)에는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이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이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대형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 중형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 및 소형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으로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이 저장관리되어진다.
이를 통해, 지역별 자판기(300)의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대·중·소·로 각각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 중 어느 하나의 크기를 갖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제공 요청 시 정보저장부(360)에서 해당 봉투 크기에 맞는 크기별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크기별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정보를 정보출력부(3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애완동물 배변봉투 110 : 공간형성용 측벽부
111~114 : 측벽 111a : 제1 접힘선
111b,113a : 포집날개 112a,114a : 오염접촉 방지날개
114b : 끼움홈 120 : 외벽 일측 접촉벽
121a : 제2 접힘선 130 : 외벽 타측 접촉벽
140 : 고정유지체 141 : 제3 접힘선
142 : 제4 접힘선 150 : 끼임날개
190 : 분변수용부 200 : 애완동물 식별코드
300 : 지역별 자판기 301 : 자판기 하우징
302 : 수납영역 303 : 배출구
304 : 수거부 305 : 수거함
306 : 적재감지센서 307 : 로드셀
308 : 자외선램프 311 : 식별코드 판독부
313 : 식별코드 생성부 315 : 식별코드 출력부
320 : 정보입력부 330 : 제어부
340, 920 : 정보출력부 350 : 정보통신부
400 : 애완동물 보호자측 단말
500 : 동물보호 관리시스템
600 : 동물등록 대행업체측 단말
700 : 배변봉투 공급업체측 단말
800 :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

Claims (21)

  1. 사용한 우유팩을 전개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하가 개방된 4개의 측벽(111,112,113,114)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는 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공간형성용 측벽부(110)와;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은 상태에서, 연이은 외면 쪽이 접촉되게 재차 접은 후 외부에 위치되는 한쪽 측벽(111)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1접힘선(111a)에 의해 접혀져 한쪽 측벽(111)의 외면을 감싸는 외벽 일측 접촉벽(120)과;
    상기 외벽 일측 접촉벽(120)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제2접힘선(121a)에 의해 접혀져 다른 한쪽 측벽(114)의 외면을 감쌈으로써,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형태로 접혀지게 유도하는 외벽 타측 접촉벽(130)과;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것으로, 개방된 상부 쪽이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에 부착되어,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통해 포위된 애완동물의 분변이 수용되는 분변수용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한 우유팩을 전개 및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접혀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가 상기 외벽 일측 접촉벽(120)와 상기 외벽 타측 접촉벽(130) 사이에 접촉되어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이 풀어지지 않게 감싸도록, 제3 접힘선(141) 및 제4 접힘선(142)이 이격 형성되고, 양측면이 고정되는 고정유지체(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1,113) 상부에는 각각 포집날개(111b,113a)가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분변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접촉하여 포위하되, 상기 포집날개(111b,113)는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포위하여 애완동물의 분변을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는 각각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가 연장되어, 애완동물의 분변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접촉하여 포위하되, 상기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는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로 포위하여 애완동물의 분변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한쪽 측벽(114)에는, 한 쌍의 끼움홈(114b)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외벽 타측 접촉벽(130)의 하면에는 끼임날개(150)가 연장되되, 끼임날개(15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이 절개되어 연장되며,
    상기 끼임날개(150)의 절개된 양착 가장자리 부분을 접은 후 상기 한 쌍의 끼움홈(114b)에 각각 끼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6. 제1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보호자가 보호하는 애완동물을 식별하는 애완동물 식별정보가 구비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더 포함하고,
    보행자가 왕래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자판기 하우징(301)에 수납영역(302)에 적층 수납되고,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제공 요청 시 식별코드 판독부(311)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판독한 후 수납영역(302)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배출구(303)를 통해 배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30)로 이루어진 지역별 자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의 발급을 요청하면, 정보출력부(340)를 통해 애완동물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의 신상을 나타내는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회원가입화면(미도시)을 출력하고,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되는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를 정보저장부(360)에 저장함과 아울러 식별코드 생성부(313)를 통해 입력된 애완동물 식별정보를 토대로 애완동물 식별코드 정보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식별코드 출력부(315)를 통해 그 생성된 애완동물 식별코드 정보가 표시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그 출력된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배출구(303)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8. 제7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보호자가 소지한 애완동물 보호자측 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애완동물 등록정보가 애완동물 보호자 별로 구분되어 저장관리되는 보호자별 애완동물 등록정보 DB(미도시)를 포함하는 동물보호관리스템(500);을 더 포함하며,
    애완동물에게 동물등록을 위한 무선식별용 칩의 탑재 및 동물보호관리스템(500)으로 애완동물 등록정보를 등록하는 동물등록 대행업체가 운영하는 동물등록 대행업체측 단말(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의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동물등록 여부 확인신호를 동물보호관리스템(500)에 전송하며,
    상기 동물보호관리스템(500)은, 전송되는 동물등록 여부 확인신호에 포함된 애완동물 식별정보 및 애완동물 보호자 신상정보를 보호자별 애완동물 등록정보 DB와 매칭하여 등록여부를 확인하되,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미등록임을 안내하는 동물 미등록신호를 지역별 자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전송되는 동물 미등록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애완동물을 동물보호관리스템(500)에 등록할 것인지 문의하는 정보를 정보출력부(340)를 통해 출력 안내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애완동물 보호자가 동물등록을 요청하는 경우 동물등록을 요청한 애완동물 보호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동물등록 요청신호를 동물등록 대행업체측 단말(6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9. 제6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공급을 수행하는 업체에서 운영하는 배변봉투 공급업체측 단말(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배출될 때마다 카운팅하여 수납영역(302)에 수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잔존개수를 나타내는 봉투잔존 개수정보를 정보저장부(360)에 누적 저장하여 관리하며,
    그 저장관리되는 봉투잔존 개수정보가 봉투의 재입고를 안내하는 개수를 나타내는 봉투 재입고 요청정보에 도달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봉투 재입고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재입고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공급업체측 단말(7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자판기(300)에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되는 구멍인 수거부(304)가 형성되고,
    상기 지역별 자판기(300)에는, 상기 수거부(304)로 인입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되는 수거함(305)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 요청 시 식별코드 판독부(311)를 통해 애완동물 식별코드(200)를 판독한 후 수거부(304)를 개방하여 수거함(305)으로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305)의 내벽에는 적재감지센서(306)가 설치되어, 상기 수거함(305)에 적재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감지하는 적재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수거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적재감지센서(306)로부터 적재감지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수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305)의 하부에는 로드셀(307)이 설치되어, 상기 수거함(305)에 적재되는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수거하는 업체가 운영하는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로드셀(307)로부터 중량감지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수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30)는, 수거함(305)에 최초로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수거된 날부터 일자별로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된 일자가 봉투의 수거를 요청하는 수거봉투 누적일자를 나타내는 수거봉투 누적일자정보에 도달하면, 해당 지역별 자판기(300)의 자판기 식별정보, 설치지역 주소지정보 및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수거를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봉투 수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배변봉투 수거업체측 단말(8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자판기(300)에는, 수거함(305)의 상부 쪽에 자외선 램프(308)가 설치되어, 수거된 사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100) 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크기가 대·중·소·로 각각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로 구분되고,
    상기 지역별 자판기(300)의 수납영역(302)에 수납되는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도 대·중·소·로 각각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로 구분되어 수납되며,
    상기 정보저장부(360)에는,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이 구비되되, 그 구비되는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이 애완동물의 크기에 따라 대형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 중형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 및 소형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으로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이 저장관리되고,
    상기 제어부(330)는, 정보입력부(320)를 통해 대·중·소·로 각각 구분되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 중 어느 하나의 크기를 갖는 크기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제공 요청 시 정보저장부(360)에서 해당 봉투 크기에 맞는 크기별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크기별 애완동물 관련 광고영상정보를 정보출력부(3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16. 사용한 우유팩인 재활용 우유팩을 수집하고, 수집된 재활용 우유팩을 전개하는 단계(S100)와;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A)을 봉투용 전개 우유팩(B)의 전개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S120)와;
    절단된 봉투용 전개 우유팩(B)의 영역 중 상부에는 상하가 개방된 4개의 측벽(111,112,113,114)으로 이루어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는 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공간형성용 측벽부(110)가 형성되어, 개방된 분변수용부(190)의 상부 쪽을 상기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에 부착하는 단계(S130)와;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맞닿는 측벽(111,114) 부분을 고정연결하는 단계(S140)와;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 연장된 포집날개(111b,113a)를 각각 안쪽으로 접고,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 연장된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를 각각 바깥쪽으로 접는 단계(S150)와;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은 상태에서, 연이은 외면 쪽이 접촉되게 재차 접은 후 외부에 위치되는 한쪽 측벽(111)의 하면에서 연장된 외벽 일측 접촉벽(120)을 제1접힘선(111a)에서 접어 한쪽 측벽(111)의 외면을 감싸게 한 후 외벽 일측 접촉벽(120)의 하면에 연장된 외벽 타측 접촉벽(130)을 제2접힘선(121a)에서 접어 다른 한쪽 측벽(114)의 외면을 감싸여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의 형태로 완성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을 이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생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외벽 타측 접촉벽(130)의 하면에 연장된 끼임날개(150)의 절개된 양착 가장자리 부분을 접은 후 다른 한쪽 측벽(114)에 관통형성된 한 쌍의 끼움홈(114b)에 각각 끼움하여 고정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을 이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생성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A)을 봉투용 전개 우유팩(B)의 전개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S120)에 있어서,
    상기 전개된 재활용 우유팩인 전개 우유팩(A)에서, 고정유치체(140)도 전개형상으로 함께 절단되고,
    고정유지체(130)의 양측면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제3 접힘선(131) 및 제4 접힘선(132)을 따라 접어 상하가 개방된 관체 형상으로 제작하는 단계와;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에 돌출된 분변수용부(190)도 접은 상태에서,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130)를 끼워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가 풀리지 않게 고정시키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을 이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생성 방법.
  19. 접혀진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에 끼워진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130)를 제거하는 단계(S200)와;
    애완동물 배변봉투(100)에 접혀진 분변수용부(190)를 편 후 다른 한쪽 측벽(114)의 끼움홈(114b)에 끼움 고정된 끼임날개(150)를 빼내 고정해제하는 단계(S210)와;
    직육면체의 애완동물 배변봉투(100)를 이루는 접혀진 4개의 측벽(111,112,113,114)을 사각형태로 펼쳐 사각형상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형성한 상태에서, 공간형성용 측벽부(110)의 상부 부분이 지면에 놓인 애완동물의 분변을 포위하여 지면에 접촉하되,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1,113) 상부에 연장된 각 포집날개(111b,113a)는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그리고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측벽(112,114) 상부에 연장된 각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는 바깥쪽으로 접힌 상태로 접촉한 후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이루는 4개의 측벽(111,112,113,114)의 내면 쪽을 접되, 연이은 2면이 접촉되게 접어, 애완동불 보호자가 공간형성용 측벽부(110)를 파지한 손가락들이 각 오염접촉 방지날개(112a,114a)에 접촉하여 지면에 놓인 애완동물의 분변이 사용자의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여 줌과 더불어 포집날개(111b,113)가 애완동물의 분변을 집게형태로 잡아 포위하여 수거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을 이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사용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관체 형상의 고정유지체(130)를 외벽 일측 접촉벽(120)에 끼우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을 이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사용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외벽 일측 접촉벽(120) 및 외벽 타측 접촉벽(130)이 각각 한쪽 측벽(111)의 외면 및 다른 한쪽 측벽(114)의 외면을 감싸게 접은 후 끼임날개(150)의 양측부를 다른 한쪽 측벽(114)의 한 쌍의 끼움홈(114b)에 각각 끼움고정하여 분변수거를 완료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우유팩을 이용한 애완동물 배변봉투의 사용 방법.
KR1020210149650A 2021-11-03 2021-11-03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KR20230064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650A KR20230064257A (ko) 2021-11-03 2021-11-03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650A KR20230064257A (ko) 2021-11-03 2021-11-03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257A true KR20230064257A (ko) 2023-05-10

Family

ID=8638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650A KR20230064257A (ko) 2021-11-03 2021-11-03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25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05Y1 (ko) 2005-06-28 2005-09-29 박상순 애완견의 배변 수거용품
KR101688089B1 (ko) 2015-05-27 2016-12-20 (주) 케이엠팩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KR20170002379U (ko) 2017-06-13 2017-07-03 문경석 물티슈가 동봉된 배변봉투
KR20170128205A (ko) 2014-12-12 2017-11-22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나미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KR20190002121U (ko) 2018-02-12 2019-08-21 김기란 애완동물용 배변봉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05Y1 (ko) 2005-06-28 2005-09-29 박상순 애완견의 배변 수거용품
KR20170128205A (ko) 2014-12-12 2017-11-22 가부시키가이샤 후지나미 배변 봉투 및 배변 봉투의 제조 방법
KR101688089B1 (ko) 2015-05-27 2016-12-20 (주) 케이엠팩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KR20170002379U (ko) 2017-06-13 2017-07-03 문경석 물티슈가 동봉된 배변봉투
KR20190002121U (ko) 2018-02-12 2019-08-21 김기란 애완동물용 배변봉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1178C2 (ru) Радиочастотный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ый приемоответчик, содержащий датчик
CN102378727B (zh) 用于废物处理的方法和装置
AU2010230127B2 (en) Waste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20020135486A1 (en) Device and procedure for surveillance of the use of a hygiene station
WO2013134124A1 (en) Facility operations coordinating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system
US201400156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KR20230064257A (ko)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KR102599816B1 (ko)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 자판기 운영시스템
WO2002077927A1 (en) Device and procedure for surveillance of the use of a hygiene station
JP2015528615A (ja) 無線周波識別タグ
JP6018314B2 (ja) センサー素子を含む無線周波数識別装置トランスポンダ
KR102649077B1 (ko) 반려견 배변 처리함 및 배변 전용 처리시스템, 그 운영방법
US20070215515A1 (en) Vendable personal hygiene kits
CN108986307A (zh) 一种多功能的多层出烟售卖装置及方法
WO2010015059A2 (pt) Contenedor retornavel dotado de sistema de identificação automatica
JPWO2011061845A1 (ja) ペットの汚物収集ボックス
KR20050013169A (ko) 쓰레기 종량제 수거필증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쓰레기수거방법
JP3189819U (ja) ごみ箱
ES2747395A1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de residuos inteligente, aplicación para dispositivos móviles y sistema de control adaptados a dicho dispositivo
JP3030322U (ja) 馬券および投票カード入れ
ITBA20140049U1 (it) Smart recicly and mobility
JP2021196810A (ja) 製品の提供方法
KR200412909Y1 (ko) 음식물 및 폐기물 쓰레기 용기에 사용하는 회수용 라벨
CN112385568A (zh) 环保共享宠物系统
CN117114942A (zh) 全智能化流浪动物救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