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089B1 -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 Google Patents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089B1
KR101688089B1 KR1020150074154A KR20150074154A KR101688089B1 KR 101688089 B1 KR101688089 B1 KR 101688089B1 KR 1020150074154 A KR1020150074154 A KR 1020150074154A KR 20150074154 A KR20150074154 A KR 20150074154A KR 101688089 B1 KR101688089 B1 KR 10168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blade portion
resin composition
present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429A (ko
Inventor
구선모
권기용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엠팩
우진프라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엠팩, 우진프라콤(주) filed Critical (주) 케이엠팩
Priority to KR102015007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08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Abstract

본 발명은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이용함으로써, 포장용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결국 폴리올레핀 수지의 대체로 인하여 대기의 탄소배출량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강도 및 외관 질감이 우수하여 트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용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 또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폐자원으로 낭비되는 재활용 우유팩 또는 우유팩 원지 스크랩 등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을 통하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장점 또한 갖는다.

Description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RESIN COMPOSITION FOR TRAY COMPRISING THE PELLET POWDER MANUFACTURED USING POLYETHYLENE SEPARATED FROM MILK CARTON PAPER AND THE TRA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다양한 생활용품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 빵, 케이크 등 식품을 수납하는 플라스틱 트레이 등의 다양한 생활용품은 실용성과 경제성 및 편리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서 제과점업, 식품업 등에서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선물세트용 포장용기로 플라스틱제 트레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트레이 재질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출, 압출 및 열성형한 플라스틱제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우유팩 원지 (milk carton paper)는 일반적으로 카톤팩용 원지 (Liquid Packing Board, LPB)라고 불리며 용도에 따라 일반 우유포장용 원지, 주스용 원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우유팩 원지는 제품의 상표명 또는 제품정보 등이 인쇄되는 인쇄면인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외층, 제1 펄프층, 제2 펄프층, 제3 펄프층 및 우유 또는 주스 등이 직접 접촉하는 면인 폴리에틸렌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우유팩 원지에는 약 40중량%의 폴리에틸렌이 포함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이러한 우유팩 원지의 스크랩 또는 재활용 우유팩은 주로 이로부터 펄프만을 추출하여 화장지 또는 키친타월 등을 생산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우유팩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성분은 대부분 매립처분하거나 또는 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여 소각하는 것이 전부였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음료수 팩이나 우유팩 그리고 코팅이 되어 있는 종이 판재 등을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분쇄기를 거치는 과정 (20 내지 30㎜)과 폭 10㎜ 내지 50㎜ 및 길이 5㎝ 내지 50㎝이하의 판재상태로 분쇄하고, 이와 같이 분쇄된 종이 팩 폐기물의 분말에 10-50%의 폴리에틸렌을 혼련 및 가열시켜서 겔 상태로 변화시킨 다음 압출기의 다이스 형상에 따른 각종의 판재로 압출되도록 한 뒤 냉각시켜 소재의 형상을 갖추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 폐기물을 이용한 소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1의 우유팩 재활용 방법에 따라 형성된 펠릿 등에는 여전히 다량의 펄프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활용품용 트레이를 제조하는 경우는 트레이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우유팩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성분을 활용하여 고강도를 지니며 내구성이 우수한 다양한 생활용품용 트레이를 제조할 수 있는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11765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이용함으로써 강도, 내구성 및 외관 질감이 우수한 트레이 등과 같은 생활용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우수한 강도, 내구성 및 외관 질감을 나타내고, 내구성이 뛰어난 트레이용 또는 다양한 생활용품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또는 다양한 생활용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하나의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은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 3 내지 95 중량부; 폴리올레핀 수지 5 내지 97 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20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상용화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펠릿 분쇄물은 펄프 성분을 5중량%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펠릿 분쇄물은 펄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이 결합된 우유팩 원지 스크랩을 파쇄하여 스크랩 파쇄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크랩 파쇄물을 물과 함께 내부에 칼날이 구비된 원심분리기에 투입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펄프가 제거된 탈지 스크랩을 얻는 단계; 상기 탈지 스크랩을 물과 함께 내부에 칼날이 구비된 탈수기에 투입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탈지 스크랩에 남아 있는 잔여 펄프 및 물을 제거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얻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압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압출물을 냉각시킨 후 절단하여 폴리에틸렌 펠릿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및 내열성 강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출성형용 또는 압출 후 열성형용으로 사용되며, 사출성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는 10 내지 100 g/10분이고, 압출 후 열성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는 0.5 내지 5 g/10분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트레이는 상기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사출성형 또는 압출 후 열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이용함으로써, 포장용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결국 폴리올레핀 수지의 대체 또는 재활용으로 인하여 대기의 탄소배출량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며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강도 및 외관 질감이 우수하여 트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용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 또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폐자원으로 낭비되는 재활용 우유팩 또는 우유팩 원지 스크랩 등에 포함된 폴리에틸렌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을 통하여 제품의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인 장점 또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우유팩 원지 스크랩의 파쇄물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심분리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심분리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탈수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저장하는 저장호퍼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의 제조에 사용되는 압출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몸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칼날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압출시트 (롤로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압출 열성형 제품인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트레이, 포장 케이스, 컵, 쟁반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조성물 및 이를 사출성형 또는 압출 후 열성형함으로써 제조된 트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 폴리올레핀 수지, 탄산칼슘, 분산제 및 상용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특히, 재활용 우유팩 또는 우유팩 원지의 스크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과 폴리올레핀 수지를 3 내지 95 중량부 : 5 내지 97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은 190℃에 측정된 용융지수가 약 6.3 내지 7.0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은 용융지수가 비교적 높아서 이를 압출성형용 조성물에 포함시킬 때에는 통상적으로 0.5 내지 1.0의 용융지수를 갖는 별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충분히 혼합하여 압출 후, 열성형 하여야한다. 그러나, 상기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사출성형용 수지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경우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별도로 혼합하지 않고 거의 단독으로 상기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은 화학약품의 처리 없이 단순히 소량의 물을 첨가하여 기계적인 방법에 의하여 우유팩을 구성하는 펄프를 제거하고 고순도의 폴리에틸렌 필름만을 회수하여 이를 펠릿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펠릿을 분말 상태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어 폴리에틸렌 재활용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생산 공정에서 기타 화학약품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 펠릿 분쇄물의 구체적인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우유팩 원지 스크랩의 파쇄물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우유팩 또는 주스팩을 생산하기 위한 원지를 각각의 용도에 맞게 재단한 후에,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머지 자투리 부분인 스크랩 (scrap)이 다량 발생한다. 연간 국내 시장의 우유팩 수요는 약 6만 톤 정도이며, 이와 같은 우유팩 등을 제조하고 남은 스크랩은 약 1만 톤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이와 같은 우유팩 원지에 약 40 내지 50중량% 정도의 폴리에틸렌 필름이 코팅된 상태로 가정하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우유팩 원지 스크랩을 재활용할 경우 연간 약 4,000 내지 5,000톤 가량의 폴리에틸렌 필름의 자원 대체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국내에서 연간 우유팩의 수요량이 약 6만 톤이며, 현재 약 80%의 우유팩이 회수 및 재활용되므로 약 2만 톤 가량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국내 우유팩 등과 관련하여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 추산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양은 연간 약 25,000톤인 것으로 추정된다.
우유팩 원지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은 보통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이며, 이하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존에 우유팩 원지 스크랩 또는 재활용 우유팩을 재활용하는 대부분의 방법은 펄프를 추출하여 이를 화장지 또는 키친타월 등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폴리에틸렌 필름만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었다. 즉, 상기 우유팩 등에서 화학적인 방법으로 펄프를 추출하고 남은 폴리에틸렌 필름에는 여전히 다량의 펄프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문제 때문에 이를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재활용하지 못하던 실정이었다. 따라서, 기존에는 이와 같이 화장지 등을 생산하기 위하여 펄프를 추출하고 남은 폴리에틸렌 필름 잔여물을 별도의 비용을 들여 매립처분하거나, 또는 소각하여 이를 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전부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펠릿 분쇄물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펄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이 결합된 우유팩 원지 스크랩, 재활용 우유팩 또는 재활용 주스 팩 등을 잘게 파쇄하여 스크랩 등의 파쇄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크랩 등의 파쇄물을 물과 함께 내부에 칼날이 구비된 원심분리기에 투입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펄프가 제거된 탈지 스크랩을 얻는 단계; 상기 탈지 스크랩을 물과 함께 내부에 칼날이 구비된 탈수기에 투입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탈지 스크랩에 남아 있는 잔여 펄프 및 물을 제거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얻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압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압출물을 냉각시킨 후 절단하여 폴리에틸렌 펠릿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조방법은 물 이외의 어떠한 화학약품 처리 없이도 펄프와 폴리에틸렌 필름을 각각 고순도로 분리해 낼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도 2는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상기 원심분리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은 상기 원심분리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도 3 및 8 내지 10을 참고하면, 상기 원심분리기는 일 측에 스크랩 파쇄물 투입구가 구비되고 표면에는 4 내지 6㎜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펄프 배출공 (미도시)이 관통 구비된 원통형의 몸체 (100); 및 상기 몸체 (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 중심에 구비된 원통형의 회전축 (200); 상기 회전축 (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축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나란히 서로 이격 구비된 칼날 4개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 구비된 분리 칼날부 (3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의 표면에 구비된 다수의 펄프 배출공을 통하여 몸체 내부에서 칼날의 회전에 의하여 분리된 펄프가 일부의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며, 펄프와 분리된 폴리에틸렌 필름은 상기 배출공을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계속 남아있게 된다.
특히, 상기 분리 칼날부 (300)는 상기 회전축 상의 한 지점에서 상기 회전축의 원주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4개의 칼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칼날부 (300)는 상기 투입구와 가까운 상기 회전축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분리 칼날부, 제2 분리 칼날부, 제3 분리 칼날부, 제4 분리 칼날부, 제5 분리 칼날부, 제6 분리 칼날부, 및 제7 분리 칼날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40 내지 5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2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10 내지 2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3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4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타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5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6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7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10 내지 2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칼날부는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칼날부가 연속으로 2회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구비된 칼날들은 상기 회전축이 회전시 마치 선풍기의 날개와 같은 원리로 상기 몸체 내부에서 바람을 일으키게 되며, 상기 특정한 각도로 구비된 칼날의 타격 및 상기 바람에 의하여 스크랩 등이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펄프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분리된다.
도 4는 상기 제조방법의 일 구현 예에 사용되는 탈수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 탈수기는 상기 원심분리기와 마찬가지로 일 측에 상기 탈지 스크랩 투입구가 구비되고 표면에는 4 내지 6㎜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펄프 배출공이 관통 구비된 원통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 중심에 구비된 원통형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축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나란히 서로 이격 구비된 칼날 4개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 구비된 탈수 칼날부;를 포함한다.
상기 탈수기는 상기 원심분리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대부분의 펄프가 제거된 탈지 스크랩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탈지 스크랩이 투입되는 투입구는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탈지 공정을 마친 탈지 스크랩 배출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탈수기 몸체의 표면에도 다수의 펄프 배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탈수기 몸체에 구비된 펄프 배출공을 통하여 탈수기 몸체의 내부에서 칼날의 회전에 의하여 완전히 분리된 잔여 펄프가 남아있는 물 대부분과 함께 몸체 외부로 배출되며, 펄프와 분리된 고순도의 폴리에틸렌 필름은 상기 배출공을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상기 탈수기 몸체의 내부에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상기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몸체에 구비된 다수의 펄프 배출공의 직경은 약 4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공의 직경이 4㎜미만인 경우는 펄프의 배출효율 및 속도가 저하되어 공정 시간이 길어지거나 수차례 공정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배출공의 직경이 6㎜를 초과하는 경우는 칼날의 회전에 의하여 펄프와 분리된 폴리에틸렌 필름까지 몸체 밖으로 빠져 나가 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탈수기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탈수 칼날부는 상기 원심분리기의 분리 칼날부와 유사하게 상기 투입구와 가까운 상기 회전축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탈수 칼날부, 제2 탈수 칼날부, 제3 탈수 칼날부, 제4 탈수 칼날부, 및 제5 탈수 칼날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탈수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10 내지 2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2 탈수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3 탈수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 또는 타 측 방향으로 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4 탈수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5 탈수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40 내지 5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칼날부는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칼날부가 연속으로 2회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구비된 칼날들은 상기 회전축이 회전시 마치 선풍기의 날개와 같은 원리로 상기 몸체 내부에서 바람을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바람에 의하여 탈지 스크랩 등이 이동되면서 펄프와 폴리에틸렌 필름을 완전히 분리해냄과 동시에 몸체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모두 몸체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몸체에 관통 구비된 다수의 배출공 간의 간격은 4 내지 6㎜일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회전축의 길이는 약 1.5m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전축 및 이에 대응하는 몸체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원통형 회전축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내부에 구비된 칼날의 길이는 약 25 내지 30㎝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가 상기 칼날의 길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원심분리기 또는 탈수기의 몸체의 내부 직경 및 상기 회전축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칼날의 폭은 약 10 내지 15㎝일 수 있으며, 칼날의 두께는 약 7 내지 15㎜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지 스크랩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얻는 단계의 각각의 원심분리는 1분당 1,600 내지 2,300회 회전의 회전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탈수기를 거쳐 순수하게 펄프와 분리된 폴리에틸렌 필름 조각들은 저장호퍼에 저장된다.
도 5는 상기 제조방법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저장하는 저장호퍼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저장호퍼에 충분한 양으로 저장된 폴리에틸렌 필름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압출기에 투입되며, 상기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성형된다. 상기 압출기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압출기 내부의 온도는 압출기 호퍼 쪽이 약 340℃ 다이 배출구 쪽이 약 180℃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출기의 다이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압출성형된 폴리에틸렌 필름 압출물이 얻어지며, 이와 같이 얻어진 막대 모양의 긴 형상의 폴리에틸렌 압출물을 상온으로 냉각 및 절단하여 폴리에틸렌 펠릿을 얻게 된다.
도 7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재활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틸렌 펠릿에는 약 95중량% 이상의 순도로 폴리에틸렌 성분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압출시트 (롤로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압출 열성형 제품인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펠릿 분쇄물은 상기 과정 등을 통하여 제조된 필렛을 기계적으로 분쇄함으로써 얻게 된다.
[폴리에틸렌 회수율 측정]
직경 6㎜인 배출공이 6㎜간격으로 표면에 다수 관통형성되고 길이 1.5m, 내부 직경 77㎝인 원통형의 몸체와 외부 직경 25㎝, 길이 1.5m인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4개씩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며, 길이 25㎝, 폭 10㎝, 두께 5㎜이고, 회전방향에 대하여 +45°, +45°, +15°, +15°, +8°, -8°, 0°, +6°, +6°, +15°, +15°의 각도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 상에 등 간격으로 구비된 칼날로 이루어진 원심분리기와, 직경 6㎜인 배출공이 6㎜간격으로 표면에 다수 관통형성되고 길이 1.5m, 내부 직경 77㎝인 원통형의 몸체와 외부 직경 25㎝, 길이 1.5m인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원주를 따라 4개씩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며, 길이 25㎝, 폭 10㎝, 두께 5㎜이고, 회전방향에 대하여 +15°, +8°, 0°, +6°, +6°, +45°의 각도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 상에 등 간격으로 구비된 칼날로 이루어지며, 투입구가 상기 원심분리기의 배출구와 연결된 탈수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심분리기의 투입구에 우유팩 스크랩 파쇄물 180㎏을 서서히 투입하고 물 20ℓ와 함께 서서히 투입하고 상기 원심분리기 및 탈수기를 2,100rpm의 속도로 회전시켰다.
상기 탈수기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폴리에틸렌 파쇄물을 모두 수집하였으며, 이와 같이 수집된 폴리에틸렌 파쇄물을 이축압출기의 호퍼에 서서히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였으며, 압출물을 10㎜간격으로 절단 및 냉각하여 펠릿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분쇄하여 펠릿 분쇄물 샘플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이를 통하여 각각 수집된 폴리에틸렌 파쇄물의 총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최초 투입된 우유팩 스크랩 중량에 폴리에틸렌이 40중량% 함유된 것으로 계산하여 폴리에틸렌 파쇄물의 총 회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샘플 폴리에틸렌 파쇄물의 회수율 (중량%)
1 90.5
2 89.5
3 87.5
4 88.8
5 90.1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원심분리기에 투입된 우유팩 스크랩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부분의 폴리에틸렌이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 및 탈수과정을 거쳐 회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87.5 내지 90.5%의 회수율).
이는 상기 제조방법이 갖는 우수한 자원 재활용률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결과인 것으로 해석된다.
[폴리에틸렌 순도 측정]
상기 폴리에틸렌 펠릿 분쇄물 샘플 1 내지 5를 이용하여 그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펄프와 폴리에틸렌 성분의 함량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샘플 폴리에틸렌 함량 (중량%) 펄프 함량 (중량%)
1 96.4 3.6
2 95.8 4.2
3 96.1 3.9
4 96.2 3.8
5 96.5 3.5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틸렌 펠릿 분쇄물은 상당히 높은 순도로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95.8 내지 96.5%의 순도).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사출성형용 또는 압출 후 열성형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사출성형용으로 사용할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는 10 내지 100 (g/10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 후 열성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용융지수가 0.5 내지 5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 (calcium carbonate, CaCO3)은 본 발명에 따라 압출 후 열성형용으로 사용되는 수지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분산제 (dispersing agent)기능과 제품의 생분해를 돕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교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또는 중질 탄산칼슘 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탄산칼슘을 사용함으로써, 수지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특히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도와 수지조성물에 균질성이 부여됨과 동시에 트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용품의 사용이 끝난 후, 폐기될 때 자연친화적으로 기존 단독의 플라스틱제품보다 단기간에 생분해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탄산칼슘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수지조성물의 균질성이 저하되어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의 외관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추가로 첨가되는 분산제의 함량이 너무 높아지며 품질적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탄산칼슘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천연재료 및 폴리올레핀 수지의 첨가량이 제한되고, 수지 조성물의 점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상기 탄산칼슘 이외에 기타 다양한 분산제 (dispersant)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와 같이 추가로 포함되는 분산제로는 마그네슘, 칼슘스테아린 또는 아연스테아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추가로 첨가되는 분산제는 0.1 내지 3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추가적인 분산효과가 미미하며,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상용화제 (compatibilizer)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제조된 펠릿 분쇄물과 폴리올레핀 수지 간에 상용성 (compatibility)을 부여함으로써 이들이 균일한 혼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용화제로는 블록공중합을 통하여 생산되는 상용화제 또는 폴리머의 그라프팅을 통하여 제조되는 상용화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접착성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과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며, 내구성과 가공성 및 투명성이 뛰어나다. 특히, 범용 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물성이 갖고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한 상용화제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상용화제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물성시험
물성 대표값 측정방법
용융지수(at 230℃) >60 g/10min ASTM D1238
밀도 0.91 g/㎤ ASTM D1505
MAH graft ratio 1.0wt% 이상 HPC METHOD
중량평균분자량 >100,000 HPC METHOD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용화제는 0.1 내지 3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용화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천연재료와 폴리올레핀 수지간의 상용성이 저하되며,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성분 이외에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및 내열성 강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이 제조, 가공 및 저장 등의 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의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외선안정제는 상기 산화방지제 등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이 태양광선에 노출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하여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내후성 및 내구성을 높이는 기능을 발휘한다.
내열성 강화제는 열에 취약한 폴리올레핀 수지가 포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에 내열성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트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용품을 제조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injection)성형 또는 압출 (extrusion) 후 열성형 (thermoforming)을 통하여 트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모양의 생활용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조되는 제품으로는 금형의 모양에 따라 컵, 접시, 그릇, 쟁반, 트레이 등 다양한 모양의 사출성형 생활용품의 제작이 가능하다.
사출성형하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는 10 내지 10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 일반적인 사출조건보다 약 5 내지 10℃ 낮은 조건에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에 포함되는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로 인하여 사출성형품이 과도하게 탄화되어 품질불량을 야기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사출성형의 경우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펠릿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펠릿을 다양한 마스터 배치와 혼합하여 사출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펠릿과 마스터 배치의 혼합비율은 약 97:3 정도의 중량비가 바람직하다.
압출 후 열성형을 하는 경우는 압출온도 190 내지 230℃의 온도범위에서 성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성형은 압출 (extrusion) 후에 열성형 (thermoforming)을 거치게 된다. 열성형 온도는 제품이 변형되지 않는 범위에서 160~190℃ 정도가 바람직하다.
압출 후 열성형하는 경우, 압출기의 토출구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다양한 생활용품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출 후 열성형하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가 0.5 내지 5 (g/10분)인 것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의 장점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 (사출성형용)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 150g, 폴리프로필렌 수지 (Moplen EP640R, (주)폴리미래) 800g, 마그네슘 10g, 및 상용화제 10g을 혼합하여 커피찌꺼기를 포함하는 사출성형용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압출성형용)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 150g, 폴리프로필렌 수지 (Moplen EP5078, (주)폴리미래) 800g, 탄산칼슘 50g, 마그네슘 10g, 및 상용화제 10g을 혼합하여 커피찌꺼기를 포함하는 압출성형용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사출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Moplen EP640R, (주)폴리미래) 950g, 마그네슘 10g, 및 상용화제 10g을 혼합하여 사출성형용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압출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Moplen EP5078, (주)폴리미래) 950g, 탄산칼슘 50g, 마그네슘 10g, 및 상용화제 10g을 혼합하여 압출성형용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외관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를 통하여 제조된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 동일한 규격으로 컵 (사출성형) 또는 시트 (압출성형)를 제작하였으며, 이들의 표면 외관에 결점 등 불량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1 내지 3점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점: 심한 외관 불량 발생, 2점: 약한 외관 불량 발생, 3점: 외관 불량 없음).
[인장강도 테스트]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및 2를 통하여 제조된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 동일한 규격으로 컵 (사출성형) 또는 시트 (압출성형)를 제작하였으며, KS M3001 규격에 따라 샘플을 취하고 독일 Zwick사의 인장강도시험기 (Instron)를 이용해 인장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샘플

성형방법

외관

인장강도
(kgf)
1 (실시예 1) 사출성형 3 35
2 (실시예 2) 압출열성형 3 40
3 (비교예 1) 사출성형 3 35
4 (비교예 2) 압출열성형 3 36
상기 표 4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샘플 1 및 2의 경우의 경우, 재활용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만으로 제조된 샘플 3 및 4와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의 외관 양호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 내에 포함된 재활용 폴리에틸렌 펠릿 분쇄물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우수한 상용성을 보이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상기 표 4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샘플 1 및 2의 경우 재활용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만으로 제조된 샘플 3 및 4와 비교하여 대등한 수준의 인장강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재활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에 폴리올레핀 수지, 탄산칼슘, 분산제 및 상용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활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는
    펄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이 결합된 우유팩 원지 스크랩을 파쇄하여 스크랩 파쇄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스크랩 파쇄물을 물과 함께 내부에 칼날이 구비된 원심분리기에 투입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펄프가 제거된 탈지 스크랩을 얻는 단계;
    상기 탈지 스크랩을 물과 함께 내부에 칼날이 구비된 탈수기에 투입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기 탈지 스크랩에 남아 있는 잔여 펄프 및 물을 제거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얻는 단계;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파쇄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필름 압출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 압출물을 냉각시킨 후 절단하여 폴리에틸렌 펠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분리기는
    일 측에 스크랩 파쇄물 투입구가 구비되고 표면에는 4 내지 6㎜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펄프 배출공이 관통 구비된 원통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의 내부 중심에 구비된 원통형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 상에 상기 회전축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나란히 서로 이격 구비된 칼날 4개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 구비된 분리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분리 칼날부는 상기 투입구와 가까운 상기 회전축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타 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분리 칼날부, 제2 분리 칼날부, 제3 분리 칼날부, 제4 분리 칼날부, 제5 분리 칼날부, 제6 분리 칼날부, 및 제7 분리 칼날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40 내지 5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2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10 내지 2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3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4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타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5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6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5 내지 1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고,
    상기 제7 분리 칼날부를 구성하는 칼날은 각각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일 측 방향으로 10 내지 20° 각도를 이루며 구비되는 재활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이용한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은 사출성형용 또는 압출 후 열성형용으로 사용되며,
    사출성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는 10 내지 100 g/10분이고, 압출 후 열성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지수는 0.5 내지 5 g/10분인 재활용 폴리에틸렌 펠릿을 이용한 트레이용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50074154A 2015-05-27 2015-05-27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KR10168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154A KR101688089B1 (ko) 2015-05-27 2015-05-27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154A KR101688089B1 (ko) 2015-05-27 2015-05-27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429A KR20160139429A (ko) 2016-12-07
KR101688089B1 true KR101688089B1 (ko) 2016-12-20

Family

ID=5757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154A KR101688089B1 (ko) 2015-05-27 2015-05-27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257A (ko) 2021-11-03 2023-05-10 심민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3013251A1 (ko) * 2021-08-05 2023-02-09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746A (ja) 1998-08-20 2000-02-29 Nippon Film Kk 紙廃棄物再生による包装用トレイ
JP2008075014A (ja) * 2006-09-22 2008-04-03 Hokuetsu Paper Mills Ltd 紙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0269544A (ja) * 2009-05-22 2010-12-02 Kawata Mfg Co Ltd ポリエチレンと繊維片との分離方法、および、ポリエチレン成型品の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135A (en) * 1990-03-27 1992-01-28 Advanced Environmental Recycling Technologies, Inc. Recycling plastic coated paper product was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746A (ja) 1998-08-20 2000-02-29 Nippon Film Kk 紙廃棄物再生による包装用トレイ
JP2008075014A (ja) * 2006-09-22 2008-04-03 Hokuetsu Paper Mills Ltd 紙含有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0269544A (ja) * 2009-05-22 2010-12-02 Kawata Mfg Co Ltd ポリエチレンと繊維片との分離方法、および、ポリエチレン成型品の再生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257A (ko) 2021-11-03 2023-05-10 심민수 재활용 우유팩이 적용된 애완동물 배변봉투 및 이를 이용한 생성 및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429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2763A1 (en) Plastic composition
KR101344471B1 (ko) 커피 부산물을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3158A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CN101805499A (zh) 一种全降解热塑复合材料及其片材
KR20100015930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8536238B2 (en) Process for preparing insulation sheets from unseparated mixtures of post-consumer plastic articles
KR102163344B1 (ko) 바이오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플라스틱 및 이를 사용한 필름, 쉬트 또는 용기
KR101688089B1 (ko) 우유팩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펠릿 분쇄물을 포함하는 트레이용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트레이
CN1247126A (zh) 具有抗菌活性的模制品
KR20150073593A (ko) 소맥피를 이용한 탄소중립형 고강도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27860A (ko)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재료 생산 방법
KR20220121242A (ko) 생분해성 및 퇴비성 조성물
US11597119B2 (en) Method for recycling a transfer product
US11447617B2 (en) Recycling of polymer materials
CN1894316A (zh) 片材用生物可降解的发泡体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发泡体的生物可降解的成型品及其制造方法
JP2002363432A (ja)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組成物
KR20170067222A (ko) 커피 폐기물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커피 폐기물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
WO2016170326A1 (en) Biodegradable thermoplastic moulding and extrusion compounds made from biomass
JP7433682B2 (ja) 粒子及び樹脂組成物
US20210345803A1 (en) Super biodegradable straw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20059830A (ja) 抗菌性を有するバイオマスプラスチ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650605B (zh) 生物能源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成型体
KR20170053228A (ko) 친환경 경량화 합성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펠릿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 펠릿을 이용한 물품의 제조방법
WO2024014545A1 (ja) 成形用樹脂材、樹脂成形品、及び成形用樹脂材の生産方法
CN102115548A (zh) 一种可生物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